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150Y1 - 오일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오일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150Y1
KR200470150Y1 KR2020120002015U KR20120002015U KR200470150Y1 KR 200470150 Y1 KR200470150 Y1 KR 200470150Y1 KR 2020120002015 U KR2020120002015 U KR 2020120002015U KR 20120002015 U KR20120002015 U KR 20120002015U KR 200470150 Y1 KR200470150 Y1 KR 2004701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dust collecting
iron
circulation line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0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561U (ko
Inventor
서순호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20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150Y1/ko
Publication of KR201300055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5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1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1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23Q11/1069Filtr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0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venting or purifying means, e.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3Mounting or connecting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relative to the machine or engine; Details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0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venting or purifying means, e.g. of filters
    • F01M2001/1028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venting or purifying means, e.g. of filt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urification
    • F01M2001/1042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venting or purifying means, e.g. of filt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urification comprising magnetic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 플러싱 때 사용했던 오일, 또는 내연기관, 공작기계에 사용되는 오일에서 철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오일 여과장치로,
세척용 오일통의 일정한 위치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밸브; 상기 밸브에 연결되어 세척용 오일을 정제 오일통으로 공급하거나 정제된 오일을 다시 세척용 오일통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오일 순환 라인; 상기 오일 순환 라인의 일정한 위치에 구비되며 세척용 오일에 포함된 철분을 자력에 의하여 수거하는 철분 집진수단; 상기 오일 순환 라인의 한쪽 단부에 연결되어 철분 집진수단에 의하여 정제된 정제 오일을 보관하는 정제 오일통; 상기 정제 오일통의 일정한 위치에 구비되며 정제 오일통의 오일을 세척용 오일통으로 재공급하거나 세척용 오일통으로 공급된 오일을 정제 오일통으로 순환시키는 양방향 펌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기존에 있는 플러싱 장치들은 그대로 사용하면서 폐오일이 저장되는 세척용 오일통에 밸브에 의하여 본 고안의 여과장치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어 시공과 사용의 간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오염된 오일을 마그네틱 스위치의 자성과 집진판으로 이루어진 철분 집진수단에 의하여 오일을 여과 정제함으로써 오일의 재사용 회수를 늘려 유지보수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오일 여과장치{Oil Filtering Apparatus}
본 고안은 배관 플러싱 때 사용했던 오일, 또는 내연기관, 공작기계 등에 사용되는 오일에서 철 성분의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오일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그네틱 스위치(일명 매그 스위치)의 자성을 이용하여 오일 속의 철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오일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기계오일, 작동유, 가공유, 세정액 등에는 기계부품 및 가공품의 표면에 있던 미세철분 입자가 혼입되어 부가적인 기계부품마모, 표면품질저하, 오일 및 세정액의 사용수명단축, 환경오염 등과 같은 악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부직포, 망 필터 등과 같은 기계적인 방법을 이용한 여과법을 사용해오고 있다.
그러나, 이들 여과법은 마이크로 이하의 미세 철분입자에 대한 제거에는 한계가 있고, 잦은 여과필터의 교환에 의한 유지비 부담, 환경오염 등과 같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오일, 세정액, 가공유 중에 유동하는 금속입자가 대부분 강자성체 물질임에 착안하여 외부자장을 이용하여 자성분리 여과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자성분리장치가 특허등록 제10-0276824호(발명의 명칭: 공업용 오일 여과장치)로 공지되고 있으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구조가 복잡하고 여과필터를 주기적으로 교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음은 물론, 이에 따라 제품의 원가가 상승하고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특허등록 제10-0276824호(발명의 명칭: 공업용 오일 여과장치)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마그네틱 스위치의 자성과 집진판을 이용하여 필터의 성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일 속의 철분과 자성체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이에 따라 오일의 재사용 수명을 늘릴 수 있도록 하는 오일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하에 제안된 본 고안은 배관 플러싱 때 사용했던 오일, 또는 내연기관, 공작기계에 사용되는 오일에서 철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오일 여과장치로,
세척용 오일통의 일정한 위치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밸브; 상기 밸브에 연결되어 세척용 오일을 정제 오일통으로 공급하거나 정제된 오일을 다시 세척용 오일통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오일 순환 라인; 상기 오일 순환 라인의 일정한 위치에 구비되며 세척용 오일에 포함된 철분을 자력에 의하여 수거하는 철분 집진수단; 상기 오일 순환 라인의 한쪽 단부에 연결되어 철분 집진수단에 의하여 정제된 정제 오일을 보관하는 정제 오일통; 상기 정제 오일통의 일정한 위치에 구비되며 정제 오일통의 오일을 세척용 오일통으로 재공급하거나 세척용 오일통으로 공급된 오일을 정제 오일통으로 순환시키는 양방향 펌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여과장치를 제시한다.
본 고안에 있어 상기 오일 순환 라인의 일정한 위치에 구비되며 세척용 오일에 포함된 철분을 자력에 의하여 수거하는 철분 집진수단은, 오일 순환 라인의 일정한 위치에 구비되며 개폐가능한 집진함과, 상기 집진함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마그네틱 스위치의 자력에 의하여 철분을 수거하는 집진판과, 상기 집진함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집진판으로 공급되는 자력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마그네틱 스위치와, 상기 집진함의 바닥 외면에 구비되어 집진판과 마그네틱 스위치 사이에 완충역할을 하는 완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여과장치를 제시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일 여과장치에 의하면, 기존에 있는 플러싱 장치들은 그대로 사용하면서 폐오일이 저장되는 세척용 오일통에 밸브에 의하여 본 고안의 여과장치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어 시공과 사용의 간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오염된 오일을 마그네틱 스위치의 자성과 집진판으로 이루어진 철분 집진수단에 의하여 오일을 여과 정제함으로써 오일의 재사용 회수를 늘려 유지보수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일 여과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일 여과장치에 있어 세척용 오일에 포함된 철분을 자력에 의하여 수거하는 철분 집진수단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도면.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오일 여과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일 여과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일 여과장치에 있어 세척용 오일에 포함된 철분을 자력에 의하여 수거하는 철분 집진수단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은 배관 플러싱 때 사용했던 오일이나 내연기관 또는 공작기계 등에 사용되는 오일에서 철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오일 여과장치로,
세척용 오일통(10)의 일정한 위치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밸브(20)와, 상기 밸브(20)에 연결되어 세척용 오일을 정제 오일통(30)으로 공급하거나 정제된 오일을 다시 세척용 오일통(10)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오일 순환 라인(40)과, 상기 오일 순환 라인(40)의 일정한 위치에 구비되며 세척용 오일에 포함된 철분을 자력에 의하여 수거하는 철분 집진수단(50)과, 상기 오일 순환 라인(40)의 일단에 연결되어 정제된 정제 오일을 보관하는 정제 오일통(30)과, 상기 정제 오일통(30)의 일정한 위치에 구비되며 정제 오일통(30)의 오일을 세척용 오일통(10)으로 재공급하거나 세척용 오일통(10)으로 공급된 오일을 정제 오일통(30)으로 순환시키는 양방향 펌프(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세척용 오일통(10)은 배관 플러싱이나 내연기관 또는 공작기계 등에 사용하였던 오일을 보관하는 곳으로 이 세척용 오일통(10)에 보관된 오일은 철분을 포함한 이물질로 오염된 오일이며, 이 오일은 여과에 의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탈착 가능한 밸브(20)에 의하여 오일 순환 라인(40)으로 공급된다.
이 경우, 상기 오일 순환라인(40)은 소정된 직경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세척용 오일통(10)에 저장된 세척용 오일을 정제 오일통(30)으로 공급하거나 정제된 오일을 재사용하기 위하여 다시 세척용 오일통(10)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순환로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자성체의 재질 보다는 비자성체의 재질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일 순환 라인(40)의 일정한 위치에 구비되며 세척용 오일에 포함된 철분을 자력에 의하여 수거하는 철분 집진수단(50)은, 오일 순환 라인()의 일정한 위치에 구비되며 개폐 가능한 집진함(51)과, 상기 집진함(51)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마그네틱 스위치(52)로부터 유도되는 자력에 의하여 철분을 수거하는 집진판(53)과, 상기 집진함(51)의 바깥쪽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집진판(53)으로 유도되는 자력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마그네틱 스위치(52)와, 상기 집진함(51)의 바닥 외면, 즉, 상기 집진함(51)과 마그네틱 스위치(52)의 사이에 구비되어 집진함(51)과 마그네틱 스위치(52) 사이에 완충작용을 수행하는 완충판(5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철분 집진수단(50)의 구성요소인 집진함(51)과 완충판(54)은 비자성체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집진함(51)은 오일 순환라인(40)과는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집진함(51)의 내부에 구비되는 집진판(53)은 자성체의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집진함(51) 속의 집진판(53)은 오일 순환라인(40)의 배관 직경보다 폭이 넓고 일정한 길이를 갖는 넓은 판의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오일 중 미세철분과 접촉하여 분리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단위 체적당 높은 표면적을 갖게되며, 오일이 이 집진판(53) 위를 얇고 넓게 퍼져 통과함으로써 마그네틱 스위치(52)의 자성만으로도 충분히 자성체 이물질이 집진판(53)에 흡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집진판(53)으로 공급되는 자력을 온 또는 오프 시키는 마그네틱 스위치(52)는 영구자석의 자력을 간단하게 온/오프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 자기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2개의 영구자석 즉, 제1영구자석 및 제2영구자석을 레버에 의하여 회동가능하도록 하우징 내부에 구성하되, 제1영구자석의 N극 및 S극이 제2영구자석의 S극 및 N극에 대해 일직선이 되어 상대적으로 약한 외부 자기장을 형성하는 오프 위치와, 제1영구자석의 N극 및 S극이 제2영구자석의 N극 및 S극에 대해 일직선이 되어 상대적으로 강한 외부 자기장을 형성하는 온 위치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마그네틱 스위치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이 오히려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어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오일 순환 라인(40)의 일측 단부에는 철분 집진수단(50)에 의하여 정제된 정제 오일을 보관하는 정제 오일통(30)이 구비되는데, 상기 정제 오일통(30)의 내부 일정한 위치에는 정제 오일통(30)의 오일을 세척용 오일통(10)으로 재공급하거나 세척용 오일통(10)으로 공급된 오일을 정제 오일통(30)으로 순환시키는 양방향 펌프(31)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오일 여과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세척용 오일통(10)에 보관되는 오일은 배관 플러싱이나 내연기관 또는 공작기계 등에 사용하였던 오일로 이 오일은 철분을 포함한 이물질로 오염된 오일이다. 상기 세척용 오일통(10)의 일정한 위치에 밸브(20)에 의하여 본 여과장치를 연결하고, 정제 오일통(30)에 구비된 양방향 펌프(31)를 정방향(세척용 오일통에서 정제 오일통으로 오일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구동하면 세척용 오일통(10)에 보관된 오염된 오일이 오일 순환 라인(40)을 통하여 정제 오일통(30)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철분 집진수단(50)의 집진함(51) 저면에 구비된 마그네틱(52) 스위치를 온 상태로 하면 마그네틱 스위치(52)의 자력이 집진판(53)으로 유도되고, 이에 따라 오일속에 포함된 철분은 자력에 의하여 집진판(53)에 흡착된다.
이 경우, 상기 집진함(51)과 마그네틱 스위치(52) 사이에 구비된 비자성체의 완충판(54)은 자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집진함(51)과 마그네틱 스위치(52) 사이에서 완충작용을 함으로써, 마그네틱 스위치(52)의 탈착과정에서 집진함(51)이 손상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완충판(54)은 고무재질의 소재를 막의 형태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상태 즉, 오일이 세척용 오일통(10)에서 정제 오일통(30)으로 이동하여 오일의 여과동작이 완료되면, 밸브(20)를 잠근 상태에서 집진함(51)을 개방하고 집진판(53)을 들어내어 집진판(53)에 흡착된 철분을 제거하게 되는데, 이때는 집진함(51)의 저면에 구비된 마그네틱 스위치(52)를 오프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집진판(53)에 작용하는 자력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정제가 완료된 오일을 재사용하기 위하여는 정제 오일통(30)에 구비된 양방향 펌프(31)를 역방향(정제 오일통에서 세척용 오일통으로 오일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구동하면 정제 오일통(30)에 보관된 정제된 오일이 오일 순환 라인(40)을 통하여 다시 세척용 오일통(10)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밸브(20)를 닫고 세척용 오일통(10)에 구비된 모터를 회전시켜 배관의 플러싱 작업을 수행하면 오일의 재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일 여과장치에 의하면, 기존에 있는 플러싱 장치들은 그대로 사용하면서 폐오일이 저장되는 세척용 오일통에 밸브에 의하여 본 고안의 여과장치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어 시공과 사용의 간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오염된 오일을 마그네틱 스위치의 자성과 집진판으로 이루어진 철분 집진수단에 의하여 오일을 여과 정제함으로써 오일의 재사용 회수를 늘려 유지보수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고안에 따른 오일 여과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및 변형이 가능 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라 할 수 있다.
10: 세척용 오일통 20: 밸브
30: 정제 오일통 31: 양방향 펌프
40: 오일 순환 라인 50: 철분 집진수단
51: 집진함 52: 마그네틱 스위치
53: 집진판 54: 완충판

Claims (4)

  1. 배관 플러싱 때 사용했던 오일, 또는 내연기관, 공작기계에 사용되는 오일에서 철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오일 여과장치로,
    세척용 오일통의 일정한 위치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밸브;
    상기 밸브에 연결되어 세척용 오일을 정제 오일통으로 공급하거나 정제된 오일을 다시 세척용 오일통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오일 순환 라인;
    상기 오일 순환 라인의 일정한 위치에 구비되며 세척용 오일에 포함된 철분을 자력에 의하여 수거하는 철분 집진수단;
    상기 오일 순환 라인의 한쪽 단부에 연결되어 철분 집진수단에 의하여 정제된 정제 오일을 보관하는 정제 오일통;
    상기 정제 오일통의 일정한 위치에 구비되며 정제 오일통의 오일을 세척용 오일통으로 재공급하거나 세척용 오일통으로 공급된 오일을 정제 오일통으로 순환시키는 양방향 펌프; 를 포함하고,
    상기 철분 집진수단은, 오일 순환 라인의 일정한 위치에 구비되며 개폐가능한 집진함과, 상기 집진함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마그네틱 스위치의 자력에 의하여 철분을 수거하는 집진판과, 상기 집진함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집진판으로 공급되는 자력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마그네틱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여과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일 순환 라인의 일정한 위치에 구비되며 세척용 오일에 포함된 철분을 자력에 의하여 수거하는 철분 집진수단은, 상기 집진함의 바닥 외면에 구비되어 집진판과 마그네틱 스위치 사이에 완충역할을 하는 완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여과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철분 집진수단의 구성요소인 집진함과 완충판은 비자성체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집진함의 내부에 구비되는 집진판은 자성체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여과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철분 집진수단의 구성요소인 집진함 속의 집진판은 오일 순환라인의 배관 직경보다 폭이 넓고 일정한 길이를 갖는 넓은 판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여과장치.



KR2020120002015U 2012-03-14 2012-03-14 오일 여과장치 KR2004701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015U KR200470150Y1 (ko) 2012-03-14 2012-03-14 오일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015U KR200470150Y1 (ko) 2012-03-14 2012-03-14 오일 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561U KR20130005561U (ko) 2013-09-25
KR200470150Y1 true KR200470150Y1 (ko) 2013-11-29

Family

ID=50741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015U KR200470150Y1 (ko) 2012-03-14 2012-03-14 오일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1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39451A (zh) * 2019-05-17 2019-07-23 上海工程技术大学 一种多功能磨床集尘器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47580A (en) * 1978-05-12 1979-11-17 Nippon Steel Corp Cleaning oil cleaning device
KR100276824B1 (ko) * 1998-07-07 2001-02-01 백문구 공업용 오일 여과장치
WO2001074470A1 (en) * 2000-03-31 2001-10-11 Gastops Ltd. Apparatus for cleaning and analyzing debris from oil filters
KR100386823B1 (ko) * 1995-12-06 2003-08-27 다겐 텟구스 가부시키가이샤 여과지를 사용하지 않는 영구자석에 의한 오일필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47580A (en) * 1978-05-12 1979-11-17 Nippon Steel Corp Cleaning oil cleaning device
KR100386823B1 (ko) * 1995-12-06 2003-08-27 다겐 텟구스 가부시키가이샤 여과지를 사용하지 않는 영구자석에 의한 오일필터
KR100276824B1 (ko) * 1998-07-07 2001-02-01 백문구 공업용 오일 여과장치
WO2001074470A1 (en) * 2000-03-31 2001-10-11 Gastops Ltd. Apparatus for cleaning and analyzing debris from oil filt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39451A (zh) * 2019-05-17 2019-07-23 上海工程技术大学 一种多功能磨床集尘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561U (ko)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0995B1 (ko) 여과 장치
CN111107941B (zh) 磁性过滤装置
JP4349509B2 (ja) 磁気フィルタ
US9475062B2 (en) Magnetic inline filter
ATE552037T1 (de) Filtriervorrichtung
CN208303407U (zh) 一种汽车滤清器清洗装置
JP2009256584A (ja) 移動式廃油浄化装置
KR200470150Y1 (ko) 오일 여과장치
KR20150063725A (ko) 마그네틱 필터 하우징
US7967151B1 (en) Universal fuel recycling machine
JP2014128844A (ja) 使用済切削油を投入する濾過槽を扁平状の濾過槽とした濾過装置
CN109173372B (zh) 一种机加工润滑油回收过滤系统
CN203695207U (zh) 磁性过滤装置
KR100933941B1 (ko) 자동식 액체연료 여과장치
JP7253795B2 (ja) 磁性体物質・非磁性体物質除去フィルタ
CN202238308U (zh) 组合式滤油机
CN203829714U (zh) 反洗分离净化器
RU107704U1 (ru)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отработанного моторного масла
US9463400B2 (en) Fluid filter with magnetic particle attraction
CN107191242B (zh) 一种磁性滤清器
CN201193550Y (zh) 一种机油滤清器
CN201746372U (zh) 一种磁棒式污水处理装置
CN204852887U (zh) 具有初级过滤功能的储油桶
CN204582731U (zh) 一种机械油、水、污分离回收装置
CN220968261U (zh) 珩磨机用珩磨油自动净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