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1453B1 - 카테터 - Google Patents
카테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21453B1 KR101821453B1 KR1020150006737A KR20150006737A KR101821453B1 KR 101821453 B1 KR101821453 B1 KR 101821453B1 KR 1020150006737 A KR1020150006737 A KR 1020150006737A KR 20150006737 A KR20150006737 A KR 20150006737A KR 101821453 B1 KR101821453 B1 KR 1018214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theter
- strand
- catheter shaft
- wire
- tub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embedded materials for reinforcement, e.g. wires, coils, brai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4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pre-formed, e.g. specially adapted to fit with the anatomy of body channe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embedded materials for reinforcement, e.g. wires, coils, braids
- A61M25/005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embedded materials for reinforcement, e.g. wires, coils, braids having a variable stiffness along the longitudinal axis, e.g. by varying the pitch of the coil or brai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54—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regions for increasing flexibil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굵은 관(주가지)과 가느다란 관(측가지)의 분기점에서, 카테터의 선단이 가느다란 관(측가지)의 입구 부근에 걸린 경우에도, 진행방향을 가느다란 관(측가지)으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카테터(1)에서는 블레이드(30)를 구성하는 소선의 인장강도가, 제1 소선(30a)쪽이 제2 소선(30b)보다 높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카테터(1)의 선단이 분기점에서 가느다란 관(측가지)의 입구 부근에 걸린 경우에도, 시술자가 카테터(1)를 제1 소선(30a)의 권회방향(X)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코일로서 기능하는 제1 소선(30a)이 죄여져 카테터 샤프트(10)의 만곡부(14)를 가늘게 변형시킬 수 있어, 카테터(1)의 진행방향을 굵은 관(주가지)으로부터 가느다란 관(측가지)으로 변경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카테터(1)에서는 블레이드(30)를 구성하는 소선의 인장강도가, 제1 소선(30a)쪽이 제2 소선(30b)보다 높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카테터(1)의 선단이 분기점에서 가느다란 관(측가지)의 입구 부근에 걸린 경우에도, 시술자가 카테터(1)를 제1 소선(30a)의 권회방향(X)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코일로서 기능하는 제1 소선(30a)이 죄여져 카테터 샤프트(10)의 만곡부(14)를 가늘게 변형시킬 수 있어, 카테터(1)의 진행방향을 굵은 관(주가지)으로부터 가느다란 관(측가지)으로 변경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분기점에서 굵은 관(주가지)으로부터 가느다란 관(측가지)로 진행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카테터(catheter)에 관한 것이다.
혈관, 담관, 췌관 등에 협착부 또는 폐색부가 형성되면 혈액, 담즙(담액), 췌액 등의 흐름이 나빠진다. 이와 같은 협착부 또는 폐색부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카테터를 이용한 치료방법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혈관, 담관, 췌관 등은 말단으로 갈수록 굵은 관(주가지)과 가느다란 관(측가지)의 분기점이 많아진다. 그 때문에, 협착부 또는 폐색부가 혈관, 담관, 췌관 등의 말단에 형성된 경우에, 카테터에는 분기점에서 굵은 관(주가지)으로부터 가느다란 관(측가지)으로 진행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성능이 요구된다.
이 성능을 부여하는 방법 중 하나로서, 카테터 샤프트의 선단부에 비스듬히 안쪽으로 만곡된 만곡부를 구비한 카테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을 참조). 이와 같은 만곡부를 설치함으로써, 카테터의 선단을 카테터 샤프트의 본체부의 평면상으로부터 어긋난 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카테터에서는 블레이드로서 편성된 제1 소선(element wire)과 제2 소선의 소선직경이 동일하므로, 제1 소선과 제2 소선의 인장강도가 동일하게 된다. 그 때문에, 시술자가 카테터를 우측회전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도, 또는 좌측회전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도, 카테터의 선단에 전달되는 회전력에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다(다시 말하면, 등방성임). 이와 같은 카테터에서는 카테터의 선단이 가느다란 관(측가지)에 들어가지 않고, 분기점에서 가느다란 관(측가지)의 입구 부근에 걸리면, 시술자가 카테터를 우측회전 방향(시계 방향) 또는 좌측회전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도, 카테터의 회전력이 등방성이므로, 카테터 샤프트의 만곡부를 변형시킬 수 없다. 그 때문에, 카테터의 선단을 가느다란 관(측가지)에 넣을 수 없는, 또는 카테터의 진행방향을 굵은 관(주가지)으로부터 가느다란 관(측가지)으로 변경하는 데에 시간을 요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굵은 관(주가지)과 가느다란 관(측가지)의 분기점에서, 카테터의 선단이 가느다란 관(측가지)의 입구 부근에 걸린 경우에도, 진행방향을 굵은 관(주가지)으로부터 가느다란 관(측가지)으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는 이하에 열거되는 수단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선단측으로 연장된 만곡부로 이루어진 카테터 샤프트를 구비한 카테터로서, 상기 카테터 샤프트에는 인장강도가 높은 제1 소선과 인장강도가 낮은 제2 소선으로 편성된 블레이드가 매설되고, 상기 카테터 샤프트의 후단에서 보았을 때, 상기 만곡부는 상기 제1 소선의 권회방향을 따르도록 원호를 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은, 상기 만곡부는, 제1 방향으로 만곡하는 제1 만곡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부로부터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경사부와, 상기 제1 방향과는 다른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만곡되는 제2 만곡부를 통하여 상기 제1 경사부로부터 기울어지고, 또한 선단방향으로 연장된 제2 경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은, 상기 제2 만곡부는, 상기 제1 만곡부보다 강하게 만곡되어 있고, 정점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의 카테터에서는 인장강도가 높은 제1 소선과 인장강도가 낮은 제2 소선으로 편성된 블레이드가 카테터 샤프트에 매설되어 있고, 카테터 샤프트의 후단에서 보았을 때, 카테터 샤프트의 만곡부가 제1 소선의 권회방향을 따르도록 원호를 그리고 있다. 블레이드를 구성하는 소선의 인장강도가 제1 소선이 제2 소선보다 높게 되어 있으므로, 시술자가 카테터를 제1 소선의 권회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제2 소선을 거의 기능시키지 않고 블레이드를 제1 소선만으로 이루어진 코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카테터의 선단이 분기점에서 가느다란 관(측가지)의 입구 부근에 걸린 경우에도, 시술자가 카테터를 제1 소선의 권회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코일로서 기능하는 제1 소선이 죄여져, 카테터 샤프트의 만곡부를 가늘게 변형시킬 수 있어, 카테터의 진행방향을 굵은 관(주가지)으로부터 가느다란 관(측가지)으로 변경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그 결과, 카테터를 말단에 형성된 협착부 또는 페색부까지 삽입하는 시간이 단축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의 카테터에서는 카테터 샤프트의 만곡부가, 제1 만곡부를 통하여 본체부로부터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경사부와, 제2 만곡부를 통하여 제1 경사부로부터 기울어지고, 또한 선단방향으로 연장된 제2 경사부를 갖고 있다. 카테터 샤프트의 만곡부가, 제1 경사부로부터 제2 만곡부를 통하여 제2 경사부까지 연장되어 있으므로, 만곡부에서의 코일로서 기능하는 제1 소선의 길이가 길어지고, 만곡부를 가늘게 변형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제2 경사부가 선단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카테터의 선단이 분기점에서 가느다란 관(측가지)의 입구 부근에 걸린 경우에도, 시술자가 카테터를 제1 소선의 권회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선단방향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만곡부를 가늘게 변형시킨 상태에서 시술자의 압입력이 제2 경사부까지 전달되고, 카테터의 선단이 다시 가느다란 관(측가지)의 입구 부근에 걸리지 않고, 카테터를 가느다란 관(측가지)으로 인도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의 카테터에서는 제2 만곡부가 제1 만곡부보다 강하게 만곡하여 정점이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2 만곡부의 정점을 굵은 관(주가지)의 벽에 접촉시킬 수 있고, 카테터 샤프트의 만곡부에 의한 백업력이 강해져, 시술자의 회전력을 카테터의 선단까지 전달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카테터의 진행방향을 굵은 관(주가지)으로부터 가느다란 관(측가지)으로 변경시키는 것이 보다 용이해진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카테터의 전체도이다.
도 2는 카테터 샤프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 설명상, 블레이드와 외층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도 2의 B-B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카테터 샤프트의 후단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변형예이고, 제2 실시형태의 카테터의 전체도이다.
도 7은 도 6의 E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카테터 샤프트의 후단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6의 변형예이고, 제3 실시형태의 카테터의 전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H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카테터 샤프트의 후단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3a~13c는 카테터가 굵은 관(주가지)으로부터 가느다란 관(측가지)로 진행방향을 변경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카테터 샤프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 설명상, 블레이드와 외층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도 2의 B-B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카테터 샤프트의 후단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변형예이고, 제2 실시형태의 카테터의 전체도이다.
도 7은 도 6의 E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카테터 샤프트의 후단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6의 변형예이고, 제3 실시형태의 카테터의 전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H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카테터 샤프트의 후단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3a~13c는 카테터가 굵은 관(주가지)으로부터 가느다란 관(측가지)로 진행방향을 변경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의 카테터(1)를 사용한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4에서는 도시한 좌측이 체내에 삽입되는 선단측(원위측), 우측이 의사 등의 시술자에 의해 조작되는 후단측(근위측, 기단측)이다.
카테터(1)는 예를 들어 혈관, 담관, 췌관 등에 형성된 협착부 또는 폐색부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테터(1)는 주로 후단(11a)과 직선형상의 본체부(12)와 만곡부(14)와 선단(11b)을 갖는 카테터 샤프트(10)와, 카테터 샤프트(10)의 후단(11a)에 부착된 커넥터(16)를 구비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테터 샤프트(10)는 반경방향으로 내측부터 차례로 내층(20), 보강체인 블레이드(30) 및 외층(4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2는 카테터 샤프트(10)를 도시한 것이지만, 설명상 블레이드(30)의 일부와 외층(40)의 일부를 제거하고 있다. 도 3은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내층(20)은 수지로 형성되고, 내부에 가이드와이어나 다른 카테터를 삽입하기 위한 루멘(lumen)(22)을 갖고 있다. 내층(20)을 형성하는 수지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내부에 삽입하는 가이드와이어나 다른 카테터의 슬라이딩성을 고려하면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가 바람직하다.
내층(20)의 외주에는 보강체인 블레이드(30)가 형성되어 있다. 블레이드(30)는 인장강도가 높은 제1 소선(30a)과 인장강도가 낮은 제2 소선(30b)이 그물 형상(메시형상)으로 편성되어 있는 것이다. 카테터 샤프트(10)의 후단(11a)으로부터 도 1의 D방향으로 보았을 때, 인장강도가 높은 제1 소선(30a)이 우측회전 방향(시계 방향)으로 권회되고, 인장강도가 낮은 제2 소선(30b)이 좌측회전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권회되어, 번갈아 편성되어 있다(도 2 참조).
블레이드(30)를 구성하는 제1 소선(30a)과 제2 소선(30b)의 재료는 동일한 재료를 사용해도 좋고 다른 재료를 사용해도 좋지만, 제1 소선(30a)의 인장강도를 제2 소선(30b)의 인장강도 보다 높게 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소선(30a)과 제2 소선(30b)에 동일한 금속재료(스텐레스강(SUS316))를 사용하고, 제1 소선(30a)의 소선 직경은 굵고, 제2 소선(30b)의 소선 직경은 가늘게 했다(도 3 참조). 그러나, 제1 소선(30a)의 인장강도를 제2 소선(30b)의 인장강도보다 높게 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소선(30a)과 제2 소선(30b)을 동일한 재료로 형성하는 경우, 제1 소선(30a)을 구성하는 소선수를 많게 함으로써 인장강도를 높게 하는 한편, 제2 소선(30b)을 구성하는 소선수를 적게 함으로써 인장강도를 낮게 해도 좋다. 또한, 제1 소선(30a)의 소선직경과 제2 소선(30b)의 소선직경을 동일한 소선직경으로 형성하는 경우, 제1 소선(30a)에 인장강도가 높은 재료(예를 들어, 텅스텐)를 사용하여 인장강도를 높게 하는 한편, 제2 소선(30b)에 인장강도가 낮은 재료(예를 들어, 스텐레스강(SUS316))를 사용하여 인장강도를 낮게 해도 좋다. 또한, 제1 소선(30a)과 제2 소선(30b)의 재료는 금속에만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탄소섬유나 강화유리섬유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소선(30a)의 단면형상과 제2 소선(30b)의 단면형상이 모두 원형(도 3 참조)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소선(30a)의 단면형상은 직사각형으로 하는 한편, 제2 소선(30b)의 단면형상은 원형으로 해도 좋다.
블레이드(30)의 외주에는 수지로 이루어진 외층(40)이 형성되고, 내층(20) 및 블레이드(30)를 피복한다. 외층(40)을 형성하는 수지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등이 사용된다.
도 4는 도 1의 A부를 확대한 도면이지만 설명상, 카테터 샤프트(10)를 피복하는 외층(40)을 제거하고, 제1 소선(30a)과 제2 소선(30b)이 편성된 블레이드(30)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만곡부(14)는 본체부(12)로부터 선단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1 방향(C)으로 만곡하는 제1 만곡부(50)를 통하여 본체부(12)로부터 기울어져 있다. 카테터 샤프트(10)에 매설된 제1 소선(30a)의 권회방향(X)은 우측회전 방향(시계 방향)으로 되어 있다.
도 5는 카테터 샤프트(10)의 후단(11a)으로부터 도 1의 D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4와 동일하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카테터 샤프트(10)를 피복하는 외층(40)을 제거하고, 제1 소선(30a)과 제2 소선(30b)이 편성된 블레이드(30)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테터 샤프트(10)의 후단(11a)으로부터 도 1의 D방향으로 보았을 때, 만곡부(14)가 인장강도가 높은 제1 소선(30a)의 권회방향(X)인 우측회전 방향(시계 방향)으로, 반경(r1)의 원호를 그리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카테터 샤프트(10)의 후단(11a)으로부터 도 1의 D방향으로 보았을 때, 카테터 샤프트(10)의 후단(10a)으로부터 선단(10b)까지가 반경(r1)의 원주상에 존재하고 있다.
이와 같이, 카테터(1)에서는 블레이드(30)를 구성하는 소선의 인장강도가 제1 소선(30a)쪽이 제2 소선(30b)보다 높게 되어 있다. 시술자가 카테터(1)를 제1 소선(30a)의 권회방향(X)과 동일한 방향의 우측회전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제2 소선(30b)을 거의 기능시키지 않고, 블레이드(30)를 제1 소선(30a)만으로 이루어진 코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카테터(1)의 선단이 분기점에서 가느다란 관(측가지)의 입구 부근에 걸린 경우에도, 시술자가 카테터(1)를 제1 소선(30a)의 권회방향(X)과 동일한 방향의 우측회전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코일로서 기능하는 제1 소선(30a)이 죄여져 카테터 샤프트(10)의 만곡부(14)를 가늘게 변형시킬 수 있고, 카테터(1)의 진행방향을 굵은 관(주가지)로부터 가느다란 관(가느다란 가지)으로 변경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그 결과, 카테터(1)를 말단에 형성된 협착부 또는 폐색부까지 삽입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다음에,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제2 실시형태의 카테터(1a)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6 및 도 7은 도 1, 도 2 및 도 4와 동일하게, 좌측이 체내로 삽입되는 선단측(원위측)을, 우측이 의사 등의 시술자에 의해 조작되는 후단측(근위측, 기단측)을 나타내고 있다.
도 1~도 5에 도시한 카테터(1)와의 상위점만을 설명하면, 도 6과, 도 6의 E부를 확대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테터(1a)에서는 본체부(12)로부터 선단측으로 연장된 만곡부(14a)가 제1 방향(C)으로 만곡하는 제1 만곡부(50a)를 통하여 본체부(12a)로부터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경사부(52)와, 제1 방향(C)과는 다른 방향인 제2 방향(F)으로 만곡하는 제2 만곡부(60)를 통하여 제1 경사부(52)로부터 기울어지고, 또한 선단방향으로 연장된 제2 경사부(62)를 갖고 있다. 도 4와 동일하게, 카테터 샤프트(10a)에 매설된 제1 소선(30c)의 권회방향(X)은 우측회전 방향(시계 방향)으로 되어 있다. 한편, 카테터 샤프트(10a)에 매설된 제2 소선(30d)은 좌측회전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권회되어 있다.
도 8은 카테터 샤프트(10a)의 후단(11c)으로부터 도 6의 G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테터 샤프트(10a)의 후단(11c)으로부터 도 6의 G방향으로 보았을 때, 만곡부(14a)가 인장강도가 높은 제1 소선(30c)의 권회방향(X)인 우측방향(시계 방향)으로, 반경(r1)의 원호를 그리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카테터 샤프트(10a)의 후단(11c)으로부터 도 6의 G방향으로 보았을 때, 카테터 샤프트(10a)의 후단(11c)으로부터 선단(11d)까지가 반경(r1)의 원주상에 존재하고 있다.
카테터(1a)에서는 카테터(1)에 비하여 만곡부(14a)에서의 코일로서 기능하는 제1 소선(30c)의 길이가 길어져 있다(도 5 및 도 8 참조). 만곡부(14a)에서 코일로서 기능하는 제1 소선(30c)이 길므로, 시술자가 카테터(1)를 제1 소선(30c)의 권회방향(X)과 동일한 방향의 우측회전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만곡부(14a)를 가늘게 변형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제2 경사부(62)가 선단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카테터(1a)의 선단이 분기점에서 가느다란 관(측가지)의 입구 부근에 걸린 경우에도, 시술자가 카테터(1a)를 제1 소선(30c)의 권회방향(X)과 동일한 방향의 우측회전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선단방향으로 압입함으로써, 만곡부(14a)를 가늘게 변형시킨 상태에서 시술자의 압입력을 카테터(1a)의 선단까지 전달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카테터(1a)의 선단이 다시 가느다란 관(측가지)의 입구부근에 걸리지 않고 카테터(1a)를 가느다란 관(측가지)으로 인도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도 8의 변형예로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테터 샤프트(10a)의 후단(11c)으로부터 도 6의 G방향으로 보았을 때, 카테터 샤프트(10a)의 만곡부(14b)로서 인장강도가 높은 제1 소선(30c)의 권회방향(X)인 우측회전 방향(시계 방향)으로, 반경(r1)의 원주 이상(한바퀴 이상)의 원호를 그리도록 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만곡부(14b)에서의 코일로서 기능하는 제1 소선(30c)의 길이를 더욱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서는 알기 쉽게 하기 위해, 카테터 샤프트(10)의 선단(11e)을 반경(r1)의 원주상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8과 동일하게 카테터 샤프트(10)의 선단(11e)이 반경(r1)의 원주상에 존재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도 10~도 12를 참조하면서 제3 실시형태의 카테터(1b)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0 및 도 11은 도 1, 도 2, 도 4, 도 6 및 도 7과 동일하게 좌측이 체내에 삽입되는 선단측(원위측)을, 우측이 의사 등의 시술자에 의해 조작되는 후단측(근위측, 기단측)을 나타내고 있다.
도 6~도 9에 도시한 카테터(1a)와의 상위점만을 설명하면, 도 10과, 도 10의 H부를 확대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테터(1b)에서는 본체부(12b)로부터 선단측으로 연장된 만곡부(14c)가, 제1 방향(C)으로 만곡되는 제1 만곡부(50b)를 통하여 본체부(12b)로부터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경사부(52a)와, 제1 방향(C)과는 다른 방향인 제2 방향(F)으로 만곡하는 제2 만곡부(60a)를 통하여 제1 경사부(52a)로부터 기울어지고, 또한 선단방향으로 연장된 제2 경사부(62a)를 갖고 있다. 도 7과 동일하게, 카테터 샤프트(10b)에 매설된 제1 소선(30e)의 권회방향(X)은 우측방향(시계 방향)으로 되어 있다. 한편, 카테터 샤프트(10b)에 매설된 제2 소선(30f)은 좌측방향(반시계 방향)으로 권회되어 있다.
도 12는 카테터 샤프트(10b)의 후단(11f)으로부터 도 10의 J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테터 샤프트(10b)의 후단(11f)으로부터 도 10의 J방향으로 보았을 때, 만곡부(14c)가 인장강도가 높은 제1 소선(30e)의 권회방향(X)인 우측회전 방향(시계 방향)으로 원호를 그리고 있지만, 도 8과는 다른 단축(r2)의 타원형으로 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카테터 샤프트(10b)의 후단(11f)으로부터 도 10의 J방향으로 보았을 때, 카테터 샤프트(10b)의 후단(11f)으로부터 선단(11g)까지가, 단축(r2)과 장축(r3)의 타원의 원주상에 존재하고 있다.
카테터(1b)에서는 카테터(1a)에 비하여 제2 만곡부(60a)가 제1 만곡부(50b)보다 강하게 만곡하여 정점이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2 만곡부(60a)의 정점을 굵은 관(주가지)의 벽에 접촉시킬 수 있고, 카테터 샤프트(10)의 만곡부(14c)에 의한 백업력이 강해져, 시술자의 회전력을 카테터(1b)의 선단까지 전달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카테터(1b)의 진행방향을 굵은 관(주가지)으로부터 가느다란 관(측가지)으로 변경시키는 것이 보다 용이해진다.
다음에, 도 13a~도 13c를 참조하면서, 카테터(1, 1a, 1b)가 굵은 관(주가지)(70)으로부터 가느다란 관(측가지)(80)으로 진행방향을 변경하는 모습을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3a~도 13c에서는 카테터(1a)를 사용하고 있지만, 카테터(1, 1b)에서도 동일하다.
도 13a는 카테터(1a)의 선단이 가느다란 관(측가지)(80)의 입구(82) 부근에 걸린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카테터 샤프트(10a)의 만곡부(14a)는 인장강도가 높은 제1 소선(30c)의 권회방향(X)인 우측회전 방향(시계 방향)으로, 반경(r1)의 원호를 그리고 있다. 이 때, 만곡부(14a)의 폭은 최대 r1×2=2r1이 된다(도 7 참조). 도 13b는 시술자가 카테터(1a)를 제1 소선(30c)의 권회방향(X)과 동일한 방향의 우측회전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카테터 샤프트(10a)의 만곡부(14a)는 제1 소선(30c)이 코일로서 기능하고, 약간 가늘게 조이면서 회전한다. 이에 의해, 걸려 있던 카테터(1a)의 선단은 가느다란 관(측가지)(80)의 입구(82)부근으로부터 떨어진다. 이 때, 만곡부(14a)의 폭은 2r1보다 작은 r4가 된다(r4<2r1). 이 상태에서, 시술자가 선단방향(Y)으로 압입하면, 도 1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테터(1a)의 선단이 다시 가느다란 관(측가지)(80)의 입구(82) 부근에 걸리지 않고 굵은 관(주가지)(70)으로부터 가느다란 관(측가지)(80)으로 진행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 카테터(1, 1a, 1b)의 블레이드(30)를 구성하는 제1 소선(30a, 30c, 30e)의 권회방향(X)은 우측회전 방향(시계 방향)으로 되어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소선(30a, 30c, 30e)의 권회방향을 좌측회전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할 때에는 카테터 샤프트(10, 10a, 10b)의 만곡부(14, 14a, 14b, 14c)를 카테터 샤프트(10, 10a, 10b)의 후단(11a, 11c, 11e)로부터 도 1의 D방향, 도 6의 G방향, 도 10의 J방향으로 보았을 때, 좌측방향(반시계 방향)으로 원호를 그리도록 하면 좋다.
이와 같이, 카테터(1, 1a, 1b)에서는 블레이드(30)를 구성하는 소선의 인장강도가 제1 소선(30a, 30c, 30e)쪽이 제2 소선(30b, 30d, 30f)보다 높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카테터(1, 1a, 1b)의 선단이 분기점에서 가느다란 관(측가지)(80)의 입구(82)부근에 걸린 경우에도, 시술자가 카테터(1, 1a, 1b)를 제1 소선(30a, 30c, 30e)의 권회방향(X)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코일로서 기능하는 제1 소선(30a, 30c, 30e)이 죄여져 카테터 샤프트(10)의 만곡부(14, 14a, 14b, 14c)를 가늘게 변형시킬 수 있고, 카테터(1, 1a, 1b)의 진행방향을 굵은 관(주가지)(70)으로부터 가느다란 관(측가지)(80)으로 변경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그 결과, 카테터(1, 1a, 1b)를 말단에 형성된 협착부 또는 폐색부까지 삽입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1, 1a, 1b: 카테터 10a, 10b, 10c: 카테터 샤프트
11a, 11c, 11f: 후단 11b, 11d, 11e, 11g: 선단
12, 12a, 12b: 본체부 14, 14a, 14b, 14c: 만곡부
16: 커넥터 20: 내층
22: 루멘 30: 블레이드
30a, 30c, 30e: 제1 소선 30b, 30d, 30f: 제2 소선
40: 외층 50, 50a, 50b: 제1 만곡부
52, 52a: 제1 경사부 60, 60a : 제2 만곡부
62, 62a: 제2 경사부 70: 굵은 관(주가지)
80: 가느다란 관(측가지) 82: 입구
11a, 11c, 11f: 후단 11b, 11d, 11e, 11g: 선단
12, 12a, 12b: 본체부 14, 14a, 14b, 14c: 만곡부
16: 커넥터 20: 내층
22: 루멘 30: 블레이드
30a, 30c, 30e: 제1 소선 30b, 30d, 30f: 제2 소선
40: 외층 50, 50a, 50b: 제1 만곡부
52, 52a: 제1 경사부 60, 60a : 제2 만곡부
62, 62a: 제2 경사부 70: 굵은 관(주가지)
80: 가느다란 관(측가지) 82: 입구
Claims (3)
-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선단측으로 연장된 만곡부로 이루어진 카테터 샤프트를 구비한 카테터로서,
상기 카테터 샤프트에는 제2 인장강도를 가지는 제2 소선과 상기 제2 인장강도보다 높은 제1 인장강도를 가지는 제1 소선으로 편성된 블레이드가 매설되고,
상기 카테터 샤프트의 후단에서 보았을 때, 상기 만곡부는 상기 제1 소선의 권회방향을 따르도록 원호를 그리는, 카테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제1 방향으로 만곡하는 제1 만곡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부로부터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경사부와,
상기 제1 방향과는 다른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만곡하는 제2 만곡부를 통하여 상기 제1 경사부로부터 기울어지고, 또한 선단방향으로 연장된 제2 경사부를 구비하는, 카테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만곡부는 상기 제1 만곡부보다 강하게 만곡되어 있고, 정점이 되는,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4057791A JP5954747B2 (ja) | 2014-03-20 | 2014-03-20 | カテーテル |
JPJP-P-2014-057791 | 2014-03-2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10300A KR20150110300A (ko) | 2015-10-02 |
KR101821453B1 true KR101821453B1 (ko) | 2018-01-23 |
Family
ID=52672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06737A KR101821453B1 (ko) | 2014-03-20 | 2015-01-14 | 카테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9278191B2 (ko) |
EP (1) | EP2921194B1 (ko) |
JP (1) | JP5954747B2 (ko) |
KR (1) | KR101821453B1 (ko) |
CN (1) | CN104922786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790387B2 (en) | 2008-10-10 | 2014-07-29 |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 Expandable sheath for introducing an endovascular delivery device into a body |
US10792471B2 (en) | 2015-04-10 | 2020-10-06 |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 Expandable sheath |
US10327896B2 (en) | 2015-04-10 | 2019-06-25 |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 Expandable sheath with elastomeric cross sectional portions |
US10912919B2 (en) | 2017-01-23 | 2021-02-09 |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 Expandable sheath |
US10799685B2 (en) | 2017-03-09 | 2020-10-13 |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 Expandable sheath with longitudinally extending reinforcing members |
US10994098B2 (en) | 2017-09-20 | 2021-05-04 | St. Jude Medical, Cardiology Division, Inc. | Medical device including an actuator restraining assembly |
JP7180971B2 (ja) * | 2017-09-21 | 2022-11-30 | テルモ株式会社 | カテーテルおよびカテーテル組立体 |
JP6811511B2 (ja) * | 2018-02-15 | 2021-01-13 |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 カテーテル及びバルーンカテーテル |
US11129959B2 (en) | 2018-02-15 | 2021-09-28 |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 Introducer with expandable capabilities |
US11273062B2 (en) | 2018-04-09 | 2022-03-15 |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 Expandable sheath |
US11786695B2 (en) | 2018-07-25 | 2023-10-17 |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 Methods of making an expandable sheath |
JP7438142B2 (ja) * | 2019-01-22 | 2024-02-26 | テルモ株式会社 | カテーテル |
WO2024022902A1 (en) * | 2022-07-28 | 2024-02-01 | Medtronic Ireland Manufacturing Unlimited Company | Catheter configured to preferentially curv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955313B2 (en) | 2003-12-17 | 2011-06-07 |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 Composite catheter braid |
US20110295181A1 (en) | 2008-03-05 | 2011-12-01 | Hemosphere, Inc. | Implantable and removable customizable body conduit |
US20130289697A1 (en) | 2012-04-26 | 2013-10-31 |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 Longitudinally reinforced sheath |
US20140031796A1 (en) | 2012-07-30 | 2014-01-30 | Asahi Intecc Co. Ltd. | Catheter |
Family Cites Families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169464A (en) | 1977-12-16 | 1979-10-02 | Cordis Corporation | Catheter for selective catheterization of aortic branches |
CA2051722A1 (en) * | 1990-12-12 | 1992-06-13 | William R. Gray | Flexible duct |
US5306252A (en) * | 1991-07-18 | 1994-04-26 |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 Catheter guide wire and catheter |
US6858024B1 (en) * | 1994-02-14 | 2005-02-22 | Scimed Life Systems, Inc. | Guide catheter having selected flexural modulus segments |
DE69603635T2 (de) | 1995-03-17 | 1999-12-02 | Asahi Intecc Co., Ltd. | Katheterstruktur für medizinische Behandlung |
US6302875B1 (en) * | 1996-10-11 | 2001-10-16 | Transvascular, Inc. | Catheters and related devices for forming passageways between blood vessels or other anatomical structures |
US6368316B1 (en) * | 1998-06-11 | 2002-04-09 | Target Therapeutics, Inc. | Catheter with composite stiffener |
US6689120B1 (en) * | 1999-08-06 | 2004-02-10 |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 Reduced profile delivery system |
US6648874B2 (en) * | 2000-02-28 | 2003-11-18 | Scimed Life Systems, Inc. | Guide catheter with lubricious inner liner |
US20030191451A1 (en) * | 2002-04-05 | 2003-10-09 | Kevin Gilmartin | Reinforced catheter system |
US7041125B2 (en) * | 2002-07-01 | 2006-05-09 |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 Coil reinforced catheter inner tubular member |
JP2006218070A (ja) * | 2005-02-10 | 2006-08-24 | Piolax Medical Device:Kk | カテーテル |
US7905877B1 (en) * | 2006-05-12 | 2011-03-15 | Micrus Design Technology, Inc. | Double helix reinforced catheter |
EP2265300B1 (en) * | 2008-03-05 | 2016-05-04 | CryoLife, Inc. | Vascular access system |
RU2503422C2 (ru) * | 2008-10-13 | 2014-01-10 | ТАЙКО ХЕЛСКЕА ГРУП эЛПи | Устройства и способы манипулирования стержнем катетера |
JP2011083596A (ja) * | 2009-09-18 | 2011-04-28 | Terumo Corp | 冠動脈用カテーテル及びその係合方法 |
JP2012075618A (ja) * | 2010-09-30 | 2012-04-19 | Kaneka Corp | 医療用カテーテル |
US9717555B2 (en) * | 2012-05-14 | 2017-08-01 | Biosense Webster (Israel), Ltd. | Catheter with helical end section for vessel ablation |
JP5780556B2 (ja) | 2012-08-07 | 2015-09-16 |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 カテーテル |
US9044575B2 (en) * | 2012-10-22 | 2015-06-02 | Medtronic Adrian Luxembourg S.a.r.l. | Catheters with enhanced flexibility and associa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
JP6080258B2 (ja) * | 2013-01-30 | 2017-02-15 |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 カテーテル |
US20150100043A1 (en) * | 2013-10-09 | 2015-04-09 | Biosense Webster (Israel) Ltd. | Catheter with cross-braided proximal section and helical-coiled distal end |
-
2014
- 2014-03-20 JP JP2014057791A patent/JP5954747B2/ja active Active
-
2015
- 2015-01-14 KR KR1020150006737A patent/KR10182145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02-26 CN CN201510088598.9A patent/CN104922786B/zh active Active
- 2015-03-10 US US14/643,252 patent/US9278191B2/en active Active
- 2015-03-17 EP EP15159469.4A patent/EP292119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955313B2 (en) | 2003-12-17 | 2011-06-07 |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 Composite catheter braid |
US20110295181A1 (en) | 2008-03-05 | 2011-12-01 | Hemosphere, Inc. | Implantable and removable customizable body conduit |
US20130289697A1 (en) | 2012-04-26 | 2013-10-31 |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 Longitudinally reinforced sheath |
US20140031796A1 (en) | 2012-07-30 | 2014-01-30 | Asahi Intecc Co. Ltd. | Cathet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4922786B (zh) | 2018-02-23 |
US9278191B2 (en) | 2016-03-08 |
KR20150110300A (ko) | 2015-10-02 |
JP2015181503A (ja) | 2015-10-22 |
EP2921194A1 (en) | 2015-09-23 |
JP5954747B2 (ja) | 2016-07-20 |
CN104922786A (zh) | 2015-09-23 |
EP2921194B1 (en) | 2016-06-08 |
US20150265798A1 (en) | 2015-09-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21453B1 (ko) | 카테터 | |
JP5901078B2 (ja) | カテーテル | |
KR102232734B1 (ko) | 카테터 | |
AU2002354761B8 (en) | Torqueable soft tip medical device and method of usage | |
JP5757532B2 (ja) | カテーテル | |
KR102184238B1 (ko) | 장척 의료용 부재 | |
JP2011244905A (ja) | バルーンカテーテル | |
WO2018055706A1 (ja) | カテーテル及びバルーンカテーテル | |
EP3138602A1 (en) | Catheter | |
WO2018163401A1 (ja) | カテーテル | |
US20160151078A1 (en) | Catheter | |
CN111565785B (zh) | 导管 | |
CN111601632B (zh) | 导管 | |
WO2022118845A1 (ja) | カテーテル | |
US20220096802A1 (en) | Guide wire | |
JP2018033985A (ja) | カテーテル | |
WO2024038595A1 (ja) | 医療用長尺体およびカテーテル | |
JP2024002181A (ja) | デリバリーカテーテル | |
WO2021090425A1 (ja) | カテーテル | |
EP3659665A1 (en) | Balloon catheter | |
JP2015084957A (ja) | ガイドワイ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