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7398B1 -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7398B1
KR102357398B1 KR1020190170432A KR20190170432A KR102357398B1 KR 102357398 B1 KR102357398 B1 KR 102357398B1 KR 1020190170432 A KR1020190170432 A KR 1020190170432A KR 20190170432 A KR20190170432 A KR 20190170432A KR 102357398 B1 KR102357398 B1 KR 102357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vertical bar
connection
frame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0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8712A (ko
Inventor
이재영
Original Assignee
이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영 filed Critical 이재영
Priority to KR1020190170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7398B1/ko
Publication of KR20210078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 A01B59/04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supported at three points, e.g. by quick-releas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1/00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 A01B51/04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drawn by animal or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02Details, componen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or pushing means arranged on the front part of the trac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승용 관리기의 차체 일측에 부착되는 지지프레임(10); 작업기의 본체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장탈착 가능케 되는 연결프레임(20); 을 포함하여 연결프레임(20)이 지지프레임(10)에 도킹 및 클램핑 방식으로 투입된 후 다점 지지를 통해 연결프레임(20)이 지지프레임(10)에 장탈착 가능케 한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킹 및 클램핑 방식에 의한 다점 지지를 통해 작업기의 장탈착이 가능케 됨으로써 장탈착 작업의 편의성 향상과 더불어, 작업기의 장탈착에 걸리는 시간이 대폭 단축되고, 작업기 장착 상태의 견고한 유지를 통해 작업 안전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Work linkage for the Riding-type Cultivator}
본 발명은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용 관리기에 작업기를 장탈착 할 때, 도킹 및 클램핑 방식에 의한 다점 지지를 통해 작업기의 장탈착이 가능케 함으로써 장탈착 작업의 편의성 향상과 더불어, 작업기의 장탈착에 걸리는 시간이 대폭 단축되게 하고, 작업기 장착 상태의 견고한 유지를 통해 작업 안전성이 더욱 향상되게 한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승용 관리기는 로터리 작업, 방제작업, 이앙작업, 휴립작업, 피복작업, 운반작업, 퇴비 살포작업, 비료 살포작업 등 다양한 종류의 작업을 하나의 기계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작업자가 보행하면서 운전하는 보행형 관리기와는 달리 작업자가 탑승하여 주행시키면서 각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승용 관리기는 프레임의 전방에 엔진이 장착되고 후방에는 운전자가 탑승할 수 있는 운전석이 구비되어, 승용 관리기의 전방 혹은 후방에 로터리나 붐스프레이어 또는 퇴비살포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작업기를 장착하여 논이나 밭에서 작물 재배에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승용 관리기의 전후에는 다양한 종류의 작업기를 장탈착 하기 위한 연결장치가 구비된다.
종래의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는 일반적으로 승용 관리기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장착되는 지지판과, 작업기에 장착되는 연결판으로 구성되되, 지지판과 연결판에는 각각 통공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승용 관리기에 작업기를 연결할 때에는 지지판과 연결판에 각각 형성된 통공부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지지판과 연결판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핀 또는 고정볼트를 통공부에 결합하여 지지판과 연결판이 결합되게 함으로써 승용 관리기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작업기가 연결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는 승용 관리기에 장착되는 지지판과, 작업기에 장착되는 연결판에 각각 형성된 통공부의 중심을 정확히 일치시켜야 통공부에 고정핀이나 고정볼트의 결합이 가능케 되는데, 작업기의 경우에 자체 동력이 없는 경우가 일반적이기 때문에 자력으로 움직이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부피가 크고, 무게가 무거워 대부분은 작업자가 승용 관리기를 움직여 지지판과 연결판을 상호 밀착시킨 후 통공부의 중심을 일치시켜 고정핀이나 고정볼트로 결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승용 관리기의 지지판에 작업기의 연결판이 밀착되면서 각 판에 형성된 통공부의 중심이 일치하게 승용 관리기를 운전하는데 상당한 숙련도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승용 관리기에 작업기를 장착하는 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승용 관리기에 작업기가 연결된 상태에서 작업 도중 작업 노면의 요철로 인해 요동이 심하게 발생하면, 중량체인 작업기가 상하 또는 좌우로 심하게 요동함에 따라 지지판과 연결판을 결합 고정하는 고정핀이나 고정볼트가 파손되면서 작업기가 승용 관리기에서 이탈되면서 파손되는 경우도 빈번한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73947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승용 관리기에 작업기를 장탈착 할 때, 도킹 및 클램핑 방식에 의한 다점 지지를 통해 작업기의 장탈착이 신속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는,
승용 관리기의 차체 일측에 부착되는 지지프레임(10);
작업기의 본체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장탈착 가능케 되는 연결프레임(20); 을 포함하여 연결프레임(20)이 지지프레임(10)에 도킹 및 클램핑 방식으로 투입된 후 다점 지지를 통해 연결프레임(20)이 지지프레임(10)에 장탈착 가능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승용 관리기의 차체에 부착되는 지지판(101);
상기 지지판(101)의 외측 단부에 형성된 제1세로대(102);
상기 제1세로대(102)의 일측에 형성된 제1지지부(103);
상기 제1세로대(102)의 타측에 형성된 제2지지부(104);
상기 제1세로대(102)의 일측에 형성된 제1고정수단(105);
상기 제1세로대(102)의 타측에 형성된 제2고정수단(10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지지부(103)는,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가로판(103a);
상기 가로판(103a)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삼면에 벽체가 있고,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도킹부재(103b);
상기 도킹부재(103b)의 내부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봉(103c);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프레임(20)은,
C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2세로대(201);
상기 제2세로대(201)의 일측에 형성되어 지지프레임(10)의 제1지지부(103)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202);
상기 제2세로대(201)의 타측에 형성되어 지지프레임(10)의 제2지지부(104)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203);
상기 제2세로대(201)의 일측에 형성되어 지지프레임(10)의 제1고정수단(105)에 의해 고정되는 제1고정부(204);
상기 제2연결부(203)의 일측에 형성되어 지지프레임(10)의 제2고정수단(106)에 의해 고정되는 제2고정부(20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연결부(203)는,
상기 제2세로대(201)에서 횡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된 돌출암(203a);
상기 돌출암(203a)의 외측 단부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연결봉(203b);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연결프레임(20)의 도킹을 안내하는 도킹가이드(103d)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프레임(20)은 회동부(206)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승용 관리기에 작업기를 장탈착 할 때, 도킹 및 클램핑 방식으로 작업기의 장탈착이 이루어짐으로써 작업기의 장탈착 작업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됨과 동시에 작업기의 장탈착에 걸리는 시간이 대폭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점 지지를 통해 작업기가 작업기에 견고하게 장착됨으로써 고르지 못한 작업 노면의 요철로 인한 요동 발생시에도 작업기의 장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됨에 따라 작업 안전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 측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제1지지부 지지 상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제2지지부 지지 상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제2고정수단의 고정 상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킹가이드를 나타낸 예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 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 측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제1지지부 지지 상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제2지지부 지지 상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제2고정수단의 고정 상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는 승용 관리기에 작업기를 장탈착 할 때, 도킹 및 클램핑 방식에 의한 다점 지지를 통해 작업기의 장탈착이 가능하도록 지지프레임(10), 연결프레임(2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승용 관리기의 차체 일측에 부착된다.
이때, 지지프레임(10)의 부착 방법은 볼트 너트를 이용한 체결방식 또는 용접 방식 중 어느 한 가지 방식을 선택하거나, 두 가지 방식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연결프레임(20)은 작업기의 본체 일측에 부착되어 지지프레임(10)에 장탈착 가능케 된다.
이때, 연결프레임(20)은 로터리나 붐스프레이어 또는 퇴비살포기 등 승용 관리기의 전방 혹은 후방에 장탈착 가능케 되는 모든 종류의 작업기의 본체에 연결프레임(20)의 부착이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아울러, 앞서 설명한 지지프레임(10)과 같이 연결프레임(20)의 부착 방법은 볼트 너트를 이용한 체결방식 또는 용접 방식 중 어느 한 가지 방식을 선택하거나, 두 가지 방식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따라서, 연결프레임(20)이 지지프레임(10)에 도킹 및 클램핑 방식으로 투입된 후 다점 지지를 통해 연결프레임(20)이 지지프레임(10)에 장탈착 가능케 되는데,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지지판(101), 제1세로대(102), 제1지지부(103), 제2지지부(104), 제1고정수단(105), 제2고정수단(106)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판(101)은 소정 두께의 금속 판재로 되어 승용 관리기의 차체에 부착된다.
이때, 지지판(101)이 차체에 부착되는 방식은 볼트 너트를 이용한 체결방식 또는 용접 방식 중 어느 한 가지 방식을 선택하거나, 두 가지 방식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제1세로대(102)는 사각 단면을 가진 각관으로 되어 지지판(101)의 외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지지판(101)과 제1세로대(102) 간에는 간격유지부가 일체로 더 구비될 수 있으며, 간격유지부의 크기, 폭, 길이는 다양한 제조회사에 제작되는 승용 관리기의 특성상, 승용 관리기의 크기나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지지부(103)는 제1세로대(102)의 일측, 더 바람직하게는 제1세로대(102)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가로판(103a), 도킹부재(103b), 지지봉(103c)을 포함한다.
상기 가로판(103a)은 지지판(101) 및 제1세로대(102)와 일체로 되도록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도킹부재(103b)는 가로판(103a)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찬넬형으로 되어 양 측면과 후면에 벽체가 있고, 상부는 개방되며,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봉(103c)은 도킹부재(103b)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도킹부재(103b)의 양측 내벽에서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지지부(104)는 제1세로대(102)의 타측, 더 바람직하게는 제1세로대(102)의 상부에 형성되되 경사홈(104a)을 포함한다.
상기 경사홈(104a)은 제1세로대(102)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수단(105)은 제1세로대(102)의 일측, 더 바람직하게는 제1세로대(102)의 일측면 또는 양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수단(105)은 토글클램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제2고정수단(106)은 제1세로대(102)의 타측, 더 바람직하게는 제1세로대(102)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일 예로서, 제2고정수단(106)은 제1통공(106a)을 구비한 회동판(106b)으로 구성하여 지면과 평행하게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2고정수단(106)은 토글클램프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20)은, 제2세로대(201), 제1연결부(202), 제2연결부(203), 제1고정부(204), 제2고정부(205)를 포함한다.
상기 제2세로대(201)는, 찬넬과 같이 C형 단면 형상을 가진 소정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제1연결부(202)는, 제2세로대(201)의 일측, 더 바람직하게는 제2세로대(201)의 하단부에 형성되되, 지지프레임(10)의 제1지지부(103)에 형성된 도킹부재(103b) 내부에 삽입되도록 도킹부재(103b)의 양측 내면 간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킹부재(103b) 내부에서 도킹부재(103b)와 일체로 형성된 지지봉(103c)과 결합되도록 제1연결부(202)의 하단부에는 상방으로 오목한 제1결합홈(202a)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연결부(202)를 지지프레임(10)의 제1지지부(103)에 형성된 도킹부재(103b)에 삽입하되, 상방에서 하방으로 투입하면 제1연결부(202)의 제1결합홈(202a)이 도킹부재(103b) 내부에 형성된 지지봉(103c)과 결합되면서 지지프레임(10)과 연결프레임(20)의 1차(1점) 연결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제1결합홈(202a)이 지지봉(103c) 상부에 안착되는 형태로 결합이 이루어짐에 따라 연결프레임(20)에 가해지는 작업기의 하중이 지지봉(103c)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제2연결부(203)는, 제2세로대(201)의 타측, 더 바람직하게는 제2세로대(201)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되 지지프레임(10)의 제2지지부(104)에 안착되도록 돌출암(203a), 연결봉(203b)을 포함한다.
상기 돌출암(203a)은 제2세로대(201)의 상부 일측에서 횡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되, 제2세로대(201)의 양 측면에서 한 쌍의 돌출암(203a)이 동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연결봉(203b)은 돌출암(203a)의 외측 단부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되, 지지프레임(10)의 제2지지부(104)에 형성된 경사홈(104a) 내부에 신속하게 삽입된 후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경사홈(104a)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연결부(202)가 지지프레임(10)의 제1지지부(103)에 도킹된 상태에서 제2연결부(203)를 지지프레임(10)의 제2지지부(104)로 투입하면, 제2연결부(203)의 연결봉(203b)이 제2지지부(104)의 경사홈(104a) 내부에 안착되는데, 경사홈(104a)은 제1세로대(102)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연결봉(203b)이 경사홈(104a) 내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지지프레임(10)과 연결프레임(20)의 2차(2점) 연결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연결봉(203b)이 경사홈(104a) 내에 안착됨에 따라 연결프레임(20)에 가해지는 작업기의 하중이 경사홈(104a)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제1고정부(204)는, 제2세로대(201)의 일측, 더 바람직하게는 지지프레임(10)의 제1고정수단(105)에 대응하도록 제2세로대(201)의 일측면 또는 양 측면에 형성 또는 양 측면에 형성된다.
즉, 제1고정부(204)는 제1고정수단(105)으로서 토글클램프가 사용되는 경우에, 토글클램프에 대응하는 걸고리 또는 브라켓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따라서 지지프레임(10)에 형성된 제1고정수단(105)이 연결프레임(20)에 형성된 제1고정부(204)에 고정됨에 따라, 지지프레임(10)의 제1지지부(103) 및 제2지지부(104)에 제1연결부(202)와 제2연결부(203)가 각각 지지된 연결프레임(20)의 이탈이 방지된다.
아울러, 지지프레임(10)과 연결프레임(20) 간에 다점 지지가 이루어지면서 지지프레임(10)과 연결프레임(20) 간 연결 및 고정 상태가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상기 제2고정부(205)는, 제2연결부(203)의 일측, 더 바람직하게는 돌출암(203a)의 일측에서 제2고정수단(106)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일 예로서 제2고정부(205)는 제2고정수단(106)으로서 제1통공(106a)을 구비한 회동판(106b)이 사용되는 경우에, 제1통공(106a)과 동일한 직경으로 통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결프레임(20)의 제1연결부(202)와 제2연결부(203)가 지지프레임(10)의 제1지지부(103) 및 제2지지부(104)에 각각 지지된 상태에서 제2고정수단(106)인 회동판(106b)을 회동시키면 회동판(106b)이 제2세로대(201)의 측면에 밀착되면서 회동판(106b)에 형성된 제1통공(106a)와 제2고정부(205)의 중심이 일치하게 된다.
그리하여 중심이 일치된 제1통공(106a)와 제2고정부(205)에 고정핀(205a)을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지지프레임(10)의 제1지지부(103) 및 제2지지부(104)에 제1연결부(202)와 제2연결부(203)가 각각 지지된 연결프레임(20)의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승용 관리기의 차체에 부착되는 지지프레임(10)과, 승용 관리기에 장탈착 가능케 하기 위하여 작업기의 본체에 부착되는 연결프레임(20) 간의 연결 구조가 제1고정수단(105)과 제2고정수단(106)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유지됨으로써 승용 관리기에 장착되는 작업기의 장착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됨에 따라 고르지 못한 작업 노면의 요철로 인한 요동 발생시에도 작업기의 작업 성능 및 작업 안정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예로서, 제2고정부(205)는 제2고정수단(106)으로서 토글클램프가 사용되는 경우에, 토글클램프에 대응하는 걸고리 또는 브라켓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연결프레임(20)은 회동부(20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동부(206)는 제1세로대(102)의 하단부 일측에 형성되되, 승용 관리기에 장탈착 가능케 되는 작업기의 본체 일측에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회동부(206)에 힌지 결합되는 샤프트를 기준으로 하여 연결프레임(20)의 회동이 가능함에 따라, 연결프레임(20)의 제1연결부(202)와 제2연결부(203)를 지지프레임(10)의 제1지지부(103)와 제2지지부(104)에 연결할 때, 연결 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킹가이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0)은 도킹가이드(103d)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도킹가이드(103d)는 도킹부재(103b)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 양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로 간격이 벌어지는 외광내협 형태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제1연결부(202)를 지지프레임(10)의 제1지지부(103)에 형성된 도킹부재(103b)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도킹부재(103b)의 중심과, 제1지지부(103)의 중심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더라도, 제1연결부(202)가 도킹부재(103b)에 접근하는 과정에서 도킹가이드(103d)가 제1연결부(202)를 도킹부재(103b)로 안내함에 따라 제1연결부(202)와 제1지지부(103)의 연결이 더욱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 승용 관리기 B: 작업기
10: 지지프레임 101: 지지판
102: 제1세로대 103: 제1지지부
103a: 가로판 103b: 도킹부재
103c: 지지봉 103d: 도킹가이드
104: 제2지지부 105: 제1고정수단
106: 제2고정수단 20: 연결프레임
201: 제2세로대 202: 제1연결부
202a: 제1결합홈 203: 제2연결부
203a: 돌출암 203b: 연결봉
204: 제1고정부 205: 제2고정부
206: 회동부

Claims (5)

  1. 승용 관리기의 차체 일측에 부착되는 지지프레임(10);
    작업기의 본체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장탈착 가능케 되는 연결프레임(20); 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승용 관리기의 차체에 부착되는 지지판(101);
    상기 지지판(101)의 외측 단부에 형성된 제1세로대(102);
    상기 제1세로대(102)의 일측에 형성된 제1지지부(103);
    상기 제1세로대(102)의 타측에 형성된 제2지지부(104);
    상기 제1세로대(102)의 일측에 형성된 제1고정수단(105);
    상기 제1세로대(102)의 타측에 형성된 제2고정수단(106); 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103)는,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가로판(103a);
    상기 가로판(103a)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삼면에 벽체가 있고,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도킹부재(103b);
    상기 도킹부재(103b)의 내부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봉(103c); 및
    상기 연결프레임(20)의 도킹을 안내하는 도킹가이드(103d)를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수단(106)은,
    상기 제1세로대(102)의 상단부에 제1통공(106a)을 구비한 회동판(106b)을 구비하고 지면과 평행하게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하고,
    상기 연결프레임(20)은,
    C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2세로대(201);
    상기 제2세로대(201)의 일측에 형성되어 지지프레임(10)의 제1지지부(103)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202);
    상기 제2세로대(201)의 타측에 형성되어 지지프레임(10)의 제2지지부(104)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203);
    상기 제2세로대(201)의 일측에 형성되어 지지프레임(10)의 제1고정수단(105)에 의해 고정되는 제1고정부(204);
    상기 제2연결부(203)의 일측에 형성되어 지지프레임(10)의 제2고정수단(106)에 의해 고정되는 제2고정부(205); 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프레임(20)의 제1연결부(202)와 제2연결부(203)가 지지프레임(10)의 제1지지부(103) 및 제2지지부(104)에 각각 지지된 상태에서 제2고정수단(106)인 회동판(106b)을 회동시켜 회동판(106b)이 제2세로대(201)의 측면에 밀착되면서 회동판(106b)에 형성된 제1통공(106a)와 제2고정부(205)의 중심이 일치시킨 후, 제1통공(106a)와 제2고정부(205)에 고정핀(205a)을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연결프레임(20)이 지지프레임(10)에 도킹 및 클램핑 방식으로 투입된 후 다점 지지를 통해 연결프레임(20)이 지지프레임(10)에 장탈착 가능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203)는,
    상기 제2세로대(201)에서 횡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된 돌출암(203a);
    상기 돌출암(203a)의 외측 단부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연결봉(203b);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
KR1020190170432A 2019-12-19 2019-12-19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 KR102357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432A KR102357398B1 (ko) 2019-12-19 2019-12-19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432A KR102357398B1 (ko) 2019-12-19 2019-12-19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712A KR20210078712A (ko) 2021-06-29
KR102357398B1 true KR102357398B1 (ko) 2022-01-27

Family

ID=76626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432A KR102357398B1 (ko) 2019-12-19 2019-12-19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73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882Y1 (ko) 2020-10-29 2023-05-18 조상태 승용 관리기의 작업기 연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8901A (ja) * 1999-02-10 2000-08-22 Kubota Corp 作業機連結構造及びトラクタ装着用作業機
JP3165023B2 (ja) * 1996-02-01 2001-05-14 株式会社クボタ トラクタ・作業機連結構造
JP2002125407A (ja) * 2000-10-20 2002-05-08 Iseki & Co Ltd 農用トラクタの作業機連結装置
US20080142231A1 (en) 2006-12-14 2008-06-19 Priepke Edward H Automatic latch for three point hitch quick coupler and pto connection module
KR101760173B1 (ko) * 2015-03-11 2017-07-20 이리중 위치 가변형 작업기 결속구를 구비한 트랙터 연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947B1 (ko) 2017-08-29 2019-08-23 주식회사 아세아텍 승용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5023B2 (ja) * 1996-02-01 2001-05-14 株式会社クボタ トラクタ・作業機連結構造
JP2000228901A (ja) * 1999-02-10 2000-08-22 Kubota Corp 作業機連結構造及びトラクタ装着用作業機
JP2002125407A (ja) * 2000-10-20 2002-05-08 Iseki & Co Ltd 農用トラクタの作業機連結装置
US20080142231A1 (en) 2006-12-14 2008-06-19 Priepke Edward H Automatic latch for three point hitch quick coupler and pto connection module
KR101760173B1 (ko) * 2015-03-11 2017-07-20 이리중 위치 가변형 작업기 결속구를 구비한 트랙터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712A (ko) 202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39241A (en) Quick change attachment
EP2725150A1 (en) Rotation-type construction machine
KR102357398B1 (ko)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
IT8047989A1 (it) Dispositivo per il raccordo allentabile di una caricatrice frontale ad un veicolo.
KR20190023543A (ko) 승용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
US20090084454A1 (en) Apparatus for fixing hydraulic pipes for zero tail swing excavator
KR101482546B1 (ko) 농업용 작업기 장착용 장치
CN216686147U (zh) 一种钢索轨接驳装置
KR20140065729A (ko) 농작업차의 보닛 개폐를 위한 힌지 조립체 및 이 힌지 조립체에 의한 농작업차 보닛의 힌지구조
KR20220001005U (ko) 승용 관리기용 붐스프레이어 작업기 연결장치
KR102306118B1 (ko) 분리형 붐 조립체 결합구조
KR102292388B1 (ko) 써레 장착용 구조물
US4998849A (en) Earth anchor driving and remov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e
CN209793065U (zh) 一种螺丝拧紧设备
KR101841366B1 (ko) 트랙터용 후방 탈부착기
CN218016758U (zh) 一种方管侧翼及端部桥接件焊接的装夹平台
JPS6312199Y2 (ko)
CN214628244U (zh) 一种打捆机大针机构连接结构
US20040103711A1 (en) Full-frame anchoring system for vehicle collision repair
KR101679558B1 (ko) 기능성 작업기 연결장치
CN216431157U (zh) 可调式配电台架
CN205414778U (zh) 双向夹持工装
JP5093826B1 (ja) トラクタ前方の上部ブラケットと農作業アタッチメントの上部ブラケットを連結するトップリンク構造
JP6667796B2 (ja) アダプタ構造
KR102708254B1 (ko) 탈부착핀을 갖는 트랙터용 로더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