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231290A1 - 지그재그 배치되는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 Google Patents

지그재그 배치되는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231290A1
WO2022231290A1 PCT/KR2022/005993 KR2022005993W WO2022231290A1 WO 2022231290 A1 WO2022231290 A1 WO 2022231290A1 KR 2022005993 W KR2022005993 W KR 2022005993W WO 2022231290 A1 WO2022231290 A1 WO 202223129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ttery module
electrode
batter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599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태근
임상욱
안혁
최종화
이형석
윤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CN202280005348.2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5803961A/zh
Priority to EP22796123.2A priority patent/EP4167372A1/en
Priority to US17/928,884 priority patent/US20230246311A1/en
Priority to JP2022580996A priority patent/JP2023532096A/ja
Publication of WO202223129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23129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48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opposite sides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9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arrangement of batteries or cells for different uses, e.g. for changing the number of batteries or for switching between series and parallel wi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7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n arrangement of two or more busbars within a container structure, e.g. busbar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module including connection terminals arranged in a zigzag man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module in which connection terminals arranged in a zigzag manner ar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battery module.
  • the connection terminals arranged in a zigzag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concave-convex shape and electrically connected using an inter-bus bar to configure a battery pack.
  • a battery applied to an electric vehicle is typically us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aggregated. It is used in the form of a battery module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connected in series/parallel, etc. and a battery pack combining a plurality of them.
  •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gathered to constitute a battery module, and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are gathered to constitute a battery pack.
  • the electrode lead or tab provided in the battery cel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lead or tab provided in the other battery cell, and the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in the battery modul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in the other battery module.
  •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battery pack that occupies a volume smaller than the sum of the outermost reference volumes of each of the module cases,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battery module cases are coupled to each other.
  • Patent Document 1 when connecting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it was attempted to efficiently utilize space by adding a concave-convex portion that engages adjacent cases. In Patent Document 1, since the module case has directionality, directionality must be considered during assembly. In addition, only physical coupling is considered, and electrical coupling, which is a basic function of an actual battery module, is not considered. Patent Document 1 ultimately requires a separate space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battery modules, and thus an important configuration for effectively using space is omitted.
  •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battery module that allows an operator who manufactures a battery pack to easily electrically connect a battery module and a battery module while maintaining space efficiency.
  • Patent Document 2 relates to a battery module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mounted, and basically includes a battery module, a first connection board assembly, and a second connection board assembly, and a second positive electrode bus bar of the second connection board assembly;
  • the second cathode bus bar has a structure that protrud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otrusion direction of the first anode terminal and the first cathode terminal of the first connection substrate assembly.
  • Patent Document 2 adds a separate connection board so that each battery module can be easily connected to a connection terminal such as a bus bar that is already provided when arranging the battery module inside the case of the overall battery pack.
  • Patent Documents 1 and 2 both try to use space efficiently, but have disadvantages that the battery module can be assembled only in a certain direction, and a separately arranged bus bar is required for electrical connection.
  • 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21-0013861
  • Patent Document 2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943493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when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are combined, they can be assembled regardless of the direction of the battery modules, so that the work efficiency is high, and the space-efficient battery module without a separate bus bar and thes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pack coupled by
  •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includes one or more battery cells inside a case, and a connection terminal including at least one pair of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both sides of the case, respectively.
  • the positive terminal and the negative terminal are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s inside the case, the positive terminal and the negative terminal both protrude to the outside, the positive terminal, the gap between the positive terminal and the negative terminal, the negative electrode All the terminals may be arranged at the same interv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ase.
  • the positive terminal, the interval between the positive terminal and the negative terminal, and the negative terminal are all arranged at the same distance based on the center of the case, but the width of the actually protruding portions of the positive terminal and the negative terminal is determined by the positive terminal and the negative terminal may be smaller than the interval of
  • the positive terminal and the negative terminal may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ase.
  • the height at which the positive terminal and the negative terminal protrude to the outside may be the same.
  • Concave-convex portions in the form of concavities and convexities may be add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case.
  • An insulator may be disposed outside the positive terminal and the negative terminal.
  • the protruding shape of the positive terminal and the negative terminal and the outer shape of the case between the positive terminal and the negative terminal may be configured to engage with each other.
  • Only a pair of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ase, respectively.
  •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provide a battery pack in which the battery module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 the battery modules adjacent to each other may form a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connection terminals are coupled.
  • the battery modules adjacent to each other may electrically connect one positive terminal and the closest negative terminal to the other by means of an inter-bus bar.
  • the battery modules adjacent to each other may form a battery pack by electrically connecting only one pair of positive terminals and the closest negative terminal of the other by means of an inter-bus bar.
  •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provided as a possible combination capable of combining the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physically connect the battery modules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 the battery modules, thereby reducing the bonding space where the battery modules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reby increasing the energy density per unit volume, and also making the battery module itself symmetrical. As it is in the shape of a human, it can be easily assembled regardless of the direction, so the work efficiency is high.
  • the battery module connection part is configured by protruding connection terminals, and the connection terminals of adjacent battery modules can easily perform an electrical connection operation using an inter-bus bar.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nection terminal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front view and an enlarged view of the coupling part showing the coupling shape of two adjacent battery modul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showing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coupl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terminal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connection terminals of two adjacent battery modules are coupled in a concave-convex shap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connection terminals of two adjacent battery modul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using an inter-bus bar after they are coupled in a concave-convex shap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electrically connecting connection terminals of two adjacent battery modules using an inter-bus ba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view showing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inter-bu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front view showing a coupling shape of two adjacent battery modules having an uneven por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nection terminal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two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ront view and an enlarged view of the coupling part showing the coupling shape of the adjacent battery module.
  • the battery module 100 includes one or more battery cells (not shown) inside the case, and at least on both sides of the case.
  • Connection terminals 200A and 200B each including one or more positive terminals and/or negative terminals may be positioned.
  • the battery cells may be stably disposed by a cartridge, a stacking frame, or the like.
  • the battery cell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a battery case, and an electrode lead and/or an electrode tab.
  • the electrolyte may be accommodated in the battery case of the battery cell.
  • the electrode lead may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lead and a negative electrode lead, the positive electrode lead may be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tab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negative electrode lead may be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tab of the electrode assembly.
  • the battery cell may be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 the battery case may be a pouch exterior material.
  • Such a pouch case may be configured in a form in which a metal foil such as aluminum is interposed between insulating layers. As such, when the battery cell is configured as a pouch-type battery, a connection configuration of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may be easier.
  • two electrode leads or tabs that is, a positive electrode lead or positive electrode tab and a negative electrode lead or negative electrode tab, may be provided to protrude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nd may protrude in the same direction.
  • connection board assembly may be separately located inside the module case, and may be one side of the module case. In detail,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nection board assembly is separately located inside the module case, it can be located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module cas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ternal electrode terminal located in the connection board assembly through a bus bar.
  • An electrode terminal ( 2100 of FIG. 5 )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included.
  • the internal electrode terminal and the electrode terminal ( 2100 in FIG. 5 ) may be formed in corresponding positions or may be formed in different positions, and the electrode terminal ( 2100 in FIG.
  • the electrode terminal ( 2100 of FIG. 5 ) performs a function of changing the position and/or direction of the electrode of the battery module, and provides an electrode for connecting the battery module 100 to the outside.
  • connection terminals ( 200 in FIG. 5 ) are provided at central positions on both sides of the module case of the battery module 100 .
  • the connection terminal is shown as a connection terminal 200A located on the left side and a connection terminal 200B located on the right side, but these are labeled separat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ra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 connection terminals 200A and 200B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with reference to FIG. 2 and FIG. 3 .
  •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connection terminals among two battery modules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3 .
  • connection terminals 200A and 200B may include electrode terminals protruding in an outer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one side of the battery modules.
  • the electrode terminal includes a first electrode terminal 2110 and a second electrode terminal 2120,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may be an anode or a cathode, and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may be a cathode or anode, and the first The electrode terminal and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are electrode terminals having opposite electrical properties.
  • connection terminals 200A and 200B includes an electrode terminal 2100 including a first electrode terminal 2110 and a second electrode terminal 2120 , a first seating part 2210 , and a second seating part 2220 . It includes a seating portion 2200 that includes.
  • the electrode terminal 2100 includes a first electrode terminal 2110 and a second electrode terminal 2120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seating part 2200 includes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110 and A first seating part 2210 formed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s 2120 and a second seating part 2220 positioned adjacent to one electrode terminal among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110 and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2120 .
  •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110 / the first seating portion 2210 /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2120 / the second seating portion 2220 constitute one connection terminal 200 .
  •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110A,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2120A, the first seating part 2210A, and the second seating part 2220A constituting the connection terminal 200A in FIG. 2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200B.
  •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110B,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2120B, the first seating part 2210B, and the second seating part 2220B constituting the Descriptions of can be commonly applied.
  •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battery module 100A are positioned at and coupled to the seating portions of the battery module 100B, and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battery module 100B are positioned and coupled to the seating portions of the battery module 100A.
  • FIG. 2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illustrated that there is a spaced gap between the outermost end surface of the electrode terminal and the innermost surface of the seating part, but in reality, they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 the widths d9 of the first electrode terminals 2110A and 2110B and the widths of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s 2120A and 2120B are all the same, and the widths of the first seating portions 2210A and 2210B ( d10)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s 2220A and 2220B have the same width.
  • the connection terminals 200A and 200B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battery module 100A and the battery module 100B are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110/the first seating part 2210/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2120/second
  • the seating portion 2220 or the second seating portion 2220 /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2120 / the first seating portion 2210 /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110 form a symmetrical structure.
  • a predetermined spacing is formed between the electrode terminals coupled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2120B of the connection terminal 200B of the battery module 100B is located in the first seating portion 2210A of the connection terminal 200A of the battery module 100A shown in FIG. 2 ,
  • a predetermined distance d12 is formed between the opposite surfaces of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2120B and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110A, and the opposite surfaces of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2120B and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2120A.
  • a predetermined interval d23 is formed therebetween.
  • d2 and d6 correspond to the length from the center of the predetermined interval d12 to the center of the predetermined interval d23, and d1 to d8 are values designed to have the same value.
  • center line between d2 and d3 and the center line between d6 and d7 are positioned to pass through the y-direction center of the electrode terminal 2100 .
  • the protrusion heights (x-axis direction) of the electrode terminals 2100 protruding to the outside from the battery module case are the same. This is advantageous in that the connection terminals 200 are stably coupled and the space efficiency of the coupling part can be improved, and the inter-bus bar 3000 for electrical connec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mounted without external stress due to distortion or deformation. .
  • FIG. 4 is a view showing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coupling part 4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upling part in which the protruding shape of the electrode terminals 2100 constituting the connection terminal 200 and/or the concave shape of the seating part 2200 is coupled is a triangular shape coupling part 400A, a trapezoid shape coupling part 400B) Alternatively, it may be configured as a waveform coupling unit 400C or the like.
  • the shape of the portion from which the electrode terminal is actually protruded is a triangle or a wave
  • the width of the portion from which the electrode terminal is actually protruded may be the sam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 terminals.
  • the width of the portion where the electrode terminals actually protrude may not be uniform.
  • the width of the outermost part is the largest and the width is reduced as it approaches the module case of the battery module, or, on the contrary, the width of the outermost part is the smallest and the width increases as it approaches the module case.
  • the bonding force becomes stronger after the battery module is combined with the adjacent battery module, which is advantageous in improving the stability of the connected battery modules.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terminal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connection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in the order of the first electrode terminal/first seating part/second electrode terminal/second seating part, but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The first seating part/the first electrode terminal/the second seating part may be arranged in the order.
  • connection terminal 200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center of both sides of the battery module. At the same time, it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thickness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battery module. In addition, even if the battery module 100 is rotated 180 degrees in the vertical direction (y-axis direction) or turned over in the front-back direction (based on the paper side), which is a form rotated by 180 degrees based on the x-axis, the battery from the front (xy-plane) basis The positions of the connection terminals 200 on both sides of the module case do not change. This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side of the battery module case in which the connection terminal 200 is located can be adjacently coupled without consideri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battery module when combining the adjacent battery modules.
  •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110 includes a first electrode bus bar 2111 , a first electrode bus bar through hole 2112 , and a first electrode cover 2113
  •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2120 is a second electrode It includes a bus bar 2121 , a second electrode through hole 2122 , and a second electrode cover 2123 .
  • the first electrode through-hole 2112 and the second electrode through-hole 2122 fix the first electrode bus bar 2111 and the second electrode bus bar 2121 by a separate fixing means, respectively, or the inter-bus bar It is used as a fixed part.
  • a first electrode cover 2113 for protecting the first electrode bus bar 2111 and the first electrode through hole 2112 is included, and the second electrode bus bar 2121 and the second electrode through hole 2122 are formed.
  • the first electrode cover 2113 and the second electrode cover 2123 are positioned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xz plane) of the electrode terminal and the side surface (yz plane) of the electrode terminal positioned opposite to the battery module and ar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When battery modules are additionally stacked, the xy plane may also be covered.
  • the electrode terminal 2100 and the protruding shape and the outer shape of the electrode cover between the electrode terminals 2100 may be configured to engage with each other.
  • a protrusion (not shown)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x-axis direction) and protruding may be formed on a surface of the second seating portion 2220 opposite to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2120 .
  •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by extending a part of the module case of the battery module. The protrusion is advantageous for stably disposing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battery modules adjacent to the second seating part 2220 .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part in which connection terminals of two adjacent battery modules are coupled in an uneven shap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connection of two adjacent battery modul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top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using an inter-bus bar after they are combined in a concave-convex shape
  • FIG. 8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s of two adjacent battery modul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n inter-bus bar.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 connection terminals of two adjacent battery modules are coupled in a concave-convex shape.
  • the connection terminals 200A and 200B of two adjacent battery modules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concave-convex shape to form a coupling portion 400 . That is,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110A and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2120A of the connection terminal 200A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econd seating part 2220 and the first seating part 2210 of the connection terminal 200B of the adjacent battery module. positioned and joined.
  • the electrode terminals 2100 positioned in the coupling part 4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using the inter-bus bar 3000 .
  • the connection terminal 200A of the battery module at the lower end of the continuous dashed line and the connecting terminal 200B of the battery module adjacent to the upper end of the continuous solid line are connected in the form of concavo-convex electrode terminals, and then the connecting terminal 200A
  • the first electrode bus bar 2111A and the second electrode bus bar 2121A of ) is electrically connected by
  • two inter-bus bars 3000 may be mounted, and only one may be mounted.
  • inter-bus bar 3000 connects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in FIG. 7
  • a parallel connection connecting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is also possible if necessary.
  • the inter bus bar 3000A is formed in a 'C' shape, and the inter bus bar vertical part 3200A is bent at both sides of the inter bus bar horizontal part 3100A and the inter bus bar horizontal part 3100A. It may be composed of Here, the two inter-bus bar vertical portions 3200A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first electrode bus bar through hole 2112B and the second electrode bus bar through hole 2122A to connect the connecting terminal 200A and the connecting terminal 200B. electrically connect.
  • FIG. 8 illustrates the integrated inter-bus bar 3000 having both ends bent, a horizontal portion of the inter-bus bar and a vertical portion of the inter-bus bar may be separated.
  • holes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inter-bus bar to be coupled to the vertical portion of the inter-bus bar and then coupled to the electrode terminal.
  • the inter-bus bar 3000 of the separated form as described above is advantageous in applying different specifications of the inter-bus bar horizontal portion and the inter-bus bar vertical portion to connection of battery modules of various standards.
  • the inter-bus bar vertical portion 3200A of the inter-bus bar 3000 is mounted inside the electrode bus bar through-hole, and additional fixing is performed to prevent the mounted inter-bus bar 3000 from being detached due to vibration or the like. member may be included.
  • the inter-bus bar 3000C may include an inter-bus bar horizontal portion 3100C and an inter-bus bar vertical portion 3200C bent on both sides of the inter-bus bar horizontal portion 3100C. have.
  • the inter-bus bar vertical portion 3200C may be formed by bending distal ends of two inter-bus bar vertical portions 3200C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The bent distal end portion is advantageous in preventing the inter-bus bar from being detached by increasing adhesion to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electrode bus bar through-hole.
  • the inter bus bar 3000D may include an inter bus bar horizontal portion 3100D and an inter bus bar vertical portion 3200D bent on both sides of the inter bus bar horizontal portion 3100D.
  • the inter-bus bar 3000D may include vertical inter-bus bar portions positioned downwardly in a trapezoid at both ends of the inter-bus bar horizontal portion 3100D.
  • the vertical inter-bus bar portion may be composed of a pair of inter-bus bar vertical portion plates 3210 and 3220 whose spacing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inter-bus bar horizontal portion 3100D increases.
  • a bent portion bent outwardly opposite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pair of inter-bus bar vertical portion plates may be positioned. Although the bent portion is illustrated as a gentle curved surface, it is apparent that the shape is not limited.
  • FIG. 10 is a front view showing a coupling shape of two adjacent battery modules having an uneven por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except that concave-convex portions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case of the battery module, the case side Only the concavo-convex portion of the formed concavo-convex shape will be described.
  •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oncave-convex portions 4000 on both sides of the case.
  • the concave-convex portion 4000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case except for the portion where the connection terminal 200 is located.
  • Concave and convex portions of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 4000 formed on one side of the battery module are formed alternately, and convex portions and concave portions are intersectedly disposed on the other side facing each other. ⁇ ) is arranged so as to be symmetrical to correspond to the part.
  • the concave-convex portion 4000 is advantageous in improving coupling stability between the battery modules, and is advantageous in preventing detachment or deformation of the coupling portion 400 .
  • the concavo-convex shape of the concavo-convex part 4000 may be a polygonal shape such as a triangle, a quadrangle, a pentagon, or the like, a waveform of a curve, or the like.
  • the concave-convex portion may be a dummy terminal having the same spacing and shape as the positive terminal and the negative terminal, but not actually connected to electricity.
  • the concave-convex part 400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ttery module case, and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case.
  • the concave-convex portion 4000 may be separately produced and formed by bonding or adhering to th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are separately produced, they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module case or an elastic material. In the case of an elastic material, it can also serve to protect the battery module by absorbing external shocks.
  • 3100A, 3100C, 3100D Inter-Busbar Horizontal
  • 3200A, 3200C Inter-Bus Bar Vertic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결합공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 개 이상의 배터리 셀들을 케이스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양측면 중앙부에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를 포함하는 접속 단자가 각각 배치되는 배터리 모듈에 있어서, 상기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는 케이스 내부의 배터리 셀들과 연결되며, 상기 양극 단자 및 상기 음극 단자는 모두 외부로 돌출된 형태이고, 상기 양극 단자, 상기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의 간격, 상기 음극 단자가 모두 케이스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대표도) 도 7

Description

지그재그 배치되는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본 출원은 2021년 4월 27일자 한국 특허 출원 제 2021-0054117 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본원발명은 지그재그 배치되는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배터리 모듈의 중앙 양측에 지그재그로 배치된 접속 단자가 위치하는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배터리 모듈을 복수 개 연결할 경우 상기 지그재그로 배치된 접속 단자가 서로 요철 형태로 결합하고 이를 인터 버스바를 사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한다.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모바일 기기들과는 달리 전기자동차와 같은 중대형 기기는 고출력, 대용량의 전지가 필요하다. 전기자동차에 적용되는 배터리는 통상적으로 배터리 셀(cell)이 복수 개 집합된 형태로 사용된다.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이 직렬/병렬 등으로 연결되는 배터리 모듈과 이들을 다수 결합한 배터리 팩의 형태로 사용된다. 다수의 배터리 셀이 모여서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고, 다수의 배터리 모듈이 모여서 배터리 팩을 구성한다. 배터리 셀에 구비된 전극 리드 또는 탭은 다른 배터리 셀에 구비된 전기 리드 또는 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배터리 모듈에 구비된 접속 단자는 다른 배터리 모듈에 구비된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종래의 배터리 모듈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배터리 팩을 이루는 케이스에 별도로 부가된 버스바를 사용하거나, 배터리 모듈의 접속 단자끼리 별도의 전선을 사용해서 연결하고 있다. 이 경우 배터리 모듈과 배터리 모듈 사이에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에너지 밀도가 낮아지고,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많은 과정 및 단계가 필요하다.
특허문헌 1은 다수개의 배터리 모듈 케이스는 서로 맞닿는 면이 적어도 일부가 결합되어, 모듈 케이스 각각의 최외곽 기준 부피의 합보다 작은 부피를 차지하는 배터리 팩을 개시한다.
특허문헌 1에서는 다수의 배터리 모듈을 연결할 때 인접한 케이스끼리 맞물리는 요철부를 부가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특허문헌 1은 모듈 케이스가 방향성이 있기 때문에, 조립 시 방향성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물리적인 결합만을 고려하고 있고, 실제 배터리 모듈의 기본 기능인 전기적 결합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특허문헌 1은 결국 배터리 모듈끼리 전기적 연결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한 바, 실질적으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중요 구성이 누락되어 있다.
특허문헌 2는 공간 효율성을 유지하면서도, 배터리 팩을 제조하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배터리 모듈과 배터리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 모듈을 개시한다. 특허문헌 2는 복수의 배터리 셀이 장착되는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배터리 모듈, 제1연결기판 어셈블리 및 제2연결기판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제2연결기판 어셈블리의 제2양극버스바 및 제2음극버스바는, 제1연결기판 어셈블리의 제1양극터미널 및 제1양극터미널의 돌출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특허문헌 2는 각각의 배터리 모듈을 전체적인 배터리 팩의 케이스 내부에 배치할 때 이미 마련된 버스바 등의 연결 단자와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별도의 연결 기판을 부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및 2는 모두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나, 배터리 모듈이 일정한 방향으로만 조립이 가능하고, 전기적 연결을 위해서는 별도로 배치된 버스바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21-0013861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943493호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을 결합 시, 배터리 모듈의 방향에 관계없이 조립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이 높고, 별도의 버스바가 없는 공간 효율이 높은 배터리 모듈 및 이들에 의해서 결합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한 개 이상의 배터리 셀들을 케이스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양측면 중앙부에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를 포함하는 접속 단자가 각각 배치되는 배터리 모듈에 있어서, 상기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는 케이스 내부의 배터리 셀들과 연결되며, 상기 양극 단자 및 상기 음극 단자는 모두 외부로 돌출된 형태이고, 상기 양극 단자, 상기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의 간격, 상기 음극 단자가 모두 케이스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양극 단자, 상기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의 간격, 상기 음극 단자가 모두 케이스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나, 상기 양극 단자 및 상기 음극 단자의 실제 돌출된 부분의 폭은 상기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의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는 상기 케이스 정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양극 단자 및 상기 음극 단자가 외부로 돌출된 높이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양측면에 요철 형태인 요철부가 부가될 수 있다.
상기 양극 단자 및 상기 음극 단자는 외부에 절연체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양극 단자 및 상기 음극 단자의 돌출된 형태와 상기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 사이의 케이스 외부 형태가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양측면에 각각 한 쌍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만 배치될 수 있다.
본원발명은 또한 상기 배터리 모듈을 서로 결합한 배터리 팩을 제공할 수 있다.
상호 인접한 상기 배터리 모듈은 상기 접속 단자가 결합한 결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호 인접한 배터리 모듈은 일방의 양극 단자와 가장 근접한 타방의 음극 단자를 인터 버스바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호 인접한 배터리 모듈은 일방의 양극 단자와 가장 근접한 타방의 음극 단자 한 쌍만을 인터 버스바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형성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또한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을 조합할 수 있는 가능한 조합으로도 제공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배터리 모듈을 물리적으로 연결할 뿐만 아니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어 배터리 모듈이 서로 결합되는 결합 공간을 줄여 단위 체적당 에너지 밀도가 높고, 또한 배터리 모듈 자체가 대칭인 모양으로서 방향에 상관없이 쉽게 조립이 가능하여 작업의 효율이 높다.
배터리 모듈 연결부는 돌출된 접속 단자들에 의해 구성되고, 인접한 배터리 모듈의 접속 단자는 인터 버스바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전기적 연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모듈을 결합할 시 양측의 접속 단자가 양극과 음극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바 인터 버스바의 형태만을 변경하여 직렬, 병렬을 쉽게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모식도이다.
도 2는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접속 단자 모식도이다.
도 3은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두개의 인접한 배터리 모듈의 결합 형상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결합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원발명에 제1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의 다양한 변형 예시이다.
도 5는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접속 단자 사시도이다.
도 6은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두개의 인접한 배터리 모듈의 접속 단자가 요철 형태로 결합된 결합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두개의 인접한 배터리 모듈의 접속 단자가 요철 형태로 결합한 후 인터 버스바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의 상면도이다.
도 8은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두개의 인접한 배터리 모듈의 접속 단자를 인터 버스바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원발명에 따른 인터 버스바의 다양한 변형 예시이다.
도 10은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요철부를 구비한 두개의 인접한 배터리 모듈의 결합형상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원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원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구성요소를 한정하거나 부가하여 구체화하는 설명은, 특별한 제한이 없는 한 모든 발명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정한 발명에 대한 설명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원의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서 단수로 표시된 것은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인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원의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서 "또는"은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한 "및"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A 또는 B를 포함하는"은 A를 포함하거나, B를 포함하거나, A 및 B를 포함하는 상기 3가지 경우를 모두 의미한다.
또한, 모든 수치 범위는 명확하게 제외한다는 기재가 없는 한, 양 끝의 값과 그 사이의 모든 중간 값을 포함한다.
본원발명을 도면에 따라 상세한 실시예와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모식도이고, 도 2는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접속 단자 모식도이며, 도 3은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두개의 인접한 배터리 모듈의 결합 형상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결합부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0)은 케이스 내부에 한 개 이상의 배터리 셀(도면 미도시)들을 내부에 포함시키고,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양극 단자 및/또는 음극 단자를 포함하는 접속 단자(200A, 200B)가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배터리 셀들은 카트리지, 적층용 프레임 등에 의해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셀은 전극 조립체, 전지 케이스 및 전극 리드 및/또는 전극 탭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셀의 상기 전지 케이스 내부에는 전해액이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극 리드는 양극 리드와 음극 리드를 포함할 수 있고, 양극 리드는 전극 조립체의 양극 탭에 연결되고, 음극 리드는 전극 조립체의 음극 탭에 연결될 수 있다.
본원발명에서 상기 배터리 셀은 파우치형 이차전지일 수 있다.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경우, 상기 전지 케이스는 파우치 외장재 일 수 있다. 이러한 파우치 외장재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 박이 절연층 사이에 개재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배터리 셀이 파우치형 배터리로 구성된 경우, 다수의 배터리 셀의 연결 구성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에 있어서, 2개의 전극 리드 또는 탭, 즉 양극 리드 또는 양극 탭과 음극 리드 또는 음극 탭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고, 동일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모듈 케이스 내에 적층된 상기 배터리 셀들의 전극 리드 또는 탭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버스바와 연결되는 내부 단자를 포함하는 연결기판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기판 어셈블리는 상기 모듈 케이스의 내부에 별도로 위치할 수 있고, 모듈 케이스의 일 측면이 될 수 있다. 상세하게, 본원발명에서 연결기판 어셈블리가 모듈 케이스의 내부에 별도로 위치할 경우 모듈 케이스의 일 측면에 밀착하여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연결기판 어셈블리에 위치하는 내부 전극 단자와 버스바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후술한 전극 단자(도 5의 2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전극 단자와 전극 단자(도 5의 2100)는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극 단자(도 5의 2100)는 배터리 모듈(100)의 전극의 위치를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전극 단자(도 5의 2100)는 배터리 모듈의 전극의 위치 및/또는 방향을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배터리 모듈(100)을 외부로 연결하는 전극을 제공한다.
접속 단자(도 5의 200)는 배터리 모듈(100)의 모듈 케이스의 양 측면의 중앙 위치에 구비된다. 도 1에서 접속 단자는 좌측면에 위치하는 접속 단자(200A)와 우측면에 위치하는 접속 단자(200B)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본원발명의 설명과 도면 작성의 편의상 구분하여 표기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의 설명을 도 5를 참조하면서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들(200A, 200B)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3과 같이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2개의 배터리 모듈들 중 접속 단자들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단자들(200A, 200B)은 배터리 모듈들의 일 측면 외부 방향(x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전극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극 단자는 제1전극 단자(2110) 및 제2전극 단자(2120)를 포함하고, 본원발명에서 제1전극 단자는 양극 또는 음극일 수 있고, 제2전극 단자 음극 또는 양극일 수 있으며, 제1전극 단자와 제2전극 단자는 서로 반대의 전기적 성질을 가지는 전극 단자이다.
접속 단자들(200A, 200B) 각각은 제1전극 단자(2110) 및 제2전극 단자(2120)를 포함하는 전극 단자(2100)와 제1안착부(2210)와 제2안착부(2220)를 포함하는 안착부(2200)를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전극 단자(2100)는 소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전극 단자(2110)와 제2전극 단자(2120)를 포함하고, 안착부(2200)는 제1전극 단자(2110)와 제2전극 단자(2120) 사이에 형성되는 제1안착부(2210)와 제1전극 단자(2110) 및 제2 전극 단자(2120) 중 하나의 전극 단자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안착부(2220)를 포함한다. 즉 제1전극 단자(2110)/제1안착부(2210)/제2전극 단자(2120)/제2안착부(2220)가 하나의 접속 단자(200)를 구성한다.
도 2에서 접속 단자(200A)를 구성하는 제1전극 단자(2110A), 제2전극 단자(2120A), 제1안착부(2210A), 및 제2안착부(2220A)를, 접속 단자(200B)를 구성하는 제1전극 단자(2110B), 제2전극 단자(2120B), 제1안착부(2210B), 및 제2안착부(2220B)와 구별하여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으나, 서로 동일한 명칭을 갖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2에서 배터리 모듈(100A)의 전극 단자들은 배터리 모듈(100B)의 안착부들에 위치하여 결합하고, 배터리 모듈(100B)의 전극 단자들은 배터리 모듈(100A)의 안착부들에 위치하여 결합된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극 단자 최외측 끝단면과 안착부 최내측면 사이에 이격 간격이 있도록 도시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서로 밀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1전극 단자(2110A, 2110B)의 폭(d9)과 제2전극 단자(2120A, 2120B)의 폭은 모두 동일하고 제1안착부(2210A, 2210B)의 폭(d10)과 제2안착부(2220A, 2220B)의 폭은 모두 동일하다. 배터리 모듈(100A)과 배터리 모듈(100B)에서 서로 결합되는 접속 단자들(200A, 200B)은 제1전극 단자(2110)/제1안착부(2210)/제2전극 단자(2120)/제2안착부(2220) 또는 제2안착부(2220)/제2전극 단자(2120)/제1안착부(2210)/제1전극 단자(2110)로 대칭 구조를 이루고 있다.
배터리 모듈(100A)의 전극 단자가 배터리 모듈(100B)의 전극 단자와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된 전극 단자들 사이에 소정의 이격 간격이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배터리 모듈(100A)의 접속 단자(200A)의 제1안착부(2210A)에는 배터리 모듈(100B)의 접속 단자(200B)의 제2전극 단자(2120B)가 위치하고, 제2전극 단자(2120B)와 제1전극 단자(2110A)의 대향면들 사이에 소정의 간격(d12)이 형성되고, 제2전극 단자(2120B)와 제2전극 단자(2120A)의 대향면들 사이에 소정의 간격(d23)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은 결합부에서 인접하는 전극 단자들이 소정의 간격(d12, d23)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배터리 모듈들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에서 d2와 d6은 소정의 간격(d12) 중심에서 소정의 간격(d23) 중심까지의 길이에 해당되며, d1 내지 d8은 모두 동일한 값이 되도록 설계된 값이다.
한편, d2와 d3사이의 중심선 및 d6와 d7 사이의 중심선은 전극 단자(2100)의 y방향 중심을 지나도록 위치한다.
배터리 모듈 케이스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전극 단자(2100)들의 돌출 높이(x축 방향)는 모두 동일하다. 이는 접속 단자(200)들이 안정적으로 결합하고, 결합부 공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전기적 연결을 위한 인터 버스바(3000)가 뒤틀림이나 변형에 따른 외부 응력이 없이 장착되는데 유리하다.
도 4는 본원발명에 제1실시예에 따른 결합부(400)의 다양한 변형 예시이다.
본원발명에서 접속 단자(200)를 구성하는 전극 단자(2100)들의 돌출 형태 및/또는 안착부(2200)의 오목 형태가 결합되는 결합부는 삼각형 형상 결합부(400A), 사다리꼴 형상 결합부(400B) 또는 파형 결합부(400C)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 단자가 실제로 돌출된 부분의 형태가 삼각형 또는 파형일 경우에는 상기 전극 단자가 실제로 돌출된 부분의 폭은 상기 전극 단자들의 간격과 동일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비제한적인 다른 예로서 상기 전극 단자들이 실제로 돌출된 부분의 폭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가장 외측부의 폭이 가장 크고 상기 배터리 모듈의 모듈 케이스에 가까워질수록 폭이 줄어드는 형태이거나, 오히려 반대로 가장 외측부의 폭이 가장 작고 상기 모듈 케이스에 가까워질수록 폭이 커지는 형태일 수 있다. 가장 외측부의 폭이 가장 크고 상기 모듈 케이스에 가까워질수록 폭이 줄어드는 형태일 경우 배터리 모듈이 인접한 배터리 모듈과 결합한 후에 결합력이 더 강하게 되어 연결된 배터리 모듈들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도 5는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접속 단자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200)는 제1전극 단자/제1안착부/제2전극 단자/제2안착부의 순서로 도시되었지만, 제2전극 단자/제1안착부/제1전극 단자/제2안착부의 순서로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200)는 배터리 모듈의 양측면 중심에 대응하여 위치한다. 또한 동시에 배터리 모듈의 두께방향(z축 방향)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모듈(100)을 수직방향(y축 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키거나, x축 기준으로 180도 회전한 형태인 앞뒤 방향(종이면 기준)으로 뒤집어도 정면(xy 면)기준에서 배터리 모듈 케이스의 양 측면에서 접속 단자(200)의 위치는 변화가 없다. 이는 인접하는 배터리 모듈을 결합시킬 때 배터리 모듈의 배치 방향을 고려하지 않고 접속 단자(200)가 위치하는 배터리 모듈 케이스의 측면을 인접시켜 결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1전극 단자(2110)는 제1전극 버스바(2111), 제1전극 버스바 관통홀(2112) 및 제1전극 커버(2113)를 포함하고, 제2전극 단자(2120)는 제2전극 버스바(2121), 제2전극 관통홀(2122) 및 제2전극 커버(21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전극 관통홀(2112) 및 제2전극 관통홀(2122)은 각각 제1전극 버스바(2111) 및 제2전극 버스바(2121)를 별도의 고정 수단에 의해서 고정시키거나 인터 버스바가 고정되는 부위로 사용된다. 또한 제1전극 버스바(2111)와 제1전극 관통홀(2112)을 보호하기 위한 제1전극 커버(2113)를 포함하고 제2전극 버스바(2121)와 제2전극 관통홀(2122)을 보호하는 제2전극 커버(2123)를 포함한다. 제1전극 커버(2113) 및 제2전극 커버(2123)는 전극 단자의 측면(xz면) 및 배터리 모듈과 대향하여 위치하는 전극 단자의 측면(yz면)을 감싸며 위치하고 절연소재로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배터리 모듈이 적층될 경우, xy면도 감쌀 수 있다. 전극 단자(2100) 및 돌출된 형태와 전극 단자(2100)들 사이의 전극 커버 외부 형태가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안착부(2220)의 제2전극 단자(2120)의 대향면에는 소정두께(x축 방향)를 가지며 돌출되는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배터리 모듈의 모듈 케이스의 일부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제2안착부(2220)에 위치하는 인접하는 배터리 모듈의 전극 단자를 안정적으로 배치시키는데 유리하다.
도 6은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두개의 인접한 배터리 모듈의 접속 단자가 요철 형태로 결합된 결합부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두개의 인접한 배터리 모듈의 접속 단자가 요철 형태로 결합한 후 인터 버스바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의 상면도이며, 도 8은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두개의 인접한 배터리 모듈의 접속 단자를 인터 버스바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6을 참조하여 두개의 인접한 배터리 모듈의 접속 단자가 요철 형태로 결합된 결합부를 설명한다. 인접하는 두개의 배터리 모듈의 접속 단자(200A 및 200B)들은 요철 형태로 결합되어 결합부(400)를 형성한다. 즉 접속 단자(200A)의 제1전극 단자(2110A) 및 제2전극 단자(2120A)는 각각 인접한 배터리 모듈의 접속 단자(200B)의 제2안착부(2220) 및 제1안착부(2210)에 위치하여 결합된다.
도 7을 참조하면, 결합부(400)에 위치하는 전극 단자(2100)들을 인터 버스바(3000)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도 7에서 연속되는 파선의 하단부의 배터리 모듈의 접속 단자(200A)와 연속되는 실선의 상단부의 인접하는 배터리 모듈의 접속 단자(200B)은 전극 단자들이 요철 형태로 결합된 후, 접속 단자(200A)의 제1전극 버스바(2111A) 및 제2전극 버스바(2121A)는 각각 인접한 접속 단자(200B)의 제2전극 버스바(2121B) 및 제1전극 버스바(2111B)와 인터 버스바(300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원발명에서 인터 버스바(3000) 두 개를 장착할 수 있고, 한 개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도 7은 인터 버스바(3000)가 양극과 음극을 연결하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양극과 양극, 음극과 음극을 연결하는 병렬 연결도 가능하다.
도 8을 참조하면, 인터 버스바(3000A)는 'ㄷ'형태로 형성되고, 인터 버스바 수평부(3100A)와 인터 버스바 수평부(3100A) 양측에 절곡된 인터 버스바 수직부(3200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두개의 인터 버스바 수직부(3200A)는 각각 제1전극 버스바 관통홀(2112B) 및 제2전극 버스바 관통홀(2122A)에 삽입되어 접속 단자(200A)와 접속 단자(200B)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도 8에는 양 끝단이 절곡된 형태의 일체형 인터 버스바(3000)를 도시하였으나, 인터 버스바 수평부와 인터 버스바 수직부는 분리된 형태일 수 있다. 일예로 인터 버스바 수평부의 양 단부에 홀이 형성되어 인터 버스바 수직부와 결합된 후 전극 단자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분리된 형태의 인터 버스바(3000)는 인터 버스바 수평부와 인터 버스바 수직부의 규격을 달리하여 다양한 규격의 배터리 모듈 연결에 적용하는데 유리하다.
본원발명에서 인터 버스바(3000)의 인터 버스바 수직부(3200A)는 전극 버스바 관통홀 내부에 장착되고, 장착된 인터 버스바(3000)가 진동 등에 의해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추가의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원발명에 따른 인터 버스바의 다양한 변형 예시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 버스바(3000C)는 인터 버스바 수평부(3100C)와 인터 버스바 수평부(3100C) 양측에 절곡된 인터 버스바 수직부(3200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인터 버스바 수직부(3200C)는 대면하여 위치하는 두개의 인터 버스바 수직부(3200C)의 말단부를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절곡된 말단부는 전극 버스바 관통홀 내부 측면들과의 밀착력이 증가하여 인터 버스바가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인터 버스바(3000D)는 인터 버스바 수평부(3100D)와 인터 버스바 수평부(3100D) 양측에 절곡된 인터 버스바 수직부(3200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인터 버스바(3000D)에서는 인터 버스바 수평부(3100D)의 양측 끝단부에 사다리꼴로 하향 위치하는 인터 버스바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인터 버스바 수직부는 인터 버스바 수평부(3100D)에서 멀어질수록 간격이 점점 커지는 한쌍의 인터 버스바 수직부 플레이트(3210, 322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인터 버스바 수직부 플레이트의 소정위치에 대향 외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는 완만한 곡면으로 도시 되었으나 그 형태는 한정되지 않음이 자명하다.
도 10은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요철부를 구비한 두개의 인접한 배터리 모듈의 결합형상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배터리 모듈의 케이스 양측면에 요철 형태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케이스 측면에 형성된 요철 형태의 요철부에 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케이스 양측면에 요철부(4000)를 포함한다. 요철부(4000)는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서 접속 단자(200)가 위치한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위치한다. 배터리 모듈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요철부(4000)의 요(凹)부 및 철(凸)부가 교차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대면하는 타측면의 교차적으로 배치되는 철(凸)부 및 요(凹)부와 대응되게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는 형태이다. 이는 배터리 모듈을 회전하였을 경우, 동일한 형태를 유지하여, 배터리 모듈 결합을 용이하게 진행하는데 유리하다. 요철부(4000)는 배터리 모듈 사이의 결합 안정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고, 결합부(400)의 탈리 혹은 변형을 방지하는 데 유리하다.
요철부(4000)의 요철 형태는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 형태, 곡선의 파형 등이 가능하다. 상기 요철부의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와 동일한 간격 및 형태이나 실제 전기가 연결되지 않는 더미 단자일 수 있다.
요철부(4000)는 배터리 모듈 케이스와 일체화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요철부(4000)는 별도로 생산되어 배터리 모듈의 측면에 접착 혹은 점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凹)부 및 철(凸)부가 별도로 생산될 경우, 모듈 케이스와 같은 소재 혹은 탄성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탄성 소재일 경우 외부 충격을 흡수하여 배터리 모듈을 보호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원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0, 100A, 100B: 배터리 모듈
200, 200A, 200B: 접속 단자
400, 400A, 400B, 400C: 결합부
2100: 전극 단자
2110, 2110A, 2110B: 제1전극 단자
2111, 2111A, 2111B: 제1전극 버스바
2112, 2112B: 제1전극 버스바 관통홀
2113: 제1전극 커버
2120, 2120A, 2120B: 제2전극 단자
2121, 2121A, 2121B: 제2전극 버스바
2122, 2122A: 제2전극 버스바 관통홀
2123: 제2전극 커버
2200: 안착부
2210, 2210A, 2210B: 제1안착부
2220, 2220A, 2220B: 제2안착부
3000, 3000A, 3000C, 3000D: 인터 버스바
3100A, 3100C, 3100D: 인터 버스바 수평부
3200A, 3200C: 인터 버스바 수직부
3210, 3220: 인터 버스바 수직부 플레이트
4000: 요철부

Claims (12)

  1. 한 개 이상의 배터리 셀들을 케이스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양측면 중앙부에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를 포함하는 접속 단자가 각각 배치되는 배터리 모듈에 있어서,
    상기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는 케이스 내부의 배터리 셀들과 연결되며,
    상기 양극 단자 및 상기 음극 단자는 모두 외부로 돌출된 형태이고,
    상기 양극 단자, 상기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의 간격, 상기 음극 단자가 모두 케이스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배터리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단자, 상기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의 간격, 상기 음극 단자가 모두 케이스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나, 상기 양극 단자 및 상기 음극 단자의 실제 돌출된 부분의 폭은 상기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의 간격보다 작은 배터리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는 상기 케이스 정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된 형태인 배터리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단자 및 상기 음극 단자가 외부로 돌출된 높이가 동일한 배터리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양측면에 요철 형태인 요철부가 부가된 배터리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단자 및 상기 음극 단자는 외부에 절연체가 배치된 배터리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단자 및 상기 음극 단자의 돌출된 형태와 상기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 사이의 케이스 외부 형태가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배터리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양측면에 각각 한 쌍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만 배치된 배터리 모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서로 결합한 배터리 팩.
  10. 제9항에 있어서,
    상호 인접한 상기 배터리 모듈은 상기 접속 단자가 결합한 결합부를 형성하는 배터리 팩.
  11. 제9항에 있어서,
    상호 인접한 배터리 모듈은 일방의 양극 단자와 가장 근접한 타방의 음극 단자를 인터 버스바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터리 팩.
  12. 제9항에 있어서,
    상호 인접한 배터리 모듈은 일방의 양극 단자와 가장 근접한 타방의 음극 단자 한 쌍만을 인터 버스바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터리 팩.
PCT/KR2022/005993 2021-04-27 2022-04-27 지그재그 배치되는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WO2022231290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80005348.2A CN115803961A (zh) 2021-04-27 2022-04-27 包括以z字形方式布置的连接端子的电池模块
EP22796123.2A EP4167372A1 (en) 2021-04-27 2022-04-27 Battery module comprising connection terminals arranged in zigzag manner
US17/928,884 US20230246311A1 (en) 2021-04-27 2022-04-27 Battery module including connection terminals disposed in zigzag
JP2022580996A JP2023532096A (ja) 2021-04-27 2022-04-27 ジグザグに配置される接続端子を含む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117A KR20220147240A (ko) 2021-04-27 2021-04-27 지그재그 배치되는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2021-0054117 2021-04-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31290A1 true WO2022231290A1 (ko) 2022-11-03

Family

ID=83848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5993 WO2022231290A1 (ko) 2021-04-27 2022-04-27 지그재그 배치되는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46311A1 (ko)
EP (1) EP4167372A1 (ko)
JP (1) JP2023532096A (ko)
KR (1) KR20220147240A (ko)
CN (1) CN115803961A (ko)
WO (1) WO20222312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022058A1 (en) * 2022-07-18 2024-01-18 Bentek Corporation Neutral Busbar Stand Assembly and Method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12873A (zh) * 2013-04-17 2014-10-22 史田元 多极耳蓄电池
KR20180113246A (ko) * 2017-04-06 2018-10-1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단자 안전장치
KR101943493B1 (ko) 2015-07-22 2019-0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09328407A (zh) * 2016-06-29 2019-02-12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电池块以及电池模块
KR20190106541A (ko) * 2018-03-09 2019-09-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원통형 이차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팩
KR20210013861A (ko) 2019-07-29 2021-02-08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전지팩
WO2021075690A1 (ko) * 2019-10-18 2021-04-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KR20210054117A (ko) 2019-11-04 2021-05-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12873A (zh) * 2013-04-17 2014-10-22 史田元 多极耳蓄电池
KR101943493B1 (ko) 2015-07-22 2019-0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09328407A (zh) * 2016-06-29 2019-02-12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电池块以及电池模块
KR20180113246A (ko) * 2017-04-06 2018-10-1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단자 안전장치
KR20190106541A (ko) * 2018-03-09 2019-09-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원통형 이차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팩
KR20210013861A (ko) 2019-07-29 2021-02-08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전지팩
WO2021075690A1 (ko) * 2019-10-18 2021-04-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KR20210054117A (ko) 2019-11-04 2021-05-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803961A (zh) 2023-03-14
US20230246311A1 (en) 2023-08-03
JP2023532096A (ja) 2023-07-26
KR20220147240A (ko) 2022-11-03
EP4167372A1 (en) 2023-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38733A1 (ko) 통합형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17146384A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WO2020138869A1 (ko) Fpcb에 실장된 커넥터를 구비하는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15016566A1 (ko) 전지모듈 어셈블리
WO2020071833A1 (ko) 용접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전지팩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지팩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가압 지그
WO2016039536A1 (ko) 전지셀 상호연결 및 전압 센싱 어셈블리, 및 전지모듈
WO2013022210A2 (ko) 이차전지 팩
WO2018128249A1 (ko) 배터리 팩
WO2019078553A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14126341A1 (ko) 배터리 셀 전극탭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WO2021182779A1 (ko) 버스바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19045368A1 (ko) 배터리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WO2022231290A1 (ko) 지그재그 배치되는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WO2015046832A1 (ko) 보호회로모듈 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2005032A1 (ko) 배터리 모듈, 그것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1201409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1020708A1 (ko) 이차 전지
WO2020256264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2019550A1 (ko) 전극 리드와 전압 센싱부재 간의 연결을 단순화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22220549A1 (ko) 배터리 셀 모듈
WO2015046635A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배터리 모듈
WO2021040242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1141423A1 (ko) 배터리 팩, 전자 디바이스, 및 자동차
WO2021096023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15030403A1 (ko) 전압 센싱용 접속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79612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80996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796123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011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