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165B1 - 개인용품 소지용 홀더 조립체 - Google Patents

개인용품 소지용 홀더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165B1
KR102585165B1 KR1020230043293A KR20230043293A KR102585165B1 KR 102585165 B1 KR102585165 B1 KR 102585165B1 KR 1020230043293 A KR1020230043293 A KR 1020230043293A KR 20230043293 A KR20230043293 A KR 20230043293A KR 102585165 B1 KR102585165 B1 KR 102585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personal
magnet
present
ite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3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창희
Original Assignee
두영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영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영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43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1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A45F5/021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to the bel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2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combined with other object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외 활동시 소지하는 소지품이나 휴대용품(이하 "개인용품"으로 통칭함)을 착용(또는 사용)과 미착용(또는 미사용)시 소지한 개인용품을 즉시 착용(또는 사용)할 수 있도록 소지할 수 있는 개인용품 소지용 홀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인용품 소지용 홀더 조립체{HOLDER ASSEMBLY FOR PERSONAL ITEMS}
본 발명은 야외 활동시 사용하는 소지품 또는 개인용품(이하 "개인용품"으로 통칭함)을 착용(또는 사용)과 미착용(또는 미사용)시 소지한 개인용품을 즉시 착용(또는 사용)할 수 있도록 소지할 수 있는 개인용품 소지용 홀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야외 활동시, 종종 소지품(또는 휴대품)을 어딘가에 잠시 놓아 두어야 하는 일이 많이 있는데, 이 경우 개인용품의 오염과 분실 문제가 있어 소지자의 지근거리에 개인용품을 일시적으로 놓아 두고 용무를 본 후 그 것을 다시 소지하기 위해 이동하는 것은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한 예로, 골프 경기를 할 때 골프채의 파지 자세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장갑을 착용하고 샷(shot)을 한 후 이동시 착용한 장갑을 벗는 것처럼 야외 활동시 수시로 골프장갑을 착용(또는 사용)하거나 미착용(또는 미사용)시 골프장갑을 간소하게 소지하고, 필요시 바로 사용할 필요가 있는바, 본 발명은 이와 관련된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개인용품"이라는 용어는 다양한 종류의 개인 소지품, 예를들어 신체에 착용하는 장갑, 모자 또는 작은 소품을 넣을 수 있도록 만든 작은 가방 등과 같은 물품을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개인용품 홀더 조립체의 적용 사례예로서, "골프장갑"으로 예시하고, 그 채용 예를 설명하게 될 것이나, 골프장갑은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개인용품 중 하나일 뿐 채용물품을 한정하는 의미가 아니라는 점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며,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기술되어진 상세한 설명에 의해 골프장갑 이외의 다양한 개인용품에도 같은 방식으로 채용할 수 있음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야외할동 뿐 만 아니라 실내에서 개인용품의 보관 및 소지 할 때에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야외 할동시 개인용품의 효과적인 소지(所持)를 위해 본 발명을 창안하기에 이르렀고, 괄목할 만한 성과가 있어 이를 본 발명을 통해 제안하려고 한다.
본 발명은 야외 활동시 소지한 개인용품의 착용(또는 사용)과 미착용(또는 미사용)시 소지한 개인용품을 즉시 착용(또는 사용)할 수 있도록 소지할 수 있는 개인용품 소지용 홀더 조립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해결수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갈고리 조립체(300) 또는 클립(213b) 중 어느 하나와, 표면에 오목부(211a)를 갖춘 금속판(211)을 포함하고 개인용품 소지자의 의류나 의류 부속요소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제1 홀더(210)와;
개인용품의 표면에 탈부착할 수 있는 제2 홀더(220)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홀더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223)을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211a)에 삽입되는 자석(221)과,
상기 자석(211)을 개인용품의 표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개인용품 홀더 조립체을 포함한다.
전술한 고정수단은 전술한 자석(221)을 관통할 수 있는 길이이고, 도 2b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가능하고 끝이 뾰족한 철편(224a) 또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첨단이 뽀족하고 원주면에 나사산이 배열된 볼트(224b)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엠블럼(222)일 수 있다.
전술한 엠블럼(222)은 도 1a,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용품을 관통한 이면에서 철편(224a)의 절곡 또는 볼트와 나선체결되는 체결부재(225)에 의해 자석(221)을 개인용품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전술한 제1 홀더(210)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자석(221)을 수용하는 오목부(211a)를 갖추고 자석(221)에 붙는 금속판(211)을 포함한다.
전술한 금속판(211)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이나 갈고리(301)를 결합할 수 있는 고리(213a) 또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밸트나 착용한 의류에 탈부착하기 위한 클립(213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오목부(211a)는 자석(221)이 삽입되어 있거나, 전술한 자석(211)을 수용하는 빈 공간일 수 있다.
전술한 자석(221)은 금속판(211)의 표면 밖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오목부(211a) 내에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전술한 금속판(211)이 자력에 의해 개인용품에 부착되었을 때 개인용품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게 하는데 유용할 수 있고, 전술한 제1 및 제2 홀더(210)(220)의 자석(221)이 서로 붙었을 때 제2 홀더의 자석(221)이 오목부(211a)의 방사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인용품 소지가의 의류(또는 의류 부속요소)와 개인용품에 각각 제1 홀더와 제2 홀더를 부착하고, 양 홀더를 자석의 자력에 의해 간소하게 소지할 수 있고, 필요시 소지한 개인용품을 바로 착용(사용)할 수 있는 홀더 조립체를 제공한다.
도 1에서,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시한 개인용품 홀더 조립체의 사시도고, 도 1b는 도 1에 도시된 개인용품 홀더 조립체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홀더 조립체 중 제2 홀더의 상세구성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서, 도 3a와 도 3b는 도 1a 및 도 2에 도시된 제2 홀더의 사용 예를 도시한 요부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을 개인용품에 하나인 골프장갑에 채용한 사 례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홀더를 골퍼와 골프장갑에 각각 부착하고 소지하는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된 간행물, 특허출원, 및 특허를 포함한 모든 참고문헌은, 마치 각 참고문헌이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통합되는 것으로 개별적으로 그리고 명시적으로 표시되고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정도로,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 맥락에서(특히 하기 청구범위의 맥락에서), 단수 지시어 및 "적어도 하나" 및 유사한 지시어의 사용은,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거나 문맥 상 명백히 모순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둘 다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하나 이상의 항목들의 목록 다음에 "적어도 하나"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예를 들어, "A 및 B 중 적어도 하나")은,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거나 문맥 상 명백히 모순되지 않는 한, 나열된 항목들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항목(A 또는 B), 또는 나열된 항목들 중 둘 이상의 조합(A 및 B)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값들의 범위 기재는, 본 명세서에서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그 범위 내에 속하는 각각의 개별 값을 개별적으로 언급하는 것의 약식 방법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의도되고, 각각의 개별 값은 마치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으로 기재된 것처럼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모든 방법은 본 명세서에서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 상 명백히 모순되지 않는 한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임의의 모든 예, 또는 예시적 표현(예를 들어, "~와 같은")의 사용은 단지 본 발명을 더 잘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달리 청구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어떤 표현도, 비청구된 임의의 요소를 본 발명의 실시에 필수적인 것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여기에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들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 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품 홀더 조립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품 소지용 홀더 조립체(200)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용한 의류나 의류 부속요소에 탈부착할 수 있는 제1 홀더(210)와 소지한 개인용품에 부착되어 개인용품과 함께 소지하는 제2 홀더(220)를 포함한다.
제1 홀더(210)는 표면에 후술하는 자석을 수용하는 오목부(211a)를 갖춘 금속판(211)을 포함한다.
전술한 금속판(211)은 자석(221)이 붙을 수 있는 금속이고, 도 1a에 도시된 고리(213a) 또는 도 1b에 도시된 클립(213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a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213a)에는 링(도면에는 미도시)이나 갈고리(301) 조립체(300)가 연결될 수 있고, 클립(213b)는 허리밸트(도면부호 미표기)나 바지의 호주머니 입구에 끼울 수 있다.
전술한 오목부(211a)는 제2 홀더(220)의 자석(221)의 형상을 수용하는 공간으로, 그 공간 내에 부착된 자석을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거나, 제2 홀더(220)의 자석(211)을 분리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오목부(211a) 내에 제2 홀더(220)의 자석(221)이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되면 개인용품 소지자의 보행시 개인용품이 제1 홀더(210)에서 임의로 떨어지지 않는다.
다른 실시 예로서, 전술한 오목부(211a)의 깊이는 전술한 자석(221)이 금속판(211)의 표면 밖으로 돌출되지 않는 깊이로 채용하는 것이 돌출되는 깊이로 채용하는 것 보다 더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금속판(211)이 개인용품의 표면에 자력을 통해 부착되었을 때 개인용품 표면에 흠집이 덜 생기게 할 수 있다.
전술한 제2 홀더(220)는 중앙에 축선방향으로 관통된 구멍(223)을 갖춘 자석(221)과, 전술한 자석(221)을 개인용품(101, 도 3 참조)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전술한 고정수단은, 전술한 구멍(223)과 개인용품(101, 도3)을 관통할 수 있는 길이이고, 단부가 뾰족하고 절곡가능한 한 쌍의 철편(224a) 또는 단부가 뾰족하고 원주면에 나사산을 갖춘 볼트(224b)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엠블럼(222)일 수 있다.
전술한 철편(224a)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221)과 개인용품(101)을 관통시킨 후, 그 단부를 절곡하는 방식으로, 제2 홀더(220)를 개인용품(101)에 고정할 수 있고, 볼트(224b)는 전술한 철편(224a)과 같은 방식으로 자석(221)과 개인용품(101)을 동시에 관통시킨 후 돌출된 볼트(224b)의 단부에 체결부재(225)를 나선체결함으로써 제2 홀더(220)를 개인용품(101)에 고정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개인용품 중에 하나인 골프장갑(100)에 전술한 제2 홀더(220)를 앞서 설명한 방식으로 부착한 것을 예시한 것이고, 도 5는 바지의 허리밸트 착용을 위한 밴드나 허리밸트에 갈고리 또는 클립(213b)을 사용하여 일시적으로 제1 홀더(210)를 부착한 것을 예시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홀더(210)를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개인용품 소지자의 의류의 특정 위치에 부착하고, 제2 홀더(220)의 자석(221)을 제1 홀더(210)의 오목부(211a) 내에 삽입함으로써 자력에 의해 양 홀더(210)(220)가 부착된 상태로 소지할 수 있고, 필요시 소지한 골프장갑(100)을 바로 착용할 수 있다.
전술한 엠블럼(222)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면에 로고나 표장이 인쇄되어 있고, 자석(221)표면에 마련된 수납부(221a)에 그 상면이 돌출되지 않도록 안치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품이나 개인용품을 그 소지자의 의류나 의류 부속요소에 임의로 부착하는 방식에 의해 소지하고 그것을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을 기초로 다양한 응용 예나 변경 예를 실시할 수 있는 것이나, 이러한 응용예나 변경예는 본 발명자가 의도하는 진정한 의미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을 미리 밝혀 두는 바이다.
100: 개인용품 101: 개인용품의 표면
200: 홀더 조립체 210: 제1 홀더
211: 금속판 211a: 오목부
213a: 고리 213b: 클립
221: 자석 221a: 엠블럼 수납부
222: 엠블럼 223: 구멍
224a: 철편 224b: 볼트
300: 갈고리 조립체 301: 갈고리

Claims (3)

  1. 오목부(211a)를 포함하는 금속판(211)을 갖추고, 의류나 그 부속요소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갈고리 조립체 또는 클립 중 어느 하나인 제1 홀더(210)와;
    상기 오목부(211a) 내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홀더(220)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홀더는,
    구멍(223)을 구비하고 금속판(211)의 표면 밖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오목부(211a) 내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자석(221)과;
    상기 자석(221)을 개인용품의 표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자석(221)의 구멍(223)과 개인용품(101)을 관통되고 절곡되는 철편(224a)과, 상기 철편(224a)의 일측 단에 결합되고 상기 자석(221) 표면에 마련된 수납부(221a)에 돌출되지 않도록 그곳에 결합되는 엠블럼(2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품 홀더 조립체.
  2. 삭제
  3. 삭제
KR1020230043293A 2023-04-03 2023-04-03 개인용품 소지용 홀더 조립체 KR102585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3293A KR102585165B1 (ko) 2023-04-03 2023-04-03 개인용품 소지용 홀더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3293A KR102585165B1 (ko) 2023-04-03 2023-04-03 개인용품 소지용 홀더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5165B1 true KR102585165B1 (ko) 2023-10-05

Family

ID=88293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3293A KR102585165B1 (ko) 2023-04-03 2023-04-03 개인용품 소지용 홀더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1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345Y1 (ko) * 1999-07-16 2000-02-15 박시영 피복용 단추
KR20160013989A (ko) * 2013-12-16 2016-02-05 가부시키가이샤 우오크사 고정구
KR102035848B1 (ko) * 2018-10-26 2019-10-23 김선중 장식부재가 착탈가능한 단추
KR102152718B1 (ko) * 2020-02-20 2020-09-07 변대웅 탈부착이 용이한 장식용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345Y1 (ko) * 1999-07-16 2000-02-15 박시영 피복용 단추
KR20160013989A (ko) * 2013-12-16 2016-02-05 가부시키가이샤 우오크사 고정구
KR102035848B1 (ko) * 2018-10-26 2019-10-23 김선중 장식부재가 착탈가능한 단추
KR102152718B1 (ko) * 2020-02-20 2020-09-07 변대웅 탈부착이 용이한 장식용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1567B2 (en) Stick-on security ring for a hand held device
US20190032845A1 (en) Item holder
US6964361B2 (en) Wireless device carrying apparatus and method
US6196382B1 (en) Cigarette lighter holder
US20140048574A1 (en) Customizable Carri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60054647A1 (en) Magnetic carrying apparatus and method
US6675611B2 (en) Necklace mount
US20060166720A1 (en) Universal wrist worn holder for cellular phones
US20100133307A1 (en) Lanyard with pocket
US8590341B2 (en) Multifunctional jewelry
US20150115008A1 (en) Hat Attachment Clip
US8087130B2 (en) Fastener
US10309433B2 (en) Magnetic securing system
US20160227911A1 (en) Tool harness
US10288899B2 (en) System for securing eyewear to a user or object
US20090272775A1 (en) Implement holder
US20160286944A1 (en) Magnetic attachment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130247279A1 (en) Magnetic Collar Stud Assembly
KR102585165B1 (ko) 개인용품 소지용 홀더 조립체
US9901143B2 (en) Magnetic necktie retainer
US20150040358A1 (en) Jewelry spring ring clasp
US6972654B1 (en) Armored magnetic base
US20090106944A1 (en) Safety device for ring-like accessories
KR200482339Y1 (ko) 골프티 홀더
US91922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hydration gar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