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4126B1 - 전자 기기 및 전자 장치의 접속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및 전자 장치의 접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4126B1
KR101824126B1 KR1020110043458A KR20110043458A KR101824126B1 KR 101824126 B1 KR101824126 B1 KR 101824126B1 KR 1020110043458 A KR1020110043458 A KR 1020110043458A KR 20110043458 A KR20110043458 A KR 20110043458A KR 101824126 B1 KR101824126 B1 KR 101824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connection terminal
terminal group
connecto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3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6047A (ko
Inventor
켄이치 와키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ublication of KR20110126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6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전자 장치의 조합을 선택하고 휴대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전자 기기를 휴대할 때의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한다. 사용자가 태양 전지의 탈착을 선택할 수 있고, 태양 전지의 수광면의 방향을 선택하여 접속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연결구를 통하여 탈착할 수 있게 복수의 전자 장치를 지축에 연결한 전자 기기를 사용하면 좋다. 상기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는 한 쌍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을 구비하고, 그 극성은 1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여 극성이 대칭이다. 그리고, 상기 전자 장치는 연결구를 통하여 지축에 탈착할 수 있으므로 1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전하여 연결구에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접속 단자 그룹과, 연결구에 구비한 제 2 접속 단자 그룹을 통하여 복수의 전자 장치가 접속될 수 있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Description

전자 기기 및 전자 장치의 접속 방법{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복수의 전자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의 접속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의 집적화가 진행되어 연산 소자의 처리 능력이 향상된 결과, 전자 기기가 소형화 및 고기능화되고, 그리고 저렴한 가격으로 입수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기억 소자의 집적화가 진행되어 대용량화된 결과, 대량의 정보를 휴대하기 용이 해졌다. 또한, 사회의 정보 전달 기반이 충족된 것에도 기인하여 휴대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이용하여 밖에 나갔을 때에도 대량의 정보를 취급할 수 있게 되었다.
휴대형 전자 기기의 일례로서는 정보 처리 조작을 행하는 조작부와 재생 표시부를 접을 수 있고, 또한 별개로 분리할 수도 있는 정보 처리 장치가 고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대부분의 전자 기기는 다기능화됨으로써 편의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강하고,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만을 선택할 수 있는 전자 기기는 아직 실현되고 있는 중이다.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는 소프트웨어로 실현될 수 있는 기능을 사용자가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는 전자 기기의 일 형태다. 그러나, 하드웨어로만 실현될 수 있는 기능을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는 전자 기기는 적고, 특히 휴대할 수 있는 소형 전자 기기의 대부분은 제조 업자가 기능을 선택하고 또 그 조합을 결정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필요로 하는 기능을 구비한 전자 기기를 제조 업자가 제공하는 전자 기기 중에서 선택할 수밖에 없고,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의 전자 기기를 휴대할 필요가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를 휴대하면 용적 및 중량이 늘어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긴다. 특히, 전자 기기가 내장하는 전지의 중량은 그 전자 기기의 중량 중,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따라서, 복수의 전자 기기를 휴대하는 경우에는, 전지의 중량이 휴대성을 저하시킨다고 할 수도 있다. 또한, 다기능화된 복수의 전자 기기를 휴대하는 경우에는, 일부의 기능이 중복되어 사용자에 불필요한 부담을 준다.
또한, 대용량의 전지나 큰 수광면을 구비한 태양 전지 등이 내장된 전자 기기는 전등선으로부터 전력을 받기 어려운 경우에는 편리하지만, 전등선으로부터 전력을 받기 용이한 경우에는 불필요하고, 오히려 전자 기기의 휴대성을 손상시키기 때문에 편리하다고 하기 어렵다. 또한, 태양 전지가 내장된 전자 기기는 태양 전지를 광원을 향하도록 하면서 사용하는 형태가 바람직하기 때문에 사용 형태의 자유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휴대하는 복수의 전자 기기 중, 사용 빈도가 낮은 전자 기기에 내장된 전지에 전력이 남아 있어도 사용 빈도가 높은 전자 기기는 그 전력을 이용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사용 빈도가 높은 전자 기기만이 내장된 전지의 전력을 모두 사용하고 그 전자 기기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불편감이 있다.
일본국 특개평11-327683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적 배경에 바탕을 두고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그 목적은 필요로 하는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조합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하나로 한다.
또한, 휴대할 때,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하나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능마다 분할된 복수의 전가 장치를 필요에 따라 자유로이 조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착안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연결구를 통하여 복수의 전자 장치가 지축에 회전 및 탈착할 수 있게 연결된 전자 기기를 사용하면 좋다. 상기 전자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는 한 쌍의 제 1 전속 단자 그룹을 구비하고, 그 극성은 하나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이다. 그리고, 상기 전자 장치는 연결구를 통하여 지축에 탈착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전하여 연결구에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접속 단자 그룹과 연결구에 구비된 제 2 접속 단자 그룹을 통하여 복수의 전자 장치가 서로 접속될 수 있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즉,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는 제 1 지축에 고정된 연결구에 탈착할 수 있게 지지된 제 1 전자 장치와,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는 제 2 지축에 고정된 연결구에 탈착할 수 있게 지지된 제 2 전자 장치와, 제 1 지축, 및 제 2 지축을 묶는 결속구를 갖는다. 그리고, 제 1 전자 장치는 한 쌍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을 구비하고, 그 극성은 하나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나란하고, 제 2 전자 장치는 다른 한 쌍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을 구비하고, 그 극성은 하나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나란하다. 또한, 연결구는 제 1 접속 단자 그룹과 접속되는 제 2 접속 단자 그룹을 구비하고, 제 1 접속 단자 그룹과 제 2 접속 단자 그룹을 통하여 제 1 전자 장치가 제 2 전자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자 기기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사용자는 필요로 하는 기능을 구비한 전자 장치를 선택하여 휴대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전자 장치를 선택하여 조합한 상기 전자 기기는 불필요한 구성이 생략되기 때문에 중량이 가볍고 용적이 작으므로 휴대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사용자는 제 1 전자 장치의 제 1 면과 제 2 전자 장치의 제 1 면의 방향을 자유로이 바꿔 사용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또한, 지축의 개수는 2개에 한정되지 않고, 결속구가 묶는 지축은 3개 이상 제공할 수 있다. 지축의 개수를 늘림으로써 조합하는 전자 장치의 개수를 늘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는 지축에 고정된 연결구에 탈착할 수 있게 지지된 제 1 전자 장치와, 지축에 고정된 연결구에 탈착할 수 있게 지지된 제 2 전자 장치를 갖는다. 그리고, 제 1 전자 장치는 한 쌍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을 구비하고, 그 극성은 하나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나란하고, 제 2 전자 장치는 다른 한 쌍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을 구비하고, 그 극성은 하나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나란하다. 또한, 연결구는 제 1 접속 단자 그룹과 접속되는 제 2 접속 단자 그룹을 구비하고, 제 1 접속 단자 그룹과 제 2 접속 단자 그룹을 통하여 제 1 전자 장치가 제 2 전자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자 기기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사용자는 필요로 하는 기능을 구비한 전자 장치를 선택하여 휴대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전자 장치를 선택하여 조합한 상기 전자 기기는 불필요한 구성이 생략되기 때문에 중량이 가볍고 용적이 작으므로 휴대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사용자는 제 1 전자 장치의 제 1 면과 제 2 전자 장치의 제 1 면의 방향을 자유로이 바꿔 사용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또한, 어느 전자 장치나 연결구에 탈착할 수 있으므로 전자 장치의 조합의 폭이 넓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다. 또한, 연결구에서 떼어 각각의 전자 장치를 이용할 수 있어 휴대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는 제 1 지축에 고정된 연결구에 탈착할 수 있게 지지된 제 1 전자 장치와,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는 제 2 지축에 고정된 연결구에 지지된 제 2 전자 장치와, 제 1 지축 및 제 2 지축을 묶는 결속구를 갖는다. 또한, 제 1 전자 장치는 한 쌍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을 구비하고, 그 극성은 하나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나란하고, 연결구는 제 1 접속 단자 그룹과 접속되는 제 2 접속 단자 그룹을 구비한다. 또한, 제 1 접속 단자 그룹과 제 2 접속 단자 그룹을 통하여 제 1 전자 장치가 제 2 전자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자 기기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사용자는 필요로 하는 기능을 구비한 전자 장치를 선택하여 휴대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전자 장치를 선택하여 조합한 상기 전자 기기는 불필요한 구성이 생략되기 때문에 중량이 가볍고 용적이 작으므로 휴대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사용자는 제 1 전자 장치의 제 1 면의 방향을 자유로이 바꿔 사용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또한, 제 1 지축과 제 2 지축을 거리를 두고 제공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각종 두께의 전자 장치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는 지축에 고정된 연결구에 탈착할 수 있게 지지된 제 1 전자 장치와, 지축에 고정된 연결구에 지지된 제 2 전자 장치를 갖는다. 그리고, 제 1 전자 장치는 한 쌍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을 구비하고, 그 극성은 하나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나란하고, 연결구는 제 1 전자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접속 단자 그룹을 구비한다. 또한, 제 1 접속 단자 그룹과 제 2 접속 단자 그룹을 통하여 제 1 전자 장치가 상기 제 2 전자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자 기기이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사용자는 필요로 하는 기능을 구비한 전자 장치를 선택하여 휴대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전자 장치를 선택하여 조합한 상기 전자 기기는 불필요한 구성이 생략되기 때문에 중량이 가볍고 용적이 작으므로 휴대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사용자는 제 1 전자 장치의 제 1 면의 방향을 자유로이 바꿔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제 1 접속 단자 그룹 및 제 2 접속 단자 그룹을 통하여 한쪽의 전자 장치가 다른 쪽 전자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상기 전자 기기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양쪽 전자 장치가 구비한 전력을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제 1 접속 단자 그룹 및 제 2 접속 단자 그룹을 통하여 태양 전지를 구비한 한쪽의 전자 장치가 다른 쪽의 전자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상기 전자 기기이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사용자가 태양 전지의 탈착을 선택할 수 있고, 태양 전지의 수광면의 방향을 선택하여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린 상태, 접는 상태 등의 사용 형태에 상관없이 전자 기기의 제 1 면의 방향과 태양 전지의 수광면의 방향을 사용자가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전자 기기가 사용 중이든 아니든 태양 전지를 광원을 향하도록 할 수 있어 발전에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결속구에 회전할 수 있게 묶어진 제 1 지축 및 제 2 지축에 연결구를 통하여 제 1 전자 장치 및 제 2 전자 장치를 탈착할 수 있게 연결되고, 각각의 제 1 면을 열린 상태로 사용자를 향하도록 하는 상기 전자 기기의 사용 방법이다.
상기 사용 방법에 의하여, 제 1 전자 장치의 제 1 면과 제 2 전자 장치의 제 1 면 양쪽 모두를 사용자 측을 향하도록 하여 이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제 1 지축과 제 2 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제 1 전자 장치 및 제 2 전자 장치를 회전시키고 서로 제 1 면을 대향시켜 닫음으로써 각각의 제 1 면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결속구에 회전할 수 있게 묶어진 제 1 지축 및 제 2 지축에 연결구를 통하여 제 1 전자 장치 및 제 2 전자 장치를 탈착할 수 있게 연결하고, 한쪽의 전자 장치의 제 1 면을 다른 쪽의 전자 장치로 덮고, 다른 쪽의 전자 장치의 제 1 면을 사용자를 향하도록 하는 상기 전자 기기의 사용 방법이다.
상기 사용 방법에 따르면, 한쪽의 전자 장치의 제 1 면을 다른 쪽 전자 장치로 덮어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전자 장치가 구비한 복수 면 중 사용자가 조작, 관찰, 또는 입력 등을 주로 행하는 면 또는 상기 장치가 수광, 수신, 표시 등을 주로 행하는 면을 전자 장치의 제 1 면으로 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제 1 면의 배면을 제 2 면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조작, 관찰, 또는 입력 등을 주로 행하는 면 또는 상기 장치가 수광, 수신, 표시 등을 주로 행하는 면을 한쪽의 면에 특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편의상 한쪽 면을 전자 장치의 제 1 면으로 하고, 그 배면을 제 2 면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을 구비한 전자 장치를 선택하고, 조합하고, 그리고 휴대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휴대할 때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베이스 유닛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장치와 베이스 유닛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7(A) 내지 도 7(C)는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8(A) 및 도 8(B)는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9(A) 내지 도 9(C)는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실시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11은 실시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와 화소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실시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
도 13(A) 및 도 13(B)는 실시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제어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
도 14는 실시형태에 따른 동영상을 표시하는 기간과 정지 화상을 표시하는 기간에서의 프레임 기간마다의 화상 신호의 기록 빈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5(A) 내지 도 15(E)는 실시형태에 따른 산화물 반도체를 함유한 트랜지스터 및 그 제작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
도 16(A) 및 도 16(B)는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17(A) 및 도 17(B)는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18은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19는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20은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하의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 및 그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그 형태 및 자세한 사항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 기재하는 실시형태에 기재된 내용에만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발명의 구성에서 동일 부분 또는 같은 기능을 갖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상이한 도면 간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형태 1)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인 전자 기기를 도 1(A) 내지 도 8(B) 및 도 16(A) 내지 도 2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연결구를 통하여 복수의 전자 장치를 지축에 회전 및 탈착할 수 있게 연결한 전자 기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전자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는 한 쌍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을 구비하고, 그 극성은 하나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이다. 그리고, 상기 전자 장치는 연결구를 통하여 지축에 탈착할 수 있으므로, 1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전하여 연결구에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접속 단자 그룹과, 연결구에 구비한 제 2 접속 단자 그룹을 통하여 복수의 전자 장치가 서로 접속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예시하는 전자 기기(10)는 제 1 전자 장치(100), 제 2 전자 장치(200), 및 베이스 유닛(300)을 구비한다. 전자 기기(10)의 사시도를 도 1(A) 내지 도 2(C)에 도시한다.
베이스 유닛(300)의 제 1 지축(310)에 제 1 전자 장치(100)가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고, 베이스 유닛(300)의 제 2 지축(320)에 제 2 전자 장치(200)가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유지된다. 또한, 한 쌍의 연결구(330a) 및 연결구(330b)를 통하여 제 1 전자 장치(100)가 제 1 지축(310)에 탈착할 수 있게 고정되고, 한 쌍의 연결구(340a) 및 연결구(340b)를 통하여 제 2 전자 장치(200)가 제 2 지축(320)에 탈착할 수 있게 고정된다. 또한, 베이스 유닛(300)을 통하여 제 1 전자 장치(100)와 제 2 전자 장치(200)는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1 전자 장치(100) 및 제 2 전자 장치(2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시도를 도 3(A)에 도시한다. 제 1 전자 장치(100)는 제 1 면(100a), 그 배면에 위치하는 제 2 면(100b)(도시되지 않음), 한 쌍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130L) 및 제 1 접속 단자 그룹(130R)을 갖는다. 또한, 제 2 전자 장치(200)는 제 1 면(200a), 그 배면에 위치하는 제 2 면(200b)(도시되지 않음), 한 쌍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230L) 및 제 1 접속 단자 그룹(230R)을 갖는다.
제 1 전자 장치(100)와 제 2 전자 장치(200)는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이다.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전자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표시 기능을 구비한 기억 장치, 태양 전지와 2차 전지를 구비한 전원 장치, 입력 장치, 입력 기능을 구비한 표시 장치, 입력 기능을 구비한 연산 장치, 표시 장치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제 1 접속 단자 그룹(130L)은 적어도 극성이 상이한 단자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인 전자 장치는 전력 또는 전기 신호를 극성이 상이한 단자에 전위차로서 출력한다. 또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인 전자 장치는 전력 또는 전기 신호를 극성이 상이한 단자에 전위차로서 입력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가 태양 전지와, 태양 전지에 의하여 발전한 전력을 축적하는 2차 전지를 구비한 직류 전원 장치인 경우에는, 상기 전자 장치는 극성이 상이한 단자(양극 및 음극)에 직류 전력을 출력한다. 또한, 전자 장치가 직류 전력으로 동작하는 표시 장치인 경우에는, 상기 전자 장치는 극성이 상이한 단자(양극 및 음극)로부터 직류 전력을 입력하여 동작한다. 또한, 전자 장치가 출력 또는 입력하는 전류는 직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 장치가 출력 또는 입력하는 전류가 교류인 경우에는 극성이 반전할 경우가 있다.
제 1 접속 단자 그룹(130L)의 구성의 일례에 대하여 도 3(B)에 도시한 사시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 1 접속 단자 그룹(130L)은 오목 구조를 갖는 단자(131L), 단자(132L), 및 제 1 감합(嵌合)부(138)를 갖는다. 또한, 제 1 접속 단자 그룹(130L), 제 1 접속 단자 그룹(130R), 제 1 접속 단자 그룹(230L), 및 제 1 접속 단자 그룹(230R)은 모두 같은 구성을 갖는다.
제 1 접속 단자 그룹(130L)은 극성이 상이한 단자를 갖고, 제 1 전자 장치(100)는 단자(131L)와 단자(132L)에 상이한 전위를 출력하고, 또는 제 1 전자 장치(100)는 단자(131L)와 단자(132L)로부터 상이한 전위가 입력된다. 제 1 접속 단자 그룹(130L)의 극성을 단자(131L)의 전위에서 단자(132L)의 전위를 향하는 화살표로 도면 중에 도시한다. 또한, 제 1 접속 단자 그룹(130L), 제 1 접속 단자 그룹(130R), 제 1 접속 단자 그룹(230L), 및 제 1 접속 단자 그룹(230R)에 부기된 도면 중의 화살표는 단자(131L)와 전위가 같은 단자에서 단자(132L)와 전위가 같은 단자를 향하는 화살표다. 또한, 제 1 전자 장치(100) 내에서 단자(131L)와 단자(131R)는 서로 접속되고, 단자(132L)와 단자(132R)는 서로 접속된다. 전자 장치가 출력 또는 입력하는 전류가 교류인 경우에는 극성이 반전될 수 있지만, 단자의 배치에서 회전 축에 대한 단자의 대칭성은 저하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100)에 제공된 제 1 접속 단자 그룹의 한쪽의 단자(131L)에 제 2 전자 장치(200)로부터 낮은 전위를 공급하고, 다른 쪽의 단자(132L)에 높은 전위를 공급함으로써, 제 1 전자 장치(100)에 제 2 전자 장치(200)로부터 전력이나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각각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에 부기된 도면 중의 화살표는 제 1 접속 단자 그룹의 극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형태가 구비한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1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여 극성이 대칭이고, 한 쌍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3(C)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1회전 축 P1-Q1을 중심으로 하여 극성이 대칭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예시하는 제 1 접속 단자 그룹(130L)은 베이스 유닛(300)이 구비한 연결구(330a)와 탈착할 수 있게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예시하는 제 1 접속 단자 그룹(130L)과 제 1 접속 단자 그룹(130R)의 단자는 1회전 축 P1-Q1을 중심으로 하여 극성을 대칭으로 배치함으로써 1회전 축 P1-Q1을 중심으로 하여 제 1 전자 장치(100)는 반전하여 베이스 유닛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연결이란 전기적 접속뿐만 아니라 역학적인 접속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 예시하는 제 1 접속 단자 그룹(130L)은 오목 구조를 갖는 제 1 접속 단자 그룹(130L)과 볼록 구조를 갖는 연결구(330a)가 서로 감합하여 연결된다.
또한, 전자 기기(10)가 구비한 제 1 전자 장치(100)와 제 2 전자 장치(200)에 각각 독립된 전원이 내장되는 경우에는, 베이스 유닛을 통하여 서로 전원을 공유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100)는 내장되는 전원을 자기 자신으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전력을 제 1 접속 단자 그룹(130L)에 출력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접속 단자 그룹(130L)을 베이스 유닛의 연결구가 구비한 제 2 접속 단자 그룹에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제 1 전자 장치(100)는 전력을 다른 연결구가 구비한 제 2 접속 단자 그룹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연결구에 제 2 전자 장치(200)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230R)이 연결되면, 제 1 접속 단자 그룹(230R)을 통하여 전력을 제 1 전자 장치(100)로부터 제 2 전자 장치(200)에 출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전자 장치(200)로부터 제 1 전자 장치(100)에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복수의 전자 장치의 전원을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전자 장치 중 사용 빈도가 높은 전자 장치는 내장하는 전지의 전력을 모두 써도 사용 빈도가 낮은 전자 장치가 구비한 전지를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베이스 유닛(3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시도를 도 4에 도시한다. 베이스 유닛(300)은 제 1 지축(310), 제 2 지축(320), 결속구(350), 한 쌍의 연결구(330a) 및 연결구(330b), 및 한 쌍의 연결구(340a) 및 연결구(340b)를 구비한다.
결속구(350)는 제 1 지축(310) 및 제 2 지축(320)을 각각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묶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결속구(350)는 2개의 지축을 묶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의 지축을 묶는 것이라도 좋다. 결속구가 3개의 지축을 묶는 경우에 대하여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한다. 묶는 지축의 개수를 늘림으로써 연결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개수를 늘릴 수 있다.
또한, 연결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개수는 묶는 지축의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는 1개의 지축에 고정된 한쪽의 연결구에 탈착할 수 있게 지지된 제 1 전자 장치와, 같은 지축에 고정된 다른 쪽의 연결구에 탈착할 수 있게 지지된 제 2 전자 장치를 구비한 구성이라도 좋다. 이 구성에 추가하여 제 1 전자 장치는 한 쌍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을 구비하고, 그 극성은 하나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나란하고, 제 2 전자 장치는 다른 한 쌍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을 구비하고, 그 극성은 하나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나란하다. 또한, 연결구는 제 1 접속 단자 그룹과 접속되는 제 2 접속 단자 그룹을 구비하고, 제 1 접속 단자 그룹과 제 2 접속 단자 그룹을 통하여 제 1 전자 장치가 제 2 전자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자 기기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이다.
또한, 베이스 유닛과 전자 장치가 일체가 되어도 좋다. 베이스 유닛을 구비한 한쪽의 전자 장치에 다른 쪽의 전자 장치가 연결되는 전자 기기의 예를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한다. 또한, 도 17(A)의 전자 기기는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한 제 1 접속 단자 그룹과 연결구의 연결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연결되고, 도 17(B)의 전자 기기는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한 제 1 접속 단자 그룹과 연결구의 연결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연결된다.
연결구(330b)의 구성에 대하여 도 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연결구(330b)는 제 2 접속 단자 그룹(333b)을 갖는다. 제 2 접속 단자 그룹(333b)은 적어도 극성이 상이한 단자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 예시하는 제 2 접속 단자 그룹(333b)은 단자(331b) 및 단자(332b)를 구비한다. 또한, 제 2 감합부(338b)를 갖는다.
연결구(330a), 연결구(330b), 연결구(340a), 및 연결구(340b)는 모두 같은 구성을 갖는다. 한 쌍의 연결구(330a) 및 연결구(330b)는 대향하고 제 1 지축(310)에 고정되기 때문에 각각에 제공된 제 2 접속 단자 그룹은 같은 극성의 단자를 1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나란히 구비한다. 또한, 한 쌍의 연결구(340a) 및 연결구(340b)는 대향하고 제 2 지축(320)에 고정되기 때문에 각각에 제공된 제 2 접속 단자 그룹은 같은 극성의 단자를 하나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나란히 구비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접속 단자 그룹(333a), 제 2 접속 단자 그룹(333b), 제 2 접속 단자 그룹(343a), 및 제 2 접속 단자 그룹(343b)이 각각 구비한 단자 중 같은 극성을 갖는 단자들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같은 전위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접속 단자 그룹(333a)의 단자(332a), 제 2 접속 단자 그룹(333b)의 단자(332b), 제 2 접속 단자 그룹(343a)의 단자(342a), 및 제 2 접속 단자 그룹(343b)의 단자(도시되지 않음)는 접속되어 모두 같은 전위를 갖고, 제 2 접속 단자 그룹(333a)의 단자(도시되지 않음), 제 2 접속 단자 그룹(333b)의 단자(331b), 제 2 접속 단자 그룹(343a)의 단자(341a), 및 제 2 접속 단자 그룹(343b)의 단자(341b)는 모두 같은 전위를 갖는다.
제 1 전자 장치(100) 및 제 2 전자 장치(200)와 베이스 유닛(300)의 연결 방법에 대하여 도 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는, 제 1 전자 장치(100)에 제공된 제 1 접속 단자 그룹(130L)과 베이스 유닛(300)에 제공된 연결구(330a)의 연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다른 연결 부분도 같은 연결 방법을 사용하면 좋다.
본 실시형태에 예시하는 제 1 전자 장치(100)에 제공된 제 1 접속 단자 그룹(130L)은 오목부를 갖고, 비에스 유닛(300)이 구비한 연결구(330a)는 볼록부를 갖고, 오목부와 볼록부가 서로 감합하여 연결된다. 또한, 제 1 접속 단자 그룹(130L)에 제공된 제 1 감합부(138)에 제 2 접속 단자 그룹(333a)에 제공된 제 2 감합부(338a)가 감합하여 제 1 전자 장치(100)는 제 1 지축(310)에 고정된다. 또한, 개방 기구(337a)를 누름으로써 제 2 감합부(338a)가 제 1 감합부(138)에서 벗어져 제 1 전자 장치(100)는 연결구(330a)로부터 탈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예시하는 전자 기기(10)는 베이스 유닛(300)에 고정된 제 1 전자 장치(100) 및 제 2 전자 장치(200)의 방향을 자유로이 바꿔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에서는 제 1 전자 장치(100) 및 제 2 전자 장치(200)를 베이스 유닛(300)을 중심으로 열린 상태, 즉 제 1 전자 장치(100)의 제 1 면(100a) 및 제 2 전자 장치(200)의 제 1 면(200a)이 베이스 유닛(300)을 중심으로 하여 한쪽의 방향을 향한 상태가 된다.
베이스 유닛(300)을 중심으로 하여 2개의 전자 장치의 제 1 면을 열린 상태, 바꿔 말하면 한쪽 방향을 향한 상태로 함으로써 전자 장치를 한쪽 방향으로부터 이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100) 및 제 2 전자 장치(200)가 모두 표시 장치인 경우에는 본 실시형태에 예시하는 전자 기기(10)를 열린 상태로 이용하면 표시 화면이 2배가 되어 표시할 수 있는 정보량이 배증한다.
또한, 도 1(B)에 예시되도록 전자 기기(10)의 제 1 전자 장치(100) 및 제 2 전자 장치(200)의 각각의 제 1 면을 안쪽으로 하여 베이스 유닛(300)을 중심으로 하여 접을 수도 있다.
이렇게 접어 각각의 케이스로 각각의 제 1 면을 보호함으로써, 부주의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제 1 면을 보호하고 의도하지 않는 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전자 장치(100)와 제 2 전자 장치(200)는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전자 장치다. 따라서, 도 1(C)에 예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연결구(330a) 및 연결구(330b)로부터 제 1 전자 장치(100)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을 구비한 전자 장치를 선택하여 베이스 유닛(300)으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휴대할 때 중량 및 용적이 가벼워져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전자 기기(10)의 사용 방법의 다른 일 형태를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한다. 도 2(A)에서는 베이스 유닛(300)에 제 1 전자 장치(100) 및 제 2 전자 장치(200)를 같은 방향으로 연결한다.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유닛(300)을 중심으로 하여 접고,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전자 장치(200)의 제 1 면(200a)을 제 1 전자 장치(100)의 제 2 면(도시되지 않음)으로 덮을 수 있다.
이렇게 접어 제 1 전자 장치(100)의 제 1 면(100a)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하면서 제 2 전자 장치(200)의 제 1 면(200a)을 보호함으로써, 부주의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제 1 면(200a)을 보호하고 의도하지 않는 조작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전자 기기가 구비한 복수의 전자 장치가 서로를 식별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연결구를 통하여 각각이 전원 회로에 개폐기를 구비한 복수의 전자 장치를 지축에 회전 및 탈착할 수 있게 연결된 전자 기기에서 첫번째로 개폐기를 온 상태로 한 전자 장치를 제 1 전자 장치로 하고, 제 1 전자 장치에 이어 전원 회로의 개폐기를 온 상태로 한 전자 장치를 제 2 전자 장치로 하면 좋다. 바꿔 말하면, 개폐기를 온 상태로 한 후에 온 상태인 다른 전자 장치의 개수 n을 검출하고, n+1을 그 전자 장치의 식별 번호로 하면 좋다.
이러한 인식 방법에 의하여, 사용자는 사용자의 전자 기기에 다른 사용자의 전자 장치를 접속시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인 전자 기기가 구비한 복수의 전자 장치가 서로를 식별하는 다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연결구를 통하여 각각이 식별 신호 회로를 구비한 복수의 전자 장치를 지축에 회전 및 탈착할 수 있게 연결된 전자 기기에서 각각의 전자 장치에 중복되지 않고 식별 신호를 설정하면 좋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에는 식별 번호 00을 할당하고, 제 2 전자 장치에는 식별 번호 01을 할당하면 좋다.
이러한 인식 방법에 의하여, 사용자는 각각의 전자 장치를 처음으로 사용할 때만 식별 신호를 설정하면 좋아 편리하다.
본 발명의 전자 기기에 사용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전자 장치 및 베이스 유닛의 사시도를 도 6(A) 내지 도 8(B)에 도시한다.
도 6(A)에 제 1 전자 장치(140), 제 2 전자 장치(240)를 도시한다. 제 1 전자 장치(140)는 제 1 면(140a)(도시되지 않음) 측에 제 1 접속 단자 그룹(150a)을 구비하고, 제 1 면(140a) 배면에 위치하는 제 2 면(140b) 측에 제 1 접속 단자 그룹(150a)과 쌍을 이루는 제 1 접속 단자 그룹(150b)을 갖는다. 또한, 제 2 전자 장치(240)는 제 1 면(240a) 측에 제 1 접속 단자 그룹(250a)을 구비하고, 제 1 면(240a) 배면에 위치하는 제 2 면(240b)(도시되지 않음) 측에 제 1 접속 단자 그룹(250a)과 쌍을 이루는 제 1 접속 단자 그룹(250b)을 갖는다.
제 1 전자 장치(140)와 제 2 전자 장치(240)는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이다. 독립하여 동작할 수 있는 전자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표시 기능을 갖는 기억 장치, 태양 전지와 2차 전지를 구비한 전원 장치, 입력 장치, 입력 기능을 구비한 표시 장치, 입력 기능을 구비한 연산 장치, 표시 장치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제 1 접속 단자 그룹(150a)은 적어도 극성이 상이한 단자를 구비한다. 제 1 접속 단자 그룹(150a)의 구성의 일례에 대하여 도 6(B)에 도시한 사시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 1 접속 단자 그룹(150a)은 오목 구조를 갖는 단자(151a) 내지 단자(155a)를 갖는다. 또한, 제 1 접속 단자 그룹(150a), 제 1 접속 단자 그룹(150b), 제 1 접속 단자 그룹(250a), 및 제 1 접속 단자 그룹(250b)은 모두 같은 구성을 갖는다.
또한, 도면 중의 화살표는 제 1 접속 단자 그룹의 극성을 나타내고, 단자(151a)와 같은 전위를 갖는 단자에서 단자(155a)와 같은 전위를 갖는 단자를 향하는 화살표로 극성을 나타낸다. 또한, 제 1 전자 장치(140) 내에서 단자(151a)와 단자(151b)는 서로 접속되고 같은 전위를 갖고, 단자(152a)와 단자(152b)는 서로 접속되어 같은 전위를 갖고, 단자(153a)와 단자(153b)는 서로 접속되어 같은 전위를 갖고, 단자(154a)와 단자(154b)는 서로 접속되어 같은 전위를 갖고, 단자(155a)와 단자(155b)는 서로 접속되어 같은 전위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140)에 제공된 제 1 접속 단자 그룹의 하나의 단자(151a)에 제 2 전자 장치(240)로부터 낮은 전위를 공급하고, 다른 단자(152a) 내지 단자(155a)에 높은 전위를 공급함으로써, 제 1 전자 장치(140)에 제 2 전자 장치(240)로부터 전력이나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가 구비한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1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여 극성을 대칭으로 하여 한 쌍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6(C)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1회전 축 P2-Q2를 중심으로 하여 극성이 대칭으로 배치된다.
또한, 베이스 유닛(300h)은 가이드 핀(157a) 및 가이드 핀(157b)을 갖는다. 또한, 전자 장치는 가이드 핀과 감합하는 가이드 구멍을 갖는다. 제 1 전자 장치(140)가 구비한 가이드 구멍(156a) 및 가이드 구멍(156b)을 도 6(B)에 도시한다. 가이드 핀과 가이드 구멍이 감합함으로써 전자 장치와 베이스 유닛을 확실히 연결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핀과 가이드 구멍이 감합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과 접속되는 베이스 유닛의 제 2 단자 접속 그룹에 가해지는 응력을 완화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예시하는 제 1 접속 단자 그룹(150a)은 베이스 유닛(300h)이 구비한 연결구와 탈착할 수 있게 연결된다. 본 실시형태에 예시하는 제 1 접속 단자 그룹(150a)과 제 1 접속 단자 그룹(150b)의 단자는 1회전 축 P2-Q2를 중심으로 하여 극성을 대칭으로 배치함으로써, 1회전 축 P2-Q2를 중심으로 하여 제 1 전자 장치(140)는 반전하여 베이스 유닛(300h)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연결이란 전기적 접속뿐만 아니라 역학적 접속도 의미한다.
도 7(A)에 제 1 전자 장치(160), 제 2 전자 장치(260)를 도시한다. 제 1 전자 장치(160)는 제 1 면(160a)(도시되지 않음), 그 배면에 위치하는 제 2 면(160b), 제 1 접속 단자 그룹(170R), 제 1 접속 단자 그룹(170C), 제 1 접속 단자 그룹(170L)을 갖는다. 또한, 제 2 전자 장치(260)는 제 1 면(260a), 그 배면에 위치하는 제 2 면(260b)(도시되지 않음), 제 1 접속 단자 그룹(270R), 제 1 접속 단자 그룹(270C), 제 1 접속 단자 그룹(270L)을 갖는다.
제 1 전자 장치(160)와 제 2 전자 장치(260)는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전자 장치다.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전자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표시 기능을 구비한 기억 장치, 태양 전지와 2차 전지를 구비한 전원 장치, 입력 장치, 입력 기능을 구비한 표시 장치, 입력 기능을 구비한 연산 장치, 표시 장치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제 1 접속 단자 그룹(170R), 제 1 접속 단자 그룹(170C), 및 제 1 접속 단자 그룹(170L)은 적어도 극성이 다른 단자를 구비한다. 또한, 제 1 접속 단자 그룹(170R), 제 1 접속 단자 그룹(170C), 및 제 1 접속 단자 그룹(170L)은 같은 구성을 갖고, 그 구성의 일례를 도 7(B)에 도시한 사시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1 접속 단자 그룹(170C)은 볼록 구조를 갖는 단자(171a) 내지 단자(175a)와 볼록 구조를 갖는 단자(171b) 내지 단자(175b)를 갖는다.
또한, 제 1 접속 단자 그룹(170R)과 제 1 접속 단자 그룹(270R)은 같은 구성을 갖고, 제 1 접속 단자 그룹(170C)과 제 1 접속 단자 그룹(270C)은 같은 구성을 갖고, 제 1 접속 단자 그룹(170L)과 제 1 접속 단자 그룹(270L)은 같은 구성을 갖는다.
또한, 도면 중의 화살표는 제 1 접속 단자 그룹의 극성을 나타내고, 단자(171a)와 같은 전위를 갖는 단자에서 단자(175a)와 같은 전위를 갖는 단자를 향하는 화살표로 극성을 나타낸다. 또한, 제 1 전자 장치(160) 내에서 단자(171a)와 단자(171b)는 서로 접속되어 같은 전위를 갖고, 단자(172a)와 단자(172b)는 서로 접속되어 같은 전위를 갖고, 단자(173a)와 단자(173b)는 서로 접속되어 같은 전위를 갖고, 단자(174a)와 단자(174b)는 서로 접속되어 같은 전위를 갖고, 단자(175a)와 단자(175b)는 서로 접속되어 같은 전위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160)에 제공된 제 1 접속 단자 그룹의 하나의 단자(171a)에 제 2 전자 장치(260)로부터 낮은 전위를 공급하고, 다른 단자(172a) 내지 단자(175a)에 높은 전위를 공급함으로써, 제 1 전자 장치(160)에 제 2 전자 장치(260)로부터 전력이나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전자 장치가 구비한 한 쌍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은 1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여 극성이 대칭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7(C)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접속 단자 그룹은 1회전 축 P3-Q3을 중심으로 하여 극성이 대칭이다.
본 실시형태에 예시하는 한 쌍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170R), 한 쌍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170C), 및 제 1 접속 단자 그룹(170L)은 베이스 유닛(300i)이 구비한 연결구와 탈착할 수 있게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예시하는 제 1 접속 단자 그룹(170C)의 단자는 1회전 축 P3-Q3을 중심으로 하여 극성을 대칭으로 배치함으로써 1회전 축 P3-Q3을 중심으로 하여 제 1 전자 장치(160)를 반전하여 베이스 유닛에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사시도를 도 8(A)에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한 전자 기기는 제 1 전자 장치(105), 제 2 전자 장치(205), 및 제 3 전자 장치(305)를 구비하고, 각각이 베이스 유닛(300)을 통하여 연결된다. 또한, 제 1 전자 장치(105), 제 2 전자 장치(205), 및 제 3 전자 장치(305)는 같은 구성을 갖고, 각각 제 1 접속 단자 그룹을 4개 구비한다.
제 1 전자 장치(105) 및 제 2 전자 장치(205)가 구비한 제 1 접속 단자 그룹의 배치를 도 8(B)에 도시한다. 제 1 전자 장치(105)는 제 1 접속 단자 그룹(135a) 내지 제 1 접속 단자 그룹(135d)를 갖고, 제 2 전자 장치(205)는 제 1 접속 단자 그룹(235a) 내지 제 1 접속 단자 그룹(235d)를 갖는다. 제 1 접속 단자 그룹(135a) 내지 제 1 접속 단자 그룹(135d) 및 제 1 접속 단자 그룹(235a) 내지 제 1 접속 단자 그룹(235d)은 도 3(B)에서 설명한 제 1 접속 단자 그룹(130L)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또한, 도면 중의 화살표는 제 1 접속 단자 그룹의 극성을 나타내고, 제 1 전자 장치(105), 제 2 전자 장치(205), 및 제 3 전자 장치(305)는 1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여 극성을 대칭으로 하여 한 쌍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을 2개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전자 장치(10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 1 전자 장치(105)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135a)과 제 1 접속 단자 그룹(135d)은 쌍을 이루고, 회전 축 P4-Q4를 중심으로 하여 극성이 대칭으로 배치된다. 또한, 제 1 전자 장치(105)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135a)과 제 1 접속 단자 그룹(135b)은 다른 쌍을 이루고, 회전 축 P5-Q5를 중심으로 하여 극성이 대칭으로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함으로써 제 1 전자 장치(105)를 회전 축 P4-Q4 또는 회전 축 P5-Q5를 중심으로 하여 반전하여 베이스 유닛(300)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두 쌍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을 구비함으로써 1대의 전자 장치를 통하여 다른 전자 장치를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전자 장치(205)를 통하여 제 1 전자 장치(105) 및 제 3 전자 장치(305)를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사시도를 도 18에 도시한다. 제 1 전자 장치(180)는 제 1 면(180a)에 제 1 접속 단자 그룹(191a) 내지 제 1 접속 단자 그룹(194a)을 회전 축 P9-Q9를 중심으로 하여 위상을 90°씩 어긋나 구비한다. 또한, 제 1 접속 단자 그룹(191a)과 쌍을 이루는 제 1 접속 단자 그룹(191b), 제 1 접속 단자 그룹(192a)과 쌍을 이루는 제 1 접속 단자 그룹(192b), 제 1 접속 단자 그룹(193a)과 쌍을 이루는 제 1 접속 단자 그룹(193b), 제 1 접속 단자 그룹(194a)과 쌍을 이루는 제 1 접속 단자 그룹(194b)을 각각 배면에 구비한다.
또한, 도면 중의 화살표는 제 1 접속 단자 그룹의 극성을 나타내고, 쌍을 이루는 제 1 접속 단자 그룹은 1회전 축(구체적으로는 회전 축 P7-Q7, 및 회전 축 P8-Q8)을 중심으로 하여 극성을 대칭으로 배치된다. 또한, 회전 축 P9-Q9를 중심으로 하여 위상을 90°씩 어긋나 제 1 접속 단자 그룹을 제공함으로써 회전 축 P9-Q9를 중심으로 하여 제 1 전자 장치(180)를 90° 회전시켜 연결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도 19에 예시한 바와 같이, 4개의 전자 장치를 2방향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사시도를 도 20에 도시한다. 제 1 전자 장치(160)와 제 2 전자 장치(260)는 접속 케이블(390)을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전자 기기를 구성한다. 제 1 전자 장치(160)와 제 2 전자 장치(260)는 같은 구성을 갖고, 각각 제 1 접속 단자 그룹을 3개 구비한다. 또한, 접속 케이블(390)의 양쪽 단부에 제 1 접속 단자 그룹과 연결되는 연결구가 제공되고, 연결구는 제 1 접속 단자 그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접속 단자 그룹을 구비한다.
제 1 전자 장치(160)는 제 1 접속 단자 그룹(170L)을 구비한다. 제 1 접속 단자 그룹(170L)은 제 1 면(160a) 측의 복수의 단자와 제 2 면(160b) 측의 복수의 단자가 쌍을 이룬다. 제 1 접속 단자 그룹(170L)과 제 2 전자 장치(260)가 갖는 제 1 접속 단자 그룹(270R)은 접속 케이블(390)에 제공된 연결구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도면 중의 화살표는 제 1 접속 단자 그룹의 극성을 나타내는 것이고, 한 쌍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은 1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여 극성이 대칭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접속 케이블(390)의 단부에 제공된 연결구는 반전하여도 접속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160)와 제 2 전자 장치(260)를 접속할 때 사용자가 연결구의 방향을 자세히 확인하지 않아도 접속할 수 있어 편리하다.
본 실시형태에 예시하는 전자 기기에 의하여, 다기능의 전자 기기로부터 단기능의 전자 기기까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만을 선택하고, 또는 조합하여 휴대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기기의 중량을 경량으로 하고 또 그 용적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전자 기기를 휴대할 때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본 명세서에서 기재하는 다른 실시형태와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전자 장치에 태양 전지를 구비한 전원 장치(9630)를 사용하고, 제 2 전자 장치에 기억 장치를 구비한 표시 장치(9631)를 사용한 전자 기기(9600)에 대하여 도 9(A) 내지 도 9(C)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전자 기기(9600)의 외관을 도 9(A)에 사시도로 도시한다. 또한, 전자 기기(9600)의 블록도를 도 9(B)에 도시한다.
전원 장치(9630)는 케이스에 태양 전지(9633) 및 충반전 회로(9634)를 구비한다. 태양 전지(9633)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콘 반도체를 사용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단결정 실리콘 반도체, 다결정 실리콘 반도체, 또는 비정질 실리콘 반도체라도 좋고, 이들을 적층하여 조합한 것이라도 좋다. 물론, 화합물 반도체를 사용하는 태양 전지나 색소 증감형(dye-sensitization) 태양 전지를 적용하여도 좋다.
또한, 전원 장치(9630)의 케이스는 한 쌍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을 구비하고, 베이스 유닛(300)의 지축에 연결구를 통하여 연결할 수 있다.
충방전 회로(9634)는 배터리(9635), 컨버터(9636), 컨버터(9637), 스위치(SW1) 내지 스위치(SW3)를 구비한다. 컨버터(9636)는 DC-DC 컨버터이다.
다음에, 전원 장치(963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태양 전지(9633)가 외광(9650)을 받는 경우에는, 스위치(SW1)를 온 상태로 하고, 태양 전지(9633)가 발전한 전력을 컨버터(9636) 및 컨버터(9637)에 의하여 승압 또는 강압하고, 베이스 유닛(300)을 통하여 표시 장치(9631)에 공급한다. 또한, 스위치(SW1)를 오프 상태로 하고 스위치(SW2)를 온 상태로 하고, 태양 전지(9633)가 발전한 전력을 컨버터(9636)에 의하여 승압 또는 강압하고, 배터리(9635)에 공급하여 충전한다.
외광(9650)이 부족해 태양 전지(9633)가 발전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위치(SW1)를 오프 상태로 하고 스위치(SW3)를 온 상태로 하고, 배터리(9635)에 축전된 전력을 컨버터(9637)에 의하여 승압 또는 강압하고, 베이스 유닛(300)을 통하여 표시 장치(9631)에 공급한다.
또한, 베이스 유닛(300)을 통하여 접속되는 표시 장치(9631)가 소비하는 전력량, 외광(9650)의 강도, 배터리(9635)의 충전량 등의 상황에 따라 스위치(SW1) 내지 스위치(SW3)를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하면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터리(9635)의 충전 수단으로서 태양 전지(9633)를 예시하였지만 다른 수단에 의하여 배터리(9635)를 충전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다른 충전 수단을 조합하여 충전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표시 장치(9631)는 제어 회로(9620), 표시 회로(9623), 기억 회로(9624), 입력 회로(9622), 및 전원 회로(9621)를 갖는다.
또한, 표시 장치(9631)의 케이스는 한 쌍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을 구비하고, 베이스 유닛(300)의 지축에 연결구를 통하여 연결할 수 있다.
제어 회로(9620)는 기억 회로(9624), 표시 회로(9623), 및 입력 회로(9622)를 제어한다. 기억 회로(9624)는 기억 소자나 기억 매체에 보존된 정보를 판독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사용자가 기억 소자나 기억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표시 회로(9623)는 액정 표시 패널이나 전기 영동형 표시 패널을 구비한다. 입력 회로로서는 키보드 외 터치 센서가 제공된 표시 패널을 사용하여 좌표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법을 적용하여도 좋다.
전원 회로(9621)는 제어 회로(9620), 표시 회로(9623), 기억 회로(9624), 및 입력 회로(9622)에 전원 전위를 공급한다. 또한, 전원 회로(9621)는 배터리를 구비하고, 표시 장치(9631)는 단체로 동작할 수도 있다.
제어 회로(9620)는 입력 회로(9622)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기억 회로(9624)에 보존된 정보를 표시 회로(9623)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 회로(9620)는 입력 회로(9622)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정보를 기억 회로(9624)에 보존하는 기능을 구비하여도 좋다.
표시 장치(9631)를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예를 들어, 전자화된 서적, 사진, 또는 영상을 표시 장치(9631)에 보존하고,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전자화된 정보를 재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기능을 한정함으로써 표시 장치(9631)를 경량으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휴대할 때 부담이 적고, 예를 들어, 밖에 나갔을 때라도 재생 및 표시가 가능하여 편리하다.
전자 기기(9600)가 구비한 전원 장치(9630)와 표시 장치(9631)는 베이스 유닛(300)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베이스 유닛(300)을 통하여 전원 장치(9630)와 표시 장치(9631)를 서로 연결하는 방법은 도 5에 예시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한 제 1 전자 장치(100)에 전원 장치(9630)를 적용하여 컨버터(9637)로부터 제 1 접속 단자 그룹(130L)의 한쪽 단자에 전원 전위를 출력한다. 또한, 제 2 전자 장치(200)에 표시 장치(9631)를 적용하여 제 1 접속 단자 그룹(230L)의 한쪽 단자에 전원 회로가 전원 전위를 출력하는 단자를 접속한다. 또한, 제 1 접속 단자 그룹(130L)의 전원 전위가 출력되는 단자와 제 1 접속 단자 그룹(230L)의 전원 전위가 출력되는 단자는 같은 극성을 갖는다.
베이스 유닛(300)의 연결구(330a)에 제공된 제 2 접속 단자 그룹과, 연결구(340a)에 제공된 제 2 접속 단자 그룹은 같은 극성을 갖는 단자들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같은 전위가 된다. 따라서, 제 1 전자 장치(100)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과 베이스 유닛(300)의 연결구를 연결하고, 제 2 전자 장치(200)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과 베이스 유닛(300)의 연결구를 접속함으로써, 제 1 전자 장치로부터 제 2 전자 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원 장치(9630)로부터 표시 장치(9631)에 전원 전위를 공급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전자 기기(9600)의 사용 방법의 일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전자 기기(9600)를 열린 상태로 사용하는 형태를 도 9(A)에 도시한다. 이러한 형태로 사용함으로써 전원 장치(9630)에 탑재한 태양 전지로 발전하면서 표시 장치(9631)에 표시되는 문자나 화상을 감상할 수 있고, 배터리의 잔량을 신경쓰지 않고 전자 기기(9600)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9(A)는 도면의 오른 쪽 측에 표시 장치(9631)를 배치하고 도면의 왼쪽 측에 전원 장치(9630)를 배치한 사용 방법을 예시한 것이지만, 베이스 유닛에 좌우 반대로 장착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전자 기기를 접는 상태로 사용하는 형태를 도 9(C)에 도시한다. 이러한 형태로 사용함으로써 표시 장치(9631)를 사용하지 않는 기간 동안에 전원 장치(9630)에 탑재한 태양 전지로 발전하고, 내장하는 배터리(9635)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표시 장치(9631)의 표시 패널을 사용자를 향하도록 하여 접음으로써, 예를 들어, 비행기나 전철 등 공공 교통 수단의 한정된 공간에서도 표시 장치(9631)를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본 실시형태에 예시하는 전자 기기에 의하여, 다기능의 전자 기기로부터 단기능의 전자 기기까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만을 선택 또는 조합하여 휴대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기기의 중량을 경량으로 하고, 또한 그 용적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전자 기기를 휴대할 때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전등선으로부터 수전이 어려운 경우라도, 또한 상기 전자 기기를 사용 중이든 아니든 태양 전지가 수광하기 쉬운 전지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예시하는 전자 기기는 제 1 전자 장치와 제 2 전자 장치의 방향이 어느 방향을 향하더라도 베이스 유닛에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잘 쓰는 손이 오른손이든 왼손이든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문자가 세로 쓰기든 가로 쓰기든 사용자의 요망에 따라 제 1 전자 장치와 제 2 전자 장치를 베이스 유닛에 연결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본 명세서에 기재하는 다른 실시형태와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시형태 2에 적용할 수 있는 소비 전력이 저감된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의 일 형태를 도 10 내지 도 1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예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1100)의 구성을 도 10의 블록도에 도시한다. 액정 표시 장치(1100)는 화상 처리 회로(1110), 전원(1116), 표시 제어 회로(1113), 표시 패널(1120)을 갖는다.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또는 반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에는, 광원으로서 백 라이트부(1130)를 더 제공한다.
액정 표시 장치(1100)는 접속된 외부 기기로부터 화상 신호(화상 신호 Data)가 공급된다. 전원(1116)을 온 상태로 함으로써 표시 제어 회로(1113)에 전원 전위(고전원 전위 Vdd, 저전원 전위 Vss, 및 공통 전위 Vcom)를 공급한다. 표시 제어 회로(1113)는 제어 신호(스타트 펄스 SP 및 클록 신호 CK)를 표시 패널(1120)에 공급한다.
또한, 고전원 전위 Vdd란 기준 전위보다 높은 전위를 가리키고, 저전원 전위 Vss란 기준 전위 이하의 전위를 가리킨다. 또한, 고전원 전위 Vdd 및 저전원 전위 Vss는 양쪽 모두 트랜지스터가 동작할 수 있을 정도의 전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전원 전위 Vdd 및 저전원 전위 Vss를 합쳐 전원 전압이라고 부를 경우도 있다.
공통 전위 Vcom은 화소 전극에 공급되는 화상 신호의 전위에 대하여 기준이 되는 고정 전위라면 좋고, 일례로서, 그라운드 전위라도 좋다.
화상 신호 Data는 도트 반전 구동, 소스 라인 반전 구동, 게이트 라인 반전 구동, 프레임 반전 구동 등의 방법으로 적절히 반전하여 액정 표시 장치(1100)에 입력하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또한, 화상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인 경우에는 A/D 컨버터 등을 통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액정 표시 장치(1100)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 전위인 공통 전위 Vcom이 전원(1116)으로부터 표시 제어 회로(1113)를 통하여 공통 전극(1128) 및 용량 소자(1210)의 한쪽 전극에 공급된다.
표시 제어 회로(1113)는 표시 패널(1120)에 화상 처리 회로(1110)에서 처리된 화상 신호, 제어 신호(구체적으로는, 스타트 펄스 SP 및 클록 신호 CK 등의 제어 신호의 공급 또는 정지의 전환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 및 전원 전위(고전원 전위 Vdd, 저전원 전위 Vss, 및 공통 전위 Vcom)를 공급하고, 백 라이트부(1130)에 백 라이트 제어 신호(구체적으로는, 백 라이트 제어 회로(1131)가 백 라이트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공급한다.
화상 처리 회로(1110)는 입력되는 화상 신호(화상 신호 Data)를 해석, 연산, 또는 가공하고, 처리한 화상 신호를 제어 신호와 함께 표시 제어 회로(1113)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화상 처리 회로(1110)는 입력되는 화상 신호 Data를 해석하여 동영상인지 정지 화상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표시 제어 회로(1113)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화상 처리 회로(1110)는 정지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 신호 Data로부터 하나의 프레임의 정지 화상을 추출하고, 정지 화상인 것을 의미하는 제어 신호와 함께 표시 제어 회로(1113)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화상 처리 회로(1110)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화상 신호 Data로부터 동영상을 검지하고, 동영상인 것을 의미하는 제어 신호와 함께 연속되는 프레임을 표시 제어 회로(1113)에 출력할 수 있다.
화상 처리 회로(1110)는 입력되는 화상 신호 Data에 따라 본 실시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1100)에 상이한 동작을 시킨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화상 처리 회로(1110)가 화상을 정지 화상이라고 판단하여 행하는 동작을 정지 화상 모드라고 부르고, 화상 처리 회로(1110)가 화상을 동영상이라고 판단하여 행하는 동작을 동영상 표시 모드라고 부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정지 화상을 표시할 때 표시되는 화상을 정지 화상이라고 부른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예시되는 화상 처리 회로(1110)는 표시 모드 전환 기능을 가져도 좋다. 표시 모드 전환 기능은 화상 처리 회로(1110)의 판단에 의하지 않고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이용자가 수동 또는 외부 접속 기기를 사용하여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고, 동영상 표시 모드 또는 정지 화상 표시 모드를 전환하는 기능이다.
상술한 기능은 화상 처리 회로(1110)가 갖는 기능의 일례이고, 표시 장치의 용도에 따라 각종 화상 처리 기능을 선택하여 적용하면 좋다.
또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화상 신호는 연산(예를 들어, 화상 신호의 차분을 검출하는 등)이 용이하기 때문에 입력되는 화상 신호(화상 신호 Data)가 아날로그 신호인 경우에는 A/D 컨버터 등을 화상 처리 회로(1110)에 제공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20)은 한 쌍의 기판(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갖는다. 또한, 액정층을 한 쌍의 기판 사이에 개재하여 액정 소자(1215)를 형성한다. 제 1 기판 위에는 구동 회로부(1121), 화소부(1122), 단자부(1126), 및 스위칭 소자(1127)가 제공된다. 제 2 기판 위에는 공통 전극(1128)(코먼 전극 또는 대향 전극이라고도 함)이 제공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통 접속부(코먼 콘택트라고도 함)가 제 1 기판 또는 제 2 기판에 제공되고, 제 1 기판 위의 접속부와 제 2 기판 위의 공통 전극(1128)이 접속된다.
화소부(1122)에 복수의 게이트선(1124)(주사선) 및 소스선(1125)(신호선)이 제공되고, 복수의 화소(1123)가 게이트선(1124) 및 소스선(1125)에 주위를 둘러싸여 매트릭스 형상으로 제공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예시하는 표시 패널에서 게이트선(1124)은 게이트선 측 구동 회로(1121A)로부터 연장되고, 소스선(1125)은 소스선 측 구동 회로(1121B)로부터 연장된다.
화소(1123)는 스위칭 소자로서 트랜지스터(1214), 상기 트랜지스터(1214)와 접속되는 용량 소자(1210), 및 액정 소자(1215)를 갖는다(도 11 참조).
트랜지스터(1214)는 게이트 전극이 화소부(1122)에 제공된 복수의 게이트선(1124) 중 하나와 접속되고,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의 한쪽이 복수의 소스선(1125) 중 하나와 접속되고,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의 다른 쪽이 용량 소자(1210)의 한쪽 전극 및 액정 소자(1215)의 한쪽 전극(화소 전극)과 접속된다.
또한, 트랜지스터(1214)에는 오프 전류가 저감된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실시형태 4에 설명하는 트랜지스터가 바람직하다. 오프 전류가 저감되면 오프 상태의 트랜지스터(1214)는 액정 소자(1215) 및 용량 소자(1210)에 안정적으로 전하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오프 전류가 충분히 저감된 트랜지스터(1214)를 사용함으로써 용량 소자(1210)를 제공하지 않고 화소(1123)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화소(1123)는 트랜지스터(1214)가 오프 상태가 되기 전에 기록된 상태를 장시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고,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액정 소자(1215)는 액정의 광학적 변조 작용에 의하여 빛의 투과 또는 비투과를 제어하는 소자이다. 액정의 광학적 변조 작용은 액정에 인가되는 전계에 의하여 제어된다. 액정에 인가되는 전계 방향은 액정 재료, 구동 방법, 및 전극 구조에 따라 다르고,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정의 두께 방향(소위 세로 방향)에 전계를 인가하는 구동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액정을 협지하도록 제 1 기판에 화소 전극을 제공하고, 제 2 기판에 공통 전극을 제공하는 구조로 하면 좋다. 또한, 액정에 기판 면 내 방향(소위 가로 전계)에 전계를 인가하는 구동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액정에 대하여 동일 면에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을 제공하는 구조로 하면 좋다. 또한, 화소 전극 및 공통 전극은 다양한 개구 패턴을 갖는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액정 소자에 적용하는 액정의 일례로서는, 네마틱 액정, 콜레스테릭 액정, 스멕틱 액정, 디스코틱 액정, 서모트로픽 액정, 리오트로픽 액정, 저분자 액정, 고분자 분산형 액정(PDLC), 강유전 액정, 반강유전 액정, 주쇄형 액정, 측쇄형 고분자 액정, 바나나형 액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액정의 구동 모드로서는, TN(Twisted Nematic) 모드, STN(Super Twisted Nematic) 모드, OCB(Optically Compensated Birefringence) 모드, ECB(Electrically Controlled Birefringence) 모드, FLC(Ferroelectric Liquid Crystal) 모드, AFLC(Ant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모드, PDLC(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모드, PNLC(Polymer Network Liquid Crystal) 모드, 게스트 호스트 모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IPS(In-Plane-Switching) 모드,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MVA(Multi-domain Vertical Alignment) 모드, PVA(Patterned Vertical Alignment) 모드, ASM(Axially Symmetric aligned Micro-cell) 모드 등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학적 변조 작용에 의하여 빛의 투과 또는 비투과를 제어하는 소자라면 액정 재료, 구동 방법, 및 전극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예시하는 액정 소자는 제 1 기판에 제공된 화소 전극과, 제 2 기판에 제공된 화소 전극에 대향하는 공통 전극 사이에 생기는 세로 방향의 전계에 의하여 액정의 배향을 제어하지만, 예시한 액정 재료 또는 액정 구동 모드에 따라 화소 전극을 적절히 변경하여 가로 전계에 의하여 액정의 배향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단자부(1126)는 표시 제어 회로(1113)가 출력하는 소정의 신호(고전원 전위 Vdd, 저전원 전위 Vss, 스타트 펄스 SP, 클록 신호 CK, 화상 신호 Data, 공통 전위 Vcom 등) 등을 구동 회로부(1121) 또는 공통 전극(1128)에 공급하는 입력 단자이다.
구동 회로부(1121)는 게이트선 측 구동 회로(1121A), 소스선 측 구동 회로(1121B)를 갖는다. 게이트선 측 구동 회로(1121A) 및 소스선 측 구동 회로(1121B)는 복수의 화소를 갖는 화소부(112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이고,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시프트 레지스터라고도 함)를 갖는다.
또한, 게이트선 측 구동 회로(1121A) 및 소스선 측 구동 회로(1121B)는 화소부(1122)와 같은 기판에 형성되어도 좋고, 다른 기판에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구동 회로부(1121)에는 표시 제어 회로(1113)에 의하여 제어된 고전원 전위 Vdd, 저전원 전위 Vss, 스타트 펄스 SP, 클록 신호 CK, 화상 신호 Data가 공급된다.
스위칭 소자(1127)로서, 트랜지스터를 사용할 수 있다. 스위칭 소자(1127)의 게이트 전극은 단자(1126A)에 접속되고, 표시 제어 회로(1113)가 출력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공통 전위 Vcom을 단자(1126B)를 통하여 공통 전극(1128)에 공급한다. 스위칭 소자(1127)의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의 한쪽을 단자(1126B)에 접속하고, 다른 쪽을 공통 전극(1128)에 접속함으로써, 표시 제어 회로(1113)로부터 공통 전극(1128)에 공통 전위 Vcom이 공급되도록 하면 좋다. 또한, 스위칭 소자(1127)는 구동 회로부(1121) 또는 화소부(1122)와 같은 기판에 형성되어도 좋고, 다른 기판에 형성되어도 좋다.
특히, 스위칭 소자(1127)로서 실시형태 4에 설명하는 오프 전류가 저감된 트랜지스터를 사용함으로써 액정 소자(1215)의 양쪽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이 경시적으로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시 제어 회로(1113)로부터 표시 패널(1120)의 공통 전극(1128)에 공통 전위 Vcom을 공급하는 회로에만 스위칭 소자(1127)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하지만, 표시 패널(1120)과 접속되는 다른 배선에도 스위칭 소자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20)과 접속되는 배선에 제공된 스위칭 소자를 오프 상태로 함으로써 표시 패널(1120) 측의 회로를 부유 상태로 할 수 있다.
공통 접속부에서 공통 전극(1128)은 표시 제어 회로(1113)에 제어된 공통 전위 Vcom을 공급하는 공통 전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공통 접속부의 구체적인 일례로서는 절연성 구체(球體)에 금속 박막이 피복된 도전 입자를 사이에 개재함으로써 공통 전극(1128)과 공통 전위선의 전기적인 접속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공통 접속부는 표시 패널(1120) 내에 복수 개소 제공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측광 회로를 액정 표시 장치에 제공하여도 좋다. 측광 회로를 제공한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액정 표시 장치가 놓여진 환경의 밝기를 검지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가 어두운 환경에서 사용되는 것이 판명되면 표시 제어 회로(1113)는 백 라이트(1132)의 빛의 강도를 높이도록 제어하여 표시 화면의 양호한 시인성을 확보하고, 한편, 액정 표시 장치가 극히 밝은 외광하(예를 들어, 옥외의 직사 일광하)에서 사용되는 것이 판명되면 표시 제어 회로(1113)는 백 라이트(1132)의 빛의 강도를 억제하도록 제어하여 백 라이트(1132)가 소비하는 전력을 저하시킨다. 이와 같이, 측광 회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표시 제어 회로(1113)가 백 라이트나 사이드 라이트 등 광원의 구동 방법을 제어할 수 있다.
백 라이트부(1130)는 백 라이트 제어 회로(1131) 및 백 라이트(1132)를 갖는다. 백 라이트(1132)는 액정 표시 장치(1100)의 용도에 따라 선택하고 조합하면 좋고, 발광 다이오드(LED)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백 라이트(1132)에는, 예를 들어, 백색 발광 소자(예를 들어, LED)를 배치할 수 있다. 백 라이트 제어 회로(1131)에는 표시 제어 회로(1113)로부터 백 라이트를 제어하는 백 라이트 신호 및 전원 전위가 공급된다. 물론, 백 라이트부(1130)를 사용하지 않고, 외광하에서 표시를 시인할 수 있는 반사형 액정 표시 패널은 소비 전력이 적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광학 필름(편광 필름, 위상차 필름, 반사 방지 필름 등)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반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백 라이트 등의 광원은 액정 표시 장치(1100)의 용도에 다라 선택하고 조합하면 좋고, 냉음극관이나 발광 다이오드(LED)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LED 광원 또는 복수의 일렉트로루미네선스(EL) 광원 등을 사용하여 면 광원을 구성하여도 좋다. 면 광원으로서, 3종류 이상의 LED를 사용하여도 좋고, 백색 발광의 LED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백 라이트에 RGB의 발광 다이오드 등을 배치하고, 시분할에 의하여 컬러 표시하는 계시 가법 혼색법(필드 시퀀셜법)을 채용할 때에는 컬러 필터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백 라이트의 빛을 흡수하는 컬러 필터를 사용하지 않는 계시 가법 혼색법을 적용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0에 예시한 액정 표시 장치(1100)의 구동 방법에 대하여 도 11 내지 도 1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표시하는 화상의 특성에 따라 표시 패널의 재기록 빈도(또는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표시 방법이다. 구체적으로는, 연속되는 프레임의 화상 신호가 상이한 화상(동영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프레임마다 화상 신호가 기록되는 표시 모드를 사용한다. 한편, 연속되는 프레임의 화상 신호가 동일 화상(정지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동일 화상을 계속하여 표시하는 기간에 새로 화상 신호는 기록되지 않거나 기록 빈도를 극히 낮게 하고, 또한, 액정 소자에 전압을 인가하는 화소 전극 및 공통 전극의 전위를 부유(프로팅) 상태로 하여 액정 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을 유지하고, 새로 전위를 공급하지 않고 정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모드를 사용한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는 동영상과 정지 화상을 조합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동영상은 복수의 프레임으로 시분할한 복수의 상이한 화상을 고속으로 전환함으로써 움직이는 화상으로서 인간의 눈에 인식되는 화상을 가리킨다. 구체적으로는, 1초간에 60회(60프레임) 이상 화상을 전환함으로써 깜박거림이 적은 동영상으로 인간의 눈에 인식된다. 한편, 정지 화상은 동영상 및 부분 동영상과 상이하고, 복수의 프레임 기간으로 시분할한 복수의 화상을 고속으로 전환하여 동작시켜도, 연속되는 프레임 기간, 예를 들어, n번째 프레임과 n+1번째 프레임에서 변화하지 않는 화상을 가리킨다.
우선, 액정 표시 장치의 전원(1116)을 온 상태로 하여 전력을 공급한다. 표시 제어 회로(1113)는 전원 전위(고전원 전위 Vdd, 저전원 전위 Vss, 및 공통 전위 Vcom) 및 제어 신호(스타트 펄스 SP 및 클록 신호 CK)를 표시 패널(1120)에 공급한다.
또한, 화상 신호(화상 신호 Data)는 액정 표시 장치(1100)에 접속된 외부 기기로부터 액정 표시 장치(1100)에 공급된다. 액정 표시 장치(1100)의 화상 처리 회로(1110)는 입력되는 화상 신호를 해석한다. 여기서는, 동영상과 정지 화상을 판별하고, 동영상인지 정지 화상인지에 따라 상이한 신호를 출력하는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화상 처리 회로(1110)는 입력되는 화상 신호(화상 신호 Data)가 동영상으로부터 정지 화상으로 전환될 때, 입력되는 화상 신호로부터 정지 화상을 추출하고, 정지 화상인 것을 의미하는 제어 신호와 함께 표시 제어 회로(1113)에 출력한다. 또한, 입력되는 화상 신호(화상 신호 Data)가 정지 화상으로부터 동영상으로 전환될 때, 동영상을 포함하는 화상 신호를 동영상인 것을 의미하는 제어 신호와 함께 표시 제어 회로(1113)에 출력한다.
다음에, 화소에 공급하는 신호에 대하여 도 11에 도시한 액정 표시 장치의 등가 회로도 및 도 12에 도시한 타이밍 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2에 표시 제어 회로(1113)가 게이트선 측 구동 회로(1121A)에 공급하는 클록 신호 GCK 및 스타트 펄스 GSP를 도시한다. 또한, 표시 제어 회로(1113)가 소스선 측 구동 회로(1121B)에 공급하는 클록 신호 SCK 및 스타트 펄스 SSP를 도시한다. 또한, 클록 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12에 클록 신호의 파형을 단순한 직사각형 파형으로 도시한다.
또한, 도 12에 소스선(1125)의 전위, 화소 전극의 전위, 단자(1126A)의 전위, 단자(1126B)의 전위, 및 공통 전극의 전위를 도시한다.
도 12에서 기간(1401)은 동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 신호를 기록하는 기간에 상당한다. 기간(1401)에는 화상 신호가 화소부(1122)의 각 화소에 공급되고, 공통 전위가 공통 전극에 공급되도록 동작한다.
또한, 기간(1402)은 정지 화상을 표시하는 기간에 상당한다. 기간(1402)에는 화소부(1122)의 각 화소로의 화상 신호의 공급 및 공통 전극으로의 공통 전위의 공급을 정지한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기간(1402)에서는 구동 회로부의 동작을 정지하도록 각 신호를 공급하는 구성을 제시하였지만, 기간(1402)의 길이 및 리프레시 레이트에 따라 정기적으로 화상 신호를 기록함으로써 정지 화상의 열화를 방지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동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 신호를 기록하는 기간(1401)의 타이밍 차트를 설명한다. 기간(1401)에 클록 신호 GCK로서 클록 신호가 상시 공급되고, 스타트 펄스 GSP로서 수직 동기 주파수에 따른 펄스가 공급된다. 또한, 기간(1401)에 클록 신호 SCK로서 클록 신호가 상시 공급되고, 스타트 펄스 SSP로서 1게이트 선택 기간에 따른 펄스가 공급된다.
또한, 각 행의 화소에 화상 신호 Data가 소스선(1125)을 통하여 공급되고, 게이트선(1124)의 전위에 따라 화소 전극에 소스선(1125)의 전위가 공급된다.
또한, 표시 제어 회로(1113)가 스위칭 소자(1127)의 단자(1126A)에 스위칭 소자(1127)를 도통 상태로 하는 전위를 공급하고, 단자(1126B)를 통하여 공통 전극에 공통 전위를 공급한다.
다음에, 정지 화상을 표시하는 기간(1402)의 타이밍 차트를 설명한다. 기간(1402)에 클록 신호 GCK, 스타트 펄스 GSP, 클록 신호 SCK, 및 스타트 펄스 SSP는 모두 정지한다. 또한, 기간(1402)에 소스선(1125)으로의 화상 신호 Data의 공급을 정지한다. 클록 신호 GCK 및 스타트 펄스 GSP가 모두 정지하는 기간(1402)에 트랜지스터(1214)가 비도통 상태가 되어 화소 전극의 전위가 부유 상태가 된다.
또한, 표시 제어 회로(1113)가 스위칭 소자(1127)의 단자(1126A)에 스위칭 소자(1127)를 비도통 상태로 하는 전위를 공급하여 공통 전극의 전위를 부유 상태로 한다.
기간(1402)에 액정 소자(1215)의 양단의 전극, 즉, 화소 전극 및 공통 전극의 전위를 부유 상태로 하여 새로 전위를 공급하지 않고 정지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선 측 구동 회로(1121A) 및 소스선 측 구동 회로(1121B)에 공급하는 클록 신호 및 사타트 펄스를 정지함으로써 저소비 전력화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트랜지스터(1214) 및 스위칭 소자(1127)로서 오프 전류가 저감된 트랜지스터를 사용함으로써 액정 소자(1215)의 양쪽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이 경시적으로 저하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동영상으로부터 정지 화상으로 전환하는 기간(도 12 중의 기간(1403)) 및 정지 화상으로부터 동영상으로 전환하는 기간 또는 정지 화상을 재기록하는 기간(도 12 중의 기간(1404))의 표시 제어 회로의 동작을 도 13(A) 및 도 13(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3(A) 및 도 13(B)에 표시 제어 회로가 출력하는, 고전원 전위 Vdd, 클록 신호(여기서는, GCK), 스타트 펄스 신호(여기서는 GSP), 및 단자(1126A)의 전위를 도시한다.
동영상으로부터 정지 화상으로 전환하는 기간(1403)의 표시 제어 회로의 동작을 도 13(A)에 도시한다. 표시 제어 회로는 스타트 펄스 GSP를 정지한다(도 13(A)의 E1, 제 1 단계). 다음에, 스타트 펄스 GSP를 정지한 후, 펄스 출력이 시프트 레지스터의 최종단까지 도달된 후, 복수의 클록 신호 GCK를 정지한다(도 13(A)의 E2, 제 2 단계). 다음에, 전원 전압의 고전원 전위 Vdd를 저전원 전위 Vss로 한다(도 13(A)의 E3, 제 3 단계). 다음에, 단자(1126A)의 전위를 스위칭 소자(1127)가 비도통 상태가 되는 전위로 한다(도 13(A)의 E4, 제 4 단계).
상술한 순서로 구동 회로부(1121)의 오동작을 일으키지 않고 구동 회로부(1121)에 공급하는 신호를 정지할 수 있다. 동영상으로부터 정지 화상으로 전환할 때의 오동작은 노이즈를 발생시키고, 노이즈는 정지 화상으로서 유지되기 때문에, 오동작이 적은 표시 제어 회로를 탑재한 액정 표시 장치는 화상의 열화가 적은 정지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음에, 정지 화상으로부터 동영상으로 전환하는 기간 또는 정지 화상을 재기록하는 기간(1404)의 표시 제어 회로의 동작을 도 13(B)에 도시한다. 표시 제어 회로는 단자(1126A)의 전위를 스위칭 소자(1127)가 도통 상태가 되는 전위로 한다(도 13(B)의 S1, 제 1 단계). 다음에, 전원 전압을 저전원 전위 Vss로부터 고전원 전위 Vdd로 한다(도 13(B)의 S2, 제 2 단계). 다음에, 클록 신호 GCK로서 이후에 인가하는 보통 클록 신호 GCK보다 긴 펄스 신호로 하이의 전위를 인가한 후, 복수의 클록 신호 GCK를 공급한다(도 13(B)의 S3, 제 3 단계). 다음에, 스타트 펄스 신호 GSP를 공급한다(도 13(B)의 S4, 제 4 단계.)
상술한 순서로 구동 회로부(1121)의 오동작을 일으키지 않고 구동 회로부(1121)로의 구동 신호의 공급을 다시 시작할 수 있다. 각 배선의 전위를 적절히 순차로 동영상 표시시의 전위로 되돌림으로써 오동작하지 않고 구동 회로부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동영상을 표시하는 기간(601) 또는 정지 화상을 표시하는 기간(602)에서의 프레임 기간마다의 화상 신호의 기록 빈도를 모식적으로 도 14에 도시한다. 도 14에서 W는 화상 신호의 기록 기간인 것을 나타내고, H는 화상 신호를 유지하는 기간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도 14에서 기간(603)은 1프레임 기간을 나타낸 것이지만, 다른 기간이라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에서 기간(602)에 표시되는 정지 화상의 화상 신호는 기간(604)에 기록되고, 기간(604)에 기록된 화상 신호는 기간(602)의 다른 기간에 유지된다.
본 실시형태에 예시한 액정 표시 장치는 정지 화상을 표시하는 기간에 화상 신호의 기록 빈도를 저감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정지 화상을 표시할 때 저소비 전력화를 도모할 수 있고, 휴대할 수 있는 태양 전지 등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밖에 나갔을 때나 이동하는 도중 등 전등선으로부터 전력을 확보하기 어려운 곳에서나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동일 화상을 복수 횟수 재기록하여 정지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화상의 전환이 시인되면 인간이 눈에 피로를 느낄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는 화상 신호의 기록 빈도가 삭감되기 때문에 눈의 피로를 줄이는 효과도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는 오프 전류가 저감된 트랜지스터를 각 화소 및 공통 전극의 스위칭 소자에 적용함으로써, 유지 용량으로 전압을 유지할 수 있는 기간(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화상 신호의 기록 빈도를 획기적으로 저감할 수 있고, 정지 화상을 표시할 때의 저소비 전력화 및 눈의 피로 저감에 현저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본 명세서에 기재하는 다른 실시형태와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예시하는 소비 전력이 저감된 액정 표시 장치를 실시형태 1 또는 실시형태 2에 적용함으로써 다기능의 전자 기기로부터 단기능의 전자 기기까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만을 선택하고 또는 조합하여 휴대할 수 있는 전자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기기의 중량을 경량으로 할 수 있고 또한 그 용량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전자 기기를 휴대할 때의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전등선으로부터의 수전이 어려운 경우라도 또는 상기 전자 기기가 사용중이든 아니든 태양 전지가 수광하기 쉬운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예시하는 소비 전력이 저감된 액정 표시 장치와 다른 전자 장치는 어느 방향으로든 베이스 유닛에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잘 쓰는 손이 오른손이든 왼손이든,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문자가 세로 쓰기든 가로 쓰기든, 사용자의 요망에 따라 제 1 전자 장치와 제 2 전자 장치를 베이스 유닛에 연결할 수 있어 편리하다.
(실시형태 4)
본 실시형태는 실시형태 3에서 설명한 소비 전력이 저감된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산화물 반도체층을 포함한 트랜지스터의 구성 및 그 제작 방법의 일례를 도 15(A) 내지 도 15(E)를 사용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5(A) 내지 도 15(E)에 트랜지스터의 단면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5(A) 내지 도 15(E)에 도시한 트랜지스터(510)는 보텀 게이트 구조의 역 스태거형 트랜지스터이다. 또한, 트랜지스터의 구조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톱 게이트 구조의 트랜지스터라도 좋다.
이하, 도 15(A) 내지 도 15(E)를 사용하여 기판(505) 위에 트랜지스터(510)를 제작하는 공정을 설명한다.
우선, 절연 표면을 갖는 기판(505) 위에 도전막을 형성한 후, 제 1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하여 게이트 전극층(511)을 형성한다. 또한, 레지스트 마스크를 잉크젯법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레지스트 마스크를 잉크젯법으로 형성하면 포토마스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연 표면을 갖는 기판(505)으로서 유리 기판을 사용한다.
하지막이 되는 절연막을 기판(505)과 게이트 전극층(511) 사이에 형성하여도 좋다. 하지막은 기판(505)으로부터 불순물 원소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고, 질화실리콘막, 산화실리콘막, 질화산화실리콘막, 또는 산화질화실리콘막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복수의 막을 사용한 적층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전극층(511)은 몰리브덴, 티타늄, 탄탈, 텅스텐, 알루미늄, 구리, 네오디뮴, 스칸듐 등의 금속 재료 또는 이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 재료를 사용하여 단층으로 또는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게이트 절연층(507)을 게이트 전극층(511) 위에 형성한다. 게이트 절연층(507)은 플라즈마 CVD법 또는 스퍼터링법 등을 사용하여 산화실리콘층, 질화실리콘층, 산화질화실리콘층, 질화산화실리콘층, 산화알루미늄층, 질화알루미늄층, 산화질화알루미늄층, 질화산화알루미늄층, 또는 산화하프늄층을 단층으로 또는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산화물 반도체는 불순물이 제거되어 i형화 또는 실질적으로 i형화된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한다. 이러한 고순도화된 산화물 반도체는 계면 준위나 계면 전하에 대하여 극히 민감하기 때문에 산화물 반도체층과 게이트 절연층의 계면은 중요하다. 그래서, 고순도화된 산화물 반도체에 접촉되는 게이트 절연층은 고품질화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μ파(예를 들어, 주파수 2.45GHz)를 사용한 고밀도 플라즈마 CVD는 치밀하며 절연 내압이 높은 고품질의 절연층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고순도화된 산화물 반도체와 고품질화된 게이트 절연층이 밀접함으로써, 계면 준위를 저감하여 계면 특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게이트 절연층으로서 양질의 절연층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스퍼터링법이나 플라즈마 CVD법 등 다른 성막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성막한 후의 가열 처리에 의하여 게이트 절연층의 막질이나 산화물 반도체와의 계면 특성이 개질되는 절연층이라도 좋다. 어쨌든, 게이트 절연층으로서 막질이 양호한 것은 물론이고, 산화물 반도체와의 계면 준위 밀도를 저감하고, 양호한 계면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좋다.
또한, 게이트 절연층(507), 산화물 반도체막(530)에 수소, 수산기, 및 수분이 가능한 한 포함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산화물 반도체막(530)을 형성하기 전의 처리로서 스퍼터링 장치의 예비 가열실에서 게이트 전극층(511)이 형성된 기판(505), 또는 게이트 절연층(507)까지 형성된 기판(505)을 예비 가열하고, 기판(505)에 흡착된 수소, 수분 등의 불순물을 탈리시켜 배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비 가열실에 설치하는 배기 수단은 크라이오 펌프(cryo pump)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 예비 가열 처리는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이 예비 가열은 절연층(516)을 형성하기 전의 소스 전극층(515a) 및 드레인 전극층(515b)까지 형성한 기판(505)에 행하여도 좋다.
다음에, 게이트 절연층(507) 위에 막 두께 2nm 이상 200nm 이하, 바람직하게는 5nm 이상 30nm 이하의 산화물 반도체막(530)을 형성한다(도 15(A) 참조).
또한, 산화물 반도체막(530)을 스퍼터링법에 의하여 형성하기 전에, 아르곤 가스를 도입하여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역 스퍼터링을 행하여 게이트 절연층(507) 표면에 부착된 분말 물질(파티클, 먼지라고도 함)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 스퍼터링이란, 아르곤 분위기하에서 RF 전원을 사용하여 기판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기판 근방에 플라즈마를 형성하여 표면을 개질하는 방법이다. 또한, 아르곤 분위기 대신에 질소, 헬륨, 산소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산화물 반도체막(530)에 사용하는 산화물 반도체로서는, 4원계 금속 산화물인 In-Sn-Ga-Zn-O계 산화물 반도체나, 3원계 금속 산화물인 In-Ga-Zn-O계 산화물 반도체, In-Sn-Zn-O계 산화물 반도체, In-Al-Zn-O계 산화물 반도체, Sn-Ga-Zn-O계 산화물 반도체, Al-Ga-Zn-O계 산화물 반도체, Sn-Al-Zn-O계 산화물 반도체나, 2원계 금속 산화물인 In-Zn-O계 산화물 반도체, Sn-Zn-O계 산화물 반도체, Al-Zn-O계 산화물 반도체, Zn-Mg-O계 산화물 반도체, Sn-Mg-O계 산화물 반도체, In-Mg-O계 산화물 반도체, In-Ga-O계 산화물 반도체나, 1원계 금속 산화물인 In-O계 산화물 반도체, Sn-O계 산화물 반도체, Zn-O계 산화물 반도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화물 반도체에 SiO2가 함유되어도 좋다. 여기서, 예를 들어, In-Ga-Zn-O계 산화물 반도체란, 인듐(In), 갈륨(Ga), 아연(Zn)을 갖는 산화물막을 의미하고, 그 조성 비율은 특별히 불문한다. 또한, In과 Ga와 Zn 외의 원소를 함유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In-Ga-Zn-O계 산화물 타깃을 사용하여 스퍼터링법으로 산화물 반도체막(530)을 형성한다. 이 단계의 단면도가 도 15(A)에 상당한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로서 In-Zn-O계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하는 타깃의 조성 비율은 원자수 비율로 In:Zn=50:1 내지 1:2(mol수 비율로 환산하면 In2O3:ZnO=25:1 내지 1:4), 바람직하게는 In:Zn=20:1 내지 1:1(mol수 비율로 환산하면 In2O3:ZnO=10:1 내지 1:2), 더 바람직하게는, In:Zn=15:1 내지 1.5:1(mol수 비율로 환산하면 In2O3:ZnO=15:2 내지 3:4)로 한다. 예를 들어, In-Zn-O계 산화물 반도체의 형성에 사용되는 타깃은 원자수 비율이 In:Zn:O=X:Y:Z일 때, Z>1.5X+Y로 한다.
산화물 반도체막(530)을 스퍼터링법으로 제작하기 위한 타깃으로서, 예를 들어, 조성 비율이 In2O3: Ga2O3: ZnO=1:1:1[mol수 비율]인 산화물 타깃을 사용하여 In-Ga-Zn-O막을 형성한다. 또한, 상술한 타깃 재료 및 조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조성 비율이 In2O3: Ga2O3: ZnO=1:1:2[mol수 비율]인 산화물 타깃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산화물 타깃의 충전율은 90% 이상 100% 이하,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99.9% 이하다. 충전율이 높은 금속 산화물 타깃을 사용함으로써 형성한 산화물 반도체막은 치밀한 막으로 할 수 있다.
산화물 반도체막(530)을 형성할 때 사용하는 스퍼터링 가스는 수소, 물, 수산기, 또는 수소화물 등의 불순물이 제거된 고순도 가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압 상태로 유지된 성막실 내에 기판을 유지하고, 기판 온도를 100℃ 이상 600℃ 이하,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 400℃ 이하로 한다. 기판을 가열하면서 형성함으로써, 형성된 산화물 반도체막에 함유되는 불순물 농도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스퍼터링으로 인한 손상이 경감된다. 그리고, 성막실 내의 잔류 수분을 제거하면서, 수소 및 수분이 제거된 스퍼터링 가스를 도입하고 상기 타깃을 사용하여 기판(505) 위에 산화물 반도체막(530)을 형성한다. 처리실 내의 잔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흡착형 진공 펌프, 예를 들어, 크라이오 펌프, 이온 펌프, 티타늄 서블리메이션 펌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기 수단은 터보 펌프에 콜드 트랩이 장착된 것이라도 좋다. 크라이오 펌프를 사용하여 배기한 성막실은, 예를 들어, 수소 원자나 물(H2O) 등 수소 원자를 함유한 화합물(더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를 함유한 화합물도) 등이 배기되므로, 상기 성막실에서 형성한 산화물 반도체막에 함유되는 불순물의 농도를 저감할 수 있다.
스퍼터링법을 행하는 분위기는 희 가스(대표적으로는, 아르곤), 산소, 또는 희 가스와 산소의 혼합 분위기로 하면 좋다.
성막 조건의 일례로서는, 기판과 타깃 사이의 거리를 100mm, 압력 0.6Pa, 직류(DC) 전원 0.5kW, 산소(산소 유량 비율 100%) 분위기하의 조건이 적용된다. 또한, 펄스 직류 전원을 사용하면, 성막시에 발생하는 분말 물질(파티클, 먼지라고도 함)을 경감할 수 있고, 막 두께 분포도 균일하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다음에, 산화물 반도체막(530)을 제 2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하여 섬 형상의 산화물 반도체층으로 가공한다. 또한, 섬 형상의 산화물 반도체층을 형성하기 위한 레지스트 마스크를 잉크젯법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레지스트 마스크를 잉크젯법으로 형성하면 포토마스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절연층(507)에 콘택트 홀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그 공정은 산화물 반도체막(530)을 가공할 때 동시에 행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의 산화물 반도체막(530)의 에칭은 드라이 에칭과 웨트 에칭의 어느 쪽이라도 좋고, 양쪽 모두를 사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산화물 반도체막(530)의 웨트 에칭에 사용하는 에칭액으로서는, 인산과 초산과 질산을 혼합한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ITO07N(KANTO CHEMICAL CO.,INC 제작)을 사용하여도 좋다.
다음에, 산화물 반도체층에 제 1 가열 처리를 행한다. 이 제 1 가열 처리로 산화물 반도체층의 탈수화 또는 탈수소화를 행할 수 있다. 제 1 가열 처리의 온도는 400℃ 이상 750℃ 이하, 또는 400℃ 이상 기판의 변형점 미만으로 한다. 여기서는, 가열 처리 장치 중 하나인 전기로에 기판을 반입하고, 질소 분위기하 450℃에서 산화물 반도체층에 1시간의 가열 처리를 행한 후, 대기에 노출시키지 않고, 산화물 반도체층에 물이나 수소가 다시 혼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산화물 반도체층(531)을 얻는다(도 15(B) 참조).
또한, 가열 처리 장치는 전기로에 한정되지 않고, 저항 발열체 등의 발열체로부터의 열 전도 또는 열 복사에 의하여 피처리물을 가열하는 장치를 사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GRTA(Gas Rapid Thermal Anneal) 장치, LRTA(Lamp Rapid Thermal Anneal) 장치 등의 RTA(Rapid Thermal Anneal)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LRTA 장치는 할로겐 램프, 메탈 할라이드 램프, 크세논 아크 램프, 카본 아크 램프, 고압 나트륨 램프, 고압 수은 램프 등의 램프로부터 방출되는 빛(전자파)의 복사에 의하여 피처리물을 가열하는 장치이다. GRTA 장치는 고온 가스를 사용하여 가열 처리를 행하는 장치이다. 고온 가스에는 아르곤 등의 희 가스 또는 질소와 같이 가열 처리에 의하여 피처리물과 반응하지 않는 불활성 기체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제 1 가열 처리로서, 650℃ 내지 700℃의 고온으로 가열한 불활성 가스 분위기 중에 기판을 이동시키고, 수분간 가열한 후, 고온으로 가열한 불활성 가스 분위기 중에서 기판을 꺼내는 GRTA를 행하여도 좋다.
또한, 제 1 가열 처리에서는, 질소, 또는 헬륨, 네온, 아르곤 등의 희가스에, 물, 수소 등이 함유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가열 처리 장치에 도입하는 질소, 또는 헬륨, 네온, 아르곤 등의 희 가스의 순도를 6N(99.9999%) 이상, 바람직하게는 7N(99.99999%) 이상(즉, 불순물 농도를 1ppm 이하, 바람직하게는 0.1ppm 이하)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가열 처리로 산화물 반도체층을 가열한 후, 같은 노에 고순도의 산소 가스, 고순도의 N2O 가스, 또는 초건조 에어(노점이 -40℃ 이하, 바람직하게는 -60℃ 이하)를 도입하여도 좋다. 산소 가스 또는 N2O 가스에, 물, 수소 등이 함유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가열 처리 장치에 도입하는 산소 가스 또는 N2O 가스의 순도를 6N 이상, 바람직하게는 7N 이상(즉, 산소 가스 또는 N2O 가스 중의 불순물 농도를 1ppm 이하, 바람직하게는 0.1pp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소 가스 또는 N2O 가스의 작용에 의하여, 탈수화 또는 탈수소화 처리에 의한 불순물의 배제 공정으로 동시에 감소되어 버린 산화물 반도체를 구성하는 주성분 재료인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산화물 반도체층을 고순도화 및 전기적으로 i형(진성)화한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층의 제 1 가열 처리는 섬 형상 산화물 반도체층으로 가공하기 전의 산화물 반도체막(530)에 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 1 가열 처리 후에, 가열 장치로부터 기판을 꺼내고,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행한다.
또한, 제 1 가열 처리는 상기 외에도 산화물 반도체층을 형성한 후라면 산화물 반도체층 위에 소스 전극층 및 드레인 전극층을 적층시킨 후, 또는 소스 전극층 및 드레인 전극층 위에 절연층을 형성한 후의 어느 타이밍에 행하여도 좋다.
또한, 게이트 절연층(507)에 콘택트 홀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그 공정은 산화물 반도체막(530)에 제 1 가열 처리를 행하기 전에 행하여도 좋고, 제 1 가열 처리를 행한 후에 행하여도 좋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층을 2단계로 나누어 형성하고, 2단계로 나누어 가열 처리를 행함으로써, 하지 부재의 재료가 산화물, 질화물, 금속 등 재료를 막론하고, 막 두께가 두꺼운 결정 영역(단결정 영역), 즉, 막 표면에 수직으로 c축 배향한 결정 영역을 갖는 산화물 반도체층을 형성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3nm 이상 15nm 이하의 제 1 산화물 반도체막을 형성하고, 질소, 산소, 희 가스, 또는 건조 공기의 분위기하에서 450℃ 이상 850℃ 이하, 바람직하게는 550℃ 이상 750℃ 이하의 제 1 가열 처리를 행하여, 표면을 포함하는 영역에 결정 영역(판(板) 형상 결정도 포함함)을 갖는 제 1 산화물 반도체막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 1 산화물 반도체막보다 두꺼운 제 2 산화물 반도체막을 형성하고, 450℃ 이상 850℃ 이하, 바람직하게는 600℃ 이상 700℃ 이하의 제 2 가열 처리를 행하여, 제 1 산화물 반도체막을 결정 성장의 종으로 하여 상방에 결정 성장시켜 제 2 산화물 반도체막 전체를 결정화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막 두께가 두꺼운 결정 영역을 갖는 산화물 반도체층을 형성하여도 좋다.
다음에, 게이트 절연층(507) 및 산화물 반도체층(531) 위에 소스 전극층 및 드레인 전극층(이것과 같은 층으로 형성되는 배선을 포함함)이 되는 도전막을 형성한다. 소스 전극층 및 드레인 전극층에 사용하는 도전막으로서, 예를 들어 Al, Cr, Cu, Ta, Ti, Mo, W 중에서 선택된 원소를 함유한 금속막, 또한 상술한 원소를 성분으로 하는 금속 질화물막(질화티타늄막, 질화몰리브덴막, 질화텅스텐막)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Al, Cu 등 금속막의 아래측 또는 위측의 한쪽 또는 양쪽에 Ti, Mo, W 등 고융점 금속막 또는 이들의 금속 질화물막(질화티타늄막, 질화몰리브덴막, 질화텅스텐막)을 적층시킨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특히, 산화물 반도체층과 접촉되는 측에 티타늄을 함유한 도전막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하여 도전막 위에 레지스트 마스크를 형성하고, 선택적으로 에칭하여 소스 전극층(515a) 및 드레인 전극층(515b)을 형성한 후, 레지스트 마스크를 제거한다(도 15(C) 참조).
제 3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서 레지스트 마스크를 형성할 때 노광에 자외선이나 KrF 레이저 광이나 ArF 레이저 광을 사용하면 좋다. 산화물 반도체층(531) 위에서 인접되는 소스 전극층의 하단부와, 드레인 전극층의 하단부의 간격 폭에 따라 이후 형성되는 트랜지스터의 채널 길이 L이 결정된다. 또한, 채널 길이 L=25nm 미만인 경우에는, 수nm 내지 수십nm로 극히 파장이 짧은 초자외선(Extreme Ultraviolet)을 사용하여 제 3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서의 레지스트 마스크 형성시의 노광을 행하면 좋다. 초자외선에 의한 노광은 해상도가 높고 초점 심도도 크다. 따라서, 이후 형성되는 트랜지스터의 채널 길이 L를 10nm 이상 1000nm 이하로 할 수도 있고, 회로의 동작 속도를 고속화할 수 있다.
또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서 사용하는 포토 마스크의 개수 및 공정수를 삭감하기 위하여 투과한 빛이 복수의 강도를 갖게 되는 노광 마스크인 다계조 마스크에 의하여 형성된 레지스트 마스크를 사용하여 에칭 공정을 행하여도 좋다. 다계조 마스크를 사용하여 형성한 레지스트 마스크는 복수의 막 두께를 갖는 형상이고, 에칭함으로써 형상이 더 변형될 수 있으므로, 상이한 패턴으로 가공하는 복수의 에칭 공정에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1장의 다계조 마스크에 의하여 적어도 2종류 이상의 상이한 패턴에 대응하는 레지스트 마스크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노광 마스크의 개수를 삭감할 수 있고 대응하는 포토리소그래피 공정도 삭감할 수 있으므로 공정의 간략화가 가능하다.
또한, 도전막을 에칭할 때, 산화물 반도체층(531)이 에칭되어 분단되지 않도록 에칭 조건을 최적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도전막만을 에칭하고 산화물 반도체층(531)을 전혀 에칭하지 않는 조건을 얻기 어렵기 때문에, 도전막을 에칭할 때 산화물 반도체층(531)은 일부분만이 에칭되어 홈부(오목부)를 갖는 산화물 반도체층이 될 경우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전막에 Ti막을 사용하고, 산화물 반도체층(531)에 In-Ga-Zn-O계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에칭액으로서 암모니아 과수(암모니아, 물, 과산화 수소수의 혼합액)를 사용한다.
다음에, N2O, N2, 또는 Ar 등의 가스를 사용한 플라즈마 처리를 행함으로써, 노출되는 산화물 반도체층 표면에 부착된 흡착수 등을 제거하여도 좋다. 플라즈마 처리를 행한 경우에는, 대기에 노출시키지 않고, 산화물 반도체층의 일부분에 접촉되는 보호 절연막이 되는 절연층(516)을 형성한다.
절연층(516)은 적어도 막 두께 1nm 이상으로 하고, 스퍼터링법 등 절연층(516)에 물이나 수소 등의 불순물을 혼입시키지 않는 방법을 적절히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절연층(516)에 수소가 함유되면, 수소가 산화물 반도체층에 침입되거나, 또는 수소가 산화물 반도체층 중의 산소를 뽑아내, 산화물 반도체층의 백 채널이 저저항화(N형화)되어 버리고, 기생 채널이 형성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절연층(516)이 가능한 한 수소를 함유하지 않는 막이 되도록 형성 방법에 수소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연층(516)으로서 막 두께 200nm의 산화실리콘막을 스퍼터링법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성막시의 기판 온도는 실온 이상 300℃ 이하로 하면 좋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100℃로 한다. 스퍼터링법에 의한 산화실리콘막의 형성은 희 가스(대표적으로는 아르곤) 분위기하, 산소 분위기하, 또는 희 가스와 산소의 혼합 분위기하에서 행할 수 있다. 또한, 타깃으로서 산화실리콘 타깃 또는 실리콘 타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 타깃을 사용하여 산소를 함유한 분위기하에서 스퍼터링법에 의하여 산화실리콘막을 형성할 수 있다. 산화물 반도체층과 접촉되어 형성되는 절연층(516)은 수분, 수소 이온, OH- 등의 불순물을 함유하지 않고, 이들이 외부로부터 침입되는 것을 막는 무기 절연막을 사용하고, 대표적으로는, 산화실리콘막, 산화질화실리콘막, 산화알루미늄막, 또는 산화질화알루미늄막 등을 사용한다.
산화물 반도체막(530)의 형성과 동시에 절연층(516)의 성막실 내의 잔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흡착형의 진공 펌프(크라이오 펌프 등)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라이오 펌프를 사용하여 배기한 성막실에서 성막함으로써 절연층(516)에 함유되는 불순물의 농도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절연층(516)의 성막실 내의 잔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배기 수단은 터보 펌프에 콜드 트랩을 장착한 것이라도 좋다.
절연층(516)을 형성할 때 사용하는 스퍼터링 가스는 수소, 물, 수산기, 또는 수소화물 등 불순물이 제거된 고순도 가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불활성 가스 분위기하 또는 산소 가스 분위기하에서 제 2 가열 처리(바람직하게는 200℃ 이상 400℃ 이하, 예를 들어, 250℃ 이상 350℃ 이하)를 행한다. 예를 들어, 질소 분위기하에서 250℃, 1시간의 제 2 가열 처리를 행한다. 제 2 가열 처리를 행하면, 산화물 반도체층의 일부분(채널 형성 영역)이 절연층(516)과 접촉된 상태로 가열된다.
상술한 공정을 거침으로써, 산화물 반도체막에 제 1 가열 처리를 행함으로써, 수소, 수분, 수산기, 또는 수소화물(수소 화합물이라고도 함) 등의 불순물을 산화물 반도체층으로부터 의도적으로 배제하고, 또 불순물의 배제 공정으로 동시에 감소되어 버리는 산화물 반도체를 구성하는 주성분 재료 중 하나인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산화물 반도체층은 고순도화 및 전기적으로 i형(진성)화한다.
상술한 공정으로 트랜지스터(510)가 형성된다(도 15(D) 참조).
또한, 절연층(516)에 결함을 많이 갖는 산화실리콘층을 사용하면, 산화실리콘층을 형성한 후의 가열 처리에 의하여 산화물 반도체층 중에 함유되는 수소, 수분, 수산기 또는 수소화물 등의 불순물을 산화물 절연층으로 확산시켜, 산화물 반도체층 중에 함유되는 상기 불순물을 더 저감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절연층(516) 위에 보호 절연층(506)을 더 형성하여도 좋다. 보호 절연층(506)으로서, 예를 들어, RF 스퍼터링법을 사용하여 질화실리콘막을 형성한다. RF 스퍼터링법은 양산성이 좋으므로, 보호 절연층의 성막 방법으로서 바람직하다. 보호 절연층은 수분 등의 불순물을 함유하지 않고, 이들이 외부로부터 침입되는 것을 막는 무기 절연막, 예를 들어, 질화실리콘막, 질화알루미늄막 등을 사용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질화실리콘막을 사용하여 보호 절연층(506)을 형성한다(도 15(E)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호 절연층(506)으로서 절연층(516)까지 형성된 기판(505)을 100℃ 내지 400℃의 온도까지 가열하고, 수소 및 수분이 제거된 고순도 질소를 함유한 스퍼터링 가스를 도입하고, 실리콘 반도체의 타깃을 사용함으로써, 질화실리콘막을 형성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절연층(516)과 마찬가지로 처리실 내의 잔류 수분을 제거하면서 보호 절연층(506)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 절연층을 형성한 후, 대기 중에서 100℃ 이상 200℃ 이하, 1시간 이상 30시간 이하의 가열 처리를 더 행하여도 좋다. 이 가열 처리는 일정한 가열 온도를 유지하면서 가열하여도 좋고, 실온에서 100℃ 이상 200℃ 이하의 가열 온도까지의 승온과, 가열 온도에서 실온까지의 강온을 복수 횟수 반복하여 행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예시한 트랜지스터는 높은 전계 효과 이동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고속 구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액정 표시 장치의 화소부에 산화물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를 사용함으로써 고화질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를 사용함으로써, 동일 기판 위에 구동 회로부 또는 화소부를 나누어 제작할 수 있으므로 액정 표시 장치의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고순도화된 산화물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를 사용함으로써 오프 상태의 전류 값(오프 전류 값)을 더 낮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신호 등의 전기 신호의 유지 시간을 길게 할 수 있고, 기록 간격도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실시형태 3의 방법에 의하여 리프레시 동작의 빈도를 더 적게 할 수 있어 소비 전력을 억제하는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본 명세서에서 기재하는 다른 실시형태와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10: 전자 기기 100: 전자 장치
100a: 면 100b: 면
130L: 접속 단자 그룹 130R: 접속 단자 그룹
200: 전자 장치 200a: 면
300: 베이스 유닛 310: 지축
320: 지축 330a: 연결구
330b: 연결구 340a: 연결구
340b: 연결구 350: 결속구

Claims (14)

  1. 전자 기기로서,
    제 1 지축, 상기 제 1 지축에 접속된 제 1 및 제 2 연결구, 상기 제 1 지축에 평행하게 제공된 제 2 지축, 및 상기 제 2 지축에 접속된 제 3 및 제 4 연결구를 갖는 유닛;
    상기 제 1 지축에 고정된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구에 의하여 탈착할 수 있게 지지된 제 1 전자 장치; 및
    상기 제 2 지축에 고정된 상기 제 3 및 제 4 연결구에 의하여 탈착할 수 있게 지지된 제 2 전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한 쌍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자 장치는 한 쌍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구, 상기 제 2 연결구, 상기 제 3 연결구, 및 상기 제 4 연결구 각각은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상기 제 1 접속 단자 그룹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접속 단자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상기 제 2 전자 장치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상기 제 1 접속 단자 그룹 및 상기 제 1 연결구, 상기 제2 연결구, 상기 제 3 연결구, 및 상기 제 4 연결구의 상기 제 2 접속 단자 그룹을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자 기기.
  2. 전자 기기로서,
    제 1 지축, 상기 제 1 지축에 접속된 제 1 및 제 2 연결구, 상기 제 1 지축에 평행하게 제공된 제 2 지축, 및 상기 제 2 지축에 접속된 제 3 및 제 4 연결구를 갖는 제 1 유닛;
    상기 제 1 지축에 고정된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구에 의하여 탈착할 수 있게 지지된 제 1 전자 장치; 및
    상기 제 2 지축에 고정된 상기 제 3 및 제 4 연결구에 의하여 탈착할 수 있게 지지된 제 2 전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제 1 측면 및 상기 제 1 측면과 대향하는 제 2 측면에 한 쌍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자 장치는 제 1 측면 및 상기 제 1 측면과 대향하는 제 2 측면에 한 쌍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구, 상기 제 2 연결구, 상기 제 3 연결구, 및 상기 제 4 연결구 각각은 제 2 접속 단자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구의 상기 제 2 접속 단자 그룹은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상기 한 쌍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 중 하나와 접속되고,
    상기 제 3 연결구의 상기 제 2 접속 단자 그룹은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상기 한 쌍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전자 장치 및 상기 제 2 전자 장치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 및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상기 제 1 접속 단자 그룹 및 상기 제 1 연결구, 상기 제 2 연결구, 상기 제 3 연결구, 및 상기 제 4 연결구의 상기 제 2 접속 단자 그룹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자 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닛의 제 3 지축 및 상기 제 3 지축에 접속된 제 5 및 제 6 연결구, 및
    상기 제 3 지축에 고정된 상기 제 5 및 제 6 연결구에 의하여 지지된 제 3 전자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전자 장치는 제 1 측면 및 상기 제 1 측면과 대향하는 제 2 측면에 한 쌍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 5 연결구 및 상기 제 6 연결구 각각은 상기 제 3 전자 장치의 상기 한 쌍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 중 하나와 접속되는 제 2 접속 단자 그룹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지축, 상기 제 2 전자 장치 및 상기 제 3 지축에 각각 접속된 제 5 및 제 6 연결구, 제 4 지축, 상기 제 4 지축에 접속된 제 7 및 제 8 연결구를 갖는 제 2 유닛; 및
    상기 제 4 지축에 고정된 상기 제 7 및 제 8 연결구에 의하여 지지된 제 3 전자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자 장치는 상기 제 1 측면 및 상기 제 1 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제 2 측면에 다른 한 쌍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전자 장치는 제 1 측면 및 상기 제 1 측면과 대향하는 제 2 측면에 한 쌍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 5 연결구, 상기 제 6 연결구, 상기 제 7 연결구, 및 상기 제 8 연결구 각각은 상기 제 2 전자 장치 및 상기 제 3 전자 장치의 상기 제 1 접속 단자 그룹의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접속 단자 그룹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상기 제 1 접속 단자 그룹 및 상기 제 1 연결구, 상기 제 2 연결구, 상기 제 3 연결구, 및 상기 제 4 연결구의 상기 제 2 접속 단자 그룹을 통하여,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상기 제 2 전자 장치 중 한쪽으로부터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상기 제 2 전자 장치 중 다른 쪽으로 전력이 공급되는, 전자 기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상기 제 1 접속 단자 그룹 및 상기 제 1 연결구, 상기 제 2 연결구, 상기 제 3 연결구, 및 상기 제 4 연결구의 상기 제 2 접속 단자 그룹을 통하여,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상기 제 2 전자 장치 중 태양 전지가 제공된 한쪽으로부터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상기 제 2 전자 장치 중 다른 쪽으로 전력이 공급되는, 전자 기기.
  7. 전자 기기로서,
    제 1 지축, 상기 제 1 지축에 접속된 제 1 및 제 2 연결구, 상기 제 1 지축에 평행하게 제공된 제 2 지축, 및 상기 제 2 지축에 접속된 제 3 및 제 4 연결구를 갖는 유닛;
    상기 제 1 지축에 고정된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구에 의하여 탈착할 수 있게 지지된 제 1 전자 장치; 및
    상기 제 2 지축에 고정된 상기 제 3 및 제 4 연결구에 의하여 탈착할 수 있게 지지된 제 2 전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구에 각각 접속된 한 쌍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자 장치는 상기 제 3 및 제 4 연결구에 각각 접속된 한 쌍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구, 상기 제 2 연결구, 상기 제 3 연결구, 및 상기 제 4 연결구 각각은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상기 제 1 접속 단자 그룹 중 하나와 접속되는 제 2 접속 단자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상기 제 2 전자 장치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상기 제 1 접속 단자 그룹 및 상기 유닛의 상기 제 2 접속 단자 그룹을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제 1 면과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제 1 면은 사용자를 향하는, 전자 기기.
  8. 전자 기기로서,
    제 1 지축, 상기 제 1 지축에 접속된 제 1 및 제 2 연결구, 상기 제 1 지축에 평행하게 제공된 제 2 지축, 및 상기 제 2 지축에 접속된 제 3 및 제 4 연결구를 갖는 유닛;
    상기 제 1 지축에 고정된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구에 의하여 탈착할 수 있게 지지된 제 1 전자 장치; 및
    상기 제 2 지축에 고정된 상기 제 3 및 제 4 연결구에 의하여 탈착할 수 있게 지지된 제 2 전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한 쌍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자 장치는 한 쌍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구와 상기 제 2 연결구 각각은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상기 한 쌍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접속 단자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연결구 및 상기 제 4 연결구 각각은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상기 한 쌍의 제 1 접속 단자 그룹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접속 단자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상기 제 2 전자 장치 중 한쪽의 제 1 면은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상기 제 2 전자 장치 중 다른 쪽으로 덮이고,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상기 제 2 전자 장치 중 상기 다른 쪽의 제 1 면은 사용자를 향하는, 전자 기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10043458A 2010-05-14 2011-05-09 전자 기기 및 전자 장치의 접속 방법 KR1018241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12283 2010-05-14
JP2010112283 2010-05-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6047A KR20110126047A (ko) 2011-11-22
KR101824126B1 true KR101824126B1 (ko) 2018-02-01

Family

ID=44911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3458A KR101824126B1 (ko) 2010-05-14 2011-05-09 전자 기기 및 전자 장치의 접속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670244B2 (ko)
JP (2) JP5890967B2 (ko)
KR (1) KR1018241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PS20120016A1 (it) * 2012-07-20 2014-01-21 Glass Company Srl Struttura di console elettronica, particolarmente per uso all'aperto
US8738101B1 (en) * 2013-02-06 2014-05-27 Makor Issues And Rights Ltd. Smartphone-tablet hybrid device
US9588549B2 (en) * 2014-02-28 2017-03-0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nic device
WO2016186277A1 (ko) * 2015-05-18 2016-11-24 요크 유에스에이 주식회사 연속 확장이 용이한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 그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 및 제조방법
US20170192467A1 (en) * 2016-01-02 2017-07-06 Lenovo (Singapore) Pte. Ltd. Hinge assemblies
JP6822725B2 (ja) * 2016-12-19 2021-01-27 ホアウェイ・テクノロジーズ・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ノートブックコンピュータ
KR102170458B1 (ko) * 2018-01-19 2020-10-28 박용필 스마트기기 경첩
CN109491455B (zh) * 2018-11-13 2021-06-29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转动装置和显示设备
TWI682267B (zh) * 2018-11-28 2020-01-1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可攜式電子裝置
TWD207078S (zh) * 2020-02-06 2020-09-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帶雙顯示螢幕的可折疊電子裝置
US11711900B2 (en) * 2021-03-22 2023-07-25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modu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1451A (ja) 2002-06-14 2004-01-22 Casio Comput Co Ltd 電子機器
JP2009177621A (ja) * 2008-01-25 2009-08-06 Nec Corp 携帯端末装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644U (ko) * 1990-07-26 1992-03-27
JPH0619433A (ja) * 1991-08-29 1994-01-28 Toshiba Corp 複数画面連結表示装置
KR940009735B1 (ko) * 1992-08-25 1994-10-17 삼성전자 주식회사 노우트 북 컴퓨터
JPH07230250A (ja) * 1994-02-16 1995-08-2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拡張ディスプレイ付コンピュータ
JPH07234743A (ja) * 1994-02-21 1995-09-05 Funai Electric Co Ltd データ処理装置
JPH0844672A (ja) * 1994-07-27 1996-02-16 Hitachi Ltd 情報端末
US6838810B1 (en) * 1997-03-21 2005-01-04 Chunghwa Picture Tubes, Ltd. Flat-panel display mounting system for portable computer
JPH11149327A (ja) * 1997-11-17 1999-06-02 Funai Electric Co Ltd 携帯用情報電子機器
JP4098399B2 (ja) 1998-05-08 2008-06-1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DE19983832T1 (de) * 1998-12-23 2001-11-29 Jerry Moscovitch Computer-Anzeigebildschirmsystem und verstellbare Bildschirmhalterung sowie schwenkbare Bildschirme dafür
JP3540187B2 (ja) * 1999-02-25 2004-07-07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JP3428532B2 (ja) * 1999-10-22 2003-07-22 日本電気株式会社 開閉角度検出装置及び折り畳み式機器
JP2003152840A (ja) * 2001-11-13 2003-05-23 Nec Corp 携帯電話機
US7324842B2 (en) * 2002-01-22 2008-01-29 Cortechs Labs, Inc. Atlas and methods for segmentation and alignment of anatomical data
JP2003330616A (ja) * 2002-05-09 2003-11-21 Sanee Denki Kk 両面入力タッチ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情報処理装置
TWM245523U (en) * 2003-11-20 2004-10-01 Tatung Co Portable computer keyboard expanding base
TWI237983B (en) * 2004-01-13 2005-08-11 Benq Corp Folding electronic device
US8064970B2 (en) * 2008-08-15 2011-11-2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Hinge assemblies for mobile terminals
TW201042466A (en) * 2009-05-28 2010-12-01 Inst Information Industry Hybrid computer systems
KR101641229B1 (ko) * 2009-10-23 2016-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확장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전자기기
JP5039216B2 (ja) * 2011-02-24 2012-10-03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1451A (ja) 2002-06-14 2004-01-22 Casio Comput Co Ltd 電子機器
JP2009177621A (ja) * 2008-01-25 2009-08-06 Nec Corp 携帯端末装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09981B2 (ja) 2017-04-05
JP2016106322A (ja) 2016-06-16
US8670244B2 (en) 2014-03-11
US20110279992A1 (en) 2011-11-17
JP5890967B2 (ja) 2016-03-22
KR20110126047A (ko) 2011-11-22
JP2011258187A (ja) 201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4126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장치의 접속 방법
JP7054409B2 (ja) 液晶表示装置
JP7214027B2 (ja) 表示装置
JP6005214B2 (ja) 液晶表示装置
JP6284992B2 (ja) 表示装置
TWI576805B (zh) 驅動顯示裝置之方法
TWI514354B (zh) 半導體裝置及半導體裝置之製造方法
TW201137838A (en) Method for driving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I545546B (zh) 液晶顯示裝置以及液晶顯示裝置的驅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