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86277A1 - 연속 확장이 용이한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 그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속 확장이 용이한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 그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86277A1
WO2016186277A1 PCT/KR2015/012633 KR2015012633W WO2016186277A1 WO 2016186277 A1 WO2016186277 A1 WO 2016186277A1 KR 2015012633 W KR2015012633 W KR 2015012633W WO 2016186277 A1 WO2016186277 A1 WO 201618627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cell panel
substrate
plating layer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1263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장성은
Original Assignee
요크 유에스에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크 유에스에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요크 유에스에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618627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8627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3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crystalline structure or particular orientation of the crystalline planes
    • H01L31/0392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crystalline structure or particular orientation of the crystalline planes including thin films deposited on metallic or insulating substrates ; characterised by specific substrate materials or substrate features or by the presence of intermediate layers, e.g. barrier layers, on the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75PV cell arrays made by cells in a planar, e.g. repetitive, configuration on a single semiconductor substrate; PV cell micro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5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개시되는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기판 및 상기 기판에 형성된 회로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합된 태양전지 셀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의 대향하는 두 모서리의 일부가 절개된 홈 형태의 체결부가 한 모서리당 각각 두 개씩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태양전지 패널; 및 상기 체결부에 삽입되는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를 감싸도록 상기 기판의 체결부에 결합되고 상기 태양전지 셀의 버스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한 모서리에서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면서 대향하는 다른 모서리에서는 상기 한 모서리의 대향하는 위치의 극성에 대해 각각 동일한 극성을 갖는 연결 단자부를 포함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속 확장이 용이한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 그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 및 제조방법
본 발명은 사용 용도에 맞춰 적절한 전압의 출력이 가능하도록 태양전지 패널을 기계적, 전기적으로 용이하게 연속 확장할 수 있는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과,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을 이루는 기판의 에지부에 대한 금속 마감처리를 기판에 회로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동시에 처리함으로써 생산비용을 절감하고 견고하게 에지부를 마감처리할 수 있는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태양전지 패널 중에는 개인이 휴대하여 필요한 때에는 태양광이 비치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나 쉽게 태양광 발전을 하여 휴대용 기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이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의 일례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414841호의 "휴대가 용이한 접이식 태양광 발전 충전장치"를 들 수 있다.
도 1에 한국등록특허 제10-1414841호의 휴대형 태양광 충전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몸체(10)의 중심판(11)과 중심판(11)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좌측판(12)과 우측판(13)이 중심판(11)으로 접히는 구조로 형성하면서 중심판(11)과 좌측판(12) 및 우측판(13)에 제1 태양전지판(20)을 형성하고, 더 나아가 좌측판(12)과 우측판(13)에는 각각 좌측판(12)과 우측판(13)에 접히는 구조의 연장판(61,62)을 더 형성하고 그 연장판(61,62)에 제2 태양전지판(63)을 형성함으로써, 휴대시에는 좌측판(12)과 우측판(13), 그리고 연장판(61,62)을 접어 편리하게 휴대하고 태양광을 통한 발전이 요구되면 제1/제2 태양전지판(20,63)이 태양광에 노출되도록 좌측판(12), 우측판(13) 및 연장판(61,62)을 넓게 펼쳐 태양광 발전 면적을 확장하는 구조인 것에 있다.
이러한 한국등록특허 제10-1414841호의 경우에 중심판 및 그 좌우측에 접철식으로 태양전지판들을 서로 연결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중심판을 중심으로 그 좌우측으로 전기연결선이 연장 설치된 구조이기 때문에 빈번한 접철 동작에 의해 좌우측 전기연결선의 일부에 단락이 발생하는 경우가 생긴다. 그리고, 또 다른 문제점은 소비자가 원하는 전압, 예를 들어 5, 6, 9, 12 볼트와 같은 다양한 발전 전압을 설정할 수 없으며, 태양전지판이 좌우측 방향으로만 확장되고 태양전지판의 개수를 늘릴수록 휴대형 태양광 충전장치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지기 때문에 확장에 한계가 따르게 된다.
도 1의 한국등록특허 제10-1414841호의 접이식 태양광 발전 충전장치를 예로 들었지만, 이외에도 현재 상용화된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에 관한 도 2a 내지 도 2e의 사진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현존하는 대부분의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은 태양전지 셀이 탑재된 인쇄회로기판을 프레임 안에 결합하거나 충격을 줄여줄 수 있는 합성수지재나 섬유재 케이스 안에 넣어 보호하고 있다. 이는 일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태양전지 패널과 다르게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은 야외에서 이동 중에도 사용할 수 있어 예기치 않게 충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충격에 취약한 인쇄회로기판을 보호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태양전지 패널을 보호하기 위해 프레임이나 각종 케이스를 적용하게 되면 필연적으로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의 크기와 두께가 커지게 되어 휴대성이 떨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충분한 태양광 전류를 얻기 위해 태양전지 패널의 개수를 늘리는 것도 제약을 받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에서는 그 두께를 얇게 하는 기술이 상당히 중요하다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안으로는 태양전지 셀이 탑재된 인쇄회로기판에서 충격에 가장 취약한 에지부를 금속재나 합성수지재의 테두리로 마감 처리하는 방식을 생각해볼 수 있다.
그러나, 인쇄회로기판의 에지부에 금속재나 합성수지재의 테두리가 단단히 붙어 있도록 마감 처리하는 것이 쉽지만은 않다. 이는 인쇄회로기판 자체의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강한 압력으로 테두리를 결속하기 어렵고, 접착제를 이용하여 붙이는 것은 번거로운 작업일 뿐만 아니라 접착제가 흐르거나 여분으로 남아 굳으면 제품의 가치를 손상시키기 때문에 이를 처리하는 작업도 필요해 결국 생산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서로 분리되어 있는 복수의 태양전지 패널이 충전이 필요할 때에는 사용 용도에 맞춰 적절한 전압의 출력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유선 연결 없이 접촉 단자를 통하여 기계적, 전기적으로 동시에 연결되어 다양한 전압과 전류의 출력값으로 충전 동작이 가능한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의 기판 에지부를 보호하기 위한 테두리가 기판의 손상이 전혀 없이 강하게 결합된 구조의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을 제공하는 것에도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의 기판 에지부에 손상 없이 강하게 결합되는 테두리를 저렴한 비용으로 손쉽게 형성할 수 있는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또 하나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기판 및 상기 기판에 형성된 회로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합된 태양전지 셀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의 대향하는 두 모서리의 일부가 절개된 홈 형태의 체결부가 한 모서리당 각각 두 개씩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태양전지 패널; 및 상기 체결부에 삽입되는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를 감싸도록 상기 기판의 체결부에 결합되고 상기 태양전지 셀의 버스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한 모서리에서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면서 대향하는 다른 모서리에서는 상기 한 모서리의 대향하는 위치의 극성에 대해 각각 동일한 극성을 갖는 연결 단자부를 포함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은, 회로패턴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 상면, 하면 및 측면을 따라 불연속적인 띠 형상으로 형성된 제1 도금층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의 제조방법은,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을 만들기 위한 원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의 모서리를 이룰 외곽선의 바깥쪽을 따라 불연속적인 띠 형상의 절개선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원판 전체에 제1 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외곽선의 안쪽을 따라 상기 원판의 상하면 및 이에 연결된 측면에 형성되는 띠 형상의 외곽 라인부와, 상기 외곽 라인부 안쪽으로 형성되는 회로 패턴부를 상기 제1 도금층 위에 마스킹하는 단계;와, 상기 원판 전체를 에칭하여 상기 외곽 라인부 및 회로 패턴부에만 상기 제1 도금층을 남겨놓는 단계; 및 상기 외곽 라인부 및 회로 패턴부를 제거하여 상기 제1 도금층을 노출시키고, 상기 절개선을 따라 상기 원판을 잘라내어 상기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은 두께가 불과 1 내지 3 mm의 태양전지 패널을 자성을 가지면서 태양전지 셀의 버스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연결 단자부를 매개로 하여 필요한 만큼 서로 연속적으로 기계적,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매우 편리하게 원하는 수준의 태양광 발전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태양전지 패널은 별도의 프레임 구조 없이 기판을 직접 연결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생산 비용이 절감되는 것은 물론 태양전지 패널을 더욱 소형화시켜 휴대하기 편리하게 만들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태양전지 패널은 복수의 태양전지 패널을 연결하는 방향 및 개수를 변경하여 직렬 및/또는 병렬 연결을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고, 따라서 원하는 전류와 전압을 가진 태양광 발전을 쉽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은 인쇄회로기판에서 충격에 취약한 모서리 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금속성 테두리가 회로패턴을 형성하는 과정 중에 만들어지기 때문에 종래의 태양전지 패널과 같이 기판 보호를 위한 프레임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은 회로패턴을 형성하는 과정 중에 금속성 테두리가 함께 형성되기 때문에 모서리를 보호하기 위해 마련된 별도의 테두리를 설치하는 추가 공정 없이 저렴한 비용으로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을 제작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에 구비되는 금속성 테두리가 도금 공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도금 재료를 변경하는 것만으로도 다양한 디자인의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을 만드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소비자의 요구에 맞춘 다품종 생산에 효율적이다.
도 1은 종래의 접이식 태양광 발전 충전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e는 각각 현재 상용화된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에 관한 사진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의 조립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연결 단자부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 네 개가 연속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의 전후면에 투명필름을 부착하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8a 내지 도 8c는 기판에 형성된 홈 형태의 체결부 및 이에 삽입되는 자성체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9a 내지 도 9c는 서로 연결되는 연결 단자부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연결 단자부가 기판에 고정되는 다양한 실시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11a 및 11b는 본 발명의 연결 단자부가 각각 경첩 형태와 고리 형태로 구성된 실시형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 세 개가 좌우로 연이어 연결되어 병렬 회로로서 태양광 발전 전류를 수집하는 사용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 세 개가 좌우로 직렬 연결을 이루도록 구성된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의 저면에 전원 연결용 서비스 단자를 구비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링 바인더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본 발명의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의 제조방법의 제1 실시형태를 일련의 공정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의 제조방법의 제2 실시형태를 일련의 공정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의 제조방법의 제3 실시형태를 일련의 공정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 20은 도 6의 "A-A" 절개선을 따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대표적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개시된 실시예들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기술적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문언만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의 전체적인 구성을 먼저 설명하고, 그 다음으로 설명된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에 적용하기에 적합하게 만들어진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는 순서로 기재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따른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의 기술적 특징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제조방법을 먼저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의 제조방법에 대해 먼저 설명한 후 이에 따라 제조되는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 구조를 이어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인쇄회로기판에 회로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도금 공정과 패턴 인쇄, 에칭 공정 등의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의 조립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은 태양광 발전을 담당하는 태양전지 패널(100)과, 복수 개의 태양전지 패널(100)을 기계적,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구비되는 자성체(202) 및 연결 단자부(203)를 포함하는 연결부(200)로 구성된다.
태양전지 패널(100)은 기판과, 기판에 형성된 회로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합된 태양전지 셀을 포함하며, 태양전지 셀로부터 생산된 전력은 기판의 회로배선을 통하여 수집된다. 그리고, 기판의 대향하는 두 모서리, 도시된 실시형태를 예로 들면 장방형 기판의 마주보는 두 개 장변에는 그 일부가 절개된 홈 형태의 체결부(201)가 한 모서리당 각각 두 개씩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체결부(201)의 홈 형태의 공간에는 자성체(202)가 삽입되며, 자성체(202)의 이탈을 막으면서 태양전지 패널(100)의 확장을 위한 전기단자를 형성하는 연결 단자부(203)가 자성체(202)를 감싸도록 기판의 체결부(201)에 결합된다.
여기서, 기판의 대향하는 두 모서리에 각각 구비된 서로 대응하는 자성체(202), 즉 마주보는 자성체(202)는 복수 개의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이 연결 단자부(203)가 구비된 모서리가 마주보도록 배치되었을 때 각각의 자성체(202)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여야 연결될 수 있는 극성을 갖는다.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기판의 대향하는 두 모서리에 각각 구비된 서로 대응하는 자성체(202)의 극성을 반대 극성으로 구성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대향하는 두 자성체(202)의 극성을 같게 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는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을 두 가지 사양으로 준비하거나 180°로 돌려서 상하를 바꾸면 역시 인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연속적인 연결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각 연결 단자부(203)의 전기적 극성은 복수 개의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이 연결되었을 때 전기적으로는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먼저 병렬로 연결되는 구성에 대해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면, 태양전지 셀의 버스단자(101)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연결 단자부(203)는 한 모서리의 상하로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면서 대향하는 다른 모서리의 상하로는 대향하는(마주보는) 위치에 대해서는 각각 다른 극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전도체인 연결 단자부(203)가 태양전지 셀의 버스단자(101)와 직접 접촉하여 전기단자를 형성하게 되며, 연결 단자부(203)가 구비된 모서리가 마주보도록 복수 개의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이 상호 연결되면 모서리의 상하로 각각 동일한 전기 극성이 연결되기 때문에 전기적으로는 병렬 연결이 완성된다. 한편, 직렬로 연결되는 전기적 극성의 배치에 대해서는 뒤에서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자성체(202)를 감싸는 연결 단자부(203)가 기판에 결합되는 구조의 일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도시된 구조는 기판 위에 전기배선으로 형성된 태양전지 셀의 버스단자(101)에 삽입홈(101a)이 형성되는 한편 연결 단자부(203)에는 삽입돌기(203a)가 형성되고, 버스단자(101)의 삽입홈(101a)에 연결 단자부(203)의 삽입돌기(203a)가 끼워진 상태를 이루어 기계적으로는 연결 단자부(203)가 기판에 고정되는 동시에 전기적으로는 연결 단자부(203)가 버스단자(101)에 접속된다. 여기서, 연결 단자부(203)에 구비되는 삽입돌기(203a)는 미리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연결 단자부(203)가 기판의 체결부(201)에 끼워진 후 삽입홈(101a)의 위치에 맞춰 프레스 가공을 함으로써 나중에 형성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연결 단자부(203)에는 금이나 은과 같이 전도성이 우수하면서도 인체에 무해한 금속으로 도금을 하여 전기 저항을 줄이고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했을 때 알레르기 반응 등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5의 연결 단자부(203)는 그 중앙부에 자력이 그대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개방부(203b)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연결 단자부(203)가 자성체(202)가 노출되지 않도록 완전히 감싸도록 구성된 것과 차이가 있다. 도 5와 같이 연결 단자부(203)에 개방부(203b)를 형성하면 자속이 차폐되지 않아 자성체(202) 사이에 강한 인력이 작용하여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의 연결이 강해진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 그러나, 자석의 내부 저항에 의해 연결 단자부(203) 사이의 접촉 저항이 증가하여 전기 흐름을 방해할 우려가 있으므로, 자성체(202)의 자력이 충분히 강하다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결 단자부(203)가 자성체(202)를 완전히 감싸도록 함으로써 접촉 저항을 줄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연결 단자부(203)의 접촉면에 요철 또는 엠보싱 가공을 하여 전기적 접촉 면적을 늘려 결과적으로 전기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만들 수도 있다.
도 6은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 네 개가 연속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인데,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단자부(203)가 구비된 모서리가 마주보도록 복수 개의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이 배치되면 마주보는 자성체(202)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에 의해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이 연이어 기계적, 전기적(병렬 연결)으로 연결되어 태양전지 패널(100)이 확장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태양전지 셀로부터 생산된 전류를 모아 충전이 필요한 외부기기로 전달하는 충전 단자부(500)가 기판에 구비된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이 적어도 하나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충전 단자부(500)가 구비된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에 대해 충전 단자부(500)가 없는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이 자성체(202) 및 연결 단자부(203)를 통해 기계적,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면, 연결된 모든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의 태양전지 셀로부터 생산된 전류가 충전 단자부(500)로 모이게 된다.
그리고,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이 흔들림이나 충격 등에 의해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연결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6에 나타난 것처럼, 기판의 모퉁이에 삽입공(301)을 형성하고, 이 삽입공(301)에 고무 등의 탄력을 가진 연결구(300)를 끼워 넣거나 탄성이 없는 폴리우레탄이나 인조가죽 등으로 만들어진 연결구(300)를 볼트와 너트로 고정시키는 방식 등으로 연결구(300)의 양단을 서로 인접한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의 삽입공(301)에 각각 연결함으로써 의도치 않은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연결구(300)를 사용하면 캠핑카, 텐트와 같은 장소에 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고정하거나 배낭에 메달고 이동하는 경우 등에서 보다 안정된 구조로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물론 연결구(300)는 탈착이 가능하므로, 다시 분리시켜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의 개수를 줄이거나 휴대하기 쉽게 낱개로 만들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200)의 연결 단자부(203) 또는 자성체(202)가 기판의 모서리보다 튀어나오게 만드는 것도 좋을 수 있다. 이는 도 6과 같이 연결된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을 평면을 이루지 않게 약간씩 꺾을 때 기판의 모서리가 평탄하지 않아 인접한 기판이 간섭을 일으킴에 따라 자성으로 연결된 연결부(200)가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상황을 고려한 것이다.
도 7은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을 각종 손상과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그 전후면에 투명 필름재질의 투명층(400)을 적층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때 투명한 필름의 투명층(400)이 연결 단자부(203)까지 덮도록 하여 연결 단자부(203)의 고정이 잘 유지되도록 보조할 수 있다.
한편, 도 12는 서로 연결된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의 각 연결 단자부(203)의 전기적 극성을 표시한 것이다. 우선 좌우 방향의 연결 상태를 보면, 연결 단자부(203)가 한 모서리의 상하로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면서 대향하는 두 모서리의 대응하는 위치로는 동일한 극성을 갖기 때문에, 좌우 방향으로 연결된 연결 단자부(203)는 모두 동일한 극성끼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태에 있고, 따라서 좌우 방향으로 연결된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은 병렬로 연결된다. 이러한 병렬 연결은 하나의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과 출력전압은 동일하면서 전류량만 증가시키므로 동일한 충전 전압을 가진 휴대기기를 동시에 여러 개 충전시키거나 대용량 배터리를 탑재한 휴대기기의 충전, 또는 빠른 충전을 원할 때 적합하다.
결국 위와 같은 실시형태의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은 기판의 양 모서리에 연결 단자부(203)를 각각 구비하고 그 전기적 극성 배치를 위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병렬 연결로 태양전지 패널(100)을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며, 특히 자성체(202)와 연결 단자부(203)의 구성에 의해 기계적, 전기적 결합이 동시에 또한 매우 간편하게 달성된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은 별도의 프레임 구조 없이 기판을 직접 연결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생산 비용이 절감되는 것은 물론 태양전지 패널(100)을 더욱 소형화시켜 휴대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한편, 이에 대비되는 도 13의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은 서로 대향하는 두 모서리에 구비되는 연결부(200)의 연결 단자부(203)가 복수 개의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이 좌우로 기계적, 전기적으로 연결되었을 때 직렬 연결을 구성하도록 배열된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즉, 서로 대향하는 양 모서리에 각각 두 개씩 형성되는 연결 단자부(203) 중 좌우방향으로 쌍을 이루는 어느 한 쌍의 연결 단자부(203)는 양극과 음극의 전기적 극성을 가진 연결 단자부(203)이고 다른 한 쌍의 연결 단자부(203)는 충전 단자부(500)에 대한 직렬 연결을 완성하는 버스라인(700)이 형성된 연결 단자부(203)이다. 물론 자성체(202)의 극성 또한 복수 개의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이 좌우로 연결될 때 서로 인력이 작용하도록 배열되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을 좌우로 연결하면 마주보는 연결 단자부(203)가 서로 다른 전기적 극성을 가지기 때문에 직렬로 연결되게 된다. 직렬 연결은 사용 전압이 높은, 예를 들어 9볼트나 12볼트로 작동되는 휴대기기를 충전할 때 적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 추가적인 연결 단자부(203)의 구조는 전술한 연결 단자부(203)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된다.
그리고, 도 12와 도 13에 예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들은 그 연결 방식과 개수에 따라 다양한 전압이 만들어지므로 사용자로서는 다소 혼동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도 6 및 도 15에 도시된 실시형태처럼,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에 구비되는 충전 단자부(500)에 태양전지 패널(들)로부터 생산된 전류의 전압을 포함하는 각종 충전 정보를 제공하는 충전상태 표시부(510)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현재 연결된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의 조합에 따른 전압 정보 등을 알려주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체결부(201)(=자성체)와 연결 단자부(203)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는 전술한 본 발명의 기술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한 체결부(201)와 연결 단자부(203)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고, 따라서 예시된 실시형태로 국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체결부(201) 및 자성체(202)의 여러 실시형태를 보여주는 것인데, 체결부(201)의 홈과 자성체(202)를 각각 원형(205a), 장홈(206a), "ㅗ"자형(207a)으로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체결부(201)의 형태는 자성체(202)가 분리방향(A)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이와 같이 자성체(202)의 이탈이 방지되는 형태는 연결 단자부(203)에 작용하는 자성체(202)의 인력을 기판과 분담함으로써 연결 단자부(203)가 보다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도록 도움을 준다.
그리고, 도 9a 내지 도 9c는 서로 연결되는 연결 단자부(203)의 접촉면(외면)의 형상을 다양하게 구성한 예를 보여준다. 즉, 기판의 대향하는 두 모서리에 각각 구비된 연결 단자부(203)의 외면의 형상이 서로 상보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한 것이다. 상보하는 형상으로서 요철 구조(208a), 대칭형태의 호 구조(208b), 사각 돌기와 홈부 구조(208c)를 예시하였는데, 이러한 형태로 연결 단자부(203)가 연결되면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의 상하방향 어긋남(화살표 B)이 방지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기판에 연결 단자부(203)를 고정하는 다양한 방식을 보여준다. 도 5를 통해 설명하였던 홈과 돌기 구조 말고도 도 10a에 도시하듯이 연결 단자부(203)가 기판에 억지끼움되는 구조(209a)는 물론, 도 10b와 도 10c에 각각 나타난 것처럼 태양전지 셀의 버스단자(101) 및 연결 단자부(203)의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홀을 형성하고 이 관통홀에 나사체결 구조(209b) 또는 스냅버튼에 의한 버튼체결 구조(209c)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1a 및 도 11b는 각각 연결 단자부(203)가 서로 경첩 구조(210a) 또는 링 구조(210b)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실시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경첩 구조(210a)와 링 구조(210b)의 연결 단자부(203)에 의하면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의 연결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이 꺾인 상태로 만들어 세울 수도 있게 된다.
한편, 도 14는 본 발명의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인데, 도시된 실시형태는 태양전지 셀의 버스단자(101)로부터 전기적으로 연장된 양극과 음극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한 쌍의 서비스 단자(8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의 저면에 추가적인 전원 단자를 마련한 것인데, 이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연결 단자부(203) 대신에 이 서비스 단자(800)를 이용하여 별도의 전원 라인을 손쉽게 구성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그리고, 도 15는 본 발명의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을 휴대하여 사용하기에 좀더 편리하도록 구성한 일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즉, 연결부(200)가 배치된 기판의 일 모서리 또는 양 모서리에 다이어리나 서류철 등에 구비되는 링 바인더, 또는 링 바인더와 유사한 고리나 걸쇠와 같은 바인딩 수단에 끼워질 수 있는 홀(600)을 형성하는 실시형태를 생각할 수 있다. 도시된 예와 같이 각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을 일반적인 다이어리의 사이즈 정도로 만들고, 그 일 모서리에 형성된 홀(600)에 링 바인더를 끼움으로써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을 다이어리 안에 넣어 보호하면서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다. 물론 펼쳐진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들은 연결부(200)에 의해 다이어리에 끼워져 펼쳐진 상태 그대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홀(600)이 형성되는 위치는 예시된 다이어리를 펼쳤을 때 태양전지 패널(100)의 상면(태양광 발전면)이 보이도록 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한 쌍의 태양전지 패널(100)에 각각 형성된 홀(600)의 위치가 서로 반대가 되도록 또는 기판의 양 모서리 모두에 홀(60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은 별도의 프레임 구조 없이 인쇄회로기판을 직접 연결하는 구조로 만들어짐으로써 생산 비용이 절감하는 것은 물론 태양전지 패널(100)을 더욱 소형화시켜 휴대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별도의 프레임 구조 없이 인쇄회로기판 그대로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을 만들게 되면 태양전지 셀이 탑재된 인쇄회로기판의 에지부가 그대로 노출되어 외관이 미려하지 않고 충격에도 약한 면이 있기 때문에 금속재나 합성수지재의 테두리로 에지부를 마감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에지부를 마감처리하는 과정에서 수작업을 배제할 수 있다면 생산 비용의 절감과 품질의 균일화에 매우 유리해진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을 이루는 기판의 에지부에 대한 금속 마감처리를 기판에 회로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동시에 처리함으로써 생산비용을 절감하고 견고하게 에지부를 마감처리할 수 있는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의 제조방법의 제1 실시형태를 일련의 공정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각 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을 만들기 위한 원판을 준비한다(SS 단계). 원판은 효율적인 대량생산을 위해 복수 개의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을 한 번에 제작할 수 있는 크기로 준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준비된 원판에 각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의 모서리를 이룰 외곽선의 바깥쪽을 따라 불연속적인 띠 형상의 절개선(C)을 형성한다(S1 단계). 즉, 절개선(C)은 만들고자 하는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의 외형을 따라 일정한 폭을 가진 띠 형상으로 만들어지며, 특히 절개선(C)을 불연속적으로 형성하여 원판의 일부분이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의 외곽 부분에 연결된 상태로 남아있도록 함으로써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으로 만들어질 부분이 원판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다음으로 원판 전체에 제1 도금층을 형성한다(S2 단계). 이에 따라 절개선(C)으로 갈라진 면을 포함하여 원판의 전면(全面)에 제1 도금층이 일정한 두께로 형성된다.
제1 도금층이 원판 전체에 형성되면, 이어서 외곽선의 안쪽, 즉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으로 만들어질 부분의 모서리를 따라 원판의 상하면 및 이에 연결된 측면에 형성되는 띠 형상의 외곽 라인부와, 외곽 라인부 안쪽으로 형성되는 회로 패턴부를 상기 제1 도금층 위에 마스킹한다(S3 단계). 외곽 라인부와 회로 패턴부는 뒤에 이어질 에칭 공정에서 제1 도금층이 제거되어서는 안 되는 부분을 남겨 놓기 위해 형성된다. 외곽 라인부는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의 외곽을 띠 형태로 보호하기 위한 제1 도금층을, 그리고 회로 패턴부는 태양전지 셀과 접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1 도금층의 회로패턴을 남기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원판 전체를 에칭하여 외곽 라인부 및 회로 패턴부에만 제1 도금층을 남겨놓으면(S4 단계), 마지막으로 외곽 라인부 및 회로 패턴부를 제거하여 상기 제1 도금층을 노출시키고, 또한 절개선(C)을 따라 원판을 잘라내어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을 원판으로부터 분리한다(SF 단계).
이러한 제1 실시형태에 의해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이 제조되면, 그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은 통상의 인쇄회로기판과 같이 내부에는 회로패턴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의 모서리 상하면 및 측면을 따라 제1 도금층의 띠가 형성되어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의 모서리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의 제조방법의 제2 실시형태를 일련의 공정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6의 제1 실시형태와 차이가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7의 제2 실시형태는 원판 전체를 에칭하여 외곽 라인부 및 회로 패턴부에만 제1 도금층을 남겨놓는 단계(S4 단계)까지는 동일하며, 이 에칭 공정 이후에 제1 도금층 위에 제2 도금층을 더 형성하기 위한 공정이 추가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에칭 공정 이후에 외곽 라인부 및 회로 패턴부는 제거하여 제1 도금층을 노출시키면서, 그 반대로 외곽 라인부 및 회로 패턴부를 제외한 나머지 원판 전체 영역에 다시 마스킹층을 형성한다(S5 단계). 이 마스킹층은 제1 도금층 위로만 제2 도금층이 형성되도록 원판의 다른 부분을 가리기 위한 것이다.
외곽 라인부 및 회로 패턴부를 제외한 나머지 원판 전체 영역에 마스킹층이 형성되면, 외곽 라인부 및 회로 패턴부의 형태로 노출된 제1 도금층 위에 제2 도금층을 형성한다(S6 단계).
그리고, 모든 도금 공정이 끝나면, 절개선(C)을 따라 원판을 잘라내어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을 원판으로부터 분리한다(SF 단계).
제2 실시형태가 제1 도금층 위에 제2 도금층을 다시 형성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 하나의 이유로는 제1 실시형태에서는 하나의 도금층이 형성되는데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의 모서리를 보호하기 위한 금속 띠가 장식의 기능(미감 향상)을 갖도록 하기 위해 금이나 은의 귀금속을 사용하여 제1 도금층을 형성하면 적정 두께를 얻기 위해 상당한 양의 귀금속이 필요하게 된다. 이는 제품 가격의 상승을 가져오므로, 제1 도금층을 값싼 동(구리)으로 만들면 귀금속인 제2 도금층의 두께를 얇게 하여 귀금속 사용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다른 이유로는 도금층의 표면이 금이나 은으로 만들어지면 일상 생활에서는 거의 부식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오랫동안 양호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위와 같은 제1, 제2 실시형태로 만들어지는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의 특징은, 첫째 절개선(C)의 형태로 인해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의 모서리를 보호하기 위한 금속 띠의 일부가 비어있다는 것이다. 즉,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의 모서리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특히 충격에 취약한 기판 측면에 반드시 도금층을 형성해야 하는데, 모서리의 측면에 도금층이 올라가기 위해서는 측면이 도금액에 노출되어 있어야만 한다. 만일 원판에서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을 그 모양 그대로 잘라내면 모든 모서리 측면이 노출되기 때문에 빈 곳이 없는 온전한 보호용 금속 띠로 도금할 수 있겠지만, 이렇게 생산하는 것은 하나씩 도금을 해야 하기 때문에 생산단가를 맞추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제2 실시형태는 대량생산에 적합하도록 하나의 원판에 다수의 불연속적인 절개선(C)을 형성하여 동시에 많은 수의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였고, 이로 인해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의 모서리를 보호하기 위한 금속 띠의 일부가 비어있게 된다.
물론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의 모서리 일부에 금속 띠가 없는 것은 기판의 보호에 불리하겠지만, 본 발명은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을 실제 제품으로 구현할 때 당연히 요구되는 전기단자나 연결구와 같은 각종 부속품이 금속 띠의 빈 곳에 위치하도록 절개선(C)을 설계함으로써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 있다.
또 하나의 특징은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금속 띠와 기판 내부에 형성되는 회로패턴이 동일한 두께와 재질의 도금층(들)으로 형성된다는 것이다. 이는 일련의 제조공정 한 번으로 금속 띠와 회로패턴이 동시에 만들어지기 때문에 나타나는 특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제2 실시형태는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의 모서리를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과 부품이 필요 없기 때문에 생산성이 매우 높아지며, 또한 단순히 표면에 드러날 도금층의 금속재질을 변경하는 것만으로도 다양한 디자인(색상, 광택 등)의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을 만들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진다.
한편, 도 18에 도시된 제3 실시형태는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금속 띠의 결합강도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실시형태인데, 제1 도금층을 형성하는 제1 실시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는 제3 실시형태가 제2 실시형태에 적용될 수 없기 때문은 전혀 아니며, 제2 실시형태가 제1 도금층 위에 제2 도금층을 추가하는 실시형태이기 때문에 제3 실시형태에서도 제2 도금층을 추가하는 공정을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방식으로 자명하게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앞선 설명과 마찬가지로, 도 18의 제3 실시형태를 제1 실시형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불연속적인 띠 형상의 절개선(C)을 형성하고, 이와 더불어 절개선(C)과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면서 각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의 외곽선 안쪽을 따르는 복수 개의 쓰루 홀(H)을 형성한다(S1-1 단계). 이와 같이 관통된 쓰루 홀(H)은 영점 몇 밀리미터에서 수 밀리미터 자릿수 정도의 작은 직경으로 관통 형성된다. 쓰루 홀(H)의 단면 형상은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일련의 쓰루 홀(H)을 봤을 때 점선, 파선, 일점쇄선, 이점쇄선 등의 선 형태가 나타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원판 전체에 제1 도금층을 형성하는데(S2 단계), 이에 따라 절개선(C)으로 갈라진 면을 포함하여 원판의 전면(全面), 그리고 쓰루 홀(H) 내부까지 제1 도금층이 일정한 두께로 형성된다. 여기서 쓰루 홀(H)의 직경은 제1 도금층으로 그 내부가 거의 다 채워질 수 있도록 결정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제1 도금층 위에 외곽 라인부와 회로 패턴부를 마스킹하는데(S3 단계), 특히 외곽 라인부는 외곽선의 안쪽을 따라 쓰루 홀(H)을 포함하도록 마스킹됨으로써 이어지는 에칭 공정으로부터 쓰루 홀(H)에 형성된 제1 도금층을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
이후의 공정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원판 전체를 에칭하여 외곽 라인부 및 회로 패턴부에만 제1 도금층을 남겨놓고(S4 단계), 외곽 라인부 및 회로 패턴부를 제거하여 제1 도금층을 노출시키면서 절개선(C)을 따라 원판을 잘라내어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을 원판으로부터 분리한다(SF 단계).
이와 같은 제3 실시형태는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의 모서리 상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도금층 사이를 쓰루 홀(H) 안에 채워진 제1 도금층 기둥이 연결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모서리 보호용 금속 띠의 결합강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도 20 참조).
그리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지만, 쓰루 홀(H)을 포함하는 제1 도금층 위로는 제2 실시형태의 나머지 공정을 그대로 적용함으로써 제2 도금층을 추가로 만들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위와 같은 제조방법에 따라 만들어지는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1)이 도 19에 도시되어 있으며, 특히 쓰루 홀(H)을 포함하는 제1 도금층(4) 및 제2 도금층(5)이 추가로 형성된 단면 구조가 도 20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1)은, 회로패턴(2)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 및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 상면, 하면 및 측면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모서리 보호용 금속 띠(3)를 포함한다. 여기서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에 불연속적인 금속 띠(3)가 형성되는 것은 대량생산을 위해 원판에 절개선(C)을 불연속적으로 만들었기 때문임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리고, 금속 띠(3)는 제1 도금층(4) 하나로, 또는 제1 도금층(4) 위로 제2 도금층(5)이 더 형성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실시형태에 따라서 제1 도금층(4) 하나만 형성될 때에 이 도금층은 동 도금층, 금 도금층 또는 은 도금층일 수 있으며, 제1/제2 도금층(4,5)이 모두 형성될 때에는 제1 도금층(4)은 동 도금층이면서 제2 도금층(5)은 금 도금층 또는 은 도금층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1)은 회로패턴(2)이 제1 도금층(4) 또는 제1/제2 도금층(4,5)과 동일한 두께 및 재질의 도금층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한 번 또는 두 번의 도금으로 회로패턴(2)과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 보호를 위한 불연속적인 금속 띠(3)가 동시에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제1 도금층(4)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쓰루 홀(H) 내부가 제1 도금층(4)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 또는 제1/제2 도금층(4,5)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들이 채워진다. 여기서 쓰루 홀(H) 내부가 제1/제2 도금층(4,5)을 이루는 두 종류의 금속 재질로 채워지는 것은 첫 번째 도금 과정에서 제1 도금층(4)이 충분히 쓰루 홀(H) 내부를 채우지 못한 경우에는 두 번째 도금 과정 중에 제2 도금층(5)이 남은 공간을 채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모서리 보호용 금속 띠(3)가 불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이 노출된 모서리 영역에는 실제 태양광 발전 장치로 기능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전기단자나 연결구 등의 각종 부속품이 설치될 수 있다. 도 19는 이 빈 모서리 영역에 자성체인 연결구(200)가 설치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태양전지 패널을 이용한 휴대형 충전장치를 제조하는데 유용하다.

Claims (28)

  1. 기판 및 상기 기판에 형성된 회로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합된 태양전지 셀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의 대향하는 두 모서리의 일부가 절개된 홈 형태의 체결부가 한 모서리당 각각 두 개씩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태양전지 패널; 및
    상기 체결부에 삽입되는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를 감싸도록 상기 기판의 체결부에 결합되고 상기 태양전지 셀의 버스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한 모서리에서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면서 대향하는 다른 모서리에서는 상기 한 모서리의 대향하는 위치의 극성에 대해 각각 동일한 극성을 갖는 연결 단자부를 포함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
  2. 기판 및 상기 기판에 형성된 회로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합된 태양전지 셀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의 대향하는 두 모서리의 일부가 절개된 홈 형태의 체결부가 한 모서리당 각각 두 개씩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태양전지 패널; 및
    상기 체결부에 삽입되는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를 감싸도록 상기 기판의 체결부에 결합되고 상기 태양전지 셀의 버스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대향하는 양 모서리의 어느 일측으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배치되면서 다른 일측으로는 직렬연결을 완성하는 버스라인이 형성된 연결 단자부를 포함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의 극성은 상기 양 모서리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단자부는 상기 자성체가 노출되지 않도록 완전히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기판의 모서리보다 튀어나오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셀의 버스단자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상기 연결 단자부의 삽입돌기가 끼워진 상태로 상기 연결 단자부가 상기 기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셀의 버스단자 및 상기 연결 단자부의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나사체결 구조 또는 버튼체결 구조가 적용되어 상기 연결 단자부가 상기 기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셀로부터 생산된 전류를 모아 외부기기로 전달하는 충전 단자부가 상기 기판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단자부가 구비된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에 대해 상기 충전 단자부가 없는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이 상기 자성체 및 연결 단자부를 통해 기계적,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상기 연결된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의 태양전지 셀로부터 생산된 전류가 상기 충전 단자부로 모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에 탈착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의 양단이 서로 인접한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의 삽입공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대향하는 두 모서리에 각각 구비된 연결 단자부의 외면의 형상이 서로 상보하는 형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단자부에는 상기 태양전지 패널(들)로부터 생산된 전류의 전압을 포함하는 충전 정보를 표시하는 충전상태 표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패널의 저면에는 상기 태양전지 셀의 버스단자로부터 전기적으로 연장된 양극과 음극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한 쌍의 서비스 단자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배치된 기판의 일 모서리 또는 양 모서리에 바인딩 수단에 끼워지는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
  16. 회로패턴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 상면, 하면 및 측면을 따라 불연속적인 띠 형상으로 형성된 제1 도금층;
    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금층 위로 형성된 제2 도금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금층은 동 도금층, 금 도금층 또는 은 도금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금층은 동 도금층이고, 상기 제2 도금층은 금 도금층 또는 은 도금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
  20.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패턴은 상기 제1 도금층 또는 제1/제2 도금층과 동일한 두께 및 재질의 도금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
  21.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금층이 형성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를 따라 복수 개의 쓰루 홀이 형성되고, 상기 쓰루 홀 내부가 상기 제1 도금층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 또는 제1/제2 도금층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들이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금층이 불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이 노출된 영역에 전기단자나 연결구를 포함하는 부속품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
  23.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을 만들기 위한 원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의 모서리를 이룰 외곽선의 바깥쪽을 따라 불연속적인 띠 형상의 절개선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원판 전체에 제1 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외곽선의 안쪽을 따라 상기 원판의 상하면 및 이에 연결된 측면에 형성되는 띠 형상의 외곽 라인부와, 상기 외곽 라인부 안쪽으로 형성되는 회로 패턴부를 상기 제1 도금층 위에 마스킹하는 단계;
    상기 원판 전체를 에칭하여 상기 외곽 라인부 및 회로 패턴부에만 상기 제1 도금층을 남겨놓는 단계; 및
    상기 외곽 라인부 및 회로 패턴부를 제거하여 상기 제1 도금층을 노출시키고, 상기 절개선을 따라 상기 원판을 잘라내어 상기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을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의 제조방법.
  24.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을 만들기 위한 원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의 모서리를 이룰 외곽선의 바깥쪽을 따라 불연속적인 띠 형상의 절개선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원판 전체에 제1 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외곽선의 안쪽을 따라 상기 원판의 상하면 및 이에 연결된 측면에 형성되는 띠 형상의 외곽 라인부와, 상기 외곽 라인부 안쪽으로 형성되는 회로 패턴부를 상기 제1 도금층 위에 마스킹하는 단계;
    상기 원판 전체를 에칭하여 상기 외곽 라인부 및 회로 패턴부에만 상기 제1 도금층을 남겨놓는 단계;
    상기 외곽 라인부 및 회로 패턴부는 제거하여 상기 제1 도금층을 노출시키고, 상기 외곽 라인부 및 회로 패턴부를 제외한 나머지 원판 전체 영역에 마스킹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외곽 라인부 및 회로 패턴부의 형태로 노출된 상기 제1 도금층 위에 제2 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절개선을 따라 상기 원판을 잘라내어 상기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을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의 제조방법.
  25.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을 만들기 위한 원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의 모서리를 이룰 외곽선의 바깥쪽을 따르는 불연속적인 띠 형상의 절개선과, 상기 절개선과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면서 상기 외곽선의 안쪽을 따르는 복수 개의 쓰루 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원판 전체에 제1 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외곽선의 안쪽을 따라 상기 쓰루 홀을 포함하도록 상기 원판의 상하면 및 이에 연결된 측면에 형성되는 띠 형상의 외곽 라인부와, 상기 외곽 라인부 안쪽으로 형성되는 회로 패턴부를 상기 제1 도금층 위에 마스킹하는 단계;
    상기 원판 전체를 에칭하여 상기 외곽 라인부 및 회로 패턴부에만 상기 제1 도금층을 남겨놓는 단계; 및
    상기 외곽 라인부 및 회로 패턴부를 제거하여 상기 제1 도금층을 노출시키고, 상기 절개선을 따라 상기 원판을 잘라내어 상기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을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의 제조방법.
  26. 제23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금층은 동 도금층, 금 도금층 또는 은 도금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의 제조방법.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금층은 동 도금층이고, 상기 제2 도금층은 금 도금층 또는 은 도금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의 제조방법.
  28.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이 불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끊어진 영역에 전기단자나 연결구를 포함하는 부속품이 설치되도록 상기 절개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의 제조방법.
PCT/KR2015/012633 2015-05-18 2015-11-24 연속 확장이 용이한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 그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 및 제조방법 WO201618627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68992 2015-05-18
KR10-2015-0068992 2015-05-18
KR20150070792 2015-05-21
KR10-2015-0070792 2015-05-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86277A1 true WO2016186277A1 (ko) 2016-11-24

Family

ID=57320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12633 WO2016186277A1 (ko) 2015-05-18 2015-11-24 연속 확장이 용이한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 그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618627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907Y1 (ko) * 2000-02-03 2000-08-16 송백현 절첩식 태양전지판
JP2011258187A (ja) * 2010-05-14 2011-12-22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電子機器、及び電子装置の接続方法
US20120090659A1 (en) * 2010-10-19 2012-04-19 SkyBuilt Power, Inc. Portable solar panel array
US20130284243A1 (en) * 2010-12-20 2013-10-31 Yeong Sik Jeong Educational solar cell module
KR20140010888A (ko) * 2012-07-12 2014-01-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태양전지 모듈간 결합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907Y1 (ko) * 2000-02-03 2000-08-16 송백현 절첩식 태양전지판
JP2011258187A (ja) * 2010-05-14 2011-12-22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電子機器、及び電子装置の接続方法
US20120090659A1 (en) * 2010-10-19 2012-04-19 SkyBuilt Power, Inc. Portable solar panel array
US20130284243A1 (en) * 2010-12-20 2013-10-31 Yeong Sik Jeong Educational solar cell module
KR20140010888A (ko) * 2012-07-12 2014-01-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태양전지 모듈간 결합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10933A1 (ko)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무선 헤드폰
WO2019117514A1 (ko) 버스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CN101321195B (zh) 便携式电子装置
WO2010041843A2 (ko) 전지셀 어셈블리 및 전지셀 어셈블리의 조립 방법
WO2012086922A1 (ko) 학습교구용 태양전지 모듈
WO2014189299A1 (ko) 비돌출 구조의 커넥터를 포함하고 있는 이차전지 팩
WO2013022210A2 (ko) 이차전지 팩
WO2013129816A1 (ko) 휴대단말용 케이스
WO2019078553A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204652475U (zh) 一种具有多个功能模块的分体式智能手表
WO2019045368A1 (ko) 배터리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WO2018143556A1 (ko) 배터리 모듈
WO2020145737A1 (ko)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WO2011078447A1 (ko) 배터리 보호회로의 통합칩 배치구조
WO2020130483A1 (ko) 접힘 가능한 배터리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7126921A1 (ko) 박막형 전지
WO2017179865A1 (ko) 전지 팩
EP3087679A1 (en) Protective cove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it
WO2016186277A1 (ko) 연속 확장이 용이한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 그 휴대형 태양전지 패널용 기판 및 제조방법
WO2022231290A1 (ko) 지그재그 배치되는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WO2019009637A1 (ko) 휴대용 충전기
CN211406072U (zh) 一种具有蓄电池的显示手机壳
CN211406073U (zh) 一种具有充电装置的显示手机壳
JP2005222995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WO2019174012A1 (zh) 一种电池、电池组及电动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9268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19.03.2018)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9268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