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8985U - 진동퍼프 - Google Patents

진동퍼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8985U
KR20100008985U KR2020090002456U KR20090002456U KR20100008985U KR 20100008985 U KR20100008985 U KR 20100008985U KR 2020090002456 U KR2020090002456 U KR 2020090002456U KR 20090002456 U KR20090002456 U KR 20090002456U KR 20100008985 U KR20100008985 U KR 201000089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ff
vibrator
battery
diaphragm
upp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24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8401Y1 (ko
Inventor
노병후
Original Assignee
노병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병후 filed Critical 노병후
Priority to KR20200900024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401Y1/ko
Publication of KR201000089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9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4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4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D33/3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watches or other mechanically-driven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7Vibration, e.g. ultrasound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진동 퍼프는 내부에 수용홈(101)이 형성된 몸체(100); 상기 수용홈(101)에 내장되는 배터리(120); 상기 배터리(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진동자(140); 상기 진동자(140)가 단부에 설치된 진동판(150); 상기 진동자(140)가 작동되도록 배터리(120)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스위치(130); 상기 진동판(150)이 내장되고 표면에 액상의 화장품을 바를 수 있도록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게 형성된 퍼프(170); 상기 퍼프(170)를 몸체(100)의 상단에 고정하고 외측 둘레면에는 걸림홈(161)이 형성된 지지부재(160); 상기 퍼프(170)를 보호하도록 몸체(100)의 상부에 결합되고, 하부 내측 둘레에는 걸림홈(161)에 끼워지도록 내향 돌출되게 걸림돌기(111)가 형성된 상부커버(110)로 구성된 것이다.
화장품, 용기, 퍼프, 진동

Description

진동퍼프{a vibration puff}
본 고안은 진동퍼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우더형 화장품이나 액상의 화장품(젤형 화장품, 크림형 화장품 등)을 이용하여 얼굴을 포함한 신체의 화장부위에 바를 때 퍼프에 내장된 진동판을 동작시켜 신속하고 간편하게 바를 수 있는 진동 퍼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을 사용하여 얼굴을 비롯한 신체 부위를 화장할 때에는 손이나 브러시, 펜슬, 퍼프 등의 각종 화장도구를 이용하게 되며, 특히 화운데이션 등 액상의 화장품을 화장부위에 골고루 바를 때에는 퍼프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상기 퍼프는 화장품 케이스에 내장될 수 있도록 화장품 케이스와 대응되는 형상인 원판형이나 사각판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면에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 삽입밴드가 마련되는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퍼프를 사용할 때에는 손가락 삽입밴드와 일측면 사이로 손가락을 끼워 넣어 퍼프를 지지한 후 화장품을 묻힌 타측면으로 화장할 신체부위를 적당한 타격력으로 두드리게 되면 퍼프에서 이탈되는 화장품이 신체부위에 정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원판형 또는 사각판형으로 이루어진 퍼프는 화장품을 묻힌 그 일측면을 화장할 신체부위에 대고 인위적인 힘으로 두드리기 때문에 화장이 극히 번거롭게 될 뿐 아니라 퍼프의 타격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화장품을 고르게 바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퍼프의 내부에 진동판을 내장하여 퍼프의 표면에 정착된 액상의 화장품를 신체부위에 신속하고 균일하게 바르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개성을 다양하게 강조할 수 있는 진동 퍼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퍼프가 진동되면서 소량의 화장품을 사용하여 신체부위에 균일하게 바를 수 있게 되므로 불필요한 사용으로 인한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진동 퍼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진동 퍼프는 내부에 수용홈이 형성된 몸체; 상기 수용홈에 내장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진동자; 상기 진동자가 단부에 설치된 진동판; 상기 진동자가 작동되도록 배터리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스위치; 상기 진동판이 내장되고 표면에 액상의 화장품을 균일하게 바를 수 있도록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게 형성된 퍼프; 상 기 퍼프를 몸체의 상단에 고정하고 외측 둘레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된 지지부재; 상기 퍼프를 보호하도록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하부 내측 둘레에는 걸림홈에 끼워지도록 내향 돌출되게 걸림돌기가 형성된 상부커버로 구성된 것이다.
본 고안은 퍼프의 내부에 진동판을 내장하여 퍼프 표면에 정착된 액상의 화장품을 신체부위에 신속하고 균일하게 바르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개성을 다양하게 강조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퍼프가 진동되면서 소량의 화장품을 사용하여 신체부위에 균일하게 바를 수 있게 되므로 불필요한 사용으로 인한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몸체(100)가 마련되어 있되, 그 몸체(100)의 내부에는 수용홈(10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홈(101)의 내부에는 배터리(120)가 내장되어 있고, 그 배터리(120)에는 전원 공급시 진동되는 진동자(1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 자(140)는 진동판(15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120)와 진동자(140)의 사이에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차단할 수 있는 스위치(130)가 설치되어 있되, 그 스위치(130)는 몸체(100)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진동판(150)은 몸체(100)의 상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그 진동판(150)은 퍼프(170)에 내장되어 있고, 상기 퍼프(170)는 몸체(100)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되, 액상의 화장품을 화장부위에 바를 수 있도록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퍼프(170)는 지지부재(160)를 매개로 몸체(100)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160)의 외측 둘레면에는 걸림홈(16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의 상측에는 퍼프(170)를 보호하기 위한 상부커버(110)가 분리/결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되, 상부커버(110)의 하부 내측 둘레에는 걸림홈(161)에 끼워지는 걸림돌기(111)가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퍼프(17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즉, 보관할 때에는 진동자(140)가 동작되지 않도록 몸체(100)의 표면에 설치된 스위치(130)를 '오프'상태로 절환한다.
상기 진동자(140)가 정지된 상태일 경우에는 진동판(150)이 작동되지 않게 되므로 퍼프(170)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퍼프(170)가 노출되지 않도록 상부커버(110)를 결합하는 것이며, 이때에는 상부커버(110)에 형성된 걸림돌기(111)가 지지부재(160)에 형성된 걸림 홈(161)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서, 상부커버(110)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퍼프(170)가 상부커버(110)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가방등에 보관할 때 소지품과 접촉이 방지되어 퍼프(170)의 손상 및 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퍼프(170)의 표면에 정착된 화장품에 의해서 소지품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화장품을 사용하자 할 경우에는 퍼프(170)가 노출되도록 상부커버(110)를 분리한 후 별도의 용기(도면 미도시)에 보관된 액상의 화장품을 상기 퍼프(170)의 표면에 뭍히면 액상의 화장품은 퍼프(170)의 표면에 정착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몸체(100)의 표면에 설치된 스위치(130)를 '온'상태로 절환하면 배터리(120)의 전원이 진동자(140)로 전달되고, 상기 전원을 공급받은 진동자(140)가 작동된다.
상기 진동자(140)가 작동되면, 그 진동자(140)가 설치된 진동판(150)이 진동되는 것이고, 그 진동력은 퍼프(170)로 전단된다.
이와 같이 퍼프(170)가 진동될 때 몸체(100)를 잡은 상태에서 퍼프(170)를 얼굴에 문지르면서 화장을 하는 것이다.
이때 퍼프(170)는 연속적으로 진동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손으로 화장품을 뭍혀서 화장을 하는 것이 아니라 몸체(100)를 잡고 퍼프(170)를 직접 얼굴에 가져가서 문지르게 되므로 화장품이 손실되지 않고 간편하게 화장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사용을 완료한 후 보관할 때에는 퍼프(170)가 노출되지 않도록 상부커 버(110)를 결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부커버(110)가 결합되면, 그 상부커버(110)에 의해서 외부공기가 퍼프(170) 측으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므로 퍼프(170)이 표면에 정착된 액상의 화장품이 고형화 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때에는 상부커버(110)에 형성된 걸림돌기(111)가 지지부재(160)에 형성된 걸림홈(161)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서, 상부커버(110)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몸체 101 : 수용홈
110 : 상부커버 111 : 걸림돌기
120 : 배터리 130 : 스위치
140 : 진동자 150 : 진동판
160 : 지지부재 161 : 걸림홈
170 : 퍼프

Claims (1)

  1. 내부에 수용홈(101)이 형성된 몸체(100);
    상기 수용홈(101)에 내장되는 배터리(120);
    상기 배터리(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진동자(140);
    상기 진동자(140)가 단부에 설치된 진동판(150);
    상기 진동자(140)가 작동되도록 배터리(120)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스위치(130);
    상기 진동판(150)이 내장되고 표면에 액상의 화장품을 바를 수 있도록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게 형성된 퍼프(170);
    상기 퍼프(170)를 몸체(100)의 상단에 고정하고 외측 둘레면에는 걸림홈(161)이 형성된 지지부재(160);
    상기 퍼프(170)를 보호하도록 몸체(100)의 상부에 결합되고, 하부 내측 둘레에는 걸림홈(161)에 끼워지도록 내향 돌출되게 걸림돌기(111)가 형성된 상부커버(11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퍼프.
KR2020090002456U 2009-03-04 2009-03-04 진동퍼프 KR2004584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456U KR200458401Y1 (ko) 2009-03-04 2009-03-04 진동퍼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456U KR200458401Y1 (ko) 2009-03-04 2009-03-04 진동퍼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985U true KR20100008985U (ko) 2010-09-15
KR200458401Y1 KR200458401Y1 (ko) 2012-02-15

Family

ID=44199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2456U KR200458401Y1 (ko) 2009-03-04 2009-03-04 진동퍼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40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739B1 (ko) * 2011-10-10 2012-03-05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스틱형 진동퍼프
WO2013012148A1 (ko) * 2011-07-20 2013-01-24 ㈜한국피앤피 탄력유동구가 내재된 분리형 진동퍼프
WO2013039303A3 (ko) * 2011-09-15 2013-05-10 (주)아모레퍼시픽 상하운동 기능을 갖는 미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900Y1 (ko) 2012-05-25 2014-03-20 (주)에스엔피월드 화장 내용물을 충진한 진동형 화장용기
KR101367941B1 (ko) 2012-05-25 2014-03-12 (주)에스엔피월드 손잡이부 떨림방지기능을 갖는 진동퍼프장치
KR101178259B1 (ko) 2012-05-30 2012-08-29 박금향 진동 파운데이션
KR101255602B1 (ko) 2012-11-29 2013-04-16 코코스팩 주식회사 진동 파운데이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249Y1 (ko) * 2004-07-28 2004-10-21 추윤정 전동 퍼프
KR200399929Y1 (ko) * 2005-08-12 2005-11-01 주식회사 태평양 전동퍼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2148A1 (ko) * 2011-07-20 2013-01-24 ㈜한국피앤피 탄력유동구가 내재된 분리형 진동퍼프
WO2013039303A3 (ko) * 2011-09-15 2013-05-10 (주)아모레퍼시픽 상하운동 기능을 갖는 미용 장치
US9173470B2 (en) 2011-09-15 2015-11-03 Amorepacific Corporation Skin care device having function for moving vertically
KR101116739B1 (ko) * 2011-10-10 2012-03-05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스틱형 진동퍼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8401Y1 (ko) 201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8401Y1 (ko) 진동퍼프
KR100970666B1 (ko) 화장품 뚜껑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JP3876211B2 (ja) 着脱可能な塗布要素を有する特に化粧製品のための塗布装置
KR100602426B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200463142Y1 (ko) 콤팩트 케이스
KR101159892B1 (ko) 진동 볼을 구비한 액상 화장품 용기
KR100962046B1 (ko) 화장품 용기
KR101158314B1 (ko) 진동자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1195832B1 (ko)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탈착구조를 구비한 진동발생기기
KR102263243B1 (ko) 일회용 칫솔
KR200475203Y1 (ko) 오버캡에 반자동 퍼프받침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0461267Y1 (ko) 마사지판을 구비한 진동파운데이션
US5699574A (en) Extendible applicator
KR200476704Y1 (ko) 분리형 파우더용 화장품 용기
KR100536193B1 (ko) 화장용 퍼프
KR101096294B1 (ko) 착탈식 퍼프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1599783B1 (ko) 오토 에어쿠션
KR101282022B1 (ko) 출몰식 진동퍼프를 가지는 화장품 도포용 화장기구
JP2021087530A (ja) 容器
KR20160135875A (ko) 벌집구조를 갖는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101600713B1 (ko) 스페츌러 일체형 크림용기
KR200480112Y1 (ko) 내용물개폐수단을 가지며 탈부착 가능한 마사지부재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CN213464131U (zh) 一种隐藏式植物精华按摩瓶
KR200257818Y1 (ko) 클린싱 마사지기
KR200370149Y1 (ko) 화장용 분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