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1756B1 - 임시받침 및 받침의 이동이 필요 없는 하중유도부재가 장착된 ilm용 받침 및 이를 이용한 ilm용 교량 가설 공법 - Google Patents

임시받침 및 받침의 이동이 필요 없는 하중유도부재가 장착된 ilm용 받침 및 이를 이용한 ilm용 교량 가설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1756B1
KR101821756B1 KR1020170104535A KR20170104535A KR101821756B1 KR 101821756 B1 KR101821756 B1 KR 101821756B1 KR 1020170104535 A KR1020170104535 A KR 1020170104535A KR 20170104535 A KR20170104535 A KR 20170104535A KR 101821756 B1 KR101821756 B1 KR 101821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support
launching
ilm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채성
정준호
Original Assignee
매크로드 주식회사
이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크로드 주식회사, 이채성 filed Critical 매크로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4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17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1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1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8Bearings being adjustable once installed; Bearings used in incremental launc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01D2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by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bridge or bridge sections
    • E01D21/065Incremental laun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시받침 및 받침의 이동이 필요 없는 하중유도부재가 장착된 ILM용 받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교량을 이루는 하부구조물의 상측에 올려져 ILM용 공법으로 상부구조물을 이루는 세그먼트를 런칭하게 되며 런칭후 상부구조물을 받침 지지하는 ILM용 받침에 있어서, 상기 하부구조물의 상면에 좌우 한 쌍으로 올려져 상기 상부구조물을 지지하게 되며 상부부재와 중간부재 그리고 하부부재가 상하 순차적으로 위치되어 런칭후 상기 상부구조물을 영구적으로 받침 지지하는 고정받침; 런칭 과정에서 상기 상부구조물의 수직하중지지 및 전달 역할과 상기 중간부재의 수평이동을 구속하는 역할을 위해 상기 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사이의 틈새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중유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런칭중 상부구조물의 수직하중을 지지 및 전달시키는 하중유도부재를 ILM용 영구받침에 장착함으로써, 임시 받침 및 받침의 이동공종이 필요 없도록 하여 ILM가설공법에서 공기 및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임시받침 및 받침의 이동이 필요 없는 하중유도부재가 장착된 ILM용 받침 및 이를 이용한 ILM용 교량 가설 공법{ILM method and ILM bearing with the load guide member without temporary bearing and bearing movement}
본 발명은 교량 가설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임시받침 및 받침의 이동이 필요 없도록 하는 하중유도부재가 장착된 ILM용 받침 및 이를 이용한 ILM용 교량 가설 공법에 관한 것이다.
교량의 연속압출공법인 ILM(Incremental Launching Method)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박스형 세그먼트를 제작장에서 미리 제작한 후 상기 세그먼트를 들어올려 조립한 다음 압출장치를 통해 교축방향으로 진출(launching)시키면서 교량 상판이 형성되도록 하는 형태로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가설하는 공법을 말한다.
상기한 ILM 가설 공법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작장에서 세그먼트(segment)를 미리 제작하고, 이를 순차적으로 들어올려 조립한 후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압출장치를 통해 교축방향으로 런칭시켜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을 형성하는 것으로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시 외부 기후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어 교량의 가설공법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상기와 같이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교량 상판을 별도의 압출장치에 의해 교축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진출시킬 때, 기존 ILM 가설 공법에서는 상부구조 런칭과정에서 지점부 보강이 되어 있지 않은 상부구조가 받침부를 통과할 때 상부구조의 복부판 모서리의 응력집중에 따른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 가지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첫째는, 임시받침을 상부구조 외측에 설치하여 하중지지점을 임시받침으로 유도시켜 런칭을 실시하고, 런칭이 완료된 이후에 임시받침을 철거하고 상부구조 내측에 영구받침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임시받침과 영구받침 두 번의 받침 설치를 해야 하는 문제점과 임시받침으로 인한 비용증가의 문제점이 있다.
이는 런칭중에 상부구조물의 하중작용점을 복부판쪽으로 유도시키기 위해 외측에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임시받침(20)을 1차로 설치하고, 런칭완료 이후에는 임시받침(20)을 철거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영구받침(30)을 복부판 안쪽으로 설치하는 방식으로, 임시받침(20)을 추가로 설치하여야 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둘째는, 상기한 임시받침(20)을 없애고 ILM용 영구받침(30)을 상부구조 외측에 설치하여 런칭을 실시하고, 런칭이 완료된 이후에는 영구받침(30)을 해체하여 상부구조 내측으로 이동 및 재 설치 시키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으며, 이 경우 영구받침(30)을 추가적으로 해체 및 이동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런칭중에 상부구조물의 하중작용점을 복부판쪽으로 유도시키기 위해 외측에 영구받침을 1차로 설치하고, 런칭완료이후에는 영구받침을 복부판 안쪽으로 다시 이동 설치하는 방식으로, 영구받침을 두 번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KR 특허등록 제10-0432436호 등록일 2004년 05월 11일 KR 특허등록 제10-0444356호 등록일 2004년 08월 04일 KR 특허등록 제10-0657815호 등록일 2006년 12월 08일 KR 특허등록 제10-0925977호 등록일 2009년 11월 02일 KR 특허공개 제10-2009-0120886호 공개일 2009년 11월 25일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ILM교량가설공법에 있어서 런칭과정과 런칭이후에 영구받침에 수직하중지지 및 전달을 변경시키기 위해 ILM용 영구받침에 하중유도부재를 도입함으로써, 기존 기술에서의 임시받침 또는 영구받침의 이동을 필요없게 하여 공기 및 비용절감과 더불어 받침의 이동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받침의 높이차 문제 등 구조적인 문제점을 해소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즉, ILM용 영구받침에 하중유도부재를 적용하여 단 한번의 설치로 임시받침과 받침이동의 추가적인 공종 없이 런칭과정과 런칭완료이후 받침의 하중 지지점을 각각 변경시켜 기존 기술에서 문제가 되었던 임시받침설치 또는 영구받침의 해체 및 이동설치 등이 필요 없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량을 이루는 하부구조물의 상측에 올려져 ILM용 공법으로 상부구조물을 이루는 세그먼트를 런칭중 및 완료이후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ILM용 받침에 있어서, 런칭 과정에서 상기 상부구조물의 수직하중지지 및 전달 역할과 상기 중간부재의 수평이동을 구속하는 역할을 위해 상기 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사이의 틈새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중유도부재를 포함하여 달성할 수 있다.
런칭과정에서는 상기 하중유도부재를 외측에 위치시켜 상기세그먼트의 양쪽 모서리쪽으로 하중을 유도시켜 지지하도록하고, 런칭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하중유도부재를 해체함으로써 하중을 상기중간부재로 유도시켜 영구적으로 지지함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에 런칭 과정에서 발생되는 상대적 수평변위를 구속하도록 각각 양단이 상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의 양쪽에 볼트로 결합되는 수평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그먼트가 런칭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부재의 상면에 상기 런칭패드가 슬라이드 되도록 미끄럼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부재의 표면이 런칭과정에서 상기 런칭패드의 진입과 배출이 원활하도록 상기 상부부재의 상면에 각각 일정구간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유도부재의 양쪽에 상기 중간부재의 수평이동 구속을 위해 상기 중간부재를 "C" 형상으로 분리 가능한 조건에서 감싸며 위치되도록 각각 연장부가 더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유도부재의 두께가 상기 중간부재의 두께보다 적어도 작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라 교량을 이루는 하부구조물의 상측에 올려져 런칭후 상부구조물을 이루는 세그먼트를 받침 지지하는 ILM용 받침 설치 공법을 살표보면,
상부 및 하부 부재 사이에 중간부재가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중간부재를 중심으로 한 양쪽에 하중유도부재를 삽입한 다음 상기 상부 및 하부 부재의 양측단을 연결하여 상기 하중유도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수평고정부재를 결합시킨 고정받침을 공장에서 미리 조립하는 고정받침 조립 단계; 상기 받침 조립 단계에서 조립된 고정받침을 현장으로 운반하여 상기 고정받침을 상기 하부구조물의 상면을 이루는 하부 플레이트면에 위치 고정시키는 고정받침 설치 단계; 상기 상부부재의 상면에 런칭패드를 위치시키는 런칭패드 위치 단계; 상기 상부구조물을 이루는 세그먼트를 런칭시키는 세그먼트 런칭 단계; 런칭이 완료되면 상기 하중유도부재 및 상기 수평고정부재를 분리시켜 상부구조물을 고정받침이 지지하도록 하는 분리 단계;를 수행하여 설치하면 된다.
본 발명에서는 ILM교량가설공법에 있어서 런칭과정과 런칭이후에 영구받침에 수직하중지지 및 전달점을 변경시키기 위해 ILM용 영구받침에 하중유도부재를 도입함으로써, 기존 기술에서의 임시받침 또는 영구받침의 이동을 필요없게 하여 공기 및 비용절감과 더불어 받침의 이동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받침의 높이차 문제 등 구조적인 문제점을 해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런칭중 상부구조물의 수직하중을 지지 및 전달시키는 하중유도부재를 ILM용 영구받침에 장착함으로써, 임시 받침 및 받침의 이동공종이 필요 없도록 하여 ILM가설공법에서 공기 및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특히 최초 받침설치상태에서 이동이 필요없어 이동으로 발생되는 받침의 높이차, 수평도 등 교량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실시예로 ILM 공법의 시공 절차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으로 하중 방향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으로 런칭 과정에서의 받침 위치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런칭 과정에서 받침의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따른 런칭 후 받침의 이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ILM 공법에 적용된 고정받침의 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단면으로 하중유도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도 7에서 하중유도부재를 분리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도 7 및 도 8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ILM 공법에 적용된 고정받침의 분리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런칭과정에서 런칭패드를 설치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중유도부재가 다른 받침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중유도부재가 또 다른 받침에 설치된 상태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평면 확대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중유도부재를 이용한 ILM 공법의 시공 과정을 보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ILM용 공법을 통한 교량 공사에 적용되는 ILM용 받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ILM용 받침은, 도 6 내지 도 11의 도시에 의하여 교량을 이루는 하부구조물(200)의 상면에 좌우 한 쌍으로 올려져 교량을 이루는 상부구조물(100)을 지지하게 되는 것으로, 런칭 과정에서 상기 상부구조물(100)의 수직하중지지 및 전달 역할을 하게 되는 고정받침(300)과, 상기 고정받침(3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런칭과정시 받침 지지하게 되는 하중유도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받침(300)은, 하부구조물(200)의 상면에 올려지는 하부부재(360)와 상기 하부부재(360)에 올려지며 받침 역할을 하게 되는 중간부재(340) 및 상면이 상부구조물(100)을 지지하게 되는 상부부재(320)로 이루어져 런칭후 상기 중간부재(340)가 상부구조물(100)을 영구적으로 받침 지지하게 된다.
다시말해, 상기 고정받침(300)은 상부부재(320), 중간부재(340), 하부부재(360)로 구분되고, 하중지지 및 전달은 중간부재(340)를 통해 상부구조로부터 하부구조로 전달된다. 이때 중간부재(340)의 위치에 따라 하중의 지지점이 바뀌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중간부재(340)는 상기 상부 및 하부부재(320)(34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한 쪽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 즉, 상기 상부 및 하부부재(320)(340)가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중간부재(340)를 기준으로 하여 외측으로 커지는 비대칭 구조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중간부재(340)의 일측에 상기 하중유도부재(400)가 위치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부재(320)(340)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하중유도부재(400)는, 상기에서와 같이 상기 중간부재(340)에 대해 각각 외측에 위치되며 런칭과정의 세그먼트의 양쪽 모서리를 지지하게 되고, 이때, 상기 중간부재(340)는 런칭후 상기 세그먼트를 영구적으로 지지하도록 수직하중 중심에 위치된다.
즉, 런칭 완료후 상기 하중유도부재(400)를 제거시키면 상기 중간부재(340)가 별도의 이동이 필요없이 상기 상부구조물(100)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이와같이 상기 하중유도부재(400)가 제거되고 나면, 상부구조물의 하중은 상부부재(320)와 중간부재(340) 및 하부부재(360)를 통해 하부구조물로 전달되게 된다.
상기 하중유도부재(400)는 받침의 종류 및 형태에 따라 강재 또는 적층고무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간부재(340)는, 포트 또는 마찰진자받침, 마찰받침 등으로 적용될 수 있고, 상기 하중유도부재(400)는 주로 강재로 구성되며 상부부재(320)와 하부부재(360) 사이에 위치하여 런칭중에 상부구조물(100)의 수직하중을 지지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상기 하중유도부재(400)는, 양단부에 상기 하중유도부재(400)가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턱(4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401)은, 런칭중 상기 하중유도부재(400) 및 중간부재(340)의 이동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공지의 마찰진자받침, 마찰받침 등과 같이 중간부재(340)가 구속되지 않은 받침에 적용되는 상기 하중유도부재(400)는 런칭중에 중간부재(340)의 수평방향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도록 중간부재(340)를 감싸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하중유도부재(400)가 영구받침의 미끄럼면에 접촉될 경우 미끄럼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중유도부재와 미끄럼면사이 접촉면에 마찰재 또는 고무 등을 삽입시키도록 함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납면진받침을 포함하는 고무받침에서는 상부부재와 중간부재 그리고 하부부재가 볼트 등을 이용하여 일체로 제작되며, 중간부재가 주로 적층고무형태이므로 이러한 형식의 ILM용 받침에서 상기 하중유도부재(400)는 적절한 수직강성을 갖도록 받침의 중간부재(340)보다 낮은 고무층을 갖는 적층고무 또는 강재 등으로 구성시킴으로써 런칭중 상부구조물(100)의 수직하중이 상기 하중유도부재(400)로 집중되도록 하여 런칭을 실시하도록 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도 12 내지 도 14 참조)
또한, 상기 상부부재(320)와 하부부재(360)에 런칭 과정에서 발생되는 상대적 수평변위를 구속하도록 각각 양단이 상기 상부부재(320)와 하부부재(360)의 양쪽에 볼트로 결합되는 수평고정부재(500)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수평고정부재(500)는, 런칭중 발생되는 수평력에 대한 지지를 위해 상하단이 각각 상부부재(320)와 하부부재(360)의 측단에 체결되어 상기 중간부재(340)와 함께 상기 하중유도부재(40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세그먼트는 이동시 런칭패드(600)를 통해 이동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이때, 상기 상부부재(320)의 상면에는 상기 런칭패드(600)가 슬라이드 되도록 미끄럼판(700)이 제공되도록 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부재(320)의 표면이 런칭과정에서 상기 런칭패드(600)의 진입과 배출이 원활하도록 상기 상부부재(320)의 상면에 각각 일정구간 경사면(322)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중유도부재(400)의 양쪽에 상기 고정받침(300)을 감싸는 형태, 즉 "C" 형상으로 감싸며 위치되도록 연장부(404)(406)가 더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상기 하중유도부재(400)의 두께가 상기 중간부재(340)의 두께보다 적어도 작게 형성되도록 함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하중유도부재(400)를 적용하게 되는 경우, 단 한번의 설치로 임시받침과 받침이동의 추가적인 공종 없이 런칭과정과 런칭완료이후 받침의 하중 지지점을 각각 변경시켜 기존 기술에서 문제가 되었던 임시받침설치 또는 영구받침의 이동 및 하부고정플레이트 등이 필요 없도록 하게 된다.
즉, ILM용 영구받침을 이용한 공사에서는 런칭중의 하중지지점과 런칭완료후 하중지지점이 서로 다르므로, 상기 하중유도부재(400)를 적용하여 런칭중에 하중유도부재(400)를 통해 하중지지 및 전달을 수행하고, 런칭완료 이후에는 하중유도부재(400)를 제거하여 영구받침의 중간부재(340)가 하중지지 및 전달의 역할을 수행토록 함으로써 임시받침 또는 영구받침의 이동 및 이동을 위한 별도의 하부고정플레이트가 필요없도록 하게 된다. 이로써 단 한번의 ILM용 영구받침의 설치로 임시받침 또는 영구받침의 이동이 필요 없는 ILM공법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ILM용 받침을 이용한 ILM용 가설 공법의 실시과정을 살펴보면, 런칭중과 런칭이후 받침의 하중지지점의 위치가 대략 200~600MM 정도 이동되며, 하중지지점은 주로 런칭중에는 상부구조물 외측에서 런칭이후에는 상부구조물(100) 내측으로 이동 변경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구조물(100)의 수직하중지지점의 변경을 위해 상기 고정받침(300)에 하중유도부재(400)를 적용하여 설치한다.
즉, 런칭중에는 하중유도부재(400)를 통해 상부하중지지 및 전달점을 상부구조물(100) 외측에 위치시키고, 런칭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하중유도부재(400)를 제거함으로써 영구받침의 중간부재(340)를 통해 정상적으로 상부하중지지 및 전달점이 이동 변경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기 하중유도부재(400)를 적용하여 상부구조물(100)의 하중지지점 이동을 시키기 위해 영구받침은 평면상에 비대칭으로 구성되며, 특히 런칭중 하중지지점방향, 즉 상부구조물의 외측방향으로 받침의 크기가 커지는 중간부재(340)를 기준으로 비 대칭형상을 갖는다.
또한, 런칭중에 발생되는 수평력을 지지하기 위하여 받침의 양측면에는 받침의 상부부재(320)와 하부부재(340)사이에 상대 수평이동이 제한되도록 수평고정부재(500)가 설치되고 런칭이 완료된 이후에는 영구받침의 기능을 위해 상기 수평고정부재(500)는 제거하면 된다.
상기의 하중유도부재(400)는 런칭중에 발생되는 상부구조물(100)의 하중지점의 경로상에 배치되도록 하면 된다.
런칭중 하중 지지점은 상부구조물(100)의 외측에 위치함으로 영구받침의 전체적인 평면치수는 런칭중 하중 지지점 방향, 즉 상부구조물 외측으로 커지는 기하학적인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ILM용 영구받침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시공단계를 통해 기존기술의 임시받침 또는 영구받침의 이동이 필요없이 공종의 줄어들과 공사비용절감이 되는 특징을 갖는다.
다시말해, 시공과정을 살펴보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같이 먼저 상부 및 하부 부재(320)(360) 사이에 중간부재(340)가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중간부재(340)를 중심으로 한 양쪽에 하중유도부재(400)를 삽입한 다음 상기 상부 및 하부 부재(320)(360)의 양측단을 연결하여 상기 하중유도부재(400)가 이탈되지 않도록 수평고정부재(500)와 상부부재 상면에 미끄럼판(700)을 결합시킨 고정받침(300)을 공장에서 미리 조립하는 고정받침 조립 단계(S1)를 수행한다. 그런다음 상기 받침 조립 단계(S1)에서 조립된 고정받침(300)을 현장으로 운반하여 상기 받침을 상기 하부구조물(200)의 상면을 이루는 하부 플레이트면에 위치 고정시키는 고정받침 설치 단계(S2)를 수행한다. 연속해서 상기 상부부재(320)의 상면에 런칭패드(600)를 위치시키는 런칭패드 위치 단계(S3)를 수행하고, 또한 상기 상부구조물(100)을 이루는 세그먼트를 런칭시키는 세그먼트 런칭 단계(S4)를 수행한다.
이후 런칭이 완료되면 상부구조물을 인상시키는 인상단계(S5)를 수행하고, 인상 상태에서 상기 수평고정부재(500)를 분리시키고 순차적으로 하중유도부재(400) 그리고 런칭패드(600) 및 미끄럼판(700)을 분리시켜 상부구조물(100)의 하중이 중간부재(340)를 통해 하부부재(360)로 전달되도록 하는 분리 단계(S6)를 수행하고 인상잭을 해체하는 상부구조물의 인하 단계(S7)를 수행하면 설치가 완료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100: 상부구조물
200: 하부구조물
300: 고정받침
320: 상부부재 340: 중간부재
360: 하부부재
400: 하중유도부재
401: 걸림턱 404,406: 연장부
500: 수평고정부재
600: 런칭패드
700: 미끄럼판

Claims (6)

  1. 교량을 이루는 하부구조물의 상측에 올려져 ILM용 공법으로 상부구조물을 이루는 세그먼트를 런칭하게 되며 런칭후 상부구조물을 받침 지지하는 ILM용 받침에 있어서,
    상기 하부구조물의 상면에 좌우 한 쌍으로 올려져 상기 상부구조물을 지지하게 되며 상부부재와 중간부재 그리고 하부부재가 상하 순차적으로 위치되어 런칭후 상기 상부구조물을 영구적으로 받침 지지하는 고정받침; 런칭 과정에서 상기 상부구조물의 수직하중지지 및 전달 역할과 상기 중간부재의 수평이동을 구속하는 역할을 위해 상기 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사이의 틈새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중유도부재를 포함하며;
    런칭과정에서 상기 하중유도부재가 상기 세그먼트의 양쪽 모서리를 지지하도록 각각 외측에 위치되도록 하고 런칭후에는 하중유도부재를 제거하여 상기 중간부재가 상기 세그먼트를 영구적으로 지지하도록 받침 이동없이 수직하중 지지점이 변경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받침 및 받침의 이동이 필요 없는 하중유도부재가 장착된 ILM용 받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유도부재의 양쪽에 상기 중간부재의 수평이동 구속을 위해 상기 중간부재를 "C" 형상으로 분리 가능한 조건에서 감싸며 위치되도록 각각 연장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받침 및 받침의 이동이 필요 없는 하중유도부재가 장착된 ILM용 받침.
  4. 제1항에 있어서,
    강재형 받침의 상기 하중유도부재의 양단부에 상기 하중유도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턱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받침 및 받침의 이동이 필요 없는 하중유도부재가 장착된 ILM용 받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유도부재의 두께가 상기 중간부재의 두께보다 적어도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받침 및 받침의 이동이 필요 없는 하중유도부재가 장착된 ILM용 받침.
  6. 교량을 이루는 하부구조물의 상측에 올려져 런칭후 상부구조물을 이루는 세그먼트를 받침 지지하는 ILM용 받침 설치 공법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부재 사이에 중간부재가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중간부재를 중심으로 한 양쪽에 하중유도부재를 삽입한 다음 상기 상부 및 하부 부재의 양측단을 연결하여 상기 하중유도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수평고정부재와 상부부재 상면에 미끄럼판을 결합시킨 고정받침을 공장에서 미리 조립하는 고정받침 조립 단계;
    상기 고정받침 조립 단계에서 조립된 고정받침을 현장으로 운반하여 상기 고정받침을 상기 하부구조물의 상면을 이루는 하부 플레이트면에 위치 고정시키는 고정받침 설치 단계;
    상기 상부부재의 상면에 런칭패드를 위치시키는 런칭패드 위치 단계;
    상기 상부구조물을 이루는 세그먼트를 런칭시키는 세그먼트 런칭 단계;
    런칭이 완료된 이후 상부구조물을 인상시키는 인상 단계;
    인상 상태에서 런칭패드와 미끄럼판 및 수평고정부재와 하중유도부재를 분리시키는 분리 단계;
    상부구조물을 인하시키는 인하 단계;
    를 수행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받침 및 받침의 이동이 필요 없는 하중유도부재가 장착된 ILM용 받침을 이용한 ILM용 교량 가설 공법.
KR1020170104535A 2017-08-18 2017-08-18 임시받침 및 받침의 이동이 필요 없는 하중유도부재가 장착된 ilm용 받침 및 이를 이용한 ilm용 교량 가설 공법 KR101821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535A KR101821756B1 (ko) 2017-08-18 2017-08-18 임시받침 및 받침의 이동이 필요 없는 하중유도부재가 장착된 ilm용 받침 및 이를 이용한 ilm용 교량 가설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535A KR101821756B1 (ko) 2017-08-18 2017-08-18 임시받침 및 받침의 이동이 필요 없는 하중유도부재가 장착된 ilm용 받침 및 이를 이용한 ilm용 교량 가설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1756B1 true KR101821756B1 (ko) 2018-03-08

Family

ID=61725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535A KR101821756B1 (ko) 2017-08-18 2017-08-18 임시받침 및 받침의 이동이 필요 없는 하중유도부재가 장착된 ilm용 받침 및 이를 이용한 ilm용 교량 가설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175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114B1 (ko) * 2011-12-30 2012-09-21 조영철 수직방향 면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114B1 (ko) * 2011-12-30 2012-09-21 조영철 수직방향 면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66352B (zh) 用于乘客传送机的桁架构造
JP2018100564A (ja) 床版架け替え装置及び方法
WO2018016850A1 (ko) 교량 거더 위를 주행하는 프리캐스트 바닥판 운반용 레일카 및 이를 이용한 교량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시공 방법
JP2008174369A (ja) 搬送用走行体の上下経路切換装置
CN103998365B (zh) 乘客输送机装置
JP4858822B2 (ja) 建屋の鉄骨構築方法
RU2430008C2 (ru) Приемник транспортной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го монтажа транспортной системы
US20220275816A1 (en) Device replacement in wearable article manufacturing equipment
US9586697B2 (en) Boarding bridge
KR101821756B1 (ko) 임시받침 및 받침의 이동이 필요 없는 하중유도부재가 장착된 ilm용 받침 및 이를 이용한 ilm용 교량 가설 공법
KR100912836B1 (ko) 모노레일용 지지구조물
JP2014051372A (ja) 乗客コンベヤのトラス支持装置、及び乗客コンベヤのトラス支持装置の設置方法
KR101786748B1 (ko) 이동레일을 이용한 거더견인 시공방법.
US8740189B2 (en) Lifting system for a transportation system structure
JP6568817B2 (ja) 加熱炉の構築方法
KR101819495B1 (ko) 이동대차를 이용한 거더견인 시공방법.
CN110550544A (zh) 起重机及使用该起重机的重物的起重搬运方法
CN113235434B (zh) 一种大型构件高空不等高滑运调位系统及施工方法
EP3502032A1 (en) A roller guide assembly, an elevator system, an installation method for installing a roller guide assembly and a maintenance method for maintaining a roller guide assembly
JP2014101213A (ja) 乗客コンベアの脱落防止装置
CN110963436B (zh) 一种混凝土预制构件举升安装装置
CN107900244B (zh) 一种基于单向折弯链的长度自适应板料桥式支撑机构
JP2002129747A (ja) リフトアップ工法およびリフトアップシステム
CN110064903B (zh) 扶梯导轨系统安装方法及定位工装
KR200395239Y1 (ko)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인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