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889Y1 - 화장품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화장품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889Y1
KR200452889Y1 KR2020090002248U KR20090002248U KR200452889Y1 KR 200452889 Y1 KR200452889 Y1 KR 200452889Y1 KR 2020090002248 U KR2020090002248 U KR 2020090002248U KR 20090002248 U KR20090002248 U KR 20090002248U KR 200452889 Y1 KR200452889 Y1 KR 2004528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uide tube
cosmetic
shaft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22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832U (ko
Inventor
손세훈
Original Assignee
(주)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우 filed Critical (주)연우
Priority to KR20200900022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889Y1/ko
Publication of KR201000088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8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8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8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1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roller, a disc or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1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all, a roller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22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reciprocable plu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38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pring-like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품을 수용하기 위한 저장용기와, 상하 방향의 가이드 홈이 형성된 제1 가이드관과, 물결모양의 가이드가 형성된 제2 가이드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관과 제2 가이드관에 가이드 축의 축돌기가 체결됨으로써 제2 가이드관의 회전운동을 가이드 축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인체에 화장품을 도포하는 화장품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 가이드관, 제2 가이드관, 가이드 축, 축돌기, 물결모양 가이드, 화장품 도포수단

Description

화장품 도포장치{Cosmetic Apparatus for Application}
본 고안은 화장품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 방향의 가이드 홈이 형성된 제1 가이드관과, 물결모양의 가이드가 형성된 제2 가이드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관과 제2 가이드관에 가이드 축의 축돌기가 체결됨으로써 제2 가이드관의 회전운동을 가이드 축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인체에 화장품을 도포하는 화장품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 또는 페이스트상의 화장품은 디스펜서 용기에 저장되어 제공된다. 특히, 최근에는 별도의 화장품 수용도구가 필요 없도록 그 내부에 화장품이 수납되어 원하는 부위에 직접 화장품을 도포할 수 있으며 또한 그 외관을 향상시킨 펜 타입의 화장도구가 널리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펜타입 화장품 도포장치는 화장품이 충전된 화장품 충전부, 인체에 화장품을 도포하는 도포유닛, 이 도포유닛측으로 화장품을 공급하는 공급유닛 등을 포함한다. 도포유닛의 단부에는 브러시, 스폰지, 실리콘, 구체 또는 반구 체 등으로 이루어진 도포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급유닛은 일반적으로 푸시 버튼에 의해 화장품 수용부의 화장품을 도포 유닛으로 밀어내는 피스톤기구로 이루어지고, 푸시 버튼은 도포 유닛의 길이방향 반대측에 위치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화장품 도포장치는 푸시 버튼이 도포 유닛의 반대편에 위치하여 인체에 화장품을 적절하게 도포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하나의 목적은 상하 방향의 가이드 홈이 형성된 제1 가이드관과, 물결모양의 가이드가 형성된 제2 가이드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관과 제2 가이드관에 가이드 축의 축돌기가 체결됨으로써 제2 가이드관의 회전운동을 가이드 축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인체에 화장품을 도포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이 간편한 효과가 있는 화장품 도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하나의 양상은,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일단은 폐쇄되고 타단은 개방되며 내부 공간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저장용기와,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상기 저장용기의 개구단부에 결합되며 내통부와 외통부를 구비하고 외통부의 일측에 상하 방향의 가이드 홈이 형성된 제1 가이드관과,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상기 제1 가이드관의 외통부에 결합되며 그 상단부 내주면에 물결모양의 가이드가 형성된 제2 가이드관과, 상기 제1 가이드관 및 제2 가이드관에 체결되어 도포수단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축과, 내용물을 펌핑하는 펌핑수단 및 펌핑된 내용물을 인체에 도포하는 도포수단을 포함하는 화장품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화장품 도포장치는 제2 가이드관의 회전운동을 가이드 축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화장품 도포장치는, 제1 가이드관의 가이드 홈 및 제2 가이드관의 물결모양 가이드에 가이드 축의 축돌기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화장품 도포장치는 저장용기의 도포수단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2 가이드관을 적절히 회전시키면서 인체의 원하는 부위에 화장품을 도포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화장품 도포장치는, 종래의 화장품 도포장치에서 필요로 하는 푸시 버튼 등을 포함하는 별도의 공급 유닛이 필요하지 않음으로써 구조가 간단한 화장품 도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는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a는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화장품 도포장치의 사용 정지 상태에서의 일부분 절개 정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A-A 면 단면도이며, 도 2a는 사용 상태에서의 일부분 절개 정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B-B 면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도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화장품 도포장치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일단은 폐쇄되고 타단은 개방되며 내부 공간(11)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저장용기(10)와,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상기 저장용기(10)의 개구단부에 결합되며 내통부(22)와 외통부(21)를 구비하고 외통부(21)의 일측에 상하 방향의 가이드 홈(23)이 형성된 제1 가이드관(20)과,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상기 제1 가이드관(20)의 외통부(21)에 결합되며 그 상단부 내주면에 물결모양의 가이드(31)가 형성된 제2 가이드관(30)과, 상기 제1 가이드관(20) 및 제2 가이드관(30)에 체결되어 도포수단(6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축(40)과, 내용물을 펌핑하는 펌핑수단(50) 및 펌핑된 내용물을 인체에 도포하는 도포수단(60)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화장품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10)는 가늘고 긴 원통형상으로 그 일단은 폐쇄되고 그 타단은 개방되며 그 내부(11)에 화장품 등의 내용물이 수용된다. 상기 내용물은 액상이거나 페이스트상일 수 있다. 상기 저장용기(10)의 폐쇄된 단부측 내부에는 내용물이 토출됨에 따라서 내용물의 상부 경계면에서 저장용기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피스톤(12)이 구비된다. 또한, 저장용기(10)의 폐쇄된 단부측에는 상기 피스톤(12)과 저장용기 사이의 공간(13)에 압력을 형성하기 위한 공기 구멍(14)이 형성된다. 상기 저장용기(10)의 재질로는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저장용기(10)의 개구된 단부에는 제1 가이드관(20)이 체결된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화장품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관(20)은 상하 단이 개구된 내통부(22)와 외통부(21)를 포함한다. 상기 외통부(21)의 상단 일 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가늘고 긴 가이드 홈(23)이 형성되고, 하단부는 저장용기(10)의 개구 단부와 끼움 결합된다. 상기 제1 가이드관(20)과 저장용기(10)의 결합방법은 끼움 결합 외에 나사 결합 등 공지의 결합방법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관(20) 외통부(21)의 하부측 직경은 저장용기(10)의 개구 단부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부측 직경은 하부측 직경보다 조금 작게 형성되어 그 외주면에 제2 가이드관(30)이 끼워 결합된다.
상기 제2 가이드관(30)은 상하단이 개구된 원통형(31)으로 그 하단 개구부가 상기 제1 가이드관(20)의 외통부(21) 외주면에 끼워 결합되며, 상단 개구부측에는 도포수단(60)이 상하 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제2 가이드관(30)의 상부측 내주면에는 안쪽 방향으로 돌출하여 턱이 진 물결모양의 가이드(31)가 형성된다. 이 물결모양의 가이드(31)는 상기 제1 가이드관(20)의 상하 방향 가이드홈(23)과 협동하여 뒤에 상세하게 설명할 본 고안의 화장품 도포장치에 대한 펌핑 및 도포 작용을 수행한다.
상기 제1 가이드관(20)의 내통부(22)에는 중공의 원통 형상인 가이드 축(40)이 끼워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 축(40)은 상기 제1 가이드관(20)의 상하방향 가이드 홈(23)과 제2 가이드관(30)의 물결모양 가이드(31)에 결합하는 축돌기(42)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축(40)의 외주면 상부에는 외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둥근 홈 형상의 스프링 받침(41)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받침(41)의 외주면 일측에 외경 방향으로 돌출된 축돌기(42)가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 받침(41)과 제1 가이 드관(20)의 내통부(22) 외주면에 형성된 턱(24) 사이에는 가이드 축(4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스프링(43)이 장착된다. 이 스프링(43)은 후술할, 가이드 축(40)의 상하 운동에서 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 저장용기(10)의 개구부와 제1 가이드관(20) 외통부(22)의 하부 공간 사이에는 저장용기(10)에 수용된 화장품 등 내용물을 도포수단(60)으로 펌핑하기 위한 펌핑수단(50)이 결합된다. 상기 펌핑수단(50)은 피스톤이 펌핑됨에 따라 내용물이 유출되는 종래의 공지된 화장품 펌핑수단과 그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다. 상기 펌핑수단(50)은, 예를 들어 화장품이 흡입되는 흡입구(53)가 형성된 하우징(51), 흡입구(53)를 개폐시키는 체크 밸브, 스프링에 의해 반복적으로 펌핑가능하도록 하우징(51) 내부에 구비되는 피스톤, 내용물을 도포수단으로 토출하는 토출구(5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핑수단(50)의 토출구(52)는 상기 가이드 축(40)의 하단부측 내주면에 끼워져 화장품 등의 토출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 축(40)의 상단부에는 도포수단(60)이 체결된다. 상기 도포수단(60)은 콘 형상의 캡(61)과, 상기 캡(61)의 내주면에 장착되며 대략 반구형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볼 삽입부재(62)를 포함한다. 상기 볼 삽입부재(62)에는 인체에 직접 화장품 등을 도포하기 위한 볼(64)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볼 삽입부재(62)의 중앙에는 노즐(63)이 형성되어, 펌핑수단(50)의 토출구(52)를 통하여 토출된 화장품 등이 가이드 축(40) 내경을 거쳐 상기 노즐(63)을 통해 상기 볼(64)에 공급된다. 상기 도포수단(60)의 외부에는 화장품 등이 마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뚜껑(70) 등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예시된 구현예에서는 상 기 도포수단(60)이 볼 타입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브러시, 스폰지, 실리콘, 구체 또는 반구체 등 공지된 도포수단을 제한없이 채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화장품 도포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도포장치의 사용 정지 상태에서의 각 구성요소간 결합관계를 도시한 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사용 상태에서의 각 구성요소간 결합관계를 도시한 투시도이다.
전술한 도면 및 도 4a 내지 도 5b를 참고하면, 먼저 화장품 도포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가이드 축(40)의 축돌기(42)는 제1 가이드관(20)의 가이드 홈(23) 상단부에 위치하게 되며, 이때 축돌기(42)는 또한 제2 가이드관(30) 물결모양 가이드(31)의 오목한 홈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제2 가이드관(30)을 회전시키게 되면 축돌기(42)는 제2 가이드관(30)의 물결모양 가이드(31)의 제1 경사면(32)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1 가이드관(20)의 상하 방향 가이드 홈(23)을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어서, 제2 가이드관(30)을 계속하여 회전시키면 축돌기(42)는 상기 제1 경사면(32)의 끝 부분에 도달하게 되며 이때 축돌기(42)의 위치는 제1 가이드관(20)의 가이드 홈(23)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가이드 축(40)을 둘러싸고 있는 스프링(43)은 최대로 압축된 상태로 된다. 그 이후에는 상기 스프링(43)의 복원력에 의하여 축돌기(42)는 제2 경사면(33)을 따라서 원래의 위치, 즉 물결모양 가이 드(31)의 오목한 홈으로 자동적으로 복귀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화장품 도포수단은 제2 가이드관(30)의 회전운동을 가이드 축(40)의 상하 운동으로 변환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작동을 반복함으로써 저장용기(10) 내에 수용된 내용물이 펌핑수단(50)의 펌핑작용에 의하여 외부로 토출하게 된다. 이때 물결모양 가이드(31) 제1 경사면(32)의 경사각을 제2 경사면(33)의 경사각보다 완만하게 형성하여 제2 가이드관(30) 회전운동을 가이드 축(40)의 상하운동으로 용이하게 변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들어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할 것이다.
도 1a는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화장품 도포장치의 사용 정지 상태에서의 일부분 절개 정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A-A 면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화장품 도포장치의 사용 상태에서의 일부분 절개 정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B-B 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화장품 도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화장품 도포장치의 사용 정지 상태에서의 각 구성요소간 결합관계를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화장품 도포장치의 사용 상태에서의 각 구성요소간 결합관계를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저장용기 20 : 제1 가이드관
23 : 상하방향 가이드 홈 30 : 제2 가이드관
31 : 물결모양 가이드 40 : 가이드 축
42 : 축돌기 50 : 펌핑수단
60 : 도포수단 70 : 뚜껑

Claims (4)

  1.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일단은 폐쇄되고 타단은 개방되며 내부 공간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저장용기와,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상기 저장용기의 개구단부에 결합되며 내통부와 외통부를 구비하고 외통부의 일측에 상하 방향의 가이드 홈이 형성된 제1 가이드관과,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상기 제1 가이드관의 외통부에 결합되며 그 상단부 내주면에 물결모양의 가이드가 형성된 제2 가이드관과,
    상기 제1 가이드관 및 제2 가이드관에 체결되어 도포수단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축과,
    내용물을 펌핑하는 펌핑수단 및 펌핑된 내용물을 인체에 도포하는 도포수단을 포함하는 화장품 도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도포장치는 제2 가이드관의 회전운동을 가이드 축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도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도포장치는 제1 가이드관의 가이드 홈 및 제2 가이드관의 물결모양 가이드에 가이드 축의 축돌기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도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수단은 브러시, 스폰지, 실리콘, 구체 또는 반구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도포장치.
KR2020090002248U 2009-02-27 2009-02-27 화장품 도포장치 KR2004528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248U KR200452889Y1 (ko) 2009-02-27 2009-02-27 화장품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248U KR200452889Y1 (ko) 2009-02-27 2009-02-27 화장품 도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832U KR20100008832U (ko) 2010-09-06
KR200452889Y1 true KR200452889Y1 (ko) 2011-03-23

Family

ID=44199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2248U KR200452889Y1 (ko) 2009-02-27 2009-02-27 화장품 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88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974B1 (ko) * 2013-05-02 2015-01-07 (주)연우 회전 펌핑식 마스카라 용기
WO2015053551A1 (ko) * 2013-10-10 2015-04-16 (주)연우 회전 토출식 화장품 용기
WO2020158999A1 (ko) * 2019-02-01 2020-08-06 (주)신광엠앤피 교체형 퍼프가 구비된 직각 회전 개폐식 화장품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6627A1 (ko) * 2010-08-23 2012-03-01 (주)연우 화장품 도포장치
KR101259624B1 (ko) * 2011-05-25 2013-04-29 (주)연우 회전식 펌핑용기
KR200471503Y1 (ko) * 2012-03-16 2014-02-27 펌텍코리아 (주) 마사지볼 캡 장착형의 회전 펌핑식 용기
KR200473938Y1 (ko) * 2013-03-20 2014-08-12 (주)아모레퍼시픽 회전 펌핑 샴푸용기
KR101490709B1 (ko) * 2013-03-20 2015-02-06 주식회사 탭코리아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아이라이너 화장품용기
ES2634030T3 (es) * 2013-10-14 2017-09-26 Yonwoo Co., Ltd. Recipiente para cosméticos del tipo de bombeo giratorio
CN104544906B (zh) * 2013-10-14 2017-09-01 株式会社衍宇 旋转抽吸式化妆品容器
KR101587785B1 (ko) * 2014-05-20 2016-01-22 (주)연우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KR101736817B1 (ko) * 2015-06-09 2017-05-29 변영광 액상 화장품 용기
KR102293172B1 (ko) * 2020-07-13 2021-08-25 주식회사 승일 분사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175A (ja) 1984-06-28 1986-01-18 Pentel Kk 塗布具
KR200230134Y1 (ko) 2000-12-15 2001-07-03 주식회사 다인산업 정량의 화장액을 공급할 수 있는 회전식 화장용기
KR20030001052A (ko) * 2001-06-28 2003-01-06 변영광 파운데이션 분사기구 및 이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충진식화장용구
KR100540676B1 (ko) 2004-07-08 2006-01-10 김윤회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175A (ja) 1984-06-28 1986-01-18 Pentel Kk 塗布具
KR200230134Y1 (ko) 2000-12-15 2001-07-03 주식회사 다인산업 정량의 화장액을 공급할 수 있는 회전식 화장용기
KR20030001052A (ko) * 2001-06-28 2003-01-06 변영광 파운데이션 분사기구 및 이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충진식화장용구
KR100540676B1 (ko) 2004-07-08 2006-01-10 김윤회 화장품 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974B1 (ko) * 2013-05-02 2015-01-07 (주)연우 회전 펌핑식 마스카라 용기
WO2015053551A1 (ko) * 2013-10-10 2015-04-16 (주)연우 회전 토출식 화장품 용기
KR101559078B1 (ko) * 2013-10-10 2015-10-08 (주)연우 회전 토출식 화장품 용기
WO2020158999A1 (ko) * 2019-02-01 2020-08-06 (주)신광엠앤피 교체형 퍼프가 구비된 직각 회전 개폐식 화장품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832U (ko) 2010-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2889Y1 (ko) 화장품 도포장치
KR101559078B1 (ko) 회전 토출식 화장품 용기
JP3490057B2 (ja) 液状製品の収容供給ユニット
JP6431544B2 (ja) パウダー吐出容器
KR101631827B1 (ko) 펌프 타입 컴팩트 용기
EP3117737A1 (en) Rotary open/close-type tube container
JP6514339B2 (ja) リングボタン部材を備えたコンパクト容器
US20180146765A1 (en) Liquid contents discharge container having absorption member
JP6669857B2 (ja) 折りたたみ式化粧品容器
EP3031351B1 (en) Airless compact container
KR101490709B1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아이라이너 화장품용기
JP2007236920A (ja) パウダー吐出が容易な化粧品容器
JP2016514975A (ja) クリームタイプ真空化粧品容器
KR200481202Y1 (ko) 다수의 도포용볼을 구비한 겔상 화장료용 펌프 용기
WO2008072823A1 (en) A dispenser container provided with an applier
CN111770701A (zh) 化妆品容器
KR200481241Y1 (ko) 도포용볼을 구비한 펌프 용기
KR100789295B1 (ko) 파우더 토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WO2012026627A1 (ko) 화장품 도포장치
KR100571507B1 (ko) 토출형 액상 화장품용기
KR100540676B1 (ko) 화장품 용기
KR101876759B1 (ko) 이종 화장품을 저장함과 아울러 맛사지 기능을 가지는 튜브형 화장품용기
KR20100008358U (ko) 마름방지용 캡을 구비한 화장도구
KR200486850Y1 (ko) 액상 화장품 용기
CN111134439A (zh) 化妆品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