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4923Y1 - 드릴척의 척핸들 - Google Patents

드릴척의 척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923Y1
KR200284923Y1 KR2020020010993U KR20020010993U KR200284923Y1 KR 200284923 Y1 KR200284923 Y1 KR 200284923Y1 KR 2020020010993 U KR2020020010993 U KR 2020020010993U KR 20020010993 U KR20020010993 U KR 20020010993U KR 200284923 Y1 KR200284923 Y1 KR 2002849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huck
drill
box
drill ch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09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우
Original Assignee
김중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우 filed Critical 김중우
Priority to KR20200200109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49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9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923Y1/ko

Links

Landscapes

  • Gripping On Spind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드릴척의 척 핸들에 관한 것으로, 더상세히는 척핸들에 복스부를 형성하여 드릴척에서 드릴을 고정 및 분리되는 작업을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드릴척의 척핸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톱니부에 이가 맞물려지게 형성되는 톱니휘일과 이 톱니휘일의 일측에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고 타측에 톱니휘일과 연장되는 연장축으로 이루어진 복스핸들과, 상기 연장축에 소정길이로 형성되는 육각형의 복스부가 구비되고 이 복스부에 고정수단이 결합되어 복스핸들이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드릴척의 척핸들{The handie for drill chuck}
본 고안은 드릴척의 척 핸들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척핸들에 복스부를 형성하여 드릴척에서 드릴을 고정 및 분리되는 작업을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드릴척의 척핸들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 3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릴척(10)은 외통체(11) 하부에 톱니부(12)가 형성되고 이 외통체(11) 내측에 몸체(13)가 구비되고 이 몸체(13)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결합공(14)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3) 내부에 죠오(15)로 구성된다.
상기 척핸들(100)은 톱니휘일(21)과 이 톱니휘일(21)의 일측에 고정돌기(22)가 형성되고 타측에 톱니휘일(21)과 연장되는 연장축(23)와, 이 연장축(23)에 구멍(26)이 형성되어 이 구멍(26)에 핸들(25)이 끼워져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상기 드릴척(10)과 척핸들(100)은 고정돌기(22)를 드릴척(10)의 결합공(14)에 삽입함과 동시에 톱니휘일(21)을 상기 톱니부(12)에 이가 맞물리고, 상기 연장축(23)에 결합된 핸들(25)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고정돌기(22)를 중심으로 척핸들(100)의 톱니휘일(21)이 회전되면서 죠오(15)의 내경이 축소 및 확대되어 드릴을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드릴척(10)에 드릴이 끼우고 척핸들(100)에 핸들(25)을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정,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드릴이 고정되는데, 이와 같이 고정되는 핸들(25)의 회전길이(L)이 비교적 짧게 형성되어 드릴(40)을 고정할 때 큰힘을 낼 수 없었다. 이로인해 드릴작업시 척핸들(100)을 손으로 돌릴 후 핸들(25)에 파이프를 끼우거나 망치등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강한 힘으로 고정하였다.
이와 같이 방법으로 고정 및 분리하다보면 핸들이 휘어지거나 충격에 의해 척핸들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상기 핸들을 손으로 파지하여 강하게 조이게 되며 손바닥과 손가락에 무리가 가고 통증이 유발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육각형으로 형성된 척핸들을 형성하여 드릴척에 드릴을 고정 및 분리가 안정적으로 이루지도록 한 드릴척의 척핸들을 제공할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드릴척의 척핸들의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드릴척의 척핸들의 동작되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종래에 드릴척의 척핸들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종래에 드릴척의 척핸들이 동작되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드릴척 11:외통체 12:톱니부
13:몸체 14:결합공 15:죠어
20:복스핸들 21:톱니휘일 22:고정돌기
23:연장축 24:복스부 25:핸들
26:구멍 30:고정수단 31:머리부
32:손잡이 40:드릴 100:척핸들
본 고안은 외통체(11) 하부에 톱니부(12)가 형성되고, 이 외통체(11) 내측에 몸체(13)가 구비되고 이 몸체(13) 외주면에 다수개의 결합공(14)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3) 내측에 죠어(15)가 포함된 드릴척(10)에 드릴을 고정 및 분리하는 척핸들(100)에 있어서, 상기 톱니부(12)에 이가 맞물려지게 형성되는 톱니휘일(21)과 이 톱니휘일(21)의 일측에 고정돌기(22)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14)에 삽입되고 타측에 톱니휘일(21)과 연장되는 연장축(23)으로 이루어진 복스핸들(20)과, 상기 연장축(23)에 소정길이로 형성되는 육각형의 복스부(24)가 구비되고 이 복스부(24)에 고정수단(30)이 결합되어 상기 복스핸들을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드릴척의 척핸들을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드릴척의 척핸들의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드릴척의 척핸들의 동작되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드릴척(10)의 외통체(11)에 형성되는 톱니부(12)와 이가 맞물려지는 톱니휘일(21)이 구비되고 이 톱니휘일(21)의 일측에 드릴척(10)의 결합공(14)에 삽입되는 고정돌기(22)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톱니휘일(21)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축(23)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연장축(23)에 소정길이로 연장되게 구비되는 복스부(24)가 형성된다.
상기 복스부(24)는 단면형상이 육각형으로 구비되고 이 외주면에 관통된 구멍(26)이 형성된다.
또 상기 복스부(24)는 단면형상이 사각형이나 다각형을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구멍(26)에 일정길이의 핸들(25)이 끼워져 드릴척(10)에 결합된 드릴(40)을 먼저 일정한 힘으로 조여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드릴척(10)에 드릴(40)이 조여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수단(30)이 복스부(24)에 결합하여 정,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드릴을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사용상에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수단(30)은 육각형의 복스부(24)에 결합가능하도록 머리부(31)와 손잡이(32)가 구비된다.
그리고 고정수단(30)은 드릴머시인 등에 끈에 의해 묶여져 설치되어 편리하게 사용가능하다.
또 척핸들(10)의 복스부(24)에 결합되는 고정수단(30)은 일반적으로 사용가능한 스패너(SPANNER),멍키스패너(MONKEY SPANNER)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드릴척(10)에 드릴(40)을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30)이 척핸들(100)의 복스부(24)에 결합되어 드릴척(10)에 드릴을 고정되는데, 상기 고정수단(30)의 회전길이(L)을 길게 유지하여 큰힘을 가해지지 않아도 소정의 각도(Θ)로 회전시켜 드릴척(10)에 드릴(40)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드릴(40)을 교체시에는 상기 복스핸들(20)을 풀기에 편리한 위치에 상기 고정수단(30)을 결합하여, 복스핸들(20)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아도 손쉽게 풀어 교환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외주면에 육각형으로 척핸들이 형성되어 상기 척핸들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이나 도구를 사용하여 드릴척에 드릴을 고정 및 분리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드릴작업시에 공작물과 드릴이 파손되는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외통체(11) 하부에 톱니부(12)가 형성되고, 이 외통체(11) 내측에 몸체(13)가 구비되고 이 몸체(13) 외주면에 다수개의 결합공(14)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3) 내측에 죠어(15)가 포함된 드릴척(10)에 드릴(40)을 고정 및 분리하는 척핸들(100)에 있어서;
    상기 톱니부(12)에 이가 맞물려지게 형성되는 톱니휘일(21)과 이 톱니휘일(21)의 일측에 고정돌기(22)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14)에 삽입되고, 타측에 톱니휘일(21)과 연장되는 연장축(23)으로 이루어진 복스핸들(20)과;
    상기 연장축(23)에 소정길이로 형성되는 육각형의 복스부(24)가 구비되고 이 복스부(24)에 고정수단(30)이 결합되어 상기 복스핸들(20)을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척의 척핸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30)은 머리부(31)와 손잡이(3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척의 척핸들.
KR2020020010993U 2002-04-12 2002-04-12 드릴척의 척핸들 KR2002849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993U KR200284923Y1 (ko) 2002-04-12 2002-04-12 드릴척의 척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993U KR200284923Y1 (ko) 2002-04-12 2002-04-12 드릴척의 척핸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4923Y1 true KR200284923Y1 (ko) 2002-08-10

Family

ID=73121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993U KR200284923Y1 (ko) 2002-04-12 2002-04-12 드릴척의 척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492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15026C (en) Driving surface configuration for hand tools
US20110079118A1 (en) Hand tool
US9849573B2 (en) Broken bolt extractor
JP2009541068A (ja) 動力工具およびチャック解除装置
US9352459B2 (en) Broken bolt extractor
KR100915285B1 (ko) 볼트 및 나사 제거장치
US5332240A (en) Drill chuck key tool
JPS59196175A (ja) 動力工具と駆動アタツチメントとの組合せ体
KR100758324B1 (ko) 나사부품 체결용 공구
KR200284923Y1 (ko) 드릴척의 척핸들
US20230060398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Extracting Fasteners
US7013767B1 (en) Screwdriver/screw unit
US6814159B1 (en) Impact tool driver
JP2010167531A (ja) レンチ工具
KR20160004502U (ko) 드릴척의 척핸들
KR200278047Y1 (ko) 드릴척의 척 핸들
KR200277231Y1 (ko) 래칫핸들부착 클램프
JP3133375U (ja) 超短ボックスビット
KR20060112297A (ko) 렌치 홀더
JPH0634945Y2 (ja) レンチ取扱い用治具
KR200219124Y1 (ko) 드릴척의 척 핸들
JP2005088104A (ja) トルク管理ナット、トルク管理方法及び電動レンチ用ソケット
KR200277249Y1 (ko) 래칫핸들부착 바이스
JP2000033580A (ja) ドライバ―用ソケット
KR200261440Y1 (ko) 복스회전기구가 구비된 스패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