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1367B1 - 핫도그 추로스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핫도그 추로스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1367B1
KR101821367B1 KR1020160106873A KR20160106873A KR101821367B1 KR 101821367 B1 KR101821367 B1 KR 101821367B1 KR 1020160106873 A KR1020160106873 A KR 1020160106873A KR 20160106873 A KR20160106873 A KR 20160106873A KR 101821367 B1 KR101821367 B1 KR 101821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sausage
discharging
pinion gear
churro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가영
Original Assignee
장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나영 filed Critical 장나영
Priority to KR1020160106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13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1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1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 A21C11/18Extruding machines with pist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9/00Other apparatus for handling dough or dough pieces
    • A21C9/04Apparatus for spreading granular material on, or sweeping or coating the surfaces of, pieces or sheets of dough
    • A21C9/045Laminating dough sheets combined with applying a filling in between, e.g. lasagna-type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20Partially or completely coated products
    • A21D13/22Partially or completely coated products coated before bak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60Deep-fried products, e.g. doughnu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60Comminuted or emulsified meat products, e.g. sausages; Reformed meat from comminuted meat product
    • A23L13/62Coating with a layer, stuffing or lamin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10Securing foodstuffs on a non-edible supporting memb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배출부 내부로 소시지를 삽입하면, 추로스 반죽이 소시지를 감싸면서 소시지와 함께 배출되게 한 핫도그 추로스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핫도그 추로스 제조장치는 반죽을 저장하여 상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하부로 반죽을 배출하는 반죽통(100)과, 상기 반죽통(100) 내부에 저장된 반죽에 압력을 가하여 하부로 배출시키는 누름판작동부(200)와, 상기 반죽통(100) 하부에 삽입된 소시지를 밀어내어 배출하는 밀대작동부(300)와, 상기 누름판작동부(200)와 밀대작동부(300)가 연동하여 작동케하는 구동부(40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추로스 반죽이 소시지를 감싸면서 소시지와 함께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심부에 소시지와 같은 부재료가 삽입된 추로스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고, 추로스 중심부에 다양한 맛과, 향, 식감을 가진 다양한 종류의 부재료를 삽입하여 추로스를 제조할 수 있게 되어 부재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맛의 추로스를 소비자에게 제공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취향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추로스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핫도그 추로스 제조장치{Hot dog churros manufacturing equipment}
본 발명은 핫도그 추로스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성형배출부 내부로 소시지를 삽입하면, 추로스 반죽이 소시지를 감싸면서 소시지와 함께 배출되게 한 핫도그 추로스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추로스(CHURROS)'란, 밀가루 반죽을 표면 둘레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골이 형성된 막대형상으로 만들어 기름에 튀겨낸 에스파냐의 전통 도넛 요리로서, 그 맛은 빵과 떡 및 튀김을 복합적으로 결합한 것처럼 겉은 바삭하고 속은 부드럽고 쫀득쫀득한 식감을 가져, 야외나 놀이공원 또는 아이들 간식 및 식사대용으로 근래 큰 인기를 얻고 있는 중심관이다.
이와 같은, 추로스를 제조하는 방법은 밀가루 반죽을 성형기에 넣고 표면 둘레에 연속적으로 골이 형성된 원형의 막대모양으로 반죽물을 인출하여 절단기를 통해 적당한 길이로 절단한 것을 컨베이어가 설치된 유탕기에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이송하면서 기름에 튀긴 후, 제유과정을 거쳐 완성되며, 먹을 때는 겉에 설탕. 계피가루 등을 뿌려서 먹는다.
이러한 추로스는 밀가루를 주재료로 한 반죽을 유탕기를 이용해 기름에 튀겨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느끼한 기름 맛을 가질 뿐만 아니라, 제조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완전히 식으면 기름 냄새 때문에 고소한 향과 풍미, 식감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추로스 반죽에 계핏가루, 설탕, 우유, 버터, 달걀, 식용유 등 다양한 부재료를 혼합하여 제조하기도 하지만, 반죽에 다양한 재료를 혼합하더라도 기름에 튀겨져 완성된 추로스가 시간이 지나면 향과 풍미, 식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긴 역부족이었다.
이상과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밀가루를 베이스로 한 추로스 반죽 내부에 밀가루 반죽과 전혀 다른 맛을 지닌 내용물을 삽입 가능케 하는 장치가 개발된 바 있는데 그 종래기술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56657호에는 첨부도면 도 7과 같이 선반의 상면에는 상부가 개방되고 일측에 배출공을 형성한 이송 스크루 박스의 내부에는 호퍼를 통해 공급된 반죽을 한 쌍의 이송 스크루에 의해 배출공으로 이송하고, 상기 이송 스크루의 상단에 교차되게 절단 스크루가 위치하여 이송되는 반죽을 추로스 한 개 분량으로 절단한 후 내용물 주입부로 공급하는 반죽 공급부; 와 상기 선반의 일측에는 회전가능 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에는 상ㆍ하부 고정대의 일단이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 고정대의 타단에는 연결관의 상부가 체결되며, 상기 연결관은 일측으로 배출공과 분리 및 결합되는 유입공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유입공을 통해 공급되는 반죽을 압출부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외주면에 나선부와 내부에는 중공부를 형성한 분할 나선관이 수직방향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며, 상기 상부 고정대의 타단에는 연결관의 상부와 결합되도록 내부에 내용물이 담겨지는 교반기가 체결되고, 상기 교반기의 내부에는 분할 나선관의 중공부로 삽입되어 교반에 담긴 내용물을 압출부의 입구로 교반 이송하여 분할 나선관에서 이송 및 분리되는 반죽 내부로 내용물을 주입하는 교반 스크루가 설치된 내용물 주입부; 와 상기 내용물 주입부를 통해 내부에 내용물이 주입된 반죽을 압출하기 위하여 연결관의 하부에는 압출관의 상부와 고정링이 결합되고, 상기 압출관은 하부에는 관 형상의 칼날이 결합된 압출구가 결합된 압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내용물이 삽입된 추로스 성형장치가 게재되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15579호(2014. 07. 04.) 등록특허공보 제10-1356657호(2014. 02. 03.)
이상과 같은 종래기술은 추로스의 중심부에 잼, 치즈, 팥 앙금 등의 내용물을 삽입하여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맛을 소비자에게 제공하여 일반적인 종래의 추로스와 차별화함으로써 소비자로 하여금 취향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추로스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중심부에 삽입된 내용물에 의해 추로스 제조 후 시간이 경과하여 추로스가 식더라도 향과, 풍미, 식감의 저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반죽이 압출될 때 잼, 치즈, 팥 앙금 등과 같이 반죽처럼 유연성이 있는 내용물 함께 압출하는 것으로서, 핫도그 내부의 소시지처럼 단단한 고형의 내용물을 삽입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내용물의 종류가 유연성이 있는 것으로 한정되기 때문에 더욱 다양한 종류의 내용물을 이용한 추로스 제조가 어려운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의 핫도그 추로스 제조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반죽을 투입하는 개구부(101)를 상부에 형성하고, 반죽을 배출하는 성형배출부(102)를 하부에 형성하여 본체프레임(500)에 착탈 가능케 설치하는 반죽통(100)과;
상기 개구부(101)로 투입되는 누름판(201)을 하강시켜 반죽통(100) 내부의 반죽을 상기 성형배출부(102)의 반죽배출구(103a)로 배출시키는 누름판작동부(200)와;
상기 성형배출부(102)의 후방에 슬라이딩 작동하는 밀대(301)를 설치하여 성형배출부(102)의 중심관(105)에 삽입된 소시지를 중심관(105)의 입구 쪽으로 밀어내는 밀대작동부(300)와;
상기 누름판작동부(200)와 밀대작동부(300)가 연동하여 작동케 하는 구동부(400)로 구성하여 상기 성형배출부(102)의 중심관(105)에 삽입된 소시지가 상기 밀대(301)에 의해 배출되면서 상기 반죽배출구(103a)에서 배출되는 반죽이 소지시를 감싸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름판작동부(200)는, 제1래크기어(201b)를 형성한 승강봉(201a)을 상부에 수직으로 형성한 누름판(201)과;
상기 본체프레임(500)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봉(201a)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202)와;
상기 제1래크기어(201b)에 치합되어 상기 구동부(400)에 의한 제1회전축(203a)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봉(201a)을 승강시키는 제1피니언기어(2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대작동부(300)는, 제2래크기어(301a)를 형성하여 상기 성형배출부(102)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중심관(105)에서 슬라이딩 작동케 설치하는 밀대(301)와;
상기 밀대(301)와 직각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회전축(302a)에 위치 조절 가능케 키 결합하고, 상기 제2래크기어(301a)에 치합되어 상기 구동부(400)에 의한 제2회전축(302a)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밀대(301)를 슬라이딩 작동시키는 제2피니언기어(302)와;
상기 제2피니언기어(302)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제2래크기어(301a)와 제2피니언기어(302)의 선택적인 치합을 가능케 하는 클러치수단(30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400)는, 상기 누름판작동부(200)에 구비된 제1회전축(203a)에 설치된 구동스프로킷(401)과;
상기 제1회전축(203a)을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하는 핸들(402)과;
상기 밀대작동부(300)에 구비된 제2회전축(302a)에 설치된 종동스프로킷(403)과;
상기 구동스프로킷(401)과 종동스프로킷(403)을 엔드리스 타입으로 연결하는 롤러체인(40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핫도그 추로스 제조장치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통해서 성형배출부 내부로 소시지를 삽입하면, 추로스 반죽이 소시지를 감싸면서 소시지와 함께 배출되게 함으로써 중심부에 소시지와 같은 부재료가 삽입된 추로스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게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핫도그 추로스 제조장치는 일반적인 추로스와 차별화되는, 중심부에 소시지와 같은 부재료가 삽입된 추로스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추로스 중심부에 다양한 맛과, 향, 식감을 가진 다양한 종류의 부재료를 삽입하여 추로스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재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맛의 추로스를 소비자에게 제공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취향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추로스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추로스의 중심부에 삽입된 다양한 부재료로 인해 추로스 제조 후 시간이 경과하여 추로스가 식더라도 향과, 풍미, 식감의 저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핫도그 추로스 제조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핫도그 추로스 제조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핫도그 추로스 제조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핫도그 추로스 제조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핫도그 추로스 제조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핫도그 추로스 제조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
도 6의 (가)는 본 발명의 핫도그 추로스 제조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성형배출부에 핫도그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고,
(나)는 본 발명의 핫도그 추로스 제조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성형배출부에 삽입된 핫도그가 추로스 반죽과 함께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7은 종래기술의 추로스 제조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핫도그 추로스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핫도그 추로스 제조장치는 반죽을 저장하여 상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하부로 반죽을 배출하는 반죽통(100)과, 상기 반죽통(100) 내부에 저장된 반죽에 압력을 가하여 하부로 배출시키는 누름판작동부(200)와, 상기 반죽통(100) 하부에 삽입된 소시지를 밀어내어 배출하는 밀대작동부(300)와, 상기 누름판작동부(200)와 밀대작동부(300)가 연동하여 작동케하는 구동부(40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추로스 반죽이 소시지를 감싸면서 소시지와 함께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죽통(100)은 반죽을 투입하는 개구부(101)를 상부에 형성하고, 반죽을 배출하는 성형배출부(102)를 하부에 형성하여 본체프레임(500)에 착탈 가능케 설치한다.
반죽통(100) 하부의 성형배출부(102)는 반죽통(100) 하부에 엘보형 관체를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서, 성형배출부(102)의 출구에는 수나사부(102a)를 형성하여 추로스의 외형을 성형하는 반죽배출구(103a)를 구비한 성형판(103)을 내측에 끼운 체결너트(104)를 상기 수나사부(102a)에 나사 결합하여 성형판(103)을 착탈 가능케 고정한다.
또한, 상기 성형배출부(102)의 후방으로 일단부가 돌출되게 중심관(105)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중심관(105)의 입구가 상기 성형배출부(102)의 출구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중심관(105)의 입구를 통해 중심관(105) 내부로 소시지나 떡, 어묵, 초콜릿, 젤리 등 고형의 봉체로 된 부재료를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중심관(105)의 직경은 내부로 삽입되는 고형의 봉체로 된 부재료를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을 정도의 내부에 삽입되는 식품의 외경과 적당한 유격을 가지는 내경으로 형성한다.
반죽통(100)의 외주면 양측에는 상하에 각각 브래킷을 돌출 형성하여 한 쌍의 세로벽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한 본체프레임(500)의 상기 세로벽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거치부에 상기 브래킷을 착탈 가능케 하여 본체프레임(500)에 반죽통(100)을 탈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반죽통(100)은 세척을 통한 위생적인 관리가 용이하도록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로 제작하되 세척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횡단면의 형상은 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누름판작동부(200)는 상기 반죽통(100)의 개구부(101)로 투입되는 누름판(201)을 하강시켜 반죽통(100) 내부의 반죽을 상기 성형배출부(102)의 반죽배출구(103a)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제1래크기어(201b)를 형성한 승강봉(201a)을 상부에 수직으로 형성한 누름판(201)과; 상기 본체프레임(500)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봉(201a)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202)와; 상기 제1래크기어(201b)에 치합되어 상기 구동부(400)에 의한 제1회전축(203a)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봉(201a)을 승강시키는 제1피니언기어(203)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누름판(201)은 위생을 고려하여 상기 반죽통(100)과 같은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로 제작하되, 누름판(201)이 상기 반죽통(100) 내부에서 승강하는 과정에서 누름판(201)의 외주면과 반죽통(100)의 외주면 간의 유격부에서 반죽이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누름판(201)의 둘레에는 환상의 실리콘 패킹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202)는 상기 승강봉(201a)이 승강하는 과정에서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체프레임(500)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봉(201a)이 가이드(202)를 통과하여 승강하도록 한다.
상기 제1피니언기어(203)는 본체프레임(500) 상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제1회전축(203a)에 구동 가능하도록 제1회전축(203a)에 제1피니언기어(203)를 직접 설치하거나, 제1회전축(203a)에 설치된 연동기어와 치합하게 제1피니언기어(203)를 설치함으로써 제1회전축(203a)을 회전시킴에 따라서 제1피니언기어(203)가 회전하면서 제1피니언기어(203)와 치합된 제1래크기어(201b)를 구비한 승강봉(201a)이 승강하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누름판(201)의 승강이 이루어진다.
상기 밀대작동부(300)는 상기 성형배출부(102)의 후방에 슬라이딩 작동하는 밀대(301)를 설치하여 성형배출부(102)의 중심관(105)에 삽입된 소시지를 중심관(105)의 입구 쪽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2래크기어(301a)를 형성하여 상기 성형배출부(102)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중심관(105)에서 슬라이딩 작동케 설치하는 밀대(301)와; 상기 밀대(301)와 직각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회전축(302a)에 위치 조절 가능케 키 결합하고, 상기 제2래크기어(301a)에 치합되어 상기 구동부(400)에 의한 제2회전축(302a)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밀대(301)를 슬라이딩 작동시키는 제2피니언기어(302)와; 상기 제2피니언기어(302)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제2래크기어(301a)와 제2피니언기어(302)의 선택적인 치합을 가능케 하는 클러치수단(303)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밀대(301)는 상기 중심관(105)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중심관(105)의 종단면 형상과 동일한 종단면 형상을 가지는 봉체로 형성하되, 상기 본체프레임(500)에는 상기 밀대(301)가 후퇴하는 거리를 조절하는 스토퍼(304)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피니언기어(302)는 본체프레임(500) 하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제2회전축(302a)에 위치 조절 가능케 키 결합하여 제2회전축(302a)과 함께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제2회전축(302a)을 회전시킴에 따라서 제2피니언기어(302)가 회전하면서 제2피니언기어(302)와 치합된 제2래크기어(301a)를 구비한 밀대(301)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작동하게 된다.
상기 클러치수단(303)은 본체프레임(500) 일측에 상기 제2회전축(302a)과 평행하게 클러치레버(303a)를 설치하되, 클러치레버(303a)의 단부에는 상기 제2회전축(302a)에 위치 조절 가능케 키 결합된 제2피니언기어(302)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브래킷(303b)을 형성함으로써 클러치레버(303a)를 본체프레임(500) 바깥쪽으로 당기면, 제2피니언기어(302)가 밀대(301)의 제2래크기어(301a)에서 분리되고, 클러치레버(303a)를 본체프레임(500) 안쪽으로 밀면, 제2피니언기어(302)가 밀대(301)의 제2래크기어(301a)에 치합된다.
상기 구동부(400)는 상기 누름판작동부(200)와 밀대작동부(300)가 연동하여 작동케 하기 위하여 상기 누름판작동부(200)에 구비된 제1회전축(203a)에 설치된 구동스프로킷(401)과; 상기 제1회전축(203a)을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하는 핸들(402)과; 상기 밀대작동부(300)에 구비된 제2회전축(302a)에 설치된 종동스프로킷(403)과; 상기 구동스프로킷(401)과 종동스프로킷(403)을 엔드리스 타입으로 연결하는 롤러체인(404)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구동스프로킷(401)과 종동스프로킷(403)은 제1회전축(203a)을 수동으로 회전시킬 때, 제1회전축(203a)의 회전각도가 적더라도 제2회전축(302a)의 회전각도가 더 크도록 구동스프로킷(401)을 종동스프로킷(403)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프레임(500) 일측에는 상기 구동스프로킷(401)과 종동스프로킷(403)을 엔드리스 타입으로 연결하는 롤러체인(404)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조절수단(405)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400)는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기준으로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핸들(402)을 대신하여 상기 제1회전축(203a)을 일정한 속도와 일정한 각도로 정/역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핫도그 추로스 제조장치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핫도그 추로스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추로스 중심부에 소시지가 삽입된 핫도그 추로스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미리 만들어진 밀가루 베이스의 추로스 반죽을 반죽통(100) 내부에 일정량 주입한 후, 첨부도면 도 6의 (가)와 같이 성형배출부(102)의 중심관(105)에 막대가 끼워진 소시지(S)를 막대 부분만 남기고 완전히 삽입한다.
소시지의 삽입이 완료되면, 구동부(400)의 핸들(402)을 회전시켜 제1회전축(203a)을 회전시킴으로써 제1회전축(203a)에 설치된 제1피니언기어(203)와 치합된 제1래크기어(201b)를 구비한 승강봉(201a)이 하강하면서, 상기 승강봉(201a)과 일체로 된 누름판(201)이 상기 반죽통(100)의 개구부(101)를 통해 반죽통(100) 내부로 삽입되어 반죽통(100) 내부에 주입된 반죽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누름판(201)에 의해 반죽통(100) 내부의 반죽이 가압되면, 반죽은 반죽통(100) 하부에 형성된 성형배출부(102)의 반죽배출구(103a)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상기 핸들(40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회전축(203a)에 설치된 구동스프로킷(401)과 롤러체인(404)으로 연결된 종동스프로킷(403)이 설치된 제2회전축(302a)이 회전함에 따라서 제2회전축(302a)에 키 결합된 제2피니언기어(302)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첨부도면 도 6의 (나)와 같이 상기 제2피니언기어(302)와 치합된 제2래크기어(301a)를 구비한 밀대(301)가 상기 반죽통(100)의 성형배출부(102)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중심관(105) 내부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중심관(105) 내부에 삽입된 소시지를 중심관(105)의 입구 쪽으로 다시 밀어내게 된다.
이때, 상기 성형배출부(102)의 출구에 설치된 성형판(103)의 반죽배출구(103a) 중심부에는 상기 소시지기 삽입된 중심관(105)의 입구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반죽배출구(103a)를 통해 반죽이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밀대(301)에 의해 중심관(105)에 끼워진 소시지가 배출되면, 배출되는 소시지가 환상의 종단면을 가지는 형태로 배출되는 반죽의 가운데에 위치하게 되면서 소시지 외부에 추로스 반죽이 입혀지면서 소시지와 반죽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하여 소시지가 충분히 배출되면 작업자는 소시지에 끼워진 막대를 손으로 잡아서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면서 소시지가 완전히 배출되게 한 후, 외형적으로 보았을 때 소시지가 완전히 배출된 것이 확인되면, 구동부(400)의 조작을 멈춘 후, 절단수단을 이용하여 성형배출부(102)의 입구에서 반죽을 절단함으로써 소시지에 추로스 반죽 입히기가 완료되고, 추로스 반죽이 입혀진 소시지를 유탕기에서 튀겨내면 중심부에 소시지가 삽입된 핫도그 추로스가 완성되는 것이다.
한편, 중심관(105)에 삽입된 소시지에 추로스 반죽을 입히는 과정이 완료되면, 클러치수단(303)을 이용해 밀대(301)의 제2래크기어(301a)에 치합된 제2피니언기어(302)를 제2회전축(302a)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밀대(301)의 제2래크기어(301a)와 제2피니언기어(302)의 치합이 분리된다.
따라서 중심관(105)의 입구로 새로운 소시지를 투입하면, 그 힘에 의해 밀대(301)가 밀려나면서 소시지의 삽입이 가능케 되며, 소시지 삽입이 완료되면 클러치수단(303)을 이용해 제2피니언기어(302)를 상기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다시 밀대(301)의 제2래크기어(301a)에 치합시킨 후, 제1회전축(203a)의 단부에 설치된 핸들(402)을 이용해 상기 누름판작동부(200)와 밀대작동부(300)를 연동시킴으로써 소시지에 추로스 반죽 입히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핫도그 추로스 제조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중심부에 소시지가 삽입된 핫도그 추로스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시지를 대신하여 떡, 어묵, 초콜릿, 젤리 등과 같은 다양한 고형의 봉체로 된 부재료를 추로스 중심부에 삽입하여 추로스를 제조함으로써 다양한 맛과 향, 식감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추로스를 쉽게 제조할 수 있게 되어 소비자로 하여금 취향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추로스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반죽통 101: 개구부
102: 성형배출부 103: 성형판
103a: 반죽배출구 104: 체결너트
105: 중심관 200: 누름판작동부
201: 누름판 201a: 승강봉
201b: 제1래크기어 202: 가이드
203: 제1피니언기어 203a: 제1회전축
300: 밀대작동부 301: 밀대
301a: 제2래크기어 302: 제2피니언기어
302a: 제2회전축 303: 클러치수단
303a: 클러치레버 303b: 조절브래킷
400: 구동부 401: 구동스프로킷
402: 핸들 403: 종동스프로킷
404: 롤러체인 405: 장력조절수단
500: 본체프레임

Claims (4)

  1. 반죽을 투입하는 개구부(101)를 상부에 형성하고, 반죽을 배출하는 성형배출부(102)를 하부에 형성하여 본체프레임(500)에 착탈 가능케 설치하는 반죽통(100)과;
    상기 개구부(101)로 투입되는 누름판(201)을 하강시켜 반죽통(100) 내부의 반죽을 상기 성형배출부(102)의 반죽배출구(103a)로 배출시키는 누름판작동부(200)와;
    상기 성형배출부(102)의 후방에 슬라이딩 작동하는 밀대(301)를 설치하여 성형배출부(102)의 중심관(105)에 삽입된 소시지를 중심관(105)의 입구 쪽으로 밀어내는 밀대작동부(300)와;
    상기 누름판작동부(200)와 밀대작동부(300)가 연동하여 작동케하는 구동부(400)로 구성하여 상기 성형배출부(102)의 중심관(105)에 삽입된 소시지가 상기 밀대(301)에 의해 배출되면서 상기 반죽배출구(103a)에서 배출되는 반죽이 소시지를 감싸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도그 추로스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작동부(200)는, 제1래크기어(201b)를 형성한 승강봉(201a)을 상부에 수직으로 형성한 누름판(201)과;
    상기 본체프레임(500)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봉(201a)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202)와;
    상기 제1래크기어(201b)에 치합되어 상기 구동부(400)에 의한 제1회전축(203a)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봉(201a)을 승강시키는 제1피니언기어(2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도그 추로스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작동부(300)는, 제2래크기어(301a)를 형성하여 상기 성형배출부(102)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중심관(105)에서 슬라이딩 작동케 설치하는 밀대(301)와;
    상기 밀대(301)와 직각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회전축(302a)에 위치 조절 가능케 키 결합하고, 상기 제2래크기어(301a)에 치합되어 상기 구동부(400)에 의한 제2회전축(302a)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밀대(301)를 슬라이딩 작동시키는 제2피니언기어(302)와;
    상기 제2피니언기어(302)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제2래크기어(301a)와 제2피니언기어(302)의 선택적인 치합을 가능케 하는 클러치수단(30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도그 추로스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400)는, 상기 누름판작동부(200)에 구비된 제1회전축(203a)에 설치된 구동스프로킷(401)과;
    상기 제1회전축(203a)을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하는 핸들(402)과;
    상기 밀대작동부(300)에 구비된 제2회전축(302a)에 설치된 종동스프로킷(403)과;
    상기 구동스프로킷(401)과 종동스프로킷(403)을 엔드리스 타입으로 연결하는 롤러체인(40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도그 추로스 제조장치.
KR1020160106873A 2016-08-23 2016-08-23 핫도그 추로스 제조장치 KR101821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873A KR101821367B1 (ko) 2016-08-23 2016-08-23 핫도그 추로스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873A KR101821367B1 (ko) 2016-08-23 2016-08-23 핫도그 추로스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1367B1 true KR101821367B1 (ko) 2018-03-08

Family

ID=61725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873A KR101821367B1 (ko) 2016-08-23 2016-08-23 핫도그 추로스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136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251Y1 (ko) 2003-09-06 2003-12-03 한지형 풀빵 반죽물 공급장치
KR101356657B1 (ko) 2012-08-08 2014-02-03 (주)제이제이푸드 내부에 내용물이 삽입된 츄러스 제조방법 및 츄러스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251Y1 (ko) 2003-09-06 2003-12-03 한지형 풀빵 반죽물 공급장치
KR101356657B1 (ko) 2012-08-08 2014-02-03 (주)제이제이푸드 내부에 내용물이 삽입된 츄러스 제조방법 및 츄러스 성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6162B (zh) 甜甜圈形食品成形裝置及方法
US5593712A (en) Process for making bread
KR20080065059A (ko) 호떡·찐빵·왕만두 제조장치
WO2020063487A1 (zh) 食品加工机和包子机
KR100303904B1 (ko) 2겹식품공급방법및장치
KR20100090500A (ko) 호떡 및 찹쌀도넛용 자동성형기
KR101821367B1 (ko) 핫도그 추로스 제조장치
CN211983521U (zh) 一种包子机
JP2016042797A (ja) 食品用真空押出成型装置
KR200441446Y1 (ko) 누룽지밥 제조장치
KR101426688B1 (ko) 호떡 성형기
KR101671412B1 (ko) 만두형어묵의 제조장치
CN108740794A (zh) 豆渣食品生产线
JP4650910B1 (ja) 食品成形装置
CN212813907U (zh) 食品加工机和包子机
CN210610842U (zh) 糕点用自动包馅装置
KR101347083B1 (ko) 반죽기능이 있는 즉석 어묵 제조장치
KR102543448B1 (ko) 꽈배기 이중 성형기
CN107691549B (zh) 一种点心一体机
CN220875890U (zh) 一种糌粑制作器具
KR200244510Y1 (ko) 떡볶이용 가래떡의 제조장치
JP2884341B1 (ja) 湿潤具材を内包した団塊状包被食品の製造方法とその装置
CN210275690U (zh) 酥皮类糕点包馅装置
CN212697426U (zh) 包馅机的软馅供给机构
CN108523006A (zh) 大豆膳食纤维成品生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