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9405A - 위치 가변형 작업기 결속구를 구비한 트랙터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위치 가변형 작업기 결속구를 구비한 트랙터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9405A
KR20160109405A KR1020150033741A KR20150033741A KR20160109405A KR 20160109405 A KR20160109405 A KR 20160109405A KR 1020150033741 A KR1020150033741 A KR 1020150033741A KR 20150033741 A KR20150033741 A KR 20150033741A KR 20160109405 A KR20160109405 A KR 20160109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tractor
shaft
working machin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0173B1 (ko
Inventor
이리중
Original Assignee
이리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리중 filed Critical 이리중
Priority to KR1020150033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0173B1/ko
Publication of KR20160109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1/00Devices for, or part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preventing overstrain
    • A01B61/02Devices for, or part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preventing overstrain of the coupling devices between tractor and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1/00Devices for, or part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preventing overstrain
    • A01B61/02Devices for, or part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preventing overstrain of the coupling devices between tractor and machine
    • A01B61/025Devices for, or part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preventing overstrain of the coupling devices between tractor and machine the driving connec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가변형 작업기 결속구를 구비한 트랙터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트랙터의 동력을 작업기에 전달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기의 종류 및 제조사에 따른 형태, 구조 및 간격 등이 상이하더라도 작업자가 트랙터에 착석한 채로 작업기를 트랙터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작업기 결속구의 위치를 작업기 구동축의 위치에 대응하여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가변형 작업기 결속구를 구비한 트랙터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위치 가변형 작업기 결속구를 구비한 트랙터 연결장치{Tractor connect a device with a position variable working machine solidarity device}
본 발명은 위치 가변형 작업기 결속구를 구비한 트랙터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트랙터의 동력을 작업기에 전달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기의 종류 및 제조사에 따른 형태, 구조 및 간격 등이 상이하더라도 작업자가 트랙터에 착석한 채로 작업기를 트랙터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작업기 결속구의 위치를 작업기 구동축의 위치에 대응하여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가변형 작업기 결속구를 구비한 트랙터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가에서는 차체, 엔진, 동력전달장치, 주행장치, 동력취출장치, 작업기 연결장치, 유압장치 및 전기장치로 이루어진 트랙터의 후방에 플라우(Plow), 해로우(Harrow), 로터베이터 등의 작업기를 부착하여 경운, 쇄토작업, 병충해방제, 양수 및 탈곡 등 각종 농작업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작업기는 전방에 별도의 작업기 연결부가 구비되어 트랙터의 후방에 결합된 상부링크, 상기 상부링크의 양측 하부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좌우 리프트로드 및 좌우 리프트로드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하부링크로 이루어진 트랙터 연결부에 의하여 3점 히치로 결합되어지고, 작업기의 구동축은 동력취출장치(PTO:Power Take Off)에 결합되어 구동된다.
그러나, 트랙터에 작업기를 결합시키기 위해 구비된 상부링크, 좌우 리프트로드 및 하부링크로 이루어진 트랙터 연결부와 작업기에 결합된 작업기 연결부의 형태와 구조 및 간격이 제조사별로 상이함으로써, A사의 트랙터에 B사의 작업기를 결합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작업자가 A사의 트랙터를 보유하고 있을 경우, A사에서 지정해주는 작업기만 사용할 뿐 B사의 다른 작업기를 사용할 수 있는 호환성이 없어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트랙터와 작업기를 동일한 A사로 구비한다 하더라도 작업기의 종류에 따라 작업기 연결부의 형태와 구조 및 간격이 모두 상이함으로써, 즉, 경운, 두둑 및 고랑을 만드는 휴립, 파종, 표면을 얕게 갈아 잡초를 없애는 중경제초 등의 연이은 작업이 이루어지게 될 경우, 하나의 트랙터에 쟁기 작업기, 회전경운 작업기, 배토 작업기, 파종 작업기 및 중경체조 작업기 등을 신속하게 결합시키지 못해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은 다년간에 걸쳐 수 많은 연구와 실험을 거듭한 결과의 산출물로 특허출원 10-2014-0093310 및 10-2014-0093363을 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출원한 기술이 상기 문제는 해결할 수 있으나, 상기 출원 또한 작업기(W)의 종류별로 상이한 구동축의 위치를 동축화시키기 위하여 작업기 결속구(200)와 작업기 구동축을 유니버셜조인트로 연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유니버셜조인트를 사용하여 작업기 결속구(200)와 작업기 구동축을 동축화시켜 트랙터의 PTO축에서 나오는 구동력을 전달할 경우, 유니버셜조인트의 구조적 특성상 마찰저항, 축방향의 부하에 대한 강성에 취약하여 오프로드(Off-Road)작업이 대부분인 농작업에서는 문제점을 갖고 있으므로 유니버셜조인트의 사용을 최소화할 필요성이 있다.
한편, 작업기 구동축의 연결에 유니버셜조인트를 배제한 다른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743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9252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7431호에 개시된 결속구는 트랙터 PTO축에 연결되는 조인트축 고정부와 작업기 구동축을 연결하는 연장조인트축을 숫스플라인을 통해 연결되도록 하여, 피동가이드축(374)의 피동암스플라인(375)에 작업기(W)의 구동축이 유니버셜조인트 없이 바로 연결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행특허문헌의 경우, 트랙터 PTO축에 연결되는 조인트축 고정부의 숫스플라인과 작업기 구동축을 연결하는 연장조인트축이 동축인 경우에 만, 즉, 일직선상에 놓이는 경우에만 작업자가 트랙터에 앉은 채로 유압실린더의 조작으로 작업기의 연결이 가능하므로, 이를 맞추기 위하여 작업자는 작업기 종류마다 수작업으로 수직지지프레임(320)과 수평결합편(350)을 볼트조절하여 세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여기서 상기 번거로움 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도 상기 수직지지프레임(320)의 고정관통홀(321)과 수평결합편(350)의 가변관통홀(351)의 간격이 다양한 종류의 작업기 구동축 높이를 반영하지 못하므로 상기 트랙터 PTO축과 상기 작업기 구동축의 동축화를 정확하게 구현하지 못함에 따라 내구성 저하의 문제가 있고, 아울러 축간 연결이 스플라인을 통해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기 구동축을 연결하는 연장조인트축을 상기 숫스플라인을 통해 탈부착할 경우 스플라인의 이가 쉽게 마모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87170호에 개시된 연결장치는 톱 링크 하단에 마련된 좌우 한쌍의 로아 링크의 후단에 연결 장치가 연결되어 있고, 그 연결 장치에 로터리 작업기가 착탈자재 및 승강자재에 연결되고 있으며, 트랙터 본체의 PTO축과 로터리 작업기의 입력축이 요크 조인트(joint)를 통해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어, 작업자가 트랙터에 앉은 채로 유압실린더를 조작하여 작업기를 트랙터에 연결하고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행특허문헌의 경우 역시, 트랙터 PTO축을 연결하는 연결구와 작업기 구동축이 동축인 경우, 즉, 일직선상에 놓이는 경우에만 작업기의 연결이 가능하므로 동축이 아닌 작업기의 경우 별도의 동축화 작업 도는 유버셜조인트의 사용 없이는 동력전달이 불가능하며, 또한 축간 연결이 스플라인을 통해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기 구동축을 탈부착할 경우 스플라인의 이가 쉽게 마모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743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925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7431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8717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가변형 작업기 결속구를 구비한 트랙터 연결장치는 농작업 종류별로 트랙터(T)에 작업기(W)를 바꿔가며 결속하는 과정에서 작업기(W)의 기종에 따라 매번 트랙터 본체의 PTO축과 작업기의 구동축을 동축으로 조절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기의 종류 및 제조사에 따른 형태, 구조 및 간격 등이 상이하더라도 작업자가 트랙터에 착석한 채로 작업기를 트랙터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하되,
작업기에 연결된 작업기 결속구를 작업기 구동축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작업기 구동축에 유니버셜조인트의 채택을 배제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작업자가 트랙터에 착석한 채로 작업기를 트랙터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속축 언로킹부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비용의 절감하는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가변형 작업기 결속구를 구비한 트랙터 연결장치는 트랙터와 작업기를 결속하는 트랙터 연결장치에 있어서, 트랙터 후방에 연결되는 트랙터 결속구(100), 작업기 전방에 마련되는 작업기 결속구(200) 및 트랙터의 PTO의 동력을 작업기의 구동축에 전달하는 조인트축 고정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작업기 결속구(200)에는 작업기 구동축과 조인트축 고정부(300)를 동축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작업기 결속구(200)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작업기 결속구 위치조절 수단(K)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랙터 결속구(100)는 결속 프레임(110), 상기 결속 프레임(110)의 상부 중앙에 형성된 걸림후크(120), 상기 걸림후크(120)의 맞은편에 형성된 유압실린더 연결부(140), 상기 트랙터 결속 프레임(110)의 하부 외측에 형성된 하부링크 연결부(160), 상기 트랙터 결속 프레임(110)의 내부에 형성된 조인트고정부 설치브라켓(180) 및 상기 트랙터 결속 프레임(110) 저부에 형성된 견인브라켓(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기 결속구(200)는 작업기 결속프레임(210), 상기 작업기 결속프레임(210)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어 걸림축(221) 및 상부 결속핀(P-3)을 구비하는 상부브라켓(220), 상기 작업기 결속 프레임(210)의 하부에 형성된 작업기 결속프레임 가로빔(250), 상기 작업기 결속 프레임(210)의 내부에 형성된 결속축(230), 상기 상부브라켓(220)에 형성된 상부 결속핀(P-3) 및 작업기에 형성된 하부 결속핀(P-4)에 연결된 작업기 상부링크(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기 상부링크(240)는 상부 결속핀(P-3) 연결부(241), 연결축(242), 위치고정너트(243) 및 하부 결속핀(P-4) 연결부(244)로 구성되되, 상기 연결부(241)는 상기 상부 결속핀(P-3)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축(242)은 상부 결속핀(P-3) 연결부(241)에 연장되어 하부 결속핀(P-4) 연결부(244) 내부에 나사결합되도록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고정너트(243)는 상기 연결축(242) 외경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244)는 하부 결속핀(P-4)에 힌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기 결속구 위치조절 수단(K)은 작업기 결속구(200)에 연결된 폭조절간격체(260) 및 작업기 브라켓(WBR)에 연결된 높이조절간격체(2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기 결속구 위치조절 수단(K)은 작업기 결속구(200)에 연결된 폭조절간격체(260) 및 작업기 브라켓(WBR)에 연결된 높이조절간격체(270)를 포함하되, 상기 폭조절간격체(260)는 작업기 결속 프레임(210)을 관통하여 결속축(230)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도록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축(261), 상기 연결축(261)의 외경에 결합되는 위치고정너트(262), 및 상기 연결축(261)에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간격체(270)가 나사결합되도록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의 연결링크(2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기 결속구 위치조절 수단(K)은 작업기 결속구(200)에 연결된 폭조절간격체(260) 및 작업기 브라켓(WBR)에 연결된 높이조절간격체(270)를 포함하되, 상기 높이조절간격체(270)는 작업기 브라켓(WBR)에 삽입된 삽입핀(271), 상기 삽입핀(271)에 핀 연결된 삽입링크(272), 상기 삽입링크(272)에 연결되고 폭조절간격체(260)의 연결링크(263)를 관통하면서 나사결합도록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축(273), 상기 연결축(273)에 외경에 결합되되 상기 삽입링크(272)와 상기 연결링크(263) 사이에 위치하는 하부위치고정너트(274), 상기 연결축(273)에 외경에 결합되되 상기 연결링크(263)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위치고정너트(27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인트축 고정부(300)는 트랙터 조인트축 고정부(310)와 작업기 조인트축 고정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인트축 고정부(300)는 트랙터 조인트축 고정부(310)와 작업기 조인트축 고정부(320)를 포함하되, 상기 트랙터 조인트축 고정부(310)는 트랙터(T)의 PTO와 연결되는 PTO 유니버셜조인트(311), 상기 PTO 유니버셜조인트(311)에 연결되어 트랙터 결속 프레임(110)의 조인트고정부 설치브라켓(180)을 관통하는 PTO 커플링축(313), 상기 커플링축(313)을 지지하기 위하여 조인트고정부 설치브라켓(180) 내부에 설치된 PTO 커플링축 베어링세트(315), 상기 커플링축(313)의 말단에 형성된 PTO 결속구 기어커플링(3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기 조인트축 고정부(320)는 작업기의 구동축과 스플라인 결합되는 결합부(321), 상기 결합부(321)에 연장되어 상기 PTO 결속구 기어커플링(317)에 대응되는 구조를 갖는 작업기 결속구 기어커플링(32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랙터 연결장치는 작업자가 트랙터의 좌석에 착석한 상태로 트랙터 결속구(100)와 작업기 결속구(200)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결속축 언로킹부(50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속편(130)에 힌지 연결되어 작업자가 트랙터의 좌석에 착석한 상태로 트랙터 결속구(100)와 작업기 결속구(200)의 결합상태를 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결속축 언로킹부(500)를 더 구비하되, 상기 결속축 언로킹부(500)는 트랙터 좌석에서 작동 가능한 핸들(510), 상기 핸들에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편(520), 상기 연결편(520)에 연장되어 상기 결속편(130)에 결합핀(530)으로 핀 연결되는 제1 구속편(540), 상기 연결편(520)에 형성된 수평바(550) 및 상기 수평바(550)에 연장되어 상기 결속편(130)에 결합핀(530)으로 핀 연결되는 제2 구속편(5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가변형 작업기 결속구를 구비한 트랙터 연결장치는 쟁기, 회전경윤기, 배토기, 파종기, 중경제초기, 비료살포기, 붐스프레이, 트레일러 등 작업기의 종류 및 제조사에 따른 형태, 구조 및 간격 등이 상이하더라도 작업기에 연결된 작업기 결속구를 작업기 구동축의 위치에 대응하여 위치가 가변되도록 하므로서 작업자는 트랙터에 착석한 채로 작업기를 트랙터에 탈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지닌다.
농작업 종류별로 트랙터(T)에 작업기(W)를 바꿔가며 결속하는 과정에서 작업기(W)의 기종에 따라 매번 트랙터 본체의 PTO축과 작업기의 구동축을 동축으로 조절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한 것으로서, 트랙터(T)의 후방에 미리 결합된 트랙터 결속구(100)에 작업기(W)의 전방에 미리 결합된 작업기 결속구(200)가 조인트축 고정부(300)에 의해 원터치식으로 결합되게 구성되어 있다.
첫째, 작업기의 구동축 위치가 기종별로 상이하더라도, 즉 트랙터의 PTO축과 작업기의 구동축이 동일축선상에 위치하지 않더라도 유니버셜조인트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기의 내구성 및 동력전달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유니버셜조인트를 생략하므로 인해 작업기 결속구와 작업기와의 간격이 짧아져 트랙터 결속구와의 결합시 작업기에 발생하는 굽힘모멘트가 줄어들어 작업기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작업자가 트랙터에 착석한 채로 작업기를 트랙터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속축 언로킹부에 스프링을 배재하므로써, 체결의 안정성을 극대화하고, 농작업의 특성상 진흙이 스프링 코일 사이에 점착되어 체결이 않되는 문제를 해결하므로서 체결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작업기 연결부와 트랙터 연결부의 연결을 트랙터 작업좌석에서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작업자가 연결장치의 체결을 위해 트랙터에서 승차 및 하차 반복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함으로써, 작업능률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PTO에서 작업기로 동력을 전달하는 기존의 스플라인 결합구조를 기어구조로 개선함으로써, 트랙터와 작업기를 빈번히 탈부착하더라도 동력전달에 따른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트랙터의 PTO축과 작업기의 구동축의 동축화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작업기 결속구의 측면도
도 2 및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가변형 작업기 결속구를 구비한 트랙터 연결장치의 트랙터 결속구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가변형 작업기 결속구를 구비한 트랙터 연결장치의 작업기 결속구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가변형 작업기 결속구를 구비한 트랙터 연결장치의 조인트축 고정부 결합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가변형 작업기 결속구를 구비한 트랙터 연결장치의 결속축 언로킹부 부품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가변형 작업기 결속구를 구비한 트랙터 연결장치의 결합 사시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가변형 작업기 결속구를 구비한 트랙터 연결장치는, 농작업 종류별로 트랙터(T)에 작업기(W)를 바꿔가며 결속하는 과정에서 작업기(W)의 기종에 따라 매번 트랙터 본체의 PTO축과 작업기의 구동축을 동축으로 조절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한 것으로서, 트랙터(T)의 후방에 미리 결합된 트랙터 결속구(100)에 작업기(W)의 전방에 미리 결합된 작업기 결속구(200)가 조인트축 고정부(300)에 의해 원터치식으로 결합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작업기의 기종별로 구동축의 위치가 상이하더라도 트랙터의 PTO축과 작업기 구동축의 중심을 맞추기 위한 작업을 별도로 시행하지 않고 상기 중심축이 자동으로 맞춰질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기 트랙터 결속구(100)와 상기 작업기 결속구(200)에 형성된 조인트축 고정부(300)의 중심을 트랙터 결속구(100) 및 작업기 결속구(200)에 동축으로 고정되게 설치해 놓고, 즉, 상기 결속구(100, 200)에 동축으로 설치되는 커플링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고, 상기 기종별로 상이한 작업기 구동축의 위치편차는 작업기 결속구(200)의 위치를 작업기 구동축의 위치에 대응하게 변경하므로써 달성된다.
다시 말해 작업기 구동축과 상기 결속구(100, 200)에 형성된 조인트축 고정부(300)를 동축화함에 있어, 도 1을 참조하면, 작업기의 기종별로 상이한 구동축의 위치를 특허출원 10-2014-93310 및 10-2014-93363에서는 유니버셜조인트(UJ)로 상쇄하던 것을, 본 발명에서는 도 2를 참조하면, 작업기 결속구 위치조절 수단(K)을 통해 작업기 결속구의 위치를 조절하여 작업기 구동축과 조인트축 고정부(300)가 일직선에 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작업기의 종류별로 상이한 구동축의 높낮이를 PTO축과 동축으로 맞추기 위하여, 작업자가 PTO축이 연결된 트랙터 조인트축을 수동으로 위아래 위치이동 시키면서 상쇄시키는 종래기술과 대비하여 볼 때,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을 완전히 달리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종래기술은 작업기마다 가변되는 구동축의 위치편차를 해소하기 위해 작업자가 작업기 기종 교체시 마다 수작업으로 조인트축 고정부를 가변시키는 작업을 실시한 후 트랙터에 착석하여 트랙터에 작업기를 연결하는 작업을 하여야 하나, 본 발명은 작업기에 작업기 결속구(200)의 설치시부터 작업기 구동축의 위치편차를 작업기 결속의 위치를 조절하여 이미 해소하고 있으므로 작업자는 작업기 기종 교체시 트랙터에 착석한 상태로 트랙터에 작업기를 연결하는 작업만 하면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작업자가 경운, 두둑 및 고랑을 만드는 휴립, 파종, 표면을 얕게 갈아 잡초를 없애는 중경제초 등의 연이은 작업 중에도 작업자는 작업기 연결작업을 위해 트랙터에서 하차할 필요가 없는 반면, 종래기술은 작업기 종류별로 구동축의 다양한 높낮이에 맞춰 PTO축이 연결된 트랙터 조인트축을 수동으로 위치이동 시키기 위해 트랙터에서 하차해야 하는 차이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구성간 결합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트랙터 결속구(100)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하부가 개방된 ∩형의 트랙터 결속 프레임(110)의 상부 중앙에 하기할 작업기 결속구(200)의 걸림축(220)이 걸려지도록 하는 걸림후크(120)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후크(120)의 맞은편에는 트랙터의 톱링크(T-1)에 연결된 유압실린더(S)가 유압실린더 결속핀(P-1)에 의해 연결되는 유압실린더 연결부(14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트랙터 결속 프레임(110)의 하부 외측으로 트랙터(T)에 구비된 로워링크(T-2)가 결합되는 트랙터 로워링크(T-2) 결속핀(P-2)이 형성된 하부링크 연결부(160)가 양단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트랙터 결속구(100)는 작업자가 상기 유압실린더(S)를 작동시키면 유압실린더 연결부(140)가 밀리면서 하부링크 연결부(160)가 결속핀(P-2)를 중심으로 힌지운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트랙터 결속 프레임(110)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프레임(110)의 개방된 하부를 폐쇄시키면서 내부공간에는 PTO의 구동력이 작업기(W)로 전달될 수 있게 조인트축 고정부(300)가 고정설치 되는 조인트고정부 설치브라켓(18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인트고정부 설치브라켓(180) 측부로 트랙터 결속 프레임(110)에는 작업기 결속구(200)의 결속축(230)이 걸림 고정되는 결속편(13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결속편(130)에는 하기할 결속축 언로킹부(500)가 힌지 연결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설치브라켓(180)은 상기 언로킹부(15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트랙터 결속 프레임(110)과 유격을 두고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트랙터 결속 프레임(110) 저부에는 살포기와 같이 작업기 결속구를 형성할 수 없는 작업기를 연결하기 위한 견인브라켓(15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견인브라켓(150)은 상판(151)과 하판(152)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하판에는 핀홀(153)이 각각 형성되어 살포기의 연결축(도면 미도시)이 삽입되어 핀(도면 미도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작업기 결속구(200)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쟁기, 회전경운기, 배토기, 파종기, 중경제초기, 비료살포기, 붐스프레이, 트레일러 등 다양한 기종의 작업기(W)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하나의 트랙터(T)로 작업기의 기종을 바꿔가며 신속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작업기 결속구(200)는 트랙터 결속구(100)의 외형에 대응되도록 하부가 개방된 ∩형의 작업기 결속프레임(210)의 상부 중앙에 상부브라켓(220)이 상향돌출되고, 상기 상부브라켓(220)에는 상기 걸림후크(120)에 결합되는 걸림축(221)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상부브라켓(240) 후면에는 작업기 상부링크(240)가 상부브라켓(220)에 형성된 상부 결속핀(P-3)과 작업기에 형성된 하부 결속핀(P-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작업기 상부링크(240)는 상부 결속핀(P-3) 연결부(241), 연결축(242), 위치고정너트(243) 및 하부 결속핀(P-4) 연결부(244)로 구성되되, 상기 연결부(241)는 상기 상부 결속핀(P-3)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축(242)은 상부 결속핀(P-3) 연결부(241)에 연장되어 하부 결속핀(P-4) 연결부(244) 내부에 나사결합되도록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고정너트(243)는 상기 연결축 외경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 결속핀(P-4) 연결부(244)는 하부 결속핀(P-4)에 힌지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작업기 결속구가 작업기 구동축에 대응하여 높이조절간격체(270)에 의해 상하로 이동시 변화하는 작업기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높이조절간격체(270)에 의해 조절된 작업기 결속구의 높이에 따라 연결축(242)이 하부 결속핀(P-4) 연결부(244) 내부에 삽입되고 이어서 연결축(242)을 위치고정너트(243)로 고정하므로써 달성된다.
아울러, 작업기 중 배토기, 써래 등의 브라켓이 용접이 용아하도록 상기 하부 결속핀(P-4) 연결부(244)는 사각형상의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업기 결속 프레임(210)의 하부에는 하부가 개방된 ∩형를 가로지르며 폐쇄시키는 작업기 결속프레임 가로빔(25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작업기 결속 프레임(210) 내부에는 상기 결속편(130)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게 중공의 결속축(230)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결속축(230)이 상기 결속편(130)에 삽입되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결속축(230)은 상기 가로빔(250)으로부터 연장된 지지간(251)에 의해 지지되어 결속 프레임(210)과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결속축(230)은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하기할 폭조절간격체(260)의 연결축(261)이 나사결합되면서 삽탈된다.
한편, 작업기 결속 프레임(210) 외측으로 작업기 결속구 위치조절 수단(K)이 형성되어 있어, 작업기 구동축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작업기 결속구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작업기 결속구 위치조절 수단(K)은 작업기 결속구에 연결된 폭조절간격체(260) 및 작업기 브라켓(WBR)에 연결된 높이조절간격체(27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폭조절간격체(260)는 작업기 결속 프레임(210)을 관통하여 결속축(230)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도록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축(261), 상기 연결축(261)의 외경에 결합되는 위치고정너트(262), 및 상기 연결축에 연장되게 형성되어 하기할 높이조절간격체(270)가 나사결합되도록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의 연결링크(263)으로 구성된다.
이로써, 작업기 구동축에 따라 작업기 결속 프레임(210)의 수평 위치를 조절하게 되면 폭조절간격체(260)의 연결축(261)이 결속축(230) 내부에서 나사이동하게 되고, 이어서 수평 위치가 결정되면 상기 위치고정너트(262)로 고정시켜 수평 이동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간격체(270)는 작업기 브라켓(WBR)에 삽입된 삽입핀(271), 상기 삽입핀(271)에 핀 연결된 삽입링크(272), 상기 삽입링크(272)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링크(263)를 관통하면서 나사결합도록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축(273), 상기 연결축(273)에 외경에 결합되되 상기 삽입링크(272)와 연결링크(263) 사이에 위치하는 하부위치고정너트(274), 상기 연결축(273)에 외경에 결합되되 상기 연결링크(263)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위치고정너트(274)로 구성된다.
이로써, 작업기 구동축에 따라 작업기 결속 프레임(210)의 수직 위치를 조절하게 되면 높이조절간격체(270)의 연결축(273)이 연결링크(263)를 관통하면서 내부에서 나사이동하게 되고, 이어서 수직 위치가 결정되면 상기 상하부위치고정너트(274, 275)로 고정시켜 수직 이동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작업기 결속구 위치조절 수단(K)을 채택하여 작업기 구동축과 동축화를 실행하면 기존의 유니버셜조인트(UJ)를 생략할 수 있게 되고, 이는 유니버셜조인트의 설치 거리만큼 작업기 결속구를 작업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작업기 결속구 브라켓(BR) 역시 생략할 수 있게 된다.
유니버셜조인트(UJ) 및 작업기 결속구 브라켓(BR)의 생략을 통해 제작단가를 절약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기 결속구와 작업기와의 거리(L)가 짧아져 그 거리만큼 굽힘모멘트(bending moment)가 작아지므로 작업기 결속구와 작업기와의 결합력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조인트축 고정부(300)는,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트랙터(T)의 PTO와 작업기(W)의 구동축이 결합되록 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트랙터 조인트축 고정부(310)와 작업기 조인트축 고정부(320)로 구성된다.
상기 트랙터 조인트축 고정부(310)는 트랙터(T)의 PTO와 연결되는 PTO 유니버셜조인트(311), 상기 PTO 유니버셜조인트(311)에 연결되어 트랙터 결속 프레임(110)의 조인트고정부 설치브라켓(180)을 관통하는 PTO 커플링축(313), 상기 커플링축(313)을 지지하기 위하여 조인트고정부 설치브라켓(180) 내부에 설치된 PTO 커플링축 베어링세트(315), 상기 커플링축(313)의 말단에 형성된 PTO 결속구 기어커플링(317)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PTO 결속구 기어커플링(317)은 하기할 작업기 결속구 기어커플링(327)과 맞물려 트랙터(T)의 PTO의 출력을 작업기(W)의 구동축에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PTO 결속구 기어커플링(317)은 그 내부에 스플라인(도면 미도시)을 형성하여 살포기와 같이 작업기 결속구를 형성할 수 없는 작업기를 연결시 살포기의 유니버셜조인트(도면 미도시)에 형성된 스플라인이 직접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견인브라켓(150)에 살포기의 연결축(도면 미도시)이 삽입되어 핀(도면 미도시)에 의해 연결되어 결속되고, 살포기의 유니버셜조인트(도면 미도시)에 형성된 스플라인이 PTO 결속구 기어커플링(317)에 형성된 스플라인에 삽입되어 PTO의 동력을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작업기 조인트축 고정부(320)는 작업기의 구동축과 스플라인 결합되는 결합부(321), 상기 결합부(321)에 연장되어 상기 PTO 결속구 기어커플링(317)에 대응되는 구조를 갖는 작업기 결속구 기어커플링(327)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베어링 세트(315)는 통상적으로 4,500RPM에 까지 달하는 PTO축의 고속회전을 작업기축에 전달하여야 하기 때문에 원통 롤러 베어링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않는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원통 롤러 베어링은 일반적으로 외주에 궤도면을 가지는 내륜과, 내주에 궤 도면을 가지는 외륜과, 내륜의 궤도면과 외륜의 궤도면 사이에 전동(轉動) 가능하게 배치된 복수의 원통 롤러와, 원통 롤러를 원주에 소정 간격으로 유지하는 리테이너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원통 롤러 베어링은 원통 롤러의 전동면과 궤도륜의 궤도면이 선접촉하기 때문에 레이디얼 하중의 부하능력이 높아 고속 회전에도 적합하지만, 그 반면 볼베어링에 비해서 고속회전 시의 발열량이 크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상기 발열을 억제하고자 오일냉각을 채택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베어링 하우징에 오일챔버를 형성하여 원통 롤러 베어링의 롤러에 오일이 상시 공급되도록 하였다.
이로서, 오일을 통한 냉각뿐만 아니라 롤러의 유체마찰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오일을 수시로 공급하지 않아도 되어 유지보수의 용이성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4를 참조면, 상기 베어링 세트(315)는, 오일주입구가 형성된 조인트측 하우징(315-1), 상기 조인트축 하우징과 결합되는 커플링측 하우징(315-2), 상기 하우징(315-1, 315-2) 사이에 형성되어 베어링(315-3)에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챔버(31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결속축 언로킹부(500)는, 도 2,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결속축(230)이 상기 결속편(130)에 걸림되어 트랙터 결속구(100)와 작업기 결속구(200)가 완전결합되었을 때, 상기 결속구(100, 200)가 서로 분리되지 않고 소정의 작업을 완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속장치로서, 특히, 작업자가 트랙터의 좌석에 착석한 상태로 결속여부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결속축 언로킹부(500)는 트랙터 좌석에서 작동 가능한 핸들(510), 일단이 상기 핸들에 연결되는 연결편(520), 상기 연결편(520)에 연장되어 상기 결속편(130)에 결합핀(530)으로 핀 연결되는 제1 구속편(540), 상기 연결편(520)에 형성된 수평바(550) 및 상기 수평바(550)에 연장되어 상기 결속편(130)에 결합핀(530)으로 핀 연결되는 제2 구속편(560)을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트랙터의 좌석에 착석한 상태로 상기 핸들(510)을 조작하면, 상기 결합핀(530)을 중심으로 구속편(540, 560)이 회전하면서 작업기 결속구(200)의 결속축(230)을 파지하게 되어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결속편(130) 및 구속편(540, 560)은 결속축(230)을 파지할 수 있도록 집게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핸들(510)의 조작에 따라 구속편(540, 560)이 회전하면서 결속축(230)을 파지하여 결속상태를 유지하게 하기 위해서 구속편(540, 560)의 중량을 핸들(510) 및 연결편(520)의 중량 보다 크게하므로써 핸들이 자중에 의하여 자유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구속편(540, 560)의 두께(t)를 20mm로 하고, 핸들(510) 및 연결편(520)의 두께(t`)를 5mm로 하였으며, 이 경우 구속편(540, 560)의 중량이 핸들(510) 및 연결편(520)의 중량보다 더 크기 때문에 상기 결합핀(530)을 중심으로 핸들이 자유회전을 하지 않게 되어 결속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에 의해 핸들(510)에 외력이 가해지면 구속편의 중량을 극복하면서 구속편(540, 560)이 결합핀(53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결속상태가 해소되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결속상태를 좀더 안전하게 유지하게 위하여 핸들(510)이 결속상태의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수평바(550)가 트랙터 결속 프레임(110)에 고정되어 있도록 “ㄷ”자형 탄성클립(17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핸들은 탄성클립(170)에 삽입되어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구속편(540, 560)이 결속편(130)과 협업하여 결속축(230)을 파지하고 있으므로 결속상태는 더더욱 안정성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핸들(510)과 연결편(520)은 결합볼트(521)로 결합되어 있는데, 이를 위하여 연결편(520)에는 볼트홀(522)이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로서, 상기 핸들은 체결되는 볼트홀(522)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게 된다. 이는 작업자가 트랙터에 작석한 상태에서 핸들을 조작해야 하므로 작업자의 신체 구조 등을 고려하여 설정하면 된다.
아울러, 연결편(520)에는 각도조절홀(523)이 연결편(520)의 폭방향으로 원호를 그리며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로서, 상기 핸들은 볼트홀(522)에 결합볼트(521)로 결합된 상태에서 각도조절홀(523) 중 어느 하나에 조절핀(524)을 통해 결합되면서 2점으로 완전 결합되게 된다.
이렇듯 본 발명에 따른 결속축 언로킹부(500)는 종래기술에서 체결상태를 유지하기 하기 위하여 채택되었던 스프링을 배재함으로써, 체결의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농작업의 특성상 작업기를 활용한 작업은 진흙 등에 항상 노출되어 있게 되는데, 종래의 스프링은 진흙이 스프링 코일 사이에 점착되어 체결동작에 많은 어려움이 있어 체결의 안정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실정 이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위치 가변형 작업기 결속구를 구비한 트랙터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트랙터(T)에 작업기(W)가 결속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트랙터 결속구(100)와 작업기 결속구(200)는 항상 트랙터(T)와 작업기(W) 각각에 결합된 상태로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트랙터에 착석하여 트랙터를 작업하고자 하는 작업기로 이동시킨 후, 유압실린더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키면 트랙터(T)의 후방에 구비된 트랙터 결속구(100)의 유압실린더 연결부(140)가 밀리면서 하부링크 연결부(160)는 결속핀(P-2)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때 트랙터 결속구(100)와 함께 회전되는 걸림후크(120)가 상부브라켓(220)에 형성된 걸림축(221)을 걸게 된다.
이어서 유압실린더를 다시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작업기 결속구(20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트랙터 결속구(100)를 향해 끌려오면서 결속축(230)이 결속편(130)의 선단에 완전히 걸려지게 되어 작업기 결속구(200)와 트랙터 결속구(100)가 일체로 결합되게 한다.
여기서, 트랙터 결속구(100)와 작업기 결속구(200)가 상호 결합시 작업기 결속구 기어커플링(327)과 트랙터 결속구 기어커플링(317) 서로 치합되어 동력전달을 위한 준비를 마치게 된다.
이어서, 작업자는 트랙터에 계속해서 착석한 채로 핸들(510)을 밀게되면 구속편(540, 560)이 상기 결속편(130)의 일측을 폐쇄하면서 회전하여 상기 결속편(130)에 삽입된 결속축(230)이 상기 구속편(540, 560)에 파지된다.
이로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트랙터 결속구(100)와 작업기 결속구(200)가 완전결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필요한 작업을 마친 후 트랙터(T)와 작업기(W)의 분리는 핸들(510)을 당김과 동시에 역동작을 통해 분리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트랙터 결속구
110: 트랙터 결속 프레임 120: 걸림후크 130: 결속편
140: 유압실린더 연결부 150: 견인브라켓 160: 하부링크 연결부
170: 탄성클립 180: 조인트고정부 설치브라켓
200: 작업기 결속구
210: 작업기 결속프레임 220: 상부브라켓 230: 결속축
240: 상부브라켓 250: 작업기 결속프레임 가로빔 260: 폭조절간격체
270: 높이조절간격체
300: 조인트축 고정부
310: 트랙터 조인트축 고정부 320: 작업기 조인트축 고정부
500: 결속축 언로킹부
510: 핸들 520: 연결편 530: 결합핀
540: 제1 구속편 550: 수평바 560: 제2 구속편

Claims (12)

  1. 트랙터와 작업기를 결속하는 트랙터 연결장치에 있어서,
    트랙터 후방에 연결되는 트랙터 결속구(100), 작업기 전방에 마련되는 작업기 결속구(200) 및 트랙터의 PTO의 동력을 작업기의 구동축에 전달하는 조인트축 고정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작업기 결속구(200)에는 작업기 구동축과 조인트축 고정부(300)를 동축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작업기 결속구(200)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작업기 결속구 위치조절 수단(K)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가변형 작업기 결속구를 구비한 트랙터 연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랙터 결속구(100)는 결속 프레임(110),
    상기 결속 프레임(110)의 상부 중앙에 형성된 걸림후크(120),
    상기 걸림후크(120)의 맞은편에 형성된 유압실린더 연결부(140),
    상기 트랙터 결속 프레임(110)의 하부 외측에 형성된 하부링크 연결부(160),
    상기 트랙터 결속 프레임(110)의 내부에 형성된 조인트고정부 설치브라켓(180) 및
    상기 트랙터 결속 프레임(110) 저부에 형성된 견인브라켓(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가변형 작업기 결속구를 구비한 트랙터 연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 결속구(200)는 작업기 결속프레임(210),
    상기 작업기 결속프레임(210)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어 걸림축(221) 및 상부 결속핀(P-3)을 구비하는 상부브라켓(220),
    상기 작업기 결속 프레임(210)의 하부에 형성된 작업기 결속프레임 가로빔(250),
    상기 작업기 결속 프레임(210)의 내부에 형성된 결속축(230),
    상기 상부브라켓(220)에 형성된 상부 결속핀(P-3) 및 작업기에 형성된 하부 결속핀(P-4)에 연결된 작업기 상부링크(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가변형 작업기 결속구를 구비한 트랙터 연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 상부링크(240)는 상부 결속핀(P-3) 연결부(241), 연결축(242), 위치고정너트(243) 및 하부 결속핀(P-4) 연결부(244)로 구성되되,
    상기 연결부(241)는 상기 상부 결속핀(P-3)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축(242)은 상부 결속핀(P-3) 연결부(241)에 연장되어 하부 결속핀(P-4) 연결부(244) 내부에 나사결합되도록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고정너트(243)는 상기 연결축(242) 외경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244)는 하부 결속핀(P-4)에 힌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가변형 작업기 결속구를 구비한 트랙터 연결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 결속구 위치조절 수단(K)은 작업기 결속구(200)에 연결된 폭조절간격체(260) 및 작업기 브라켓(WBR)에 연결된 높이조절간격체(2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가변형 작업기 결속구를 구비한 트랙터 연결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 결속구 위치조절 수단(K)은 작업기 결속구(200)에 연결된 폭조절간격체(260) 및 작업기 브라켓(WBR)에 연결된 높이조절간격체(270)를 포함하되,
    상기 폭조절간격체(260)는 작업기 결속 프레임(210)을 관통하여 결속축(230)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도록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축(261),
    상기 연결축(261)의 외경에 결합되는 위치고정너트(262), 및
    상기 연결축(261)에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간격체(270)가 나사결합되도록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의 연결링크(2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가변형 작업기 결속구를 구비한 트랙터 연결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 결속구 위치조절 수단(K)은 작업기 결속구(200)에 연결된 폭조절간격체(260) 및 작업기 브라켓(WBR)에 연결된 높이조절간격체(270)를 포함하되,
    상기 높이조절간격체(270)는 작업기 브라켓(WBR)에 삽입된 삽입핀(271),
    상기 삽입핀(271)에 핀 연결된 삽입링크(272),
    상기 삽입링크(272)에 연결되고 폭조절간격체(260)의 연결링크(263)를 관통하면서 나사결합도록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축(273),
    상기 연결축(273)에 외경에 결합되되 상기 삽입링크(272)와 상기 연결링크(263) 사이에 위치하는 하부위치고정너트(274),
    상기 연결축(273)에 외경에 결합되되 상기 연결링크(263)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위치고정너트(27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가변형 작업기 결속구를 구비한 트랙터 연결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축 고정부(300)는 트랙터 조인트축 고정부(310)와 작업기 조인트축 고정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가변형 작업기 결속구를 구비한 트랙터 연결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축 고정부(300)는 트랙터 조인트축 고정부(310)와 작업기 조인트축 고정부(320)를 포함하되,
    상기 트랙터 조인트축 고정부(310)는 트랙터(T)의 PTO와 연결되는 PTO 유니버셜조인트(311),
    상기 PTO 유니버셜조인트(311)에 연결되어 트랙터 결속 프레임(110)의 조인트고정부 설치브라켓(180)을 관통하는 PTO 커플링축(313),
    상기 커플링축(313)을 지지하기 위하여 조인트고정부 설치브라켓(180) 내부에 설치된 PTO 커플링축 베어링세트(315),
    상기 커플링축(313)의 말단에 형성된 PTO 결속구 기어커플링(3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가변형 작업기 결속구를 구비한 트랙터 연결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 조인트축 고정부(320)는 작업기의 구동축과 스플라인 결합되는 결합부(321),
    상기 결합부(321)에 연장되어 상기 PTO 결속구 기어커플링(317)에 대응되는 구조를 갖는 작업기 결속구 기어커플링(32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가변형 작업기 결속구를 구비한 트랙터 연결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랙터 연결장치는 작업자가 트랙터의 좌석에 착석한 상태로 트랙터 결속구(100)와 작업기 결속구(200)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결속축 언로킹부(50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가변형 작업기 결속구를 구비한 트랙터 연결장치.
  1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속편(130)에 힌지 연결되어 작업자가 트랙터의 좌석에 착석한 상태로 트랙터 결속구(100)와 작업기 결속구(200)의 결합상태를 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결속축 언로킹부(500)를 더 구비하되,
    상기 결속축 언로킹부(500)는
    트랙터 좌석에서 작동 가능한 핸들(510),
    상기 핸들에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편(520),
    상기 연결편(520)에 연장되어 상기 결속편(130)에 결합핀(530)으로 핀 연결되는 제1 구속편(540),
    상기 연결편(520)에 형성된 수평바(550) 및
    상기 수평바(550)에 연장되어 상기 결속편(130)에 결합핀(530)으로 핀 연결되는 제2 구속편(5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가변형 작업기 결속구를 구비한 트랙터 연결장치.

KR1020150033741A 2015-03-11 2015-03-11 위치 가변형 작업기 결속구를 구비한 트랙터 연결장치 KR101760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741A KR101760173B1 (ko) 2015-03-11 2015-03-11 위치 가변형 작업기 결속구를 구비한 트랙터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741A KR101760173B1 (ko) 2015-03-11 2015-03-11 위치 가변형 작업기 결속구를 구비한 트랙터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405A true KR20160109405A (ko) 2016-09-21
KR101760173B1 KR101760173B1 (ko) 2017-07-20

Family

ID=57079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741A KR101760173B1 (ko) 2015-03-11 2015-03-11 위치 가변형 작업기 결속구를 구비한 트랙터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017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5842A (zh) * 2018-04-13 2018-09-11 河南科技大学 双电机电动拖拉机pto控制系统
CN110226377A (zh) * 2019-07-01 2019-09-13 中国农业大学 一种旋转式丘陵山地拖拉机仿形悬挂机构
KR102062994B1 (ko) * 2018-10-26 2020-03-02 오상훈 트랙터용 작업기 도킹장치
KR20200046433A (ko) * 2018-10-24 2020-05-0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트랙터용 작업기 연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7398B1 (ko) * 2019-12-19 2022-01-27 이재영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
KR102567154B1 (ko) * 2020-11-26 2023-08-17 대한민국 트랙터용 작업기 연결장치
KR102458500B1 (ko) 2022-08-04 2022-10-27 강원도 횡성군 트랙터용 작업기 연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7170A (ja) 2003-09-19 2005-04-07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アダプタ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移動農機の作業機連結装置
KR100969252B1 (ko) 2010-02-03 2010-07-09 장진만 트랙터 작업기 결속장치
KR101137431B1 (ko) 2010-02-03 2012-04-20 장진만 작업기용 분리형 트랙터 결속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90439B2 (en) * 2006-12-14 2010-04-06 Cnh America Llc Automatic latch for three point hitch quick coupler and PTO connection module
KR100958602B1 (ko) 2010-02-03 2010-05-18 장진만 작업기용 트랙터 결속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7170A (ja) 2003-09-19 2005-04-07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アダプタ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移動農機の作業機連結装置
KR100969252B1 (ko) 2010-02-03 2010-07-09 장진만 트랙터 작업기 결속장치
KR101137431B1 (ko) 2010-02-03 2012-04-20 장진만 작업기용 분리형 트랙터 결속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5842A (zh) * 2018-04-13 2018-09-11 河南科技大学 双电机电动拖拉机pto控制系统
KR20200046433A (ko) * 2018-10-24 2020-05-0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트랙터용 작업기 연결장치
KR102062994B1 (ko) * 2018-10-26 2020-03-02 오상훈 트랙터용 작업기 도킹장치
CN110226377A (zh) * 2019-07-01 2019-09-13 中国农业大学 一种旋转式丘陵山地拖拉机仿形悬挂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0173B1 (ko) 2017-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0173B1 (ko) 위치 가변형 작업기 결속구를 구비한 트랙터 연결장치
US10827671B2 (en) Depth adjustment system for seed planting units of an agricultural implement and related assemblies
US10912243B2 (en) Depth adjustment system for seed planting units of an agricultural implement and related assemblies
KR101722298B1 (ko) 작업기 연결장치
CA2367725C (en) Draw bar swivel hitch
US20200015403A1 (en) Depth adjustment features for a seed planting unit of an agricultural implement
US3074501A (en) Automatically engageable power coupling means for tractors or the like
US11162540B2 (en) Connection device for agricultural machine
US11116124B2 (en) Implement offset arm
EP2457428A1 (en) Coupling assembly for coupling an implement for driving to a work vehicle
US3957123A (en) Tractor vehicle mounted lift assembly provided with latch means
KR101656932B1 (ko) 동력전달이 가능한 작업기 연결장치
KR101468196B1 (ko) 펌프용 동력전달장치
WO2010063101A1 (en) Biasing apparatus for floating hitch implements
JP3610968B2 (ja) 乗用管理作業車
KR100961612B1 (ko) 트랙터용 농기구 연결장치
WO2017052375A1 (en) A method of coupling an agricultural implement to a tractor, and an assembly
JP5045534B2 (ja) トラクタ
CN216058172U (zh) 改进型手扶式旋耕、施肥、播种机
KR100646013B1 (ko) 농업용 작업기의 동력전달장치
JP3665170B2 (ja) 乗用管理作業車の作業機装着装置
JPH0525375Y2 (ko)
KR200346851Y1 (ko) 트랙터용 농기계의 연결대
KR100969251B1 (ko) 트랙터 작업기 결속용 조인트
US2904350A (en) Implement mounting coup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