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1323A - 진동 퍼프 - Google Patents

진동 퍼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1323A
KR20120021323A KR1020120013790A KR20120013790A KR20120021323A KR 20120021323 A KR20120021323 A KR 20120021323A KR 1020120013790 A KR1020120013790 A KR 1020120013790A KR 20120013790 A KR20120013790 A KR 20120013790A KR 20120021323 A KR20120021323 A KR 20120021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case
puff
coupled
vib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7556B1 (ko
Inventor
이영호
채준병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3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7556B1/ko
Publication of KR20120021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1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45D33/36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with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06Percussion or tapping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5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7Vibration, e.g. ultrasou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진동 퍼프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진동 퍼프는, 배터리와 모터가 구비되는 케이스; 모터의 구동축에 축 결합되며, 구동축에 의한 회전중심이 편심되게 위치하는 출력부를 갖는 회전 샤프트; 및 케이스에 지지되고 회전 샤프트의 출력부가 결합되어, 회전 샤프트 회전시 진동하는 진동부;를 포함하여, 진동부의 진동을 이용해 피부를 케어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진동부가 평면(수평) 방향으로 진동하면서 화장 부위의 굴곡 형상을 따라 화장품을 진동을 이용해 골고루 펴 바를 수 있다.

Description

진동 퍼프{ELECTRIC PUFF}
본 발명은 진동 퍼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을 이용해 피부를 케어하도록 이루어진 진동 퍼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얼굴이나 외부로 노출되는 피부의 잡티나 기미 등을 자연스럽게 가리거나 깨끗하고 화사한 피부 또는 맑고 뽀송한 피부를 갖고자 할 때, 파운데이션이나 스킨커버 또는 트윈케익, 화장용 파우더(이하 "화장품" 이라 한다)를 이용하게 된다.
상기의 화장품들은 화장을 하고자 하는 부위에 뭉침 없이 골고루 펴서 밀착감 있게 발라야 함은 물론 감성적 사용감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터치하여 화장을 하게 되는데, 이 때 사용되어지는 것이 화장용 퍼프이다.
이러한 퍼프는 일측면에 형성된 손가락 삽입 밴드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화장품을 취한 면을 화장 부위에 대고 두드리면서 화장품을 펴 바를 수 있도록 된 퍼프 패드가 있고, 그 퍼프 패드를 자동으로 두드리면서 화장을 할 수 있도록 한 진동 퍼프(당 업계에서는 "전동 퍼프" 라고도 한다)가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상기 진동 퍼프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에 구성되어 배터리의 전원을 인가 받아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터와, 퍼프 패드가 결합되며 그 진동 모터에서 발생하는 진동력을 제공받는 퍼프 패드 결합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진동 모터에 배터리의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진동 모터가 구동하면서 진동력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그 진동력이 케이스를 통해 퍼프 패드 결합부에 전달되면서 퍼프 패드가 화장 부위를 자동으로 타격(두드림)함으로써 인위적인 힘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화장 부위에 화장품을 정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퍼프 패드 결합부가 진동력에 의해 화장 부위를 타격하는 방식으로 화장품을 정착시키게 되므로, 화장 부위의 굴곡 형상을 따라 퍼프 패드의 터치감과 밀착력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화장 부위 전체에 화장품을 골고루 펴 바르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화장하고자 하는 피부의 굴곡 형상을 따라 진동을 이용해 화장품을 골고루 펴 바를 수 있는 진동 퍼프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진동 퍼프는, 배터리와 모터가 구비되는 케이스; 모터의 구동축에 축 결합되며, 구동축에 의한 회전중심이 편심되게 위치하는 출력부를 갖는 회전 샤프트; 및 케이스에 지지되고 회전 샤프트의 출력부가 결합되어, 회전 샤프트 회전시 진동하는 진동부;를 포함하여, 진동부의 진동을 이용해 피부를 케어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진동 퍼프는, 배터리와 모터가 구비되는 케이스; 모터의 구동축에 축 결합되며, 구동축에 의한 회전중심이 편심되게 위치하는 출력부를 갖는 회전 샤프트; 및 퍼프 패드가 결합되고, 케이스에 탄성 지지되며, 회전 샤프트의 출력부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갖는 진동부;를 포함하여, 진동부의 진동을 이용해 피부를 케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진동 퍼프는 피부에 화장품을 도포하여 피부를 케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진동 퍼프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상기 케이스에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진동 퍼프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에는 퍼프 패드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진동 퍼프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출력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진동 퍼프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를 탄성 부재를 통하여 케이스에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진동 퍼프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출력부의 편심량 만큼 탄성 변형되며 진동부에 탄발력을 제공하여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진동 퍼프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케이스와 진동부 사이에 개재되며 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진동 퍼프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고무, 우레탄, 사출물, 및 발포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진동 퍼프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를 케이스에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는 케이스와 진동부 사이에 개재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진동 퍼프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코일스프링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1결합홈이 형성되고, 진동부에는 코일스프링의 타단이 결합되는 제2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진동 퍼프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진동 퍼프에 의하면, 진동부가 평면(수평) 방향으로 진동하면서 화장 부위의 굴곡 형상을 따라 화장품을 진동을 이용해 골고루 펴 바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화장 부위 전체에 퍼프 패드의 터치감과 밀착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화장 부위에 화장품을 균일하게 펴 바를 수 있게 되고, 사용상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진동 퍼프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진동 퍼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퍼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단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진동 퍼프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진동 퍼프(100)는 얼굴 등의 신체 부위를 화장하기 위한 파운데이션이나 스킨커버 또는 트윈케익, 파우더 등의 화장 용품(이하에서는 편의상 "화장품" 이라고 한다)을 화장 부위에 펴 바르는 퍼프 패드(1)에 진동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진동 퍼프(100)는 화장 부위에 대하여 퍼프 패드(1)를 자동으로 움직이게 하여 인위적인 힘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화장 부위에 화장품을 신속하게 정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퍼프 패드(1)는 화장품 케이스에 수용되어 있는 화장품이 잘 묻어 날 수 있고, 화장 부위에 부드러운 터치감과 밀착력을 제공할 수 있는 커버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진동 퍼프(100)는 기본적으로, 배터리(3)의 전원에 의한 모터(5)의 구동으로서 진동력을 퍼프 패드(1)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진동 퍼프(100)는 화장 부위의 굴곡 형상을 따라 직접 문질러 줄 수 있는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진동 퍼프(100)는 기본적으로, 배터리(3)와 모터(5)를 내장하는 케이스(10)와, 모터(5)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샤프트(40)와, 회전 샤프트(40)에 결합되는 진동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구성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10)는 일단부에 구멍이 형성되고 다른 일단부가 폐쇄된 일정 길이의 원통형 바디로서 이루어진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10)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내부에 공간을 지닌 다각 형상이 채택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0)는 내부에 제1 공간(11) 및 제2 공간(12)을 구획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공간(11, 12)은 격벽(13)을 통하여 구획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공간(11)은 케이스(10)의 다른 일단부와 격벽(13)에 의해 형성되며, 제2 공간(12)은 케이스(10)의 일단부와 격벽(1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케이스(10)는 배터리(3)를 수납하기 위한 배터리 수납부(21)와, 모터(5)를 장착하기 위한 모터 장착부(31)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배터리 수납부(21)는 1차 전지 혹은 충/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로서의 배터리(3)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공간을 형성하는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제1 공간(11) 및 이에 대응하는 케이스(10)의 벽체로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배터리 수납부(21)는 배터리(3)를 제1 공간(11)에 장착하기 위해 그 케이스(10)의 다른 일측 단부에 제1 공간(11)을 개폐시킬 수 있는 개폐구(15)가 설치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배터리 수납부(21)에는 배터리(3)의 전원을 전기적인 부하에 공급하거나 전원을 차단할 수 있게 그 전기적인 부하와 배터리(3)의 전기적인 스위칭이 이루어지는 온?오프 스위치(17)가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온?오프 스위치(17)가 배터리 수납부(21)에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뒤에서 더욱 설명될 모터 장착부(31) 등 케이스(10)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모터 장착부(31)는 모터(5)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공간을 형성하는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제2 공간(12) 및 이에 대응하는 케이스(10)의 벽체로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모터(5)는 모터 장착부(31)의 장착 공간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회전 가능한 구동축(33)이 구비되는데, 그 구동축(33)은 케이스(10)의 일단부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이러한 모터(5)는 당 업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지 기술의 구동 모터로서 이루어지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 구성의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샤프트(40)는 중심 부분이 모터(5)의 구동축(33)에 결합되는 회전축으로서, 구동축(33)에 연결되는 입력부(41)와, 그 입력부(41)와 일체로 형성되는 출력부(43)로 이루어진다.
상기 입력부(41)는 모터(5)의 구동축(33)이 중심에 연결되는 부분으로, 회전 샤프트(40)의 메인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출력부(43)는 구동축(33)에 의한 회전 중심점(C)이 편심되게 위치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출력부(43)는 진원의 형상을 가지나 구동축(33)에 의한 회전 중심점(C)이 중앙 부분에 위치하지 않고 그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위치하는 편심 캠으로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진동부(70)는 퍼프 패드(1)가 결합될 수 있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회전 샤프트(40)의 출력부(43)에 결합되고, 케이스(10)에 탄성 지지된다. 이러한 진동부(70)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실시 가능하다.
상기 진동부(70)는 중앙 부분에 회전 샤프트(40)의 출력부(4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로서의 결합홀(71)을 형성하고 있다.
이 때, 상기 회전 샤프트(40)의 출력부(43)는 진동부(70)의 결합홀(71)에 끼워지며 모터(5)의 구동으로서 회전하는 미끄럼 베어링의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진동부(70)는 언급한 바 있듯이 케이스(10)에 탄성 지지되는 바,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진동부(70)의 가장자리부와 케이스(10)를 연결하는 탄성부재(80)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80)는 케이스(10)에 대하여 진동부(70)를 고정함은 물론 그 진동부(70)에 외력이 가해지는 때 탄성 변형되면서 이 때 발생하는 탄발력을 진동부(70)로 발휘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부재(80)는 진동부(70)의 가장자리부와 케이스(10)의 일단부 사이에 개재되며 이들 진동부(70)와 케이스(10)에 연결되는 링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80)는 일정 탄성 계수를 지닌 고무, 우레탄, 합성수지 사출물 또는 발포체 소재로 이루어지는바, 링 형상의 일단이 진동부(70)의 가장자리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케이스(10)의 일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진동부(70)의 가장자리부에는 탄성부재(80)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는 제1 결합홈(91)이 형성되고, 케이스(10)의 일단부에는 탄성부재(80)의 타단이 결합될 수 있는 제2 결합홈(92)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탄성부재(80)는 일단이 제1 결합홈(91)에 끼워지며 빠지지 않게 고정되고, 타단 또한 제2 결합홈(92)에 끼워지며 빠지지 않게 고정될 수 있도록 그 양단에 결합 돌기(93)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진동 퍼프(100)의 작동 상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진동 퍼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우선 본 실시예에서는 온?오프 스위치(17)의 스위칭 조작으로서 배터리(3)의 전원을 모터(5)에 인가함으로써 그 모터(5)의 구동축(33)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회전 샤프트(40)는 모터(5)의 구동축(33)이 회전함에 따라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 샤프트(40)의 출력부(43)는 구동축(33)에 의한 회전 중심점(C)이 편심되게 위치하고, 진동부(70)의 결합홀(7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그 진동부(70)는 탄성부재(80)를 통해 케이스(10)에 탄성 지지된 상태에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샤프트(40)가 회전함으로 진동부(70)가 상기 출력부(43)의 편심량에 상응하는 진폭으로서 상하 좌우의 평면 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즉, 상기 진동부(70)는 회전 중심점(C)이 편심되게 위치하는 출력부(43)가 결합홀(7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탄성부재(80)를 통해 케이스(10)에 탄성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샤프트(4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지 않고 중심에서 출력부(43)의 편심량 만큼 원호를 따라서 평면 방향으로 요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80)는 진동부(70)의 요동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며 진동부(70)으로 탄발력을 제공하는 바, 진동부(70)의 최초의 위치에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진동부(70)가 평면(수평) 방향으로 진동함으로써 화장 부위의 굴곡 형상을 따라 퍼프 패드(1)를 수평 방향으로 직접 문질러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화장 부위 전체에 진동부(70)와 이와 결합된 퍼프 패드(1)의 터치감과 밀착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화장 부위에 화장품을 균일하게 펴 바를 수 있게 되고, 사용상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퍼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퍼프(200)는 전기 실시예의 구조를 기본으로 하면서, 케이스(110)에 대하여 진동부(17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180)를 복수의 코일 스프링(181)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코일 스프링(181)은 케이스(110)의 일단부와 진동부(170)의 가장자리부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개재되며 이들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각 코일 스프링(181)은 일측 단부가 진동부(170)의 가장자리부에 결합되고, 다른 일측 단부가 케이스(110)의 일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진동부(170)의 가장자리부에는 코일 스프링(181)의 일측 단부가 결합될 수 있는 제1 결합홈(191)이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10)의 일단부에는 코일 스프링(181)의 다른 일측 단부가 결합될 수 있는 제2 결합홈(192)이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코일 스프링(181)의 일측 단부가 제1 결합홈(191)에 끼워지며 빠지지 않게 고정되고, 다른 일측 단부 또한 제2 결합홈(192)에 끼워지며 빠지지 않게 고정될 수 있도록 그 결합홈(191, 192)에는 코일 스프링(181)의 양단부가 고정될 수 있는 결합수단(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퍼프(200)의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전기 실시예에서와 같으므로, 이하에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진동을 가하여 화장품을 피부에 골고루 펴 바르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클렌징 크림 등 피부케어에 사용되는 다양한 바디케어 제품을 피부에 골고루 펴 바르는데 사용할 수 있다.
1... 퍼프 패드 3... 배터리
5... 모터 10... 케이스
11... 제1 공간 12... 제2 공간
13... 격벽 15... 개폐구
17... 온?오프 스위치 21... 배터리 수납부
31... 모터 장착부 33... 구동축
40... 회전 샤프트 41... 입력부
43... 출력부 70... 진동부
71... 결합홀 80... 탄성부재
91... 제1 결합홈 92... 제2 결합홈
93... 결합 돌기

Claims (15)

  1. 배터리와 모터가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축 결합되며, 구동축에 의한 회전중심이 편심되게 위치하는 출력부를 갖는 회전 샤프트; 및
    상기 케이스에 지지되고 상기 회전 샤프트의 출력부가 결합되어, 상기 회전 샤프트 회전시 진동하는 진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진동부의 진동을 이용해 피부를 케어하도록 이루어진 진동 퍼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상기 케이스에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퍼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에는 퍼프 패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퍼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상기 케이스에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퍼프.
  5. 배터리와 모터가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축 결합되며, 구동축에 의한 회전중심이 편심되게 위치하는 출력부를 갖는 회전 샤프트; 및
    퍼프 패드가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에 탄성 지지되며, 상기 회전 샤프트의 출력부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갖는 진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진동부의 진동을 이용해 피부를 케어하도록 이루어진 진동 퍼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퍼프는 피부에 화장품을 도포하여 피부를 케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퍼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출력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퍼프.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탄성 부재를 통하여 상기 케이스에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퍼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출력부의 편심량 만큼 탄성 변형되며 진동부에 탄발력을 제공하여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퍼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케이스와 상기 진동부 사이에 개재되며 링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퍼프.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고무, 우레탄, 사출물, 및 발포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퍼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1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진동부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결합되는 제2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퍼프.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케이스와 상기 진동부 사이에 개재되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퍼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1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진동부에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타단이 결합되는 제2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퍼프.
  15.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판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퍼프.
KR1020120013790A 2012-02-10 2012-02-10 진동 퍼프 KR101157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790A KR101157556B1 (ko) 2012-02-10 2012-02-10 진동 퍼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790A KR101157556B1 (ko) 2012-02-10 2012-02-10 진동 퍼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323A Division KR20110133750A (ko) 2010-06-07 2010-06-07 진동 퍼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323A true KR20120021323A (ko) 2012-03-08
KR101157556B1 KR101157556B1 (ko) 2012-06-18

Family

ID=46129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790A KR101157556B1 (ko) 2012-02-10 2012-02-10 진동 퍼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7556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360Y1 (ko) * 2012-04-20 2013-06-10 (주)아모레퍼시픽 진동식 전기면도기에 탈착되는 퍼프
KR101296686B1 (ko) * 2012-07-19 2013-08-19 김영호 일회전으로 두번의 타격이 가능한 듀얼 화장 진동 용기
KR200468896Y1 (ko) * 2012-08-10 2013-09-06 (주)아모레퍼시픽 듀얼 진동퍼프장치
WO2013154348A1 (ko) * 2012-04-10 2013-10-17 (주)아모레퍼시픽 회전형 어플리케이터
KR101327390B1 (ko) * 2012-03-09 2013-11-08 한경희 진동 팩트
KR20130006524U (ko) * 2012-05-03 2013-11-13 조성아 진동형 클렌징 장치
KR101364455B1 (ko) * 2012-08-16 2014-02-20 김상정 얼굴 화장품 제거 클리너
KR200471793Y1 (ko) * 2012-07-17 2014-03-14 (주)아모레퍼시픽 전동 클렌저
WO2014081135A1 (ko) * 2012-11-23 2014-05-30 (주)아모레퍼시픽 클렌징 패드 교체가 가능한 클렌징 화장용기
US20210259915A1 (en) * 2015-01-28 2021-08-26 Rapid Release Technology, LLC Systems and Methods for HighSpeed Vibration Therap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502B1 (ko) * 2019-05-27 2021-03-26 한국광기술원 교반기를 구비하는 광열효과 측정 장치
KR20230166186A (ko) 2022-05-30 2023-12-07 주식회사 비브랩 진동 퍼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249Y1 (ko) 2004-07-28 2004-10-21 추윤정 전동 퍼프
KR200399929Y1 (ko) 2005-08-12 2005-11-01 주식회사 태평양 전동퍼프
KR200455561Y1 (ko) * 2008-10-24 2011-09-16 (주)아모레퍼시픽 진동 퍼프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390B1 (ko) * 2012-03-09 2013-11-08 한경희 진동 팩트
WO2013154348A1 (ko) * 2012-04-10 2013-10-17 (주)아모레퍼시픽 회전형 어플리케이터
KR200467360Y1 (ko) * 2012-04-20 2013-06-10 (주)아모레퍼시픽 진동식 전기면도기에 탈착되는 퍼프
KR20130006524U (ko) * 2012-05-03 2013-11-13 조성아 진동형 클렌징 장치
KR200471793Y1 (ko) * 2012-07-17 2014-03-14 (주)아모레퍼시픽 전동 클렌저
KR101296686B1 (ko) * 2012-07-19 2013-08-19 김영호 일회전으로 두번의 타격이 가능한 듀얼 화장 진동 용기
KR200468896Y1 (ko) * 2012-08-10 2013-09-06 (주)아모레퍼시픽 듀얼 진동퍼프장치
KR101364455B1 (ko) * 2012-08-16 2014-02-20 김상정 얼굴 화장품 제거 클리너
WO2014081135A1 (ko) * 2012-11-23 2014-05-30 (주)아모레퍼시픽 클렌징 패드 교체가 가능한 클렌징 화장용기
US20210259915A1 (en) * 2015-01-28 2021-08-26 Rapid Release Technology, LLC Systems and Methods for HighSpeed Vibration Therap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7556B1 (ko) 2012-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7556B1 (ko) 진동 퍼프
US8021065B2 (en) Electrical mascara brush structure with variable speeds
ES2552828T3 (es) Aplicador vibratorio y método de aplicación de maquillaje mediante dicho aplicador
KR101173986B1 (ko) 진동 퍼프
JP2017500946A (ja) 振動動作変換器を備えた肌洗浄装置
KR20100088000A (ko) 양방향 진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피부 세정기
JP2010035807A (ja) 電動ヘアーブラシ
KR101345658B1 (ko) 두드림 기능을 가지는 화장품 도포용 화장기구
KR101173984B1 (ko) 진동 퍼프 및 그에 사용되는 진동지지체
KR20110133750A (ko) 진동 퍼프
KR20130139639A (ko) 미용기
KR20130106150A (ko) 진동 마사지기 및 그에 사용되는 퍼프 패드
KR20130015424A (ko) 전동 퍼프
KR102175903B1 (ko) 클렌징 장치
KR20130047540A (ko) 진동퍼프
KR101282022B1 (ko) 출몰식 진동퍼프를 가지는 화장품 도포용 화장기구
WO2011073955A1 (en) A vibrator applicator
KR102369374B1 (ko) 진동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도구
KR20170059771A (ko) 전동 클렌저용 브러쉬구조
KR200454496Y1 (ko) 전방/후방 회전제어를 구비한 진동 속눈썹 브러시
KR20130000644A (ko) 진동 퍼프
KR101630855B1 (ko) 피부관리용 진동 퍼프
KR20130113601A (ko) 회전진동을 이용한 피부 케어장치
US20230225569A1 (en) Personal cleansing device
KR200471507Y1 (ko) 클렌징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