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2297A - 렌치 홀더 - Google Patents

렌치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2297A
KR20060112297A KR1020050034012A KR20050034012A KR20060112297A KR 20060112297 A KR20060112297 A KR 20060112297A KR 1020050034012 A KR1020050034012 A KR 1020050034012A KR 20050034012 A KR20050034012 A KR 20050034012A KR 20060112297 A KR20060112297 A KR 20060112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ench
chuck
holder
adjustment screw
wrench ch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4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재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4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2297A/ko
Publication of KR20060112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2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4Spanners; Wrenches of the chuck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16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25G1/10Handle construction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 B25G1/102Handle construction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the shape being specially adapted to facilitate handling or improve g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3/00Attaching handles to the implements
    • B25G3/02Socket, tang, or like fixings
    • B25G3/12Locking and securing devices
    • B25G3/20Locking and securing devices comprising clamping or contracting means acting concentrically on the handle or socket
    • B25G3/22Chucks

Abstract

렌치에 효과적인 힘의 전달을 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렌치에 적용할 수 있는 렌치 척을 구비한 렌치 홀더를 개시한다. 그 홀더는 렌치를 고정하기 위한 3각형 내지 10각형의 내부 홈을 가진 렌치 척, 렌치 척 내부 홈의 크기를 조정하는 렌치 척 조절 나사 및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몸체부를 포함한다. 상기 홀더는 분리할 수 있는 렌치 척을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렌치를 이용할 수 있고, 렌치에 효과적인 힘을 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렌치 홀더{Wrench holder}
도 1a ~ 1b은 종래 육각 렌치를 이용 방법에 대해 간단하게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치 홀더에 대한 간단한 평면도이다.
도 3a ~ 3c는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렌치 척의 홈의 단면 구조에 대한 것으로 상기 도 2의 I-I에 대한 간단한 단면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렌치 홀더에 대한 몸체부를 좀 더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렌치 홀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자의 손에 쉽게 닿지 않는 깊은 곳에 존재하는 볼트를 렌치를 이용하여 손쉽게 체결할 수 있는 렌치 척을 구비한 렌치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물 또는 기계장치 등을 결합함에 있어서, 체결구를 이용하여 각각의 기계나 부품들이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이때, 체결구는 볼트 또는 나사 등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볼트 또는 나사 등은 드라이버나 스패너 등의 공구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나사는 드라이버에 의해 가장 많이 체결된다. 드라이버는 통상적으로 나사의 머리 부분에 형성된 일자 또는 십자 형태의 홈과 일치하게 형성된 형태에 따라 일자형과 십자형 드라이버로 나뉜다.
한편, 기계나 부품들을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볼트는 머리 부분에 홈이 있는 것과 없는 것으로 구분될 수 있다. 홈이 있는 것은 4각, 6각 또는 별 모양 등의 형태의 홈이 형성된 것들이 있는데, 홈이 형성된 볼트를 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구로 렌치가 있다.
도 1a ~ 1c는 종래 사용되고 있는 렌치 및 렌치의 사용 방법을 간단히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
상기 렌치는 그 형태에 따라 '직선형'과 'L'형 렌치로 구별된다. 도 1a는 종래 많이 사용되는 형태인 L형 육각 렌치(100)를 보여주고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렌치(100)는 'L'자 형태로 절곡되어 있으며, 짧은 부분(100a)과 긴 부분(100b)으로 구별된다. 양단부(102a,102b)는 사용되는 볼트의 머리 부분의 홈의 형태에 일치하는 형태를 가진다. 예를 들어 도 1a에서와 같이 양단부(102a,102b)는 6각형 볼트 머리 홈에 일치하도록 6각형임을 알 수 있다.
종래 'L'형 렌치(100)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렌치(100)의 짧은 부분(100a) 또는 긴 부분(100b)을 손으로 파지한 후 다른 쪽 부분의 끝단을 볼트 홈에 삽입하여 체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렌치(100)를 직접 손으로 체결하는 경우, 견고하게 체결하기 위해 사 용자가 많은 힘을 가해야 할 때가 있다. 많은 힘을 가하는 경우에 잡고 있는 렌치와 손바닥의 마찰력 때문에 손바닥에 찰과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들(210,220)이 간단하게 결합될 수 있는 제1 구조물(200)을 볼트(202)로 체결하는 경우, 작업자가 렌치(100)의 긴 부분(100b)을 손잡이로 하여 볼트를 풀거나 조일 수 있어 손쉽게 작업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한 구조로 되어 있는 제2 구조물(300)의 볼트(302)는 제1 부품(330) 내부의 제2 부품(310)상에 존재하여 렌치의 짧은 부분(100a)을 손잡이로 삼아서 작업을 해야 한다. 이에 따라, 렌치의 짧은 부분(100a)에 제대로 힘이 전달되지 않거나 손을 움직이지 못하게 되어, 결국 더 많은 부분을 분해해서 작업을 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분해하는 과정에 미처 예상치 못한 고장이 생길 수 있다. 특히, 설비 유지 보수 과정에 볼트들을 풀거나 조이는 경우에, 풀기 까다로운 곳에 위치한 볼트들을 풀기 위해, 유지 보수와 관계없는 곳까지 분해하다가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한편,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손잡이가 달린 렌치가 개발되었으나, 직선형' 렌치와 'L'형 렌치 각각의 손잡이 형태가 각각 달라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렌치의 다각형 구조에 따라 손잡이를 채용해야 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손바닥의 찰과상을 방지하고, 렌치에 그 힘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렌치에 적용할 수 있 는 렌치 척을 구비한 렌치 홀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렌치를 고정하기 위한 렌치 척, 렌치 척 내부 홈의 크기를 조정하는 렌치 척 조절 나사 및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렌치 척의 내부 홈의 형태는 3 내지 10각형의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치 홀더를 제공한다.
상기 렌치 홀더의 렌치 척은 여러 가지 형태의 렌치들을 채용하여 고정할 수 있지만, 이하 주로 6각형의 렌치를 고정할 수 있는 렌치 척을 이용한 렌치 홀더를 위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치 홀더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렌치 홀더는 머리부(10)와 몸체부(20)를 포함한다.
머리부(10)는 렌치를 고정하기 위한 렌치 척(13)과 렌치 척의 홈의 사이즈를 조정하기 위한 렌치 척 조절 나사(17)를 포함한다.
상기 렌치 척(13)은 클로부(claw,11)와 척 결합부(12)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클로부(11)는 3개 내지 4개의 클로로 이루어지며, 렌치 고정을 위한 집게 발 역할을 한다. 한편, 렌치 척(13)은 척 결합부(12)를 통해 렌치 척 조절나사(17)로부터 분리 및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렌치 척(13) 내부 홈의 형태는 다각 렌치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다각형 형태로 되어 있다. 렌치 각각의 형태에 따 라 적합한 각형의 렌치 척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렌치 척 조절나사(17)는 조절나사 결합부(15)와 조절 나사(16)를 포함한다. 척 결합부(12)와 조절나사 결합부(15)는 렌치 척(13)과 렌치 척 조절나사(17)를 결합시킨다. 조절 나사(16)는 좌우로 회전하면서 렌치 척의 홈의 크기를 조절하여, 렌치를 결합, 분리 및 고정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일반적인 6각 렌치 척은 렌치 척 조절나사를 통해 조절함으로써, 직경 1.5mm ~ 10mm 까지의 렌치의 채용이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 다른 크기의 렌치 척(13)을 이용하여 다른 크기의 렌치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렌치 척의 조절나사(16)의 표면은 미끄럼 방지 및 미세한 조정을 위한 미끄럼 방지 처리가 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부(20)는 렌치 척 조절나사(17)를 통해 머리부(10)와 결합되어 있으며, 몸체부(20)를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작업하게 된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몸체부(20)는 렌치에 비해서 폭이 넓고 길이가 길어 손으로 잡기 편할 뿐 아니라 힘을 주기에도 쉽다.
따라서, 도 1c와 같은 경우에 렌치의 짧은 부분을 도 2와 같은 렌치 홀더에 끼워서 사용함으로써, 힘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불필요한 분해작업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몸체부(20)의 외부 면을 부드러운 재질, 예를 들어 부드러운 고무로 감싸줌으로써, 힘을 줄 때 마찰력에 의한 손바닥의 찰과상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몸체부(20)가 원기둥 형태를 취하고 있지만 이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손으로 파지 가능한 사각기둥이나 육각기둥 등 다양한 형태의 몸체부 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a ~ 3c는 도 2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들로써, 여러 가지 렌치 척 홈의 단면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3a는 4개의 클로(11a)를 가진 4각형 렌치를 위한 렌치 척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4개의 클로(11b,11c)를 가진 6각형 렌치를 위한 것이며, 도 3c는 3개의 클로(11d)를 가진 6각형 렌치용 렌치 척의 단면도이다. 한편, 도 3c의 경우는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렌치 척의 단면도이기도 하다.
작업에 사용되는 렌치의 구조에 따라, 렌치 척을 적절히 선택하여 렌치가 렌치 척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볼트를 견고하게 조이거나 손쉽게 풀 수 있다. 도 3a 내지 3c에서 몇 가지만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지만 더 다양한 각형의 렌치를 위한 렌치 척 등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렌치 홀더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도 2에서와 달리, 몸체부(20) 내부에 전기적인 장치를 구비하여, 전동식으로 작동할 수 있는 렌치 홀더를 보여 주고 있다.
즉, 몸체부(20)는 내부에 모터(22) 및 전원 장치(24)를 포함하고 외부면에 스위치들(26,27)을 포함한다. 모터(22)는 렌치 척(13) 또는 렌치 척 조절나사(17)와 연결되어 렌치 척(13)을 회전시키거나 렌치 척 조절나사(17)를 조이거나 푸는 기능을 한다. 전원 장치(24)는 모터(22)에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모터(22)에 렌치 척 조절 나사(17)를 연결함으로써, 전기적으로 렌치 척 조절 나사(17)를 조이거나 풀 수 있다. 전기적 힘을 이용함으로써, 직접 손으로 렌치 척 조절나사(17)를 조이거나 푸는 과정에서 손가락 등에 발생할 수 있는 찰과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기적 힘에 의해 보다 강력하게 렌치 척 조절나사를 조일 수 있고, 따라서 안전하고 확실하게 렌치를 렌치 척에 고정할 수 있다.
전원 장치(24)는 전선을 통해 외부의 전원을 끌어서 사용하거나, 내부에 건전지를 끼워넣어 독자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겸용으로도 가능하다.
전원 장치(24)는 몸체부(20) 외부 면에 부착된 스위치들(26,27)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스위치(26)는 모터에 전원의 인가하여 렌치 척(13)의 회전을 조정한다. 제2 스위치(27)는 렌치 척 조절나사(17)의 풀림 또는 조임을 조정한다. 한편, 전원 장치(24) 및 스위치들(26,27)을 3상으로 구성하여, 3상 스위치들에 의해 전원의 인가뿐만 아니라, 렌치 척(13) 및 렌치 척 조절 나사(17)의 회전 방향도 조정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들(26,27)이 가로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지만, 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다른 곳에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원 장치(24) 및 스위치들(26,27)의 구성 및 작용은 당업자들에게 자명하므로 이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실시예에서의 렌치 홀더는 '직선'형의 렌치인 경우에 손의 힘이 아닌 전기적 힘에 의해 볼트를 조이거나 풀 수 있다. 한편, 'L'형 렌치의 경우에는 제1 실시예와 같이 손으로 직접 파지하여 볼트를 조이거나 풀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의 렌치 홀더의 그 밖의 구성 부분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렌치 홀더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전기적 힘에 의해 작동되는 렌치 홀더를 이용함으로써, 손에 의한 수고를 덜 수 있으며, 찰과상과 같은 상처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3상 스위치를 이용함으로써, 더욱 편리하게 렌치의 고정과 볼트의 조임과 풀림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렌치 홀더에 의하면, 분리할 수 있는 렌치 척을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렌치를 이용할 수 있으며, 렌치에 효과적인 힘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렌치 홀더의 외부면을 부드러운 고무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손바닥의 찰과상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을 전기적인 시스템으로 구성하여, 전기적 힘에 의해 렌치 척의 회전 방향을 조정함으로써, 볼트의 조임과 풀림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아울러 렌치 척 조절 나사까지도 전기적 힘에 의해 그 조임과 풀림을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Claims (9)

  1. 렌치를 고정하기 위한 렌치 척;
    렌치 척 내부 홈의 크기를 조정하는 렌치 척 조절 나사; 및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렌치 척의 내부 홈의 형태는 3 내지 10각형의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치 홀더.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부는 렌치 척을 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 및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의 외부 면은 상기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여 렌치 척의 회전을 전동식으로 작동시키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치 홀더.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렌치 척 조절 나사에도 연결되며,
    상기 렌치 척 조절 나사를 전동식으로 작동시키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치 홀더.
  4.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장치는 상기 몸체부 내부에 건전지를 장착하여 이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치 홀더.
  5.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장치 및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는 3상으로 구비되어, 렌치 척 또는 렌치 척 조절 나사의 회전 방향을 전동식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치 홀더.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장치 및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는 3상으로 구비되어, 렌치 척 또는 렌치 척 조절 나사의 회전 방향을 전동식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치 홀더.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치 척은 상기 렌치 척 조절 나사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치 홀더.
  8.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치 홀더는 6각형 렌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치 홀더.
  9.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치 홀더는 'L'형 렌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치 홀더.
KR1020050034012A 2005-04-25 2005-04-25 렌치 홀더 KR200601122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012A KR20060112297A (ko) 2005-04-25 2005-04-25 렌치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012A KR20060112297A (ko) 2005-04-25 2005-04-25 렌치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297A true KR20060112297A (ko) 2006-10-31

Family

ID=37620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012A KR20060112297A (ko) 2005-04-25 2005-04-25 렌치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229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452B1 (ko) * 2008-02-26 2008-09-08 (주)함코 타이어 밸런스 장치의 마킹분필 고정수단
CN105921457A (zh) * 2016-04-25 2016-09-07 朱德仲 一种线路板超声波清洗机伸缩控制杆
KR102393097B1 (ko) 2021-12-06 2022-05-02 정시진 크기 조절이 가능한 육각렌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452B1 (ko) * 2008-02-26 2008-09-08 (주)함코 타이어 밸런스 장치의 마킹분필 고정수단
CN105921457A (zh) * 2016-04-25 2016-09-07 朱德仲 一种线路板超声波清洗机伸缩控制杆
KR102393097B1 (ko) 2021-12-06 2022-05-02 정시진 크기 조절이 가능한 육각렌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1094B2 (en) Multi-grip socket bit
JP6714262B2 (ja) マルチグリップ・ソケットビット
US5193824A (en) Chuck having a drive bit socket
TWI742234B (zh) 球形防滑之工具頭
WO2005028161A1 (ja) セキュリティナット締結用工具、セキュリティナット解除用工具、セキュリティナット締結兼解除用工具、およびこれらの工具専用のセキュリティナット
KR20060112297A (ko) 렌치 홀더
KR100915285B1 (ko) 볼트 및 나사 제거장치
US20100294087A1 (en) Tool sleeve clamping structure
US7069823B1 (en) Auxilary handle device for use with conventional handheld screwdrivers
CN104626023A (zh) 快速夹紧可调棘轮扳手
KR20090009257U (ko) 래칫 렌치
JP2001056009A (ja) 六角穴付六角ボルト
TWI750719B (zh) 多夾持點套筒起子頭
CN211029793U (zh) 一种多功能便携式螺丝刀
JP6697152B1 (ja) ダブルナット締結補助装置
US11590636B2 (en) Driver extension with hand knobs
KR200315438Y1 (ko) 너트체결용 드라이버
JPH08141921A (ja) ラチェット機構付きソケットレンチ用手回しリング
CN214091765U (zh) 一种钻杆拧卸工具
JPH0634945Y2 (ja) レンチ取扱い用治具
KR200261440Y1 (ko) 복스회전기구가 구비된 스패너
KR200284923Y1 (ko) 드릴척의 척핸들
KR200373204Y1 (ko) 엘형 렌치의 지지용 툴
JPH0212054Y2 (ko)
TWM648075U (zh) 工具傳動接合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