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2738B1 - 방열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방열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738B1
KR101832738B1 KR1020160080840A KR20160080840A KR101832738B1 KR 101832738 B1 KR101832738 B1 KR 101832738B1 KR 1020160080840 A KR1020160080840 A KR 1020160080840A KR 20160080840 A KR20160080840 A KR 20160080840A KR 101832738 B1 KR101832738 B1 KR 101832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phite
sensitive adhesive
graphite film
heat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857A (ko
Inventor
김진호
Original Assignee
율촌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율촌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율촌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0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2738B1/ko
Publication of KR20180001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7Thermal properti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36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 H05K7/20445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the coupling element being an additional piece, e.g. thermal standoff
    • H05K7/20472Sheet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7Ceramic
    • B32B2264/108Carbon, e.g. graphit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점착제층; 점착제층 상에 형성되는 금속층; 금속층 상에 형성되는 그라파이트 필름;을 포함하며, 해당 그라파이트 필름은 그라파이트 필름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그라파이트 입자를 60 중량% 내지 70 중량%으로 포함하는 방열 시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방열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HEAT DISSIPATING SHEET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새로운 방열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한 방열특성을 갖는 방열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노트북이나 휴대전화 등의 각종 전자제품은 고성능화와 소형화가 현저한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전자제품의 고성능화ㆍ소형화에 수반하여, 그 내부에 내장된 전자 부품은 대용량화ㆍ고집적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의해 전자제품에서는 많은 열이 발생하고 있다. 발생한 열은 제품의 수명을 단축하거나 고장, 오동작을 유발하며, 심한 경우에는 폭발이나 화재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특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LCD 모니터 등에서는 선명도, 색상도 등을 떨어뜨려 제품에 대한 신뢰성과 안정성을 저하시키고 있다. 따라서 제품 내부에서 발생한 열은 외부로 방출되거나 자체 냉각되어야 한다.
종래, 전자제품 등의 열 냉각 방법으로는 히트 싱크(heat sink)나 방열팬(fan)을 설치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히트 싱크의 경우에는 전자제품에서 발생하는 열량보다 히트 싱크가 방출할 수 있는 열량이 작아 방열 효율이 매우 낮다. 또한, 방열 팬의 경우에는 소음과 진동을 발생하며, 무엇보다 PDP, 노트북 컴퓨터, 휴대용 개인단말기 등과 같이 경량화와 슬림(slim)화가 요구되고 있는 제품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경량화와 슬림화가 요구되는 전자제품 등에는 시트(sheet) 상의 방열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이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방열 시트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살펴보면, 종래 기술에 따른 방열 시트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점착층(1), 금속층(3) 및 방열 도료층(5)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방열 시트는 수직 방향으로의 방열 성능은 우수하나, 수평방향으로의 방열 성능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방열 시트를 보강하기 위해 제조된 방열시트로서, 그라파이트 시트층(6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그라파이트 시트층(60)의 양면에 각각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을 포함하는 상부 보호필름 및 하부 보호필름(80, 40)을 합지시켜 제조된 방열시트이다. 상기 방열 시트는 대상체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부 보호필름(40) 하부에 형성된 점착층(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적층 구조의 방열 시트는, 그라파이트 시트층(60)을 보호하고 강도를 보강하여, 부서짐이나 훼손되는 등의 취급상의 결점을 개선할 수 있으나, 상부 및 하부 보호필름(80, 40)으로 인하여 수평 혹은 수직방향으로의 열전도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 모두의 방열 성능이 우수한 방열시트의 개발이 요구된다.
KR 10-1189990 B1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서는 수직 및 수평적인 방열효과가 우수한 방열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들에서는 작업성이 우수한 방열시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점착제층; 상기 점착제층 상에 형성되는 금속층; 상기 금속층 상에 형성되며,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그라파이트 입자를 포함하는 그라파이트 필름; 을 포함하며,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은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그라파이트 입자를 60 중량% 내지 70 중량%으로 포함하는 방열 시트가 제공된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그라파이트 입자는 1μm 내지 50μm의 평균 직경을 갖고,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은 10μm 내지 300μm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은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폴리 올레핀계 수지를 30 내지 40 중량%으로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PE)일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금속층은 알루미늄(Al), 금(Au), 은(Ag), 구리(Cu), 니켈(Ni), 주석(Sn), 아연(Zn), 텡스텐(W), 철(Fe)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층의 두께는 5㎛ 내지 200㎛일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방열 시트는 복수 개의 상기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점착제층은 점착제와 열전도성 필러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는 아크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및 실리콘계 점착제 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열전도성 필러는 알루미늄(Al), 니켈(Ni), 구리(Cu), 주석(Sn), 아연(Zn), 텅스텐(W), 철(Fe), 은(Ag), 금(Au), 탄산칼슘(CaCO3), 산화알루미늄(Al2O3), 수산화알루미늄(Al(OH)3), 탄화규소(SiC), 질화붕소(BN), 질화알루미늄(AlN), 그라파이트, 그래핀, 탄소나노튜브(CNT) 및 탄소나노섬유(CNF)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제층은 5μm 내지 60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은 캘린더링(calendering) 공정을 통해 시트화되고,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은 가요성(flexibility)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금속층의 일면에 그라파이트 입자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그라파이트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층의 다른 일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은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그라파이트 입자를 60 중량% 내지 70 중량%으로 포함하는 방열 시트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는, 그라파이트 입자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그라파이트 조성물을 캘린더링(calendering) 공정을 통해 시트화하여 그라파이트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층의 일면에 상에 그라파이트 시트를 합지하여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그라파이트 입자는 1μm 내지 50μm의 평균 직경을 갖고,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은 10μm 내지 300μm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은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폴리 올레핀계 수지를 30 중량% 내지 40 중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은 가요성(flexibility)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열 시트는 수직 및 수평적인 방열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열이 요구되는 전자제품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 시트는 보다 유연한 특성을 가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전자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열 시트의 그라파이트 필름은 캘린더링 설비를 통해 시트화 됨에 따라,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을 포함하는 방열 시트를 한번 사용하고 재 사용하는 경우에도 적용 대상에서 원활히 박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서짐 없이 재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방열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다른 종래 기술에 따른 방열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열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방열시트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를 위하여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적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그라파이트 필름”이란, 그라파이트 입자를 폴리 올레핀계 수지와 마스터배치 작업 후 레진화 시켜서 형성된 필름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캘린더링 (calendering)” 이란 캘린더(calender) 설비 이용하여 압연 및 연신 하여 시트로 제조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재작업성”이란 시트를 적용 대상에 붙였다 떼어내어도 시트의 성질 또는 형태가 유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그라파이트 시트”란 그라파이트 조성물이 시트화되어 생성된 시트를 의미하며, “그라파이트 필름”은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가 방열 시트의 금속층에 합지되어 형성된 층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점착제층; 상기 점착제층 상에 형성되는 금속층; 상기 금속층 상에 형성되며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그라파이트 입자를 포함하는 그라파이트 필름; 을 포함하며,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은 그라파이트 필름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그라파이트 입자를 60중량% 내지 70 중량%으로 포함하는 방열 시트가 제공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열 시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열 시트는 점착제층(100), 금속층(300) 및 그라파이트 필름(50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점착제층(100)은 열이 발생되는 제품과 접하는 층으로서, 방열 시트를 방열이 요구되는 대상 제품에 점착하기 위한 층이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점착제층(100)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점착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아크릴계, 우레탄계 및 실리콘계 점착제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점착제층(100)은, 바람직하게는 방열성을 가지면 좋으며, 예를 들어, 점착제층(100)은 상기 점착제와 열전도성 필러를 포함하는 열전도성 점착제가 코팅되어 형성된 층일 수 있다.
점착제층(100)에 포함되는 열전도성 필러는 금속, 무기물, 유기물 또는 이들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열전도성 필러는 알루미늄(Al), 니켈(Ni), 구리(Cu), 주석(Sn), 아연(Zn), 텅스텐(W), 철(Fe), 은(Ag), 금(Au) 등의 금속 분말; 탄산칼슘(CaCO3), 산화알루미늄(Al2O3), 수산화알루미늄(Al(OH)3), 탄화규소(SiC); 질화붕소(BN) 및 질화알루미늄(AlN) 등의 무기 분말; 그리고 탄소소재로서 그라파이트, 그래핀, 탄소나노튜브(CNT) 및 탄소나노섬유(CNF) 등의 유기 분말 등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전도성 필러는, 그라파이트, 그래핀, 탄소나노튜브(CNT) 및 탄소나노섬유(CNF)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열전도성 필러는 입자상으로서 10 나노미터(㎚) 내지 90㎛의 입자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열전도성 필러는 점착제의 점착력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적정량 혼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열전도성 필러는 점착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50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열전도성 필러의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이면 이의 함유에 따른 열전도성이 미미하고, 500 중량부를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점착제의 함량이 작아져 점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전도성 필러는 점착제층에서, 점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20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열전도성 점착제에는 열전도성 필러의 균일한 분산을 위한 분산제나, 점착 특성을 조절하기 위한 가교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열전도성 점착제에는 점착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 선택적으로 산화 방지제, 소포제, 증점제 및 난연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점착제층(100)은, 약 5 ㎛ 내지 60㎛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좋다.  점착제층(100)의 두께가 5㎛ 미만인 경우 점착력이 떨어질 수 있고, 60㎛를 초과하는 경우 작업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금속층(300)은 열이 발생되는 제품으로부터 열을 빼앗아 열을 방출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특히 수평방향으로의 열 전도성이 뛰어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에에서, 금속층(300)은 금속층은 알루미늄(Al), 금(Au), 은(Ag), 구리(Cu), 니켈(Ni), 주석(Sn), 아연(Zn), 텡스텐(W), 철(Fe)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금속층(300)은 약 5㎛ 내지 2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5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금속층(300)의 두께가 5㎛ 미만인 경우 방열성과 지지력이 미미할 수 있고, 200㎛를 초과하는 경우 방열 시트의 유연성(flexible)이 떨어지고 가격 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금속층(300)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제조되며, 2 개의 층으로 구성된 금속층(300)을 포함하는 방열시트를 나타낸다.
도 4를 살펴보면, 방열 시트의 금속층(300)은 제1 금속층(330) 및 제1 금속층(330) 상에 적층된 제2 금속층(35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1 금속층(330) 및 제2 금속층(350)은 각각 개별적으로 알루미늄(Al), 금(Au), 은(Ag), 구리(Cu), 니켈(Ni), 주석(Sn), 아연(Zn), 텡스텐(W), 철(Fe)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제1 금속층(330)을 알루미늄(Al)으로 구성하고, 제2 금속층(350)을 구리(Cu)로 구성하는 경우, 우수한 방열성을 가짐은 물론 저렴한 기격으로 보급될 수 있어 바람직한데, 이는, 일반적으로, 알루미늄(Al)의 가격은 구리(Cu)의 1/10 정도로 보급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그라파이트 필름(500)은 금속층(300) 상에 형성되어 방열 시트에 수직 방향으로 방열하는 효과를 부여할 수 있으며,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그라파이트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그라파이트 필름(500)은 그라파이트 입자를 그라파이트 필름(500) 총 중량에 대하여 60중량% 내지 70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라파이트 입자의 함량이 60중량% 미만인 경우 방열성능이 떨어질 수 있으며, 7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필름화하기 어렵고,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그라파이트 필름(500)은 그라파이트 입자를 그라파이트 필름(500) 총 중량에 대하여 60 중량% 이상, 61 중량% 이상, 62 중량% 이상, 63 중량% 이상, 64 중량% 이상, 65중량% 이상, 66중량% 이상, 67 중량% 이상, 68 중량% 이상, 69 중량% 이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70 중량% 이하, 69 중량% 이하, 68 중량% 이하, 67 중량% 이하, 66 중량% 이하, 65 중량% 이하, 64 중량% 이하, 63 중량% 이하, 62중량% 이하, 61 중량%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그라파이트 입자를 62 중량% 내지 67 중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그라파이트 입자는 그라파이트의 입자 크기가 2배가 되면 폴리에틸렌계 수지와의 계면의 수는 1/2이라는 논리하에 크면 클수록 좋으나 약 1 내지 50 μm의 평균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 내지 44μm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그라파이트의 입자의 평균 직경이 1μm 미만인 경우 방열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50μm를 초과하는 경우 필름화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라파이트 입자가 8 내지 44μm의 평균 입경을 갖는 경우 방열 시트의 방열 성능이 극대화 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그라파이트 입자는 1μm 이상, 5μm 이상, 6μm 이상, 7μm 이상, 8μm 이상, 9μm 이상, 10 μm 이상, 20 μm 이상, 30 μm 이상, 40 μm 이상의 평균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50 μm 이하, 40 μm 이하, 30 μm 이하, 20 μm 이하, 10 μm 이하, 9 μm 이하, 8 μm 이하 의 평균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PE)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그라파이트 필름(500)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30 내지 4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3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방열시트의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40 중량%을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방열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그라파이트 필름(500)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그라파이트 필름(500) 총 중량에 대하여 30 중량% 이상, 31 중량% 이상, 32 중량% 이상, 33 중량% 이상, 34 중량% 이상, 35중량% 이상, 36중량% 이상, 37 중량% 이상, 38 중량% 이상, 39 중량% 이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40 중량% 이하, 39 중량% 이하, 38 중량% 이하, 37 중량% 이하, 36 중량% 이하. 35 중량% 이하, 34중량% 이하, 33 중량% 이하, 32중량% 이하, 31 중량%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약 33 중량% 내지 37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그라파이트 필름(500)은 10μm 내지 300μm 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μm 내지 150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그라파이트 필름(500)의 두께가 10μm 미만인 경우 방열성이 미비 할 수 있으며, 300μm 를 초과하는 경우 작업성이 나빠져 필름화 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은 그라파이트 입자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보다 잘 융합시키기 위하여 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활제는 지방산의 아마이드, 왁스,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알킬아민, 실리콘유, 징크스테아레이트(Zinc stearate)와 같은 금속 비누, 스테아르산 및 스테아르산아연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라파이트 필름이 활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활제는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은 총 중량에 대하여 0.05 중량%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그라파이트 필름은 그라파이트 입자를 그라파이트 필름 총 중량에 대하여 60 중량% 내지 70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28 내지 39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활제의 첨가량이 0.05 중량% 미만이면 그라파이트 입자와 폴리올레핀계 입자와의 융합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활제의 첨가량이 2% 를 초과하면 수지와의 상용성이 나쁘기 때문에 성형 가공 후 표면에 베어나오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열 시트는 우수한 수평방열 성능을 갖는 금속층 및 상기 금속층 상에 형성되며 우수한 수직 방열 성능을 갖는 그라파이트 필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열 시트는 수평 방향으로나 수평 방향으로 높은 방열성능을 보여 방열성능이 요구되는 분야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 예에서, 상기 방열 시트는 열원 기준 60℃ 방열 테스트에서 20℃ 내지 30℃ 범위의 온도 하강 효과를 보일 수 있으며, 기존 방열 시트 대비 3℃ 내지 10℃의 온도 하강 효과를 보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방열시트의 그라파이트 필름은 일정 함량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여 상기 방열 시트는 유연성이 요구되는 분야,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열 시트의 그라파이트 필름은 90도 이상 휘었을 시 깨지거나 부러지는 특성을 보이지 않는다. 이에 반해 기존 그라파이트 시트는 90도 이상 휘었을 때 100% 깨지거나 부러지는 특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방열 시트의 그라파이트 필름은 기존 그라파이트 시트와 비교하여 매우 우수한 유연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는 상술한 방열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금속층의 일면에 그라파이트 입자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그라파이트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층의 다른 일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열 시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조 방법은 상술한 방열 시트와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포함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금속층의 일면에 그라파이트 입자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그라파이트 필름을 형성한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금속층은 솔벤트 드라이 라미네이션(SDL)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금속층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도 솔벤트 드라이 라미네이션(SDL)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그라파이트 필름은, i) 그라파이트 입자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레진화시키고 캘린더링(calendering) 공정을 통해 상기 레진화된 조성물을 그라파이트 시트로 제조하는 단계; 및 ii)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를 솔벤트 드라이 라미네이션(SDL) 등을 이용하여 금속층의 일면에 합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정을 통해 제 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캘린더링 공정은 상온 내지 200의 온도 및/또는 100 N/cm 내지 1300 N/cm 의 압력 범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일반적인 그라파이트 필름은 그라비아로 코팅되거나, 기존의 고온 고압 공정에서 제조되어 깨지거나 부서짐에 더 취약하고, 한번 시트를 사용하게 되면 위치가 잘못 붙여진 경우 다시 떼어내서 위치를 변경하거나 재 작업을 할 수가 없게 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그라파이트 필름이 캘린더링 공정을 통해 제조된다. 이 경우, 그라파이트와 올리핀계 수지가 잘 융합될 수 있고, 높은 함량의 그라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은 플렉서블하면서 우수한 방열성능을 보이도록 제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은 플렉서블한 특성이 있기 때문에, 작업자 및 고객들이 열이 발생하는 부위에 본 발명의 방열 시트를 한번 붙인 이후 그 위치가 잘못되었다는 이유 등으로 재작업하는 경우에도 적용 대상에서 원활히 박리할 수 있으며 재사용이 용이하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그라파이트 필름은 그라파이트 입자를 그라파이트 필름 총 중량에 대하여 60 중량% 내지 7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30 내지 4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은 그라파이트 입자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보다 잘 융합시키기 위하여 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활제는 지방산의 아마이드나 왁스, HDPE, 알킬아민, 실리콘유, 금속비누(Zinc stearate),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아연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라파이트 필름이 활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활제는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은 총 중량에 대하여 0.05 중량%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그라파이트 필름은 그라파이트 입자를 그라파이트 필름 총 중량에 대하여 60 중량% 내지 70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28 중량% 내지 39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이후, 금속층의 다른 일면에 점착제와 열전도성 필러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을 콤마코팅 설비 또는 그라비아 코팅 설비를 이용하여 금속층의 일면에 코팅하여, 금속층의 다른 일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된 점착제층. 금속층 및 그라파이트 필름을 포함하는 방열 시트가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티 다이 캐스팅(T-die casing) 설비는 고 두께의 그라파이트 필름을 형성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저 두께의 그라파이트 필름은 방열성능의 미비를 초래한다. 한편 본 발명은 캘린더링 설비를 통해 그라파이트 필름 형성 하므로, 저 두께부터 고 두께 등 다양한 두께의 그라파이트 필름을 형성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캘린더링 설비를 통해 제조하는 경우 그라파이트 필름이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질 수 있도록 제조되어 재작업성이 요구되는 분야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열 시트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보다 작업성이 편리한 방법으로 우수한 방열 성능 및 유연성(flexibility)을 갖는 방열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열 시트의 제조 공정 분야에 있어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은 플렉서블한 특성이 있기 때문에,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을 포함하는 방열 시트를 한번 사용하고 재 사용하는 경우에도 적용 대상에서 원활히 박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서짐 없이 재사용이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금속층으로서 두께 80㎛의 알루미늄(Al) 박막을 준비하였다. 이후, 그라파이트 입자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PE))를 포함하는 그라파이트 조성물을 캘린더링 공정을 통해 시트화 하고, 상기 알루미늄(Al) 박막 상에 합지하여 100μm의 두께를 갖는 그라파이트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때, 그라파이트 필름은 총 중량에 대하여 그라파이트 입자 70 wt%, 폴리올레핀계 수지 30 wt%를 포함하도록 제조되었다. 이후, 피시험체(열원이 설치된 알루미늄 샤시)에 부착하기 위해 상기 알루미늄(Al) 박막의 타면에는 아크릴 점착제를 코팅하여 점착제층을 제조하였다. 이에 따라, 점착제층(20μm)/금속층(80㎛)/그라파이트필름(100μm)의 구조를 갖는 방열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금속층으로서 두께 80㎛의 알루미늄(Al) 박막을 준비하고, 상기 알루미늄(Al) 박막 상에 금속층으로서 두께 35㎛ 동박(Cu)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합지하였다. 이후, 그라파이트 입자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그라파이트 조성물을 캘린더링 설비를 통해 시트화 하고, 두 개의 금속이 합지된 알루미늄(Al) 및 동박(Cu)층에 합지시켜, 합지된 급속 상에 형성되며 100μm 의 두께를 갖는 그라파이트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때, 그라파이트 필름은 총 중량에 대하여 그라파이트 입자 70 wt%, 폴리올레핀계 수지 30 wt%를 포함하도록 제조되었다. 이후, 피시험체(열원이 설치된 알루미늄 샤시)에 부착하기 위해 상기 알루미늄(Al) 박막의 타면에는 아크릴 점착제를 코팅하여 점착제층을 제조하였다. 이에 따라, 점착제층(20μm)/제1 금속층(Al, 80μm)/제2 금속층(Cu, 35μm) /그라파이트필름(100μm)의 구조를 갖는 방열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금속층으로서 두께 80㎛의 알루미늄(Al) 박막을 준비하고, 상기 알루미늄(Al) 박막 상에 방열 도료층을 형성하였다.  이때, 방열 도료층은 그라파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알루미늄(Al) 박막 상에 35㎛ 두께로 콤마 코팅한 후, 경화시켜 형성하였다.  또한, 피시험체(열원이 설치된 알루미늄 샤시)에 부착하기 위해 상기 알루미늄(Al) 박막의 타면에는 아크릴 점착제(20)를 코팅하였다. 이에 따라, 방열 도료층(35㎛/Al 박막(80㎛)/점착제(20)의 구조를 갖는 방열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그라파이트 시트 제품(e-graf社)[PET 필름/그라파이트 시트/PET 필름/점착제]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예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방열 시트의 재작업성, 구김성, 방열성 및 열 확산성 측정 실험을 수행하고, 이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인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재작업성
30 cm X 30 cm SUS 판에 각 방열 시트를 붙이고 떼어내서 다시 붙이는 실험을 하고, 육안으로 재 작업성을 확인하였다.
(2) 구김성
30 cm X 30 cm SUS 판에 각 방열 시트를 붙이고 떼어내서 다시 붙이는 실험을 하고, 육안으로 구김 정도를 확인하였다.
(3) 방열성
60℃ 열원을 기준으로 하여 열원에 각 방열 시트를 붙이고 시간에 따른 온도변화의 실험을 하여 하강된 온도를 확인하였다.
(4) 열확산성
60℃ 열원을 기준으로 하여 열원에 각 방열 시트를 붙이고 1시간이 지난 후 열 화상카메라를 이용 각 방열 시트의 열 확산성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1(metal 방열 시트) 비교예 2(그라파이트 시트) 실시예 1 실시예 2
재작업성 X
구김성 X
방열성능 △ (48℃) ○ (46℃) ○ (44℃) ◎ (42℃)
열 확산성
상기 표 1에서 ◎는 우수를 나타내고, ○는 양호를 나타내고, △는 보통을 나타내고, X는 불만족을 나타낸다.
상기 표 1을 살펴보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방열 시트는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방열 시트와 비교하여 우수한 특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방열 시트는 부서지거나 마모되어 붙였다 떼어내기 곤란하였으나,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방열시트는 부서짐이 없고 재작업성이 용이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방열 시트는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방열 시트와 비교하여 우수한 방열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중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방열시트가 비교예 1 및 비교예 2 에 따른 기존 방열시트에 비하여 매우 우수한 방열성능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 점착층 3: 금속층
5: 방열 도료층 20: 점착층
40: 하부 보호필름 60: 그라파이트 시트층
80: 상부 보호필름 100: 점착제층
300: 금속층 330: 제1 금속층
350: 제2 금속층 500: 그라파이트 필름

Claims (10)

  1. 점착제층;
    상기 점착제층 상에 형성되는 금속층;
    상기 금속층 상에 형성되며, 활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그라파이트 입자를 포함하는 그라파이트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은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그라파이트 입자를 60 중량% 내지 70 중량%으로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28 내지 39 중량%로 포함하며, 활제를 0.05 중량% 내지 2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은 캘린더링(calendering) 설비를 통해 시트화된 것이고,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은 90도 이상 휘었을 시 깨지거나 부러지는 특성을 보이지 않는 방열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파이트 입자는 1μm 내지 50μm의 평균 직경을 갖고,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은 10μm 내지 300μm의 두께를 갖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PE)인 방열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알루미늄(Al), 금(Au), 은(Ag), 구리(Cu), 니켈(Ni), 주석(Sn), 아연(Zn), 텡스텐(W), 철(Fe)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층의 두께는 5㎛ 내지 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시트는 복수 개의 상기 금속층을 포함하는 방열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점착제와 열전도성 필러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는 아크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및 실리콘계 점착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열전도성 필러는 알루미늄(Al), 니켈(Ni), 구리(Cu), 주석(Sn), 아연(Zn), 텅스텐(W), 철(Fe), 은(Ag), 금(Au), 탄산칼슘(CaCO3), 산화알루미늄(Al2O3), 수산화알루미늄(Al(OH)3), 탄화규소(SiC), 질화붕소(BN), 질화알루미늄(AlN), 그라파이트, 그래핀, 탄소나노튜브(CNT) 및 탄소나노섬유(CNF)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층은 5μm 내지 60μm의 두께를 갖는 방열 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활제는 지방산의 아마이드, 왁스,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알킬아민, 실리콘유, 징크스테아레이트(Zinc stearate), 스테아르산 및 스테아르산아연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열 시트.
  7. 활제, 그라파이트 입자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그라파이트 조성물을 캘린더링(calendering) 공정을 통해 시트화하여 그라파이트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금속층의 일면에 상에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를 합지하여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층의 다른 일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은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그라파이트 입자를 60 중량% 내지 70 중량%으로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28 내지 39 중량%로 포함하며, 활제를 0.05 중량% 내지 2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은 90도 이상 휘었을 시 깨지거나 부러지는 특성을 보이지 않는 방열 시트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활제는 지방산의 아마이드, 왁스,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알킬아민, 실리콘유, 징크스테아레이트(Zinc stearate), 스테아르산 및 스테아르산아연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열 시트의 제조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파이트 입자는 1μm 내지 50μm의 평균 직경을 갖고,
    상기 그라파이트 필름은 10μm 내지 300μm의 두께를 갖는 방열 시트의 제조 방법.
  10. 삭제
KR1020160080840A 2016-06-28 2016-06-28 방열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32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840A KR101832738B1 (ko) 2016-06-28 2016-06-28 방열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840A KR101832738B1 (ko) 2016-06-28 2016-06-28 방열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857A KR20180001857A (ko) 2018-01-05
KR101832738B1 true KR101832738B1 (ko) 2018-02-27

Family

ID=61001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840A KR101832738B1 (ko) 2016-06-28 2016-06-28 방열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27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77316A (zh) * 2019-01-28 2019-05-21 东莞市澳中电子材料有限公司 一种高导热石墨胶带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9746B1 (ko) * 2018-12-19 2021-01-29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Led 패키지용 방열 점착 시트
KR102286591B1 (ko) * 2019-05-16 2021-08-06 (주)유아이 전자기기용 방열점착제 및 이를 구비한 방열테이프
KR102212191B1 (ko) 2019-07-23 2021-02-05 코오롱머티리얼 주식회사 다공성의 그래파이트 나노섬유 웹, 상기 웹 구조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상기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방열시트 및 상기 나노섬유 웹의 제조방법
WO2022071719A1 (ko) * 2020-09-29 2022-04-07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칩 온 필름용 단열시트, 이를 포함하는 단열 칩 온 필름 패키지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68341B1 (ko) * 2020-12-02 2022-11-17 주식회사 일성테크 히트싱크부재용 방열시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93626A1 (en) * 2006-11-01 2014-10-02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Thermally conductive sheet,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radiator utilizing thermally conductive sheet
WO2014204204A1 (ko) * 2013-06-19 2014-12-24 일진머티리얼즈 주식회사 도전성 방열시트, 이를 포함하는 전기부품 및 전자제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93626A1 (en) * 2006-11-01 2014-10-02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Thermally conductive sheet,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radiator utilizing thermally conductive sheet
WO2014204204A1 (ko) * 2013-06-19 2014-12-24 일진머티리얼즈 주식회사 도전성 방열시트, 이를 포함하는 전기부품 및 전자제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77316A (zh) * 2019-01-28 2019-05-21 东莞市澳中电子材料有限公司 一种高导热石墨胶带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857A (ko) 2018-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738B1 (ko) 방열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81573B1 (ko) 방열 시트
US20160076829A1 (en) Heat dissipating sheet
TWI476572B (zh) 散熱帶及其製造方法
US20100075135A1 (en) Thermal grease article and method
US11085712B2 (en) Heat-dissipating sheet
KR101465580B1 (ko) 방열시트
KR20160085253A (ko) 히트 싱크
JP2012136022A (ja) 放熱部材、電子デバイスおよびバッテリー
KR101419426B1 (ko) 방열시트
WO2018110255A1 (ja) 転写シート
KR20190021230A (ko) 방열 장치
WO2015037626A1 (ja) 熱伝導性シート
KR20150120765A (ko) 박막 열방사 시트
TW201640631A (zh) Cof型半導體封裝及液晶顯示裝置
KR102313686B1 (ko) 필름상 소성재료, 및 지지 시트를 가지는 필름상 소성재료
KR101983673B1 (ko) 방열 시트
KR101993000B1 (ko) 방열 시트
KR101458832B1 (ko) 절연층과 도전성 접착층을 포함하는 구리 박막층을 이용한 복합 필름과 그 제조방법.
KR101500482B1 (ko) 다층 복합 방열시트
TWI590750B (zh) 絕緣散熱薄片、散熱器及電子機器
JP2014065801A (ja) アクリル系熱伝導性両面粘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7131142B2 (ja) 熱伝導シート
JP4832830B2 (ja) 放熱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591403B1 (ko) 복합 방열 하이브리드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