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2305B1 - 작동 유체에 함유한 금속 이물을 제거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작동 유체에 함유한 금속 이물을 제거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2305B1
KR101822305B1 KR1020160147479A KR20160147479A KR101822305B1 KR 101822305 B1 KR101822305 B1 KR 101822305B1 KR 1020160147479 A KR1020160147479 A KR 1020160147479A KR 20160147479 A KR20160147479 A KR 20160147479A KR 101822305 B1 KR101822305 B1 KR 101822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working fluid
hole
main body
suppor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7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5141A (ko
Inventor
박광현
Original Assignee
박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현 filed Critical 박광현
Priority to KR1020160147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2305B1/ko
Publication of KR20160135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5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1/00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i.e. removing metal with a series of rapidly recurring electrical discharges between an electrode and a workpiece in the presence of a fluid dielectric
    • B23H1/10Supply or regeneration of working med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2Transportable units, e.g. for cleaning room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11/00Auxiliary apparatus or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36Supply or regeneration of working med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20Magnetic separation whereby the particles to be separated are in solid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동 유체가 흐르는 본체에 피스톤 수단을 갖추고 작동 유체가 흐르면서 금속 이물이 자석 부분에 달라붙게 한 다음, 이 피스톤 수단으로 금속 이물을 긁어서 제거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저렴하게 제작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피스톤 수단으로 이물을 제거할 때도 자석 부분에 금속 이물이 달라붙게 하므로 작동 유체를 사용하는 장치의 가동을 멈추지 않고도 금속 이물을 제거할 수 있고, 또한 피스톤 수단을 적어도 두 개 구성하고 그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나머지 피스톤 수단과 반대로 동작하게 구성하므로 이처럼 장치 가동을 멈추지 않고 계속해서 금속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작동 유체에 함유한 금속 이물을 제거하는 장치{APPARATUS FOR REMOVING METAL FOREIGN MATERIAL FROM WORKING FLUID}
본 발명은 작동 유체에 함유한 금속 이물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의 피스톤과 자석을 통해 간단하고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작동 유체를 사용할 때도 편리하게 금속 이물을 제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방전가공기는 두 전극 사이에 방전을 일으킬 때 발생하는 물리적·기계적·전기적 작용을 이용하여 방전가공물을 가공하는 가공기이다. 이러한 방전가공기는 양극(또는 음극)을 방전가공물에 인가하고, 전극봉에 음극(또는 양극)을 인가하여 와이어 또는 방전가공물을 공작 테이블 상에서 움직이게 하여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공작물을 가공한다.
특히, 방전가공기는 그 가공 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구분한다. 전극봉을 이용하여 홀이나 홈 등을 가공하는 방전가공기, 와이어를 연속으로 공급하여 방전가공물에 미리 정한 형상이나 모양을 가공하는 방전가공기, 그리고 미리 뚫어놓은 구멍이나 홈 등에 탭 가공과 같은 가공하는 방전가공기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방전가공기는 방전 효과를 높이기 위해 방전유(또는 작동 유체)를 사용하고, 방전유는 통상 아래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와 같은 여과수단을 통해 여과하여 순환하게 해서 다시 사용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0593949호
오일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방전가공기에 독립된 순환회로로 설치되면서 방전유에 포함된 다소 큰 덩어리의 이물질과 미세한 이물질을 차례로 여과하여 방전유의 여과가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전가공기용 방전유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주입관이 설치되고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와, 상기 펌프와 연결되고 배출관을 갖는 매니폴드와, 상기 매니폴드의 상부로 상기 주입관과 배출관의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메인여과기로 구성되는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 및 배출관의 끝단이 방전유가 저장되는 저장탱크에 연결되고, 상기 주입관의 선단으로 관로 상에 방전유에 포함되는 다소 큰 덩어리의 이물질을 미리 걸러주는 프리여과기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51302호
방전가공기용 방전유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방전용 가공대상물의 하측에 위치하며 레일부재가 이격 설치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방전용 가공대상물의 가공에 사용되는 방전유를 회수하는 저장부 및 레일부재를 따라 상기 저장부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부로 방전유를 안내하는 경사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기존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방전 가공기와 같이 금속 이물을 포함한 이물을 걸러주는 장치는 이를 별도로 걸러줄 수 있도록 필터와 같은 거름 수단이 필요하다.
(2) 특히, 거름 수단은 통상 필터 형태로 많이 사용하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금속 이물 등이 거름 수단을 막아 거름 효과를 떨어뜨린다.
(3) 이에, 주기적으로 거름 수단을 청소해 주거나 거름 수단을 교환해 주어야 하므로, 유지 보수가 불편하다.
(4) 또한, 이처럼 거름 수단을 청소하거나 교환하려면 장치를 멈춘 상태에서 청소나 교환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방전 가공 효율을 떨어뜨린다.
(5) 한편, 이러한 문제는 방전가공기뿐만 아니라 이처럼 작동 유체를 사용하는 선반과 같은 공작기계 등 작동 유체나 냉각 유체 그리고 가공유를 사용하는 장치의 경우도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등록특허 제0593949호 (등록일 : 2006.06.20) 한국등록특허 제1051302호 (등록일 : 2011.07.18)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작동 유체가 흐르는 본체에 피스톤 수단을 갖추고 작동 유체가 흐르면서 금속 이물이 자석 부분에 달라붙게 한 다음, 이 피스톤 수단으로 금속 이물을 긁어서 제거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저렴하게 제작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작동 유체에 함유한 금속 이물을 제거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피스톤 수단으로 자석 부분의 표면을 이물을 긁어서 제거할 때도 자석 부분에 금속 이물이 달라붙게 하므로, 작동 유체를 사용하는 장치나 본 발명에 따른 제거장치를 멈추지 않고도 금속 이물을 제거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피스톤 수단을 적어도 두 개 구성하고 그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나머지 피스톤 수단과 반대로 동작하게 구성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작동을 멈추게 하지 않고 계속해서 금속 이물을 제거할 수 있게 한 작동 유체에 함유한 금속 이물을 제거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처럼 작동 유체를 사용하는 장치, 예를 들어서 방전가공기 등에 적용하여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작동 유체에 함유한 금속 이물을 제거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유체에 함유한 금속 이물을 제거하는 장치는, 작동 유체가 관통하여 지날 수 있게 형성한 관통 구멍(110), 그리고 상기 관통 구멍(110)과 교차하여 서로 통하며 한쪽이 개방되게 형성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구멍(120)을 갖춘 본체(100); 한쪽을 상기 작동 구멍(120)의 개방되지 않은 쪽에 고정하고 끝에 비자성체 부분(210)을 갖춘 다른 한쪽을 작동 구멍(120)의 개방된 쪽으로 노출되게 설치한 자석 부분(200); 외주에 실링(311)을 갖춰서 작동 구멍(120)에 누수가 생기지 않게 구성하며 상기 자석 부분(200)에 끼워져서 그 외주를 따라 슬라이딩하며 금속 이물을 긁어내는 제1 피스톤(310), 그리고 적어도 두 개의 지지 바(321)로 상기 제1 피스톤(310)과 미리 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고정한 지지 브래킷(320)을 포함하는 피스톤 수단(300); 상기 지지 바(321)에 끼워져서 제1 피스톤(310)과 지지 브래킷(320)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게 상기 작동 구멍(120)과 자석 부분(200)에 누수가 안 되게 끼워져서 움직이는 제2 피스톤(400); 및 한쪽을 상기 지지 브래킷(320)에 고정하고 다른 한쪽을 본체(100)에 고정하여 피스톤 수단(300)을 자석 부분(200)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액추에이터(500);를 포함하되;, 상기 피스톤 수단(300)은, 상기 지지 브래킷(320)을 본체(100) 쪽으로 밀면 제1 피스톤(310)과 제2 피스톤(400) 사이로 작동 유체가 흐르게 하여 자석 부분(200)에 금속 이물이 달라붙게 하고, 반대로 상기 지지 브래킷(320)을 본체(100) 바깥쪽으로 당기면 제1 피스톤(310)과 제2 피스톤(400)이 가까이 인접하면서 그 사이로 제1 피스톤(310)이 자석 부분(200)에서 긁어낸 금속 이물을 본체(100) 외부로 배출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작동 구멍(120)은, 적어도 2개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작동 구멍(120)에 장착한 피스톤 수단(300)은, 적어도 하나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유체에 함유한 금속 이물을 제거하는 장치는, 방전가공기에서 사용한 작동 유체에서 금속 이물을 제거하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유체에 함유한 금속 이물을 제거하는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흐르는 작동 유체에서 자석에 금속 이물을 부착하게 하여 긁어내므로 간단한 구성으로도 금속 이물 제거 효과를 높일 수 있다.
(2) 특히, 작동 유체가 흐르는 동안에도 금속 이물을 제거할 수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제거장치를 장착한 방전 가공기와 같은 장치의 작동을 멈추게 하지 않고서도 금속 이물을 제거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3) 이때, 적어도 두 개의 피스톤 수단을 갖추고,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 수단이 나머지 피스톤 수단과 반대로 작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적어도 어느 하나가 금속 이물을 부착할 때 다른 피스톤 수단에 달라붙은 금속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방전가공기와 같은 장치를 멈추지 않고서도 작동 유체에 포함된 금속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4) 자석 부분과 이 자석 부분에 끼워서 동작하는 2개의 피스톤 부분을 관리하면 되므로 유지 보수가 편리하다.
(5) 방전가공기뿐만 아니라 공작기계와 같이 작동 유체를 사용하는 장치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 제거장치를 장착하여 작동 유체에 포함된 금속 이물을 제거할 수 있어 범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금속 이물 제거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금속 이물 제거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금속 이물 제거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자석 부분에 피스톤 수단과 제2 피스톤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금속 이물 제거장치에서 피스톤 수단을 개방하여 금속 이물을 제거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금속 이물 제거장치에서 피스톤 수단을 개방하여 금속 이물을 제거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금속 이물 제거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자석 부분의 구성을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유체에 함유한 금속 이물을 제거하는 장치는,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본체(100), 자석 부분(200), 제1 피스톤(310)을 갖춘 피스톤 수단(300), 제2 피스톤(400), 그리고 액추에이터(50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피스톤 수단(300)이 본체(100)에 수납됨에 따라 제1 피스톤(310)과 제2 피스톤(400) 사이로 작동 유체가 흐르면서 금속 이물이 자석 부분(200)에 달라붙게 하고, 이 피스톤 수단(300)이 본체(100)에서 인출함에 따라 제1 피스톤(310)이 자석 부분(200)의 표면을 긁어내면서 금속 이물을 본체(100) 밖으로 배출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00)는,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미리 정한 크기를 가진 블록 형상으로 형성한다. 물론, 본체(100)는 블록 형상을 예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음을 해당 업계 종사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도 1]·[도 3]·[도 5] 및 [도 6]과 같이, 관통 구멍(110)을 형성한다. 관통 구멍(110)은 본체(100) 외부에서 작동 유체를 공급받고 이 작동 유체가 통과하여 본체(100) 밖으로 배출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구성을 말한다. 이러한 관통 구멍(110)은 도면에서 본체(100)를 가로 방향으로 가로질러서 관통하게 형성한 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작동 유체가 본체(100)의 어느 한쪽으로 공급되어서 이 본체(100)를 통과하여 그 바깥으로 배출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든지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는, [도 1]·[도 3]·[도 5] 및 [도 6]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작동 구멍(120)을 형성한다. 작동 구멍(120)은 후술할 피스톤 수단(300)이 끼워져서 동작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술한 관통 구멍(110)과 교차하게 형성한다. 도면에서, 상기 작동 구멍(120)은 관통 구멍(110)과 직교하게 3개를 형성한 예를 보여준다. 그리고, 이 작동 구멍(120)은 한쪽을 개방하여 개방한 쪽으로 피스톤 수단(300)이 노출되게 하여 금속 이물을 제거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작동 구멍(120)은, [도 5]와 같이, 상술한 관통 구멍(110)과 통하면서 교차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관통 구멍(110)을 통해 유동하는 작동 유체가 이 작동 구멍(120)에 장착한 자석 부분(200)과 접촉하게 하여 작동 유체에 포함된 금속 이물이 자석 부분(200)에 달라붙게 하여 제거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자석 부분(200)은, [도 1]·[도 3] 내지 [도 6]과 같이, 상술한 작동 구멍(120)에 장착한다. 이때, 자석 부분(200)은 한쪽을 작동 구멍(120)의 개방되지 않은 안쪽에 고정하고, 다른 한쪽을 개방한 쪽으로 노출되게 장착한다. 이는, 그 표면에 달라붙은 금속 이물을 긁어내서 개방한 쪽으로 배출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자석 부분(200)은 전자석이나 영구자석 등 어떤 자석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나, 항상 자력을 띄는 영구자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석 부분(200)이 가진 자력은 본 발명에 따른 제거장치를 장착하는 장치, 예를 들어서 방전가공기와 같이 사용하는 장비에 따라 발생한 금속 이물의 종류와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자력을 가진 영구자석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해당 업계 종사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자석 부분(200)은, [도 1] 및 [도 6]과 같이, 작동 구멍(120)의 중간에 놓이게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할 제1 피스톤(310)이 자석 부분(200)에 끼워져서 움직임에 따라 이 제1 피스톤(310)이 자석 부분(200)의 외부에 달라붙은 금속 이물을 제거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자석 부분(200)은, [도 1]·[도 3] 내지 [도 6]과 같이, 본체(100) 밖으로 노출되는 끝 부분을 도자기나 합성수지와 같은 비자성체 부분(210)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피스톤(310)이 금속 이물을 긁어낼 때 끝 부분에서 이 비자성체 부분(210)을 통해 자력을 잃게 하여 금속 이물을 쉽게 긁어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피스톤 수단(300)은,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자석 부분(200)에 달라붙은 금속 이물을 긁어내는 제1 피스톤(310)과 이 제1 피스톤(310)을 동작하게 하는 지지 브래킷(3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피스톤(310)은, [도 1]·[도 3] 내지 [도 6]과 같이, 작동 구멍(120)에 끼워져서 움직일 수 있게 설치한다. 이때, 제1 피스톤(310)은, [도 4]와 같이, 작동 구멍(120)과의 사이에 누수가 생기지 않도록 외주에 실링(311)을 갖추고, 상술한 자석 부분(200)에 끼워져서 그 길이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그 표면에 달라붙은 금속 이물을 긁어낼 수 있게 장착한다. 이때, 상기 제1 피스톤(310)과 자석 부분(200) 사이에는 실링이나 부싱 등을 장착하여 자석 부분(200)에 달라붙은 금속 이물을 깨끗하게 긁어서 제거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피스톤(310)에는 후술할 제2 피스톤(400)과 마주하는 면에 미리 정한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개의 돌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는 제1 피스톤(310)과 제2 피스톤(400)이 접했을 때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틈새를 형성하게 하고, 이 틈새로 제1 피스톤(310)에서 긁어낸 금속 이물을 본체(100) 외부로 내보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지지 브래킷(320)은, [도 1]·[도 3] 내지 [도 6]과 같이, 상술한 제1 피스톤(310)과 미리 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적어도 두 개의 지지 바(321)로 연결하여 고정한다. 이때, 상기 지지 브래킷(320)과 제1 피스톤(310) 사이의 간격은, [도 1]과 같이, 피스톤 수단(300)을 본체(100) 안으로 수납했을 때 이 제1 피스톤(310)과 후술할 제2 피스톤(400)이 관통 구멍(110)에 중첩되지 않아 이 관통 구멍(110)을 통해 작동 유체가 화살표와 같이 흐를 수 있을 정도로 형성한다.
제2 피스톤(400)은, [도 1]·[도 3] 내지 [도 6]과 같이, 상술한 지지 바(321)에 끼워져서 슬라이딩할 수 있게 장착한다. 이때, 상기 제2 피스톤(400)은 상술한 작동 구멍(120)에 실링 등으로 누수가 안 되게 장착해야 함은 해당 업계 종사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제2 피스톤(400)은, [도 1]과 같이, 피스톤 수단(300)이 본체(100) 안에 수납되면 상술한 제1 피스톤(310)과 미리 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그 사이로 작동 유체가 화살표 방향으로 흐를 수 있게 한다. 이때, 제1 피스톤(310)과 제2 피스톤(400) 사이의 간격은 관통 구멍(110)의 지름 정도로 벌어지게 하여 그 사이로 유체 흐름이 이루어지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추에이터(500)는,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양단을 본체(100)와 상술한 지지 브래킷(320)에 연결하여, 상기 피스톤 수단(300)을 구성하는 제1 피스톤(310) 과 제2 피스톤(400)이 작동 구멍(120)을 따라 그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액추에이터(500)는 직선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와 같이 쉽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이물 제거장치는, [도 1]과 같이, 액추에이터(500)로 지지 브래킷(320)을 이송시켜 피스톤 수단(300)이 작동 구멍(120) 안에 수납되게 하면, 지지 바(321)에 고정한 제1 피스톤(310)은 작동 구멍(120) 안까지 밀려 들어가고, 이 지지 바(321)에 슬라이딩하는 제2 피스톤(400)은 지지 브래킷(320)과 밀착하게 된다. 이에, 제1 피스톤(310)과 제2 피스톤(400) 사이로 작동 유체가 화살표와 같이 흐르고, 이에 작동 유체에 포함된 금속 물질이 자석 부분(200)에 부착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이물 제거장치는, [도 5]와 같이, 액추에이터(500)로 지지 브래킷(320)을 이송시켜 피스톤 수단(300)을 작동 구멍(120)에서 밖으로 화살표와 같이 인출하게 하면, 제1 피스톤(310)이 자석 부분(200)의 외주에서 금속 이물을 긁어내게 된다. 이때, 액추에이터(500)는 제1 피스톤(310)이 작동 구멍(120)의 개방된 끝에 걸릴 때까지 인출하면, 긁어낸 금속 이물이 본체(100) 밖으로 노출되면서 아래로 떨어져서 금속 이물 제거를 마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이물 제거장치는, 이처럼 피스톤 수단으로 금속 이물을 제거하는 동안에도 자석 부분(200)을 금속 이물이 달라붙게 하여 제거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이물 제거장치는, 도면에서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액추에이터(500)가 미리 정한 시간 간격, 예를 들어서 1시간에 한 번씩 피스톤 수단(400)을 동작하게 제어하여 작업자가 없이도 자동으로 금속 이물을 제거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음을 해당 업계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이물 제거장치는, 작동 유체를 사용하는 장치, 예를 들어서, 방전가공기와 공작기계 등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해당 업계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금속 이물 제거장치는, [도 7]과 같이, 상술한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이나, 피스톤 수단(400, 400')의 배치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여기서는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 구성인 배치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피스톤 수단(400, 400')은 상술한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구성과 같은 구성이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부호를 구분한 것이다.
[실시예 2]는, [도 7]과 같이,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구성과 같은 피스톤 수단(400, 400')을 적어도 두 개 배치한다. 이때, 상기 각 피스톤 수단(400, 400')에는 각각 액추에이터(500, 500')를 갖춰서 따로 작동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이는, [도 7]과 같이, 어느 하나의 피스톤 수단(400)이 금속 이물을 제거할 때, 나머지 피스톤 수단(400')이 금속 이물을 부착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피스톤 수단(400, 400')에 금속 이물이 많이 달라붙으면 해당 피스톤 수단(400, 400')을 동작하게 하는 액추에이터(500, 500')를 통해 쉽게 금속 이물을 제거하여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작동 유체에 함유한 금속 이물을 제거하는 장치는, [도 8]과 같이, 상술한 다른 실시예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나, 자석 부분(200)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같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 구성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실시예 3]은, [도 7]과 같이, 한쪽이 막힌 기둥 형태로 자석 부분(200)을 제작하고, 그 안에 비자성체 부분(210)과 자석(220)을 차례로 집어넣어서 구성한 것이다. 이는, 비자성체 부분(210)과 자석(220)이 하나로 이루어지게 구성하여 피스톤이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게 하고, 특히 피스톤으로 자석 부분(200)의 표면에 달라붙은 금속 이물을 긁어냄에 따라 금속 이물이 자석(220) 부분에서는 달라붙은 상태로 긁어내게 하고 비자성체 부분(210)에서는 자력을 잃게 하여 긁어낸 금속 이물이 자석 부분(200)에서 쉽게 아래로 떨어져서 분리 제거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때, 자석(220)을 감싸는 부분은 비자성체로 구성할 수도 있고, 자성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자성체로 구성하더라도 그 자력이 비자성체 부분(210)에는 강하게 작용하지 않으므로 금속 이물을 긁어낼 때는 쉽게 제거할 수 있음을 해당 업계 종사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본체
110 : 관통 구멍
120 : 작동 구멍
200 : 자석 부분
300 : 피스톤 수단
310 : 제1 피스톤
320 : 지지 브래킷
321 : 지지 바
400 : 제2 피스톤
500 : 액추에이터

Claims (4)

  1. 작동 유체가 관통하여 지날 수 있게 형성한 관통 구멍(110), 그리고 상기 관통 구멍(110)과 교차하여 서로 통하며 한쪽이 개방되게 형성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구멍(120)을 갖춘 본체(100); 한쪽을 상기 작동 구멍(120)의 개방되지 않은 쪽에 고정하고 끝에 비자성체 부분(210)을 갖춘 다른 한쪽을 작동 구멍(120)의 개방된 쪽으로 노출되게 설치한 자석 부분(200); 외주에 실링(311)을 갖춰서 작동 구멍(120)에 누수가 생기지 않게 구성하며 상기 자석 부분(200)에 끼워져서 그 외주를 따라 슬라이딩하며 금속 이물을 긁어내는 제1 피스톤(310), 그리고 적어도 두 개의 지지 바(321)로 상기 제1 피스톤(310)과 미리 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고정한 지지 브래킷(320)을 포함하는 피스톤 수단(300); 상기 지지 바(321)에 끼워져서 제1 피스톤(310)과 지지 브래킷(320)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게 상기 작동 구멍(120)과 자석 부분(200)에 누수가 안 되게 끼워져서 움직이는 제2 피스톤(400); 및 한쪽을 상기 지지 브래킷(320)에 고정하고 다른 한쪽을 본체(100)에 고정하여 피스톤 수단(300)을 자석 부분(200)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액추에이터(500);를 포함하되,
    상기 피스톤 수단(300)은, 상기 지지 브래킷(320)을 본체(100) 쪽으로 밀면 제1 피스톤(310)과 제2 피스톤(400) 사이로 작동 유체가 흐르게 하여 자석 부분(200)에 금속 이물이 달라붙게 하고, 반대로 상기 지지 브래킷(320)을 본체(100) 바깥쪽으로 당기면 제1 피스톤(310)과 제2 피스톤(400)이 가까이 인접하면서 그 사이로 제1 피스톤(310)이 자석 부분(200)에서 긁어낸 금속 이물을 본체(100) 외부로 배출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유체에 함유한 금속 이물을 제거하는 장치.
  2. 제1 항에서,
    상기 작동 구멍(120)은,
    적어도 2개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유체에 함유한 금속 이물을 제거하는 장치.
  3. 제2 항에서,
    상기 작동 구멍(120)에 장착한 피스톤 수단(300)은,
    적어도 하나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유체에 함유한 금속 이물을 제거하는 장치.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장치는,
    방전가공기에서 사용한 작동 유체에서 금속 이물을 제거하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유체에 함유한 금속 이물을 제거하는 장치.
KR1020160147479A 2016-11-07 2016-11-07 작동 유체에 함유한 금속 이물을 제거하는 장치 KR101822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479A KR101822305B1 (ko) 2016-11-07 2016-11-07 작동 유체에 함유한 금속 이물을 제거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479A KR101822305B1 (ko) 2016-11-07 2016-11-07 작동 유체에 함유한 금속 이물을 제거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5141A KR20160135141A (ko) 2016-11-25
KR101822305B1 true KR101822305B1 (ko) 2018-01-25

Family

ID=57682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7479A KR101822305B1 (ko) 2016-11-07 2016-11-07 작동 유체에 함유한 금속 이물을 제거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230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5829A (ja) 2002-02-21 2003-09-02 Sumitomo Metal Ind Ltd 放電加工機の加工液供給装置および供給方法
JP2011011205A (ja) 2009-06-02 2011-01-20 Nisshin Seisakusho:Kk 磁気フィルタ装置および工作機械のクーラント浄化装置
JP2012110804A (ja) 2010-11-22 2012-06-14 Osaka Magnet Roll Seisakusho:Kk 微細鉄粉除去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5829A (ja) 2002-02-21 2003-09-02 Sumitomo Metal Ind Ltd 放電加工機の加工液供給装置および供給方法
JP2011011205A (ja) 2009-06-02 2011-01-20 Nisshin Seisakusho:Kk 磁気フィルタ装置および工作機械のクーラント浄化装置
JP2012110804A (ja) 2010-11-22 2012-06-14 Osaka Magnet Roll Seisakusho:Kk 微細鉄粉除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5141A (ko) 2016-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4721B2 (en) Magnetic filtration apparatus
JP5459943B2 (ja) 濾過装置
KR102049219B1 (ko) 회전축 장치 및 상기 회전축 장치를 구비한 방전 가공기
JP2007105706A (ja) 濾過装置
KR101822305B1 (ko) 작동 유체에 함유한 금속 이물을 제거하는 장치
EP2308578A1 (en) Filtering device
DE60019895T2 (de) Vorrichtung zum funkenerosiven bearbeiten
KR101577341B1 (ko)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액 여과장치
JP5465627B2 (ja) 放電加工方法および放電加工装置
KR20190011779A (ko) 유체를 위한 필터 디바이스
US4569758A (en) Separator for magnetic removal of solid particles from fluid media
TW202007446A (zh) 磁鼓及磁分離裝置
DE102014203735A1 (de) Reinigungssystem zum Reinigen von Werkstücken sowie ein Baukasten eines Reinigungssystems und ein Reinigungsverfahren
CN203695207U (zh) 磁性过滤装置
US10549370B2 (en) Rotation table
KR102046956B1 (ko) 스트립 세척설비
JP2017164662A (ja) 破砕装置
KR200470150Y1 (ko) 오일 여과장치
KR101599363B1 (ko)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마스크 세정장치 및 방법
CN111093833A (zh) 磁力分离器
JP2022129082A (ja) 磁気フィルタユニット及び当該磁気フィルタユニットを備えたろ過装置
JP2005218902A (ja) 異物除去装置におけるバーマグネット構造
KR20220028543A (ko) 마그네틱 필터장치
JP2022170845A (ja) 乾式自動磁選機
JPH06296812A (ja) スラッジ除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