KR101828008B1 - 농기계 작업기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농기계 작업기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8008B1
KR101828008B1 KR1020170122076A KR20170122076A KR101828008B1 KR 101828008 B1 KR101828008 B1 KR 101828008B1 KR 1020170122076 A KR1020170122076 A KR 1020170122076A KR 20170122076 A KR20170122076 A KR 20170122076A KR 101828008 B1 KR101828008 B1 KR 101828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input
output
shaf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동에이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동에이지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동에이지케이
Priority to KR1020170122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8008B1/ko
Priority to PCT/KR2017/014162 priority patent/WO2019059457A1/ko
Priority to US16/314,303 priority patent/US1116254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6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 F16D3/38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with a single intermediate member with trunnions or bearings arranged on two axes perpendicular to one another
    • F16D3/40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with a single intermediate member with trunnions or bearings arranged on two axes perpendicular to one another with intermediate member provided with two pairs of outwardly-directed trunnions on intersecting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power take-of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1/00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setting or adjusting mechanisms, of implement or tool drive or of power take-off; Means for protecting parts against dust, or the like; Adapting machine elements to or for agricultural purposes
    • A01B71/06Special adaptations of coupling means between power take-off and transmission shaft to the implement or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1/00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setting or adjusting mechanisms, of implement or tool drive or of power take-off; Means for protecting parts against dust, or the like; Adapting machine elements to or for agricultural purposes
    • A01B71/06Special adaptations of coupling means between power take-off and transmission shaft to the implement or machine
    • A01B71/066Special adaptations of coupling means between power take-off and transmission shaft to the implement or machine for enabling pitch, roll or yaw movements of trailed implements or mach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10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6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 F16D3/30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in which the coupling is specially adapted to constant velocity-ratio
    • F16D3/32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in which the coupling is specially adapted to constant velocity-ratio by the provision of two intermediate members each having two relatively perpendicular trunnions or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6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 F16D3/38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with a single intermediate member with trunnions or bearings arranged on two axes perpendicular to one another
    • F16D3/382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with a single intermediate member with trunnions or bearings arranged on two axes perpendicular to one another constructional details of other than the intermediate member
    • F16D3/385Bearing cup; Bearing construction; Bearing seal; Mounting of bearing on the intermediat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6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 F16D3/38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with a single intermediate member with trunnions or bearings arranged on two axes perpendicular to one another
    • F16D3/382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with a single intermediate member with trunnions or bearings arranged on two axes perpendicular to one another constructional details of other than the intermediate member
    • F16D3/387Fork construction; Mounting of fork on shaft; Adapting shaft for mounting of for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10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 F16D2001/103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the torque is transmitted via splined conn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Zoology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와 작업기를 안전하고 견고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트랙터의 동력을 작업기로 안전하게 전달하고, 또 연결장치의 회전각을 크게 하여 크게 하여 도로에서 경작지로의 진출입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논이나 밭(경작지)의 코너부분 깊숙이까지 작업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그 구성은, 입력요크가 설치된 입력 축이 관통 설치되는 전방몸체와, 출력요크가 설치된 출력 축이 관통 설치되는 후방몸체의 상·하부 중앙부를 중심 핀을 매개로 회전되게 설치하여 된 관절부와, "+"자형 베어링을 매개로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와 연결요크를 연결 설치하여 된 농기계 작업기의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 자형 베어링에서 연결요크와 체결되는 연결요크체결 축의 길이는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와 체결되는 입력 및 출력요크체결 축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의 선단부 외경은 연결요크의 입구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가 회전될 때에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의 선단부 일부가 상기 연결요크의 내측 입구에 수용된 상태로 마찰 없이 용이하게 회전됨과 동시에 회전각을 크게 형성시켜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농기계 작업기의 연결장치{Connection device of farming machine}
본 발명은 농기계 작업기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랙터와 작업기를 안전하고 견고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트랙터의 동력을 작업기로 안전하게 전달하고, 또 연결장치의 회전각을 크게 하여 도로에서 경작지로의 진출입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논이나 밭(경작지)의 코너부분 깊숙이까지 작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기계 작업기의 연결장치는 트랙터나 경운기 등의 후방에 목적하는 작업기를 연결 설치하고 또 연결 설치된 작업기로 상기 트랙터나 경운기의 동력을 전달받아 목적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역할을 하는 농기계 작업기의 연결장치는 본인이 발명하여 등록된 도 1과 같은 특허등록번호 10-1401024호의 안전커버가 설치된 트랙터와 작업기 연결장치가 있으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다 음-
일 측에 트랙터의 후방과 연결되는 트랙터연결수단(110)이 구비된 전방몸체(100)가 마련되고, 타 측에 작업기와 연결되는 작업기연결수단(210)이 구비된 후방몸체(200)가 마련되며, 상기 전·후방몸체의 상호 마주보는 끝 부분 상·하부 일부는 상호 중첩된 상태로 연결되어 전·후방몸체가 좌우 양측으로 회전되게 하는 관절부(300)가 형성되고, 상기 전·후방몸체의 내부에는 트랙터의 동력을 수평 및 굴절된 상태에서도 작업기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이 상기 전·후방몸체를 관통하며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전·후방몸체의 양 측면 중앙부에는 동력전달수단으로 윤활유공급 또는 동력전달수단의 고장발생시 수리할 수 있는 공간(S)이 확보되며, 그 공간에는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는 안전커버장치(400)를 설치하여 된 것을 것으로, 이는 상기 공간(S)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입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주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 농사용 작업기 연결장치는 도 2의 실용신안공개번호 20-2000-0018046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 음-
일측에 농업용 중장비와 연결되는 동력입력축(11)을 가지며, 타측에는 작업기로 연결되는 동력 출력축(12)을 가지며, 상기 동력 입력축(11)과 동력 출력축(12)은 유니버샬조인트(13)로 서로 연결하는 한편, 동력 입력축 지지몸체(15)와 동력 출력축 지지몸체(16)는 상,하 회전축(17)(19) 및 회전축덧판(18)(20)에 의해 좌우로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되어지는 작업기 연결장치에 있어서,
동력출력축지지몸체(16) 하방에는 고정 단관파이프(21)를 일체로 고정하며, 상기 고정 단관파이프(21) 상,하에는 장공(22)을 가지며, 상기 고정 단관파이프(21) 내측에는 일측 단부에 체결판(23)을 부착한 가동 단관파이프(24)가 삽치되며, 상기 가동 단관파이프(24) 상,하에 형성한 구멍(26) 및 상기 고정단관파이프(24)의 상하 장공 (22)을 연결핀(29)을 삽치한 후, 분할핀을 끼워 서로 일치가 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종래 작업기 연결장치들은 트랙터 등의 동력을 작업기로 안전하게 전달하여 상기 작업기가 목적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하는데 이때 상기 연결장치의 회전 각이 52° 이내이기 때문에 논이나 밭 등의 코너부분 깊숙이까지는 작업하지 못하고 잔여부분이 많이 남게 되어 그 남은 부분을 인력으로 해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등록번호 10-1401024 : 안전커버가 설치된 트랙터와 작업기 연결장치
실용신안공개번호 20-2000-0018046 : 농사용 작업기 연결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첫째, 트랙터와 작업기를 연결하는 연결장치의 회전각을 크게 하여 도로에서 경작지로의 진출입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논이나 밭(경작지)의 코너부분 깊숙이까지 작업할 수 있도록 하고,
둘째, 연결장치의 회전각 크기를 크게 한 상태에서도 트랙터의 동력을 작업기로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며,
셋째, 연결장치의 회전각 크기를 크게 한 상태에서도 트랙터가 작업기를 견인하는데 무리가 없도록 함과 동시에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 구성은,
입력요크(410)가 설치된 입력 축(400)이 관통 설치되는 전방몸체(100)와, 출력요크(510)가 설치된 출력 축(500)이 관통 설치되는 후방몸체(200)의 상·하부 중앙부를 중심 핀(310)을 매개로 회전되게 설치하여 된 관절부(300)와, "+"자형 베어링(600)을 매개로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와 연결요크(700)를 연결 설치하여 된 농기계 작업기의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 자형 베어링(600)에서 연결요크(700)와 체결되는 연결요크체결 축(610)의 길이(L)는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410,510)와 체결되는 입력 및 출력요크체결 축(620)의 길이(l)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410,510)의 선단부 외경(R)은 연결요크(700)의 입구 내경(r)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가 회전될 때에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의 선단부 일부가 상기 연결요크의 내측 입구에 수용된 상태로 마찰 없이 용이하게 회전됨과 동시에 회전각을 크게 형성시켜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연결요크(700)는 중앙에 링부(710)가 형성되고, 그 링부의 양측에는 링부와 일체로 한 쌍의 체결구(720)가 상호 마주보도록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링부의 내주면은 양측 입구에서 내측 중앙부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된다.
또 상기 입력요크(410)의 전방에는 입력요크체결 축(620)을 체결하는 한 쌍의 입력요크 축 체결부(412)가 상호 마주보게 형성되고 후방에는 입력 축(400)이 결합 되도록 내주 면에 스플라인 기어가 형성된 입력 축 결합부(411)가 형성되며,
상기 출력요크(510)의 전방에는 출력요크체결 축(620)을 체결하는 한 쌍의 출력요크 축 체결부(512)가 상호 마주보게 형성되고 후방에는 출력 축(500)이 결합 되도록 내주 면에 스플라인 기어가 형성된 출력 축 결합부(51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입력요크(410)의 후방에 형성된 입력 축 결합부(411)의 길이(A)는 상기 출력요크(510)의 후방에 형성된 출력 축 결합부(511)의 길이(a)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전·후방몸체(100,200)의 회전 각은 중앙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좌·우 양쪽으로 각각 75° 이하 회전되게 형성된다.
또 상기 전·후방몸체(100,200) 중 어느 일 측의 몸체 하부 양측에는 타 측의 몸체 회전 각을 조절하는 회전각도조절수단(800)이 설치되고, 그 회전각도조절수단(800)은 상기 전·후방몸체 중 어느 일 측의 몸체 하부 양측에 각각의 스토퍼(810)가 설치되고, 그 스토퍼의 선단에는 내측에 설치된 힌지 축(820)의 매개로 회전되는 회전체(830)가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와 회전체에는 회전체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수단(84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840)은 회전체 또는 스토퍼 중 어느 일 측에 일정 간격으로 관통 홀(841)이 형성되고, 타 측에 상기 관통 홀과 부합되는 체결 홀(842)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 홀 및 체결 홀의 인접 위치에는 관통 홀과 체결 홀을 관통하는 고정하는 고정부재(843))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수단(840)은 복수 개 형성된다.
또 상기 "+" 자형 베어링(600)에서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410,510)와 체결되는 입력 및 출력요크체결 축(620)의 외경(t)은 연결요크(700)와 체결되는 연결요크체결 축(610)의 외경(T)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농기계 작업기의 연결장치는 상기 목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트랙터와 작업기를 연결하는 연결장치의 회전각 크기를 크게 하여 크게 하여 도로에서 경작지로의 진출입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논이나 밭(경작지)의 코너부분 깊숙이까지 작업할 수 있도록 하여 수작업 면적을 최소화고, 또 연결장치의 회전각 크기를 크게 한 상태에서도 트랙터의 동력을 작업기로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음은 물론, 연결장치의 회전각 크기를 크게 한 상태에서도 트랙터가 작업기를 견인하는데 무리가 없도록 함과 동시에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제1실시 예의 농기계 작업기의 연결장치 사시도,
도 2는 종래 제2실시 예의 농기계 작업기의 연결장치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농기계 작업기의 연결장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농기계 작업기의 연결장치에서 동력전달장치 발췌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농기계 작업기의 연결장치에서 동력전달장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농기계 작업기의 연결장치에서 동력전달장치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농기계 작업기의 연결장치에서 동력전달장치 분해 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자형 베어링 사시도 및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농기계 작업기의 연결장치 회전각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농기계 작업기의 연결장치에서 회전각도조절수단 설명하기 위한 발췌 사시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과 종래의 입력 및 출력요크 회전각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작용도.
본 발명의 농기계 작업기의 연결장치는 트랙터와 작업기를 안전하고 견고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트랙터의 동력을 작업기로 안전하게 전달하고, 또 연결장치의 회전각을 크게 하여 논이나 밭의 코너부분 깊숙이까지 작업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다 음-
농기계 작업기의 연결장치 일반적인 기본 구성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랙터 쪽에 위치하는 전방몸체(100)와, 작업기 쪽에 위치하는 후방몸체(200)와, 상기 각 몸체의 상·하부 중앙부에 중심 핀(310)을 매개로 상기 각 몸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여 된 관절부(300)와, 상기 전방몸체의 일측을 관통하며 전방몸체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선단에 입력요크(410)가 구비된 입력 축(400)과, 상기 후방몸체의 일측을 관통하며 후방몸체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선단에 출력요크(510)가 구비된 출력 축(500)과, 상기 각 요크의 사이에 위치하여 "+"자형 베어링(600)을 매개로 상기 각 요크를 연결 설치하여 된 연결요크(700)로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은 일반적인 구성임으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인 연결장치의 회전각 즉 입력 및 출력요크(410,510) 그리고 전방몸체(100)와 후방몸체(200)의 회전각을 크게 하기 위한 구성을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 자형 베어링(600)에서 연결요크(700)와 체결되는 연결요크체결 축(610)의 길이(L)는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 및 출력요크(410,510)와 체결되는 각각의 입력 및 출력요크체결 축(620)의 길이(l)보다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410,510)의 선단부 외경(R)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요크(700)의 입구 내경(r)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410,510)가 회전될 때에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410,510)의 선단부 일부가 상기 연결요크(700)의 내측 입구에 수용된 상태로 마찰 없이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의 구성에서 상기 연결요크(700)와 체결되는 연결요크체결 축(610)의 길이(L)를 입력 및 출력요크(410,510)와 체결되는 각각의 입력 및 출력요크체결 축(620)의 길이(l)보다 길게 형성시킨 이유는, 입력 및 출력요크(410,510)가 연결요크(700)와 "+" 자형 베어링(600)을 매개로 연결 설치된 상태에서 회전될 때에 입력 및 출력요크(410,510)의 선단부 일부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요크(700)의 입구에 수용된 상태로 회전되어 입력 및 출력요크(410,510)의 회전량을 많게 함으로써 입력 및 출력요크(410,510)의 회전 각을 크게 하여 그에 따른 전·후방몸체(100,200)의 회전 각을 크게(중앙선의 기준으로 좌우양쪽 각각 75°이하)하기 위함이다. (도 9참조)
상기와 같이 전·후방몸체(100,200)의 회전 각이 크게 되면 본 발명의 연결장치에 연결 설치된 작업기가 논이나 밭의 코너부분 깊숙이까지 작업할 수 있어 논이나 밭의 작업하지 못한 잔여부분을 최소화시킴으로 추후 사람이 별도로 작업을 해야하는 양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입력 및 출력요크(410,510)의 선단부 일부가 상기 연결요크(700)의 입구에 수용된 상태로 회전되어 회전각을 크게((중앙선의 기준으로 좌우 양쪽 각각 75°이하) 할 수 있었던 것은, "+" 자형 베어링(600)에서 연결요크(700)와 체결되는 연결요크체결 축(610)의 길이(L)를 입력 및 출력요크(410,510)와 체결되는 각각의 입력 및 출력요크체결 축(620)의 길이(l)보다 길게 형성시키고 또 각 입력 및 출력요크(410,510)의 선단부 외경(R)을 연결요크(700)의 입구 내경(r)보다 작게 형성시켰기 때문에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입력 및 출력요크(410,510)의 회전각이 종래 입력 및 출력요크(410,510)의 회전각보다 큰 이유를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이고, 도 11b는 종래 실시 예로써,
먼저 도 11a를 설명하면 입력 및 출력요크(410,510)의 선단부 외경(R)이 연결요크(700)의 입구 내경(r)보다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입력 및 출력요크(410,510)가 회전되면서 선단부 일부가 연결요크(700)에 수용되어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입력 및 출력요크(410,510)의 회전량을 그만큼 많아지고 그에 따라 회전각은 커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 및 출력요크(410,510)의 선단부 외경(R)과 연결요크(700)의 입구 내경(r)의 크기가 유사하여 상기 입력 및 출력요크(410,510)가 회전하면서 연결요크(700) 내부에 수용되지 못하고 입력 및 출력요크(410,510)의 외부와 연결요크(700)의 단부 간에 적은 양을 회전한 상태에서 접촉이 빨리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접촉시점에서 회전이 중지되어 회전량이 적어지고 그에 따라 회전각도 좁아진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연결요크(700)는 중앙에 링부(710)가 형성되고, 그 링부의 양측에는 링부(710)와 일체로 한 쌍의 체결구(720)가 상호 마주보도록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링부(710)의 내주면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측 입구에서 내측 중앙부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됨으로써 입력 및 출력요크(410,510)가 회전될 때에 입력 및 출력요크(410,510) 선단이 연결요크(700)의 링부(710) 내부에서 마찰이 이루어지지 않고 원할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상기 입력요크(410) 전방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요크체결 축(620)을 체결하는 한 쌍의 입력요크 축 체결부(412)가 상호 마주보게 형성되고 후방에는 전방에 스플라인 기어가 형성된 입력 축(400)이 결합 되도록 내주 면에 스플라인 기어가 형성된 입력 축 결합부(411)가 형성되며,
상기 출력요크(510)의 전방에는 출력요크체결 축(620)을 체결하는 한 쌍의 출력요크 축 체결부(512)가 상호 마주보게 형성되고 후방에는 전방에 스플라인 기어가 형성된 출력 축(500)이 결합 되도록 내주 면에 스플라인 기어가 형성된 출력 축 결합부(511)가 형성되어 상기 입력 및 출력 축(400,500)이 입력 및 출력 축 결합부(411,511)에 각각 끼워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 이동 가능하다.
단 상기 입력 및 출력 축(400,500)과 입력 및 출력 축 결합부(411,511)에 형성된 스플라인 기어 대신에 입력 및 출력 축(400,500)의 전방을 4각 이상의 다각형으로 형성시키고 입력 및 출력 축 결합부(411,511)에도 상기 다각형의 각 축과 부합하는 다각형의 결합부를 형성시켜 사해도 된다.
한편, 상기 입력요크(410)의 후방에 형성된 입력 축 결합부(411)의 길이(A)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출력요크(510)의 후방에 형성된 출력 축 결합부(511)의 길이(a)보다 길게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전방몸체(100) 및 후방몸체(200)의 회전 즉 입력 및 출력요크(410,510)의 회전에 따라 트랙터와 연결장치 또는 연결장치와 작업기 간에 약간씩 거리가 변동하게 되는데 이때 그 거리를 입력 및 출력 축(400,500)이 입력 및 출력 축 결합부(411,511) 내에서 전·후진 이동 하면서 거리를 보상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입력 축(400)은 입력 축 결합부(411)에 끼워 결합 후 고정하지 않고 입력 축(400)이 입력 축 결합부(411)에서 전·후진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출력 축(500)은 출력 축 결합부(511)에 끼워 결합한 후 고정피스로 고정하여 출력 축(500)이 출력 축 결합부(511)에서 전·후진할 수 없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방향전환 즉 회전은 주로 트랙터에서 이루어져 입력 축(400)을 통하여 입력요크(410)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트랙터와 입력요크(410) 간의 거리 변화가 발생함으로 그 변화가 발생한 거리를 보상해야 하고, 출력요크(510)와 결합된 출력 축(500)과 연결된 작업기는 트랙터에 의해 끌려가는 형태임으로 출력요크(510)와 작업기 간의 거리 변화가 발생하지 않음으로 출력요크(510)와 출력 축(500)은 고정해도 된다.
상기 입력 및 출력요크(410,510)의 회전에 따른 전방몸체(100) 및 후방몸체(200)의 최대 회전 각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선을 중심으로 75° 이하가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75° 초과하면 트랙터의 동력절단이 본 발명의 연결장치를 통하여 작업기로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전·후방몸체(100,200) 중 어느 일 측의 몸체 하부 양측에는 도 3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 측의 몸체 회전 각을 조절하는 회전각도조절수단(800)이 설치되어 전방몸체(100) 및 후방몸체(200)의 회전 각을 목적하는 각도 범위 내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의 회전각도조절수단(800)은 상기 전·후방몸체(100,200) 중 어느 일 측의 몸체 하부 양측에 각각의 스토퍼(810)가 설치되고, 그 스토퍼(810)의 선단에는 내측에 설치된 힌지 축(820)의 매개로 회전되는 회전체(830)가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810)와 회전체(830)에는 회전체(830)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수단(840)이 구비된다.
단 회전체(830)의 형상은 스토퍼(810) 전방 일부를 수용하는 형태의 "ㄷ"자 형태로 함이 바람직하나 그 외에도 스토퍼(810)와 회전체(830) 간에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면 모두 가능하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840)은 회전체(830) 또는 스토퍼(810) 중 어느 일 측에 일정 간격으로 관통 홀(841)이 형성되고, 타 측에 상기 관통 홀(841)과 부합되는 체결 홀(842)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 홀 및 체결 홀의 인접 위치에는 관통 홀과 체결 홀을 관통하며 고정하는 고정부재(843)가 구비되어 스토퍼(810)로부터 회전체(830)의 위치를 조절한 다음 고정부재(843)로 고정하면 된다.
상기 고정수단(840)은 복수열로 형성시켜 견고함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 자형 베어링(600)에서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410,510)와 체결되는 입력 및 출력요크체결 축(620)의 외경(t)은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요크(700)와 체결되는 연결요크체결 축(610)의 외경(T)보다 크게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410,510)와 연결요크(700)가 체결된 상태에서 입력 및 출력 축(400,50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하고 전달받기 위한 입력 및 출력요크(410,510)의 회전 그리고 각도 변환이 수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회전 그리고 각도 변환이 수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입력 및 출력요크체결 축(620)에 부하가 더 걸리게 된다.
따라서 입력 및 출력요크(410,510)와 체결되는 입력 및 출력요크체결 축(620)의 외경(t)이 연결요크체결 축(610)의 외경(T)보다 크게 하여 부하에 견딜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농기계 작업기의 연결장치는 트랙터와 작업기를 연결하는 연결장치의 회전각 크기를 크게 하여 크게 하여 도로에서 경작지로의 진출입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논이나 밭(경작지)의 코너부분 깊숙이까지 작업할 수 있도록 하여 수작업 면적을 최소화고, 또 연결장치의 회전각 크기를 크게 한 상태에서도 트랙터의 동력을 작업기로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음은 물론, 연결장치의 회전각 크기를 크게 한 상태에서도 트랙터가 작업기를 견인하는데 무리가 없도록 함과 동시에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100 : 전방몸체 200 : 후방몸체
300 : 관절부 310 : 중심 핀
400 : 입력 축 410 : 입력요크
411 : 입력 축 결합부 412 : 입력요크 축 체결부
500 : 출력 축 510 : 출력요크
511 : 출력 축 결합부 512 : 출력요크 축 체결부
600 : "+"자형 베어링 610 : 연결요크체결 축
620 : 입력 및 출력요크체결 축
700 : 연결요크 710 : 링부
720 : 체결구 800 : 회전각도조절수단
810 : 스토퍼 820 : 힌지 축
830 : 회전체 840 : 고정수단
841 : 관통 홀 842 : 체결 홀
843 : 고정부재
A : 입력 축 결합부의 길이 a : 출력 축 결합부의 길이
L : 연결요크체결 축의 길이 l : 입력 및 출력요크체결 축의 길이
R : 입력 및 출력요크의 선단부 외경 r : 연결요크의 입구 내경
T : 연결요크체결 축의 외경 t : 입력 및 출력요크체결 축의 외경

Claims (10)

  1. 입력요크(410)가 설치된 입력 축(400)이 관통 설치되는 전방몸체(100)와, 출력요크(510)가 설치된 출력 축(500)이 관통 설치되는 후방몸체(200)의 상·하부 중앙부를 중심 핀(310)을 매개로 회전되게 설치하여 된 관절부(300)와, "+"자형 베어링(600)을 매개로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와 연결요크(700)를 연결 설치하여 된 농기계 작업기의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 자형 베어링(600)에서 연결요크(700)와 체결되는 연결요크체결 축(610)의 길이(L)는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410,510)와 체결되는 입력 및 출력요크체결 축(620)의 길이(l)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410,510)의 선단부 외경(R)은 연결요크(700)의 입구 내경(r)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가 회전될 때에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의 선단부 일부가 상기 연결요크의 내측 입구에 수용된 상태로 마찰 없이 용이하게 회전됨과 동시에 회전각을 크게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작업기의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요크(700)는 중앙에 링부(710)가 형성되고, 그 링부의 양측에는 링부와 일체로 한 쌍의 체결구(720)가 상호 마주보도록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링부의 내주면은 양측 입구에서 내측 중앙부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작업기의 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요크(410)의 전방에는 입력요크체결 축(620)을 체결하는 한 쌍의 입력요크 축 체결부(412)가 상호 마주보게 형성되고 후방에는 입력 축(400)이 결합 되도록 내주 면에 스플라인 기어가 형성된 입력 축 결합부(411)가 형성되며,
    상기 출력요크(510)의 전방에는 출력요크체결 축(620)을 체결하는 한 쌍의 출력요크 축 체결부(512)가 상호 마주보게 형성되고 후방에는 출력 축(500)이 결합 되도록 내주 면에 스플라인 기어가 형성된 출력 축 결합부(5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작업기의 연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요크(410)의 후방에 형성된 입력 축 결합부(411)의 길이(A)는 상기 출력요크(510)의 후방에 형성된 출력 축 결합부(511)의 길이(a)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작업기의 연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몸체(100,200)의 회전 각은 중앙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좌·우 양쪽으로 각각 75° 이하 회전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작업기의 연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몸체(100,200) 중 어느 일 측의 몸체 하부 양측에는 타 측의 몸체 회전 각을 조절하는 회전각도조절수단(80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작업기의 연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도조절수단(800)은 상기 전·후방몸체 중 어느 일 측의 몸체 하부 양측에 각각의 스토퍼(810)가 설치되고, 그 스토퍼의 선단에는 내측에 설치된 힌지 축(820)의 매개로 회전되는 회전체(830)가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와 회전체에는 회전체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수단(840)이 구비된 것을 농기계 작업기의 연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840)은 회전체 또는 스토퍼 중 어느 일 측에 일정 간격으로 관통 홀(841)이 형성되고, 타 측에 상기 관통 홀과 부합되는 체결 홀(842)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 홀 및 체결 홀의 인접 위치에는 관통 홀과 체결 홀을 관통하는 고정하는 고정부재(84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작업기의 연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840)은 복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작업기의 연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 자형 베어링(600)에서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410,510)와 체결되는 입력 및 출력요크체결 축(620)의 외경(t)은 연결요크(700)와 체결되는 연결요크체결 축(610)의 외경(T)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작업기의 연결장치.
KR1020170122076A 2017-09-21 2017-09-21 농기계 작업기의 연결장치 KR101828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076A KR101828008B1 (ko) 2017-09-21 2017-09-21 농기계 작업기의 연결장치
PCT/KR2017/014162 WO2019059457A1 (ko) 2017-09-21 2017-12-05 농기계 작업기의 연결장치
US16/314,303 US11162540B2 (en) 2017-09-21 2017-12-05 Connection device for agricultural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076A KR101828008B1 (ko) 2017-09-21 2017-09-21 농기계 작업기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8008B1 true KR101828008B1 (ko) 2018-02-09

Family

ID=61198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076A KR101828008B1 (ko) 2017-09-21 2017-09-21 농기계 작업기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162540B2 (ko)
KR (1) KR101828008B1 (ko)
WO (1) WO2019059457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1820B1 (ko) 2022-08-17 2023-01-27 김승옥 유니버셜조인트
US11622495B2 (en) 2021-06-01 2023-04-11 Gint Co., Ltd. Method of automatically combining farm vehicle and work machine and farm vehicle
KR20230073578A (ko) 2021-11-19 2023-05-26 주식회사 성부 작업기 연결유닛
KR102559340B1 (ko) * 2022-07-28 2023-07-26 주식회사 해동에이지케이 농기계의 동력 전달장치
KR102597614B1 (ko) * 2023-05-19 2023-11-03 주식회사 해동에이지케이 농기계와 작업기의 동력 전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77493B2 (ja) * 2019-12-12 2022-11-24 松山株式会社 カバー装置及び作業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046U (ko) * 1999-03-11 2000-10-05 김형도 농사용 작업기 연결장치
KR20080056437A (ko) * 2006-12-18 2008-06-23 임순자 트랙터 작업기용 견인 굴절 조인트
KR20090007111U (ko) * 2009-06-22 2009-07-13 서경진 트랙터용 작업기 견인링크장치
KR20110005871U (ko) * 2009-12-07 2011-06-15 주식회사 아세아텍 측방회동이 가능한 베일러
KR101401024B1 (ko) * 2014-02-26 2014-05-29 서경진 안전커버가 설치된 트랙터와 작업기 연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6592A (en) * 1904-11-05 1905-12-05 Clarence W Spicer Power-transmitting device.
US1455493A (en) * 1922-07-17 1923-05-15 Noah O John Drawbar and power attachment for tractors
DE1117950C2 (de) * 1957-12-07 1962-05-24 Friedrich Moertl Führung eines kardanischen Doppelgelenkes
JPH0730796B2 (ja) * 1989-05-24 1995-04-10 株式会社タカキタ 農業機械用継手
KR101070635B1 (ko) * 2011-05-24 2011-10-07 한국델파이주식회사 등속조인트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046U (ko) * 1999-03-11 2000-10-05 김형도 농사용 작업기 연결장치
KR20080056437A (ko) * 2006-12-18 2008-06-23 임순자 트랙터 작업기용 견인 굴절 조인트
KR20090007111U (ko) * 2009-06-22 2009-07-13 서경진 트랙터용 작업기 견인링크장치
KR20110005871U (ko) * 2009-12-07 2011-06-15 주식회사 아세아텍 측방회동이 가능한 베일러
KR101401024B1 (ko) * 2014-02-26 2014-05-29 서경진 안전커버가 설치된 트랙터와 작업기 연결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22495B2 (en) 2021-06-01 2023-04-11 Gint Co., Ltd. Method of automatically combining farm vehicle and work machine and farm vehicle
US11785874B2 (en) 2021-06-01 2023-10-17 Gint Co., Ltd. Method of automatically combining farm vehicle and work machine and farm vehicle
US11877526B2 (en) 2021-06-01 2024-01-23 Gint Co., Ltd. Method of automatically combining farm vehicle and work machine and farm vehicle
US11910737B2 (en) 2021-06-01 2024-02-27 Gint Co., Ltd. Method of automatically combining farm vehicle and work machine and farm vehicle
US12052940B2 (en) 2021-06-01 2024-08-06 Gint Co., Ltd. Method of automatically combining farm vehicle and work machine and farm vehicle
KR20230073578A (ko) 2021-11-19 2023-05-26 주식회사 성부 작업기 연결유닛
KR102559340B1 (ko) * 2022-07-28 2023-07-26 주식회사 해동에이지케이 농기계의 동력 전달장치
KR102491820B1 (ko) 2022-08-17 2023-01-27 김승옥 유니버셜조인트
KR102597614B1 (ko) * 2023-05-19 2023-11-03 주식회사 해동에이지케이 농기계와 작업기의 동력 전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59457A1 (ko) 2019-03-28
US20210222738A1 (en) 2021-07-22
US11162540B2 (en) 202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008B1 (ko) 농기계 작업기의 연결장치
US3122901A (en) Untversal joint assembly
US10507863B2 (en) Drive unit for vehicle steering
EP2055169A3 (en) Drive system for an agricultural machine with a floating work tool
KR20160109405A (ko) 위치 가변형 작업기 결속구를 구비한 트랙터 연결장치
KR100305185B1 (ko) 복토기
US9995345B2 (en) Cardan drive
US4838108A (en) Bevel gear angle drive
KR101965617B1 (ko) 관리기용 동력 전달 모듈 및 이를 갖는 관리기
US5099937A (en) Swivel hitch with reorientable lower gearbox
KR101612874B1 (ko) 동력전달장치
KR102351501B1 (ko) 폴더형 로터베이터의 폴딩장치
US20170191531A1 (en) Coupling shafts in axial alignment
WO2017056591A1 (ja) 耕耘機における耕耘爪の配列構造
KR102597614B1 (ko) 농기계와 작업기의 동력 전달장치
KR101521760B1 (ko) 농기계용 로터리
KR101093727B1 (ko) 중공축형 모터와 하모닉 드라이브를 이용하여 동일 축 상에 구동 축을 일체화한 다축 구동 장치
JP3990973B2 (ja) 部分正逆転ロータリ装置
KR102686263B1 (ko) 농기계용 동력 연결장치의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
KR102491820B1 (ko) 유니버셜조인트
JP6484153B2 (ja) 耕耘機における耕耘爪の配列構造
KR20110040612A (ko) 농기계용 멀티샤프트
JPH0416961Y2 (ko)
JP6580442B2 (ja) 耕耘機における耕耘爪の配列構造
JPH11196608A (ja) 多連式作業機の条合わせ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