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2650B1 - 진동 도포기 - Google Patents

진동 도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2650B1
KR101822650B1 KR1020100087941A KR20100087941A KR101822650B1 KR 101822650 B1 KR101822650 B1 KR 101822650B1 KR 1020100087941 A KR1020100087941 A KR 1020100087941A KR 20100087941 A KR20100087941 A KR 20100087941A KR 101822650 B1 KR101822650 B1 KR 101822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vibration
vibration motor
disposed
inser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7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5810A (ko
Inventor
변대길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7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2650B1/ko
Priority to PCT/KR2011/005031 priority patent/WO2012033282A2/en
Priority to CN201180043507.XA priority patent/CN103118564B/zh
Priority to JP2013528104A priority patent/JP6289907B2/ja
Publication of KR20120025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5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1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roller, a disc or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7Vibration, e.g. ultrasou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진동 도포기는 도포 볼; 상기 도포 볼을 자전시키기 위한 볼 자전부가 형성된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에 제1 단부가 결합 되며 수납공간이 형성된 제2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의 상기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제2 단부를 통해 결합 되며 상기 제1 및 제2 몸체들에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 발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동 도포기{VIBRATION DISPENSOR}
본 발명은 진동 도포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 전반적으로 외모가 중요시되면서 옷과 화장품 등을 이용하여 자기 자신을 가꾸고 있다. 특히, 외모 중 외부로 드러나는 얼굴은 미의 기준이 되기 때문에 사람들은 더욱 아름답게 보이기 위해 투명하고 깨끗한 얼굴 피부를 선호하게 되었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화장품을 얼굴에 도포하여 피부를 가꾼다.
일반적으로, 얼굴 및 손 등과 같이 외부로 드러나는 피부에 액체 또는 젤 상태의 화장품을 화장솜 또는 손 등으로 피부에 바른 후 피부에 스며들 때까지 기다리거나, 손으로 두드려 화장품을 피부에 흡수시켰다.
이 방법은 손 또는 화장솜을 이용하여 피부에 화장품을 발라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바를 때 손에도 화장품이 많이 흡수되기 때문에 얼굴 피부에 흡수되는 화장품의 흡수율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도포용 볼을 이용하여 화장품을 피부에 도포함과 동시에 피부 및 도포용 볼에 진동을 가하여 제품의 편의성 및 피부에 도포된 화장품의 흡수율을 향상시킨 진동 도포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로서, 진동 도포기는 도포 볼; 상기 도포 볼을 자전시키기 위한 볼 자전부가 형성된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에 제1 단부가 결합 되며 수납공간이 형성된 제2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의 상기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제2 단부를 통해 결합 되며 상기 제1 및 제2 몸체들에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 발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도포기에 의하면, 화장품이 채워진 화장품 몸체에 피부와의 마찰에 의해 회전하면서 화장품 몸체에 채워진 화장품을 피부에 도포하는 도포 볼과 도포 볼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 발생부를 결합시켜 진동에 의해 피부에 도포된 화장품의 흡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손 및 화장솜 등을 이용하지 않고 피부에 화장품을 바르고 흡수시킬 수 있어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도포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Ⅰ-Ⅰ′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도포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Ⅰ-Ⅰ′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들을 참조하면, 진동 도포기(700)는 도포 볼(100), 제1 몸체(200), 제2 몸체(300) 및 진동 발생부(400)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진동 도포기(600)는 캡(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포 볼(100)은 액체 또는 젤 상태의 화장품을 피부에 도포하기 위한 것으로, 후술 될 제1 몸체(200)에 결합 되고, 피부와의 마찰에 의해 제1 몸체(200)의 내부에서 자전한다.
도포 볼(100)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고, 도포 볼(100)의 표면에는 아노다이징 코팅막이 형성된다. 도포 볼(100)이 제1 몸체(200) 내에서 자전할 때 화장품은 도포 볼(100)의 표면에 형성된 미세한 요철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피부로 도포되는데, 적정량의 화장품이 도포 볼(100)의 표면에 도포 되도록 아노다이징 코팅된 도포 볼(100)의 표면은 거칠기를 갖는다.
제1 몸체(200)는 도포 볼(100)을 자전 가능하도록 고정 및 화장품을 도포 볼(10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몸체(200)는 제1 몸체부(210), 제2 몸체부(220) 및 제3 몸체부(230)를 포함한다.
제1 몸체부(210)는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일측면과 대향 하는 타측면까지 관통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몸체부(210)는 도포 볼(100)에 화장품을 공급하는 통로를 제공하며, 제1 몸체부(310)의 외주면에는 후술 될 제2 몸체(300)와 나사 결합 되기 위한 제1 나사산(215)이 형성된다.
제2 몸체부(220)는 제2 몸체(300)와 결합 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에 형성된 제1 몸체부(210)의 일측 단부로부터 환형으로 돌출되어 도포 볼(100)이 제1 몸체(2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몸체부(220)에는 도포 볼(100)의 자전이 가능하도록 볼 삽입부(225)가 형성되는데, 볼 삽입부(225)는 도포 볼(100)과 대응되는 곡면을 갖는 홈으로 제2 몸체부(220)으로부터 제1 몸체부(210)로 연장된다.
제2 몸체부(220)에 도포 볼(100)이 결합 되었을 때, 도포 볼(100)의 일부분이 항상 제2 몸체부(22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볼 삽입부(225)의 깊이는 도포 볼(100)의 직경 보다 낮게 형성하고, 제2 몸체부(220)는 도포 볼(100)의 약 3/4지점까지 감쌀 수 있는 높이로 돌출시킨다.
볼 삽입부(225) 내에서 도포 볼(100)이 원활하게 자전할 수 있도록 볼 삽입부(225)의 직경은 도포 볼(100)의 직경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어 도포 볼(100)과 볼 삽입부(225) 사이에 갭이 형성되고, 갭을 통해 화장품이 배출된다.
볼 삽입부(225)의 직경이 도포 볼(100)의 직경보다 크더라도, 제2 몸체부(220)의 개구의 직경이 도포 볼(100)의 직경 보다 작기 때문에 볼 삽입부(225)에 삽입된 도포 볼(100)은 제1 몸체(200)의 외부로 빠지지 않는다.
원통 형상의 제1 몸체부(210)로 인해 제1 몸체부(210) 내부 및 볼 삽입부(225)는 상호 연결되어 화장품을 바르기 위해 진동 도포기(600)를 기울이면 화장품이 볼 삽입부(225) 및 도포 볼(100) 사이의 갭을 통해 흘러나와 자전하는 도포 볼(100)의 표면에 화장품이 계속적으로 제공된다.
제3 몸체부(230)는 제1 몸체부(210)의 일측 단부, 즉 제1 몸체부(210) 및 제2 몸체부(220)의 경계 부분의 외주면으로부터 환형으로 돌출되어 제1 몸체(200)가 후술될 제2 몸체(300)의 내부로 일정 깊이까지만 유입되도록 걸림턱 역할을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2 몸체(300)는 원통 형상으로, 액제 또는 젤 상태의 화장품이 담겨지는 화장품 용기이다. 제2 몸체(300)는 개구부(310), 수납공간(320) 및 격벽(330)을 포함한다.
개구부(310)는 제1 몸체부(210)와 결합 되어 수납공간(320)에 채워진 화장품을 제1 몸체(200) 쪽으로 제공하여 도포 볼(100)에 화장품을 공급하는 부분으로, 제1 몸체(200)와 결합되는 제2 몸체(300)의 제1 단부에 형성되며 수납공간(320)과 연결된다.
개구부(310)의 외주면에는 후술될 캡(500)과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산(314)이 형성되고, 개구부(310)의 내주면에는 제1 몸체부(210)에 형성된 제1 나사산(215)과 나사 결합되는 제1 나사홈(312)이 형성된다.
개구부(310)의 내측에 제1 몸체(200)의 제1 몸체부(210)가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고, 개구부(310)의 단면에 제1 몸체(200)의 제3 몸체부(230)가 걸리기 때문에, 외관상 개구부(310)의 직경은 제1 몸체(200)의 제3 몸체부(230)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수납공간(320)은 제2 몸체(300)의 내부에 형성되며 격벽(330)에 의해 제1 수납공간(322) 및 제2 수납공간(324)으로 나누어진다. 제1 수납공간(322)은 격벽(330) 및 개구부(310) 사이에 형성되고 액체 또는 젤 상태의 화장품이 채워진다.
제2 수납공간(324)은 격벽(330) 및 제2 몸체(300)의 제1 단부와 대향 되는 제2 단부 사이에 형성되며 후술 될 진동 발생부(400)가 수납된다. 여기서, 제2 몸체(300)의 제2 단부는 개구 되어 제2 수납공간(324)이 외부로 노출되고 개구를 통해 진동 발생부(400)가 제2 수납공간(324)에 삽입된다.
격벽(3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수납 공간(322) 및 제2 수납 공간(324)의 사이에 형성되고, 격벽(330)의 중앙에는 오목한 홈(335)이 제1 수납 공간(322) 쪽으로 형성된다.
후술 될 진동 발생부(400)에 의해서 제1 수납공간(322)에 채워진 화장품이 진동하는 것을 시각적으로 느끼기 위해서, 예를 들어, 제2 몸체(300)는 투명 또는 반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진동 발생부(400)는 제2 몸체(300)의 제2 수납공간(324)에 결합 되어 제1 및 제2 몸체(200, 300)들 및 도포 볼(100)에 진동을 제공하는 것으로, 진동 발생부(400)는 케이스(410), 전극부(420), 진동 모터(430) 및 스위치부(440)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진동 발생부(400)은 진동 전달 부재를 더 포함한다.
케이스(410)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제2 몸체(300)의 격벽과 마주하는 케이스(410)의 일측면이 수납공간과 연결되는 개구가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수납공간의 내부에 후술될 전극부(420), 진동 모터(430) 및 스위치부(440)의 일부분이 고정된다.
케이스(410)의 외주면 중앙부분에는 단턱(412)이 형성되어 제2 몸체(300)의 제2 단부가 단턱(412)에 걸린다. 제2 몸체(300)의 격벽(330)과 마주하는 케이스(410)의 일측면에서부터 단턱(412)까지만 제2 몸체(300)의 제2 수납공간(3240에 삽입되기 때문에 케이스(410)의 일측면으로부터 단턱(412)까지의 높이는 제2 수납공간(324)의 깊이와 동일하다.
진동 도포기(600)의 외관상 단턱(412)으로부터 일측면과 대향되는 케이스(410)의 타측면까지의 직경은, 예를 들어, 제2 몸체(300)의 직경과 동일하다.
전극부(420)는 케이스(410)의 수납공간에 배치되어 진동 모터(43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건전지(421), 플러스 판(424) 및 마이너스 판(425)을 포함한다.
건전지(421)는 진동 모터(430)를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건전지(421)의 일측단면에 플러스 단자(422)가 형성되며, 건전지(421)의 측면으로부터 타측단까지 마이너스 단자(423)가 형성된다.
플러스 판(424)은 건전지(420)의 플러스 단자(422)에 접촉되며, 후술될 진동 모터(430)의 플러스 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마이너스 판(425)은 건전지(421)의 마이너스 단자(423)에 접촉되며, 후술될 진동 모터(430)의 마이너스 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진동 모터(430)는 케이스(410)의 수납공간에 고정되고 배선을 통해 전극부(4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극부(420)로부터 발생 된 전원에 의하여 진동을 발생시킨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진동 모터(430)는 빈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케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전원부로부터 발생돈 전원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하 회전축, 회전축에 편심되도록 고정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회전자 및 회전자와 함께 발생시킨 자기장에 의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마그네트를 포함한다.
회전자는 회전축에 편심되도록 고정되어 회전축이 회전할 때 진동을 발생시키는 웨이트 및 마그네트와 대응하여 배치되어 마그네트와 함께 회전축을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을 포함한다.
스위치부(440)는 전극부 및 진동 모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진동 모터를 온/오프시킨다. 스위치부(440)는 스위치 버튼(442) 및 스위치 판(446)을 포함한다.
스위치 버튼(446)은 진동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스위치부를 온/오프시키는 버튼으로, 케이스(410)의 단턱(412)으로부터 돌출되어 케이스(410)의 타측면 쪽으로 연장된다.
스위치 버튼(442)의 일측단부, 즉 단턴(412)과 인접한 부분을 제외한 스위치 버튼(442)의 하단 및 측면들은 케이스(410)로부터 분리된다. 분리된 스위치 버튼(442)은 케이스(410)의 외측 방향으로 들어 올려져 케이스(410)의 타측면으로 갈수록 케이스(410)의 외주면보다 돌출되어 탄성력을 갖는다.
스위치 버튼(442)의 타측 단부는 케이스(410)의 수납 공간 쪽으로 절곡된다.
스위치 판(446)은 도전성 재질의 얇은 판으로, 스위치 버튼(442)의 누름 여부에 따라 전극(420)부 및 진동 모터(430) 사이를 온/오프시켜 진동 모터(430)에 전원을 인가한다. 스위치 판(446)은 스위치 버튼(442)의 하부에 배치되어 스위치 버튼(442)이 눌려지면 전극부(420)의 마이너스 판(425)과 접촉되어 전극부(420) 및 진동 모터(430) 사이에 폐회로를 형성한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진동 전달 부재(450)는 진동 모터(430)에서 발생된 진동을 제2 몸체(300)로 전달하여 화장품 및 도포 볼(100)을 진동시키다. 진동 전달 부재(450)는 진동 모터(430)의 외측면을 감싸 진동 모터(430)와 접촉되며, 케이스(410)의 수납공간에 고정되는데, 진동 전달 부재(450)는 제2 몸체(300)의 격벽(330)과 마주하는 케이스(410)의 일측면 및 진동 모터(430) 사이에 배치된다.
진동 전달 부재(450)에서 격벽(330)의 오목한 홈(335)과 대응되는 부분은 돌출되어 케이스(410)의 개구를 통해 격벽(330)의 오목함 홈(335)에 삽입되고, 격벽(330)에 접촉되어 진동 모터(430)를 통해 진동 전달 부재(450)에 전달된 진동을 제2 몸체(300)에 전달한다.
도 1 내지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캡(500)은 제2 몸체(300)의 개구부(310) 쪽에 나사 결합되어 도포 볼(100)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붙는 것을 방지하고, 도포 볼(100) 표면에서 화장품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다.
캡(500)이 제2 몸체(300)에 결합되었을 때 도포 볼(100)과 마주보는 캡(500)의 일측면은 도포 볼(100)과 대응되는 곡선으로 형성되고, 캡(500)의 내부에는 도포 볼(100) 및 제1 몸체(200)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캡(500)의 일측면과 대향되는 타측면은 수납공간과 연결되도록 개구 된다.
캡(500)의 내측면에는 캡(5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도포 볼(100)을 향해 돌출된 원통 형상의 누액 방지부(510)가 형성된다.
누액 방지부(510)는 캡(500)이 제2 몸체(300)에 결합 될 때 도포 볼(100)을 누르고 이로 인해 도포 볼(100)은 제1 몸체(200)에 형성된 볼 삽입부(225)에 형성되며 제2 몸체(300)와 연결 통로 역할을 하는 개구(212)를 막는다. 따라서, 캡(500)이 제2 몸체(300)에 결합 되었을 때에는 도포 볼(100)이 제2 몸체(300)와 연결된 개구(212)를 막아 제2 몸체(300)에 수납된 화장품이 외부로 흘러나오는 않게 된다.
반대로, 캡(500)이 제2 몸체(300)로부터 분리되었을 때에는 누액 방지부(510)가 도포 볼(100)을 누르는 힘이 제거되고 이로 인해 도포 볼(100) 및 개구(212) 사이에는 갭이 형성되고, 갭을 통해 제2 몸체(300)에 수납된 화장품이 도포 볼(100)을 통해 사용자의 피부로 제공된다.
제2 몸체(300)의 개구부(310)에 형성된 제2 나사산(314)과 대응하여 캡(500)의 내측면에는 제 2나사산(314)과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포 볼을 갖는 진동 도포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도포 볼 대신 화장품을 바를 수 있는 도포 솔을 갖는 화장품 용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화장품이 담겨지는 화장품 용기를 앞서 도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2 몸체와 동일한 규격으로 제조하고, 진동 발생부가 삽입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면, 어느 화장품 용기에나 진동 발생부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진동 도포기는 화장품이 채워진 화장품 제2 몸체에 피부와의 마찰에 의해 회전하면서 화장품 몸체에 채워진 화장품을 피부에 도포하는 도포 볼과 도포 볼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 발생부를 결합시켜 진동에 의해 피부에 도포된 화장품의 흡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손 및 화장솜 등을 이용하지 않고 피부에 화장품을 바르고 흡수시킬 수 있어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도포 볼 200...제1 몸체
300...제2 몸체 400...진동 발생부
500...캡 600...진동 도포기

Claims (14)

  1. 볼;
    상기 볼이 배치되고, 내부에 화장품을 수용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배치되는 진동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볼과 상기 진동 발생부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 발생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는 진동 모터와, 상기 진동 모터와 상기 격벽 사이에 배치되는 진동 전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화장품은 상기 볼과 상기 격벽 사이에 수용되고, 상기 격벽은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볼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 전달 부재의 일부는 상기 홈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홈과 접촉하는 화장용 진동 도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볼과 대향하는 면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 전달 부재에서 돌출된 부분의 끝단은 테이퍼 형상으로 상기 홈의 면과 점 접촉하고,
    상기 진동 모터와 상기 진동 전달 부재는 접촉하고, 상기 진동 모터와 상기 진동 전달 부재의 접촉면에는 곡률이 형성되어 있는 화장용 진동 도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환형으로 돌출되는 볼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은 상기 볼 삽입부에 수용되며, 상기 볼 삽입부의 직경은 상기 볼의 직경보다 큰 화장용 진동 도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볼과 상기 볼 삽입부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하는 화장용 진동 도포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볼 삽입부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은 상기 볼 삽입부의 개구를 통해 상기 몸체의 내부와 연결되는 화장용 진동 도포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부는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건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부와 상기 진동 모터를 온/오프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 모터는 상기 건전지로부터 발생된 전원에 의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화장용 진동 도포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은 유동성 물질이고, 상기 볼의 회전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화장용 진동 도포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재질은 투명 재질을 포함하는 화장용 진동 도포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모터는,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편심으로 고정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회전자를 포함하는 화장용 진동 도포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배치되고, 상기 볼과 접촉하는 캡을 더 포함하는 화장용 진동 도포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내측면에서 타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볼과 접촉하는 누액 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볼은 상기 누액 방지부에 의해 가압되는 화장용 진동 도포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누액 방지부는 원통 형태인 화장용 진동 도포기.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의 표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고, 아노다이징 피막된 화장용 진동 도포기.
KR1020100087941A 2010-09-08 2010-09-08 진동 도포기 KR101822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941A KR101822650B1 (ko) 2010-09-08 2010-09-08 진동 도포기
PCT/KR2011/005031 WO2012033282A2 (en) 2010-09-08 2011-07-08 Vibration dispenser
CN201180043507.XA CN103118564B (zh) 2010-09-08 2011-07-08 振动分配器
JP2013528104A JP6289907B2 (ja) 2010-09-08 2011-07-08 振動塗布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941A KR101822650B1 (ko) 2010-09-08 2010-09-08 진동 도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810A KR20120025810A (ko) 2012-03-16
KR101822650B1 true KR101822650B1 (ko) 2018-03-08

Family

ID=45811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7941A KR101822650B1 (ko) 2010-09-08 2010-09-08 진동 도포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89907B2 (ko)
KR (1) KR101822650B1 (ko)
CN (1) CN103118564B (ko)
WO (1) WO201203328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4348A1 (ko) * 2012-04-10 2013-10-17 (주)아모레퍼시픽 회전형 어플리케이터
US10667985B2 (en) * 2014-06-16 2020-06-02 Id Lab Applicator and capsule for such applicator
CN107280209A (zh) * 2017-08-23 2017-10-24 上虞圣瑞斯包装有限公司 一种耐精油腐蚀的滚珠球托
JP7353718B2 (ja) * 2019-11-29 2023-10-0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塗布容器
CN111437502B (zh) * 2020-05-09 2024-05-28 北京大学深圳医院 风湿免疫病用药膏涂覆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0676B1 (ko) * 2004-07-08 2006-01-10 김윤회 화장품 용기
US20060287616A1 (en) * 2005-06-21 2006-12-21 Nanma Manufacturing Co. Ltd. Massager device with liquid applicator
KR100702621B1 (ko) 2005-10-26 2007-04-04 주식회사 생 코레 인터내셔날 액상 화장품 용기
JP4152974B2 (ja) * 2005-03-02 2008-09-17 チョイ、ヤン‐バム 緩衝部材が取り付けられたヘアーアイロン
JP2010130746A (ja) * 2008-11-26 2010-06-10 Kyocera Corp 振動制御装置及び携帯情報端末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675Y1 (ko) * 1998-12-01 2001-08-07 김하곤 도포용볼이내장된액체화장품용기
KR200252213Y1 (ko) * 2001-07-24 2001-11-22 윤정일 진동 발모보조기
JP4145628B2 (ja) * 2001-11-09 2008-09-03 ヤーマン株式会社 美容処理装置
GB2439061B (en) * 2006-06-14 2011-06-15 Adam Foster Robert Sutcliffe A dispenser
CN201042269Y (zh) * 2007-05-25 2008-04-02 楚明智 化妆品用软管容器
US20110084097A1 (en) * 2008-04-08 2011-04-14 L'oreal Vibrator applicator
DE102009014976B3 (de) * 2009-03-30 2010-06-02 Jutta Munz Applikatoreinrichtung zur kosmetischen und/oder medizinischen Anwendung
US20110091264A1 (en) * 2009-10-16 2011-04-21 Jun Zhang Cosmetic dispenser with vibr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0676B1 (ko) * 2004-07-08 2006-01-10 김윤회 화장품 용기
JP4152974B2 (ja) * 2005-03-02 2008-09-17 チョイ、ヤン‐バム 緩衝部材が取り付けられたヘアーアイロン
US20060287616A1 (en) * 2005-06-21 2006-12-21 Nanma Manufacturing Co. Ltd. Massager device with liquid applicator
KR100702621B1 (ko) 2005-10-26 2007-04-04 주식회사 생 코레 인터내셔날 액상 화장품 용기
JP2010130746A (ja) * 2008-11-26 2010-06-10 Kyocera Corp 振動制御装置及び携帯情報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89907B2 (ja) 2018-03-07
CN103118564A (zh) 2013-05-22
WO2012033282A2 (en) 2012-03-15
JP2013537058A (ja) 2013-09-30
KR20120025810A (ko) 2012-03-16
WO2012033282A3 (en) 2012-05-31
CN103118564B (zh)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2650B1 (ko) 진동 도포기
ES2552828T3 (es) Aplicador vibratorio y método de aplicación de maquillaje mediante dicho aplicador
KR101159892B1 (ko) 진동 볼을 구비한 액상 화장품 용기
RU2415639C2 (ru) Ручной прибор и соединяемые с ним инструменты (варианты)
US7775735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ensing and applying a fluid such as a cosmetic product or a care product
KR200452889Y1 (ko) 화장품 도포장치
KR200475966Y1 (ko) 진동 마사지 기능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2356710B1 (ko) 미용기
KR20120021323A (ko) 진동 퍼프
JP2010035807A (ja) 電動ヘアーブラシ
KR101228044B1 (ko) 광조사와 진동 볼을 구비한 액상 화장품 용기
KR20100008985U (ko) 진동퍼프
KR200384959Y1 (ko) 회전승강식 액상 화장품 용기
KR20130139639A (ko) 미용기
KR101173984B1 (ko) 진동 퍼프 및 그에 사용되는 진동지지체
KR101282022B1 (ko) 출몰식 진동퍼프를 가지는 화장품 도포용 화장기구
KR101170277B1 (ko) 진동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20130106150A (ko) 진동 마사지기 및 그에 사용되는 퍼프 패드
KR200242004Y1 (ko) 회전체를 구비한 마스크 팩 용기
KR101744161B1 (ko) 전동 화장용 브러시
KR200480112Y1 (ko) 내용물개폐수단을 가지며 탈부착 가능한 마사지부재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1215333B1 (ko) 진동자가 내장된 롤러퍼프
KR20140046192A (ko) 진동을 이용한 용기 일체형 피부 케어장치
KR200467403Y1 (ko) 진동모듈을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
JP3239464U (ja) 化粧品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