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2994B1 - 트랙터용 작업기 도킹장치 - Google Patents

트랙터용 작업기 도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2994B1
KR102062994B1 KR1020180129303A KR20180129303A KR102062994B1 KR 102062994 B1 KR102062994 B1 KR 102062994B1 KR 1020180129303 A KR1020180129303 A KR 1020180129303A KR 20180129303 A KR20180129303 A KR 20180129303A KR 102062994 B1 KR102062994 B1 KR 102062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tor
docker
shaft
work machine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훈
한병희
Original Assignee
오상훈
한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훈, 한병희 filed Critical 오상훈
Priority to KR1020180129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9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 A01B59/04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supported at three points, e.g. by quick-releas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1/00Devices for, or part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preventing overstrain
    • A01B61/02Devices for, or part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preventing overstrain of the coupling devices between tractor and mach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삼각 쇄기형상이면서 정면과 측면에서 보았을 때 하측은 넓고 상측은 좁은 형태로 구성하여 초기 진입 후에는 자연스럽게 정 위치를 찾아 도킹되도록 함으로서 위치결정력을 높이고, 동력과 유압의 전달력을 높이면서 도킹상태가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전면은 폐쇄되고 후면은 작업기도커와 도킹을 위하여 일부 개방된 형태로 구비하는 트랙터도커바디와, 트랙터도커바디 양측 하단과 상부에 트랙터의 하부링크 및 상부링크와 연결할 수 있는 하부연결대와 및 상부연결대를 포함하는 트랙터도커와; 트랙터도커를 수용할 수 있게 소켓타입으로 구비되어 전면은 트랙터도커와 도킹을 위하여 일부가 개방되고 후면은 폐쇄된 작업기도커바디와, 상기 작업기도커바디의 하부 양측과 상부에 작업기를 연결하기 위한 하부연결대 및 상부연결대를 포함하는 작업기도커와; 상기 트랙터도커의 하부 후방과 작업기도커의 하부 전방에 구비하여 트랙터의 동력을 작업기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와; 상기 트랙터도커와 작업기도커의 상부에 구비하여 트랙터의 유압을 작업기로 전달하는 유압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트랙터용 작업기 도킹장치{DOCKING DEVICE OF WORKING MACHINE FOR TRACTOR}
본 발명은 트랙터용 작업기 도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랙터와 연결되어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기의 연결을 보다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한 새로운 형태의 작업기 도킹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농경지를 구굴작업, 로터리작업, 두둑성형작업, 비닐피복작업, 파종작업 및 수확작업 등 다양한 작업을 필요로 하고, 이러한 작업은 트랙터의 후방에 각각의 작업기를 연결하여 목적하는 바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트랙터와 작업기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트랙터의 후미에 구비되는 3점링크와 작업기의 전방에 구비되는 연결힛치의 위치를 정확하게 일치시킨 후, 다시 트랙터의 동력을 작업기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의 연결과 더불어 작업기 작동을 위하여 사용되는 유압을 트랙터에서 작업기로 전달하기 위한 유압연결 등의 부수적인 작업을 필요로 한다.
상기와 같으 트랙터와 작업기의 연결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연결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를 특허문헌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농업용 차량인 트랙터의 상하부링크에 장착된 작업기연결기와, 이 작업기연결기에 쟁기, 써레, 로터리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작업기를 연결하기 위한 트랙터용 작업기의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에 장착하여 작업기연결기와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작업기 선단의 상, 하부연결핀을 통해 체결되는 작업기용 상하부브래킷이 마련되고 작업기연결기와의 체결을 위한 연결기용 상하부브래킷이 마련된 어태치먼트가 부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특허문헌 2는, 동력전달이 가능한 작업기 연결장치는 트랙터와 작업기를 결속하는 작업기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이 가능한 작업기 연결장치는 트랙터 후방에 연결되는 트랙터 결속구, 작업기 전방에 마련되는 작업기 결속구 및 트랙터의 PTO의 동력을 작업기의 구동축에 전달하는 조인트축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인트축 고정부는 트랙터 조인트축 고정부와 작업기 조인트축 고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트랙터 조인트축 고정부는 트랙터의 PTO와 연결되는 PTO 유니버셜조인트, 상기 PTO 유니버셜조인트에 연결되는 PTO 커플링축, 상기 커플링축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트랙터 결속구 내부에 설치된 PTO 커플링축 베어링세트, 상기 커플링축의 말단에 형성된 PTO 결속구 원추기어커플링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기 조인트축 고정부는 작업기의 구동축과 연결되는 작업기 유니버셜조인트, 상기 작업기 유니버셜조인트에 연결되는 작업기 커플링축, 상기 커플링축을 지지하기 위하여 작업기 결속구 내부에 설치된 작업기 커플링축 베어링세트, 상기 커플링축의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PTO 결속구 원추기어커플링에 대응되는 구조를 갖는 작업기 결속구 원추기어커플링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특허문한 3은, 위치 가변형 작업기 결속구를 구비한 트랙터 연결장치는 트랙터와 작업기를 결속하는 트랙터 연결장치에 있어서,
트랙터 후방에 연결되는 트랙터 결속구(100), 작업기 전방에 마련되는 작업기 결속구(200) 및 트랙터의 PTO의 동력을 작업기의 구동축에 전달하는 조인트축 고정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작업기 결속구(200)에는 작업기 구동축과 조인트축 고정부(300)를 동축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작업기 결속구(200)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작업기 결속구 위치조절 수단(K)이 형성한 구성이다.
특허 제 10 - 1007323 - 0000 호 특허 제 10 - 1722298 - 0000 호 특허 제 10 - 1760173 - 0000 호
없슴.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이 적용된 특허문헌들은, 트랙터의 3점링크와 작업기에 구비도히는 연결힛치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힘들기 때문에 한번에 완벽하게 연결하는 것이 힘들게 되고, 특히 경험이 많지 않은 작업자의 경우에는 잦은 반복에 의해서야 겨우 연결할 수 있는 형태가 되므로 작업을 위한 준비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발생한다.
경험이 쌓이면서 3점링크와 연결힛치의 연결은 수월하게 이루어진다 하여도 동력계통의 연결과 유압라인을 연결하는 데에는 전부 수작업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작업기 연결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작업기마다 연결힛치의 형상과 규격이 다르기 때문에 트랙터에 구비되는 3정링크를 연결힛치와 연결하는 데 더 큰 어려움이 있고, 자주 사용하는 작업기의 경우에는 연결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나 자주 사용하지 않는 작업기의 경우에는 처음 연결하는 것과 다름이 없기 때문에 혼자서 해결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작업기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작업기가 위치한 곳으로 트랙터를 후진시켜 이동하여야 하는 데 이 과정에서 정밀한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트랙터의 후미와 3점링크는 물론, 작업기와 연결힛치가 충돌을 일으켜 손상을 입게되고, 이 경우에는 작업기 연결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트랙터와 작업기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연결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트랙터와 작업기 사이에 보조작업자가 위하여 수신호를 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데 운전 미숙이나 오조작이 있을 경우에는 농기계의 손상은 물론 작업자의 신체적인 손상을 입게되는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은 등 여러 문제점들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트랙터의 후미에 구비되는 3점링크와 연결되는 트랙터도커(110)와;
작업기의 전방에 구비되는 연결힛치와 연결되어 트랙터도커(110)와 도킹을 통하여 원터치 형태로 연결되는 작업기도커(111)로 구성하고;
상기 트랙터도커(110)는, 전면은 폐쇄되고 후면은 작업기도커(111)와 도킹을 위하여 일부 개방된 형태로 구비하는 트랙터도커바디(112)와, 상기 트랙터도커바디(112)의 양측 하단에 트랙터의 하부링크와 연결할 수 있는 하부연결대(113)와, 트랙터도커바디(112)의 상부 중앙에 트랙터의 상부링크와 연결하기 위한 상부연결대(114)와, 상기 하부연결대(113)와 상부연결대(114)는 트랙터의 종류에 대응하도록 하나 또는 하나 이상 형성하는 연결핀(115) 및 연결공(116)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기도커(111)는, 트랙터도커(110)를 수용할 수 있게 트랙터도커(110)의 외면과 동일한 소켓타입으로 구비되어 전면은 트랙터도커(110)와 도킹을 위하여 일부가 개방되고 후면은 폐쇄된 작업기도커바디(120)와, 상기 작업기도커바디(120)의 하부 양측에 작업기의 하부와 연결하기 위한 하부연결대(121)와, 작업기도커바디(120)의 상부 중앙에 작업기의 상부와 연결하기 위한 상부연결대(122)와;
상기 하부연결대(121)는, 작업기도커바디(120)에 장공(123)을 형성하여 볼트로 고정되어 횡 방향으로 가변가능한 하부베이스(124)에 다수개의 장착공(125)을 형성한 하부장착판(125)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연결대(122)는, 작업기도커바디(120)에 장공(126)을 형성하여 볼트로 고정되어 종 방향으로 가변가능한 상부베이스(127)에 다수개의 장착공(128)을 형성하여 작업기와 직접 연결되는 상부장착판(129)을 포함하고;
상기 트랙터도커(110)의 하부 후방과 작업기도커(111)의 하부 전방에 구비하여 트랙터의 동력을 작업기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130)와;
상기 트랙터도커(110)와 작업기도커(111)의 상부에 구비하여 트랙터의 유압을 작업기로 전달하는 유압전달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작업기 도킹장치.
삼각 쇄기형상이면서 정면과 측면에서 보았을 때 하측은 넓고 상측은 좁은 형태로 구성하여 초기 진입 후에는 자연스럽게 정 위치를 찾아 도킹되도록 함으로서 위치결정력을 높이고, 동력과 유압의 전달력을 높이면서 도킹상태가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원터치 형태로 트랙터와 작업기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면서 작업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범용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근접한 위치에서 트랙터의 3점링크의 상승으로 트랙터와 작업기가 결합점(위치)을 찾아 맞아지도록 구성하여 작업기 연결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원터치 타입에 의하여 트랙터와 작업기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보조작업자 없이도 작업기 연결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연결 과정에서 충,추돌로 인한 트랙터와 작업기의 손상과 작업자의 신체적인 손상과 같은 안전사고를 배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트랙터와 작업기가 원터치 타입으로 연결됨으로서 작업기의 연결시간을 대폭 줄여 작업을 위한 준비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트랙터의 동력과 유압을 작업기로 원활하게 전달하여 실질적인 작업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트랙터용 작업기 도킹장치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트랙터용 작업기 도킹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트랙터용 작업기 도킹장치의 트랙터도커를 발췌한 정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트랙터용 작업기 도킹장치의 트랙터도커를 발췌한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트랙터용 작업기 도킹장치의 작업기도커를 발췌한 정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트랙터용 작업기 도킹장치의 트랙터도커를 발췌한 배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트랙터용 작업기 도킹장치를 발췌한 A - A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트랙터용 작업기 도킹장치를 발췌한 B - B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트랙터용 작업기 도킹장치의 동력전달부를 발췌한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트랙터용 작업기 도킹장치의 유압전달부를 발췌한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트랙터용 작업기 도킹장치의 이탈방지수단을 발췌한 사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트랙터용 작업기 도킹장치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트랙터용 작업기 도킹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트랙터용 작업기 도킹장치의 트랙터도커를 발췌한 정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트랙터용 작업기 도킹장치의 트랙터도커를 발췌한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트랙터용 작업기 도킹장치의 작업기도커를 발췌한 정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트랙터용 작업기 도킹장치의 트랙터도커를 발췌한 배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트랙터용 작업기 도킹장치를 발췌한 A - A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트랙터용 작업기 도킹장치를 발췌한 B - B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트랙터용 작업기 도킹장치의 동력전달부를 발췌한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트랙터용 작업기 도킹장치의 유압전달부를 발췌한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트랙터용 작업기 도킹장치의 이탈방지수단을 발췌한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트랙터용 작업기 도킹장치(100)는, 트랙터의 후미에 구비되는 3점링크(101)와 연결되는 트랙터도커(110)와, 작업기의 전방에 구비되는 연결힛치(102)와 연결되어 트랙터도커(110)와 도킹을 통하여 원터치 형태로 연결되는 작업기도커(111)로 구성된다.
상기 트랙터도커(110)와 작업기도커(111)는 정면과 측면에서 보았을 때 하측이 넓고 상측이 좁은 하광상협의 쇄기형상으로 구성하여 트랙터도커(110)를 작업기도커(111)와 정확하게 일치시키지 않고서도 트랙터도커(110)를 작업기도커(111)에 근접시켜 하측에서 상측으로 트랙터도커(110)를 움직여(들어올리는 형태) 줌으로서 트랙터도커(110)가 작업기도커(111)에 제 위치로 찾아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유도성과 장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트랙터도커(110)는, 개략 삼각형상의 플러그타입으로 구비되고 전면은 폐쇄되고 후면은 작업기도커(111)와 도킹을 위하여 일부가 개방된 형태의 트랙터도커바디(112)를 구비하고, 상기 트랙터도커바디(112)의 양측 하단에는 트랙터에 구비되는 3점링크의 하부링크와 연결할 수 있는 하부연결대(113)를 구비하고, 트랙터도커바디(112)의 상부 중앙에는 상부링크와 연결하기 위한 상부연결대(114)를 구비한다.
상기 하부연결대(113)와 상부연결대(114)는 트랙터의 종류(기종)에 대응하여 연결하는 것이 자유롭도록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연결핀(115)이나 연결공(116)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작업기도커(111)는, 트랙터도커(110)를 수용할 수 있게 트랙터도커(110)의 외면과 동일한 소켓타입으로 구비되고 전면은 트랙터도커(110)와 도킹을 위하여 일부가 개방되고 후면은 폐쇄된 형태의 작업기도커바디(120)를 구비한다.
상기 작업기도커바디(120)의 하부 양측에는 작업기의 하부와 연결하기 위한 하부연결대(121)를 구비하고, 작업기도커바디(120)의 상부 중앙에는 작업기의 상부와 연결하기 위한 상부연결대(122)를 구비한다.
상기 하부연결대(121)는, 작업기도커바디(120)에 장공(123)을 형성하여 볼트로 고정되어 횡 방향으로 가변가능한 하부베이스(124)에 다수개의 장착공(125)을 형성하여 작업기와 직접 연결되는 하부장착판(125)으로 구성하고, 상부연결대(122)는 작업기도커바디(120)에 장공(126)을 형성하여 볼트로 고정되어 종 방향으로 가변가능한 상부베이스(127)에 다수개의 장착공(128)을 형성하여 작업기와 직접 연결되는 상부장착판(129)으로 구성한다.
상기 트랙터도커(110)의 하부 후방(작업기도커 방향)과 작업기도커(111)의 하부 전방(트랙터도커 방향)에는 트랙터의 동력을 작업기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130)를 구비하고, 상기 트랙터도커(110)와 작업기도커(111)의 상부에는 트랙터의 유압을 작업기로 전달하기 위한 유압전달부(150)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상기 동력전달부(130)는, 트랙터도커바디(112)와 작업기도커바디(120)에 볼트 또는 리벳과 같은 고정수단으로 고정되어 서로 마주보게 입력축하우징(131)과 출력축하우징(132)을 돌출시킨다.
상기 입,출력축하우징(131,132)의 축중심에는 회전에 지장이 없도록 베어링으로 유지되는 입력축(133)과 출력축(134)을 설치하고, 상기 입력축(133)과 출력축(134)에는 각각 트랙터의 동력을 전달받는 유니버설조인트(135)와 작업기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도그클러치(137)가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입력축(133)의 외경부에는 스플라인을 형성하여 내,외경부에 모두 스플라인을 형성한 입력축스플라이너(138)를 결합하여 입력축(133)의 전,후방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출력축(134)에는 내경부에 스플라인을 형성여 입력축스플라이너(138)의 외경부와 접속하여 입력축(133)의 동력을 출력축(134)으로 전달하기 위한 출력스플라이너(139)를 고정한다.
상기 입력스플라이너(138)의 외경부에는 스플라인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클러치링(140)을 고정하여 트랙터도커바디(112)의 전방에 구비되는 클러치레버(141)와 클러치샤프트(142)를 통하여 레버, 로드, 포크 등으로 구성되는 주지의 작동수단(143)과 연결하여 입력스플라이너(138)를 출력스플라이너(139)와 접속 및 이탈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유압전달부(150)는, 트랙터도커바디(112)의 상부에 돌출되게 고정하는 입력플러그(151)와, 작업기도커바디(120)의 상부에 돌출되게 고정하여 입력플러그(151)와 접속하는 출력소켓(152)으로 구성한다.
상기 입력플러그(151)에는 트랙터로부터 연결되는 유압입력라인(153)을 연결할 수 있도록 주지의 커플러와 같은 접속수단을 가지는 입력접속구(154)를 내장하고, 상기 출력소켓(152)에는 작업기로 유압을 전달하기 위한 출력유압라인(155)을 연결하기 위한 접속수단을 가지는 출력접속구(156)를 내장하도록 한다.
상기 입력 및 출력접속구(154,156)는 도킹시 서로 암수 결합과 같은 형태로 결합되어 유압이 도통되도록 하고, 접속시 유압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밀수단을 강구하고 있음은 도면에 예시하고 있지 않아도 당연하다 할 것이다.
상기 출력접속구(156)의 상부와 출력소켓(152)의 내부 상측 사이에는 스프링(157)을 내장하여 도킹 과정에서 정위치를 잡기 이전에 의도치 않게 입력접속구(154)가 출력접속구(156)을 밀어올려 출력소켓(152) 등이 손상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트랙터도커바디(112)와 작업기도커바디(120)에는 도킹 후 자중 또는 결합력에 의하여 이탈되지 않지만 의도치 않게 이탈되어 서로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탈방지수단(170)을 더 강구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수단(170)은, 트랙터도커바디(112)의 상부에 핀유지구(171)에 의하여 수평으로 움직일 수 있는 이탈방지핀(172)을 구비하고, 상기 이탈방지핀(172)은 작업기도커바디(120)에 형성되는 핀홀(173)에 출입수단(175)으로 출입하여 도킹 시 이탈방지핀(172)에 의하여 트랙터도커(110)와 작업기도커(111)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출입수단(175)은, 트랙터도커바디(112)의 전면과 후면 사이에 작동축(176)을 설치하고, 상기 작동축(176)의 전방에는 작동레버(177)를 고정하고, 작동축(176)의 중도에는 하부작동링크(178)를 설치한다.
상기 작동축(176)의 상부에는 트랙터도커버디(112)의 전,후면 사이 내부에 브라켓으로 유지되면서 작동축(176)과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 포크샤프트(179)에 상부작동링크(180)를 고정한다.
상기 하부작동링크(178)와 상부작동링크(180)는 작동로드(181)로 연결하고, 상기 포크샤프트(179)에는 이탈방지핀(172)의 양측에 돌출되는 작동핀(182)과 포크(183)로 연결하여 작동레버(177)를 움직이면 포크(183)가 이탈방지핀(172)을 전,후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작동축(176)의 후방에는 단속상태로 전환된 작동레버(177)가 해제위치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속유지수단(190)를 더 가지도록 한다.
상기 단속유지수단(190)은, 작동푹(176)의 후방에 1제한레버(191)를 연결하고, 상기 1제한레버(191)의 우측(도 10에서 보았을 때)단은 트랙터도커바디(112)의 후면에 축으로 유지되는 2제한레버(192)의 좌측과 힌지핀(193)으로 연결한다.
상기 1제한레버(191)의 좌측단에는 스프링핀(194)을 고정하여 2제한레버(192)의 우측단에 고정되어 좌측으로 돌출되는 제한로드(195)와 제한스프링(196)으로 연결하여 작동축(176)이 단속상태를 벗어나지 않도록 구성한다.
상기 이탈방지수단(170)은 동력전달부(130)를 구성하는 입,출력축하우징(131,132)에도 적용하여 결합된 입,출력하우징(131,132)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트랙터용 작업기 도킹장치(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트랙터도커(110)에는 트랙터의 3점링크를 하부연결대(113)와 상부연결대(114)를 이용하여 연결하고, 작업기도커(111)에는 하부연결대(121)와 상부연결대(122)를 이용하여 작업기의 전방과 연결하도록 한다.
물론 이 과정에서는 트랙터의 종류나 작업기의 종류에 따라 각각의 연결위치가 다소 차이날 수 있는 데, 이 경우에는 하부연결대(113,121) 및 상부연결대(114,12연결핀(115), 연결공(116), 장공(123, 125) 및 장착공(125,128)을 통하여 트랙터 또는 작업기에 맞게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장착에 지장을 초래하지는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트랙터와 작업기에 트랙터도커(110)와 작업기도커(111)의 장착이 완료된 후에는 트랙터와 작업기를 연결하여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데, 트랙터도커(110)와 작업기도커(111)의 도킹작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트랙터를 작업기 위치로 이동시킨 후 트랙터도커(110)를 작업기도커(111)로 근접시켜 트랙터도커(110)를 작업기도커(111)의 아래측에서 진입시켜 트랙터도커(110)의 상부의 일부가 삽입되면 트랙터도커(110)를 상승시키게 되면 자연스럽게 트랙터도커(110)가 작업기도커(111)에 진입하면서 제 위치를 찾아 도킹(결합)이 완료되게 되고, 부수적으로 동력전달부(130)가 결합되도록 하고 이탈방지수단(170)를 조작하여 도킹된 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트랙터도머(110)를 작업기도커(111)에 근접시켜 상부만 진입시키면 자연스럽게 도킹(결합) 위치로 찾아갈 수 있는 것은, 트랙터 및 작업기도커(110,111)의 전체적인 형상을 전방에서 보았을 때 하측이 넓고 상측이 좁은 삼각형의 쇄기형상이면서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도 하측이 넓고 상측이 좁은 하광상협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트랙터 및 작업기도커(110,111)의 상부가 일부만 접속하게 되더라도 자연스럽게 전체가 제 위치를 찾아 결합될 수 있는 형상과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도킹이 이루어진 후에는 자중에 의하여 쉽게 분리(이탈)되지 않지만 혹여 있을 수 있는 이탈현상은 이탈방지수단(170)에 의하여 방지되어 안전사고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고, 트랙터도커(110)와 작업기도커(111)가 도킹할 때에는 동력전달부(130)는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킹 후 작업자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 상태가 되고, 유압전달부(150)는 자연스럽게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동력전달부(130)의 연결작동을 살펴보면, 작동수단(143)을 이용하여 비접속상태로 둔 후 트랙터도커(110)와 작업기도커(111)를 도킹 시키고, 도킹이 완료되면 작동수단(143)을 이용하여 접속상태로 전환하면 된다.
상기 작동수단(143)에 의하여 트랙터의 동력이 작업기로 전달하기 위한 접속상태를 살펴보면, 작동수단(143)을 해제 위치에서 접속위치로 전환하게 되면 작동수단(143)과 연결된 클러치링(140)이 움직이고, 이 클러치링(140)은 입력축(133) 외경에 결합된 입력축스플라이너(138)를 움직이게 된다.
상기 인력축스플라이너(138)는 출력축(134)의 외경에 결합ㄷ괸 출력축스플라이너(139)와 접속하여 스플라인 결합되므로 트랙터의 동력을 작업기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작업이 완료된 후 트랙터로부터 작업기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작동수단(143)을 이용하여 입력축스플라이너(138)와 출력축스플라이너(139)를 분리시킨 후 도킹해제를 수행함으로서 입력축(133)과 출력축(134)을 비롯한 동력전달부(1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유압전달부(150)의 연결동작을 살펴보면, 트랙터도커바디(112)의 상부에 돌출되는 향태의 입력플러그(151)가 도킹 과정에서 작업기도커바디(120) 상부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출력소켓(152)과 결합되므로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입력플러그(151)에는 입력유압라인(153)을 연결한 입력접속구(154)가 구비되어 출력유압라인(156)을 연결한 출력접속구(156)와 결합되는 데, 이 과정에서 초기 접속시 입력접속구(154)가 출력접속구(156)와 정확하게 일치되지 않는 상태에서 도킹이 완료될 때 제 위치를 찾게 되므로 이 과정에서 입력접속구(154)가 출력접속구(156)를 미는 형태가 된다.
이때, 출력첩속구(156)의 상부와 출력소켓(152) 내부 상부 사이에 더 개재하는 스프링(157)에 의하여 출력접속구(156)가 상승할 수 있게 되므로 파손이나 변형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고, 도킹으로 제 위치를 잡을 경우에는 수축되었던 스프링(157)이 복귀하려는 힘에 의하여 출력접속구(156)와 입력접속구(156)는 정상적으로 접속을 이루어 유압을 전달하는 데 지장을 초래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탈방지수단(170)의 동작을 살펴보면, 트랙터커(110)와 작업기도커(111)가 도킹하는 과정에서는 이탈방지핀(172)은 후퇴하여 작업기도커바디(120)에 형성되는 핀홀(173)을 벗어난 상태에 있으므로 도킹은 물론 이탈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게 되고, 도킹이 완료된 후에는 혹여 일어날 수 있는 트랙터도커(110)와 작업기도커(111)의 분리현상을 배제하기 위하여 이탈방지핀(172)을 핀홀(173)에 결합시킨 후 단속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면 된다.
트랙터도커바디(112)의 전방으로 노출된 작동레ㅐ버(177)를 단속위치로 회전시키면 작동레버(177)와 연결된 작동축(176)이 회전하고, 상기 작동축(176)에 고정된 하부작동링크(178)가 아래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하부작동링크(178)와 연결된 작동로드(181) 또한 하향하고, 작동축(176)의 상부에서 작동축(176)과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 포크샤프트(179)에 고정된 상부작동링크(180)와 작동로드(181)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결국에는 포크샤프트(179)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포크샤프트(179)에 고정된 포크(183)가 단속위치 방향으로 회동하고, 포크(183)와 연결된 이탈방지핀(172)은 핀홀(173)로 이동하여 결합되게 되므로 트랙터도커(110)와 작업기도커(111)가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단속위치로 전환된 후에는 단속유지수단(190)에 의하여 작동레버(177)가 해제위치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해제하지 않은 이상 이탈방지핀(172)이 핀홀(173)을 벗어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살펴보면, 작동축(176)의 후미에 1제한레버(191)가 고정되고, 1제한레버(191)의 우측단은 트랙터도커바디(112)의 후미에 축으로 유지된 2제한레버(192)의 좌측과 힌지핀(193)으로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각회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1제한레버(191)와 2제한레버(192)에는 각각 스프링핀(194)과 제한로드(195)를 고정한 상태에서 제한스프링(196)으로 연결하고 있으므로 1,2제한레버(191,192)를 항상 수평상태(작동레버의 단속위치)로 유지되도록 하게 되므로 해제 위치로의 전환이 어렵게 되므로 단속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삼각 쇄기형상이면서 정면과 측면에서 보았을 때 하측은 넓고 상측은 좁은 형태로 구성하여 초기 진입 후에는 자연스럽게 정 위치를 찾아 도킹되도록 함으로서 위치결정력을 높이고, 동력과 유압의 전달력을 높이면서 도킹상태가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100; 트랙터용 작업기 도킹장치
110; 트랙터도커 111; 작업기도커 112; 트랙터도커바디
113; 하부연결대 114; 상부연결대 120; 작업기도커바디
121; 하부연결대 122; 상부연결대 130; 동력전달부
131; 입력축하우징 132; 출력축하우징 133; 입력축
134; 출력축 138; 입력축스플라이너 139; 출력축스플라이너
140; 클러치링 150; 유압전달부 151; 입력플러그
152; 출력소켓 154; 입력접속구 156; 출력접속구
157; 스프링 170; 이탈방지수단 172; 이탈방지핀
173; 핀홀 175; 출입수단 176; 작동축
177; 작동레버 178; 하부작동링크 179; 포크샤프트
180; 상부작동링크 183; 포크 190; 단속유지수단
191; 1제한레버 192; 2제한레버 194; 스프링핀
195; 제한로드 196; 제한스프링

Claims (6)

  1. 트랙터의 후미에 구비되는 3점링크와 연결되는 트랙터도커(110)와;
    작업기의 전방에 구비되는 연결힛치와 연결되어 트랙터도커(110)와 도킹을 통하여 원터치 형태로 연결되는 작업기도커(111)로 구성하고;
    상기 트랙터도커(110)는, 전면은 폐쇄되고 후면은 작업기도커(111)와 도킹을 위하여 일부 개방된 형태로 구비하는 트랙터도커바디(112)와, 상기 트랙터도커바디(112)의 양측 하단에 트랙터의 하부링크와 연결할 수 있는 하부연결대(113)와, 트랙터도커바디(112)의 상부 중앙에 트랙터의 상부링크와 연결하기 위한 상부연결대(114)와, 상기 하부연결대(113)와 상부연결대(114)는 트랙터의 종류에 대응하도록 하나 또는 하나 이상 형성하는 연결핀(115) 및 연결공(116)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기도커(111)는, 트랙터도커(110)를 수용할 수 있게 트랙터도커(110)의 외면과 동일한 소켓타입으로 구비되어 전면은 트랙터도커(110)와 도킹을 위하여 일부가 개방되고 후면은 폐쇄된 작업기도커바디(120)와, 상기 작업기도커바디(120)의 하부 양측에 작업기의 하부와 연결하기 위한 하부연결대(121)와, 작업기도커바디(120)의 상부 중앙에 작업기의 상부와 연결하기 위한 상부연결대(122)와;
    상기 하부연결대(121)는, 작업기도커바디(120)에 장공(123)을 형성하여 볼트로 고정되어 횡 방향으로 가변가능한 하부베이스(124)에 다수개의 장착공(125)을 형성한 하부장착판(125)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연결대(122)는, 작업기도커바디(120)에 장공(126)을 형성하여 볼트로 고정되어 종 방향으로 가변가능한 상부베이스(127)에 다수개의 장착공(128)을 형성하여 작업기와 직접 연결되는 상부장착판(129)을 포함하고;
    상기 트랙터도커(110)의 하부 후방과 작업기도커(111)의 하부 전방에 구비하여 트랙터의 동력을 작업기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130)와;
    상기 트랙터도커(110)와 작업기도커(111)의 상부에 구비하여 트랙터의 유압을 작업기로 전달하는 유압전달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작업기 도킹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130)는, 트랙터도커바디(112)와 작업기도커바디(120)에 고정되어 서로 마주보게 돌출시키는 입력축하우징(131) 및 출력축하우징(132)과;
    상기 입,출력축하우징(131,132)의 축중심에 설치하는 입력축(133) 및 출력축(134)과;
    상기 입력축(133)의 외경부에 스플라인을 형성하여 내,외경부에 모두 스플라인을 형성하여 결합하여 입력축(133)의 전,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입력축스플라이너(138)와;
    상기 출력축(134)에 내경부에 스플라인을 형성여 입력축스플라이너(138)의 외경부와 접속하여 입력축(133)의 동력을 출력축(134)으로 전달하도록 고정하는 출력스플라이너(139)와;
    상기 입력스플라이너(138)의 외경부에 스플라인에 지장을 주지 않게 고정하는 클러치링(140)을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링(140)은, 트랙터도커바디(112)의 전방에 구비되는 클러치레버(141)와 클러치샤프트(142)를 통하여 작동수단(143)과 연결하여 입력축스플라이너(138)를 출력축스플라이너(139)와 접속 및 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작업기 도킹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전달부(150)는, 트랙터도커바디(112)의 상부에 돌출되게 고정하는 입력플러그(151)와;
    상기 작업기도커바디(120)의 상부에 돌출되게 고정하여 입력플러그(151)와 접속하는 출력소켓(152)으로 구성하고;
    상기 입력플러그(151)는, 트랙터로부터 연결되는 유압입력라인(153)을 연결할 수 있게 접속수단을 가지고 내장하는 입력접속구(154)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소켓(152)에 내장하여 작업기로 유압을 전달하기 위한 출력유압라인(155)을 연결하기 위한 접속수단을 가지는 출력접속구(156)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접속구(156)의 상부와 출력소켓(152)의 내부 상측 사이에 내장하여 도킹 과정에서 정위치를 잡기 이전에 입력접속구(154)가 출력접속구(156)가 완전접속되지 않아도 출력접속구(156)을 밀어올려 손상과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15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작업기 도킹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터도커(110)와 작업기도커(111)는 정면과 측면에서 보았을 때 하측이 넓고 상측이 좁은 하광상협의 쇄기형상으로 구성하여 트랙터도커(110)를 작업기도커(111)와 정확하게 일치시키지 않고서도 트랙터도커(110)를 작업기도커(111)에 근접시켜 하측에서 상측으로 트랙터도커(110)를 움직여 트랙터도커(110)가 작업기도커(111)에 제 위치로 찾아 결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작업기 도킹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터도커바디(112)와 작업기도커바디(120)에는 의도치 않게 이탈되어 서로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탈방지수단(1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수단(170)은, 트랙터도커바디(112)의 상부에 핀유지구(171)에 유지되고 출입수단(175)에 의하여 수평으로 움직일 수 있게 구비하는 이탈방지핀(172)과;
    상기 작업기도커바디(120)에 형성되어 이탈방지핀(172)과 결합되는 핀홀(173)과;
    상기 출입수단(175)은, 트랙터도커바디(112)의 전면과 후면 사이에 설치하는 작동축(176)과, 상기 작동축(176)의 전방에 고정하는 작동레버(177)와, 상기 작동축(176)의 중도에 설치하는 하부작동링크(178)와, 상기 작동축(176)의 상부에서 브라켓으로 유지되면서 작동축(176)과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 포크샤프트(179)와, 상기 포크샤프트(179)에 고정되는 상부작동링크(180)와, 상기 하부작동링크(178)와 상부작동링크(180)를 연결하는 작동로드(181)와, 상기 포크샤프트(179)에 고정되어 이탈방지핀(172)을 전,후로 움직이는 포크(18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작업기 도킹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축(176)의 후방에는 단속상태로 전환된 작동레버(177)가 해제위치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속유지수단(190)를 더 구비하고;
    상기 단속유지수단(190)은, 작동푹(176)의 후방에 연결하는 1제한레버(191)와, 트랙터도커바디(112)의 후면에 축으로 유지되어 1제한레버(191)의 우측단과 좌측단을 힌지핀(193)으로 연결하는 2제한레버(192)와;
    상기 1제한레버(191)의 좌측단에 고정하는 스프링핀(194)과, 상기 2제한레의으(192)의 우측단에 고정되어 좌측으로 돌출되는 제한로드(195)와, 상기 스프링핀(194)과 제한로드(195)를 연결하여 작동축(176)이 단속위치를 벗어나지 않게하는 제한스프링(19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작업기 도킹장치.
KR1020180129303A 2018-10-26 2018-10-26 트랙터용 작업기 도킹장치 KR102062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303A KR102062994B1 (ko) 2018-10-26 2018-10-26 트랙터용 작업기 도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303A KR102062994B1 (ko) 2018-10-26 2018-10-26 트랙터용 작업기 도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2994B1 true KR102062994B1 (ko) 2020-03-02

Family

ID=69805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303A KR102062994B1 (ko) 2018-10-26 2018-10-26 트랙터용 작업기 도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299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407Y2 (ja) * 1980-07-18 1985-06-04 ヤマト製帽株式会社 髪飾り用帽子
KR101007323B1 (ko) 2008-12-02 2011-01-13 주식회사 세웅 트랙터용 작업기의 연결 장치
KR101177074B1 (ko) * 2009-01-22 2012-08-27 (주)태성공업 퇴비살포기의 유압동력 전달장치
KR20160109405A (ko) * 2015-03-11 2016-09-21 이리중 위치 가변형 작업기 결속구를 구비한 트랙터 연결장치
KR101679558B1 (ko) * 2014-05-13 2016-12-06 현해구 기능성 작업기 연결장치
KR101722298B1 (ko) 2014-07-23 2017-04-11 이리중 작업기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407Y2 (ja) * 1980-07-18 1985-06-04 ヤマト製帽株式会社 髪飾り用帽子
KR101007323B1 (ko) 2008-12-02 2011-01-13 주식회사 세웅 트랙터용 작업기의 연결 장치
KR101177074B1 (ko) * 2009-01-22 2012-08-27 (주)태성공업 퇴비살포기의 유압동력 전달장치
KR101679558B1 (ko) * 2014-05-13 2016-12-06 현해구 기능성 작업기 연결장치
KR101722298B1 (ko) 2014-07-23 2017-04-11 이리중 작업기 연결장치
KR20160109405A (ko) * 2015-03-11 2016-09-21 이리중 위치 가변형 작업기 결속구를 구비한 트랙터 연결장치
KR101760173B1 (ko) 2015-03-11 2017-07-20 이리중 위치 가변형 작업기 결속구를 구비한 트랙터 연결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없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20550A (en) Remotely controlled coupling means
US5303790A (en) Quick attaching power take off
EP1932411B1 (en) Automatic latch for three point hitch quick coupler and PTO connection module
US3434737A (en) Tractor hitch
US3871463A (en) Device for connecting a tractor with an agricultural implement
EP1884151B1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coupling a combine feeder interface and a combine header.
EP0433282B1 (en) Hitching assemblies
EP1985168B1 (en) Device for remotely coupling a combine feeder and a combine header via a stationary gearbox
US3299979A (en) Power couplings
US4426104A (en) Underwater connector apparatus
US65952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a drive member to a driven member
EP2225925B1 (en) A three-point hitch device arrangement
US10806066B2 (en) Implement multi-coupler with breakaway feature
JP2021502117A (ja) ドッキング受容部及びドッキングインサートを有するドッキング装置並びに車両を連結するための方法
KR102062994B1 (ko) 트랙터용 작업기 도킹장치
US4763743A (en) Implement Hitch
US3292949A (en) Locking mechanisms for hitches
EP1103171A1 (en) Tractor coupling
US4221399A (en) Draft arm extension stop
NO873318L (no) Koplingshode og motstykke.
US4792006A (en) Drive shaft coupling
JPH0244482B2 (ko)
US2650103A (en) Coupling for lift type draft devices
GB2479890A (en) Three point coupler
EP0756811B1 (en) Self-centering device for quick hooking and release of farm tools provided with a hydraulic hoi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