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0971B1 - X선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X선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971B1
KR101830971B1 KR1020110015926A KR20110015926A KR101830971B1 KR 101830971 B1 KR101830971 B1 KR 101830971B1 KR 1020110015926 A KR1020110015926 A KR 1020110015926A KR 20110015926 A KR20110015926 A KR 20110015926A KR 101830971 B1 KR101830971 B1 KR 101830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end
front panel
ray
ray tube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0204A (ko
Inventor
토모유키 스즈키
Original Assignee
하마마츠 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마마츠 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마마츠 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20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0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5/00X-ray tubes
    • H01J35/02Details
    • H01J35/16Vessels; Containers; Shields associated therewith
    • H01J35/165Vessels; Containers; Shields associated therewith joining connectors to the tub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5/00X-ray tubes
    • H01J35/02Details
    • H01J35/025X-ray tubes with structurally associated circuit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5/00X-ray tubes
    • H01J35/02Details
    • H01J35/04Electrodes ; Mutual position thereof; Constructional adaptation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GX-RAY TECHNIQUE
    • H05G1/00X-ray apparatus involving X-ray tubes; Circuits therefor
    • H05G1/02Constructional details
    • H05G1/025Means for cooling the X-ray tube or the gener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5/00X-ray tubes
    • H01J35/02Details
    • H01J35/16Vessels; Containers; Shields associated therewith
    • H01J35/18Window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05F3/04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by means of spark gaps or other discharge devices

Landscapes

  • X-Ray Techniques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X선관(20)에서는, 통상체(25)에 있어서 플랜지부(26)로부터 전측으로 돌출되는 개구 단부(27)가 타겟(31)을 보지하고 있고, 그 개구 단부(27)가 X선 발생 장치의 전면 패널(4)의 관통공(4a)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타겟(31)이 전면 패널(4)의 외표면 근방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전면 패널(4) 및 통상체(25)가 열전도성을 가지고 있고, 통상체(25)의 플랜지부(26)가 X선 발생 장치의 전면 패널(4)에 접촉하고 있다. 이에 의해 타겟(31)에서 발생한 열이 플랜지부(26)를 통해 전면 패널(4)로 방출되게 된다.

Description

X선 발생 장치{X-RAY GENER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광조사식 정전기 제거 장치 등에 적용되는 X선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술 분야에 있어서의 X선 발생 장치로서 X선을 출력하는 X선관과, X선관에 구동 전압을 입력하는 회로부와, X선관 및 회로부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제4223863호 공보 참조). 또한, X선관으로서 구동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전자를 방출하는 전자 방출부와, 그 전자가 조사됨으로써 X선을 방출하는 X선 방출부와, 전자 방출부를 수용하는 밸브와, 밸브의 개구부에 접속되어 X선 방출부를 보지하는 통상체를 가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제4223863호 공보 및 국제 공개 제2005/029531호 참조).
<특허분헌 1> 일본국 특허 제4223863호 공보 <특허분헌 2> 국제공개 제2005/029531호
그런데, 상술한 것 같은 X선 발생 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정전기 제거 장치의 제전(除電)범위를 넓게 하기 위해서, X선 조사각을 넓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한편, 특히 연(軟)X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X선 방출부가 고온으로 되므로 X선 방출부를 효율 좋게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X선 조사각을 넓게 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X선 방출부를 효율 좋게 냉각할 수가 있는 X선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련되는 X선 발생 장치는, X선을 출력하는 X선관과, X선관에 구동 전압을 입력하는 회로부와, X선관 및 회로부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X선 발생 장치로서, X선관은, 구동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전자를 방출하는 전자 방출부와, 전자가 조사됨으로써 X선을 방출하는 X선 방출부와, 전자 방출부를 수용하는 밸브와, 플랜지부, 플랜지부로부터 일방의 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X선 방출부를 보지하는 제1의 개구 단부, 및 플랜지부로부터 타방의 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밸브의 개구부에 접속된 제2의 개구 단부를 포함하는 통상체를 가지고, 케이스에 있어서 X선관이 부착된 전면 패널, 및 X선관의 통상체는, 도전성 및 열전도성을 가지고 있고, 통상체의 제1의 개구 단부는, 전면 패널의 관통공 내에 배치되어 있고, 통상체의 플랜지부는, 전면 패널에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X선 발생 장치에서는, 통상체에 있어서 플랜지부로부터 일방의 측으로 돌출하는 제1의 개구 단부가 X선 방출부를 보지하고 있고, 그 제1의 개구 단부가 전면 패널의 관통공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X선 방출부가 전면 패널의 외표면 근방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이 X선 발생 장치에 의하면, X선 조사각을 넓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전면 패널 및 통상체가 도전성 및 열전도성을 가지고 있고, 통상체의 플랜지부가 전면 패널에 접촉하고 있다. 이에 의해 X선 방출부에서 발생한 열이 플랜지부를 통해 전면 패널로 방출되게 된다. 따라서, 이 X선 발생 장치에 의하면, X선 방출부를 효율 좋게 냉각할 수가 있다.
여기서, 통상체는, 제1의 개구 단부를 포함하고 또한 타방의 단부에 제1의 플랜지가 형성된 제1의 통상부재, 및 제2의 개구 단부를 포함하고 또한 일방의 단부에 제2의 플랜지가 형성된 제2의 통상부재를 가지고, 플랜지부는, 제1의 플랜지와 제2의 플랜지가 접합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플랜지부, 제1의 개구 단부 및 제2의 개구 단부를 포함하는 통상체를 용이하게 또한 정밀도 좋게 형성할 수가 있다.
또, 제1의 개구 단부는, 전면 패널의 전측으로부터 본 경우에 제2의 개구 단부에 포함되는 외형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플랜지부를 넓게 하고, X선 방출부를 보다 효율 좋게 냉각할 수가 있다.
혹은, 제1의 개구 단부는, 전면 패널의 전측으로부터 본 경우에 제2의 개구 단부를 포함하는 외형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X선 방출부를 넓게 하고, X선 조사각을 보다 넓게 할 수가 있다.
또, 제1의 개구 단부의 외면은, 전면 패널의 관통공의 내면에 접촉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X선 방출부에서 발생한 열이 플랜지부뿐만이 아니라 제1의 개구 단부를 통해서도 전면 패널로 방출되므로 X선 방출부를 보다 효율 좋게 냉각할 수가 있다.
혹은, 제1의 개구 단부의 외면과 전면 패널의 관통공의 내면과의 사이에는 도전성 수지재가 충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X선 방출부에서 발생한 열이 플랜지부뿐만이 아니라 제1의 개구 단부 및 도전성 수지재를 통해서도 전면 패널로 방출되므로 X선 방출부를 보다 효율 좋게 냉각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X선 조사각을 넓게 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X선 방출부를 효율 좋게 냉각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의 X선 발생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X선 발생 장치에 있어서의 X선관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X선 발생 장치에 있어서의 X선관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X선 발생 장치에 있어서의 X선관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X선 발생 장치에 있어서의 X선관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X선 발생 장치에 있어서의 X선관 주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X선 발생 장치에 있어서의 X선관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X선 발생 장치에 있어서의 X선관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X선 발생 장치에 있어서의 X선관 주변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각 도에 있어서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듯이, X선 발생 장치(1)는 도전성 및 열전도성을 가지는 재료(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케이스(2)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2)는 직사각형통 모양의 케이스 본체(3), 직사각형판 모양의 전면 패널(4) 및 배면 패널(5)을 포함하고 있다. 케이스 본체(3)의 하면에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는 부착 베이스(6)가 작은 나사(7)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케이스(2)는 X선을 출력하는 X선관(20), 및 X선관(20)에 구동 전압을 입력하는 회로부(8)를 수용하고 있다.
회로부(8)는, 예를 들면 -9.5㎸라고 하는 고전위의 구동 전압을 X선관(20)에 입력한다. 회로부(8)에 있어서는 단자(9)를 통해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저전압 발생부(8a)에서 예를 들면 -1㎸까지 전위가 상승하게 하고, 그 후, 고전압 발생부(8b)에서 예를 들면 -9.5㎸k까지 전위가 상승하게 한다.
저전압 발생부(8a)와 고전압 발생부(8b)는, 케이스(2) 내에 있어서, 스테인리스강제의 쉴드 플레이트(shield plate)(11)에 의해 전자적으로 격리되어 있다. 케이스(2) 내의 저면에는, 스테인리스강제의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12)가 회로부(8)와 함께 작은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2)는 전단(前端)에 있어서 L자 모양으로 세워져 전면 패널(4)에 고정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나듯이, X선관(20)은, 예를 들면 코바르(Kovar) 유리(glass)로 이루어지는 원통형의 밸브(21)를 가지고 있다. 밸브(21)의 전단부(일방의 단부)는 열려 있고, 개구부(21a)로 되어 있다. 밸브(21)의 후단부(타방의 단부)는 닫혀 있고, 스템(stem)(21b)으로 되어 있다. 또한, 스템(21b)에는 X선관(20)의 제조시에 있어서 밸브(21) 내를 진공으로 한 후 봉지된 배기관(21c)이 남아 있다.
스템(21b)에는 한 벌의 스템 핀(22)이 관통되어 고정되어 있다. 각 스템 핀(22)의 후단부는 회로부(8)의 고전압 발생부(8b)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한 벌의 스템 핀(22)의 전단부에는 음극으로서의 필라멘트(filament)(전자 방출부)(23)가 걸쳐져 있다. 필라멘트(23)는 스템 핀(22)을 통해 회로부(8)에 의해 구동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전자를 방출한다. 또한, 일방의 스템 핀(22)에는 필라멘트(23)를 포위하도록 원통형의 포커스(24)가 고정되어 있다. 밸브(21)는 필라멘트(23) 및 포커스(24)를 수용하고 있다.
밸브(21)의 개구부(21a)에는 도전성 및 열전도성을 가지는 재료(예를 들면, 코바르 금속 등의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원통형의 통상체(25)가 고정되어 있다. 통상체(25)는 전측의 통상부재(제1의 통상부재)(25a)와 후측의 통상부재(제2의 통상부재)(25b)가 접속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통상부재(25a)는 전측의 개구 단부(제1의 개구 단부)(27)를 포함하고 또한 후단부에 플랜지(제1의 플랜지)(26a)가 형성된 것이다. 통상부재(25b)는 후측의 개구 단부(제2의 개구 단부)(28)를 포함하고 또한 전단부에 플랜지(제2의 플랜지)(26b)가 형성된 것이다. 통상체(25)에 있어서는 통상부재(25a)의 플랜지(26a)와 통상부재(25b)의 플랜지(26b)가 스폿 용접에 의해 접합됨으로써 플랜지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통상체(25)는 플랜지부(26), 플랜지부(26)로부터 전측(일방측)으로 돌출되는 개구 단부(27), 및 플랜지부(26)로부터 후측(타방측)으로 돌출되는 개구 단부(28)를 포함하게 된다. 후측의 개구 단부(28)는 개구끼리가 접속되도록 유리 융착에 의해 밸브(21)의 개구부(21a)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전측의 개구 단부(27)의 직경은 후측의 개구 단부(28)의 직경보다 작게 되어 있다. 즉, 전측의 개구 단부(27)는 전면 패널(4)의 전측으로부터 본 경우에 후측의 개구 단부(28)에 포함되는 외형을 가지고 있다.
전측의 개구 단부(27)에는 그 개구가 막히도록 예를 들면 베릴륨으로 이루어지는 원판상의 창부재(29)가 은납땜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창부재(29)의 내면에는 예를 들면 텅스텐으로 이루어지는 타겟(target)(X선 방출부)(31)이 증착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타겟(31)은 통상체(25)의 개구 단부(27)에 보지되어 있다. 타겟(31)은 필라멘트(23)에서 방출되어 포커스(24)에서 수속(收束)된 전자빔이 조사됨으로써 X선을 방출한다. 그리고, 타겟(31)으로 방출된 X선은 창부재(29)를 통해 외부로 출사된다.
다음에, 전면 패널(4)에 대한 X선관(20)의 부착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나듯이, 전면 패널(4)은 X선관(20)이 부착되는 부착부(13)를 포함하고 있다. 부착부(13)는 전면 패널(4)의 일부가 내측을 향해 두꺼워짐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부착부(13)의 후면(13a)에는 단면 원형 모양의 오목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4)의 저면(14a)에는, 전면 패널(4)을 관통하는 관통공(4a)이 형성되어 있다.
X선관(20)은 부착부(13)의 오목부(14)에 대해서 후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있다. 여기서, 통상체(25)의 전측의 개구 단부(27)는 전면 패널(4)의 관통공(4a) 내에 배치되어 있고, 통상체(25)의 플랜지부(26)는 오목부(14)의 저면(14a)(즉, 전면 패널(4)의 내면)에 접촉하고 있다. X선관(20)은 이 상태에서 O링(O ring)(15)을 통해 고정 너트(16)에 의해 부착부(13)에 고정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O링(15) 및 고정 너트(16)의 관통공(16a)에 X선관(20)의 밸브(21)가 삽입통과하게 하여 오목부(14)의 내면의 암나사(14b)에 고정 너트(16)의 수나사(16b)가 나합(螺合)되어 있다. 이에 의해 통상체(25)의 플랜지부(26)가 오목부(14)의 저면(14a)에 압압되고, X선관(20)이 전면 패널(4)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고정 너트(16)는, 예를 들면 황동으로 이루어지고, 원기둥 모양의 몸통부(17) 및 육각 헤드부(head portion)(18)를 포함하고 있다. 수나사(16b)는 원기둥 모양의 몸통부(17)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X선 발생 장치(1)에 있어서는 케이스(2)의 전면 패널(4) 및 X선관(20)의 통상체(25)가 도전성 및 열전도성을 가지고 있고 서로 접촉하고 있다. 그 때문에 X선관(20)의 타겟(31)은 창부재(29), 통상체(25) 및 전면 패널(4)을 통해 접지 전위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9.5㎸라고 하는 고전위의 구동 전압이 필라멘트(23)에 인가되면, 필라멘트(23)에서 전자가 방출되고, 그 방출된 전자가 타겟(31)을 향해 가속되면서 포커스(24)에서 수속된다. 그리고, 그 가속되면서 수속된 전자가 타겟(31)에 조사되면, 타겟(31)에서 X선이 방출되고, 그 방출된 X선이 창부재(29)를 통해 외부로 출사된다.
이 때, X선 발생 장치(1)에서는 통상체(25)에 있어서 플랜지부(26)로부터 전측으로 돌출되는 개구 단부(27)가 타겟(31)을 보지하고 있고, 그 개구 단부(27)가 전면 패널(4)의 관통공(4a)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타겟(31)이 전면 패널(4)의 외표면 근방(여기에서는, 대략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X선의 진로가 전면 패널(4)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여, 예를 들면 150°라고 하듯이(도 4 참조), X선 조사각을 넓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전면 패널(4) 및 통상체(25)가 열전도성을 가지고 있고, 통상체(25)의 플랜지부(26)가 전면 패널(4)에 접촉하고 있다. 이에 의해 타겟(31)에서 발생한 열이 플랜지부(26)를 통해 전면 패널(4)로 방출되게 된다. 따라서, 특히 연X선을 사용하는 경우에 고온으로 되기 쉬운 타겟(31)을 효율 좋게 냉각할 수가 있다.
또, X선관(20)에 있어서는 통상부재(25a)의 플랜지(26a)와 통상부재(25b)의 플랜지(26b)가 스폿 용접에 의해 접합됨으로써 통상체(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플랜지부(26) 및 개구 단부(27, 28)를 포함하는 통상체(25)를 용이하게 또한 정밀도 좋게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다음과 같이 X선관(20)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제조시에 타겟(31)이 열손상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즉, 타겟(31)이 형성된 창부재(29)를 통상부재(25a)의 전측의 개구 단부(27)에 은납땜으로 고정한다. 그 한편, 통상부재(25b)의 후측의 개구 단부(28)를 밸브(21)의 개구부(21a)에 유리 융착으로 고정한다. 그 후, 통상부재(25a)의 플랜지(26a)와 통상부재(25b)의 플랜지(26b)를 스폿 용접으로 고정한다. 이에 의해 가장 고온이 되는 유리 융착시에 타겟(31)이 가열되는 것이 없어진다.
또, X선관(20)에 있어서는 전측의 개구 단부(27)는 전면 패널(4)의 전측으로부터 본 경우에 후측의 개구 단부(28)에 포함되는 외형을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해 전면 패널(4)에 대한 플랜지부(26)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므로, 이 구성은 타겟(31)의 냉각 성능을 한층 더 향상시키고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밸브(21)나 통상체(25)는 단면 원형 모양의 원통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단면 형상의 통체라도 좋다.
또, 도 5~도 7에 나타나듯이, 타겟(31)이 형성된 창부재(29)는 창부재(29)를 보호하는 관점으로부터, 전면 패널(4)의 외표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내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그 경우, 도 5에 나타나듯이, 관통공(4a)의 전측의 개구부(4b)를 전측을 향해 넓어지지 않는 모양으로 되는 테이퍼 구멍으로 하거나, 도 6에 나타나듯이, 관통공(4a)의 전측의 개구부(4b)를 전측을 향해 스텝 모양으로 확대하는 계단식 구멍으로 하거나 하면, X선의 진로가 전면 패널(4)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나듯이, 관통공(4a)의 전측의 개구부(4b)의 높이를 낮게 억제하면 마찬가지의 효과가 나타난다.
또, 전측의 개구 단부(27)의 외면(27a)은 전면 패널(4)의 관통공(4a)의 내면에 접촉하고 있어도 좋다(예를 들면, 도 5~도 7 참조). 이 구성에 의하면, 타겟(31)에서 발생한 열이 플랜지부(26)뿐만이 아니라 개구 단부(27)를 통해서도 전면 패널(4)로 방출되게 되므로 타겟(31)을 보다 효율 좋게 냉각할 수가 있다. 또한, 전면 패널(4)에 대한 X선관(20)의 부착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가 있다.
혹은, 도 8에 나타나듯이, 전측의 개구 단부(27)의 외면(27a)과 전면 패널(4)의 관통공(4a)의 내면과의 사이에 도전성 수지재(19)가 충전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타겟(31)에서 발생한 열이 플랜지부(26)뿐만이 아니라 개구 단부(27) 및 도전성 수지재(19)를 통해서도 전면 패널(4)로 방출되게 되므로 타겟(31)을 보다 효율 좋게 냉각할 수가 있다. 또한, 전면 패널(4)에 대한 X선관(20)의 부착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가 있다.
또, 케이스(2)에 있어서는 적어도 전면 패널(4) 중에 X선관(20)이 부착되는 부분이 도전성 및 열전도성을 가지고 있으면 좋다. 또한, 도 9에 나타나듯이, 전면 패널(4)에 있어서 적어도 X선관(20)의 플랜지부(26)가 접촉하는 부분을 착탈이 자유로운 별도의 부재(4c)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별도의 부재(4c)에 도전성이나 열전도성이 보다 높은 재료를 이용할 수가 있다.
또, 도 10에 나타나듯이, 전측의 개구 단부(27)의 직경은 후측의 개구 단부(28)의 직경보다 크게 되어 있어도 좋다. 즉, 전측의 개구 단부(27)는 전면 패널(4)의 전측으로부터 본 경우에 후측의 개구 단부(28)를 포함하는 외형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타겟(31)을 넓게 하고, X선 조사각을 보다 넓게 할 수가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나듯이, 전측의 개구 단부(27)의 직경과 후측의 개구 단부(28)의 직경이 대충 같게 되어 있어도 좋다. 즉, 전면 패널(4)의 전측으로부터 본 경우에 전측의 개구 단부(27)의 외형과 후측의 개구 단부(28)의 외형이 대략 같아도 좋다.
본 발명의 광조사식 정전기 제거 장치 등에 적용되는 X선 발생 장치에 의하면, X선 조사각을 넓게 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X선 방출부를 효율 좋게 냉각할 수가 있다.
1: X선 발생 장치
2 : 케이스 3 : 케이스 본체
4 : 전면 패널 5 : 배면 패널
6 : 부착 베이스 7 : 작은 나사
20 : X선관 25 : 통상체
26 : 플랜지부 27, 28 : 개구 단부
31 : 타겟

Claims (6)

  1. X선을 출력하는 X선관과, 상기 X선관에 구동 전압을 입력하는 회로부와, 상기 X선관 및 상기 회로부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X선 발생 장치로서,
    상기 X선관은,
    상기 구동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전자를 방출하는 전자 방출부와,
    상기 전자가 조사됨으로써 상기 X선을 방출하는 X선 방출부와,
    상기 전자 방출부를 수용하는 밸브와,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일방의 측으로 돌출되고 또한 상기 X선 방출부를 보지하는 제1의 개구 단부, 및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타방의 측으로 돌출되고 또한 상기 밸브의 개구부에 접속된 제2의 개구 단부를 포함하는 통상체를 가지고,
    상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X선관이 부착된 전면 패널, 및 상기 X선관의 상기 통상체는, 도전성 및 열전도성을 가지고 있고,
    상기 통상체의 상기 제1의 개구 단부는, 상기 전면 패널의 관통공 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통상체의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전면 패널에 접촉하고 있고,
    상기 제1의 개구 단부는, 상기 전면 패널의 전측으로부터 본 경우에 상기 제2의 개구 단부에 포함되는 외형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발생 장치.
  2. X선을 출력하는 X선관과, 상기 X선관에 구동 전압을 입력하는 회로부와, 상기 X선관 및 상기 회로부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X선 발생 장치로서,
    상기 X선관은,
    상기 구동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전자를 방출하는 전자 방출부와,
    상기 전자가 조사됨으로써 상기 X선을 방출하는 X선 방출부와,
    상기 전자 방출부를 수용하는 밸브와,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일방의 측으로 돌출되고 또한 상기 X선 방출부를 보지하는 제1의 개구 단부, 및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타방의 측으로 돌출되고 또한 상기 밸브의 개구부에 접속된 제2의 개구 단부를 포함하는 통상체를 가지고,
    상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X선관이 부착된 전면 패널, 및 상기 X선관의 상기 통상체는, 도전성 및 열전도성을 가지고 있고,
    상기 통상체의 상기 제1의 개구 단부는, 상기 전면 패널의 관통공 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통상체의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전면 패널에 접촉하고 있고,
    상기 제1의 개구 단부는, 상기 전면 패널의 전측으로부터 본 경우에 상기 제2의 개구 단부를 포함하는 외형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발생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체는, 상기 제1의 개구 단부를 포함하고 또한 타방의 단부에 제1의 플랜지가 형성된 제1의 통상부재, 및 상기 제2의 개구 단부를 포함하고 또한 일방의 단부에 제2의 플랜지가 형성된 제2의 통상부재를 가지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제1의 플랜지와 상기 제2의 플랜지가 접합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발생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개구 단부의 외면은, 상기 전면 패널의 상기 관통공의 내면에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발생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개구 단부의 외면과 상기 전면 패널의 상기 관통공의 내면과의 사이에는 도전성 수지재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발생 장치.
  6. 삭제
KR1020110015926A 2010-04-28 2011-02-23 X선 발생 장치 KR1018309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03746 2010-04-28
JP2010103746A JP5730497B2 (ja) 2010-04-28 2010-04-28 X線発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204A KR20110120204A (ko) 2011-11-03
KR101830971B1 true KR101830971B1 (ko) 2018-02-21

Family

ID=44887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926A KR101830971B1 (ko) 2010-04-28 2011-02-23 X선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730497B2 (ko)
KR (1) KR101830971B1 (ko)
CN (1) CN102237242B (ko)
TW (1) TWI5111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20636B3 (de) 2012-11-13 2013-12-19 Siemens Aktiengesellschaft Röntgenstrahlergehäuse und Röntgenstrahler
CN102956419A (zh) * 2012-11-27 2013-03-06 公安部第一研究所 软x射线管及其制造方法及具有该射线管的光离子静电消除器
US9282622B2 (en) * 2013-10-08 2016-03-08 Moxtek, Inc. Modular x-ray source
KR101586342B1 (ko) * 2014-07-28 2016-01-20 (주)엑스엘 제전 범위 및 방열 기능이 향상된 연엑스선 발생 장치
KR20160019205A (ko) 2014-08-11 2016-02-1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X-선 발생장치
JP6611490B2 (ja) 2015-07-02 2019-11-27 キヤノン株式会社 X線発生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x線撮影システム
CN106158556B (zh) * 2016-08-31 2018-02-09 成都凯赛尔电子有限公司 一种x射线管电压老炼方法
CN110112047B (zh) * 2019-04-28 2021-06-15 温州市康源电子有限公司 一种工业用检测x射线管
JP7222109B2 (ja) * 2019-09-26 2023-02-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管取付部材、放射線源、およびトモシンセシス撮影装置
CN215226201U (zh) * 2021-05-11 2021-12-21 深圳市鑫凌峰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沙发架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6056A (ja) 2003-05-30 2004-12-16 Hamamatsu Photonics Kk X線発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587Y1 (ko) * 1970-11-21 1974-01-16
JPS491587A (ko) * 1972-03-16 1974-01-08
JP2000047457A (ja) * 1998-07-31 2000-02-18 Ricoh Co Ltd 帯電装置
US6313521B1 (en) * 1998-11-04 2001-11-06 Nec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228339B2 (ja) * 1998-11-04 2001-11-12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69851B2 (ja) * 2003-09-16 2012-07-04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X線管
ATE421763T1 (de) * 2006-04-04 2009-02-15 Paul Mueller Gmbh & Co Kg Lagereinheit für drehanoden von röntgenröhren
TW200802487A (en) * 2006-06-22 2008-01-01 Teco Elec & Machinery Co Ltd X ray device with multi-angles and plural area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6056A (ja) 2003-05-30 2004-12-16 Hamamatsu Photonics Kk X線発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30497B2 (ja) 2015-06-10
CN102237242A (zh) 2011-11-09
TWI511175B (zh) 2015-12-01
JP2011233411A (ja) 2011-11-17
KR20110120204A (ko) 2011-11-03
CN102237242B (zh) 2016-01-13
TW201145342A (en) 201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0971B1 (ko) X선 발생 장치
US7382862B2 (en) X-ray tube cathode with reduced unintended electrical field emission
US20140140486A1 (en) Radiation generating apparatus and radiation imaging apparatus
US9831060B2 (en) X-ray generating apparatus and radiography system using the same
KR101001428B1 (ko) X선관 및 x선원
US20140153695A1 (en) Radiation generating apparatus and radiation imaging apparatus
JP6388387B2 (ja) X線管
US9117621B2 (en) Radiation generating tube, radiation generating unit, and radiation image taking system
KR102092368B1 (ko) 엑스레이 튜브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20200225A1 (en) Light emitting sealed body and light source device
JP2022098419A (ja) 発光ユニット及び光源装置
KR20190119531A (ko) X선관
JP6366983B2 (ja) X線管
JP2007250328A (ja) X線管及びx線管装置
JP2004111336A (ja) X線管
JP2008128977A (ja) 電子線照射装置
US10916402B2 (en) Electron beam irradiation device and electron beam irradiation method
US7764018B2 (en) Gas discharge tube
US7898181B2 (en) Traveling wave tube
KR102384352B1 (ko) 전자빔 발생장치
JP2007242556A (ja) 電子銃、エネルギー線発生装置、電子線発生装置、及びx線発生装置
JP2011216303A (ja) X線源及びx線源の製造方法
JP5801161B2 (ja) X線管及びx線管の製造方法
KR20170025065A (ko) 팁오프용 관을 구비한 초소형 엑스선관 및 그 제조 방법
JP4995648B2 (ja) 重水素ランプ用ランプハウス及び光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