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4303A -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가변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가변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4303A
KR20090084303A KR1020080010386A KR20080010386A KR20090084303A KR 20090084303 A KR20090084303 A KR 20090084303A KR 1020080010386 A KR1020080010386 A KR 1020080010386A KR 20080010386 A KR20080010386 A KR 20080010386A KR 20090084303 A KR20090084303 A KR 20090084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rail beam
bogie frame
coupling plate
be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0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2248B1 (ko
Inventor
한승호
김흥섭
한정우
송시엽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10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2248B1/ko
Publication of KR20090084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4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50Other details
    • B61F5/52Bogie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8Railway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01N3/1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generated by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대차프레임을 지면에 이격시켜 하중과 반력을 가하기 위한 지지로드와 유압가력기를 설치하기 위해 구비되는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가변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직립시켜 지면에 지지되는 4개의 지주빔;과, 상기 각 지주빔 중 2개의 지주빔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각각 연결되는 한쌍의 고정레일빔;과, 상기 고정레일빔의 하단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결수단을 통해 다수 설치되되, 고정레일빔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수단을 구비한 다수의 가변레일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가변레일빔에는 대차프레임을 지면에 이격시켜 하중을 가할 수 있도록 지지로드 또는 유압가력기와 연결되는 다수의 지지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유압가력기, 지지로드, 지주빔, 하중, 반력

Description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가변 지지장치{A variable Supporting Device for a train bogie frame}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대차프레임에 수직하중과, 수직 비틀림 하중 및 측면 하중 부과에 따른 반력 성분을 시험할 수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유압가력기 및 지지로드가 설치되는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가변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를 갖는 철도차량 대차프레임에 대응하여 그 간격이 가변되는 가변레일빔을 통해 유압가력기 및 지지로드를 분해 조립할 필요가 없이 지상에서 유압가력기 및 지지로드의 간격을 맞추고 더불어 해당 대차프레임을 지상에서 유압가력기 및 대차프레임과 결합시켜 작업이 용이한 철도 차량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가변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의 안전요소는 바퀴가 장착되는 대차프레임에 의해 크게 결정된다.
때문에 이러한 철도차량의 대차프레임의 안전시험은 항시적으로 하고 있는데, 이러한 안전시험은 크게 2가지 종류로 구분되는데, 이는 사람이 망치로 두들겨 하는 소리를 통해 대차프레임의 안전요소를 시험하는 간이 안전시험과, 별도의 시험장치에 설치하여 대차프레임의 하중을 시험하는 주 안전시험으로 구분된다.
상기에서 후자인 주 안전시험은 객차에 대차프레임을 분리한 후 안전시험을 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대차프레임은 바퀴와 현가장치 등 부가적인 장치를 분리한 후 대차프레임만을 시험장치에 올려놓고 하중 시험을 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대차프레임 시험장치는 상기 대차프레임을 지면에 설치된 4지점에 로드셀을 설치한 후 그 위에 대차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올려놓고 대차프레임의 상부로 유압가력기를 통해 강제로 하중을 발생시켜 지지대에 설치된 로드셀로 하여금 대차프레임에 분포되는 하중을 측정하여 대차프레임의 불량유무를 확인하는 과정으로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대차프레임 무게 자체의 무게 하중을 지지대에 골고루 분포시키기가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즉, 4지점의 로드셀은 대차프레임의 4개소를 지지하게 되는데, 이때 지지되는 센터 점이 잘못되었을 경우 각각의 로드셀에 측정된 값이 각기 다르므로, 정확 한 지지점을 찾기가 매우 어려웠다.
때문에 정확한 지지점을 찾기 위해서는 수차례에 걸쳐 대차프레임을 다시 들었다가 다시 올려놓아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매우 많이 소요되고,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항시적으로 있었다.
근래에 들어 대차프레임을 지면에 이격시켜 대차프레임에 수직하중과, 수직 비틀림 하중 및 측면 하중 부과에 따른 반력 성분을 시험할 수 지지구조 환경을 구축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지지구조는 정적인 철골 빔 구조물로 대차프레임의 크기에 따라 유압가력기 및 지지로드를 철골 빔 구조물에 분해 조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유압가력기 및 지지로드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대차프레임의 크기를 측정하고, 측정값에 따라 천정에 있는 철골 빔 구조물에 올라가 그 측정값에 맞게 사람이 일일이 유압가력기 및 지지로드를 설치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대차프레임의 크기에 따라 유압가력기 및 지지로드를 철골 빔에 분해하지 않고, 먼저 지상에서 유압가력기 및 지지로드의 간격을 맞추고 해당 대차프레임에 유압가력기 및 대차프레임을 결합시켜 작업이 용이한 구조의 철도 차량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가변 지지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직립시 켜 지면에 지지되는 4개의 지주빔;과, 상기 각 지주빔 중 2개의 지주빔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각각 연결되는 한쌍의 고정레일빔;과, 상기 고정레일빔의 하단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결수단을 통해 다수 설치되되, 고정레일빔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수단을 구비한 다수의 가변레일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가변레일빔에는 대차프레임을 지면에 이격시켜 하중을 가할 수 있도록 지지로드 또는 유압가력기와 연결되는 다수의 지지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가변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가변 지지장치에 따르면, 대차프레임의 크기에 따라 유압가력기 및 지지로드를 철골 빔에 분해하지 않고, 먼저 지상에서 유압가력기 및 지지로드의 간격을 맞추고 해당 대차프레임에 유압가력기 및 대차프레임을 결합시켜 작업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또한 지상에서의 작업만으로 유압가력기 및 지지로드를 대차프레임에 설치할 수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대차프레임의 가변 지지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가변 지지장치에 설치되는 유입가력 기와 지지로드에 대차프레임을 결합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가변 지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1에서 발췌된 지주빔 및 지주빔에 고정된 고정레일빔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c는 도 1에서 발췌된 고정레일빔과, 가변레일빔과, 연결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를 갖는 철도차량 대차프레임(200)에 대응하여 그 간격이 가변되는 가변레일빔(30)을 통해 유압가력기(220) 또는 지지로드(210)를 분해 조립할 필요가 없이 지상에서 유압가력기(220) 및 지지로드(210)의 간격을 맞춰 보다 쉽게 해당 대차프레임(200)을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의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가변 지지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가변 지지장치(100)는 크게 3개의 빔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지주빔(10)과, 상기 지주빔(10)에 고정되는 고정레일빔(20)과, 상기 고정레일빔(20)의 상단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가변레일빔(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지주빔(10)은 총 4개로 구성되며 직립시켜 지면에 고정되는 구조이다.
아울러 고정레일빔(20)은 총 2개로 구성되어 상기 각 지주빔(10) 중 2개의 지주빔(10)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각각 연결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가변레일빔(30)은 상기 고정레일빔(20)의 하단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다수 설치되되, 고정레일빔(20)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수단(50)을 구비한 구조이다.
이 때 상기 고정레일빔(20)과 가변레일빔(30)은 단면이 "ㄷ"자 형상을 취하는 2개의 레일빔(21)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각 레일빔(21)은 중앙에 공간부(22)가 형성될 수 있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어 "
Figure 112008008383419-PAT00001
" 의 형상을 취하며, 양단부에는 고정플레이트(23)가 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가변레일빔(30)과 고정레일빔(20)은 연결수단(40)을 통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수단(40)은 고정레일빔(20)의 상단에 밀착되는 제 1결합플레이트(41)와, 상기 가변레일빔(30)의 하단에 설치되는 제 2결합플레이트(42)와, 상기 고정레일빔(20) 및 가변레일빔(30)의 공간부(22)를 가로질러 상기 제 1결합플레이트(41)와 제 2결합플레이트(42)를 고정하는 장볼트(70) 및 너트(80)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가변레일빔(30)은 고정레일빔(20) 상에서 이동수단(50)을 통해 이동되는데, 상기 이동수단(50)은 상기 가변레일빔(30)에 결합되는 한쌍의 지지판(51)과, 상기 각 지지판(51)의 안측면에 결합되는 롤러(52)로 구성되되, 상기 롤러(52)는 상기 고정레일빔(20)의 레일빔(21) 하단 절곡부(211)의 상부에 안착되게 배치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각 가변레일빔(30)에는 대차프레임(200)을 지면에 이격시켜 하중을 가할 수 있도록 지지로드(210) 또는 유압가력기(220)와 연결되는 다수의 지지수단(60)이 설치된 구조이다.
여기서 지지수단(60)은 가변레일빔(30)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 3결합플레이트(61)와, 상기 가변레일빔(30)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 4결합플레이트(62)와, 상기 제 3결합플레이트(61) 및 제 4결합플레이트(62)를 가변레일빔(30)에 고정시키는 장볼트(70) 및 너트(80)로 구성된다. 이 때 제 3결합플레이트(61)와 제 4결합플레이트(62)는 상기 가변레일빔(30)에서 중심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가변레일빔(30)의 공간부(22)에 삽입되는 돌출부(63)가 각각 형성되는 구조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변레일빔(30)은 고정레일빔(20) 상에 연결수단(40)을 통해 고정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연결수단(40)의 제 1결합플레이트(41)는 고정레일빔(20)의 상부에 밀착되고, 제 2결합플레이트(42)는 가변레일빔(30)의 하부에 밀착된다.
그리고 연결수단(40)의 장볼트(70)는 머리부가 상기 제 2결합플레이트(42)의 하부면에 거치되고, 단부가 제 2결합플레이트(42)를 거쳐 가변레일빔(30)의 공간부(22)와, 고정레일빔(20)의 공간부(22)를 가로질러 제 1결합플레이트(41)를 관통되고, 장볼트(70)의 단부는 너트(80)로 임시 고정된다.(①에 도시)
만약 가변레일빔(30)을 고정레일빔(20) 상에서 이동시킬 경우에는 상기 너트(80)를 풀어 제 2결합플레이트(42)를 느슨하게 하면, 상기 가변레일빔(30)은 자중에 의해 제 2결합플레이트(42)와 함께 장볼트(70) 상에서 하부로 이동된다.(②에 도시)
그러면 가변레일빔(30)에 고정된 이동수단(50)의 롤러(52)가 고정레일빔(20)의 레일빔(21) 하단 절곡부(211)의 상부에 안착되고, 이 상태에서 가변레일빔(30)을 밀면 가변레일빔(30)이 상기 고정레일빔(2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따라서 가변레일빔(30)에 장착되는 지지로드(210) 또는 유압가력기(220)는 분해 조립이 필요하지 않고, 다만 지상에서 보다 쉽게 대차프레임(200)의 크기에 따라 지지로드(210) 또는 유압가력기(220)를 조립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는 것이다.
도 4는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변레일빔(30)에는 대차프레임(200)을 지면에 이격시켜 하중을 가할 수 있도록 지지로드(210) 또는 유압가력기(220)와 연결되는 다수의 지지수단(60)이 설치된 구조이다.
이러한 지지수단(60)은 가변레일빔(30)의 상단에 밀착되는 제 3결합플레이트(61)와, 가변레일빔(30)의 하단에 밀착되는 제 4결합플레이트(62)로 구성된다.
이 때 제 3결합플레이트(61) 및 제 4결합플레이트(62)의 돌출부(63)는 상기 가변레일빔(30)의 공간부에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는 구조를 마련한다.
그리고 지지수단(60)의 장볼트(70) 역시 제 4결합플레이트(62)의 하부면과 가변레일빔(30)의 공간부(22)를 거쳐 제 3결합플레이트(61)의 상부면으로 돌출되어 너트(80)로 고정되는 구조이다.
아울러 제 4결합플레이트(62)의 저면으로는 결합공(62a)이 형성되어 있어 지지로드(210) 또는 유압가력기(220)가 결합되는 결합판(230)이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가변 지지장치에 설치되는 유입가력기와 지지로드에 대차프레임을 결합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a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가변 지지장치의 사시도,
도 2b는 도 1에서 발췌된 고정레일빔 또는 가변레일빔을 도시한 사시도,
도 2c는 도 1에서 발췌된 고정레일빔과, 가변레일빔과, 연결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구성도,
도 4a는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구성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주빔
20: 고정레일빔 21: 레일빔 211: 절곡부
22: 공간부 23: 고정플레이트
30: 가변레일빔
40: 연결수단 41: 제 1결합플레이트 42: 제 2결합플레이트
50: 이동수단 51: 지지판 52: 롤러
60: 지지수단 61: 제 3결합플레이트 62: 제 4결합플레이트
62a: 결합공 63: 돌출부
70: 장볼트
80: 너트
100: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가변 지지장치
200: 대차프레임 210: 지지로드 220: 유압가력기
230: 결합판

Claims (7)

  1. 철도차량의 대차프레임(200)을 지면에 이격시켜 하중과 반력을 가하기 위한 지지로드(210)와 유압가력기(220)를 설치하기 위한 대차프레임 지지구조에 있어서,
    직립시켜 지면에 지지되는 4개의 지주빔(10);
    상기 각 지주빔(10) 중 2개의 지주빔(10)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각각 연결되는 한쌍의 고정레일빔(20);
    상기 고정레일빔(20)의 하단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결수단(40)을 통해 다수 설치되되, 고정레일빔(20)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수단(50)을 구비한 다수의 가변레일빔(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가변레일빔(30)에는 대차프레임(200)을 지면에 이격시켜 하중을 가할 수 있도록 지지로드(210) 또는 유압가력기(220)와 연결되는 다수의 지지수단(6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가변 지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일빔(20) 및 가변레일빔(30)은 단면이 "ㄷ"자 형상을 취하는 2개의 레일빔(21)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각 레일빔(21)은 중앙에 공간부(22)가 형성될 수 있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어 "
    Figure 112008008383419-PAT00002
    " 의 형상을 취하며, 양단부에는 고정플레이트(23)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가변 지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40)은 고정레일빔(20)의 상단에 밀착되는 제 1결합플레이트(41)와, 상기 가변레일빔(30)의 하단에 설치되는 제 2결합플레이트(42)와, 상기 고정레일빔(20) 및 가변레일빔(30)을 가로질러 상기 제 1결합플레이트(41)와 제 2결합플레이트(42)를 고정하는 장볼트(70) 및 너트(8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가변 지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50)은 상기 가변레일빔(30)에 결합되는 한쌍의 지지판(51)과, 상기 각 지지판(51)의 안측면에 결합되는 롤러(52)로 구성되되, 상기 롤러(52)는 상기 고정레일빔(20)의 레일빔(21) 하단 절곡부(211)의 상부에 안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가변 지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60)은 가변레일빔(30)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 3결합플레이트(61)와, 상기 가변레일빔(30)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 4결합플레이트(62)와, 상기 제 3결합플레이트(61) 및 제 4결합플레이트(62)를 가변레일빔(30)에 고정시키는 장볼트(70) 및 너트(8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가변 지지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결합플레이트(61)와 제 4결합플레이트(62)는 상기 가변레일빔(30)에서 중심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가변레일빔(30)의 공간부(22)에 삽입되는 돌출부(63)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가변 지지장치.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4결합플레이트(62)의 저면에는 대차프레임(200)을 지면에 이격시켜 하중과 반력을 가하기 위한 지지로드(210) 또는 유압가력기(220)와 연결될 수 있는 결합공(6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가변 지지장치.
KR1020080010386A 2008-01-31 2008-01-31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가변 지지장치 KR100912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386A KR100912248B1 (ko) 2008-01-31 2008-01-31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가변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386A KR100912248B1 (ko) 2008-01-31 2008-01-31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가변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303A true KR20090084303A (ko) 2009-08-05
KR100912248B1 KR100912248B1 (ko) 2009-08-14

Family

ID=41204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0386A KR100912248B1 (ko) 2008-01-31 2008-01-31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가변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22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24270A (zh) * 2013-08-07 2013-12-04 长春轨道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轨道车辆车端关系试验的门型框架车端墙固定装置
CN103868701A (zh) * 2012-12-13 2014-06-18 南车洛阳机车有限公司 构架平台活动检测单元
CN104458290A (zh) * 2014-12-05 2015-03-25 南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城轨车辆的动态电缆布线测试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5281B1 (ko) 2022-02-23 2022-10-18 형제금속산업(주) 철도차량용 자동 레벨링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6494B1 (ko) * 1994-05-25 1999-02-01 김주용 반도체 소자의 워드라인 부스트랩 회로
KR0120288B1 (ko) * 1994-11-09 1997-10-20 석진철 철도차량의 차체 하중시험장치 및 그 방법
KR100572197B1 (ko) * 2003-10-15 2006-04-1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의 대차틀 시험장치
KR100629317B1 (ko) * 2003-10-15 2006-09-2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의 구조체 하중시험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68701A (zh) * 2012-12-13 2014-06-18 南车洛阳机车有限公司 构架平台活动检测单元
CN103424270A (zh) * 2013-08-07 2013-12-04 长春轨道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轨道车辆车端关系试验的门型框架车端墙固定装置
CN104458290A (zh) * 2014-12-05 2015-03-25 南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城轨车辆的动态电缆布线测试装置
CN104458290B (zh) * 2014-12-05 2017-03-29 南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城轨车辆的动态电缆布线测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2248B1 (ko) 200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53559C1 (ru) Стенд усталостных испытаний тормозных балок
CN100535630C (zh) 钢筋混凝土实验教学综合加载装置
KR100872072B1 (ko)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시험장치 지지구조
KR100912248B1 (ko)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가변 지지장치
CN104986172A (zh) 一种拖车转向架
US7584671B2 (en) Apparatus for testing the load bearing strength of an architectural structure
CN111912725A (zh) 一种摆锤式冲击试验机
CN109100240A (zh) 一种房建用钢梁抗弯曲强度试验机
KR101237824B1 (ko) 동하중 트럭스케일
KR101285439B1 (ko) 스프링 행거의 골조 지지형 성능 시험 장치 및 방법
CN113483978A (zh) 一种飞行器模态试验自由边界模拟单元及模拟系统
CN108760536A (zh) 研究桥墩在轴向荷载和爆炸作用下性能的装置和方法
CN102080353A (zh) 一种可拆装式牛腿及其安装方法
CN110631791A (zh) 用于电池装置的测试装置
CN202216843U (zh) 一种疲劳试验机龙门框装置
CN210037206U (zh) 类弹性地基梁式内力自平衡千斤顶静载试验台
CN110080540B (zh) 一种大跨度钢结构滑移装置及其施工方法
CN112304651A (zh) 轨道梁静载试验台及轨道梁静载试验台的搭建方法
CN108166379B (zh) 适用于斜拉桥、悬索桥的可更换式横向抗风结构及方法
CN105926452A (zh) 一种桥梁稳定性支撑装置
CN211004170U (zh) 一种用于超长型管廊陆地模块吊装的框架式吊排
CN114216692B (zh) 试验装置和振动设备
CN215893944U (zh) 一种飞行器模态试验自由边界模拟单元及模拟系统
CN218916751U (zh) 振动工装及振动检测装置
CN204535833U (zh) 一种带接头箱的单节分体汽车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