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9538B1 - 일방향볼트의 전용체결공구 - Google Patents

일방향볼트의 전용체결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9538B1
KR101819538B1 KR1020170114844A KR20170114844A KR101819538B1 KR 101819538 B1 KR101819538 B1 KR 101819538B1 KR 1020170114844 A KR1020170114844 A KR 1020170114844A KR 20170114844 A KR20170114844 A KR 20170114844A KR 101819538 B1 KR101819538 B1 KR 101819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er
bolt
fastening
bar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규
권순철
김영수
Original Assignee
황성규
권순철
김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규, 권순철, 김영수 filed Critical 황성규
Priority to KR1020170114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9538B1/ko
Priority to CN201810030312.5A priority patent/CN108626236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538B1/ko
Priority to PCT/KR2018/003123 priority patent/WO201817448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1/00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 B25B23/08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screw or nut prior to or during its rotation
    • B25B23/1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screw or nut prior to or during its rotation using magne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면이 폐쇄된 공간을 가지고 있어 접근이 어려운 부재를 타측면의 일방에서의 작업만으로 볼트와 너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일방향볼트의 전용체결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일방향볼트를 파지하는 머리부와, 상기 접힘와셔를 파지하는 제1,2봉부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머리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볼트파지봉과 후방으로 하향 경사진 와셔안내면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봉부는 머리부에 연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후방에 와셔걸침대가 구비되고, 상기 제2봉부는 제1봉부에 연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전방의 하면에 상향으로 볼록한 단부안착홈이 구비되며, 상기 와셔걸침대의 양 측면 및 단부안착홈의 상면에는 전방자석과 후방자석이 각각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방향볼트의 전용체결공구{A FASTENING TOOL OF THE ONE-WAY BOLT UNIT}
본 발명은 볼트를 체결하는 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측면이 폐쇄된 공간을 가지고 있어 접근이 어려운 부재를 타측면의 일방에서의 작업만으로 볼트와 너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일방향볼트의 전용체결공구에 관한 것이다.
두 개의 물체를 결합시킴에 있어서는 용접, 리벳팅, 볼트체결 등의 다양한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으나, 그 중 볼트체결방법은 작업이 용이하고 열을 수반하지 아니하여 부재에 대한 열변형이 발생될 우려가 없다는 점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접합방법의 하나이다.
이러한 볼트체결방식은 통상적으로 피접합부재에 관통 구비된 체결홀에 체결볼트를 삽입하고, 피접합부재의 이면에서 상기 체결볼트의 나사산에 너트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피접합부재의 양면에는 작업자의 손이나 공구의 접근이 용이해야 한다. 그러나 피접합부재의 이면이 폐쇄된 공간인 경우에는 손이나 공구의 접근이 불가능하므로 통상적인 볼트체결방법에 의한 접합 역시 불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체결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특허 제1743074호의 일방향볼트 체결 결합체를 발명한 바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의 일방향볼트 체결 결합체는 두 면중 피체결부재의 이면이 접하게 되는 접힘내면에 탄성박판이 부착되어 이등분으로 분할 접힘되도록 한 접힘와셔가 피체결부재의 체결공을 통과한 후 자력으로 펼쳐지게 함으로써 볼트체결의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이때 전용으로 사용되는 공구로 일방향볼트를 일시 부착시킬 수 있는 볼트파지부와 접힘와셔가 접어진 상태로 끼워져 파지될 수 있도록 하는 와셔파지부로 구성되는 진입봉을 개시한 바 있다.
상기 진입봉을 이용하여 일방향볼트의 체결은 ⅰ) 먼저 접힘와셔를 진입봉(200)의 와셔파지부(220)에 끼워넣고, 일방향볼트를 볼트파지부(210)에 부착 고정시킨 후, 상기 접힘와셔가 반분되도록 손으로 접은 상태에서 일방향 볼트와 함께 접힘와셔를 피체결부재의 체결공에 삽입시킨다. ⅱ) 접힘와셔가 상기 체결공에 일부 삽입되면 접힘와셔를 잡은 손을 떼고 와셔파지부(220) 후단에 위치한 가압판으로 상기 접힘와셔를 밀어주어 접힘와셔가 상기 체결공을 완전히 통과한 후 자력으로 펼쳐지게 한다.
즉 상기한 종래기술에 의해서는, 작업자가 한손으로는 접힘와셔를 반분되도록 접은 상태가 유지되도록 잡아주고, 다른 한손으로는 진입봉을 피체결부재의 체결공으로 밀어넣어야 하기 때문에, 일방향볼트 및 와셔의 진입작업과 너트의 체결작업을 연계하여 이루어지게 할 수 없었을 뿐 아니라, 특히 전동공구의 사용이 효율적이지 못하였다. 아울러 너트의 체결시 일방향볼트가 너트의 회전에 따라 함께 헛돌아 체결이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743074 B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접힘와셔를 손으로 파지할 필요가 없으며, 일방향볼트의 파지, 진입 및, 너트의 체결과정이 별도의 교체작업 없이 전동공구의 1회 사용만으로 함께 이루어질 수 있어, 볼트체결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일방향볼트의 전용체결공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방향볼트와 너트가 함께 회전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견고한 체결력을 가질 수 있는 일방향볼트의 전용체결공구를 제공함에도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반원링 형상을 가진 한 쌍의 분할편이 접힘 상태에서 탄성수단에 의해 펼쳐지면서 원형링 형상의 와셔가 형성되는 접힘와셔를 이용하여 일방향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일방향볼트를 파지하는 머리부와, 상기 접힘와셔를 파지하는 제1,2봉부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머리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볼트파지봉과 후방으로 하향 경사진 와셔안내면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봉부는 머리부에 연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후방에 와셔걸침대가 구비되고, 상기 제2봉부는 제1봉부에 연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전방의 하면에 상향으로 볼록한 단부안착홈이 구비되며, 상기 와셔걸침대의 양 측면 및 단부안착홈의 상면에는 전방자석과 후방자석이 각각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볼트의 전용체결공구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와셔걸침대는 양측에 삽입고정홈이 대칭으로 각각 구비됨으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각 삽입고정홈은 전방으로 기울어진 각도를 가지는 평행사변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셔걸침대는 상방으로 점차 두께가 얇아지도록 구성될 수 잇다.
아울러 단부안착홈은 외측하단을 내측하단보다 짧게 구성하여 이들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게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측하단이 제1봉부의 하단과 일직선이 되도록 구성된다.
또 제2봉부의 후단에는 다각 단면을 가지는 전동체결돌기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대 머리부와 제1,2봉부 및 전동체결돌기는 각 단면의 중심선이 일직선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용체결공구는 자석을 이용하여 접힘와셔의 점힘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접힘와셔를 손으로 직접 파지할 필요를 없고, 체결의 전과정이 전동공구의 1회 사용만으로 함께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동공구를 용하여 피체결부재의 노출면에 위치한 체결너트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일방향향볼트를 회전시킬 수 있게 하여 일방향볼트와 체결너트 사이에 헛돌음을 방지할 수 있는 바, 일방향볼트의 체결작업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일방향볼트 체결용 진입봉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용체결공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전용체결공구에 대한 각 입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전용체결공구에 의해 체결되는 일방향볼트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전용체결공구에 의해 체결되는 접힘와셔의 사사도 및 분해도이다.
도 6은 상기 전용체결공구에 접힘와셔가 파지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 및 B-B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전용체결공구에 일방향볼트 등의 부품을 파지 내지 삽입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12는 전동공구를 이용하여 일방향볼트와 체결너트로 피체결부재를 체결하는 각 단계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방향볼트(50)의 전용체결공구(A)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는 그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상부와 측면 및 하부에서 바라 본 각 입면도이다. 또 도 4, 5는 본 발명의 전용체결공구(A)에 의해 체결되는 일 실시예의 일방향볼트(50)와 접힘와셔(60)를 각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용체결공구(A)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볼트(50)를 파지하는 머리부(10)와, 접힘와셔(60)를 파지하는 제1,2봉부(20,3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머리부(10)에 의해 파지되는 일방향볼트(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셔걸림두부(51)와 외면에 수나사가 구비된 나사부(52)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에서는 두부와 나사부로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볼트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으나, 상기 와셔걸림두부(51)는 피체결부재(100)에 구비되는 체결공(110)의 내경(b)보다 작은 외경(a)을 가짐으로써 상기 체결공(110)을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다만 상기 와셔걸림두부(51)의 외경(a)은 접힘와셔(60)의 내경(c)보다 크게 구성되어, 와셔걸림두부(51)에 접힘와셔(60)가 걸쳐지면서 통상적인 볼트의 두부역할을 하게 한다. 즉 체결너트(80)가 체결될 때 일방향볼트(50)의 와셔걸림두부(51)에 작용하는 응력을 접힘와셔(60)에 전달하여 지지하게 함으로써, 일방향볼트(50)가 체결공(110)으로 다시 인출되지 않고 통상적인 볼트와 같이 피체결부재(100)를 안정적으로 체결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상기 일방향볼트(50)의 단부 내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나선홈(53)이 구비되고, 상기 단부의 외면에는 임팩트렌치(95)의 사용을 위한 회전방지파지면(5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 제1,2봉부(20,30)에 의해 파지되는 접힘와셔(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링 형상을 가진 한 쌍의 분할편(60A,60B)이 접힘상태에서 탄성수단에 의해 펼쳐지면서 원형링 형상의 와셔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수단은 도 5에서와 같이 고무링 또는 스프링링의 탄성링(64)일 수도 있고, 본 출원인의 선행기술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분할편(60A,60B) 일면에 부착되는 탄성박판(미도시)일 수도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탄성링(64)을 탄성수단으로 사용한 접힘와셔(60)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탄성링(64)을 탄성수단으로 사용하는 도 5의 접힘와셔(60)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분할편(60A,60B)과, 이들 분할편(60A,60B)들을 결합시켜 하나의 와셔가 구성되도록 하는 탄성링(64)으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분할편(60A,60B)의 외주연에는 상기 탄성링(64)이 삽입되는 테두리 분할홈(61)이 형성된다. 즉 상기 테두리 분할홈(61)은 분할편(60A,60B) 외주연 전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각 분할편(60A,60B)의 외주연에 돌출 형성되는 전면돌기(62)와 후면돌기(63)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한 쌍의 분할편(60A,60B)이 결합되면 상기 테두리 분할홈(61)이 서로 연통되는 원형홈이 형성되는 바, 상기 원형홈에 탄성링(64)을 삽입시켜 두 개의 분할편(60A,60B)을 일체화시킴으로써 원형링 형상의 와셔가 구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방향볼트(50)는 전용체결공구(A)의 머리부(10)에 의해 파지된다. 이를 위해 상기 머리부(10)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볼트파지봉(11)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볼트파지봉(11)의 외면에는 일방향볼트(50)의 단부 내면에 구비된 나선홈(53)의 암나사와 체결되는 수나사가 형성된다.
따라서 일방향볼트(50)의 나선홈(53)에 전용체결공구(A)의 볼트파지봉(11)이 나사체결됨으로써 일방향볼트(50)의 파지가 이루어진다. 물론 일방향볼트(50)의 단부 내면에 나선홈(53) 대신 다각홈을 구비시키고, 이에 대응하도록 볼트파지봉(11)의 단면 역시 다각홈으로 구비시켜 파지결합이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상기의 볼트파지봉(11)은 머리부(10)와 분리가 불가능하도록 일체로 구성시킬 수도 있으나, 볼트파지봉(11)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탈착구조로 구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트파지봉(11)이 구비된 머리부(10)의 반대쪽, 즉 후방으로는 하향 경사진 와셔안내면(12)이 구비된다. 상기 와셔안내면(12)은 피체결부재(100)의 체결공(110)을 통과한 후 펼쳐진 접힘와셔(60)가 자중에 의해 하부로 처지지 않고 상기 체결공(110)의 정위치에 놓여지게 함으로써, 상기 접힘와셔(60)에 작용하는 하중에 편심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일방향볼트(50)의 머리부(10)를 통해 전달되는 조임력을 피체결부재(100)에 명확히 전달하면서 이를 분산시켜 체결상태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게 한다.
도 6, 7은 본 발명의 전용체결공구(A)에 접힘와셔(60)가 파지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6은 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A-A 및 B-B의 단면도이다.
제1봉부(20)는 도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부(10)에 연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후방에 와셔걸침대(21)가 구비된다. 상기 와셔걸침대(21)는 얇은 두께를 가지는 판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으로서, 양측에 삽입고정홈(22)이 대칭으로 각각 구비됨으로써 구성된다.
즉 상기 삽입고정홈(22)에는 접힘된 접힘와셔(60)의 양쪽 분할편(60A,60B)이 각각 삽입되어, 상기 분할편(60A,60B)의 접힘내면(65)이 상기 와셔걸침대(21)의 양 측면에 접하게 된다.
상기 와셔걸침대(21)의 양 측면에는 전방자석(23)이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분할편(60A,60B)의 상기 접힘내면(65)이 접하게 되면, 탄성부재의 복원력에도 불구하고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를 하지 않아도 접힘와셔(60)의 접힌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
이러한 접힌상태의 유지력은 분할편(60A,60B)이 와셔걸침대(21)의 측면과 접하는 면적이 클 수록 증가되는 바,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의 접하는 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와셔걸침대(21)는 도 7의 (b)에서와 같이 상방으로 점차 두께가 얇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또한 접힘와셔(60)의 접힘된 내측으로 와셔걸침대(21)가 삽입되는 형상으로 파지되기 때문에 접힘된 와셔의 반원은 도 7의 (a)에서와 같이 전방의 끝단이 상향 돌출되면서, 호형의 외면은 내측으로 하향 경사진 각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와셔걸침대(21)의 양측에 구비되는 각 삽입고정홈(22)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기울어진 각도(α)를 가지는 평행사변형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접힘된 와셔의 호형 외면과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힘와셔(60)의 접힘된 전방은 상기한 바와 같이 와셔걸침대(21)가 구비된 제1봉부(20)에 의해 걸쳐지면서 지지되나, 접힘된 후방은 제2봉부(3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접힘와셔(60)가 안정된 상태로 전용체결공구(A)에 파지된다.
이러한 제2봉부(30)는 제1봉부(20)에 연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전방의 하면에는 상향으로 볼록한 단부안착홈(31)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단부안착홈(31)의 상면에는 후방자석(33)이 구비되어 접힘된 접힘와셔(60)의 후방이 자력에 의해 부착됨으로써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하지 않아도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안착홈(31)에 삽입된 접힘와셔(60)의 안정된 파지가 완료된다.
상기한 단부안착홈(31)은 내외측의 길이를 달리할 수 있다. 즉 단부안착홈(31)은 외측하단(31b)을 내측하단(31a)보다 짧게 구성하여 이들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단부안착홈(31)의 외측하단(31b)은 제1봉부(20)의 하단과 일직선이 되도록 구성시킨다.
단부안착홈(31)의 상기한 구성은 접힘와셔(60)의 접힘된 호형 내면이 최대한 상부쪽에서 단부안착홈(31)의 외측하단(31b)에 접하게 함으로써, 접힘와셔(60)의 접힘된 호형 외면이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정도를 최소화시켜 피체결부재(100)에 구비된 체결공(110)에 대한 접힘와셔(60)의 통과를 용이하게 한다.
제2봉부(30)의 후단에는 드릴 등 전동공구(90)에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전동체결돌기(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동체결돌기(35)는 전동공구(90)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면서 일방향볼트(50)의 파지, 진입 및, 체결너트(80)의 체결과정이 중간의 쉼간격 없이 전동공구(90)의 1회 사용만으로 볼트 체결작업의 모든 과정이 함께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때 머리부(10)와 제1,2봉부(20,30) 및 전동체결돌기(35)는 각 단면의 중심선(O-O')이 일직선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전동공구(90)에 의한 전용체결공구(A)의 회전시 언밸런스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피체결부재(100)에 대한 볼트체결작업을 위해 본 발명의 전용체결공구(A)에 일방향볼트(50) 등의 부품을 파지 내지 삽입시켜 준비한 상태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 내지 12는 전동공구(90)를 이용하여 일방향볼트(50)와 체결너트(80)로 피체결부재(100)를 체결하는 각 단계의 과정을 단면으로 설명한 것이다.
피체결부재(100)에 대한 볼트체결작업은 상기 피체결부재(100)에 고정되는 부품의 전부가 전용체결공구(A)에 파지되거나 삽입된 상태에서 시작된다. 예컨대 통상적으로 체결너트(80)와 피체결부재(100)의 사이에는 그 표면의 상태를 보정하거나 체결너트(80)가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평와셔(70)가 개재되는 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용체결공구(A)의 제1,2봉부(20,30)에 접힘와셔(60), 평와셔(70) 및, 체결너트(80)가 순차로 파지 및 삽입되고, 볼트파지봉(11)에 일방향볼트(50)가 파지된 상태에서 볼트체결작업이 진행된다.
이를 도 9 내지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ⅰ) 먼저, 본 발명의 전용체결공구(A)의 전동체결돌기(35)를 전동공구(90)의 척(chuck)에 삽입 고정시키고, 체결너트(80), 평와셔(70)를 순차로 먼저 제2봉부(30)쪽에 삽입시켜 놓은 후, 접힙와셔를 제1봉부(20)에 삽입하고 이를 접어 와셔걸침대(21)의 양 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전방자석(23)에 의해 분할편(60A,60B)의 접힘내면(65)이 부착 고정되게 하고, 접힘와셔(60)의 후방이 단부안착홈(31)에 삽입되어 그 상면에 구비되어 있는 후방자석(33)에 부착 고정되게 하여 접힘와셔(60)의 파지를 완료한다. 접힘와셔(60)의 파지가 완료되면, 전동공구(90)를 역회전(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일방향볼트(50)가 볼트파지봉(11)에 나사체결되면서 파지되도록 한다(도 9 참조).
ⅱ) 전용체결공구(A)에 대한 모든 부품의 삽입 내지 파지작업이 완료되면, 일방향볼트(50)와 접힘와셔(60)를 피체결부재(100)의 체결공(110)에 관통시킨 후, 접힘와셔(60)의 외면이 체결공(110)의 외측에 걸리게 하면서 다시 전용체결공구(A)를 잡아당김으로써 전방자석(23) 및 후방자석(33)에 의해 접힘 고정된 접힘와셔(60)의 접힘 상태를 해제시킨다(도 10 참조).
상기 접힘와셔(60)는 전방자석(23) 및 후방자석(33)에 의한 고정상태가 해제되면 탄성수단에 의해 스스로 펼쳐지면서 하나의 일체로된 원형링 형상의 와셔가 형성되면서, 일방향볼트(50)의 와셔걸림두부(51)가 걸리게 하여 일방향볼트(50)에 대한 앵커링 기능을 한다.
ⅲ) 접힘와셔(60)가 펼쳐지면 다시 전용체결공구(A)를 잡아당겨 접힘와셔(60)가 와셔안내면(12)에 의해 체결공(110)의 정위치에 놓여지게 한 후, 체결너트(80)가 회전되지 않도록 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전동공구(90)로 전용체결공구(A)를 정회전(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일방향볼트(50)가 회전하면서 체결너트(80)를 체결한다(도 11 참조).
이때 상기 접힘와셔(60)와 평와셔(70)에 대하여는 피체결부재(100)의 단면결손에 따른 강도 저하를 보강하기 위한 수단으로 피체결부재(100)의 체결공(110)에 삽입되는 보강리브(66,76)를 더 구비시키거나 평와셔(70)와 접힘와셔(60) 사이에 보강링(미도시)을 더 개재시킬 수 있다.
ⅵ) 전용체결공구(A)에 의한 일방향볼트(50)의 체결이 완료된 후, 필요에 따라 임팩트렌치(95)를 이용하여 다시 한번 최종 조임을 해줌으로써 체결너트(80)가 쉽게 해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한 최종 조임은 일방향볼트(50)의 회전방지파지면(54)이 파지된 상태에서 체결너트(80)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도 12 참조).
상기한 도 9 내지 12는 전용체결공구(A)를 전동공구(90)에 정착시켜 일방향볼트(50)를 체결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는 바, 전동공구(90) 없이 전용체결공구(A)만으로도 상기한 일방향볼트(50) 체결작업을 진행할 수도 있는 바, 이를 위해 제2봉부(30)에 손잡이부(34)를 더 구비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머리부 11; 볼트파지봉
12; 와셔안내면 20; 제1봉부
21; 와셔걸침대 22; 삽입고정홈
23; 전방자석 30; 제2봉부
31; 단부안착홈 31a; 내측하단
31b; 외측하단 33; 후방자석
34; 손잡이부 35; 전동체결돌기
50; 일방향볼트 51; 와셔걸림두부
52; 나사부 53; 나선홈
54; 회전방지파지면 60; 접힘와셔
60A,60B; 분할편 61; 테두리 분할홈
62; 전면돌기 63; 후면돌기
64; 탄성링 65; 접힘내면
66,76; 보강리브 70; 평와셔
80; 체결너트 90; 전동공구
95; 임팩트렌치 100; 피체결부재
110; 체결공 A; 전용체결공구

Claims (8)

  1. 반원링 형상을 가진 한 쌍의 분할편(60A,60B)이 접힘 상태에서 탄성수단에 의해 펼쳐지면서 원형링 형상의 와셔가 형성되는 접힘와셔(60)를 이용하여 일방향볼트(50)를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일방향볼트(50)를 파지하는 머리부(10)와, 상기 접힘와셔(60)를 파지하는 제1,2봉부(20,30)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머리부(10)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볼트파지봉(11)과 후방으로 하향 경사진 와셔안내면(12)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봉부(20)는 머리부(10)에 연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후방에 와셔걸침대(21)가 구비되고, 상기 제2봉부(30)는 제1봉부(20)에 연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전방의 하면에 상향으로 볼록한 단부안착홈(31)이 구비되며, 상기 와셔걸침대(21)의 양 측면 및 단부안착홈(31)의 상면에는 전방자석(23)과 후방자석(33)이 각각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볼트의 전용체결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걸침대(21)는 양측에 삽입고정홈(22)이 대칭으로 각각 구비됨으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각 삽입고정홈(22)은 전방으로 기울어진 각도(α)를 가지는 평행사변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볼트의 전용체결공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걸침대(21)는 상방으로 점차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볼트의 전용체결공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안착홈(31)은 외측하단(31b)을 내측하단(31a)보다 짧게 구성하여 이들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볼트의 전용체결공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하단(31b)은 제1봉부(20)의 하단과 일직선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볼트의 전용체결공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봉부(30)에는 손잡이부(34)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볼트의 전용체결공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봉부(30)의 후단에는 다각 단면을 가지는 전동체결돌기(35)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볼트의 전용체결공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10)와 제1,2봉부(20,30) 및 전동체결돌기(35)는 각 단면의 중심선이 일직선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볼트의 전용체결공구.
KR1020170114844A 2017-03-20 2017-09-08 일방향볼트의 전용체결공구 KR101819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844A KR101819538B1 (ko) 2017-09-08 2017-09-08 일방향볼트의 전용체결공구
CN201810030312.5A CN108626236A (zh) 2017-03-20 2018-01-12 折叠垫圈、单向螺栓及单向螺栓结合用专用工具
PCT/KR2018/003123 WO2018174480A1 (ko) 2017-03-20 2018-03-16 접힘와셔와, 일방향볼트 및, 이들을 피체결부재에 체결하기 위한 일방향볼트 체결용 전용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844A KR101819538B1 (ko) 2017-09-08 2017-09-08 일방향볼트의 전용체결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9538B1 true KR101819538B1 (ko) 2018-01-17

Family

ID=61026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844A KR101819538B1 (ko) 2017-03-20 2017-09-08 일방향볼트의 전용체결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95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998B1 (ko) 2018-06-14 2018-09-06 권순철 일방향볼트 전용체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7558A (ja) * 2009-12-04 2011-06-16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ボルト・ナット等の落下防止具
KR101743074B1 (ko) * 2017-03-20 2017-06-02 황성규 일방향 볼트 체결 결합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7558A (ja) * 2009-12-04 2011-06-16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ボルト・ナット等の落下防止具
KR101743074B1 (ko) * 2017-03-20 2017-06-02 황성규 일방향 볼트 체결 결합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998B1 (ko) 2018-06-14 2018-09-06 권순철 일방향볼트 전용체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5297A (en) Socket holding device
USRE45825E1 (en) Fast beam clamp
US20150183101A9 (en) Multipurpose Bicycle Tool
EP1793129A1 (en) Joint for removably connecting two structural furniture members abutting orthogonally against each other
JP2012090987A (ja) ボルト、及び反トルク特性を備えた工具
US5012702A (en) Split head hammers
US20160327076A1 (en) Fastener for securing together two panels
KR101819538B1 (ko) 일방향볼트의 전용체결공구
US4656715A (en) Transmission clutch housing removal tool set
US5743158A (en) Hand wrenching tool for removing torque limited fasteners
US20220136553A1 (en) Two-part nut with high pressing force
KR101869860B1 (ko) 접힘와셔가 포함된 일방향볼트 단위체의 체결을 위한 체결진입봉
US20120032037A1 (en) Musical Instrument Stand That Is Operated Smoothly and Stably and is Adjusted Quickly
JP7235327B2 (ja) ヒンジ用芯材および盗難防止具、並びに盗難防止具の製造方法
KR20190021151A (ko) 일방향볼트 체결용 접힘와셔
KR20100001343U (ko) 휴대용 파이프 확관기
KR101895998B1 (ko) 일방향볼트 전용체결구
KR100904901B1 (ko) 체결구
KR20060112297A (ko) 렌치 홀더
KR102512667B1 (ko) 조립대상체 조립용 다기능앵커를 이용한 조립대상체 조립구조
US20230034268A1 (en) A nut fastener and a fastening system therefor
US20230018596A1 (en) Valve Seat Removal Impact Driver Attachment Device
KR100858585B1 (ko) 엘리베이터의 로프 소켓팅 장치
CN211817335U (zh) 一种吊顶安全固定结构组件
KR101373146B1 (ko)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