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2836B1 - 모노레일용 지지구조물 - Google Patents

모노레일용 지지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2836B1
KR100912836B1 KR1020090016098A KR20090016098A KR100912836B1 KR 100912836 B1 KR100912836 B1 KR 100912836B1 KR 1020090016098 A KR1020090016098 A KR 1020090016098A KR 20090016098 A KR20090016098 A KR 20090016098A KR 100912836 B1 KR100912836 B1 KR 100912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pport
coupling
movable
mono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오키 테츠히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오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오환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오환경
Priority to KR1020090016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28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2Mechanical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 또는 분리되는 교좌장치를 구비함으로서, 설치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제작 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고가교 전체의 경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노레일용 지지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교각과, 상기 교각 상부에 설치되는 거더, 및 상기 교각과 상기 거더 사이에 설치되는 교좌장치를 포함하는 모노레일용 지지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교좌장치는 상부 플레이트,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체는 별도의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용 지지구조물을 제공한다.
교각, 거더, 지지체, 분리, 교좌장치, 고정, 가동, 지지구조물, 모노레일

Description

모노레일용 지지구조물{Support Structure for Monorail}
본 발명은 모노레일용 지지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 또는 분리되는 교좌장치를 구비함으로서, 설치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제작 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고가교 전체의 경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노레일용 지지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시화로 인해 인구의 도시유입 현상이 심화되어 인구수가 수백만 내지 수천만에 달하는 거대 도시들이 속속 출현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도시화와 함께 지난 수십 년간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생활수준이 전반적으로 향상됨과 더불어 자동차 산업의 성장에 의해 불과 몇 년 사이에 차량의 보급대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되었다. 이에 따라, 도시의 교통량도 급격히 증가하여 포화상태에 이르렀으나 제한된 도심 혹은 도로의 면적에 의해 교통체증, 주차, 사고, 공해, 소음과 같은 여러 가지 심각한 문제가 야기되고 있는 등 대부분의 거대 도시들의 교통상황은 총체적 난국에 직면해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러한 거대 도시들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자 전철, 지하철, 경전철 그리고 더 나아가서 모노레일과 같은 고가 레일차량 시스템 등이 설치 되어 운영되고 있다. 이중, 상기 모노레일은 교각에 의한 고가구조로 설치되는 교통수단으로서, 시야가 트여 조망권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아 공해가 없으며 소음 또한 적어 친환경적인 교통수단으로 분류된다. 또한, 상기 모노레일은 기존 도로 위에 설치되므로, 접근성이 좋아 쉽게 이용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모노레일은 일반적으로 교각에 설치되는 지지구조물에 의해 받쳐 지지된다.
이하, 도 6a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모노레일용 지지구조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모노레일용 지지구조물은, 교각(10) 상부에 형성되는 거더(20) 및 교각(10)과 거더(20) 사이에서 상기 거더(20) 상부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을 교각(10)에 전달하는 교좌장치(30)를 포함한다.
상기 교좌장치(30)는 상판(31)과 하판(32)의 결합을 통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종래의 상판(31)은 상기 거더(20)의 하부면에 고정되어 형성되고 하부면 양측에는 철(凸)자 형상의 삽입돌기(31a)가 서로 대향되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판(32)은 상기 교각(10)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하판(32)은, 상부면 중심부가 돌출되어 돌출부(32b)를 이루고 상기 돌출부(32b) 양측에는 상기 삽입돌기(31a)에 상응되는 형태의 요(凹)자 형상의 수용부(32a)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 하에서, 교좌장치(30)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하부면에 상 판(31)이 고정된 거더(20) 자체를 운반하여 상기 수용부(32a)에 삽입돌기(31a)를 끼워 맞춰야 된다. 하지만 상기 거더(20)는 내부에 다수의 PC강봉(21)이 삽입되어 형성되는 육중한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의 무게로 인해 운반 자체가 수월치 않으며 더군다나 거더(20)를 운반하여 수용부(32a)에 삽입돌기(31a)를 끼워 맞추는 정교한 작업은 진행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한편, 상기 삽입돌기(31a) 및 수용부(32a)는 구조적으로 상부로부터의 하중이 집중됨에 따라 결함이 발생되기 쉽다. 하지만, 교좌장치(30)의 설치가 완료된 후 이들 부분에 결함이 발생된 경우 이를 보수하기 위해서는 상기 거더(20) 자체를 통째로 드러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돌기(31a) 및 수용부(32a)는 상판(31) 및 하판(32)의 양측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예컨대, 어느 한쪽의 삽입돌기(31a) 또는 어느 한쪽의 수용부(32a)에 결함이 발생되더라도 상판(31) 또는 하판(32) 전체를 교체해주어야 하며, 이는 비용상승으로 이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교좌장치(30)는 고정부(30a)와 가동부(30b)로 분류된다. 상기 고정부(30a) 및 가동부(30b)는 상기 거더(20)의 길이방향 양측 하부면에 각각 설치되는데, 이는, 거더(20)를 고정함과 아울러, 온도 변화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인장 또는 수축되는 상기 거더(20)의 변형이 원활하게 일어나도록 유도하여 거더(20)의 단부에 불필요한 응력이 가해져서 결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종래의 가동부(30b)는, 삽입돌기(31a)와 수용부(32a)가 결합될 시 삽입돌기(31a)가 거더(20)의 인장 또는 수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삽입돌기(31a)의 측면에는, 수용부(32a)와 삽입돌기(31a)를 고정하기 위해 측방으로부터 관통 결합되는 원통형인 고정핀(미도시)의 지름과 높이는 동일하고 너비는 더 긴 대략 직사각형 형태의 관통구(미도시)가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고정핀(미도시)과 관통구(미도시)는 그 형태에 따라 선 접촉을 하게 되고, 이러한 선 접촉 부분에는 응력의 집중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선 접촉 부분에 집중되는 응력을 흡수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핀(미도시)을 대형화해야 되는데, 이는, 지지구조물의 부피증가를 초래하여 결국, 고가교의 경관 및 더 나아가 도시 미관을 해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 또는 분리되는 교좌장치를 구비함으로서, 설치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제작 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고가교 전체의 경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노레일용 지지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콤팩트하고 내구성이 보다 향상되며 경사도 조절이 용이한 모노레일용 지지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노레일용 지지구조물은, 교각과, 상기 교각 상부에 설치되는 거더, 및 상기 교각과 상기 거더 사이에 설치되는 교좌장치를 포함하는 모노레일용 지지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교좌장치는 상부 플레이트,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 는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체는 별도의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 또는 분리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체는 고정형 지지체 및 가동형 지지체로 구분되되, 상기 거더의 일측단 하부에는 상기 고정형 지지체가 위치되고, 상기 거더의 타측단 하부에는 상기 가동형 지지체가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형 지지체는, 양 측벽에 제 1 관통공이 형성되는 요(凹)자 형상의 고정수용부와, 상기 고정수용부에 상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수용부에 끼워지되, 측벽에 상기 제 1 관통공과 대응되는 제 2 관통공이 형성되는 철(凸)자 형상의 고정삽입부, 및 상기 제 1 관통공 및 상기 제 2 관통공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고정수용부와 상기 고정삽입부를 고정시키는 제 1 고정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형 지지체는, 양 측벽에 제 3 관통공이 형성되는 요(凹)자 형상의 가동수용부와, 상기 가동수용부에 상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동수용부에 끼워지되, 측벽에 상기 제 3 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철(凸)자 형상의 가동삽입부와, 상기 개구부의 내측 상, 하부에 각각 형성되되, 그 하면이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평행하게 형성된 상단가이드부재 및 그 상면이 상부 플레이트에 평행하게 형성된 하단가이드부재(336b), 상, 하부는 상기 상단가이드부재의 하면 및 상기 하단가이드부재의 상면에 상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끼워지되, 가로길이가 상기 개구부의 가로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제 3 관통공과 대응되는 제 4 관통공이 형성되는 수평가동블록, 및 상기 제 3 관통공 및 상기 제 4 관통공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가동수용부와 상기 가동삽입부를 고정시키는 제 2 고정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단가이드부재의 하면 및 상기 하단가이드부재의 상면과 상기 수평가동블록의 접촉면에는 미끄러운 재질의 슬라이딩막(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거더의 양측단 하부면에 설치되되, 상부면에는 다수의 PC강봉이 결합되고 하부면에는 한 쌍의 상기 고정형 지지체 또는 한 쌍의 상기 가동형 지지체가 이격되어 상기 거더의 횡방향으로 대향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원형 플레이트가 설치되되, 상기 원형 플레이트는, 하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상판과, 상기 상판의 경사면에 접하는 경사면이 상면에 형성된 하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체에는 상기 결합수단을 결합시키기 위한 다수의 결합공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공은 상기 결합수단의 직경보다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대응되도록 상기 교각의 상부면에 설치되되, 하나의 상기 고정형 지지체, 나머지 하나의 상기 고정형 지지체, 하나의 상기 가동형 지지체 및 나머지 하나의 상기 가동형 지지체가 각각 안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 또는 분리되는 교좌장치를 구비함으로서, 설치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제작 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고가교 전체의 경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동형 지지체가 면 접촉되는 슬라이딩 구조를 이룸으로서, 교좌장치를 보다 소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더에 삽입되는 PC강봉을 고강도화 하여 삽입되는 PC강봉의 수를 줄이고, 지지 프레임을 H형강으로 형성하며, 경사진 상, 하판으로 이루어지는 원형 플레이트를 구비함으로서, 지지구조물을 보다 콤팩트게 제조할 수 있고,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거더 및 교좌장치의 경사도 조절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용 지지구조물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형 지지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이고, 도 2b는 도 2a의 결합 사시도이이며, 도 2c는 도 2b의 A-A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지지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c는 도 3b의 측면도이고, 도 3d는 도 3b의 B-B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지지체의 슬라이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형 플레이트의 경사도 조절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용 지지구조물은, 교각(100)과, 상기 교각(100) 상부에 설치되는 거더(200), 및 상기 교각(100)과 상기 거더(200) 사이에 설치되는 교좌장치(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교좌장치(300)는 볼트와 같은 별도의 결합수단(340)을 통해 결합 또는 분리되어 상기 교각(100) 및 상기 거더(200) 사이에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상기 교좌장치(300)에 결함이 발생된 경우 이를 쉽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다.
상기 교각(100)은 모노레일의 운행 방향에 따라 도로변에 등 간격으로 설치되어 거더(200), 교좌장치(300) 및 이들의 상부에 설치되어 운행되는 모노레일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교각(100)은 상부면에 상기 교좌장치(300)를 안착시키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교좌장치(300)의 하부 플레이트(320)가 안착 및 결합된다. 또한, 상기 교좌장치(300)의 하단에 결합되어 이를 고정하는 지지프레임(110) 및 원형 플레이트(120)를 내부에 수용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10)은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내구성을 강화시 키기 위해 H형강(鋼)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지지프레임(110)의 구조는 일반적인 수직형 지지프레임보다 한층 향상된 내구성을 나타내게 된다.
상기 원형 플레이트(120)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3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교좌장치(300)의 경사도를 조절한다. 이러한 원형 플레이트(120)는, 하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상판(121)과, 상기 상판의 경사면에 접하는 경사면이 상면에 형성된 하판(122)으로 이루어지고, 이들의 경사면은 서로 접촉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하판(122)의 하면이 수평이고 고정된 상태라고 가정할 경우, 상판(121)이 그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대 회전하게 되면 상판(121)의 상면이 수평 상태에서 벗어나 수평 상태에 대하여 기울기를 갖게 된다. 그리고 그 기울기는 상판(121)의 회전정도와 상, 하판(121, 122)의 경사면이 이루는 경사각도에 따라 좌우된다.
상기 거더(200)는 상기 교각(100)의 상부에, 길이방향 양측단으로 상기 교좌장치(300)의 지지를 받으며 설치된다. 이때, 상기 거더(200)의 길이방향 일측단에 형성되는 교좌장치(300)는 상기 교각(100)에 상기 거더(20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거더(200)의 길이방향 타측단에 형성되는 교좌장치(300)는 온도 변화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인장 또는 수축되는 상기 거더(200)의 변형이 원활하게 일어나도록 유도하여 거더(20)의 단부에 불필요한 응력이 가해져서 결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거더(200)는 콘크리트 내에 다수의 PC강봉(210)을 삽입하여 긴장시킨 후 소정의 양생시간을 거치는 PSC(prestress concrete)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PC강봉(210)은 상기 거더(200)의 콤팩트화를 위해 콘크리트 내에 삽입되는 숫자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서는 고강도이며 두께가 얇은 PC강봉(210)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PC강봉(210)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상기 거더(200)를 지탱하고 강도를 부여함은 물론, 상기 거더(200)의 양측단 하부면에 설치되는 상기 교좌장치(300)의 상부 플레이트(310)에 결합되어 상부 플레이트(310)를 상기 거더(200)의 하부면에 밀착 및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교좌장치(300)는 교각(100)과 거더(200) 사이에서 상기 거더(200) 상부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을 교각(100)에 전달하고 상기 거더(200)를 지지하며 상기 거더(200)의 변형에 대응하여 지지구조물의 결함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교좌장치(300)는 상부 플레이트(310), 하부 플레이트(320)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310)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320)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체(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310), 상기 하부 플레이트(320) 및 상기 지지체(330)는 볼트와 같은 별도의 결합수단(340)을 통해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구조를 이룸으로서, 상기 교각(100) 및 상기 거더(200) 사이에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이들 중 어느 하나에 결함이 발생된 경우 결합수단(340)을 교좌장치(300)에서 해제시켜 상부 플레이트(310), 하부 플레이트(320) 및 상기 지지체(330)를 개별적으로 분리한 후 결함이 발생된 부분만 용이하게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310), 상기 하부 플레이트(320) 및 상기 지지체(330)에는 상기 결합수단(340)을 결합시키기 위한 다수의 결합공(300a)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결합수단(340)을 수직방향으로 관통시켜 상부 플레이트(310)와 지지체(330) 또는 하부 플레이트(320)와 지지체(330)의 결합을 완성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32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공(300a)은 상기 결합수단(340)의 직경보다 일 방향으로 길게 장공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결합수단(340)이 관통되는 결합공(300a)에 공차를 두는 것으로, 이를 통해, 결합수단(340)을 결합공(300a)에 관통시킨 다음 하부 플레이트(320)의 설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현장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310)는 상기 거더(200)의 양측단 하부면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상부 플레이트(310)의 상부면에는 거더(200) 내부에 위치되는 다수의 PC강봉(210)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거더(200)의 일측단 하부면에 설치되는 상부 플레이트(310)의 하부면에는 한 쌍의 고정형 지지체(330a)가 이격되어 상기 거더(200)의 횡방향으로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거더(200)의 타측단 하부면에 설치되는 상부 플레이트(310)의 하부면에는 한 쌍의 가동형 지지체(330b)가 이격되어 상기 거더(200)의 횡방향으로 대향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거더(200)와 상기 지지체(330)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310)를 매개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고정형 지지체(330a) 및 상기 가동형 지지체(330b)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320)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310)와 대응되는 상기 교 각(100)의 상부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하부 플레이트(320)는 한 쌍의 고정형 지지체(330a) 및 한 쌍의 가동형 지지체(330b)를 각각 안착시키게 된다. 즉, 하나의 거더(200)를 기준으로, 상기 거더(200)의 일측단 하부에는 하나의 상부 플레이트(310)와, 두 개의 고정형 지지체(330a) 및 두 개의 하부 플레이트(320)가 설치되고, 상기 거더(200)의 타측단 하부에는 다른 하나의 상부 플레이트(310)와, 두 개의 가동형 지지체(330b) 및 다른 두 개의 하부 플레이트(320)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부 플레이트(320)는, 종래의 하판(도 6a의 32)이 다수개로 분리된 형태로, 이에 따라 하판(도 6a의 32)의 중심부에 형성되었던 돌출부(도 6a의 32b)가 자동적으로 없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재료를 절감할 수 있고 경량화를 이뤄 취급성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플레이트(320)에 결함이 발생되어 이를 보수할 경우 결함이 발생된 부분만을 교체하는 것이 가능해져 종래와 같이 전체를 교체해야 되는 수고를 덜 수 있고 이로 인한 비용부담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 플레이트(320)의 하부에는, 하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상판(121)과, 상기 상판의 경사면에 접하는 경사면이 상면에 형성된 하판(122)으로 이루어지는 원형 플레이트(120)가 설치되어 교좌장치(300)의 경사도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지지체(330)는 고정형 지지체(330a) 및 가동형 지지체(330b)로 구분된다. 상기 고정형 지지체(330a)는 거더(200)를 교각(100)에 고정시키는 고정축으로 작용되고, 상기 가동형 지지체(330b)는 상기 거더(200)의 수평 변형이 원활하게 이 루어지도록 작용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형 지지체(330a)는 상기 거더(200)의 일측단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형 지지체(330b)는 상기 거더(200)의 길이방향 타측단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형 지지체(330a)는, 요(凹)자 형상의 고정수용부(331)와, 철(凸)자 형상의 고정삽입부(332) 및 제 1 고정핀(333)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용부(331)는, 대략 사각형 형태의 밑판 상면에 측벽이 수직으로 대향되게 형성되고, 이들 양 측벽에는 제 1 고정핀(333)이 관통 결합될 제 1 관통공(331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밑판의 상면 테두리에는 결합수단(340)과의 수직결합을 위한 다수의 결합공(300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삽입부(332)는 상기 고정수용부(331)에 상응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고정형 지지체(330a) 설치 시 상기 고정수용부(331)에 끼워져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삽입부(332)의 측벽에는 상기 제 1 관통공(331a)과 대응되는 제 2 관통공(33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고정핀(333)은 상기 고정수용부(331)에 상기 고정삽입부(332)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관통공(331a) 및 상기 제 2 관통공(332a)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고정수용부(331)와 상기 고정삽입부(332)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가동형 지지체(330b)는, 요(凹)자 형상의 가동수용부(334)와, 철(凸)자형상의 가동삽입부(335)와, 상단가이드부재(336a) 및 하단가이드부재(336b)와, 수평가동블록(337) 및 제 2 고정핀(338)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가동수용부(334)는, 대략 사각형 형태의 밑판 상면에 측벽이 수직으로 대향되게 형성되고, 이들 양 측벽에는 제 2 고정핀(338)이 관통 결합될 제 3 관통공(334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밑판의 상면 테두리에는 결합수단(340)과의 수직결합을 위한 다수의 결합공(300a)이 형성된다. 즉, 가동형 지지체(330b)의 가동수용부(334)는 고정형 지지체(330a)의 고정수용부(331)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가동삽입부(335)는 상기 가동수용부(334)에 상응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가동형 지지체(330b) 설치 시 상기 가동수용부(334)에 끼워져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삽입부(335)의 측벽에는 상기 제 3 관통공(334a)과 대응되는 위치에 가로 방향이 더 긴 직사각형 형태의 개구부(335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단가이드부재(336a) 및 하단가이드부재(336b)는 상기 개구부(335a)의 내측 상, 하부에 각각 부착되는데, 이때, 상기 상단가이드부재(336a)의 하면 및 하단가이드부재(336b)의 상면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310)에 평행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단가이드부재(336a) 및 하단가이드부재(336b)의 서로 마주보는 면은 오목 또는 볼록 또는 오목과 볼록이 서로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는, 상기 가동삽입부(335)를 보다 원활하게 슬라이딩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수평가동블록(337)은 상부에 위치되는 상기 상단가이드부재(336a)의 하면 및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하단가이드부재(336b)의 상면에 상응되도록 형성되어 이들 사이에 끼워져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가동블록(337)의 가로길이는 상기 개구부(335a)의 가로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데, 이는, 수평으로 슬라이딩되는 상기 가동삽입부(335)의 슬라이딩 영역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수평가동블록(337)의 중앙에는 상기 제 3 관통공(334a)과 대응되는 제 4 관통공(337a)이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 2 고정핀(338)은 상기 가동수용부(334)에 상기 가동삽입부(335)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 3 관통공(334a) 및 상기 제 4 관통공(337a)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가동수용부(334)와 상기가동삽입부(335)를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단가이드부재(336a)의 하면 및 상기 하단가이드부재(336b)의 상면과 상기 수평가동블록(337)의 접촉면에는 미끄러운 재질의 슬라이딩막(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가동형 지지체(330b)가 거더(200) 및 상부로부터 하중을 받을 시, 가해지는 수직하중에 의해서 가동삽입부(335)의 슬라이딩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가동형 지지체(330b)가 설치된 경우, 상기 거더(200)가 온도에 따라 인장 및 수축될 시 일측단은 상기 고정형 지지체(330a)에 고정되어 있어 모든 인장 및 수축은 상기 일측단을 고정축으로 하여 타측단에서 일어나게 된다. 이때, 상기 거더(200)의 타측단 하부에 설치된 상기 가동형 지지체(330b)에서, 상기 거더(200) 하부면에 부착된 상부 플레이트(310)에 직접 결합된 상기 가동삽입부(335)가 거더(200)의 인장 및 수축에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는, 가동삽입부(335)의 개구부(335a) 내측에 고정된 상단가이드부재(336a) 및 하단가이드부재(336b)가, 제 2 고정핀(338)에 의해 가동수용부(334)와 함께 결합되어 있는 수평가동블록(337)의 상, 하단부를 타고 슬라이딩됨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로써, 온도 변화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인장 또는 수축되는 상기 거더(200)의 단부에 불필요한 응력이 가해져서 결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340)을 통해 결합 또는 분리되는 교좌장치(300)를 구비하는 모노레일용 지지구조물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용 지지구조물은 설치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제작 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고가교 전체의 경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용 지지구조물에서, 가동형 지지체(330b)가 면 접촉되는 슬라이딩 구조를 이룸으로서, 종래와 같이, 선 접촉에 따라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고정핀(333, 338)을 대형화할 필요가 없어 교좌장치(300)를 소형화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더불어, 거더(200)에 삽입되는 PC강봉(210)을 고강도화 하여 삽입되는 PC강봉(210)의 수를 줄임으로서, 콤팩트한 거더(200)를 제조할 수 있고, 지지 프레임(110)을 H형강으로 형성함으로서, 종래보다 지지 프레임(1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경사진 상, 하판(121, 122)으로 이루어진 원형 플레이트(120)를 구비함으로서, 교좌장치(300)의 경사도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용 지지구조물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나타낸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형 지지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결합 사시도.
도 2c는 도 2b의 A-A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지지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결합 사시도.
도 3c는 도 3b의 측면도.
도 3d는 도 3b의 B-B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동형 지지체의 슬라이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형 플레이트의 경사도 조절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b는 종래기술에 따른 모노레일용 지지구조물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교각 : 100 지지프레임 : 110
거더 : 200 PC강봉 : 210
교좌장치 : 300 상부 플레이트 : 310
하부 플레이트 : 320 지지체 : 330
고정형 지지체 : 330a 고정수용부 : 331
고정삽입부 : 332 제 1 고정핀: 333
가동형 지지체 : 330b 가동수용부 : 334
가동삽입부 : 335 상단가이드부재 : 336a
하단가이드부재 : 336b 수평가동블록 : 337
제 2 고정핀 : 338 결합수단 : 340
결합공 : 300a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교각(100)과, 상기 교각(100) 상부에 설치되는 거더(200), 및 상기 교각(100)과 상기 거더(200) 사이에 설치되되 상부 플레이트(310), 하부 플레이트(320)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310)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320)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체(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교좌장치(300)를 포함하는 모노레일용 지지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310), 상기 하부 플레이트(320) 및 상기 지지체(330)는 별도의 결합수단(340)을 통해 결합 또는 분리되고,
    상기 지지체(330)는 고정형 지지체(330a) 및 가동형 지지체(330b)로 구분되며,
    상기 거더(200)의 일측단 하부에는 상기 고정형 지지체(330a)가 위치되고, 상기 거더(200)의 타측단 하부에는 상기 가동형 지지체(330b)가 위치되되,
    상기 가동형 지지체(330b)는,
    양 측벽에 제 3 관통공(334a)이 형성되는 요(凹)자 형상의 가동수용부(334)와,
    상기 가동수용부(334)에 상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동수용부(334)에 끼워지되, 측벽에 상기 제 3 관통공(334a)과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335a)가 형성되는 철(凸)자 형상의 가동삽입부(335)와,
    상기 개구부(335a)의 내측 상, 하부에 각각 형성되되, 그 하면이 상기 상부 플레이트(310)에 평행하게 형성된 상단가이드부재(336a) 및 그 상면이 상기 상부 플레이트(310)에 평행하게 형성된 하단가이드부재(336b)와,
    상, 하부는 상기 상단가이드부재(336a)의 하면 및 상기 하단가이드부재(336b)의 상면에 상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끼워지되, 가로길이는 상기 개구부(335a)의 가로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제 3 관통공(334a)과 대응되는 제 4 관통공(337a)이 형성되는 수평가동블록(337), 및
    상기 제 3 관통공(334a) 및 상기 제 4 관통공(337a)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가동수용부(334)와 상기 가동삽입부(335)를 고정시키는 제 2 고정핀(338)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용 지지구조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가이드부재(336a)의 하면 및 상기 하단가이드부재(336b)의 상면과 상기 수평가동블록(337)의 접촉면에는 미끄러운 재질의 슬라이딩막(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용 지지구조물.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310)는 상기 거더(200)의 양측단 하부면에 설치되되, 상기 상부 플레이트(310)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PC강봉(210)이 결합되고 하부면에는 한 쌍의 상기 고정형 지지체(330a) 또는 한 쌍의 상기 가동형 지지체(330b)가 이격되어 상기 거더(200)의 횡방향으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용 지지구조물.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320)의 하부에는 원형 플레이트(120)가 설치되되, 상기 원형 플레이트(120)는, 하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상판(121)과, 상기 상판의 경사면에 접하는 경사면이 상면에 형성된 하판(12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용 지지구조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310), 상기 하부 플레이트(320) 및 상기 지지체(330)에는 상기 결합수단(340)을 결합시키기 위한 다수의 결합공(300a)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하부 플레이트(320)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공(300a)은 상기 결합수단(340)의 직경보다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용 지지구조물.
  9.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310), 상기 하부 플레이트(320) 및 상기 지지체(330)에는 상기 결합수단(340)을 결합시키기 위한 다수의 결합공(300a)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하부 플레이트(320)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공(300a)은 상기 결합수단(340)의 직경보다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용 지지구조물.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320)의 하부에는 원형 플레이트(120)가 설치되되, 상기 원형 플레이트(120)는, 하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상판(121)과, 상기 상판의 경사면에 접하는 경사면이 상면에 형성된 하판(12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용 지지구조물.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310), 상기 하부 플레이트(320) 및 상기 지지체(330)에는 상기 결합수단(340)을 결합시키기 위한 다수의 결합공(300a)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하부 플레이트(320)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공(300a)은 상기 결합수단(340)의 직경보다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용 지지구조물.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310), 상기 하부 플레이트(320) 및 상기 지지체(330)에는 상기 결합수단(340)을 결합시키기 위한 다수의 결합공(300a)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하부 플레이트(320)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공(300a)은 상기 결합수단(340)의 직경보다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용 지지구조물.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320)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310)와 대응되도록 상기 교각(100)의 상부면에 설치되되, 하나의 상기 고정형 지지체(330a), 나머지 하나의 상기 고정형 지지체(330a), 하나의 상기 가동형 지지체(330b) 및 나머지 하나의 상기 가동형 지지체(330b)가 각각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용 지지구조물.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320)의 하부에는 원형 플레이트(120)가 설치되되, 상기 원형 플레이트(120)는, 하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상판(121)과, 상기 상판의 경사면에 접하는 경사면이 상면에 형성된 하판(12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용 지지구조물.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310), 상기 하부 플레이트(320) 및 상기 지지체(330)에는 상기 결합수단(340)을 결합시키기 위한 다수의 결합공(300a)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하부 플레이트(320)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공(300a)은 상기 결합수단(340)의 직경보다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용 지지구조물.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310), 상기 하부 플레이트(320) 및 상기 지지체(330)에는 상기 결합수단(340)을 결합시키기 위한 다수의 결합공(300a)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하부 플레이트(320)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공(300a)은 상기 결합수단(340)의 직경보다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용 지지구조물.
KR1020090016098A 2009-02-26 2009-02-26 모노레일용 지지구조물 KR100912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098A KR100912836B1 (ko) 2009-02-26 2009-02-26 모노레일용 지지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098A KR100912836B1 (ko) 2009-02-26 2009-02-26 모노레일용 지지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2836B1 true KR100912836B1 (ko) 2009-08-18

Family

ID=41209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098A KR100912836B1 (ko) 2009-02-26 2009-02-26 모노레일용 지지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283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232B1 (ko) 2010-06-25 2010-12-20 림버스산업 주식회사 내진보강용 전단저항장치가 부착된 교량받침 및 이의 설치공법
KR101183900B1 (ko) 2010-04-05 2012-09-19 주식회사 대명엔지니어링 자기부상열차용 분기기
CN106948260A (zh) * 2017-05-04 2017-07-14 成都市新筑路桥机械股份有限公司 跨座式单轨交通轨道梁承拉支座
CN108380545A (zh) * 2018-03-30 2018-08-10 江苏凌云恒晋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可自锁的清料工装
KR102125710B1 (ko) * 2019-07-15 2020-06-23 성부섭 조립식 거더를 이용한 모노레일 시스템
KR20230015708A (ko) * 2021-07-23 2023-01-31 아이컨 주식회사 비충격 구조의 모노거더용 교량받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961B1 (ko) * 2002-01-29 2005-01-24 이종환 회전 수평조절용 솔 플레이트
KR100767172B1 (ko) * 2007-07-31 2007-10-15 김종창 목재교의 교좌장치
KR100858365B1 (ko) * 2007-12-04 2008-09-11 김성원 가동 힌지받침
KR100885817B1 (ko) 2008-09-10 2009-02-26 매크로드 주식회사 모노레일의 궤도빔 받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961B1 (ko) * 2002-01-29 2005-01-24 이종환 회전 수평조절용 솔 플레이트
KR100767172B1 (ko) * 2007-07-31 2007-10-15 김종창 목재교의 교좌장치
KR100858365B1 (ko) * 2007-12-04 2008-09-11 김성원 가동 힌지받침
KR100885817B1 (ko) 2008-09-10 2009-02-26 매크로드 주식회사 모노레일의 궤도빔 받침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900B1 (ko) 2010-04-05 2012-09-19 주식회사 대명엔지니어링 자기부상열차용 분기기
KR101002232B1 (ko) 2010-06-25 2010-12-20 림버스산업 주식회사 내진보강용 전단저항장치가 부착된 교량받침 및 이의 설치공법
CN106948260A (zh) * 2017-05-04 2017-07-14 成都市新筑路桥机械股份有限公司 跨座式单轨交通轨道梁承拉支座
CN108380545A (zh) * 2018-03-30 2018-08-10 江苏凌云恒晋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可自锁的清料工装
CN108380545B (zh) * 2018-03-30 2024-04-12 江苏凌云恒晋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可自锁的清料工装
KR102125710B1 (ko) * 2019-07-15 2020-06-23 성부섭 조립식 거더를 이용한 모노레일 시스템
KR20230015708A (ko) * 2021-07-23 2023-01-31 아이컨 주식회사 비충격 구조의 모노거더용 교량받침
KR102535295B1 (ko) * 2021-07-23 2023-05-26 아이컨 주식회사 비충격 구조의 모노거더용 교량받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2836B1 (ko) 모노레일용 지지구조물
CN104908149B (zh) 一种磁浮直线轨道梁模板系统及使用方法
US5896609A (en) Safety method of construction a prestressed cable-stay bridge
KR100885817B1 (ko) 모노레일의 궤도빔 받침장치
CN106702909B (zh) 一种双幅钢箱梁整体转体结构及施工方法
KR20140076937A (ko) 3d pst 제조장치
US9116079B2 (en) Dynamic test fixture
JP2005273392A (ja) Pc鋼材を用いた橋梁補強方法
CN108894108A (zh) 一种桥梁线形多维调整装置
CN109129849A (zh) 一种预制梁楔形块和预埋螺栓安装模具及其施工方法
KR100432436B1 (ko) 교량의 상판 런칭용 압출겸용 교좌장치 및 그 시공방법
CN113123251A (zh) 一种新型的液压顶推卡座
CN211142691U (zh) 一种用于桥梁立柱预制大型模板的预制地坪
KR101034752B1 (ko) 안내 궤도가 설치되는 지지대용 거푸집
CN108838964B (zh) 一种自动扶梯的立柱安装定位工装
KR20090084303A (ko)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가변 지지장치
KR20120120681A (ko)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
KR20150005090A (ko) 3d pst 제조장치에 사용되는 거푸집 장치
KR20140050906A (ko) 다중박스거더교의 프리캐스트방식 상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209652662U (zh) 一种磁浮轨道交通曲线地段砌块式承轨梁
CN208604922U (zh) 一种建筑模板
KR101821756B1 (ko) 임시받침 및 받침의 이동이 필요 없는 하중유도부재가 장착된 ilm용 받침 및 이를 이용한 ilm용 교량 가설 공법
KR101024101B1 (ko) 지주분리형 방음터널
CN220763010U (zh) 一种预制梁用台座
JP2020090775A (ja) インバートおよびインバート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