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2647B1 - 볼 나사 - Google Patents

볼 나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647B1
KR101832647B1 KR1020167022676A KR20167022676A KR101832647B1 KR 101832647 B1 KR101832647 B1 KR 101832647B1 KR 1020167022676 A KR1020167022676 A KR 1020167022676A KR 20167022676 A KR20167022676 A KR 20167022676A KR 101832647 B1 KR101832647 B1 KR 101832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s
nut
cooling
flow path
ball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2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1472A (ko
Inventor
준지 미나구치
유타카 나가이
마사시 신도
Original Assignee
닛본 세이고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세이고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세이고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11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1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8Type of gearings to be lubricated, cooled or heated
    • F16H57/0497Screw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2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 F16H25/2204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with balls
    • F16H25/2209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with balls with arrangements for taking up backlas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4Elements essential to such mechanisms, e.g. screws, nuts
    • F16H25/2418Screw seals, wipers, scraper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12Cooling or heating; Control of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볼에 예압을 걸어 사용하는 볼 나사에 있어서, 냉각 효율과 조립·분해의 용이성의 균형이 잡힌 구조를 가지는 볼 나사를 제공한다. 그리하여, 한 개의 나사축과, 이 나사축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복수 개의 너트를 가지고 있고, 각각의 너트는, 냉각 기구로서, 각각 독립된 경로로서 냉각 매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유로를 가진다. 이들 유로는, 너트 사이를 기준으로 하여 대칭이 되도록 배설되고, 너트마다 독립적으로 냉각 매체가 순활할 수 있게 구성한다.

Description

볼 나사{BALL SCREW}
본 발명은, 볼 나사에 관한 것이며, 특히 너트를 냉각하는 기능을 구비한 볼 나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나사축과, 복수 개의 전동체(예를 들어, 볼)를 개재시켜 상기 나사축에 나합되는 너트를 가지고, 상기 나사축과 상기 너트가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 볼 나사가 알려져 있다. 이 볼 나사에 있어서는, 회전시에 상기 나사축과 상기 너트와의 사이에서 점 접촉 또는 면 접촉에 의한 마찰열이 생기기 때문에, 그 마찰열을 냉각하는 냉각부가 마련되는 일이 있었다.
종래의 볼 나사에 있어서의 냉각부의 설치 양태로서는, 냉각 방식과 너트 냉각 방식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축심 냉각 방식은, 냉각 대상을 상기 나사축으로서 상기 나사축에 상기 냉각부를 마련하는 양태이다. 이 축심 냉각 방식의 일례로서는, 상기 나사축을 중공(中空)으로 하여, 상기 나사축 내에 냉각 매체를 흘리는 구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너트 냉각 방식은, 냉각 대상을 상기 너트로서 상기 너트에 상기 냉각부를 마련하는 양태이다.
여기서, 상기 축심 냉각 방식은, 대형·장척의 볼 나사 장치에 채용함에 있어서, 상기 나사축에 중공구멍을 만들기 위해 필요로 하는 코스트가 문제가 되는 일이 있기 때문에, 너트 냉각 방식이 채용되는 일이 많다.
이와 같은 너트 냉각 방식을 채용한 볼 나사로서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을 예로 들 수 있다. 이 특허문헌 1은, 구체적으로는, 축방향을 따라 너트에 마련된 유로에 냉각 매체를 통과하여, 그 너트를 냉각하는 기술이다.
일본국 특개 2010-133556호 공보
최근의 대형·장척의 볼 나사의 주류는, 더블 너트 예압을 채용한 볼 나사이고, 이와 같은 볼 나사에 있어서는, 복수 개의 너트를 효율적으로 냉각하며 또한 분해시, 조립시, 및 메인테넌스시에 있어서의 냉각 매체의 누설을 억제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볼 나사를, 더블 너트 예압을 채용한 볼 나사에 적용하여도, 복수 개의 너트의 효율적인 냉각과, 냉각 매체의 누설의 억제의 균형이 잡힌 볼 나사를 제공하는 것은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냉각 효율이 뛰어나고, 분해·조립 나아가서는 메인테넌스시에도 냉각 매체의 누설이 억제되고, 이들의 균형이 잡힌 볼 나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볼 나사는, 외주면에 나선홈이 형성된 나사축과,
상기 나선홈에 대향되는 나선홈을 내주면에 가지고, 그 나선홈과 상기 나사축의 나선홈과의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볼을 개재시켜 상기 나사축에 나합되는 2 개의 너트와,
상기 볼에 예압을 부여하는 예압 부여 부재를 가지고,
상기 2 개의 너트의 각각에 냉각부가 독립적으로 마련되고,
이들의 상기 냉각부는, 상기 2 개의 너트 사이를 기준으로 하여 대칭이 되도록 상기 너트의 각각에 배설되고,
상기 냉각부가, 냉각 매체를 통과시키는 유로이고, 그 유로가 상기 나사축의 축방향을 따르는 축방향 유로, 및 상기 축방향에 직교되어 마련되는 둘레방향 유로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지고,
상기 예압 부여 부재는, 상기 2 개의 너트와 동축으로 상기 2 개의 너트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이고,
상기 축방향 유로가 상기 2 개의 너트의 각각을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마련되고,
상기 둘레방향 유로 중 2 개의 둘레방향 유로가 상기 2 개의 너트 사이에서 대칭으로 마련되며,
시일부가 상기 2 개의 너트의 각각의 단부에서 상기 2 개의 너트와 동축으로 마련되고, 상기 시일부의 한쪽의 면이 상기 축방향 유로 및 상기 둘레방향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시일부의 다른 쪽의 면이 상기 스페이서에 접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볼 나사는, 외주면에 나선홈이 형성된 나사축과, 상기 나선홈에 대향되는 나선홈을 내주면에 가지고, 그 나선홈과 상기 나사축의 나선홈과의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볼을 개재시켜 상기 나사축에 나합하는 2 개의 너트와, 상기 볼에 예압을 부여하는 예압 부여 부재를 가지는 볼 나사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너트의 각각에 냉각부(냉각 기구)가 독립적으로 마련되고,
이들의 상기 냉각부는, 상기 2 개의 너트 사이를 기준으로 하여 대칭이 되도록 상기 너트의 각각에 배설된다. 그리고 상기 2 개의 너트는, 연결 혹은 연접 혹은 인접되어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볼 나사에 있어서는, 상기 냉각부가, 냉각 매체를 통과시키는 유로이고, 그 유로가 상기 축방향을 따르는 축방향 유로, 및 상기 축방향으로 직교되어 마련되는 둘레방향 유로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진다. 즉, 이 냉각부는, 각각 독립된 경로로서 냉각 매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유로를 가진다. 이들의 유로는, 축방향 유로 및 둘레방향 유로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축방향 유로는, 상기 너트의 내주와 상기 너트의 외주와의 사이에 축방향에 마련된 유로이다. 또한, 상기 둘레방향 유로는, 상기 너트의 내주와 상기 너트의 외주와의 사이에 상기 너트의 축과 직교방향에 마련된 유로이다. 이와 같이 상기 냉각부는, 상기 너트마다 독립적으로 상기 냉각 매체가 순환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볼 나사는, 상기 유로에 연결되고, 냉각매체를 유입하는 유입구멍, 및 상기 유로에 연결되고, 냉각 매체를 배출하는 배출구멍이 상기 너트마다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각 너트 각각이, 냉각 매체의 유입부인 유입구멍과 유출부인 배출구멍을 적어도 1 조 이상 가지고 있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볼 나사는, 상기 예압 부여 부재가, 상기 2 개의 너트와 동축에 상기 2 개의 너트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이다.
그리고 상기 예압 부여 부재로서는, 상기 너트 사이의 위치 조정에 의한 정위치 예압, 스프링 등의 탄성체에 의한 정압 예압, 유체압이나 압전 소자 등의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소정의 예압 하중을 설정하는 가변 제어 예압 등을 사용한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 개의 너트끼리가 서로 미는, 혹은 서로 당기는 형태가 되도록 상기 예압의 구성을 상기 너트 사이에 배치하는 구성을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 효율이 뛰어나고, 분해·조립 나아가서는 메인테넌스시에도 냉각 매체의 누설이 억제되어, 이들의 균형이 잡힌 볼 나사를 제공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볼 나사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볼 나사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볼 나사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볼 나사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볼 나사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볼 나사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볼 나사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유로를 해칭으로 강조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볼 나사(1)는, 2 개의 너트(제1 너트(100), 제2 너트(200))와, 나사축(300)과, 2 개의 너트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볼에 예압을 부여하는 예압 부여 부재를 가진다.
<너트>
제1 너트(100)는, 나사축(300)의 외경보다 큰 내경으로 통형상으로 형성된 본체부(100A)와, 캡(110)과, 튜브(120, 121)를 가진다. 캡(110)은, 도시하지 않은 나사 등으로 본체부(100A)의 한쪽 단부에 시일재(111)를 개재시켜 부착된다. 또한, 튜브(120, 121)는, 본체부(100A)의 외주면중의 평면부(115)에 마련된 전동체 순환용의 부재이고, 나사(123)~(125)에 의해 제1 너트(100)에 체결된 누름판(12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1 너트(100)는, 소위 플랜지가 없는 타입의 너트이다.
제2 너트(200)는, 나사축(300)의 외경보다 큰 내경으로 통형상으로 형성된 본체부(200A)와, 그 한쪽 단부에 마련된 플랜지부(201)와, 캡(210)과, 튜브(220, 221)를 가진다. 캡(210)은, 도시하지 않은 나사 등으로 본체부(200A)의 단부에 시일재(211)를 개재시켜 부착된다. 또한, 튜브(220, 221)는, 본체부(200A)의 외주면중의 평면부(215)에 마련된 전동체 순환용의 부재이고, 나사(223)~(225)에 의해 제2 너트(200)에 체결된 누름판(22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너트(100)의 내주면(100a)에는, 나사축(300)의 외주면(300a)에 나선형상으로 형성된 나선홈(301)에 대향되도록 나선홈(10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너트(200)의 내주면(200a)에도, 나사축(300)의 나선홈(301)에 대향되도록 나선홈(20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나선홈(101)과 나선홈(201)과의 사이에 배설된 복수 개의 전동체(B)에 의해, 나사축(300)과, 나사축(300)의 축방향으로 동축에 배열된 제1 너트(100) 및 제2 너트(200)가 나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나선홈(301)과 나선홈(101, 201)에 의해 형성된 전동로에 있어서 전동체(B)가 전동 가능하게 되고, 나사축(300)과 제1 너트(100) 및 제2 너트(200)가 축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된다.
<예압 부여 부재>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너트(100)의 다른 쪽 단부와, 제2 너트(200)의 다른 쪽 단부와의 사이에는, 시일부로서 시일재(129, 130)를 개재시켜, 스페이서(128)가 제1 너트(100) 및 제2 너트(200)와 동축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스페이서(128) 및 시일재(129, 130)를 개재시켜 제1 너트(100)와 제2 너트(200)가 연결 부재(127)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재(127)는, 도 1 및 도 2에서는 1 개이나, 필요에 따라 복수 개의 연결부재(127)로 제1 너트(100)와 제2 너트(200)를 복수 개소에서 연결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제1 너트(100)와 제2 너트(200)를 스페이서(128)를 개재시켜 연결부재(127)로 연결함으로써, 스페이서(128) 및 연결부재(127)가 예압 부여 부재로서 기능하고, 소위 정위치 예압을 건 양태로 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볼 나사(1)에서는, 인장 방향의 2점 접촉 예압을 제1 너트(100) 및 제2 너트(200)에 부여함으로써, 제1 너트(100) 및 제2 너트(200)를 냉각하는 것에 따른 예압 토오크의 증대를 상쇄하고, 효율적으로 제1 너트(100) 및 제2 너트(200)를 냉각할 수가 있다.
상기 예압 부여 부재로서는, 위에서 설명한 너트(100, 200) 사이의 위치 조정에 의한 정위치 예압에 한정되지 않고, 스프링 등의 탄성체에 의한 정압 예압, 유체압이나 압전 소자 등의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소정의 예압 하중을 설정하는 가변 제어 예압 등을 사용한 구성을 선택할 수가 있다.
<냉각부>
제1 너트(100) 및 제2 너트(200)의 각각에는, 독립적으로 각 너트(100, 200)를 냉각하는 냉각부(150, 250)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의 냉각부(150, 250)는, 2 개의 너트(100, 200) 사이(예를 들어, 스페이서(128)의 축방향 중간점을 통과하여, 축방향으로 직교되는 면(A)(도 2 참조))를 기준으로 하여 대칭이 되도록 너트(100, 200)의 각각에 배설된다. 이와 같이 냉각부(150, 250)가 마련됨으로써, 볼 나사 장치로서의 중량 균형이 유지되고, 원활한 구동을 방해하는 일이 없다. 여기서, 냉각부(150, 250)의 양태는, 2 개의 너트(100, 200) 사이를 기준으로 하여 대칭이 되도록 배설되고, 제1 너트(100) 및 제2 너트(200)의 각각을 독립적으로 냉각하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냉각부(150, 250)는,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너트(100) 및 제2 너트(200)의 각각에 천공되고, 냉각 매체를 통과 가능하게 한 복수 개의 유로(152)~(154), (252)~(256)이다. 이들 유로는, 축방향을 따르는 축방향 유로와, 축방향으로 직교되어 마련되는 둘레방향 유로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방향 유로"는, 제1 너트(100) 내에서 축방향을 따르는 축방향 유로(152, 154)와, 제2 너트(200) 내에서 축방향을 따르는 축방향 유로(253, 255)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축방향 유로(152, 154, 253, 255)중, 축방향 유로(152)와 축방향 유로(253)가, 2 개의 너트(100, 200) 사이에서 대칭으로 마련된 유로이다. 또한, 축방향 유로(154)와 축방향 유로(255)가, 2 개의 너트(100, 200) 사이에서 대칭으로 마련된 유로이다.
또한, 상기 "둘레방향 유로"는, 제1 너트(100) 내에서 축방향으로 직교되어 둘레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둘레방향 유로(153)와, 제2 너트(200) 내에서 축방향으로 직교되어 둘레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둘레방향 유로(252, 254, 256)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둘레방향 유로(153, 252, 254, 256) 중, 둘레방향 유로(153)와 둘레방향 유로(254)가, 2 개의 너트(100, 200) 사이에서 대칭으로 마련된 유로이다. 이와 같이 냉각부(150, 250)는, 너트(100, 200) 마다 독립적으로 냉각 매체가 순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볼 나사(1)는, 유로(152)~(154)에 연결되고, 냉각 매체를 유입하는 유입구멍(151)과, 냉각 매체를 배출하는 배출구멍(155)이 제1 너트(100)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볼 나사(1)는, 유로(252)~(256)에 연결되고, 냉각 매체를 유입하는 유입구멍(251)과, 냉각 매체를 배출하는 배출구멍(257)이 제2 너트(200)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각 너트(100, 200) 각각이, 냉각 매체의 유입부인 유입구멍(151, 251)과 배출부인 배출구멍(155, 257)을 적어도 1 조 이상 가지고 있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1 내지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너트(100)의 냉각부(150)는, 캡(110)의 단부에 축방향에 마련된 유입부(151), 축방향 유로(152), 둘레방향 유로(153), 축방향 유로(154), 캡(110)의 단부에 축방향에 마련된 배출부(155)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1 너트(100)에 대해 1 계통의 독립된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로는, 너트(100, 200)마다 독립적이면 2 계통 이상이어도 좋다.
또한, 도 1 내지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너트(200)의 냉각부(250)는, 플랜지부(201)의 외주에 축과 직교방향에 마련된 유입부(251)와, 둘레방향 유로(252), 축방향 유로(253), 둘레방향 유로(254), 축방향 유로(255), 둘레방향 유로(256), 및 플랜지부(201)의 외주에 축과 직교방향에 마련된 유출부(257)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2 너트(200)에 대해 1 계통의 독립된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로는, 너트(100, 200) 마다 독립적이면 2 계통 이상이어도 좋다.
여기서, 유입부(151, 251), 및 배출부(155, 257)에는, 배관 체결용의 관용 테이퍼 나사가 마련되어 있고, 이들에 배관을 접속하여 냉각 매체를 공급 및 배출할 수가 있다.
<냉각 매체>
상기 냉각 매체로서는, 유체로서 각종의 기체, 액체를 사용할 수 있다. 기체로서는, 기체 혹은 압축 공기 외에 질소, 불활성 가스(아르곤 등), 탄화수소(부탄, 이소부탄 등), 헬륨, 암모니아, 이산화탄소 등, 나아가서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액체로서는, 물 외에, 물에 방청제를 첨가한 냉각수, 물에 각종 첨가제를 첨가한 냉각수, 혹은 냉각 매체유로서 각종의 오일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광유, 동식물유, 합성유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사용 환경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더욱이, 냉각 매체는 온도 관리되어 있고, 유량도 관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냉각 매체를 난류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너트마다 독립적으로 온도 관리를 행하고, 예를 들어 예압의 제어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유입부, 배출부의 위치, 크기, 각 유로의 단면 형상, 단면적 등은 사용 조건에 따라서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볼 나사에 따르면, 예압 하중을 크게 할 수가 있기 때문에, 소위 대형(대체로 나사축(300)의 외경 치수가 80 ㎜ 이상)의 볼 나사로의 적용을 적합하게 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볼 나사에 따르면, 너트마다 독립적으로 냉각 매체가 순환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냉각 효율이 좋다. 이 냉각 효율의 장점에 의해, 먼저 너트가 냉각되고, 냉각의 효과는 너트 내주의 나선홈으로부터 전동체인 볼에 전달되고, 나아가서는 나사축의 나선홈에 전달되어 나사축을 냉각하여, 발열에 의한 예압 변화나 윤활의 악화를 억제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 냉각의 효과는, 어느 정도 예압 하중이 높고, 나선홈과 전동체, 나선홈과 전동체와의 접촉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에 의해 더욱 효과를 발휘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볼 나사는 비교적 대형의 볼 나사에 적합하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볼 나사에 따르면, 소위 축심 냉각 방식의 채용이 곤란한 장척(대체로 4 m 이상)인 볼 나사축이라도, 축심 냉각 없이 적용할 수 있는데, 필요하다면 축심 냉각을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볼 나사에 따르면, 냉각을 위한 냉각 매체의 유로가 너트마다 독립적으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너트중 어느 하나의 너트를 교환할 필요가 있는 등의 메인테넌스시에도, 각각의 냉각 매체 유로로의 배관을 차단하면, 메인테넌스시의 냉각 매체의 누설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 형태의 볼 나사는, 가공 정밀도를 특별히 필요로 하지 않고, 소위 메인테넌스도 행해지는 일이 있는 대형의 공작 기계의 직동 부분에 사용되는 볼 나사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볼 나사는 냉각 효율이 뛰어나기 때문에, 예압 하중의 변화나 나사축의 길이의 변화가 적고, 과도한 발열에 이르는 일도 억제되기 때문에 윤활제의 열화도 적으므로, 볼 나사의 발열에 의한 직동 부분의 위치 결정 정밀도의 악화가 적으며, 소위 토오크 변동이 적은 안정된 가동이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고, 장척인 나사축이라도 그 효과를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대형의 정밀 가공용의 공작 기계의 직동 부분에 사용되는 볼 나사로서, 특히 적합하다. 그리고 축심 냉각과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볼 나사는, 대형의 정밀 가공용의 공작 기계의 직동 부분에 사용되는 볼 나사로서 적합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해왔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의 변경, 개량을 행할 수가 있다.
1: 볼 나사
100: 제1 너트
150: 냉각부
200: 제2 너트
250: 냉각부
300: 나사축

Claims (4)

  1. 외주면에 나선홈이 형성된 나사축과,
    상기 나선홈에 대향되는 나선홈을 내주면에 가지고, 그 나선홈과 상기 나사축의 나선홈과의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볼을 개재시켜 상기 나사축에 나합하는 2 개의 너트와,
    상기 볼에 예압을 부여하는 예압 부여 부재를 가지고,
    상기 2 개의 너트의 각각에 냉각부가 독립적으로 마련되고,
    이들의 상기 냉각부는, 상기 2 개의 너트 사이를 기준으로 하여 대칭이 되도록 상기 너트의 각각에 배설되고,
    상기 냉각부가, 냉각 매체를 통과시키는 유로이고, 그 유로가 상기 나사축의 축방향을 따르는 축방향 유로, 및 상기 축방향에 직교되어 마련되는 둘레방향 유로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지고,
    상기 예압 부여 부재는, 상기 2 개의 너트와 동축으로 상기 2 개의 너트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이고,
    상기 축방향 유로가 상기 2 개의 너트의 각각을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마련되고,
    상기 둘레방향 유로 중 2 개의 둘레방향 유로가 상기 2 개의 너트 사이에서 대칭으로 마련되며,
    시일부가 상기 2 개의 너트의 각각의 단부에서 상기 2 개의 너트와 동축으로 마련되고, 상기 시일부의 한쪽의 면이 상기 축방향 유로 및 상기 둘레방향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시일부의 다른 쪽의 면이 상기 스페이서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나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에 연결되고, 냉각 매체를 유입하는 유입구멍, 및 상기 유로에 연결되어 냉각 매체를 배출하는 배출구멍이 상기 너트마다 마련되는 볼 나사.
  4. 삭제
KR1020167022676A 2014-02-25 2014-02-25 볼 나사 KR1018326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00987 WO2015128893A1 (ja) 2014-02-25 2014-02-25 ボールね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472A KR20160111472A (ko) 2016-09-26
KR101832647B1 true KR101832647B1 (ko) 2018-02-26

Family

ID=54008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2676A KR101832647B1 (ko) 2014-02-25 2014-02-25 볼 나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07383B2 (ko)
EP (1) EP3104041A1 (ko)
JP (1) JP6183534B2 (ko)
KR (1) KR101832647B1 (ko)
CN (1) CN105378342B (ko)
WO (1) WO20151288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77890B2 (ja) * 2014-07-18 2016-03-08 Thk株式会社 ねじ装置用冷却ノズル及び運動案内装置用冷却ノズル
CN105822740A (zh) * 2016-05-28 2016-08-03 蚌埠精科机床制造有限公司 一种可快速散热的机床滚珠丝杠
CN108150621B (zh) * 2016-12-05 2020-06-16 上银科技股份有限公司 双螺帽冷却式滚珠螺杆
WO2019078105A1 (ja) * 2017-10-19 2019-04-25 Thk株式会社 予圧検知可能なねじ装置
EP3587864B1 (en) * 2018-06-27 2021-05-05 Goodrich Actuation Systems Limited Ballnut lubrication
JP7229685B2 (ja) * 2018-07-10 2023-02-28 Thk株式会社 ねじ装置
JP7200568B2 (ja) * 2018-09-25 2023-01-10 日本精工株式会社 ボールね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8363A (ja) * 1998-07-01 2000-01-18 Toshiba Mach Co Ltd 送りねじ機構の冷却装置
JP2012077905A (ja) * 2010-09-07 2012-04-19 Nsk Ltd ボールねじ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6457A (ja) 1996-09-20 1998-04-14 Niigata Eng Co Ltd ボールスクリュー及びナット
JP2010133556A (ja) * 2008-10-28 2010-06-17 Nsk Ltd ボールねじ装置
JP5961924B2 (ja) 2011-06-09 2016-08-03 日本精工株式会社 ボールねじ装置
KR101500912B1 (ko) * 2011-08-17 2015-03-09 닛본 세이고 가부시끼가이샤 볼 나사 및 그 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8363A (ja) * 1998-07-01 2000-01-18 Toshiba Mach Co Ltd 送りねじ機構の冷却装置
JP2012077905A (ja) * 2010-09-07 2012-04-19 Nsk Ltd ボールね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5128893A1 (ja) 2017-03-30
CN105378342B (zh) 2019-07-09
CN105378342A (zh) 2016-03-02
EP3104041A1 (en) 2016-12-14
JP6183534B2 (ja) 2017-08-30
WO2015128893A1 (ja) 2015-09-03
US20170023124A1 (en) 2017-01-26
KR20160111472A (ko) 2016-09-26
US10107383B2 (en) 201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647B1 (ko) 볼 나사
JP5960684B2 (ja) スリーブシール組立体およびスリーブシール組立体を有するロータリ弁
KR20180008420A (ko) 통합형 차동 메커니즘을 갖는 밸런싱된 스플릿 선 어셈블리, 및 밸런싱된 스플릿 선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배리에이터 및 구동 트레인
EP3112061B1 (en) Main shaft device
JP6352064B2 (ja) 媒体を送り渡す装置
US20150362061A1 (en) Ball Screw Device
JP2015507158A (ja) ロータリー・アクチュエータ
EP3658807B1 (en) Fluid flow control apparatus for use with fluid valves
CN105593531B (zh) 具有密封系统的离心压缩机及相关的组装方法
KR20130126475A (ko) 선박용 프로펠러의 회전 축을 위한 밀봉부
TWI557344B (zh) Ball screw
US3017202A (en) Cooled rotary joint having a plurality of concentrically arranged conduits
KR20130081646A (ko) 냉간 압연기용 베어링 배열체 및 회전식 유입구
RU2673210C1 (ru) Многоходовой клапан и блок многоходового клапана
KR101676783B1 (ko) 온도 보정용 밸브 개폐 장치
CN105473866B (zh) 具有轴承组件的离心压缩机
US2673100A (en) Liquidtight and gastight rotating tubular joint
JP2014084940A (ja) ボールねじ
JP5772232B2 (ja) ボールねじおよびボールねじのナット剛性の制御方法
JP2017009052A (ja) ボールねじの予圧回復装置
USRE21113E (en) sproull
JP5757903B2 (ja) 無段変速機のベルト冷却装置
CN109115018B (zh) 一种用于可拆卸管束纵向隔板与壳体之间的密封机构
JP2007231981A (ja) 油圧シリンダのロッドの冷却装置
JP2016056748A (ja) 組合せ蒸気弁、および、蒸気タービ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