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341B1 -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액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액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341B1
KR101577341B1 KR1020140040336A KR20140040336A KR101577341B1 KR 101577341 B1 KR101577341 B1 KR 101577341B1 KR 1020140040336 A KR1020140040336 A KR 1020140040336A KR 20140040336 A KR20140040336 A KR 20140040336A KR 101577341 B1 KR101577341 B1 KR 101577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cylindrical body
processing liquid
transparent
mach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6060A (ko
Inventor
오내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일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일정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일정기
Priority to KR1020140040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7341B1/ko
Publication of KR20150116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01D15/26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 B01D15/3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involving specific interaction not covered by one or more of groups B01D15/265 - B01D15/36
    • B01D15/3861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involving specific interaction not covered by one or more of groups B01D15/265 - B01D15/36 using an external stimulus
    • B01D15/3885Usin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여과부재의 교체가 필요 없고 구조가 간단하며 유지보수가 쉽고 가공 부스러기의 침착 상태의 확인이 용이한 구조의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액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금속 부스러기를 흡착하는 원기둥 형상의 자석과; 상기 자석과의 사이에 방전 가공액이 흘러가는 공간을 두고 동심으로 설치되는 투명 원통체와; 상기 투명 원통체의 양 단부에 끼워져 삽입되며, 상기 자석 흡착체의 측면에 밀착하여 지지하는 3개 또는 4개의 돌출부가 삼발이 형상 또는 +자 형을 이루는 밀착지지면과, 그 밀착지지면에 대해 각각의 돌출부로부터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투명 원통체의 내면에 밀착하는 호형날개들로 이루어져 각 돌출부들 사이의 공간을 통해 방전 가공액의 통과를 허용하는 좌우 자석지지구와; 상기 투명 원통체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일측의 자석지지구를 지지하며, 방전 가공부 측의 가공액의 리턴라인에 접속하여 가공액이 유입되는 가공액 입구부재와: 상기 투명 원통체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타측의 자석지지구를 지지하며, 저장탱크 측의 리턴라인에 접속하여 가공액이 방출되는 가공액 출구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액 여과장치{Fluid filtering apparatus of wire electricity discharging machine}
본 발명은 액체 중에 포함되는 미립자를 분리 포착하는 액체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가공 등에 사용되고 있는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액 중에 포함되는 가공 부스러기나 IC 생산에서의 기반의 웨이퍼의 절단, 연마, 에칭 등의 공정에서 사용되는 청정액 중에 포함되는 가공 부스러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청정한 액체를 얻기 위한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전가공(放電加工, electric discharge machining)이란 두 전극 사이에 방전을 일으킬 때 생기는 물리적, 기계적, 전기적 작용을 이용해서 가공하는 것을 말한다. 가공방전은 방전의 종류에 따라 스파크가공, 아크가공, 코로나가공으로 분류될 수 있고, 피가공물의 재질에 따라 금속가공, 비금속가공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작업의 종류에 따라 구멍파기, 절단 및 연삭(硏削)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통상 금속재질에 대한 구멍파기, 특수모양의 가공에는 스파크가공이 활용되고, 금속절단에는 아크가공이 활용되며, 비금속재의 천공 등에는 코로나가공이 이용된다. 방전가공은 첫째, 재료의 강도에 무관하게 가공할 수 있고, 둘째, 평면뿐만 아니라 입체 형상에서도 복잡한 형상의 가공이 용이하며, 셋째, 표면가공일 경우 미세한 길이까지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고, 넷째, 열에 의한 표면 변질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에 의해 특수한 가공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 같은 방전가공의 대표적 방식으로는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wire cut electric discharge machining)을 들 수 있는 데,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은 와이어와 가공물 사이에 방전(放電)을 일으켜 방전스파크를 톱날처럼 사용하여 공작물을 가공하는 가공 방법을 말한다. 이는 공작물을 관통하여 주행하는 와이어 전극과 가공물 사이에서 방전을 일으켜 발생하는 스파크를 이용하여 가공물을 가공하는 것으로, 통상 가공물을 테이블 위에서 이동시키면서 가공하며, 방전가공에 사용하는 와이어는 황동, 동, 텅스텐 등의 도선이 활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수치제어(NC)에 의하여 복잡한 형상을 자동으로 가공할 수 있으므로 프레스 기계 등의 금형, 방열기의 미세 틈새 핀 가공 등에 활용될 수 있고, 특히 초경합금 등과 같이 비교적 단단한 소재를 정밀 가공함과 아울러 금형 등과 같이 복잡하고 정밀한 가공을 요하는 분야에서는 와이어 커트 방전 가공을 많이 사용하게 된다.
상기한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은 분사식과 침적식이 있는데, 분사식은 방전 가공 시 발생하는 고온의 코로나에 의한 발생 열을 냉각시켜주기 위해 냉각수를 가공 부위에 노즐을 통해 분사하여 냉각시킴으로써 이송 공급하는 와이어의 절단과 공작물의 열변형을 방지하는 방식이며, 침적식은 가공액에 가공물을 침수시킨 상태에서 가공을 하는 것으로 분사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냉각 효율이 좋고 가공의 정밀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이 같이 상기한 와이어 컷 방전 가공은 0.05∼0.3mm의 와이어에 마이너스 전류를 가하고 가공물에 플러스 전류를 가하면서 상기한 와이어와 가공물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펄스 방전에 의해 소정 형상으로 가공을 하게 되는 것으로, 가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온열에 의한 피가공물의 열변형을 방지하도록 냉각하고, 또 전극 사이의 간극에 잔류하는 절삭분말(가공 찌꺼기)를 제거하도록 피가공물의 상하에 배치되는 노즐을 통해 고압의 가공액을 분사해 주고 있으며, 이 분사된 가공액은 탱크로 귀환시켜 다시 펌프에 의해 노즐로 공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 방전가공기로 가공 작업을 행하는 경우, 가공액 속에 가공 부스러기가 부유하게 되는데, 이 가공 부스러기를 가공액으로부터 분리하여 청정한 상태의 가공액을 노즐에 공급하기 위해서, 가공액의 탱크 또는 리턴 라인의 도중에 여과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종래 방전가공기의 가공액 여과장치로는 통상 필터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비교적 입자지름이 큰 가공찌꺼기를 포함하는 가공오염액이 가공액 여과필터장치에 보내지므로, 여과부재가 자주 막히게 되고, 그때마다 여과부재를 교환하지 않으면 안 되므로, 여과부재의 교체 및 유지보수 작업에 따른 운전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여과부재의 교환은 청정가공액통에 침지되어 있는 가공액 여과필터장치를 빼지 않으면 안 되므로, 가공액이 비산함과 동시에 가공액 여과필터장치 내에 남아있는 가공오염액이 청정가공액 내에 섞이게 되고, 청정가공액통이 청정하게 될 때까지 가공이 실행되지 않고, 여과만을 실행해야 하므로 방전가공기의 가동율을 현저하게 낮게 만든다는 문제도 있다.
이와 같은 것으로부터 여과부재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소화 59-73235호에서는 오염액통에 인접해서 그것과 연결되어 통하는 침전탱크를 마련하고, 가공통에서의 가공오염액을 먼저 침전탱크에 저장하여 가공찌꺼기를 침전시킨 후, 오염액통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장치에서는 입자 지름이 큰 가공찌꺼기는 비교적 침전이 잘되므로, 여과부재의 수명은 연장되지만, 침전된 가공찌꺼기를 정기적으로 배제하지 않으면 효과가 없게 되고 만다. 그러나, 가공액이나 가공찌꺼기는 산업폐기물로서 취급하지 않으면 안 되므로, 하수 등에 흐르게 할 수 없고, 또 함수율이 매우 높으므로, 보전, 취급이 곤란하다는 특별한 문제가 발생한다. 또, 침전탱크 내의 가공오염액을 배제하면, 가공액이 그만큼 부족하게 되어 보충하지 않으면 안 되므로, 비용이 상승되고 또한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경우에는 가공액의 관리가 번거롭게 되며, 여과부재가 압력에 약하다는 문제도 있다.
이 같은 필터 방식의 또 다른 선행 특허들로는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114745호, 한국 특허공보공고번호 93-012030호, 한국공개특허 10-2007-0051837호 및 일본국 특개평11-165009호 공보 등에 개시된 발명을 들 수 있는 데, 이들 필터 방식은 모두 앞서 지적한 문제점들을 공통으로 가지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공보 소화 59-73235호, 특허문헌 2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114745호, 특허문헌 3 한국 특허공보공고번호 93-012030호, 특허문헌 4 한국 공개특허 10-2007-0051837호 특허문헌 5 일본 특개평11-165009호 공보, 특허문헌 6 일본 특개2003-38918호 공보, 특허문헌 7 일본 특개평9-155127호 공보, 특허문헌 8 일본 특개평7-26499호 공보, 특허문헌 9 일본 특개평4-313313호 공보.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그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여과부재의 교체가 필요 없고 구조가 간단하며 유지보수가 쉽고 가공 부스러기의 침착 상태의 확인이 용이한 구조의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액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액 여과장치는 금속 부스러기를 흡착하는 원기둥 형상의 자석과; 상기 자석과의 사이에 방전 가공액이 흘러가는 공간을 두고 동심으로 설치되는 투명 원통체와; 상기 투명 원통체의 양 단부에 끼워져 삽입되며, 상기 자석 흡착체의 측면에 밀착하여 지지하는 3개 또는 4개의 돌출부가 삼발이 형상 또는 +자 형을 이루는 밀착지지면과, 그 밀착지지면에 대해 각각의 돌출부로부터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투명 원통체의 내면에 밀착하는 호형날개들로 이루어져 각 돌출부들 사이의 공간을 통해 방전 가공액의 통과를 허용하는 좌우 자석지지구와; 상기 투명 원통체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일측의 자석지지구를 지지하며, 방전 가공부 측의 가공액의 리턴라인에 접속하여 가공액이 유입되는 가공액 입구부재와: 상기 투명 원통체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타측의 자석지지구를 지지하며, 저장탱크 측의 리턴라인에 접속하여 가공액이 방출되는 가공액 출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투명 원통체의 외부에는 강성을 가진 플라스틱 또는 금속의 보호 원통체가 삽입되며, 상기 보호 원통체에는 원형 또는 장공 형태의 투시창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의 가공액 입구부재는 상기 보호 원통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공액 출구부재는 상기 보호 원통체에 착탈이 가능한 덮개부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자석의 외주에는 축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이 허용되는 비자성체의 원통체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좌우 자석지지구는 상기 자석의 측면에 볼트로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어 방전 가공을 통한 금속의 절삭 공정에서 발생한 금속 부스러기가 가공액 속에 포함되어 재사용을 위해 저장탱크로 귀환하는 도중에 자석에 의해 흡착하여 제거하게 됨으로써, 종래 섬유상의 필터와 달리 교체의 필요성이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자석을 설치한 원통체가 투명체로서 그 투명체의 외주를 감싼 견고한 보호 케이스에 형성한 투시창을 통해 금속 부스러기가 자석에 흡착된 정도를 항시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여 청소 작업(소제 작업)의 시기를 적기에 파악할 수 있으며, 더욱이 특이한 구조의 삼발이 또는 십자 형상의 자석지지구를 사용함으로써, 가공액의 유통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자석의 조립 및 고정 설치의 편의성이 증진되고, 또 이로 인해 모든 부재들의 조립과 분해가 손쉬운 장점이 있어 유지보수의 편의성 향상으로 방전가공기의 가동 중단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 자석의 외주를 비자성체의 원통체로 감싸고 있어, 청소 작업시, 비자성체의 원통체를 자석으로부터 슬라이드 이동시켜 빼내면 원통체를 투과하여 금속 부스러기를 흡착하고 있던 자력의 상실과 더불어 금속 부스러기들이 원통체로부터 저절로 떨어져 나가 낙하 분리되므로 깨끗한 소제가 가능할 뿐 아니라(비자성체의 원통체가 없는 경우 자석 표면에 직접 달라붙어 있는 금속 부스러기의 깨끗한 제거는 사실상 어렵고 또 말끔하게 제거하기 위해선 소제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 금속 부스러기들의 소제를 위한 시간이 거의 소요되지 않아 원통체를 자석으로부터 빼내는 동작을 취했다가 다시 조립하기만 하면 여과장치의 소제(청소) 작업이 간단히 완료되므로, 방전가공기의 가동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액 여과장치의 외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액 여과장치의 정단면도 형상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액 여과장치의 자석지지구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액 여과장치의 부품들을 조립 또는 분해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액 여과장치의 부품들을 조립 또는 분해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 형상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액 여과장치의 부품들을 조립 또는 분해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정단면도 형상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액 여과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있어 전체를 부호 10으로 나타낸 본 발명의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액 여과장치는 도 2의 정단면도 구성에서 보여지고 있는 것과 같이, 중심에 원기둥 형상의 자석(12)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자석(12)이 방전 가공에서 발생하는 금속 부스러기를 가공액으로부터 흡착하여 분리하는 일종의 필터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자석(12)은 투명한 재질, 예를 들면 투명한 플라스틱이나 바람직하기는 투명성이 매우 우수한 유리관으로 된 투명 원통체(14)가 감싸고 있으며, 이 투명 원통체(14)의 직경은 자석(12)의 직경보다 커서 그들 사이에 가공액이 흘러가는 통로인 공간(16)을 두고 서로 동심으로 설치된다.
상기 자석(12)을 상기 투명 원통체(14)에 동심을 유지하도록 설치하기 위해서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복수의 돌출부(18), 예를 들면 3개의 돌출부(18)가 방사상으로 형성된 삼발이 형상 또는 도시한 실시 예처럼 4개의 돌출부(18)가 +자형상을 이룬 밀착지지면(20)과, 그 밀착지지면(20)으로부터 직각으로 연장하며, 상기 투명 원통체(14)의 내경면에 밀착하는 원호면을 가진 호형날개(22)로 구성된 좌우 자석지지구(24)(24)에 의해 고정 설치되며, 이를 위해 상기 좌우 자석지지구(24)의 밀착지지면(20)을 상기 자석(12)의 양측 측면에 각기 밀착시키고 상기 밀착지지면(20)의 중앙에 형성한 볼트공(26)을 통해 고정볼트(26)를 삽입시켜 자석(12) 몸체에 나사 체결하여 고정시키며, 상기 자석지지구(24)의 외경이 상기 투명 원통체(14)의 내경과 동일하여, 상기 자석(12)은 자석지지구(24)를 통해 상기 투명 원통체(14) 내에 공간(16)을 두고 동심을 유지토록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투명 원통체(14)는 상기 자석(12)에 흡착된 금속 부스러기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유리 재질로 형성되고 있어, 취성이 강한 유리재의 특성상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의 외주에 강도가 높은 플라스틱이나 바람직하기는 금속, 더욱 바람직하기는 스테인레스재 등의 부식에 강한 금속의 보호 원통체(30)를 끼워 장착하고 있다.
이 보호 원통체(30)는 불투명체이므로, 몸체 일부에 원형 또는 장공 형태의 투시창(32)을 형성하여 그 투시창(32)을 통해 투명 원통체(14)가 외부에 대해 노출됨으로써 내부에 수용된 자석(12)에 급속 부스러기가 얼마나 많이 흡착되어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한 보호 원통체(30)는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측벽부재(34)에 의해 막힌 형태로서, 그 측벽부재(34)에는 가공액의 통과를 허용하는 유로(36)를 구비한 가공액 입구부재(또는 출구부재)(38)가 마련되고, 그의 개방된 타측에는 가공액의 통과를 허용하는 유로(40)를 구비한 가공액 출구부재(또는 입구부재)(42)를 구비한 덮개부재(44)를 끼워 장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부재(44)를 보호 원통체(30)에 끼워 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좌우 자석지지구(24)(24)의 양측 단부는 측벽부재(34)(46)에 밀착하여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보호 원통체(3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보호 원통체(30)를 생략하는 경우에는 상기 측벽부재(34)와 가공액 입구부재(또는 출구부재)(38)는 상기 투명 원통체(14)에 일체로 형성하게 되며, 상기 덮개부재(44)는 투명 원통체(14)의 개방단부에 끼워 장착하게 된다.
또 도 2에 도시하는 것처럼 상기 자석(12)의 외주에는 비자성체, 예를 들면 얇은 두께의 플라스틱이나 스테인레스재 등의 비자성체의 원통체(48)를 끼워 삽입하고 있으며, 이것에 의해 자석(12)에 의한 흡인력이 작용 시 금속 부스러기는 원통체(48)의 외주면에 흡착되어질 뿐 자석(12) 표면에 금속 부스러기가 직접 달라붙거나 하는 일이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여과장치(10)의 부품을 분해하거나 조립하는 과정 및 편의성에 대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호 원통체(30)의 개방단부를 통해 투명 원통체(14)를 삽입한다.
그리고 자석(12)의 양측면에 각기 자석지지구(24)(24)를 밀착시켜 볼트(28)를 체결하여 조립한다.
다음에 조립된 자석(12) 몸체를 투명 원통체(14) 속으로 끝까지 밀어 넣고 마지막으로 덮개부재(44)를 보호 원통체(30)의 개방단부에 끼워 장착하면 조립이 완료된다.
분해 시에는 덮개부대(44)를 분리시킨 후 보호 원통체(30)의 개방단부를 밑으로 하면 자중에 의해 자석몸체부위가 자연스럽게 밖으로 빠져나오게 되며, 또는 손가락을 넣어 밖으로 끌어내면 간단히 분리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장치(10)를 설치함에 있어서, 니플의 기능을 하는 가공액 입구부재(38)를 방전 가공부 측의 가공액의 리턴라인에 접속하고 그와 반대 측의 가공액 출구부재(42)는 저장탱크 측의 리턴라인에 접속하게 됨으로써, 방전 작업 시 피가공물을 냉각시킨 가공액은 재사용을 위해 리턴 라인을 통해 저장탱크로 귀환하는 도중에 그 리턴 라인에 접속된 가공액 입구부재(38)를 통해 여과장치(10) 내부로 도입되는 데, 이때 자석지지구(24)를 거쳐 공간(16)을 통해 흘러가는 가공액에 포함된 금속 부스러기들은 강력한 자석(12)에 의한 자력에 이끌려 비자성체의 원통체(48) 외주면에 흡착되어지게 되며, 금속 부스러기가 분리된 가공액은 깨끗하게 정화된 상태로 가공액 출구부재(42)를 통해 저장탱크 측으로 귀환하게 되며, 그 후 펌프 구동에 의해 다시 방전가공부위의 노즐에 공급되어 피가공물의 냉각과 윤활을 위해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 설명되었으며, 이는 본 발명을 수행하는 데 있어 발명자에게 알려진 최선의 모드이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변형예들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자들은 숙련된 기술자들이 이러한 변형예를 채용할 것을 예상하며, 발명자들도 본 발명을 이상에서 특별히 설명한 것 외에도 실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한 법에 의해 허용되는 바에 따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언급된 주제와 균등한 모든 변형예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요소들의 가능한 모든 조합은 본 명세서 내에서 특별히 언급하거나 배제하지 않은 이상 본 발명에 포함될 것이다.
10: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액 여과장치
12: 자석 14: 투명 원통체
16: 공간 18: 돌출부
20: 밀착지지면 22: 호형날개
24: 자석지지구 26: 볼트공
28: 볼트 30: 보호 원통체
32: 투시창 34,46: 측벽부재
36,40: 유로 38: 가공액 입구부재
42: 가공액 출구부재 44: 덮개부재
48: 비자성체 원통체

Claims (4)

  1. 금속 부스러기를 흡착하는 원기둥 형상의 자석과; 상기 자석의 외주에 축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이 허용되도록 기밀하게 끼워져 상기 자석의 흡착력에 의해 금속 분말이 외표면에 흡착하게 되는 비자성체의 원통체와: 상기 자석과의 사이에 방전 가공액이 흘러가는 공간을 두고 동심으로 설치되는 투명 원통체와; 상기 투명 원통체의 양 단부에 끼워져 삽입되며, 상기 자석 흡착체의 측면에 밀착하여 지지하는 3개 또는 4개의 돌출부가 삼발이 형상 또는 +자 형을 이루며, 상기 자석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비자성체 원통체의 내경에 일치하는 외경을 가지는 밀착지지면과, 그 밀착지지면에 대해 각각의 돌출부로부터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투명 원통체의 내면에 밀착하는 호형날개들로 이루어져 각 돌출부들 사이의 공간을 통해 방전 가공액의 통과를 허용하는 좌우 자석지지구와; 상기 투명 원통체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일측의 자석지지구를 지지하며, 방전 가공부 측의 가공액의 리턴라인에 접속하여 가공액이 유입되는 가공액 입구부재와: 상기 투명 원통체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타측의 자석지지구를 지지하며, 저장탱크 측의 리턴라인에 접속하여 가공액이 방출되는 가공액 출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액 여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원통체의 외부에는 강성을 가진 플라스틱 또는 금속의 보호 원통체가 삽입되며, 상기 보호 원통체에는 원형 또는 장공 형태의 투시창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의 가공액 입구부재는 상기 보호 원통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공액 출구부재는 상기 보호 원통체에 착탈이 가능한 덮개부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액 여과장치.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자석지지구는 상기 자석의 측면에 볼트로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액 여과장치.
KR1020140040336A 2014-04-04 2014-04-04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액 여과장치 KR101577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336A KR101577341B1 (ko) 2014-04-04 2014-04-04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액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336A KR101577341B1 (ko) 2014-04-04 2014-04-04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액 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060A KR20150116060A (ko) 2015-10-15
KR101577341B1 true KR101577341B1 (ko) 2015-12-15

Family

ID=54356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336A KR101577341B1 (ko) 2014-04-04 2014-04-04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액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73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983B1 (ko) * 2017-11-02 2018-03-22 이찬곤 가공기계용 절삭유 정제장치
KR20180046154A (ko) 2016-10-27 2018-05-08 전창복 방전가공기의 전극봉 물통과 확인 방법
KR20180053776A (ko) 2016-10-27 2018-05-24 전창복 방전가공기의 전극봉 표면에 묻은 칩을 제거하는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1212A (ja) * 2005-06-10 2006-12-21 Magnetec Japan Ltd 磁性異物類除去清掃装置
JP2009254930A (ja) * 2008-04-14 2009-11-05 Nippon Pisuko:Kk フィルタ機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1212A (ja) * 2005-06-10 2006-12-21 Magnetec Japan Ltd 磁性異物類除去清掃装置
JP2009254930A (ja) * 2008-04-14 2009-11-05 Nippon Pisuko:Kk フィルタ機構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6154A (ko) 2016-10-27 2018-05-08 전창복 방전가공기의 전극봉 물통과 확인 방법
KR20180053776A (ko) 2016-10-27 2018-05-24 전창복 방전가공기의 전극봉 표면에 묻은 칩을 제거하는 방법
KR101840983B1 (ko) * 2017-11-02 2018-03-22 이찬곤 가공기계용 절삭유 정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060A (ko) 2015-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93056A1 (en) Filtering apparatus
KR101577341B1 (ko)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액 여과장치
US7604748B2 (en) Magnetic filter
EP3024585B1 (en) Filter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magnetizable particles from a fluid
JP6738168B2 (ja) フィルタユニット、それを有するフィルタチップコンベア、および、フィルタチップコンベアによる濾過方法
JP7162348B2 (ja) 磁気フィルタ装置
KR102049219B1 (ko) 회전축 장치 및 상기 회전축 장치를 구비한 방전 가공기
CN105413291A (zh) 分流式切削液过滤装置
JP4297198B2 (ja) フィルタ装置を備えた機械加工装置
WO2014006672A1 (ja) 放電加工液清浄装置と放電加工液の清浄方法
AU201733967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magnetic particles from liquids and slurries
KR101563992B1 (ko) 냉각액 순환시스템
JP6513474B2 (ja) フィルター装置
JP3206424U (ja) クーラント装置
JP5526253B1 (ja) 濾過装置
CN216656633U (zh) 一种电火花线切割机床防污过滤装置
CN210394068U (zh) 一种金属切割液加工过滤装置
KR101001251B1 (ko) 쿨런트의 정화장치
JPS60232219A (ja) 濾過装置
KR101712009B1 (ko) Sus재질의 메쉬부재를 이용한 원통형 이물질 여과장치
KR20190105432A (ko) 가공유 정화장치
JP6918089B2 (ja) 切削油精製装置
JPS60232220A (ja) 濾過装置
KR100996360B1 (ko) 절삭유의 금속분말 분리장치
KR102374142B1 (ko) 다중 포집층 구조를 포함하는 절삭유 정제장치용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