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161B1 - 전동 화장용 브러시 - Google Patents

전동 화장용 브러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161B1
KR101744161B1 KR1020160053987A KR20160053987A KR101744161B1 KR 101744161 B1 KR101744161 B1 KR 101744161B1 KR 1020160053987 A KR1020160053987 A KR 1020160053987A KR 20160053987 A KR20160053987 A KR 20160053987A KR 101744161 B1 KR101744161 B1 KR 101744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cap
opening
upper portion
dischar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3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창
조완현
홍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앤에이치
이해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앤에이치, 이해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앤에이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A46B13/023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with means for inducing vibration to the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06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specially adapted to feed the bristle upper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6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connected to supply pipe or to other external supply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A46B13/04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supply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38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signalling means
    • A46B15/004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signalling means with vibrating signa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에 개구가 마련된 화장품 원료 저장용 용기, 용기 상부에 결합되고 개구와 연통하는 배출구멍이 상하로 관통된 캡, 캡 상부에 결합되며 복수의 브러시 모 및 브러시 모에 배출구멍을 통하여 용기로부터 배출된 화장품 원료를 제공하는 공급구멍을 가진 브러시 기구, 브러시 기구에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유닛 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브러시 모에 화장품 원료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는 전동 화장용 브러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동 화장용 브러시 {ELECTRIC COSMETIC BRUSH}
본 발명의 실시예는 얼굴 등에 화장품 원료를 도포하는 데 이용되는 전동 화장용 브러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진동 등 다양한 편의기능을 가진 전동 화장용 브러시가 개발되면서 일반 화장용 브러시 대신 전동 화장용 브러시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전동 화장용 브러시를 이용하면, 일례로, 피부에 파운데이션(foundation) 등을 간단 및 신속하게 도포하고 양호하게 침착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전동 화장용 브러시로 클렌징(cleansing)을 하면, 피부의 모공 등에 깊숙이 침투된 불순물까지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동 화장용 브러시는, 브러시를 구성하는 복수의 브러시 모 및 이들 브러시 모에 진동을 제공하기 위한 진동유닛(vibration unit)을 포함하고, 사용자가 별도의 화장품 용기에 저장된 화장품 원료를 브러시 모에 직접 적절히 공급하면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렇다 보니, 사용 중 브러시 모에 공급된 화장품 원료가 소진되면, 사용자가 별도의 화장품 용기로부터 화장품 원료를 재공급하여야만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과 수고스러움이 있다. 즉, 사용자가 화장품 원료를 일일이 직접 공급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기존 전동 화장용 브러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책 마련이 시급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16320호(2012.10.2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2495호(2013.01.1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8907호(2014.06.17.)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의 편리성 향상 면에서 보다 유리한 전동 화장용 브러시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기타 과제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하의 기재로부터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화장품 원료를 저장하는 저장공간이 마련되며, 상부에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하는 개구가 마련된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개구와 연통하는 배출구멍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캡과; 상기 캡의 상부에 결합되며, 복수의 브러시 모 및 상기 브러시 모에 상기 배출구멍을 통하여 상기 용기로부터 배출된 화장품 원료를 제공하는 공급구멍을 가진 브러시 기구와; 상기 브러시 기구에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유닛을 포함하는, 전동 화장용 브러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브러시 기구는 상기 캡에 상하방향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화장용 브러시는, 상기 캡에 대한 상기 브러시 기구의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진동유닛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전원 단속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러시 기구는, 상기 캡의 상부에 하부가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가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브러시 모를 지지하며, 바닥에 상기 공급구멍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수용공간과 연통하도록 마련된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축선의 주위영역 한쪽에 위치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 단속수단은, 상기 진동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푸시 버튼을 가지며, 상기 푸시 버튼의 누름 조작에 따라 상기 진동유닛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고, 상기 진동유닛에 상기 푸시 버튼이 상기 축선과 대향하도록 장착된 푸시 스위치와; 상기 캡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브러시 기구가 제1회전위치로 회전되면 상기 푸시 버튼과 접촉되면서 상기 푸시 버튼에 대하여 누름 조작을 행하도록 배치된 조작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동 화장용 브러시는, 상기 브러시 기구가 제2회전위치로 회전된 때에 한하여 상기 배출구멍을 개방하는 개폐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구멍은 출구가 상기 캡의 상부에서 상기 축선으로부터 이격된 편심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축선 상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공급구멍에 상단이 연결되고, 하단에 상기 배출구멍을 폐쇄하는 폐쇄면 및 상기 브러시 기구가 상기 제2회전위치로 회전되면 상기 배출구멍과 연통하는 관통구멍이 마련된 공급도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캡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공급도관의 하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감싸는 안내도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안내도관의 외주에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화장품 원료를 저장하는 저장공간이 마련되며, 상부에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하는 개구가 마련된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개구와 연통하는 배출구멍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캡과; 상기 캡의 상부에 상하방향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복수의 브러시 모 및 상기 브러시 모에 상기 배출구멍을 통하여 상기 용기로부터 배출된 화장품 원료를 제공하는 공급구멍을 가진 브러시 기구와; 상기 브러시 기구에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유닛과; 상기 캡에 대한 상기 브러시 기구의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배출구멍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전동 화장용 브러시가 제공될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도면 등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언급한 해결 수단 이외의 다양한 해결 수단이 추가로 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용기에 저장된 화장품 원료가 브러시 모로 배출되는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브러시 모에 화장품 원료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브러시 기구의 회전위치에 따라 진동유닛이 작동되거나 정지되고 화장품 원료를 배출시킬 수 있거나 배출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화장용 브러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화장용 브러시의 일부가 도시된 분해사시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화장용 브러시의 일부가 도시된 횡단면도로,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화장용 브러시의 작동과정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참조하는 도면에서 구성요소의 크기나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는 주로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해석하는 것이 마땅하겠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화장용 브러시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화장용 브러시는, 화장품 원료(5)가 저장되는 용기(10), 용기(10)에 결합된 캡(20), 캡(20)에 결합된 브러시 기구(30) 및 브러시 기구(30)에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유닛(40)을 포함하며, 용기(10)에 저장된 화장품 원료(5)를 캡(20)을 통하여 배출 가능하고, 캡(20)을 통하여 배출된 화장품 원료(5)(이하, 도면부호의 병기는 생략한다)를 브러시 기구(30)에 제공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화장품 원료로는 메이크업(makeup)용, 바디 케어(body care)용, 스킨 케어(skin care)용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화장품 원료는 겔(gel), 분말, 액상, 크림(cream), 폼(foam) 형태 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화장품 원료는 액상의 클렌징이다.
용기(10)는, 내부에 화장품 원료를 저장하는 저장공간(12)이 마련되고, 상부에 저장공간(12)과 연통하는 개구(14)가 마련된다. 저장공간(12)에는 개구(14)를 통하여 화장품 원료가 투입될 수 있고, 저장공간(12)에 저장된 화장품 원료는 개구(14)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용기(10)로는 금속제, 유리제, 합성수지제 등으로 이루어진 강성, 반강성 또는 유연성 용기가 적용될 수 있다. 용기(10)는 튜브형 용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캡(20)은, 용기(10)의 상부에 결합된 캡 본체(210) 및 캡 본체(210)의 상부에 마련된 트레이(tray, 220)를 포함한다. 캡 본체(210)와 트레이(220)는 일체형일 수 있다. 트레이(220)는 원형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캡(20)은 트레이(220)의 바닥으로부터 캡 본체(210)의 내부로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개구(14)와 연통하는 배출구멍(22)을 가진다.
용기(10)는 개구(14)의 주위에 수나사가 마련되고, 캡 본체(210)는 내주에 암나사가 마련되어, 캡(20)은 용기(10)에 나사결합방식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브러시 기구(30)는, 복수의 브러시 모(310) 및 복수의 브러시 모(310)가 번들(bundle) 형태로 장착된 브러시 헤드(brush head, 320, 330)를 포함한다.
브러시 모(310)로는 천연모 또는 인조모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조모의 재질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드(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또는 나일론(nylon) 등일 수 있다.
브러시 헤드(320, 330)는, 트레이(220)의 상부에 결합된 하우징(320) 및 하우징(320)의 상부에 마련된 홀더(330)를 포함한다. 하우징(320)과 홀더(330)는 일체형일 수 있다. 브러시 헤드(320, 330)는 홀더(330)의 바닥으로부터 하우징(320)의 내부(도면부호 34 참조)로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배출구멍(22)과 대향하는 공급구멍(32)을 가진다.
하우징(320)은, 내부에 수용공간(34)이 마련되고, 원형 구조 및 하부가 개방된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하우징(320)은 하부가 트레이(220)의 상부에 상하방향의 축선(AX)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하우징(320)은 하우징(320)을 구성하는 벽체의 하부가 트레이(220)를 구성하는 트레이(220)의 벽체의 상부에 축선(AX)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홀더(330)는 복수의 브러시 모(310)를 지지하는 홈을 가진다. 홀더(330)의 홈은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홀더(330)의 홈의 바닥에는 공급구멍(32)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공급구멍(32)은 수용공간(34)과 연통된다. 공급구멍(32)은 축선(AX)과 동심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유닛(40)은 수용공간(34)에 수용된다. 진동유닛(40)은 하우징(320)에 수용공간(34)에서 축선(AX)의 주위영역 한쪽에 위치하도록 장착된다. 진동유닛(40)은, 편심추를 가진 진동모터 및 진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유닛(40)이 작동되면, 진동유닛(40)으로부터의 진동이 하우징(320)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브러시 기구(30)가 진동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화장용 브러시는, 캡(20)에 대한 브러시 기구(30)의 회전위치에 따라 진동유닛(40)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전원 단속수단(50)을 더 포함한다.
전원 단속수단(50)은, 푸시 스위치(push switch, 510) 및 푸시 스위치(510)에 대한 누름 조작을 행하는 조작부재(520)를 포함한다.
푸시 스위치(510)는 진동유닛(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푸시 스위치(510)는, 푸시 버튼(push button)을 가지며, 푸시 버튼의 누름 조작에 따라 진동유닛(40)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도록 구성된다. 푸시 스위치(510)는 푸시 버튼이 진동유닛(40)에 축선(AX)과 대향하도록 장착된다.
조작부재(520)는, 트레이(220)의 상부에 연결되며, 수용공간(34)에 브러시 기구(30)가 제1회전위치로 회전되면 푸시 스위치(510)의 푸시 버튼과 접촉되면서 푸시 버튼에 대하여 누름 조작을 행하도록 배치된다.
푸시 스위치(510)는 브러시 기구(30)를 회전시키면 브러시 기구(30) 및 진동유닛(40)과 함께 회전되는 반면, 조작부재(520)는 캡(20)과 함께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브러시 기구(30)가 제1회전위치로 회전되면, 푸시 스위치(510)의 푸시 버튼은 조작부재(520)와 대향하도록 위치되고, 조작부재(520)는 푸시 스위치(510)의 푸시 버튼과 접촉되면서 푸시 버튼에 대하여 누름 조작을 행한다. 물론, 브러시 기구(30)가 제1회전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회전되면, 푸시 스위치(510)의 푸시 버튼에 대한 조작부재(520)의 누름 조작은 해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화장용 브러시는, 캡(20)에 대한 브러시 기구(30)의 회전위치에 따라 배출구멍(22)을 개폐하는 개폐수단(60)을 더 포함한다. 개폐수단(60)은 브러시 기구(30)가 제1회전위치로 회전된 때 및 제1회전위치와 다른 제2회전위치로 회전된 때에 배출구멍(22)을 폐쇄하고 제1회전위치 및 제2회전위치와 다른 제3회전위치로 회전된 때에 배출구멍(22)을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제3회전위치는 제1회전위치와 제2회전위치 사이일 수 있다.
배출구멍(22)은 출구가 트레이(220)의 상부에서 축선(AX)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상에 배치되어 축선(AX)으로부터 이격된다. 즉, 편심으로 배치된다.
개폐수단(60)은, 트레이(220)의 상부에서 축선(AX) 상에 축선(AX)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단부가 공급구멍(32)과 연결되고, 하단부에 배출구멍(22)의 출구를 폐쇄하는 폐쇄면 및 배출구멍(22)과 동일한 반경 상에 마련된 관통구멍을 가진 공급도관(610)을 포함한다. 폐쇄면은 공급도관(610)의 하단부를 차폐하고, 관통구멍은 공급도관(610)의 내부와 연통된다. 물론, 공급도관(610)의 관통구멍은 브러시 기구(30)가 제1회전위치 및 제2회전위치로 회전되면 배출구멍(22)과 불일치하고 브러시 기구(30)가 제3회전위치로 회전되면 배출구멍(22)과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브러시 기구(30)가 회전되면, 공급도관(610)도 함께 회전된다. 브러시 기구(30)가 제1회전위치로 회전되어 푸시 스위치(510)의 푸시 버튼에 대한 조작부재(520)의 누름 조작이 이루어진 때에는, 공급도관(610)의 관통구멍은 배출구멍(22)과 불일치되어, 배출구멍(22)은 공급도관(610)의 폐쇄면에 의하여 폐쇄된다. 이는, 용기(10)로부터 화장품 원료의 배출이 차단되고 진동유닛(40)이 작동되는 진동모드(배출구멍 : close, 진동유닛 : on, 도 6 참조)이다.
브러시 기구(30)가 제1회전위치에서 제3회전위치로 회전되면, 공급도관(610)의 관통구멍은 배출구멍(22)과 일치되어, 배출구멍(22)은 개방된다. 이는 용기(10)로부터 화장품 원료를 배출할 수 있고 진동유닛(40)의 작동이 정지되는 오픈모드(배출구멍 : open, 진동유닛 : off, 도 5 참조)이다.
브러시 기구(30)가 제3회전위치에서 제2회전위치로 회전되면, 공급도관(610)의 관통구멍은 배출구멍(22)과 불일치되어, 공급도관(610)의 폐쇄면에 의하여 폐쇄된다. 이는 용기(10)로부터 화장품 원료의 배출이 차단되고 진동유닛(40)의 작동이 정지되는 클로즈모드(배출구멍 : close, 진동유닛 : off, 도 3 및 도 4 참조)이다.
브러시 기구(30)를 클로즈모드인 제2회전위치에서 오픈모드인 제3회전위치로 회전시킨 후, 화장품 원료를 용기(10)의 개구(14)를 통하여 배출시킨다. 그러면, 배출된 회장품 원료는 개구(14)와 연통된 배출구멍(22), 공급도관(610)의 관통구멍 및 공급구멍(32)을 통하여 브러시 모(310)에 제공된다.
브러시 모(310)에 요구하는 양의 화장품 원료가 제공되면, 브러시 기구(30)를 제3회전위치(오픈모드)에서 제1회전위치(진동모드)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배출구멍(22)이 폐쇄되어 브러시 모(310)에 대한 화장품 원료의 제공이 차단되고, 진동유닛(40)이 작동되어 브러시 기구(30)가 진동한다.
공급도관(610)은 하단부가 원형이면서 일정한 외주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개폐수단(60)은, 트레이(220)의 상부에 연결되며 공급도관(610)의 하단부를 감싸서 공급도관(610)이 정확하게 회전운동을 하도록 유도하는 안내도관(620)을 더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공급도관(610)은 축의 역할을 하고, 안내도관(620)은 축 캡의 역할을 한다.
안내도관(620)의 내주에는 반구형의 오목한 결합홈이 내주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공급도관(610)의 외주에는 안내도관(620)의 결합홈에 삽입된 결합돌기가 외주방향을 따라 마련된다.
조작부재(520)는 안내도관(620)의 외주에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화장용 브러시에 의하면, 용기(10)에 저장된 화장품 원료가 브러시 모(310)로 배출되는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브러시 모(310)에 화장품 원료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브러시 기구(30)의 회전위치에 따라 진동유닛(40)이 작동되거나 정지되고 화장품 원료를 배출시킬 수 있거나 배출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이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5 : 화장품 원료 10 : 용기
12 : 저장공간 14 : 개구
20 : 캡 22 : 배출구멍
210 : 캡 본체 220 : 트레이
30 : 브러시 기구 32 : 공급구멍
34 : 수용공간 310 : 브러시 모
320 : 하우징 330 : 홀더
40 : 진동유닛 50 : 전원 단속수단
510 : 푸시 스위치 520 : 조작부재
60 : 개폐수단 610 : 공급도관
620 : 안내도관 AX : 축선

Claims (8)

  1. 내부에 화장품 원료를 저장하는 저장공간이 마련되며, 상부에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하는 개구가 마련된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개구와 연통하는 배출구멍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캡과; 상기 캡의 상부에 상하방향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복수의 브러시 모 및 상기 브러시 모에 상기 배출구멍을 통하여 상기 용기로부터 배출된 화장품 원료를 제공하는 공급구멍을 가진 브러시 기구와; 상기 브러시 기구에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유닛과; 상기 캡에 대한 상기 브러시 기구의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진동유닛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전원 단속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 기구는, 하부가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복수의 브러시 모를 지지하는 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캡의 상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가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상기 홀더가 마련되고, 상기 홀더는 바닥에 상기 공급구멍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수용공간과 연통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진동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축선의 주위영역 한쪽에 위치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전원 단속수단은,
    상기 진동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푸시 버튼을 가지며, 상기 푸시 버튼의 누름 조작에 따라 상기 진동유닛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고, 상기 진동유닛에 상기 푸시 버튼이 상기 축선과 대향하도록 장착된 푸시 스위치와;
    상기 캡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브러시 기구가 제1회전위치로 회전되면 상기 푸시 버튼과 접촉되면서 상기 푸시 버튼에 대하여 누름 조작을 행하도록 배치된 조작부재를 포함하는,
    전동 화장용 브러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동 화장용 브러시는, 상기 브러시 기구가 제2회전위치로 회전된 때에 한하여 상기 배출구멍을 개방하는 개폐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동 화장용 브러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멍은 출구가 상기 캡의 상부에서 상기 축선으로부터 이격된 편심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축선 상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공급구멍에 상단이 연결되고, 하단에 상기 배출구멍을 폐쇄하는 폐쇄면 및 상기 브러시 기구가 상기 제2회전위치로 회전되면 상기 배출구멍과 연통하는 관통구멍이 마련된 공급도관을 포함하는,
    전동 화장용 브러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캡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공급도관의 하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감싸는 안내도관을 더 포함하는,
    전동 화장용 브러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안내도관의 외주에 마련된,
    전동 화장용 브러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동 화장용 브러시는, 상기 캡에 대한 상기 브러시 기구의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배출구멍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동 화장용 브러시.
KR1020160053987A 2016-02-01 2016-05-02 전동 화장용 브러시 KR1017441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00576 2016-02-01
KR2020160000576 2016-02-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4161B1 true KR101744161B1 (ko) 2017-06-08

Family

ID=59220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3987A KR101744161B1 (ko) 2016-02-01 2016-05-02 전동 화장용 브러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1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97870A (zh) * 2018-12-06 2019-03-22 奥佳华智能健康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洁面刷机芯及洁面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63265B2 (ja) * 2011-05-06 2015-08-12 株式会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Amorepacific Corporation 振動手段を備えた化粧品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63265B2 (ja) * 2011-05-06 2015-08-12 株式会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Amorepacific Corporation 振動手段を備えた化粧品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97870A (zh) * 2018-12-06 2019-03-22 奥佳华智能健康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洁面刷机芯及洁面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3746B2 (en) Electrically-driven power cosmetics application device
US7775735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ensing and applying a fluid such as a cosmetic product or a care product
KR100577966B1 (ko) 도포되어질 물질을 탑재하는 수납구에 사용시에 고정되는도포장치 요소를 포함하는 도포장치
US4446879A (en) Receptacle for make up powder
KR101758360B1 (ko) 콤팩트 용기
JP6669857B2 (ja) 折りたたみ式化粧品容器
EP2618797B1 (en) Device
KR101503239B1 (ko)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KR101158314B1 (ko) 진동자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1744161B1 (ko) 전동 화장용 브러시
US20210378382A1 (en) Grinding powder refill cosmetic container
JP4261086B2 (ja) 詰替え式容器
KR200483748Y1 (ko) 화장품 용기
KR101822650B1 (ko) 진동 도포기
KR200464719Y1 (ko) 잔량 방지 마스카라 용기
KR101227939B1 (ko) 자동염색장치
KR101282022B1 (ko) 출몰식 진동퍼프를 가지는 화장품 도포용 화장기구
WO2011073955A1 (en) A vibrator applicator
KR102194696B1 (ko) 화장품 용기
KR200382331Y1 (ko) 분말화장품 용기
JP3239464U (ja) 化粧品容器
JP2012106749A (ja) 内容物充填機構
JP7284902B1 (ja) 容器
CN211484279U (zh) 一种洁面仪
KR200464721Y1 (ko) 내용물 토출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