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947B1 - 승용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승용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947B1
KR101973947B1 KR1020170109447A KR20170109447A KR101973947B1 KR 101973947 B1 KR101973947 B1 KR 101973947B1 KR 1020170109447 A KR1020170109447 A KR 1020170109447A KR 20170109447 A KR20170109447 A KR 20170109447A KR 101973947 B1 KR101973947 B1 KR 101973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manager
work
link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9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3543A (ko
Inventor
천원기
조형호
정용관
이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세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세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세아텍
Priority to KR1020170109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3947B1/ko
Publication of KR20190023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 A01B59/04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supported at three points, e.g. by quick-releas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1/00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 A01B51/04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drawn by animal or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용관리기의 후방에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별도의 동력없이 2점힛치와 연동작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작업기를 승용관리기에 장착하여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작업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승용관리기의 의자 후방에 구비되는 프레임에 장착되어 작업기의 상부에 구비되는 연결브라겟과 결합되는 상부연결기와; 승용관리기의 뒷차축 차동케이스에 장착되어 작업의 하부에 구비되는 연결브라켓과 결합되는 하부연결기로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승용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CONNECTING EQUIPMENT FOR AGRICULTURAL MACHINE}
본 발명은 승용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승용관리기에 3점링크 타입과 2점힛치 타입의 다양한 작업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필요에 따라 승용관리기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 개선된 작업기 연결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승용관리기는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조작하면서 농사에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나 트랙터와는 달리 다양한 작업기의 취부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승용관리기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는 작업의 종류가 제한적이어서 이용에 많은 불편이 따르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승용관리기의 후방에는 작업기를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2점타입의 힛치를 구성하고 있으나, 트랙터와 같은 농기계의 경우에는 3점링크 타입의 연결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대부분의 작업기가 3점링크 타입의 연결장치를 통해서 작업기를 취부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승용관리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작업기를 연결하는 것이 어렵고 이로 인하여 다양한 작업의 수행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작업기를 연결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작업기 연결장치기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구성을 특허문헌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문헌 1의 경우에는 기존 승용이앙기 본체를 이용하되, 그 식부장치 및 모탑재대를 떼어내고 각종 관리작업기의 부착과, 승하강이 용이하게 칫수를 개조하여 된 승용관리기 본체(1)에 있어서,
2점 지지장치(Two-Point Linkage)방식의 상부링크(2)와 하부링크(3) 단부에 승강작업기 부착용 힛치(4)를 연결하고, 그 앞쪽에 위치된 동력인출(P.T.O.)축(5) 지지대(6) 아래에는 후방힛치(7)를 부착하며, 본체(1) 전방으로는 전방힛치(8)를 부착하여 구성하고 있다.
문헌 2의 경우에는 비닐피복기만을 전용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문헌 3의 경우에는 다양한 종류의 작업기를 취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승용관리기에 구비되는 2점힛치를 이용할 수 없도록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문헌 1) 실용신안출원 제 20 - 1986 - 0013248 호 (문헌 2) 실용신안등록 제 20 - 0134593 - 0000 호 (문헌 3) 특허 제 10 - 0172103 - 0000 호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문헌 2와 문헌 3의 경우에는 단일작업기 또는 여러 종류의 작업기를 취부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에도 승용관리기에 기본적으로 구비되는 2점힛치를 사용할 수 없도록 완전한 구조변경이 이루어지는 형태이기 때문에 활용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문헌 1의 경우에는 승용관리기에 구비되는 2점힛치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장착하고자 하는 작업기가 모두 2점힛치에 맞게 구조변경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원활한 활용성을 기대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즉, 시중에 트랙터와 같은 작업기에 맞게 많이 제공되는 3점링크타입의 작업기를 그대로 사용하지 못하고, 별도의 작업기를 이용자가 제작하거나 주문하여 장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기 사용을 위하여 불필요하게 많은 비용을 부담하여야 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농가소득을 저해하는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2점힛치타입의 연결장치에 다양한 종류의 작업기를 연결하였다 하더라도 작업기를 작동시키는 과정에서 작업기가 상승 또는 하강할 때 지면에 대하여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고 상승하였을 때 2점힛치의 기울기만큼 작업기가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이러한 이유에 의하여 작업기 종류에 따라 기울어져도 괜찮은 작업기가 있지만 로더와 같이 작업지의 내용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승하는 작업기의 경우에는 상승하더라도 수평을 유지하여야만 작업기 내부의 내용물이 이탈되지 않게 되는 데이와 같이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작업기 내부의 내용물이 이탈되어 원활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승용관리기의 의자 후방에 구비되는 프레임에 장착되어 작업기의 상부에 구비되는 연결브라겟과 결합되는 상부연결기와; 승용관리기의 뒷차축 차동케이스에 장착되어 작업의 하부에 구비되는 연결브라켓과 결합되는 하부연결기로 구성하여;
승용관리기의 후방에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별도의 동력없이 2점힛치와 연동작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작업기를 승용관리기에 장착하여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작업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승용관리기에 기본적으로 구비되는 2점힛치를 제거하지 않고 3점 링크타입의 작업기 연결장치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비하여 2점힛치 타입의 작업기는 물론 3점링크 타입의 작업기까지 다양한 종류의 작업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승용관리기의 품질과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작업기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것은 물론 작업효율성을 극대화하여 농가에 도움을 줄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승용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승용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승용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의 2점히치를 배제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승용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를 승용관리기에 연결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승용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승용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승용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승용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의 2점히치를 배제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승용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를 승용관리기에 연결한 상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승용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100)는, 승용관리기(101)의 의자(102) 후방에 구비되는 프레임(103)에 장착되어 작업기의 상부에 구비되는 연결브라겟과 결합되는 상부연결기(110)와, 승용관리기(101)의 뒷차축 차동케이스(105)에 장착되어 작업의 하부에 구비되는 연결브라켓과 결합되는 하부연결기(130)로 구성한다.
상기 상부연결기(110)는, 전방(승용관리기 방향)에는 볼트로 프레임(103)과 장착할 수 있도록 장착홀(111)을 형성한 판상형태의 베이스(112)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111)의 후방(작업기 방향)에는 피라미드 형상의 장착대(113)를 돌출시켜 상부장착대(114)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장착대(114)의 후방으로는 작업기의 상부에 구비되는 연결브라켓과 결합할 수 있는 상부장착로드(115)를 연결하는 데, 상기 상부장착로드(115)는, 장착대(113)에 장착핀(116)으로 프론트바(117)를 연결하고, 상기 프론트바(117)의 후미에는 조절관체(118)를 결합한다.
상기 조절관체(118)의 후미에는 끝단에 핀홀(119)을 형성한 연결조인트(120)를 방향 자유롭게 결합한 리어바(121)를 결합하여 구성하는 데, 상기 프론트바(117)와 리어바(121) 및 조절관체(118)는 나사결합시켜 작업기의 종류에 대응하여 상부장착로드(115)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로론트바(117)와 리어바(121)에는 단속너트(122)를 구비하여 조절관체(118)와 길이조절이 완료된 후 조절된 길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단속할 수 있도록 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하부연결기(130)는, 차동케이스(105)와 장착되는 하부장착대(131)와, 상기 하부장착대(131)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작업기의 하부에 구비되는 연결브라켓과 결합되는 좌측링크(132)와 우측링크(133) 및 좌,우측링크(132,133)와 2점힛치(134)를 연결하여 승용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100)를 2점힛치(134)와 연동하여 승강시키도록 하는 좌측연동로드(135)와 우측연동로드(136)로 구성한다.
상기 하부장착대(131)는, 차동케이스(105)와 장착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장착로드(140)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로드(140)의 양측에는 개략 삼각형상의 브라켓(141)을 하향 돌출시켜 고정하고, 상기 브라켓(141) 사이에는 좌,우측링크(132,133)를 연결하기 위한 유지축(142)을 결합하여 구성한다.
상기 좌측링크(132)와 우측링크(133)는, 직선을 유지하는 프론트바(145)와, 프론트바(145)에 대하여 외측으로 벌어진 경사바(146) 및 경사바(146)의 후방으로 직선을 유지하는 리어바(147)로 구성되는 링크바디(148)를 구비한다.
상기 링크바디(148)의 프론트(승용관리기 방향)에는 유지축(142)과 조인트(149)로 결합하여 유지축(142)에 대하여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하고, 링크바디(148)의 리어에는 작업기연결을 위한 핀홀을 가지는 연결조인트(150)를 가지도록 한다.
상기 유지축(142)과 링크바디(148)의 경사바(146) 내측 사이에는 타이로드(151)로 연결하여 좌,우측링크(132,133)가 과도하게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잡아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좌측연동로드(135)와 우측연동로드(136)는, 2점힛치(134)의 리어측 양측과 장착핀(155)으로 어퍼바(156)를 연결하고, 상기 어퍼바(156)의 하방에는 조절관체(157)를 결합한다.
상기 조절관체(157)의 하방에는 링크바디(148)의 리어바(147) 중간부위와 연결된 로어바(158)를 결합하여 구성하는 데, 상기 어퍼바(156)와 로어바(158) 및 조절관체(157)는 나사결합시켜 작업기의 종류에 대응하여 2점힛치(134)와 좌,우측링크(132,133)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어퍼바(156)와 로어바(158)에는 단속너트(160)를 구비하여 조절관체(157)와 길이조절이 완료된 후 조절된 길이를 지속적을호 유지할 수 있도록 단속할 수 있도록 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승용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승용관리기(101)에 구비되는 2점힛치(134)만으로 작업기를 연결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승용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100)를 장착하지 않거나 장착된 승용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100)를 분리한 상태에서 2점힛치(134)에 작업기를 연결하여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그리고, 3점연결이 필요한 작업기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승용관리기(101)에 본 발명의 승용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100)를 장착하여 필요한 작업기를 연결하여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본 발명의 승용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100)를 승용관리기(101)에 장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부장착대(114)를 의자(102) 후방에 위치한 프레이(103)에 장착하고, 하부장착대(131)는 차동케이스(105)에 견고하게 장착한 후, 좌,우측링크(132,133)를 구성하는 링크바디(148)의 리어바(147)와 로어바(158)가 연결된 좌,우측연동로드(135,136)의 어퍼바(156)를 2점힛치(134)의 리어부 양측과 연결하여 하부연결기(130)가 2점힛치(134)와 연동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좌,우측연동로드(135,136)를 구성하는 조절관체(157)를 움직여 좌,우측연동로드(135,136)의 길이를 조절하여 좌,우측링크(132,133)와 2점힛치(134) 사이의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한 후 단속너트(160)로 단속하여 조절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은 당연할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부연결기(110)를 구성하는 상부장착로드(115)의 리어바(121)에 구비되는 연결조인트(120)를 이용하여 작업기의 상부와 연결하고, 하부연결기(130)를 구성하는 좌,우측링크(132,133)의 리어바(147)에 구비되는 연결조인트(150)를 이용하여 작업기의 하부와 연결하면 작업기 연결은 완료된다.
이 과정에서 상부장착로드(115)를 구성하는 조절관체(118)를 움직여 프론트바(117)와 리어바(121) 사이의 간격을 벌어지거나 오므려지게하여 작업기와의 간격을 조절한 후 단속너트(122)로 조절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이 작업기를 연결한 후 작업기의 움직임은 2점힛치(134)를 움직이면 좌,우측링크(132,133)와 2점힛치(134)를 좌,우측연동로드(135,136)로 연결하고 있으므로 별도의 동력없이 연동하여 작동하게 되므로 작업기를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승용관리기의 후방으로 취출되는 유니버설조인트(도시하지 않음)와 작업기를 연결하여 동력에 의하여 구동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기이용하여 작업하는 데 지장이 없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승용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우측연동로드(136)를 유압실린더(S)로 설치하여 승용관리기로부터 유압을 인가받고 콘트롤밸브를 통하여 좌,우측방향의 밸런스(수평)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승용관리기의 후방에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별도의 동력없이 2점힛치와 연동작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작업기를 승용관리기에 장착하여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등의 장점을 가진다.
100; 승용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
101; 승용관리기 110; 상부연결기
112; 베이스 113; 장착대
114; 상부장착대 115; 상부장착로드
130; 하부연결기 131; 상부장착대
132; 좌측링크 133; 우측링크
134; 2점힛치 135; 좌측연동로드
136; 우측연동로드 140; 장착로드
142; 유지축 148; 링크바디
151; 타이로드

Claims (7)

  1. 승용관리기(101)의 의자(102) 후방에 구비되는 프레임(103)에 장착되어 작업기의 상부에 구비되는 연결브라겟과 결합되는 상부연결기(110)와;
    승용관리기(101)의 뒷차축 차동케이스(105)에 장착되어 작업기의 하부에 구비되는 연결브라켓과 결합되는 하부연결기(130)로 구성되는 승용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결기(110)는, 전방에 프레임(103)과 장착할 수 있도록 장착홀(111)을 형성하여 구비하는 베이스(112)와;
    상기 베이스(112)의 후방에 장착대(113)를 돌출시켜 구비하는 상부장착대(114)와;
    상기 상부장착대(114)의 후방으로 작업기 상부에 구비되는 연결브라켓과 결합할 수 있는 상부장착로드(115)로 구성하고;
    상기 상부장착로드(115)는, 장착대(113)에 장착핀(116)으로 연결하는 프론트바(117)와, 상기 프론트바(117)의 후미에 결합하는 조절관체(118)와, 상기 조절관체(118)의 후미에 연결조인트(120)를 가지고 결합하는 리어바(1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연결기(130)는, 차동케이스(105)와 장착되는 하부장착대(131)와;
    상기 하부장착대(131)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작업기의 하부에 구비되는 연결브라켓과 결합되는 좌측링크(132)와 우측링크(133);
    상기 좌,우측링크(132,133)와 2점힛치(134)를 연결하여 승용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100)를 2점힛치(134)와 연동하여 승강시키도록 하는 좌측연동로드(135)와 우측연동로드(136)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장착대(131)는, 차동케이스(105)와 장착할 수 있게 구비하는 한 쌍의 장착로드(140)와;
    상기 장착로드(140) 양측에서 하향돌출되게 고정하는 브라켓(141)과;
    상기 브라켓(141) 사이에 좌,우측링크(132,133)를 연결하도록 결합하는 유지축(1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링크(132)와 우측링크(133)는, 직선을 유지하는 프론트바(145)와, 프론트바(145)에 대하여 외측으로 벌어진 경사바(146)와, 경사바(146)의 후방으로 직선을 유지하는 리어바(147)로 구성되는 링크바디(148)와;
    상기 링크바디(148)의 프론트에서 유지축(142)에 대하여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유지축(142)과 결합되는 조인트(149)와;
    상기 링크바디(148)의 리어에 작업기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연결조인트(150)와;
    상기 유지축(142)과 링크바디(148)의 경사바(146) 내측 사이에 연결하여 좌,우측링크(132,133)가 과도하게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타이로드(1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연동로드(135)와 우측연동로드(136)는, 2점힛치(134)의 리어측 양측과 장착핀(155)으로 연결하는 어퍼바(156)와;
    상기 어퍼바(156)의 하방에 결합하는 조절관체(157)와;
    상기 조절관체(157)의 하방에 링크바디(148)의 리어바(147) 중간부위와 연결되는 로어바(15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연동로드(136)를 유압실린더(S)로 대체하여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
KR1020170109447A 2017-08-29 2017-08-29 승용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 KR101973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447A KR101973947B1 (ko) 2017-08-29 2017-08-29 승용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447A KR101973947B1 (ko) 2017-08-29 2017-08-29 승용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543A KR20190023543A (ko) 2019-03-08
KR101973947B1 true KR101973947B1 (ko) 2019-08-23

Family

ID=65800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447A KR101973947B1 (ko) 2017-08-29 2017-08-29 승용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39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8712A (ko) 2019-12-19 2021-06-29 이재영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
KR20230004145A (ko) 2021-06-30 2023-01-06 주식회사 아세아텍 팜봇용 작업기 탈부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980B1 (ko) * 2019-07-23 2019-11-05 홍운표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
KR200496882Y1 (ko) 2020-10-29 2023-05-18 조상태 승용 관리기의 작업기 연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85047A1 (en) 2001-11-05 2003-05-08 Horst Ollefs Coupling for coupling pulled implements or trailer having a drawbar to a tractor
JP2008271900A (ja) 2007-05-01 2008-11-13 Kubota Corp 作業機装着装置
JP2008278760A (ja) * 2007-05-08 2008-11-20 Kubota Corp 作業機装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0851Y1 (ko) 1985-04-22 1988-03-16 신익진 보조동력 장치가 구성된 손수레
KR0172103B1 (ko) 1995-09-16 1999-02-18 김웅길 과수용승용관리기용 작업기연결장치
KR0134593Y1 (ko) 1996-07-30 1998-12-15 김웅길 4륜구동작업기에 연결사용이 가능한 비닐피복기연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85047A1 (en) 2001-11-05 2003-05-08 Horst Ollefs Coupling for coupling pulled implements or trailer having a drawbar to a tractor
JP2008271900A (ja) 2007-05-01 2008-11-13 Kubota Corp 作業機装着装置
JP2008278760A (ja) * 2007-05-08 2008-11-20 Kubota Corp 作業機装着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8712A (ko) 2019-12-19 2021-06-29 이재영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
KR20230004145A (ko) 2021-06-30 2023-01-06 주식회사 아세아텍 팜봇용 작업기 탈부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543A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3947B1 (ko) 승용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
US6443236B2 (en) Three-point hitch for a tractor
AU2006237310B2 (en) Three-point linkage for an agricultural or industrial utility vehicle
US7574969B1 (en) Precision hoe opener and packer wheel assembly
US8925964B1 (en) Ballast assembly
CA2839238A1 (en) Drawbar apparatus of an agricultural implement
CA2909652C (en) Soil cultivation implement for attaching to a towing vehicle
US6758284B2 (en) Structure for converting an integral implement to a drawn type
CN105960870B (zh) 一种水田作业快速装夹通用悬挂装置及其方法
AU720971B2 (en) Steerable implement hitch
US9148987B2 (en) Agricultural caddy and trailer assembly
US9148988B2 (en) Depth control system
US7100704B2 (en) Implement mounting trailer
US20040060715A1 (en) Implement coupler
US2775176A (en) Combination implement carrier and hitch for tractors
CN110959325A (zh) 一种侧移式三点悬挂装置
KR102040980B1 (ko)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
CN207911270U (zh) 山坡地横向可调耘锄
KR102023389B1 (ko) 트랙터용 3점 히치장치
CN2862620Y (zh) 悬挂铧式犁
DE1809597A1 (de) Lastuebertragungseinrichtung fuer einen Schlepper
CN204466170U (zh) 一种调节减压耕整机具
CN205336748U (zh) 多功能悬挂架及该多功能悬挂架构成的整地装置
JPH0313124Y2 (ko)
US20050028992A1 (en) Implement mounting fix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