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0491B1 - 고정구 - Google Patents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491B1
KR101830491B1 KR1020157036508A KR20157036508A KR101830491B1 KR 101830491 B1 KR101830491 B1 KR 101830491B1 KR 1020157036508 A KR1020157036508 A KR 1020157036508A KR 20157036508 A KR20157036508 A KR 20157036508A KR 101830491 B1 KR101830491 B1 KR 101830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ch
fixture
piercing
substrate
sh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6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3989A (ko
Inventor
토모코 후지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우오크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우오크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우오크사
Publication of KR20160013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3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1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44B17/0052Press-button fasteners consisting of four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s
    • A41F1/002Magnetic faste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1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 A44B1/2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with shank and counterpiece
    • A44B1/32Shank inserted into counterpiece and locked by sliding or rotating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44B17/0005Fastening of press-button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3/00Fastening by use of magn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9Necktie fastener
    • Y10T24/1959Magnetic, adhesive, or snap type fastener connects tie to shi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2Buckles, buttons, clasps, etc. having magnetic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4Combined diverse multipart fasteners
    • Y10T24/3467Pin
    • Y10T24/3468Pin and p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6Pin or separate essential cooperating device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과제] 의류나 가방류 등의 개구 부분의 걸림 결합 시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걸림 결합부의 임의의 개소를, 봉합이나 리벳 등의 가공이 수반되는 일이 없이, 착탈이 자유롭고 또한 확실하게 걸림 결합할 수 있는 고정구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서로 착탈이 자유로운 착탈부를 가지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부재(a, b)로 이루어지고, 이 고정부재(a, b)의 각각이 일면에 피어스 침을 마련한 기판과, 피어스 침이 관통되는 저판과 관통된 피어스 침 선단부를 덮기 위한 사발 형상체로 이루어진 피어스 캐치와, 서로를 착탈이 자유롭게 걸림 결합하는 착탈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고정구.

Description

고정구{FASTENER}
본 발명은 피어스 캐치가 딸린 피어스 침을 이용한 의류나 가방류 등의 개구 부분을 자유롭게 개폐하기 위한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손잡이가 알려져 있다. 이 손잡이는 잡는 부분의 양단에 이중으로 고리를 마련하여, 당해 특허문헌1의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고리에 소정의 형태로 접은 보자기의 양쪽 부분을 고정시켜, 전체적으로 핸드백으로서 이용하는 것이다.
특허문헌1 : 특개 2008-110196호 공보
그러나, 상기 손잡이와 보자기를 이용하여 핸드백을 형성한 경우, 물건을 넣거나 꺼내는 개구부가 열린 상태가 된다. 한편, 일반적인 금구나 지퍼를 이용할 경우, 리벳·봉합 등의 가공작업을 필요로 하므로 매우 번거롭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고정구는
천 등의 면재(面材)를 관통시키는 피어스 침을 마련한 한 쌍의 기판과,
상기 한 쌍의 기판에 대응해서 마련되고, 상기 피어스 침을 사이에 끼워서 고정(挾持)하는 피어스 캐치와,
상기 한 쌍의 기판에 마련되고 또한 당해 기판끼리를 착탈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착탈 시에 필요한 힘이, 상기 피어스 캐치가 피어스 침을 유지하는 힘보다 작게 되도록 설정된 착탈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착탈수단은 일측 기판에 마련된 수호크 및 타측 기판에 마련된 암호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착탈수단은 일측 기판에 마련된 마그넷과 타측 기판에 마련된 마그넷 또는 자성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측 기판에 볼록부를 마련하고, 타측 기판에 상기 볼록부에 대응하는 오목부를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정구는 천 등의 면재(面材)를 관통시키는 피어스 침을 마련한 한 쌍의 기판과,
상기 한 쌍의 기판에 대응하여 마련되고, 상기 피어스 침을 사이에 끼워서 고정하는 피어스 캐치와,
일측 기판에 대응하는 피어스 캐치의 외주에 제1착탈편을 마련하고, 타측 기판에 상기 피어스 캐치를 둘러싼 형상의 제2착탈편을 마련하고, 제1착탈편 및 제2착탈편이 마그넷끼리 또는 마그넷과 자성체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착탈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고정구는
천 등의 면재(面材)를 관통시키는 피어스 침을 마련한 한 쌍의 기판과,
상기 한 쌍의 기판에 대응하여 마련되고, 상기 피어스 침을 사이에 끼워서 고정하는 피어스 캐치와,
일측 기판에 대응하는 피어스 캐치의 외주에 제1착탈편을 마련하고, 타측 기판에 상기 피어스 캐치를 둘러싼 형상의 제2착탈편을 마련하고, 제1착탈편 및 제2착탈편의 일측에 마련한 수호크 및 타측에 마련한 암호크로 구성되는 착탈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측 기판에 철사에 걸림 결합(係止)하는 후크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고정구는 천 등의 면재(面材)를 관통시키는 피어스 침을 마련한 기판과 상기 기판에 대응하여 마련되고, 상기 피어스 침을 사이에 끼워서 고정하는 피어스 캐치와,
상기 기판에 마련된 마그넷,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어스 캐치 또는 기판에, 액세서리의 착탈수단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어스 캐치에 피어스 침의 착탈조작 부분을 적어도 덮는 캡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1에 따른 고정구(A타입)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고정구를 핸드백 등의 개구부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2에 따른 고정구(B타입)를 나타내는 부분 파단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3에 따른 고정구(C타입)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파단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4에 따른 고정구(B타입)를 나타내는 부분 파단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5에 따른 고정구(D타입)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파단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1∼3에 따른 피어스 캐치(3)의 구조를 변경한 피어스 캐치를 나타내는 부분 파단 측면도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4 및 5에 따른 피어스 캐치의 구조를 변경한 피어스 캐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고정구에 액세서리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실시 형태7에 따른 피어스 캐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실시 형태8에 따른 고정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실시 형태9에 따른 고정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낸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실시 형태10에 따른 고정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나타낸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0은 실시 형태11에 따른 고정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나타낸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2는 실시 형태12에 따른 고정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나타낸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4는 상기 실시 형태1∼12에 나타낸 고정구의 사용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5는 토트백에 고정구를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6은 머플러나 스톨에 고정구를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7은 고정구의 고정부재를 하나만 사용할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8은 도 27에 나타낸 고정부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9는 실시 형태10 내지 12의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아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고정구의 고정구 부재의 계합(係合) 타입별로 설명한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타입은 A, B, C 및 D타입인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고정구는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정구(A타입)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파단 측면도이다. 고정구는 한 쌍의 고정부재(a, b)로 이루어진다. 이들 고정부재(a, b)는 뒷면에 피어스 침(2)을 구비한 기판(1)과, 피어스 침(2)을 유지하는 피어스 캐치(3)를 각각 구비한다. 피어스 캐치(3)는 상기 피어스 침(2)의 관통공(4)을 가지는 저면부재(5)와, 저면부재(5)에서 연장되어 상기 피어스 침(2)의 선단부를 사이에 끼워서 고정하는 협지편(挾持片)(7)(캐치부재)과, 저면부재(5) 및 협지편(7)을 내부에 수납하는 케이스(6)를 가진다. 기판(1)은 평면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천에 부착할 때에 당해 천을 피어스 캐치(3)와의 사이에서 유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피어스 캐치(3)의 기판(1) 측의 면도 평면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부재(a)의 기판(1)의 표면에는, 착탈부를 구성하는 암호크(9)가 마련되어 있다. 고정부재(b)의 기판(1)의 표면에는, 착탈부를 구성하는 수호크(8)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피어스 캐치(3)는 상기 구성 이외에 공지된 구조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고정구를 핸드백 등의 개구부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우선, 각각의 고정부재(a, b)의 기판(1)에 마련된 피어스 침(2)을 피어스 캐치(3)에서 빼낸 상태로 하여 둔다. 다음으로, 각각의 피어스 침(2)을 상기 개구부의 걸림 결합(係止)하고자 하는 개소에 대향하는 천(10)에 관통시키고, 이어서 당해 관통한 피어스 침(2)의 선단부를 피어스 캐치(3)의 관통공(4)을 통과시켜 고정부재(a, b)를 천(10)에 고정시킨다. 고정부재(a, b)는 상기 개구부의 천(10)의 대향면에 각각 마련한다. 그리고, 개구부에서 대향하는 고정부재(a, b)의 수호크(8) 및 암호크(9)를 감합(嵌合)시킴으로써, 당해 개구부를 닫을 수 있다. 수호크(8) 및 암호크(9)를 떼어 놓음으로써, 개구부를 열 수 있다.
암호크(9)의 용수철 강도에 따라, 수호크(8) 및 암호크(9)의 감합(嵌合) 강도가 달라지게 된다. 암호크(9)의 용수철 강도가 크면, 암호크(9)로부터 수호크(8)을 분리할 때, 암호크(9)와 수호크(8)가 분리되기 전에 피어스 캐치(3)가 피어스 침(2)으로부터 분리되어 버린다. 즉, 피어스 캐치(3)를 잡고 당겼을 때, 피어스 캐치(3)가 피어스 침(2)을 유지하는 힘보다 암호크(9)로부터 수호크(8)를 분리시키는 힘이 크면, 피어스 캐치(3)로부터 피어스 침(2)이 빠져 버려, 개구부를 개구할 수 없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암호크(9)의 용수철 강도를, 수호크(8) 및 암호크(9)의 착탈 시에 필요한 힘이, 피어스 캐치(3)가 피어스 침(2)을 유지하는 힘보다 작도록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이 고정구에 의하면, 천 또는 가죽이라면 아무런 가공을 하지 않고 어디든지 부착이 가능하다. 또한, 분리가 자유롭기 때문에 재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피어스 침에 의한 부착이므로 천에 거의 흔적이 남지 않는다. 그리고, 고정구를 기존의 상품에 부착함으로써, 단순한 천이 목 앞에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구가 딸린 머플러, 스카프, 망토 등이 된다. 또한, 어떤 위치에도 간단하게 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토트백의 닫고자 하는 임의의 위치에서 개폐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고정구를 이용함으로써 철하는 위치를 복수 설정할 수 있다.
실시 형태2
도 3은 실시 형태2에 따른 고정구(B타입)를 나타내는 부분 파단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실시 형태1에 따른 고정구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2에 따른 고정구는 도 3에 나타난 고정구의 기판(1) 자체를 마그넷으로 형성한 점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기판(1) 자체를 마그넷으로 형성함으로써, 기판(1)끼리를 간단하게 착탈할 수 있다. 또한, 기판(1)의 일측을 마그넷으로 형성하고, 타측을 강자성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넷은 기판(1)의 전면 또는 일부에 마련할 수도 있다(도시 생략).
또한, 본 발명의 고정구를 천(10)에 부착하여 사용할 경우, 기판(1)의 두께는 천(10)과 천(10)의 사이에 공간이 생기지 않는 두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판(1)의 평면 형상은 원형, 사각형, 직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일 수도 있다. 또한, 기판(1)으로부터 연장 돌출되는 피어스 침(2)의 수도 기판(1)의 형상에 따라, 1개 또는 복수개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개의 피어스 침(2)을 이용할 경우에는 각각의 피어스 침(2)에 대응한 복수의 피어스 캐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 고정구에 의하면, 상기와 마찬가지로, 천 또는 가죽이라면 아무런 가공을 하지 않고 어디든지 부착이 가능하다. 또한, 분리가 자유롭기 때문에 재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피어스 침에 의한 부착이므로 천에 거의 흔적이 남지 않는다. 그리고, 고정구를 기존의 상품에 부착함으로써, 단순한 천이 목 앞에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구가 딸린 머플러, 스카프, 망토 등이 된다. 또한, 어떤 위치에도 간단하게 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토트백의 닫고자 하는 임의의 위치에서 개폐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고정구를 이용함으로써 철하는 위치를 복수 설정할 수 있다. 특히, 마그넷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개폐가 간단하다. 마그넷 힘을 변경함으로써, 용도에 맞추어 최적의 개폐력을 얻을 수도 있다.
실시 형태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3에 따른 고정구(C타입)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파단 측면도이다. 이 고정구는 실시 형태2의 B타입 고정구의 기판(1)의 일측을 마그넷에서 자성재료로 변경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3에서는 기판(1)의 착탈면의 일측에 오목부(11), 타측에 상기 오목부(11)에 감합(嵌合)하는 볼록부(10)를 형성한 점에 특징이 있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고정구에서는 실시 형태1과 마찬가지 순서로 피어스 침(2) 및 피어스 캐치(3)를 사용하여 의류 등의 개구부의 천(10)에 고정부재(a, b)의 기판(1)을 부착한다. 기판(1)이 각각 마그넷 및 자성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호의 흡인작용에 의해 확실하게 흡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닫을 수 있다.
또한, 기판(1)의 볼록부(10)와 오목부(11)가 감합(嵌合)되기 때문에 기판(1)끼리가 면 방향으로 어긋나는 일이 없이 정확하게 겹쳐 흡착된다. 또한, 흡착된 상태에서 기판(1)끼리가 면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개구부에 어긋나는 힘이 작용하였을 때에 열려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볼록부(10) 및 오목부(11)의 형상이나 수는 상황에 따라 임의로 정할 수 있다. 또한, 동 실시 형태에서는 볼록부(10) 및 오목부(11)를 기판(1)의 중앙에 마련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원형의 도넛 형상으로 볼록부(10) 및 오목부(11)를 마련하고, 중앙은 기판(1)의 면끼리가 단단히 흡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기판(1)의 둘레 방향의 임의의 각도에 볼록부(10) 및 오목부(11)를 마련함으로써, 기판(1)끼리가 회전하지 않게 되어 단단히 흡착된다(모두 변형예에 대해서는 도시 생략).
이 고정구에 의하면, 상기와 마찬가지로, 천 또는 가죽이라면 아무런 가공을 하지 않고 어디든지 부착이 가능하다. 또한, 분리가 자유롭기 때문에 재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피어스 침에 의한 부착이므로 천에 거의 흔적이 남지 않는다. 그리고, 고정구를 기존의 상품에 부착함으로써, 단순한 천이 목 앞에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구가 딸린 머플러, 스카프, 망토 등이 된다. 또한, 어떤 위치에도 간단하게 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토트백의 닫고자 하는 임의의 위치에서 개폐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고정구를 이용함으로써 철하는 위치를 복수 설정할 수 있다. 특히, 마그넷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개폐가 간단하다. 마그넷 힘을 변경함으로써, 용도에 맞추어 최적의 개폐력을 얻을 수도 있다.
실시 형태4
도 7은 실시 형태4에 따른 고정구(B타입)를 나타내는 부분 파단 측면도이다. 이 고정구는 실시 형태2, 3의 고정구의 피어스 캐치(3)와는 다른 볼 캐치 구조로 한 점에 특징이 있다.
이 고정구의 피어스 캐치(3)는 저면부재(5)에 상기 피어스 침(2)을 삽통(揷通)하는 삽통(揷通)구(4)를 마련한 케이스(6)와, 케이스(6)의 천장 부분에 관통 배치되고 또한 손가락으로 잡아 축 방향으로 가동하는 잡는 부재(15)와, 케이스(6)에 내설(內設) 고정된 통 형상체(18)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6)는 내부의 구조물을 수납하여 보호하는 동시에 외관 디자인을 아름답게 보이기 위한 형상을 하고 있다. 잡는 부재(15)는 축 방향 중앙에 피어스 침(2)을 통과시키는 관통공(14)을 가진다. 또한, 잡는 부재(15)의 단부에는 와셔 형상의 누름 부재(16)가 마련된다. 잡는 부재(15)의 타단에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어 손가락으로 잡기 쉽게 되어 있다. 상기 누름 부재(16)와 케이스(6)의 사이에는 스프링(20)이 배치되고, 이 스프링(20)에 의해 누름 부재(16)가 저면부재(5)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상기 통 형상체(18)는 단부에 천장 방향(동 도면에서는 오른쪽 방향)을 향해 직경이 확대되는 원추 사다리꼴의 경사벽(19)을 가진다. 상기 통 형상체(18)는 케이스(6)와 일체화할 수도 있다. 이 경사벽(19)과 상기 누름 부재(16)의 사이에는 피어스 침(2)을 사이에 끼워서 고정하기 위한 구체(17)가 복수 배치되어 있다. 구체(17)는 2개 이상으로 한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잡는 부재(15)의 단부의 플랜지를 잡고 당기면, 누름 부재(16)와 경사벽(19)에 의한 구체(17)의 구속이 풀린다. 이 상태에서 피어스 침(2)을 상기 케이스(6)의 삽통(揷通)구(4)로부터 꽂으면, 당해 피어스 침(2)이 대향하는 구체(17)의 사이를 지나 잡는 부재(15)의 관통공(14)에 삽입된다.
다음으로, 상기 잡는 부재(15)를 손에서 놓으면, 스프링(20)의 작용으로 상기 누름 부재(16)에 의해 구체(17)가 밀리고, 이어서 당해 구체(17)가 경사벽(19)을 따라 중심 방향으로 밀린다. 이에 따라 구체(17)가 피어스 침(2)에 떠밀려 당해 구체(17)가 피어스 침(2)을 사이에 끼워서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피어스 침(2)을 빼려고 하면, 구체(17)가 상기 경사벽(19)에 의해 당해 피어스 침(2)을 더 사이에 끼워서 고정하는 방향으로 밀리기 때문에 피어스 침(2)이 빠지는 일은 없다.
한편, 피어스 침(2)을 뺄 경우, 상기 잡는 부재(15)의 플랜지를 잡고 당기면, 구체(17)에 의한 피어스 침(2)의 고정이 풀려 당해 피어스 침(2)을 쉽게 빼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4에 따른 고정구는 구체(17) 등에 의해 피어스 침(2)을 단단히 사이에 끼워서 고정하기 때문에 개구부의 개폐 시에 피어스 캐치(3)가 분리되는 일은 없다. 그러므로, 토트백 등과 같은 빈번한 사용에 있어서도 천 재질로부터 피어스 캐치(3)가 분리되는 일이 없다. 한편, 잡는 부재(15)를 당김으로써 간단하게 피어스 캐치(3)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이 고정구에 의하면, 상기와 마찬가지로, 천 또는 가죽이라면 아무런 가공을 하지 않고 어디든지 부착이 가능하다. 또한, 분리가 자유롭기 때문에 재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피어스 침에 의한 부착이므로 천에 거의 흔적이 남지 않는다. 그리고, 고정구를 기존의 상품에 부착함으로써, 단순한 천이 목 앞에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구가 딸린 머플러, 스카프, 망토 등이 된다. 또한, 어떤 위치에도 간단하게 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토트백의 닫고자 하는 임의의 위치에서 개폐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고정구를 이용함으로써 철하는 위치를 복수 설정할 수 있다. 특히, 마그넷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개폐가 간단하다. 마그넷 힘을 변경함으로써, 용도에 맞추어 최적의 개폐력을 얻을 수도 있다.
실시 형태5
도 9는 실시 형태5에 따른 고정구(D타입)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파단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고정구의 일측 고정부재(a)는 케이스(6)의 외주 중앙 부근에 링 형상 마그넷(22)(제1착탈편)을 상기 관통공(14)의 형성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마련하는 동시에. 기판(1)을 평판 형상으로 하고 또한 그 중앙으로부터 피어스 침(2)을 연장 돌출시킨 구조이다. 기판(1)은 비자성체일 수도 자성체일 수도 있다. 링 형상 마그넷(22)은 도넛 형상이며 직경이나 두께에 의해 필요한 자력을 얻는다. 또한, 링 형상 마그넷(22)은 커버(도시 생략)에 의해 피복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케이스(6)의 외주 중앙 부근의 형상을 상기 관통공(14)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튀어 나오게 하여 그 안에 내장되도록 할 수도 있다(도시 생략).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넛 형상 부재(21)에 의해 피어스 캐치(3)가 보이지 않게 되면 좋기 때문에 링 형상 마그넷(22)은 케이스보다 크면 좋다.
상기 피어스 캐치(3)의 내부 구조는 실시 형태4에 나타낸 피어스 캐치(3)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 구성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다른 한편, 고정부재(b)는 평판 형상의 기판(1)의 표면에 도넛 형상 부재(21)(제2착탈편)를 마련한 구성이다. 기판(1)의 중앙으로부터는 피어스 침(2)이 연장 돌출된다. 피어스 침(2)은 피어스 캐치(3)에 의해 사이에 끼워서 고정된다. 상기 도넛 형상 부재(21)는 자성체의 금속판으로부터 통 형상으로 성형된다. 도넛 형상 부재(21)는 속이 차 있을 수도 있고, 비어 있을 수도 있다(도시 생략). 또한, 도넛 형상 부재(21)의 단면의 형상이나 면적은 상기 링 형상 마그넷(22)의 형상이나 면적과 대략 동일하게 하는 것이 기능상으로도 외관상으로도 바람직하다. 도넛 형상 부재(21)는 기판(1)과 일체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넛 형상 부재(21)의 축 방향 길이(도면중 좌우 방향, 피어스 침(2)의 길이 방향)는 상기 링 형상 마그넷(22)의 단면으로부터 잡는 부재(15)의 타단의 플랜지까지의 길이보다 큰 것으로 한다. 이에 따라 도넛 형상 부재(21)에 의해 피어스 캐치(3)의 케이스(6)를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도넛 형상 부재(21)는 케이스(6)를 수납하는 것, 링 형상 마그넷(22)에 자착(磁着)되는 것을 만족한다면, 그 형상은 자유롭다. 도넛 형상 부재(21)의 내측 형상이 케이스(6)의 외부 형상과 대략 동일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6)가 도넛 형상 부재(21)의 내측에 빈틈없이 삽입되고, 케이스(6)의 단부에 커브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도넛 형상 부재(21)를 자연스럽게 케이스(6)에 씌워서 최종적으로 링 형상 마그넷(22)에 흡착시킬 수 있다.
이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고정부재(b)의 도넛 형상 부재(21)를 고정부재(a)의 케이스(6)에 씌우도록, 당해 도넛 형상 부재(21)를 링 형상 마그넷(22)에 흡착시킨다. 링 형상 마그넷(22)은 케이스(6)의 외측에 마련됨으로써, 케이스(6)가 링 형상 마그넷(22)의 한 방향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흡착상태에서 케이스(6)가 도넛 형상 부재(21)의 내부에 들어간다. 이에 따라 고정부재(a, b)끼리가 정확한 위치에서 흡착하기 때문에 개구부가 열려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흡착한 상태에서 도넛 형상 부재(21)와 링 형상 마그넷(22)이 면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측 고정부재(a)의 기판(1)을 평판 형상으로 함으로써, 피어스 캐치(3)가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경우에 비해 물건이나 손가락 등이 걸리는 문제가 잘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이 기판(1)에 보석 등의 장식재(23)를 쉽게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어스 캐치(3)는 실시 형태4에서 나타난 타입이 이용되었으나, 피어스 캐치(3)는 실시 형태1 내지 3에서 나타나 있는 어떤 타입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넛 형상 부재(21)를 마그넷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링 형상 마그넷(22)은 도넛 형상 부재(21)를 마그넷으로 할 경우, 이것을 자성체로 구성한다.
실시 형태6
도 11은 실시 형태1∼3에 따른 피어스 캐치(3)의 구조를 변경한 피어스 캐치를 나타내는 부분 파단 측면도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4 및 5에 따른 피어스 캐치의 구조를 변경한 피어스 캐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피어스 캐치(3)에는 저면부재(5)의 아래쪽에 원통체(25)가 마련되고, 그 외주벽의 단부 부근에 스냅핀 홈(21)이 마련된다. 원통체(25)에는 중심이 개구된 원판 형상의 고정 링(24)이 마련된다. 스냅핀(26)은 막대 형상의 금속을 C자형으로 구부려 성형한 것으로, 넓힘으로써 스냅핀 홈(21)에 끼워 넣을 수 있다. 이 스냅핀(26)에 의해 고정 링(24)이 원통체(25)로부터 탈락되지 않게 된다. 고정 링(24)과 케이스(6)의 사이에는 장식재(23)를 끼워 유지하는 간격을 형성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피어스 캐치(3)에서는 케이스(6)의 외벽 중간면에 플랜지부가 옆쪽으로 튀어 나와 형성되고, 또한, 그 아래쪽에 원통부위(25)가 마련된다. 원통부위(25)의 단부 부근에는 스냅핀 홈(21)이 마련된다. 스냅핀(26)은 막대 형상의 금속을 C자형으로 구부려 성형한 것으로, 넓힘으로써 스냅핀 홈(21)에 끼워 넣을 수 있다. 이 스냅핀(26)에 의해 고정 링(24)이 원통부위(25)로부터 탈락되지 않게 된다. 고정 링(24)과 플랜지부의 사이에는 장식재(23)를 끼워 유지하는 간격을 형성한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고정구에 액세서리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동 도면의 예에서는 꽃 모양의 평면판으로 이루어진 액세서리(23)를 나타낸다. 이 액세서리(23)의 판 두께는 플랜지와 고정 링의 간격보다 작은 것으로 한다. 스냅핀(26)을 분리하여 고정 링을 원통부위에서 뺀다. 그리고, 중앙에 개구가 형성된 액세서리(23)를 삽입한다. 액세서리(23)의 중앙에 마련된 개구에 상기 원통부위를 삽입한다. 그리고, 고정 링(24)을 원통부위에 부착하고, 스냅핀을 스냅핀 홈(21)에 끼워 넣고, 고정 링(24)과 플랜지로 액세서리(23)를 고정한다. 또한, 액세서리(23)의 형상은 원통체 또는 원통부위에 삽입 가능하다면 어떤 형상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 11에 나타낸 고정구에 있어서도, 상기와 동일한 순서로 액세서리(23)를 부착할 수 있다(도시 생략). 우선, 스냅핀(26)을 분리하여 고정 링(24)을 원통체(25)에서 빼고, 중앙에 개구가 형성된 액세서리(23)를 삽입한다. 그리고, 이 꽃 형상의 중앙에 마련된 개구에 상기 원통체(25)를 삽입하고, 고정 링(24)을 원통체(25)에 부착한다. 마지막으로 스냅핀(26)을 스냅핀 홈(21)에 끼워 넣고, 고정 링(24)과 저면부재로 액세서리(23)를 고정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액세서리(23)를 간단하게 피어스 캐치(3)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통부재(25)를 삽통(揷通)할 수 있는 구멍을 구비하고 있으면 많은 액세서리(23)를 장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실시 형태7
도 14는 실시 형태7에 따른 피어스 캐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피어스 캐치는 실시 형태4 내지 6에 나타낸 고정구의 피어스 캐치에 오동작 방지 캡(30)을 마련한 점에 특징이 있다. 피어스 캐치의 케이스의 외측면에는 나사가 형성된다. 캡(30)은 내측 단부 근방에 케이스의 나사에 대응하는 나사가 형성되고, 피어스 침(2)의 착탈조작 부분인 잡는 부재를 덮도록 상기 케이스에 부착 가능하다. 캡(30)의 전체 형상은 반구 형상일 수도 있고, 나비 모양의 잡기 쉬운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잡는 부재에 실수로 접촉해서 피어스 침이 해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캡(30)은 잡는 부재에 실수로 접촉하지 않기 위한 것이므로, 당해 잡는 부재의 주위를 둘러쌀 수 있다면 일부가 개구되어 있을 수도 있다.
실시 형태8
도 15는 실시 형태8에 따른 고정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고정구에서는 고정부재(a)의 기판(1)의 표면에 볼록부(31)를 마련하고, 고정부재(b)의 기판(1)의 표면에 오목부(32)를 마련한다. 오목부는 기판(1)에 형성된 돌기부와 이 돌기부의 주위에 끼운 당해 돌기부보다 두꺼운 도넛 형상의 자석에 의해 구성된다. 기판(1)끼리를 흡착할 때는 상기 볼록부(31)를 오목부(32)에 끼워 맞춘다. 또한, 피어스 캐치(3)는 실시 형태4∼7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구조이나, 실시 형태1 내지 3에 나타낸 것일 수도 있다(도시 생략).
실시 형태9
도 16은 실시 형태9에 따른 고정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낸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고정구는 한 쌍의 고정부재(a, b)로 이루어진다. 이들 고정부재(a, b)는 뒷면에 피어스 침(2)을 구비한 기판(1)과, 피어스 침(2)을 유지하는 피어스 캐치(3)를 각각 구비한다. 피어스 캐치(3)는 실시 형태4에 나타낸 피어스 캐치(3)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 구성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고정부재(a)는 피어스 캐치(3)의 케이스(6)의 축 방향(도면중 상하 방향, 관통공(14)의 길이 방향) 외주의 대략 중앙 위치에 플랜지(6a)가 형성된다. 이 플랜지(6a)의 고정부재(b) 측에 링재(51)가 마련된다. 링재(51)의 단면의 일부가 플랜지(6a)에 맞닿는다. 링재(51)의 내면에는 스냅핀(52)을 유지하는 스냅핀 홈(53)이 마련된다. 스냅핀(52)은 막대 형상의 금속을 C자형으로 구부려 성형한 것으로, 넓힘으로써 스냅핀 홈(53)에 끼워 넣을 수 있다. 링재(51)의 상기 플랜지(6a) 측에는, 내측을 향해 내플랜지(51a)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6)의 플랜지(6a)에 대하여 맞닿는다. 이 내플랜지(51a)가 고정부재(b)의 후술하는 통 형상부재(60)의 단면과 맞닿아 위치를 규제한다.
링재(51)의 외면은 동 도면에서는 단순한 원통 곡면으로 되어 있으나, 디자인 성을 갖게 한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링재(51)에 대하여 고정판(54)이 마련된다. 고정판(54)은 원반 형상이며 중앙은 케이스(6)가 박히는 구멍(55)이 형성되고 또한 케이스의 플랜지(6a)를 유지하는 얕은 환상 오목부(56)가 상기 구멍(55)의 주위에 형성된다. 또한, 고정판(54)의 단면은 상기 링재(51)의 단면과 맞닿고, 접착이나 용접에 의해 접합된다. 링재(51)에 고정판(54)을 부착시킴으로써 상기 환상 오목부(56)에 케이스(6)의 플랜지(6a)가 꼭 끼이는 동시에 링재(51)의 내플랜지(51a)로 끼워지기 때문에 케이스(6)는 링재(51)와 고정판(54)에 의해 유지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케이스(6)의 삽통(揷通)구(4)가 고정판(54)으로부터 노출되고, 잡는 부재(15)는 링재(51)의 내부에서 노출 상태가 된다. 스냅핀(52)은 케이스(6)의 천장 부근에 위치한다.
한편, 고정부재(b)의 기판(1)에는 상기 피어스 침(2)과는 반대측에 통 형상부재(60)가 마련된다. 통 형상부재(60)는 기판(1)과 일체 성형될 수도 있다. 또한, 통 형상부재(60)의 축 방향 길이(도면중 상하 방향, 피어스 침(2)의 길이 방향) 및 직경은 고정부재(a)의 케이스(6) 및 잡는 부재(15)를 수용할 수 있는 정도의 것으로 한다. 또한, 통 형상부재(60)의 외경은 상기 링재(51)의 내경보다 약간 작다. 또한, 통 형상부재(60)의 두께는 상기 고정부재(a)의 링재(51)의 내면과 케이스(6)의 외면과의 간극에 비집고 들어갈 수 있는 범위로 한다. 통 형상부재(60)의 외주에는 스냅핀(52)과 계합(係合)하는 돌기부(61)가 마련된다. 돌기부(61)는 대략 반원 형상으로 되어 스냅핀(52)과 매끄럽게 접촉하여 당해 스냅핀(52)을 넓히기 쉽도록 되어 있다. 돌기부(61)가 스냅핀(52)에 계합(係合)한 상태에서 통 형상부재(60)의 가장자리 끝이 링재(51)의 내플랜지(51a)에 맞닿도록 치수를 결정한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할 때는 고정부재(a) 및 고정부재(b)를 각각 핸드백 등의 개구부에 부착한다(도시 생략). 피어스 캐치(3)의 동작은 상기 실시 형태4와 동일하다. 고정부재(a, b)에 의해 개구를 닫으려면 고정부재(b)의 통 형상부재(60)를 고정부재(a)의 링재(51)의 내측에 삽입하는 동시에 케이스(6)에 씌우도록 꽂는다. 통 형상부재(60)의 돌기부(61)가 스냅핀(52)을 넓혀 이것을 넘고, 그 단부가 내플랜지(51a)에 맞닿는다. 이 상태에서 통 형상부재(60)는 내플랜지(51a)와 스냅핀(52)에 의해 링재(51)의 내부에 유지된다.
또한, 케이스(6)는 통 형상부재(60)의 내부에 들어간다. 이에 따라 고정구의 외관은 링재(51)와 통 형상부재(60)에 의해 지배되어 내부 구조는 숨겨지기 때문에 깔끔하고 아름다운 것이 된다. 또한, 깔끔한 외관으로 걸리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핸드백 등의 내측에 돌출되더라도 물건이 걸리는 일이 없다.
또한, 일측 고정부재(a)의 기판(1)을 평판 형상으로 함으로써 피어스 캐치(3)가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경우에 비해 물건이나 손가락 등이 걸리는 문제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이 기판(1)에 보석 등의 장식재를 쉽게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어스 캐치(3)는 실시 형태4에서 나타난 타입이 이용되었으나, 피어스 캐치(3)는 실시 형태1 내지 3에서 나타나 있는 어떤 타입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이 고정구에 의하면, 천 또는 가죽이라면 큰 가공을 하지 않고 어디든지 부착이 가능하다. 또한, 분리가 자유롭기 때문에 재사용이 용이하다. 또한, 피어스 침에 의한 부착이므로 천에 거의 흔적이 남지 않는다. 그리고, 고정구를 기존의 상품에 부착함으로써, 단순한 천이 목 앞에서 고정시킬 수 있는 머플러, 스카프, 망토 등이 된다. 또한, 어떤 위치에도 간단하게 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토트백의 닫고자 하는 임의의 위치에서 개폐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고정구를 이용함으로써 철하는 위치를 복수 설정할 수 있다.
실시 형태10
도 18은 실시 형태10에 따른 고정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 및 도 29(a)는 도 18에 나타낸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고정구에서는 고정부재(a)의 기판(1)의 표면에 오목부(65)를 마련하고, 고정부재(b)의 기판(1)의 표면에 볼록부(66)를 마련한다.
고정부재(a)의 기판(1)에는 중앙에 평면에서 보았을 때 원형의 돌기부(67)가 마련된다. 이 주위에는 당해 돌기부(67)보다 두꺼운 도넛 형상의 자석(68)이 마련된다. 이 기판(1)과 자석(68)은 커버(69)에 의해 덮여 있다. 커버(69)는 두께가 얇은 소재로 이루어지고, 기판(1)의 외주로부터 자석(68)의 외주 및 자석(68)의 고정부재(b) 측의 단면에 걸쳐 마련되고, 또한 자석(68)의 내측 단부로부터 내부에 걸쳐 비스듬히 마련되어 있다. 커버(69)의 단부는 기판(1)의 돌기부(67)의 모서리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고정부재(a)의 전체에서 그 중앙 부근에 오목부(65)가 형성된다.
고정부재(b)의 볼록부(66)를 마련한 면과 반대 면에는 도면중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크(70)가 마련되어 있다. 후크(70)는 금속제의 성형체이며 일단(71)이 기판(1)에 용착되고, 중앙에서 기판(1)의 면으로부터 떨어져 외측으로 만곡되는 동시에 다시 기판(1)의 면에 맞닿고, 타단이 휘어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안전핀(P)의 철사를 휘어진 타단(72)으로부터 꽂아 후크(70)의 내부로 넣을 수 있다. 도면중 (b)는 후크(70) 대신에 관통 구멍을 마련한 예를 나타낸다. 관통 구멍(73)은 반통부재(74)의 양단을 기판(1)에 용착함으로써 형성된다. 안전핀(P)의 철사는 관통 구멍(73)에 삽통(揷通)된다.
이 고정구는 도 2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재(b)를 백(B)이나 머플러(S)의 일부에 부착한 안전핀(P)에 걸림 결합한다. 안전핀(P)은 예를 들면 핸드백의 개구의 일부에 부착된 것으로, 그 때 뒷면에 나온 철사(P1)에 상기 후크(70)를 꽂아 당해 고정부재(b)를 걸림 결합한다. 고정부재(a)는 핸드백의 상기 일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피어스 침(2)을 찔러 그 뒷면으로부터 피어스 캐치(3)를 장착함으로써 당해 위치에 고정된다. 이어서 고정부재(a)의 오목부(65)를 고정부재(b)의 볼록부(66)에 감합(嵌合)하여 자석(68)의 자력에 의해 기판(1)과 기판(1)을 흡착한다. 이에 따라 핸드백의 개구를 개폐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 고정구에 의하면, 천 또는 가죽이라면 큰 가공을 하지 않고 어디든지 부착이 가능하다. 특히 안전핀(P)을 이용하여 부착이 가능하므로 더욱 범용성이 높아진다. 또한, 분리가 자유롭기 때문에 재사용이 용이하다. 또한, 피어스 침(2)이나 안전핀(P)에 의한 부착이므로 천에 거의 흔적이 남지 않는다. 그리고, 고정구를 기존의 상품에 부착함으로써, 단순한 천이 목 앞에서 고정시킬 수 있는 머플러, 스카프, 망토 등이 된다. 또한, 어떤 위치에도 간단하게 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토트백의 닫고자 하는 임의의 위치에서 개폐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고정구를 이용함으로써 철하는 위치를 복수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액세서리가 딸린 안전핀을 이용하면 액세서리가 딸린 개폐 고정구로 할 수 있다.
실시 형태11
도 20은 실시 형태11에 따른 고정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 및 도 29(b)는 도 20에 나타낸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고정구의 고정부재(a)는 기판(1)에 링재(80)가 마련된다. 링재(80)의 내면에는 스냅핀(52)을 유지하는 스냅핀 홈(53)이 마련된다. 스냅핀(52)은 막대 형상의 금속을 C자형으로 구부려 성형한 것으로, 넓힘으로써 스냅핀 홈(53)에 끼워 넣을 수 있다. 링재(80)의 외면은 동 도면에서는 단순한 원통 곡면으로 되어 있으나, 디자인 성을 갖게 한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한편, 고정부재(b)의 기판(1)에는 통 형상부재(60)가 마련된다. 통 형상부재(60)는 기판(1)과 일체 성형될 수도 있다. 또한, 통 형상부재(60)의 축 방향 길이(도면중 상하 방향)는 링재(80)의 축 방향 길이(도면중 상하 방향)와 대략 동일하다. 또한, 통 형상부재(60)의 외경은 상기 링재(80)의 내경보다 약간 작다. 통 형상부재(60)의 외주에는 스냅핀(52)과 계합(係合)하는 돌기부(61)가 마련된다. 돌기부(61)는 대략 반원 형상으로 되어 스냅핀(52)과 매끄럽게 접촉하여 당해 스냅핀(52)을 넓히기 쉽도록 되어 있다. 돌기부(61)가 스냅핀(52)에 계합(係合)한 상태에서 통 형상부재(60)의 가장자리 끝이 고정부재(a)의 기판(1)의 면에 맞닿도록 각 치수를 결정한다.
도 21 및 도 2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할 때는 예를 들면 고정부재(a)를 핸드백(B)의 개구부에 부착한다(도시 생략). 피어스 캐치(3)의 동작은 상기 실시 형태4와 동일하다. 또한, 고정부재(b)를 안전핀(P)에 걸림 결합한다. 안전핀(P)은 상기 핸드백의 개구부의 대응 위치에 부착된 것으로, 그 때 뒷면에 나온 철사(P1)에 상기 후크(70)를 꽂아 당해 고정부재(b)를 걸림 결합한다. 그리고, 고정부재(a, b)에 의해 개구를 닫으려면 고정부재(b)의 통 형상부재(60)를 고정부재(a)의 링재(80)의 내측에 꽂는다. 통 형상부재(60)의 돌기부(61)가 스냅핀(52)을 넓혀 이것을 넘고, 그 단부가 기판(1)에 맞닿는다. 이 상태에서 통 형상부재(60)는 스냅핀(52)에 의해 링재(80)의 내부에 유지된다.
고정구의 외관은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재(80)와 통 형상부재(60)가 딱 감합(嵌合)되어 깔끔하고 아름다운 것이 된다. 또한, 깔끔한 외관으로 걸리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핸드백 등의 내측에 돌출되더라도 물건이 걸리는 일이 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어스 캐치(3)는 실시 형태4에서 나타난 타입이 이용되었으나, 피어스 캐치(3)는 실시 형태1 내지 3에서 나타나 있는 어떤 타입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이 고정구에 의하면, 천 또는 가죽이라면 큰 가공을 하지 않고 어디든지 부착이 가능하다. 또한, 분리가 자유롭기 때문에 재사용이 용이하다. 또한, 피어스 침(2) 및 안전핀(P)에 의한 부착이므로 천에 거의 흔적이 남지 않는다. 그리고, 고정구를 기존의 상품에 부착함으로써, 단순한 천이 목 앞에서 고정시킬 수 있는 머플러, 스카프, 망토 등이 된다. 또한, 어떤 위치에도 간단하게 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토트백의 닫고자 하는 임의의 위치에서 개폐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고정구를 이용함으로써 철하는 위치를 복수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액세서리가 딸린 안전핀을 이용하면 액세서리가 딸린 개폐 고정구로 할 수 있다.
실시 형태12
도 22는 실시 형태12에 따른 고정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나타낸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재(b)의 기판(1)의 둘레 가장자리에 통 형상부재(60)를 마련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 외는 실시 형태11에 나타낸 고정부재(b)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동일 구성요소에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또한, 통 형상부재(60)의 외주에는 스냅핀(52)과 계합(係合)하는 돌기부(61)가 마련된다.
고정부재(a)는 실시 형태9에 나타낸 고정부재(b)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동일 구성요소에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고정구의 외관은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재와 통 형상부재(60)가 딱 감합(嵌合)되어 깔끔하고 더 아름다운 것이 된다. 또한, 기판(1)에 플랜지 형상의 구조가 없어 깔끔한 외관으로 걸리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핸드백 등의 내측에 돌출되더라도 물건이 걸리는 일이 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어스 캐치(3)는 실시 형태4에서 나타난 타입이 이용되었으나, 피어스 캐치(3)는 실시 형태1 내지 3에서 나타나 있는 어떤 타입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실시 형태1∼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구는 의류나 가방류의 개구부를 버튼이나 금구 등의 봉합이나 리벳 가공을 하는 일이 없이, 피어스 침(2)을 개구부 양측의 임의의 개소에 관통시킨 후, 부속된 피어스 캐치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착탈이 용이하다. 또한, 피어스 침(2)의 선단이 피어스 캐치(3)에 의해 감싸져 있기 때문에 취급 시에 자상의 발생 등을 일으키는 일이 없이 안전하다. 또한, 착탈이 자유롭고 가지고 다닐 수 있으므로, 소지하고 있는 보자기 등을 접어 간이 백으로서 사용 시의 개구부 걸림 결합을 위한 고정구로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즉응성도 높다. 이것은 안전핀(P)식인 경우에도 동일하다.
(사용형태의 예)
도 24는 상기 실시 형태1∼11에 나타낸 고정구의 사용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고정구는 손잡이의 양측에 마련한 이중의 고리에 보자기를 고정시켜 핸드백(B)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2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핸드백(B)의 개구부에 고정부재(a, b)를 부착한다. 부착방법은 상기 실시 형태1∼1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이어서 도 2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재(a, b)끼리를 서로 맞추어 개구부를 닫는다.
도 25는 토트백에 고정구를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마찬가지로, 토트백(T)의 개구부에 고정부재(a, b)를 부착하고, 고정부재(a, b)끼리를 서로 맞추어 개구부를 닫는다.
도 26은 머플러나 스톨에 고정구를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예를 들면 도 2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머플러(S)의 2개소에 고정부재(a, b)를 부착하고, 머플러(S)를 목에 감아 고정부재(a, b)끼리를 서로 맞춘다. 이에 따라 머플러(S)를 간단하게 목 둘레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톨(S)의 2개소에 고정부재(a, b)를 부착하고, 스톨(S)을 머리에 쓰고 나서 고정부재(a, b)끼리를 서로 맞춘다. 이에 따라 스톨(S)을 간단하게 머리에 쓸 수 있다.
도 27은 고정구의 고정부재를 하나만 사용할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8은 도 27에 나타낸 고정부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고정부재(a)는 기판(1)의 표면에 마그넷(1a)을 마련한 구성이다. 이 고정부재(a)를 핸드백(B) 등의 개구부에 상기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부착한다. 또한, 이 고정부재(a)에 대향하는 위치에 자성체인 클립(50)을 끼운다. 이 클립(50)은 자성체이므로 상기 고정부재인 마그넷(1a)에 흡착된다. 이 클립(50)의 일면에는 액세서리(51)를 장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클립(50)의 형상은 상기 마그넷(1a)이 흡착될 수 있는 면을 가지는 것이라면 도 27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1 기판
2 피어스 침
3 피어스 캐치
4 관통공
5 저면부재
6 케이스
7 협지편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천을 포함하는 면재를 관통시키는 피어스 침을 마련한 한 쌍의 기판과,
    상기 한 쌍의 기판에 대응하여 마련되고, 상기 피어스 침을 사이에 끼워서 고정하는 피어스 캐치와,
    일측 기판에 대응하는 피어스 캐치의 외주에 제1착탈편을 마련하고, 타측 기판에 상기 피어스 캐치를 둘러싼 형상의 제2착탈편을 마련하고, 제1착탈편 및 제2착탈편이 마그넷끼리 또는 마그넷과 자성체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착탈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6. 천을 포함하는 면재를 관통시키는 피어스 침을 마련한 한 쌍의 기판과,
    상기 한 쌍의 기판에 대응하여 마련되고, 상기 피어스 침을 사이에 끼워서 고정하는 피어스 캐치와,
    일측 기판에 대응하는 피어스 캐치의 외주에 제1착탈편을 마련하고, 타측 기판에 상기 피어스 캐치를 둘러싼 형상의 제2착탈편을 마련하고, 제1착탈편 및 제2착탈편의 일측에 마련한 수호크 및 타측에 마련한 암호크로 구성되는 착탈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7. 삭제
  8. 삭제
  9.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어스 캐치 또는 기판에, 액세서리의 착탈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10. 삭제
KR1020157036508A 2013-12-16 2014-12-16 고정구 KR1018304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59159 2013-12-16
JPJP-P-2013-259159 2013-12-16
PCT/JP2014/083300 WO2015093492A1 (ja) 2013-12-16 2014-12-16 留め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989A KR20160013989A (ko) 2016-02-05
KR101830491B1 true KR101830491B1 (ko) 2018-02-20

Family

ID=53402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6508A KR101830491B1 (ko) 2013-12-16 2014-12-16 고정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95193B2 (ko)
EP (1) EP3085264B1 (ko)
JP (3) JP6101887B2 (ko)
KR (1) KR101830491B1 (ko)
CN (1) CN105358004B (ko)
WO (1) WO20150934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18193B1 (en) * 2016-05-12 2017-04-11 Jeremy William Lord Garment docking device for attaching personal devices
US10512292B2 (en) * 2016-09-08 2019-12-24 Tina Curtis Accessory fastener device and method
CN111093440B (zh) * 2017-07-07 2023-08-29 扎伐治私人有限公司 包括推针固定组件的被褥的改进
CN109289133B (zh) * 2017-07-24 2021-10-08 霍尼韦尔国际公司 用于面罩的一体式带构造
US10849393B2 (en) * 2017-08-28 2020-12-01 Gabrielle Rae Shapiro Earring backing, earrings and earring display devices
US10918176B1 (en) * 2019-10-08 2021-02-16 Michael Roth Magnetic backing for collector pin
WO2022145461A1 (ja) * 2020-12-28 2022-07-07 株式会社ワイズグレース ピン留め具及びこれを用いた装身具
USD1021685S1 (en) * 2021-10-28 2024-04-09 Chin-Sung Huang Positioning pin of a seat belt buckle
US12004607B2 (en) * 2022-05-26 2024-06-11 Aubrey Singleton Magnetic pin attachment device
KR102585165B1 (ko) * 2023-04-03 2023-10-05 두영이노베이션 주식회사 개인용품 소지용 홀더 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5317A (ja) * 2000-09-01 2002-03-05 Kiyohara Kk スナップボタン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36692A (en) * 1919-11-03 1920-04-13 Forman Joseph Garment-fastener
US1438889A (en) * 1921-01-15 1922-12-12 Bates Edith May Pin-attached snap fastener
JPS5929912U (ja) * 1982-08-20 1984-02-24 武田 精 スナツプフアスナ−用リベツト体
JPS63243312A (ja) * 1987-03-27 1988-10-11 株式会社 エルプラニングシステム ホツク釦の取付方法とホツク釦
JPS6440008A (en) * 1987-08-06 1989-02-10 Tamao Morita Clasp
JP2576220B2 (ja) * 1989-02-27 1997-01-29 日立プラント建設株式会社 可撓管サポート装置
JP2576220Y2 (ja) * 1992-07-21 1998-07-09 株式会社徳力本店 装身具の係止装置
JP3046971B2 (ja) * 1992-11-30 2000-05-29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スナップボタンの雌体およびその取着用カシメ型
CN1065735C (zh) * 1994-02-28 2001-05-16 株式会社应用技术研究所 磁闭合装置
CN1281663A (zh) * 1999-01-27 2001-01-31 株工会社M&K横谷 固定搭扣
CA2374343C (en) * 1999-06-16 2005-08-23 Roche Bonnie Display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and methods
JP3070576U (ja) * 2000-01-28 2000-08-04 良夫 松原 留め機能を有するボタン
ES2237336B1 (es) * 2004-12-14 2006-06-01 Industrias Sinteticas Catalanas, S.L. Dispositivo de union de prendas y articulo textil que incluye dicho dispositivo.
US7356882B1 (en) * 2005-11-22 2008-04-15 Guadagno Iv James V Magnetic flower attachment device
US20080005873A1 (en) * 2006-07-06 2008-01-10 Helen Of Troy Limited Magnetic pushpin
JP4235978B2 (ja) 2006-10-04 2009-03-11 有限会社ウオーク社 取っ手
CN201375102Y (zh) * 2009-04-02 2010-01-06 东莞达基钮扣制品有限公司 纽扣
US8052365B2 (en) * 2009-04-15 2011-11-08 Enlisted Design, LLC Magnetic safety pushpin
US20110047759A1 (en) * 2009-08-25 2011-03-03 Romag Fasteners Inc. Closures with magnetic and mechanical snap fastening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02415655A (zh) * 2011-11-24 2012-04-18 罗日梅 一种免缝按扣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5317A (ja) * 2000-09-01 2002-03-05 Kiyohara Kk スナップボタ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85264A4 (en) 2017-09-27
CN105358004A (zh) 2016-02-24
EP3085264A1 (en) 2016-10-26
CN105358004B (zh) 2018-10-19
JP6578480B2 (ja) 2019-09-25
US9795193B2 (en) 2017-10-24
US20160374438A1 (en) 2016-12-29
WO2015093492A1 (ja) 2015-06-25
JPWO2015093492A1 (ja) 2017-03-16
JP2017018612A (ja) 2017-01-26
JP2016193343A (ja) 2016-11-17
KR20160013989A (ko) 2016-02-05
JP6101887B2 (ja) 2017-03-29
EP3085264B1 (en) 201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0491B1 (ko) 고정구
US9433257B2 (en) Magnetic attachment device for releasably attaching an article to a button
US9162813B2 (en) Pacifier holder and protector
US8667650B1 (en) Decorative magnetic cufflink conversion device
EP1692959B1 (en) Chain-like end part fastener of ornament
US20060236509A1 (en) Magnetically Clasping Clothing Fastener for Presenting an Adornment
US20010051068A1 (en) Hanging pen and cord thereof
US10149517B2 (en) Connector mechanism for attaching accessory and accessory therefor
US9737102B1 (en) Textile fastener
US20150250269A1 (en) Stress-Relieving Button Cover
US20130232729A1 (en) Multielement magnetic closure
US9489873B2 (en) Textile fastener with cover
JP3196484U (ja) 留め具
US20150216266A1 (en) Button replacement
JP3216018U (ja) 留め具
JP3196993U (ja) 留め具
JP2006136557A (ja) 係止機構付き止め具
US20170284001A1 (en) Attachment apparatus for button and process for using same
JP3208017U (ja) キーケース
JPS63291406A (ja) 吊下吸着具
US1359381A (en) Separable holder for buttonhole-bouquets, badges, and emblems
JP3177973U (ja) 生地挟着用保持具
JP3145138U (ja) 装身用止め具
JP3131399U (ja) カフスボタン
JP2017086618A (ja) 装身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