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8259B1 - 진동 파운데이션 - Google Patents

진동 파운데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8259B1
KR101178259B1 KR1020120057125A KR20120057125A KR101178259B1 KR 101178259 B1 KR101178259 B1 KR 101178259B1 KR 1020120057125 A KR1020120057125 A KR 1020120057125A KR 20120057125 A KR20120057125 A KR 20120057125A KR 101178259 B1 KR101178259 B1 KR 101178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attery unit
groove
circumferential surface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금향
Original Assignee
박금향
코코스팩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688804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7825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박금향, 코코스팩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금향
Priority to KR1020120057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82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45D33/36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with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8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spreading already applied pa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06Percussion or tapping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7Vibration, e.g. ultrasou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진동 파운데이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진동을 이용해 피부를 케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진동 파운데이션에 관한 것이며, 진동 파운데이션의 탄성부재 하단이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 하는 것에 목적이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이 수평벽의 단부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파이프에 의해 지지를 받기 때문에,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이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이 최소화되고, 아울러, 상기 탄성부재가 케이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진동 파운데이션{vibration foundation}
본 발명은 진동 파운데이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파우더형 화장품이나 액상의 화장품을 얼굴을 포함한 신체의 화장부위에 바를 수 있도록 구성된 진동 파운데이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운데이션은, 얼굴과 같이 외부로 노출되는 피부의 잡티나 기미 등을 자연스럽게 가리거나 깨끗하고 화사한 피부 또는 맑고 보송거리는 피부를 표현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화장품이다.
상기 파운데이션 화장품은 화장을 하고자 하는 피부의 부위에 뭉침 없이 골고루 발라야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화장용 퍼프를 이용하여 파운데이션을 사용한다.
상기 화장용 퍼프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밴드가 일측면에 구비된 형태가 있다.
그러나, 상기 삽입밴드가 구비된 화장용 퍼프는, 사용자가 직접 손가락을 상기 삽입밴드에 끼운 상태에서 사용자의 힘으로 퍼프를 피부에 두드려야 하기 때문에, 화장을 하는데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장을 자주하지 않거나 화장이 서툰 사람이 사용하게 될 경우 두드리는 힘이 일정치 못하여 화장품이 피부에 골고루 발리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근래에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장용 퍼프를 자동으로 진동되게 하여 화장품을 피부에 바를 수 있도록 구성된 진동 파운데이션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 진동 파운데이션은 일반적으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어 배터리의 전원을 인가받아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 상기 진동모터의 진동력을 제공받으며 화장용 퍼프가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크게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배터리의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진동 모터가 구동되면서 상기 탄성부재를 진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와 결합된 퍼프가 진동되면서 사용자의 피부를 타격(두드림)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인위적인 힘을 사용하지 않고도 피부에 화장품을 바를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진동 파운데이션은,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단순히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 형성된 스톱퍼에 걸림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와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에 화장용 퍼프를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을 파지하여 유동시키거나, 또는, 피부의 굴곡 형상을 따라 상기 탄성부재가 유동될 시에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상기 스톱퍼에서 분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 파운데이션을 사용하는 여성들에게는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케이스에 재결합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상기 진동 파운데이션이 더 이상 사용되지 못하고 방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장용 퍼프와 결합되는 탄성부재의 하단 내부 및 하단 외부를 양방향에서 지지해주는 구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배터리부가 내장되는 손잡이 케이스; 상기 손잡이 케이스의 상단에 하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터리부와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되는 미들 케이스; 상기 미들 케이스의 내주면에서 상기 미들 케이스의 중심을 향해 돌출형성되며 중앙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수평벽; 상기 수평벽의 관통구멍을 구획하는 상기 수평벽의 단부 밑면에서 상기 관통구멍의 중심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가 삽입되는 환형홈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진동모터가 내장된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공간부에 삽입되는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내부에 배터리부가 내장되는 손잡이 케이스; 상기 손잡이 케이스의 상단에 하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터리부와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되는 미들 케이스; 상기 미들 케이스의 내주면 중단에 형성되며 중앙에는 내부가 통공된 부시가 돌출형성되는 고정체; 상기 고정체의 부시 외주면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부시의 외주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고정체의 윗면에서 수직으로 돌출형성되며 선단에는 후크가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부재; 및 상기 걸림부재의 후크가 삽입되는 환형홈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내부 하단에는 상기 부시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내부 상단에는 상기 배터리부와 연결된 진동모터가 내장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파운데이션은, 탄성부재의 하단이 수평벽의 단부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파이프에 의해 지지를 받기 때문에,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이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이 최소화되고, 아울러, 상기 탄성부재가 케이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동 파운데이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동 파운데이션의 분리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진동 파운데이션의 분리 단면도.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파운데이션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동 파운데이션(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배터리부(10)가 내장되는 손잡이 케이스(110); 상기 손잡이 케이스(110)의 상단에 하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터리부(10)와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13)이 내장되는 미들 케이스(120); 상기 미들 케이스(120)의 내주면에서 상기 미들 케이스(120)의 중심을 향해 돌출형성되며 중앙에는 관통구멍(131)이 형성된 수평벽(130); 상기 수평벽(130)의 관통구멍(131)을 구획하는 상기 수평벽(130)의 단부 밑면에서 상기 관통구멍(131)의 중심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플랜지(140); 상기 플랜지(140)가 삽입되는 환형홈(154)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간부(S)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3)과 연결되는 진동모터(15)가 내장된 탄성부재(150); 상기 탄성부재(150)의 공간부(S)에 삽입되는 파이프(160)를 포함한다.
상기 미들 케이스(110)의 상단에는 캡(17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 케이스(110)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그 상부 내경은 상기 미들 케이스(110)의 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미들 케이스(110)의 하단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 케이스(110)의 내주면 상단에는 복수개의 돌기(113)가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들 케이스(120)의 외주면 하단에는 상기 손잡이 케이스(110)의 복수개의 돌기(113)가 각각 삽입되어 걸림될 수 있는 ㄱ자 형상의 안착부(121)가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121)는, 상기 미들 케이스(120)의 하단에서 상기 미들 케이스(120)의 상단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홈(121a); 상기 수직홈(121a)의 상단과 일단이 연결된 상태에서 타단이 상기 미들 케이스(120)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작동해제홈(121b); 상기 작동해제홈(121b)의 타단과 일단이 연결된 상태에서 타단이 상기 미들 케이스(120)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작동홈(121c)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홈(121a)의 상단과 상기 작동해제홈(121b) 및 작동홈(121c)은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미들 케이스(120)의 외주에서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두 개의 돌출턱(121d)에 의해 구획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 케이스(110)의 돌기(113)가 상기 안착부(121)의 수직홈(121a)을 따라 하향에서 상향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 케이스(110)를 상기 작동해제홈(121b) 및 작동홈(121c)이 형성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작동해제홈(121b) 또는 작동홈(121c)에 상기 돌기(113)가 삽입되어 안착되기 때문에 상기 손잡이 케이스(110)와 미들 케이스(12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손잡이 케이스(110)의 돌기(113)가 상기 미들 케이스(120)의 수직홈(121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 케이스(110)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작동홈(121c)에 삽입되면, 상기 손잡이 케이스(110)의 배터리부(10)가 상기 인쇄회로기판(17)의 접지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상기 진동모터(15)로 전원을 공급한다.
반대로, 상기 작동홈(121c)에 삽입되었던 돌기(113)가 상기 손잡이 케이스(110)의 타방향 회전에 의해 작동해제홈(121b)으로 이동되어 삽입되면, 상기 손잡이 케이스(110)의 배터리부(10)가 상기 인쇄회로기판(17)의 접지부와 연결해제되어 상기 진동모터(15)로 전원을 공급해제한다.
참고로, 상기 배터리부(10)가 상기 진동모터(15)로 전원을 공급 및 공급해제하는 구성은 위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상기 손잡이 케이스(110)에 상기 배터리부(10)의 전원을 단속할 수 있는 작동버튼(B)을 장착하여, 상기 작동버튼(B)의 누름 및 누름해제에 의해 상기 배터리부(10)가 상기 진동모터(15)로 전원을 공급 및 공급해제시킬 수 있는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 케이스(110)의 일방향 회전 및 타방향 회전에 의해 배터리부(10)가 진동모터(15)로 전원을 공급 및 공급 해제하는 구성이나, 또는, 작동버튼(스위치)를 이용하여 배터리부(10)가 진동모터(15)로 전원을 공급 및 공급 해제하는 구성은 당 업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구성이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이 생략된다.
상기 수평벽(13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멍(131)은 상기 미들 케이스(120)의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을 서로 유통가능하게 해주는 출입구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부재(150)는, 고무재질의 탄력구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150)는, 화장용 퍼프(1, 도2참조)가 결합되는 머리부(151); 상기 머리부(151)의 하단 외주면에서 방사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스톱퍼(152); 상기 스톱퍼(152)의 저면에서 하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환형홈(154)이 하단에 형성되는 원통부(153)를 포함한다.
상기 머리부(151)에는 상기 진동모터(15)가 삽입되는 암형홈(15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톱퍼(152)는 상기 머리부(151)와 결합되는 화장용 퍼프(1)가 상기 진동모터(15)의 진동에 의해 하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원통부(153)의 하단은 상기 수평벽(130)의 관통구멍(131)에 삽입되며, 이때, 상기 원통부(153)의 환형홈(154)에는 상기 플랜지(140)가 삽입된다.
상기 원통부(153)의 외경은 상기 플랜지(140)의 내경보다 크다.
그리고, 상기 원통부(153)는 상기 머리부(151)의 암형홈(151a)과 유통가능한 공간부(S)를 가지며, 상기 공간부(S)에는 전술한 파이프(160)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된다.
상기 파이프(1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벽(130)의 관통구멍(131)을 통과하여 상기 관통구멍(131)에 하단이 고정된 원통부(153)의 공간부(S)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된다.
상기 파이프(160)의 외경은 상기 원통부(153)의 내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160)는, 상기 공간부(S)에서 상기 원통부(153)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아울러, 상기 원통부(153)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상기 관통구멍(13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파이프(160)는, 상기 원통부(153)의 공간부(S)에서 상기 원통부(153)의 내주면을 방사방향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상기 환형홈(154)이 상기 플랜지(140)에 밀착되게 하여 상기 원통부(153)의 하단이 상기 수평벽(130)의 관통구멍(13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160)는 플라스틱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진동 파운데이션(200)이 설명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진동 파운데이션(200)은, 상기 수평벽(130), 상기 플랜지(140) 및 파이프(16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설명되었던 진동 파운데이션(100)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며, 그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이 생략되고, 아울러, 도면상의 도면부호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기재된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진동 파운데이션(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배터리부(10)가 내장되는 손잡이 케이스(110); 상기 손잡이 케이스(110)의 상단에 하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터리부(10)와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13)이 내장되는 미들 케이스(120); 상기 미들 케이스(120)의 내주면 중단에 형성되며 중앙에는 내부가 통공된 부시(220)가 돌출형성되는 고정체(210); 상기 고정체(210)의 부시(220) 외주면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부시(220)의 외주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고정체(210)의 윗면에서 수직으로 돌출형성되며 선단에는 후크(240)가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부재(230); 및 상기 걸림부재(230)의 후크(240)가 삽입되는 환형홈(154)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내부 하단에는 상기 부시(220)가 삽입되는 공간부(S)가 형성되며, 내부 상단에는 상기 배터리부(10)와 연결된 진동모터(15)가 내장된 탄성부재(15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체(210)의 일단은 상기 미들 케이스(120)의 내주면과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미들 케이스(120)의 원주 중심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150)의 내부 하단에 형성된 공간부(S)에는 상기 고정체(210)의 부시(220)가 삽입되며, 이때, 상기 탄성부재(150)의 환형홈(154)에 상기 걸림부재(230)의 후크(240)가 삽입되어 상기 환형홈(154)을 걸음한다.
상기 부시(220)의 외경은 상기 탄성부재(150)의 공간부(S) 내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부시(220)는, 상기 공간부(S)에서 상기 탄성부재(150)의 하단 내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아울러, 상기 탄성부재(150)가 하단부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부시(220)는, 상기 공간부(S)에서 상기 탄성부재(150)의 하단 내주면을 방사방향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상기 환형홈(154)과 상기 걸림부재(230)의 후크(240)를 서로 밀착되게 하여 상기 탄성부재(150)의 하단이 상기 걸림부재(23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도 1 및 도 4 에는 본원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요소의 도면부호가 복잡하게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화장용 퍼프(1)가 생략되어 도시되어 있다.
10 : 배터리부 15 : 진동모터
110 : 손잡이 케이스 120 : 미들 케이스
130 : 수평벽 140 : 플랜지
150 : 탄성부재 160 : 파이프
210 : 고정체 220 : 부시
230 : 걸림부재 240 : 후크

Claims (5)

  1. 내부에 배터리부가 내장되는 손잡이 케이스;
    상기 손잡이 케이스의 상단에 하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터리부와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되는 미들 케이스;
    상기 미들 케이스의 내주면에서 상기 미들 케이스의 중심을 향해 돌출형성되며 중앙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수평벽;
    상기 수평벽의 관통구멍을 구획하는 상기 수평벽의 단부 밑면에서 상기 관통구멍의 중심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가 삽입되는 환형홈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진동모터가 내장된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공간부에 삽입되는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파운데이션.
  2. 내부에 배터리부가 내장되는 손잡이 케이스;
    상기 손잡이 케이스의 상단에 하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터리부와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되는 미들 케이스;
    상기 미들 케이스의 내주면 중단에 형성되며 중앙에는 내부가 통공된 부시가 돌출형성되는 고정체; 상기 고정체의 부시 외주면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부시의 외주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고정체의 윗면에서 수직으로 돌출형성되며 선단에는 후크가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부재; 및
    상기 걸림부재의 후크가 삽입되는 환형홈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내부 하단에는 상기 부시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내부 상단에는 상기 배터리부와 연결된 진동모터가 내장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파운데이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케이스의 내주면 상단에는 복수개의 돌기가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형성되고,
    기 미들 케이스의 외주면 하단에는 상기 손잡이 케이스의 복수개의 돌기가 각각 삽입되어 걸림될 수 있는 ㄱ자 형상의 안착부가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미들 케이스의 하단에서 상기 미들 케이스의 상단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홈; 상기 수직홈의 상단과 일단이 연결된 상태에서 타단이 상기 미들 케이스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작동해제홈; 상기 작동해제홈의 타단과 일단이 연결된 상태에서 타단이 상기 미들 케이스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작동홈을 포함하며,
    상기 돌기가 상기 수직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 케이스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작동홈에 삽입되면 상기 배터리부가 상기 진동모터로 전원을 공급하고, 반대로, 상기 손잡이 케이스의 타방향 회전에 상기 작동홈에 삽입되었던 돌기가 상기 작동해제홈으로 이동되어 삽입되면, 상기 배터리부가 상기 진동모터로 전원을 공급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파운데이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케이스의 하단에는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을 단속할 수 있는 작동버튼이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부는 상기 작동버튼의 누름 및 누름해제에 의해 상기 진동모터로 전원을 공급 및 공급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파운데이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화장용 퍼프와 결합되고 내부에는 상기 진동모터가 삽입될 수 있는 암형홈이 형성된 머리부; 상기 머리부의 하단 외주면에서 방사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의 저면에서 하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외주면 하단에는 상기 환형홈이 형성된 원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파운데이션.
KR1020120057125A 2012-05-30 2012-05-30 진동 파운데이션 KR101178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125A KR101178259B1 (ko) 2012-05-30 2012-05-30 진동 파운데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125A KR101178259B1 (ko) 2012-05-30 2012-05-30 진동 파운데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8259B1 true KR101178259B1 (ko) 2012-08-29

Family

ID=46888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125A KR101178259B1 (ko) 2012-05-30 2012-05-30 진동 파운데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82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902B1 (ko) 2012-10-22 2014-04-29 배명근 공진디바이스를 구비한 진동발생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401Y1 (ko) 2009-03-04 2012-02-15 (주)제스폰 진동퍼프
KR101116739B1 (ko) 2011-10-10 2012-03-05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스틱형 진동퍼프
KR101142078B1 (ko) 2011-10-31 2012-05-14 주식회사하이첸 화장용 퍼프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401Y1 (ko) 2009-03-04 2012-02-15 (주)제스폰 진동퍼프
KR101116739B1 (ko) 2011-10-10 2012-03-05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스틱형 진동퍼프
KR101142078B1 (ko) 2011-10-31 2012-05-14 주식회사하이첸 화장용 퍼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902B1 (ko) 2012-10-22 2014-04-29 배명근 공진디바이스를 구비한 진동발생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00566A1 (en) Packaging and applicator device for applying a cosmetic or dermatological composition
KR200448626Y1 (ko) 원터치 방식 화장품 용기
JP3226882U (ja) 塗布装置のヘッダ構造
KR101142078B1 (ko) 화장용 퍼프 장치
KR200463142Y1 (ko) 콤팩트 케이스
JP2013516284A5 (ja) マーカ装置、取り付け部材、フレームアセンブリ
JP3226882U6 (ja) 塗布装置のヘッダ構造
KR20150001147U (ko) 스퀴즈가 가능한 퍼프 일체형 화장품용기
KR101178259B1 (ko) 진동 파운데이션
KR200462821Y1 (ko) 캐릭터 형상의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
KR101273723B1 (ko) 화장용 브러쉬
KR200461267Y1 (ko) 마사지판을 구비한 진동파운데이션
KR101170277B1 (ko) 진동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
CN210125169U (zh) 人偶头部外壳结构
KR200476704Y1 (ko) 분리형 파우더용 화장품 용기
KR101890532B1 (ko) 보조 배터리가 내장된 화장품 케이스
JP2019180385A (ja) なで部付きペット用品
CN203578102U (zh) 便携式超声雾化器装置
KR20180055324A (ko) 화장품 용기
KR200472436Y1 (ko) 화장용 퍼프
JPH0448746Y2 (ko)
KR101827769B1 (ko) 탈부착 가능한 우산집을 포함하는 조립식 다기능 우산
KR200465952Y1 (ko) 자석액상분필
US20180085282A1 (en) Massage Device Having a USB Connector
KR20190079983A (ko) 분리형 거울 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926

Effective date: 2013082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