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403Y1 - 진동모듈을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 - Google Patents

진동모듈을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403Y1
KR200467403Y1 KR2020120002745U KR20120002745U KR200467403Y1 KR 200467403 Y1 KR200467403 Y1 KR 200467403Y1 KR 2020120002745 U KR2020120002745 U KR 2020120002745U KR 20120002745 U KR20120002745 U KR 20120002745U KR 200467403 Y1 KR200467403 Y1 KR 2004674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container
application
vibration module
application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7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오수
김주호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1200027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4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4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4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7Vibration, e.g. ultrasou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진동모듈을 구비하는 도포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도포 용기는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일단으로부터 신장된 도포수단 수용부, 상기 도포수단 수용부에 안착하여 상기 도포수단 수용부의 바닥 면에 형성된 내용물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내용물을 분배하기 위한 반구 형상의 구조체로 형성된 도포수단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저장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도포수단의 표면에 내용물을 균일하게 분배하고, 상기 내용물이 도포되는 피부에 진동을 인가하여 마사지하기 위한 진동모듈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진동모듈을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 {Container having vibration module for applying contents}
본 고안은 진동모듈을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 본체의 일단에 내용물을 분배하기 위한 반구 형상의 구조체로 형성된 도포수단을 이용하여 피부에 내용물을 도포하고, 내용물이 도포되는 피부에 진동을 인가하여 마사지하기 위한 진동모듈을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그 용도에 따라 스킨 로션, 영양 크림, 에센스 및 자외선 차단제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로 출시되고 있다. 또한, 상기 화장품은 액체, 점성 유체, 젤(gel) 또는 무른 고체의 형태로 제조되고, 얼굴, 손, 팔, 다리 및 몸 등 사용되는 부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용기에 저장된다.
사용자는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해 용기의 마개를 개방하고 손바닥에 흘려 토출한 후에 손가락 또는 손바닥을 이용하여 목적 부위에 도포한다. 이 경우, 화장품이 목적 부위에 도포되기 전에 손바닥 또는 손가락에 일정량이 흡수되므로, 사용자는 목적 부위에 실제 도포될 양보다 많은 양을 토출해야 한다. 또한, 사용자의 손이 오염된 경우에 화장품을 도포할 목적 부위도 2차로 오염될 수 있어 손을 깨끗이 씻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볼 타입의 도포구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가 출시되고 있다. 상기 볼 타입의 도포구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는 도포용 볼에 수용된 화장품을 피부에 도포하기 위한 것으로, 화장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본체, 상기 저장 본체 상에 형성된 화장료 토출구, 상기 화장료 토출구를 감싸도록 저장 본체로부터 신장된 신장부 및 상기 신장부에 안착하여 화장료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기 위한 볼 타입의 도포구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볼 타입의 도포구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는 볼의 회전에 의해 화장료를 볼의 표면에 부착하고 피부에 도포하는 것이기 때문에 피부에 접촉한 도포구가 회전하여 화장료 토출구에 위치한 화장료와 접촉하는 경우 저장 본체의 내측이 오염될 수 있다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볼 타입의 도포구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는 도포구가 정확한 구의 형상으로 제조되지 않거나 구의 형상으로 제조되더라도 도포구의 회전이 불량할 경우 볼 타입의 도포구에 화장료가 균일하게 묻지 않기 때문에 목적 부위에 원하는 화장을 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갖는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내용물을 피부에 도포하기 위한 도포수단의 형상을 반원 또는 그 단면이 부채꼴의 형상인 구조체로 형성함으로써 도포수단에 묻은 피부의 이물질로부터 용기 본체의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진동모듈을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 본체의 내측에 진동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용기 본체에 저장된 내용물을 진동에 의해 도포수단에 균일하게 분배할 수 있는 진동모듈을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진동모듈의 진동에 의해 내용물이 피부에 밀착하여 도포됨으로써 피부 깊숙이 흡수될 수 있고, 내용물을 피부에 도포함과 동시에 피부를 마사지함으로써 피부 탄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진동모듈을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모듈을 구비하는 도포 용기에 의하면,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일단으로부터 신장된 도포수단 수용부, 상기 도포수단 수용부에 안착하여 상기 도포수단 수용부의 바닥 면에 형성된 내용물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내용물을 분배하기 위한 반구 형상의 구조체로 형성된 도포수단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저장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도포수단의 표면에 내용물을 균일하게 분배하고, 상기 내용물이 도포되는 피부에 진동을 인가하여 마사지하기 위한 진동모듈을 구비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모듈을 구비하는 도포 용기에 의하면, 상기 진동모듈은 상기 저장공간의 내측에 형성되어 수용부 밀폐수단이 탈부착하는 진동모듈 수용부의 내측에 마련되고, 진동자가 장착된 전동모터, 상기 전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전동모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치는 상기 진동자의 진동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모듈을 구비하는 도포 용기에 의하면, 상기 도포수단은 상기 도포수단 수용부의 내측에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반구 형상 구조체의 가장자리를 모따기(chamfering)하거나, 그 단면이 부채꼴의 형상을 갖는 구조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모듈을 구비하는 도포 용기에 의하면, 상기 도포수단 수용부의 바닥 면에는 상기 도포수단 및 상기 도포수단 수용부를 이격시키기 위한 이격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진동모듈을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에 의하면, 내용물을 피부에 도포하기 위한 도포수단의 형상을 반원 또는 그 단면이 부채꼴의 형상인 구조체로 형성함으로써 도포수단에 묻은 피부의 이물질로부터 용기 본체의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진동모듈을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에 의하면, 용기 본체의 내측에 진동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용기 본체에 저장된 내용물을 진동에 의해 도포수단에 균일하게 분배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진동모듈을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에 의하면, 진동모듈의 진동에 의해 내용물이 피부에 밀착하여 도포됨으로써 피부 깊숙이 흡수될 수 있고, 내용물을 피부에 도포함과 동시에 피부를 마사지함으로써 피부 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모듈을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모듈을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를 분해하여 그 단면을 보여주는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모듈을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모듈을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에 채택된 도포수단의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모듈을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모듈을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모듈을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모듈을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를 분해하여 그 단면을 보여주는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모듈을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모듈을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에 채택된 도포수단의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내용물 도포 용기는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11)이 형성된 용기 본체(13), 상기 용기 본체(13)에 탈부착하는 하부 뚜껑(15) 및 상부 뚜껑(17)을 구비한다.
상기 용기 본체(13)는 그 일단에 상부 뚜껑(17)이 장착되고, 타단에 하부 뚜껑(15)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13)는 하부로부터 저장공간(11)으로 내용물이 주입될 수 있고, 상기 내용물이 주입된 후에는 하부 뚜껑(15)에 의해 밀폐된다. 상기 내용물은 액상, 점성 유체, 젤(gel) 및 무른 고체 상태의 화장료이거나 샴푸 또는 염색제 등과 같이 피부에 도포되는 모든 종류의 물질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부 뚜껑(15)은 탈부착 가능하도록 용기 본체(13)의 하부에 장착함으로써 용기 본체(13)를 계속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13)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원통형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저장공간(11)에 저장되는 내용물의 종류 및 용도에 따라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다른 형상의 용기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13)의 일단에는 저장공간(11)에 저장된 내용물을 용기 본체(13)의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내용물 배출구(1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13)의 일단으로부터 용기 본체(13)의 외측으로 도포수단 수용부(21)가 신장되어 있다.
상기 도포수단 수용부(21)에는 내용물 배출구(19)로부터 토출된 내용물을 피부에 도포하기 위한 도포수단(23)이 위치된다. 상기 도포수단(23)은 상부의 일부분만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최대 반경이 도포수단 수용부(21)의 내측에 안착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포수단(23)은 피부에 부착된 세균 등의 오염물질이 용기 본체(13)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로 이동하지 않도록 형성된 구조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도포수단(23)은 도포수단 수용부(21)의 바닥 면과 인접한 하부 면이 편평하게 형성된 반구형의 구조체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반구형의 구조체는 종래에 사용되던 구형의 구조체와는 다르게 피부에 접촉한 부분이 내용물 배출구(19)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용기 본체(13)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축을 중심축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도포수단(23)이 피부에 접촉하더라도 피부에 묻은 이물질을 내용물 배출구(19) 방향으로 전달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도포수단(23)은 도포수단 수용부(21)에 많은 내용물이 수용되도록 하기 위해 도 4b와 같이 반구형의 구조체의 가장자리를 모따기(chamfering)하거나, 도 4c와 같이 그 단면이 부채꼴의 형상을 갖는 구조체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포수단(23)의 단면이 부채꼴의 형상인 경우, 상기 도포수단(23)은 내용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동안 용기 본체(13)의 길이방향을 따라는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진동운동함으로써 도포수단 수용부(21)에 풍부하게 저장된 내용물의 많은 양을 일시에 피부에 도포할 수 있다.
상기 도포수단 수용부(21)의 바닥 면은 편평하게 형성되거나, 도포수단(23)의 하부 면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포수단(23)의 단면이 부채꼴의 형상인 경우, 상기 도포수단 수용부(21)의 바닥 면은 부채꼴의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수단 수용부(21)의 바닥 면에는 바닥 면 및 도포수단(23)의 하부 면을 이격시키기 위한 이격 돌기(2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이격 돌기(25)는 도포수단 수용부(21)의 바닥 면 및 도포수단(23)의 하부 면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내용물 배출구(19)로부터 배출된 내용물을 노출된 도포수단(23)의 표면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 본체(13)의 저장공간(11)에는 내용물 배출구(19)로부터 배출된 내용물을 진동시켜 도포수단(23)의 표면에 균일하게 분배하고, 내용물이 도포되는 피부에 진동을 인가하여 마사지하기 위한 진동모듈(27)이 위치한다. 상기 진동모듈(27)은 내용물 배출구(19) 하부에 인접한 저장공간(11)의 내측에 마련된 진동모듈 수용부(29)에 수용된다.
상기 진동모듈 수용부(29)는 격벽에 의해 두 개의 공간으로 형성되고, 진동모듈(27)이 수용된 후에 수용부 밀폐수단(31)에 의해 밀폐된다. 이 경우, 상기 수용부 밀폐수단(31)은 탈부착 가능하도록 나사산 방식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모듈 수용부(29)에 수용된 진동모듈(27)은 전동모터(33), 배터리(35) 및 스위치(37)를 구비한다.
상기 전동모터(33)는 모터 축에 편심 장착된 진동자(39)를 구비한다. 상기 진동자(39)는 모터 축의 회전에 따라 편심 회전하여 도포수단 수용부(21)의 바닥 면 및 도포수단(23)에 전달한다. 상기 도포수단 수용부(21)의 바닥 면에 전달된 진동은 내용물 배출구(19)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이 도포수단 수용부(21)의 바닥 면 및 도포수단(23)의 하부 면 사이의 이격공간에서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도포수단(23)에 전달된 진동은 내용물이 도포되는 부위에 자극을 줌으로써 마사지 효과뿐만 아니라 내용물을 피부 깊숙이 침투시켜 화장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35)는 전동모터(33)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용의 1차 전지 및 2차 전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35)로부터 전동모터(33)로의 전원 공급은 스위치(37)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스위치(37)는 별도의 제어회로(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여 전동모터(33)에 인가되는 전력을 조절함으로써 모터 축의 회전속도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치(37)는 약한 모드, 중간 모드 및 강 모드 등으로 설정될 수 있어 전동모터(33)에 인가되는 전력을 조절하여 모터 축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고, 피부 상태 및 내용물의 도포 부위에 따라 다른 크기의 진동을 인가함으로써 마사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모듈을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모듈을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내용물 도포 용기를 사용하기 위해 용기 본체(13)로부터 상부 뚜껑(17)을 제거하고, 내용물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수단(23)을 노출시킨다. 그 후에, 상기 사용자는 용기 본체(13)를 기울여 용기 본체(13)의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내용물 배출구(19)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내용물은 도포수단 수용부(21) 및 도포수단(23)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에 침투하고, 상기 도포수단(23)의 회전에 의해 도포수단(23)의 표면으로 넓게 분배된다. 이 경우, 상기 도포수단(23)은 종래 구형의 구조체로 형성된 도포수단과는 다른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기 본체(13)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피부에 접촉한 도포수단(23)의 특정 영역이 내용물 배출구(19)의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아 피부에 묻은 이물질 또는 세균 등의 오염물질이 용기 본체(13)의 저장공간(11)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위치(37)를 조작하여 진동자(39)의 진동수를 조절함으로써 용기 본체(13)에 저장된 내용물이 진동에 의해 도포수단(23)에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하고, 내용물이 피부 깊숙이 흡수되도록 하며, 내용물을 피부에 도포함과 동시에 피부를 마사지함으로써 피부 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1: 저장공간 13: 용기 본체
15: 하부 뚜껑 17: 상부 뚜껑
19: 내용물 배출구 21: 도포수단 수용부
23: 도포수단 25: 이격 돌기
27: 진동모듈 29: 진동모듈 수용부
31: 수용부 밀폐수단 33: 전동모터
35: 배터리 37: 스위치

Claims (4)

  1.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일단으로부터 신장된 도포수단 수용부;
    상기 도포수단 수용부에 안착하여 상기 도포수단 수용부의 바닥 면에 형성된 내용물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내용물을 분배하기 위한 반구 형상의 구조체로 형성된 도포수단;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저장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도포수단의 표면에 내용물을 균일하게 분배하고, 상기 내용물이 도포되는 피부에 진동을 인가하여 마사지하기 위한 진동모듈을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모듈은
    상기 저장공간의 내측에 형성되어 수용부 밀폐수단이 탈부착하는 진동모듈 수용부의 내측에 마련되고,
    진동자가 장착된 전동모터;
    상기 전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전동모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치는 상기 진동자의 진동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수단은 상기 도포수단 수용부의 내측에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반구 형상 구조체의 가장자리를 모따기(chamfering)하거나, 그 단면이 부채꼴의 형상을 갖는 구조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수단 수용부의 바닥 면에는 상기 도포수단 및 상기 도포수단 수용부를 이격시키기 위한 이격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
KR2020120002745U 2012-04-04 2012-04-04 진동모듈을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 KR2004674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745U KR200467403Y1 (ko) 2012-04-04 2012-04-04 진동모듈을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745U KR200467403Y1 (ko) 2012-04-04 2012-04-04 진동모듈을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403Y1 true KR200467403Y1 (ko) 2013-06-18

Family

ID=51389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745U KR200467403Y1 (ko) 2012-04-04 2012-04-04 진동모듈을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40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013B1 (ko) * 2019-12-30 2021-05-28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장 세정용 리무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4496A (ko) * 2009-03-18 2010-09-29 (주)메딕콘 진동 볼을 구비한 액상 화장품 용기
KR20110116657A (ko) * 2010-04-20 2011-10-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진동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158314B1 (ko) 2012-01-16 2012-07-03 심윤석 진동자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4496A (ko) * 2009-03-18 2010-09-29 (주)메딕콘 진동 볼을 구비한 액상 화장품 용기
KR20110116657A (ko) * 2010-04-20 2011-10-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진동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158314B1 (ko) 2012-01-16 2012-07-03 심윤석 진동자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013B1 (ko) * 2019-12-30 2021-05-28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장 세정용 리무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966Y1 (ko) 진동 마사지 기능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US7775735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ensing and applying a fluid such as a cosmetic product or a care product
US20080014011A1 (en) Therapeutic Cosmetic Dispensing Device
US8002487B2 (en) Spreadable food dispenser
EP2618797B1 (en) Device
JPS626817B2 (ko)
KR100702621B1 (ko) 액상 화장품 용기
US2022002262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fluid
CA1157425A (en) Roll-on dispensing device
KR101228044B1 (ko) 광조사와 진동 볼을 구비한 액상 화장품 용기
KR200467403Y1 (ko) 진동모듈을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
KR101822650B1 (ko) 진동 도포기
KR20140075226A (ko) 마사지 볼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US20050072801A1 (en) Multi-compartmented propel container
JPH07231811A (ja) ローラ付塗布容器
KR200464917Y1 (ko) 이온 및 펄스 발생부를 구비하는 도포 용기
KR200448155Y1 (ko) 마사지기가 구비된 화장품용기
KR200242004Y1 (ko) 회전체를 구비한 마스크 팩 용기
KR200470430Y1 (ko) 페인팅 솔이 구비된 화장용 팩 용구
EP0779044A1 (en) Improved massage-like application device for a fluid product on the skin
KR200447841Y1 (ko) 마사지 부재를 구비한 화장품용기
JP2008302160A (ja) 塗布具及び塗布物質容器
KR200480112Y1 (ko) 내용물개폐수단을 가지며 탈부착 가능한 마사지부재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1909121B1 (ko) 재사용이 가능한 실시간 멸균 기능을 가진 화장품 보관용기
KR200494138Y1 (ko) 전동칫솔에 장착되는 화장품 도포 장치 및 전동칫솔에 장착되는 화장품 도포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