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6955B1 - 누설 진단 기능을 구비한 냉매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누설 진단 기능을 구비한 냉매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6955B1
KR101826955B1 KR1020170027029A KR20170027029A KR101826955B1 KR 101826955 B1 KR101826955 B1 KR 101826955B1 KR 1020170027029 A KR1020170027029 A KR 1020170027029A KR 20170027029 A KR20170027029 A KR 20170027029A KR 101826955 B1 KR101826955 B1 KR 101826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unit
vacuum
pressur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봉기
Original Assignee
인티제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티제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티제닉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7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9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5/00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45/00Detail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s; Service stations therefor
    • F25B2345/001Charging refrigerant to a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45/00Detail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s; Service stations therefor
    • F25B2345/003Control issues for charging or collecting refrigerant to or from a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45/00Detail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s; Service stations therefor
    • F25B2345/006Detail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s; Service stations therefor characterised by charging or discharg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9Pres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단 기능을 구비한 냉매 주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설정된 냉매량을 자동으로 주입하는 기능과 진공도 및 가스탱크부의 가압을 통해 누설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진단 기능을 구비한 냉매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진공펌프부에 의해 진공을 형성하거나 또는 가스탱크부에 의해 가스를 주입하여 압력을 체크함으로써 냉매 배관의 누설 여부를 체크하는 누설체크부, 진공 형성 모드, 압력 체크 모드, 및 냉매 주입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밸브가 개폐되는 밸브부, 실외기에 주입되는 냉매를 포함하는 냉매부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부, 및 모드에 따라 밸브부를 제어하며, 무게측정부의 냉매 무게 감지 값과 기 설정값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실외기에 주입되는 냉매의 주입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기능을 구비한 냉매 주입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누설 진단 기능을 구비한 냉매 충전 장치{Refrigerant charging device with leak diagnostic function}
본 발명은 누설 진단 기능을 구비한 냉매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정된 냉매량을 자동으로 주입하면서 진공도 및 누설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누설 진단 기능을 구비한 냉매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동 공조 업계에서 통상 수행되는 냉난방 공조기기의 신설 및 이전, 수리시의 작업 방식은 자동화 되어 있지 않으며 여러 종류의 기기 및 전용 측정기 등을 호스 및 금속 배관 등으로 연결하고 벨브의 열기 닫기 등의 조작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 특히, 냉동 공조 장치는 보편적으로 콤프레셔 같은 동력이 포함된 기계 장치와 전자 제어 장치로 구성되는 실외장비와 실내에 설치되어 냉기와 열기를 분배하는 실내장비로 나눠지는데, 실외 및 실내에 위치하는 기기들은 엄격한 기밀성이 수반되어야 하고, 구리 및 알루미늄 같은 금속 재질의 배관이 사용된다. 그 배관 내부에 특정한 열화학적 특성을 갖는 냉매가 흐르게 된다. 이를 위해 기밀성이 매우 중요하며 조임 및 결속을 위해 비철금속의 용접이나 기계적 커플링을 수반하게 되는데, 대기압인 1기압 보다 20배에서 40배에 이르는 높은 압력의 냉매를 주입해야 하기 때문에 미세한 누설도 허용될 수가 없다. 누설이 없는 상태에서 배관과 냉난방 기기에 적정량의 냉매를 주입하고 냉난방기기 안의 콤프레셔를 통해 냉매를 압축시킨 후에 모세관 등을 통해 팽창 현상을 일으키게 하여 목적하는 온도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냉난방 공조 기기가 운용되고 있다.
냉난방 공조 기기를 설치, 이전, 또는 수리 후 정상 운용하기 위해서는 최우선적으로 배관 공사와 설비 설치공사를 먼저 이행함에 있어 용접 및 기계적 커플링이 된 배관의 누설을 먼저 확인하여야 한다. 이때 기존에는 압력/진공 게이지를 연결하여 작업자가 목시로 압력이나 진공을 측정하면서 누설 여부를 확인한 뒤에 지시계 등에 의해 눈에 띄는 누설이 발견되면 누설부위를 찾아 용접이나 기계적 결합을 다시 한 뒤 반복하여 누설 여부를 체크한다. 그러나 누설량이 많은 경우는 단시간에 쉽게 확인이 가능하나, 미세한 누설인 경우 이를 발견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보통 질소가스를 높은 압력으로 주입하고 수 시간에서 수일간 기다리면서 압력 변화를 확인하는 등 시간과 비용이 투입되어야 한다. 또한, 주변 온도 변화에 따라 압력은 계속 변화하므로 측정된 압력값이 정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누설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 중 질소가스를 이용한 압력 체크 방식 이외에 진공도로 측정하는 경우도 있는데 압력 방식 보다 시간도 짧고 간편한 측정이 장점이긴 하나 진공 측정 방식 역시 온도에 의한 영향과 연결하는 배관 및 호스의 노후화와 기밀을 담당하는 씰 재질의 파손, 오염 상태를 모르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등 진공 측정 방법 역시 작업에 어려움이 상존하고 있다.
이와 같이 압력 및 진공 측정을 통해 누설이 없음을 확인하는 이유는 냉난방기기 배관 내부의 모세관이 막힐 수 있는 위험요소인 미세한 얼음 알갱이가 생기지 않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분을 제거함이 목적인 바 진공을 시킨 다음 해당 냉난방기기 별로 정해진 특성 및 종류의 냉매 가스를 냉난방기기에 주입하게 되는데 이때는 주로 별도의 전자저울을 구비하여 냉매용기를 올려 놓은 후에 압력 게이지 등을 사용해 주입한다. 냉매를 별도의 전자저울을 사용하여 주입하고, 주입한 뒤에 냉난방 기기를 가동시키면 냉난방 기기가 정상적으로 운용되는지 비정상적으로 운용되는지를 숙련도 높은 엔지니어가 판단하게 된다. 이때, 냉난방기기의 고압부 배관, 저압부 배관(토출, 흡입부)의 온도를 확인하거나 압력을 각각 측정하는 방식 등으로 정상 가동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위와 같은 냉난방기기의 설치, 이전, 수리시에 현장에서는 용접 등 각종 작업별로 여러 장비간 호스 체결과 분리, 금속 배관 피팅을 풀고 조이면서 작업을 하게 되며 이러한 현장 상황으로 인해 기밀도를 유지하고 측정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95193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457556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최초 작업인 진공 또는 압력을 자동으로 측정하여 냉매 배관의 누설여부를 진단하고, 본체부에 전자저울을 구비하여 냉매량을 자동으로 계산함으로써 정확한 냉매량의 주입이 가능한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펌프부에 의해 진공을 형성하거나 또는 가스탱크부에 의해 질소 가스를 주입하여 압력을 체크함으로써 냉매 배관의 누설 여부를 체크하는 누설체크부, 진공 형성 모드, 압력 체크 모드, 및 냉매 주입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밸브가 개폐되는 밸브부, 실외기에 주입되는 냉매를 포함하는 냉매부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부, 및 모드에 따라 밸브부를 제어하며, 무게측정부의 냉매 무게 감지 값과 기 설정값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실외기에 주입되는 냉매의 주입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기능을 구비한 냉매 주입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때, 누설체크부는 진공펌프, 질소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진공펌프부와 서로 연결 접속되는 진공펌프 포트부, 공조기기의 실외기와 서로 연결 접속되는 실외기 포트부, 냉매부와 서로 연결 접속되는 냉매유입 포트부를 더 포함하며, 밸브부는 진공펌프 포트부와 서로 연결 접속되는 진공펌프 밸브부, 및 냉매유입 포트부와 서로 연결 접속되는 냉매주입 밸브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 및 진공펌프 밸브부와 서로 연결 접속되는 압력센서부, 제어부 및 밸브부의 진공센서 보호 밸브부와 서로 연결 접속되는 진공센서부, 및 진공펌프 밸브부, 진공센서 보호 밸브부, 냉매주입 밸브부, 압력센서부, 및 실외기 포트부를 서로 연결 접속하는 밸브 접속 배관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진공 형성 모드의 경우에 제어부는 진공센서 보호 밸브부 및 냉매주입 밸브부를 오프시키고 진공펌프 밸브부를 온시킨 후에 진공펌프를 구동 및 정상가동 여부를 체크하고, 기 설정된 시간 후에 진공센서 보호 밸브부를 온 시켜 진공센서부를 통해 진공 값을 측정함으로써 누설 여부를 체크하고, 기 설정된 진공 값에 도달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압력 체크 모드의 경우에 제어부는 진공펌프 밸브부, 진공센서 보호 밸브부, 및 냉매주입 밸브부를 오프시키고, 가스탱크부로부터 가스가 주입된 경우 압력센서부를 통해 압력 값을 측정함으로써 누설 여부를 체크한다.
또한, 냉매 주입 모드의 경우에 제어부는 누설 여부를 체크하고 기 설정된 진공 값에 도달하도록 제어 한 후에 냉매유입 포트부를 통해 실외기로 냉매가 주입되도록 제어하며, 냉매부는 무게측정부에 안착됨으로써 제어부는 냉매 무게 감지 값을 획득하여 실외기에 주입되는 냉매의 주입량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는 기 설정된 냉매의 주입량을 실외기에 주입 후에 냉매 압력을 체크하며, 제어부는 냉매 압력 체크시에 진공펌프 밸브부 및 진공센서 보호 밸브부를 오프시키고 냉매주입 밸브부를 온시킨 상태에서 압력센서부를 통해 압력 값을 측정한다.
또한, 제어부는 실외기에 주입되는 냉매의 기본 주입량에 현장 시공한 냉매 배관의 직경 및 길이 값을 입력 받아 실외기에 주입되는 냉매의 주입량을 산출한다.
또한, 밸브 접속 배관부를 세척하는 플러싱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냉매 배관부의 고압부 배관 및 저압부 배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부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온도측정부에서 측정된 고압부 및 저압부의 온도 값을 기초로 기 설치된 압력센서를 통해 냉매 압력과 연산을 통해 냉매 사이클을 분석하여 적정한 냉난방 시스템의 가동 정상 유무를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제어부는 온도 값을 기초로 냉매 압력을 산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최초 작업인 진공 또는 압력을 자동으로 측정하여 냉매 배관의 누설여부를 진단하고 누설 여부에 따라 사용자에게 알려줌과 동시에 히스토리 내역을 자동으로 저장하며, 본체부에 전자저울을 구비하여 일체화시킴으로써 냉매량을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어 정확한 냉매량의 주입 및 잔여 냉매량을 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냉매 주입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냉매 주입 장치에 추가적으로 플러싱부를 더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냉매 주입 장치에 추가적으로 휴대용 단말부를 더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단 기능을 구비한 냉매 주입 장치는 자동으로 냉매 배관의 누설 여부를 체크하고 냉매를 주입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단 기능을 구비한 냉매 주입 장치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 기능을 구비한 냉매 주입 장치는 대략 제어부(100), 냉매부(200), 전자저울부(300), 진공펌프(400), 질소탱크(500)로 구성되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로 플러싱부(600), 휴대용 단말부(700)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0)의 진공펌프 제어부는 진공펌프(400)의 전원을 제어하여 진공펌프를 구동시키거나 구동을 정지시키며, 진공펌프(400)의 가동 유무를 체크한다.
제어부(100)의 밸브 제어부는 진공펌프 밸브부, 진공센서 보호 밸브부, 및 냉매주입 밸브부를 제어함으로써 각각의 솔레노이드 밸브가 열리거나(ON) 닫히도록(OFF) 한다.
제어부(100)의 센서 감지부는 압력센서부 또는 진공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각각의 센서부에서 감지한 센서 값을 획득한다.
이때, 진공펌프 제어부는 진공펌프(4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진공펌프를 온/오프 컨트롤한다. 밸브 제어부는 진공펌프 밸브부, 진공센서 보호 밸브부, 및 냉매주입 밸브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각각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온/오프 컨트롤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펌프(400)는 진공펌프 포트부와 상호 접속되며, 진공펌프 밸브부는 진공펌프 포트부와 상호 접속된다. 또한, 실외기 포트부는 공조기기의 실외기와 배관을 통해 상호 접속된다. 냉매유입 포트부는 냉매부(200) 및 냉매주입 밸브부와 상호 접속되며, 냉매부(200)의 냉매가 유입된다. 밸브 접속 배관부(10)는 진공펌프 밸브부, 진공센서 보호 밸브부, 냉매주입 밸브부, 실외기 포트부, 냉매유입 포트부, 압력센서부와 상호 접속된다. 진공센서 보호 밸브부는 진공센서부와 상호 접속된다. 밸브 접속 배관부(10)는 진공펌프 밸브부, 진공센서 보호 밸브부, 냉매주입 밸브부의 각각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밸브 내부에 냉매 또는 질소 가스가 흐른다. 밸브 접속 배관부(10)는 상술한 밸브부 및 센서부와 상호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밸브부가 후술하는 제어부의 제어 모드에 따라 동작 제어됨으로써 냉매 또는 질소 가스를 밸브 내로 유입받을 수 있다.
냉매유입 포트부와 냉매주입 밸브부 사이에는 냉매 주입시 냉매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가 구비된다. 역류방지밸브는 냉매가 일방향으로(즉, 냉매유입 포트부에서 냉매주입 밸브부를 향하는 방향 또는 냉매 주입 방향) 흐르도록 한다.
전자저울부(300)는 제어부(100)의 냉매 무게 측정부와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전자저울부(300)의 상단에 냉매부(200)가 안착 되어 냉매부(200)의 무게를 전자저울부(300)가 측정하고, 측정값을 냉매 무게 측정부로 전송한다. 냉매부(200)는 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냉매를 냉매유입 포트부로 주입하고, 전자저울부(300)는 냉매부(200)의 무게를 실시간 측정함으로써 현재 주입된 냉매량을 제어부(100)가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전자저울부를 본체부에 일체로 패키지화하여 구비함으로써 주입되는 냉매량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계산하고 잔여 냉매량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제1 외부 온도센서부 및 제2 외부 온도센서부는 고압부 배관 및 저압부 배관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의 온도 측정부로 전송한다. 측정된 온도에 의해 냉매가 잘 주입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냉매 주입 완료 후에 냉매 배관의 압력 산출시 정확한 압력 값이 산출된다.
제어부(100)는 동작 유무를 알리는 램프 표시부, 이상 발생시 동작하는 알람부, 각각의 진행 상황을 표시하는 LCD 표시부, 키 입력을 입력받는 입력부, 본체부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2 온도센서부, 무선연결 확장포트부, 통신부, USB 포트부와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때, 본체부는 냉매부(200), 진공펌프(400), 질소탱크(500)를 제외한 구성이다. 즉, 본체부는 냉매를 자동으로 주입하고 누설 여부를 자동으로 체크하도록 패키지화된 장치이다. 이 본체부에 냉매부(200)가 안착되어 주입되는 냉매량이 자동으로 계산되며, 본체부의 각각의 포트부와 진공펌프(400), 질소탱크(500), 실외기가 각각 접속된다.
제어부(100)는 필요에 따라 각각의 동작 모드가 동작되도록 하며, 동작 모드의 일예로서 진공 형성 모드, 압력 체크 모드, 냉매 주입 모드가 있다. 진공 형성 모드의 경우에는 제어부는 진공센서 보호 밸브부 및 냉매주입 밸브부를 오프(OFF, 구동중지)시키고 진공펌프 밸브부를 온(ON, 구동)시킨 후에 진공펌프의 전원을 구동하여 펌프를 동작시키고, 진공펌프의 정상가동 여부를 체크한다. 이때, 진공펌프의 정상 동작 여부는 비접촉방식의 유도전류를 체크하여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진공펌프가 정상 가동되고,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진공센서 보호 밸브부를 온시켜 진공센서부를 통해 진공 값을 산출 또는 측정한다. 이때, 진공센서 보호 밸브부를 나중에 온시키는 이유는 진공센서부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또한, 진공센서부 앞 단에 진공센서 보호 밸브부를 구비한 이유는 압력에 의해 진공센서부가 파괴되거나 배관 내의 오염에 의해 진공센서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진공센서부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00)는 산출된 진공 값에 따라 냉매 배관의 누설 여부를 체크한다. 냉매 배관의 누설 여부는 후술하는 압력 체크 모드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기 설정된 시간 후에도 원하는 진공 값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경우에는 냉매 배관에 누설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진공 값이 일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변하는 경우에는 냉매 배관에서 누설이 발생했음을 알 수 있고 이러한 냉매 배관의 누설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0)는 원하는 기준 값까지 진공도를 맞추면 냉매를 주입하도록 하며 이는 냉매 주입 모드에서 수행된다.
냉매 배관의 누설 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압력 체크 모드의 경우에 제어부(100)는 진공펌프 밸브부, 진공센서 보호 밸브부, 및 냉매주입 밸브부를 오프시킨다. 또한, 실외기 포트부와 실외기가 서로 연결 접속된 사이 지점에 접속된 질소탱크(500)로부터 질소 가스를 주입한다. 질소 가스는 실외기와 실내장비를 서로 연결 접속하는 고압부 배관 및 저압부 배관(실외기 접속 배관부(20)) 또는 밸브 접속 배관부(10)에 각각 주입되며, 제어부(100)는 압력센서부를 통해 냉매 배관의 압력 값을 측정함으로써 누설 여부(냉매 배관의 기밀성)를 체크할 수 있다. 냉매 배관은 실외기 접속 배관부(20)와 밸브 접속 배관부(10)를 통칭하는 용어로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어느 하나를 가리킬 수 있다.
냉매 주입 모드의 경우에 제어부(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진공 형성 모드 또는 압력 체크 모드에 의해 누설 여부를 체크하는 한편, 냉매 배관이 기 설정된 진공 값에 도달하도록 제어한 후에 냉매유입 포트부를 통해 실외기로 냉매가 주입되도록 제어한다. 냉매부(200)에서 토출된 냉매는 냉매유입 포트부 및 냉매주입 밸브부를 거쳐 실외기 포트부로 공급되며, 최종적으로 실외기 포트부에서 토출된 냉매는 실외기 접속 배관부(20)를 통해 실외기로 공급되어 냉매가 실외기에 채워지게 된다. 이때, 진공센서 보호 밸브부 및 진공펌프 밸브부는 오프 상태이고, 냉매주입 밸브부는 온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매주입 밸브부와 냉매유입 포트부 사이에는 냉매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 밸브(30)가 구비된다.
냉매를 주입시에 냉매부(200)는 전자저울부(300)에 안착 됨으로써 제어부(100)는 냉매부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냉매 무게 감지 값에 의해 실외기에 주입되는 냉매의 주입량을 제어부(100)는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다. 냉매의 주입량은 자동으로 제어부(100)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즉, 실외기의 규정된 냉매량, 배관 길이, 배관 직경을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으면 제어부(100)는 주입량을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기 설정된 냉매의 주입량을 실외기에 주입 후에 공조기를 가동하고 온도센서로 기 설정된 지점의 온도를 측정하고 냉매(또는 냉매 배관) 압력을 체크한다. 제어부(100)는 냉매 압력 체크시에 진공펌프 밸브부, 진공센서 보호 밸브부, 냉매주입 밸브부를 모두 오프시킨 상태에서 압력센서부를 통해 압력 값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어부(100)의 온도 측정부는 온도센서에 의해 기 설정된 지점(일예로서 실외기 접속 배관부(20))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 값을 냉매 압력 측정시에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물리적으로 압력 값은 온도에 따라 지속 변화함).
제어부(100)는 누설 압력 및 진공도를 측정하고 모니터링함으로써 이상 발생시(일예로서 냉매 배관에서 발생되는 누설 감지 또는 용접 부위의 미세한 크랙에 의한 미세 누설 감지 등) LCD 표시부, 램프 표시부, 알람부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알려주고 이상 발생 정보를 기록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값을 입력하면 이에 따라 압력, 진공도, 냉매 주입량을 자동으로 설정 및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냉매 주입 중에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냉매 주입을 강제 차단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제어부(100)는 진공도 작업 내역, 냉매 사용량, 냉매 주입 내역 등을 기록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 정보가 기록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싱부(600)는 냉매에 소량 포함된 광유 계열 오일에 의해 오염된 밸브 접속 배관부(10)의 내부 세척과 센서 접촉부의 세척을 한다. 클리닝 세척액 투입부와 클리닝 오염액 배출부는 각각 실외기 포트부와 연결 접속되며, 클리닝 세척액 투입부의 세척액 투입에 따라 에어 및 액체 펌프가 동작된다. 세척액은 밸브 접속 배관부(10)의 내부를 세척하고 클리닝 오염액 배출부로 토출된다. 플러싱부(600)는 USB 연결 포트를 통해 제어부(100)와 데이터 통신을 하여 제어부의 통제에 의해 액체 펌프 가동, 정지, 배출 등을 하면서 세척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부(700)는 상술한 본체부와는 별도의 휴대용 단말로서 본체부와 수 m 또는 수십 m 이격되어 있는 거리의 실외기 및 실내기의 고압부 및 저잡부 배관의 온도를 측정하고자 할 때 제1,2 외부 온도센서부를 통해 실외기 접속 배관부(20, 고압부 및 저압부 배관)의 온도를 측정하여 통신부를 통해 본체부의 제어부(100)로 전송한다. 전송된 온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의 제어부(100)에서 냉매 압력 계산시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이 휴대용 단말부(700)는 사용자들의 PDA 휴대전화에 무선 블루투스나 유선 USB 케이블로 연결된 모듈의 형태를 가지거나 아니면 독립적인 자체 배터리를 보유한 무선 단말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각부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을 뿐 필요에 따라 어느 한 구성 및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로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또는 더 세분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10 : 밸브 접속 배관부
20 : 실외기 접속 배관부
30 : 역류방지 밸브
100 : 제어부
200 : 냉매부
300 : 전자저울부(또는 무게측정부)
400 : 진공펌프
500 : 질소탱크(또는 가스탱크부)
600 : 플러싱부
700 : 휴대용 단말부

Claims (10)

  1. 진공펌프부에 의해 진공을 형성하거나 또는 가스탱크부에 의해 가스를 주입하여 압력을 체크함으로써 냉매 배관의 누설 여부를 체크하는 누설체크부,
    진공 형성 모드, 압력 체크 모드, 및 냉매 주입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밸브가 개폐되는 밸브부,
    실외기에 주입되는 냉매를 포함하는 냉매부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부, 상기 모드에 따라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며, 상기 무게측정부의 냉매 무게 감지 값과 기 설정값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상기 실외기에 주입되는 냉매의 주입량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진공펌프부와 서로 연결 접속되는 진공펌프 포트부,
    공조기기의 실외기와 서로 연결 접속되는 실외기 포트부,
    상기 냉매부와 서로 연결 접속되는 냉매유입 포트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 접속되어 측정된 압력 값을 전송하는 압력센서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 접속되어 측정된 진공 값을 전송하는 진공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부는,
    상기 진공펌프 포트부와 서로 연결 접속되는 진공펌프 밸브부,
    상기 냉매유입 포트부와 서로 연결 접속되는 냉매주입 밸브부, 및
    상기 진공센서부의 앞 단에 구비되어 상기 진공센서부와 서로 연결 접속되는 진공센서 보호 밸브부를 포함하며,
    상기 냉매유입 포트부와 냉매주입 밸브부 사이에는 냉매 주입시 냉매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진공펌프 밸브부, 진공센서 보호 밸브부, 냉매주입 밸브부, 압력센서부, 및 실외기 포트부를 서로 연결 접속하는 밸브 접속 배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공 형성 모드의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센서 보호 밸브부 및 상기 냉매주입 밸브부를 오프시키고 진공펌프 밸브부를 온시킨 후에 상기 진공펌프를 구동 및 정상가동 여부를 체크하고, 기 설정된 시간 후에 진공센서 보호 밸브부를 온 시켜 상기 진공센서부를 통해 진공 값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누설 여부를 체크하고, 기 설정된 진공 값에 도달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압력 체크 모드의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펌프 밸브부, 진공센서 보호 밸브부, 및 냉매주입 밸브부를 오프시키고, 상기 가스탱크부로부터 가스가 주입된 경우 상기 압력센서부를 통해 압력 값을 측정하고, 기 설정된 시간 후에도 압력 값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냉매 배관에 누설이 없는 것으로 인식하고, 압력 값이 변하는 경우에는 냉매 배관에 누설이 발생한 것으로 누설 여부를 체크하며,
    상기 냉매 주입 모드의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 형성 모드 또는 상기 압력 체크 모드에 의해 상기 냉매 배관의 누설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냉매 배관이 기 설정된 진공 값에 도달하도록 제어 한 후에 상기 진공센서 보호 밸브부, 진공펌프 밸브부는 오프시키고, 냉매 주입 밸브부를 온시킨 상태에서 상기 냉매유입 포트부를 통해 상기 실외기로 냉매가 주입되도록 제어하며,
    주입된 냉매의 압력 체크의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냉매의 주입량을 상기 실외기에 주입 후에 상기 공조기를 먼저 가동한 후에 냉매 압력을 체크하며, 냉매 압력 체크시에 상기 진공펌프 밸브부, 진공센서 보호 밸브부, 및 냉매주입 밸브부를 오프시킨 상태에서 상기 압력센서부를 통해 압력 값을 측정하며,
    상기 밸브 접속 배관부에 의해 상기 밸브부가 상호 연통되고, 각각의 모드에 대응하여 밸브부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온/오프 제어됨으로써 누설 여부 체크, 압력 체크, 진공도 체크, 및 냉매 충전을 연통된 밸브부를 통해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진단 기능을 구비한 냉매 충전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부는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진공펌프 밸브부와 서로 연결 접속되며,
    상기 진공센서부는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밸브부의 진공센서 보호 밸브부와 서로 연결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진단 기능을 구비한 냉매 충전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부는 상기 무게측정부에 안착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매 무게 감지 값을 획득하여 상기 실외기에 주입되는 냉매의 주입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진단 기능을 구비한 냉매 충전 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냉매 배관의 직경 및 길이 값을 입력 받아 상기 실외기에 주입되는 냉매의 주입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진단 기능을 구비한 냉매 충전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접속 배관부를 세척하는 플러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진단 기능을 구비한 냉매 충전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냉매 배관부의 고압부 배관 및 저압부 배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측정부에서 측정된 온도 값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압력센서부로부터 측정된 냉매 압력에 현재 온도 값에 따른 온도보상 값을 반영하여 상기 냉매 압력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진단 기능을 구비한 냉매 충전 장치.
KR1020170027029A 2017-03-02 2017-03-02 누설 진단 기능을 구비한 냉매 충전 장치 KR101826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029A KR101826955B1 (ko) 2017-03-02 2017-03-02 누설 진단 기능을 구비한 냉매 충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029A KR101826955B1 (ko) 2017-03-02 2017-03-02 누설 진단 기능을 구비한 냉매 충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6955B1 true KR101826955B1 (ko) 2018-02-07

Family

ID=61204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029A KR101826955B1 (ko) 2017-03-02 2017-03-02 누설 진단 기능을 구비한 냉매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9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1596A (ko) * 2021-08-27 2023-03-07 주식회사 오토프로업 에어컨 냉매 충전 및 회수기
KR20230047596A (ko) 2021-10-01 2023-04-10 주식회사 이경 유체이송용 스마트 커플러
KR102574000B1 (ko) * 2022-12-01 2023-09-06 주식회사 유니테크21 차량에어컨 냉매공급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3593B1 (ko) * 1995-12-29 1999-06-15 정몽규 에어콘의 냉매 충진방법
KR200319512Y1 (ko) 2003-03-31 2003-07-18 김종성 냉매회수, 세척, 진공, 충전 혹은 보충을 자동으로 일괄처리장치
JP4865770B2 (ja) * 2008-08-08 2012-02-01 英明 袖山 冷媒配管の洗浄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3593B1 (ko) * 1995-12-29 1999-06-15 정몽규 에어콘의 냉매 충진방법
KR200319512Y1 (ko) 2003-03-31 2003-07-18 김종성 냉매회수, 세척, 진공, 충전 혹은 보충을 자동으로 일괄처리장치
JP4865770B2 (ja) * 2008-08-08 2012-02-01 英明 袖山 冷媒配管の洗浄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1596A (ko) * 2021-08-27 2023-03-07 주식회사 오토프로업 에어컨 냉매 충전 및 회수기
KR102595780B1 (ko) * 2021-08-27 2023-10-31 주식회사 오토프로업 에어컨 냉매 충전 및 회수기
KR20230047596A (ko) 2021-10-01 2023-04-10 주식회사 이경 유체이송용 스마트 커플러
KR102574000B1 (ko) * 2022-12-01 2023-09-06 주식회사 유니테크21 차량에어컨 냉매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36417B1 (en) Refrigerant leakage warning device
CN101512160B (zh) 压缩机数据模块
EP3543048B1 (en) Method for identifying and operating air purge in safe mode
WO2003078955A1 (fr) Testeur d'etancheite
CN102084197A (zh) 制冷运输系统测试
KR101826955B1 (ko) 누설 진단 기능을 구비한 냉매 충전 장치
JP2002243572A (ja) 配管漏洩検査方法およびその装置
GB2554582A (en) Refrigerant leak detection device
US201302058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Accuracy of A/C Diagnostic Tests
US20060075771A1 (en) Refrigeration mechanical diagnostic protection and control device
CN112179580A (zh) 检漏装置及检漏方法
US11781936B2 (en) Airtightness evaluation device
CN108644988A (zh) 空调室外机检测系统
CN107102662A (zh) 一种基于wifi技术的汽车空调流量及压力测控系统
WO2023021606A1 (ja) 気密試験装置および気密試験方法
JP5225622B2 (ja) 地下タンクの漏洩検査装置
CN212721954U (zh) 检漏装置
KR940018620A (ko)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1200070A1 (ja) 水素ガス充填装置
KR200463038Y1 (ko) 정압기 점검장치
WO2023103111A1 (zh) 一种集成控制阀和冷媒充注机
CN215414263U (zh) 一种简易阀门试压装置
KR200316017Y1 (ko) 사방변밸브 시험장치
SU1456802A1 (ru) Способ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контрол герметичности трубопроводов
KR20190078534A (ko) 휴대용 냉매주입량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