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5484B1 - 드릴못과 드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드릴못과 드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5484B1
KR100255484B1 KR1019970047920A KR19970047920A KR100255484B1 KR 100255484 B1 KR100255484 B1 KR 100255484B1 KR 1019970047920 A KR1019970047920 A KR 1019970047920A KR 19970047920 A KR19970047920 A KR 19970047920A KR 100255484 B1 KR100255484 B1 KR 100255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drill
bundle
fixing
n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7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3828A (ko
Inventor
김영규
Original Assignee
김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규 filed Critical 김영규
Priority to KR1019970047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5484B1/ko
Publication of KR970073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3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5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5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12Adapters for drills or chucks; Tapered sle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securing to a spindle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을 방지하고 전기드릴에 결합 또는 분리는 용이하도록 한 드릴못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드릴못은 임의의 대상물을 연삭하기 위한 날부와, 날부로부터 신장되고 전기드릴에 겉돌지 않게 결합되기에 적합한 단면을 가지는 비트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드릴못은 유동을 방지하고 전기드릴에 결합 또는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드릴못 고정장치
본 발명은 모터의 구동력으로 드릴못을 이용하여 구멍을 뚫거나 나사못을 조이는 전기드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동을 방지하고 전기드릴에 드릴못의 결합 또는 분리는 용이하도록 한 드릴못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드릴은 현대사회에 사용되는 전동공구 중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전동공구 중 하나로, 그 분야로는 제조업계, 서비스업계 등에서 필수적인 전동공구로 자리매김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전기드릴은 모터와 모터의 회전방향 및 속도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몸체부와, 몸체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드릴못의 비트부를 포획·고정시키는 척고정부로 구성된다. 전기드릴에 사용되는 드릴못은 별도의 부재로 목적과 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출시되고 있다. 종래의 전기드릴은 드릴못을 척고정부를 이용하여 몸체부에 결합 또는 분리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당한 노력과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 이러한 종래의 전기드릴 척고정부의 문제점을 첨부한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제1도는 종래의 척고정부를 나타낸다.
제1(a)도의 구성에서 종래의 척고정부는 종속결합되는 척(2), 세발고정쇠(4), 톱니바퀴 조임쇠(6), 척 커버(8)를 구비한다.
척(2)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나사로서, 그 외경면에는 피치열(Pitch array)이 형성되어 있고, 외경면이 나사 역할을 하는 세발고정쇠(4)가 내부에 끼워진다. 세발고정쇠(4)가 끼워진 척(2)은 톱니바퀴 조임쇠(6)가 끼워진 척커버(8)의 내경에 삽입되어 끼워진다. 척고정부가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톱니바퀴 조임쇠(6)는 원주 방향으로 피치열이 형성되어 제1(b)도와 같이 척(2)의 피치열과 대향된다. 결합된 척고정부는 나사못(12)으로 전기드릴의 몸체부와 결합된다.
드릴못을 척고정부에 결합하는 경우, 척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세발고정쇠(4)가 나선을 타고 전진디면서 미도시된 드릴못의 비트부를 조이게 된다. 드릴못이 세발고정쇠(4)에 조여지게 되면, 사용자는 척(2)과 톱니바퀴 조임쇠(6)의 피치열을 이용하여 드릴못을 완전히 조이게 된다.
이를 위하여, 척고정부는 제1(c)도와 같은 별도의 척키(10)를 추가로 구비한다. 척키(10)는 직각레버(10c)와 돌출부(10b) 및 원추형 피치열(10a)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척(2)의 외경면 일측에는 척키(10)의 돌출부(10b)가 끼워질 수 있도록 홈(2a)이 형성되어 있다.
드릴못이 어느 정도 세발고정쇠(4)에 조여지면, 사용자는 척키(10)의 돌출부(10b)를 척의 홈(2a)에 끼워 직각레버(10c)를 잡고 회전시킨다. 이 때, 척키(10)의 원추형 피치열(10a)과 톱니바퀴 조임쇠(6)의 피치열이 교합되어, 직각레버(10c)가 회전함에 따라 톱니바퀴 조임쇠(6)가 회전한다. 톱니바퀴 조임쇠(6)의 회전은 세발고정쇠(4)를 전진시켜 드릴못의 비트부를 조이게 된다. 척키(10)가 더 이상 조여지지 않으면 드릴못의 비트부가 세발고정쇠(4)에 완전히 조여진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척고정부는 척키(10)를 이용하여 드릴못을 완전히 조이지 않으면 작업 중 드릴못의 비트부가 헛도는 경우가 발생하고, 심한 경우 드릴못이 척고정부에서 빠질 수도 있다. 통상, 척키(10)는 전기드릴의 일측에 고무밴드에 연결되어 있지만 분실할 수 있는 문제점이 항상 존재한다. 이 경우, 드릴못의 결합 ·분리가 불가능하게 되어, 사용자는 별도의 척키를 구입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릴못의 유동을 방지하고 드릴못의 결합 또는 분리를 용이하도록 한 드릴못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전기드릴에 적용하여 드릴못의 유동을 방지하고 드릴못의 결합 또는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 드릴못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종래의 척고정부를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척고정부를 나타내는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척고정부를 나타내는 도면.
제4도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고정레버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릴못을 나타내는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릴못 비트부와 비트홈의 단면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답터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척 2a,34a : 홈
4 : 세발고정쇠 6 : 톱니바퀴 조임쇠
8 : 척 커버 10 : 척키
10a : 원추형 피치열 10b : 돌출부
10c : 직각레버 12,22,42 : 나사못
20,52 : 비트홈뭉치 20a,40a,52a : 비트홈
24 : 커버뭉치 26,46 : 고정레버
26a : 힌지 26b : 걸쇠
26c : 스프링 30 : 드릴못
32 : 날부 34,50 : 비트부
40 : 비트홈뭉치 40b,40c : 나사부
44 : 커버뭉치 48 : 비트홈뭉치 조임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드릴못 고정장치는 드릴못의 비트부를 수납·고정하기에 적합한 비트홈을 가지는 비트포획수단과, 비트포획수단을 전기드릴의 일측에 결합시키는 결합수단과, 비트포획수단의 일측에 위치한 힌지를 중심으로 선회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비트부의 일측에 끼워지는 걸쇠가 형성된 비트부고정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드릴못 고정장치는 드릴못의 비트부를 수납·고정하기에 적합한 공간이 마련되고 선택적으로 수축되는 비트조임쇠를 가지는 비트포확수단과, 자신의 내경에 상기 비트포획수단이 끼워져 비트조임쇠를 수축시켜 드릴못의 비트부를 고정시킴과 아울러 전기드릴에 비트포획수단을 결합시키는 비트조임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제2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척고정부를 나타낸다.
제2도의 구성에서, 본 발며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척고정부는 종속 결합되는 비트홈뭉치(20), 나사못(22), 커버뭉치(24)를 구비한다.
제2도에 있어서, 드릴못 비트부와 비트홈의 다양한 단면 형태를 나타낸 제6도와, 고정레버를 상세히 나타내는 제4도 및 드릴못을 나타내는 제5도를 결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비트홈뭉치(20)는 내부에서 비트홈(20a)이 형성되어 있다. 비트홈(20a)은 미도시된 드릴못의 비트부가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육각형의 단면을 갖는 드릴못의 비트부가 비트홈에 끼워질 때, 유동을 방지하도록 단면이 육각형으로 형성된다. 비트홈의 단면은 제6도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이, 드릴못의 비트부 단면 형태에 따라 육각형 이외의 삼각형(a), 사각형(b), 오각형(c), 육각형(d), 팔각형(e)등의 다각형, 타원형(f, h, i, m), 별모양(g, j, k), 및 다이아몬드형(l)도 가능하다. 비트홈뭉치(20)의 외경면에는 힌지(26a)를 중심으로 선회운동할 수 있는 고정레버(26)가 위치하고, 일측에는 나선으로 표면처리가 되어 숫나사 역할을 하도록 단차를 이루는 면이 형성되어 있다. 원통형의 커버뭉치(24)는 내경에 암나사 역할을 하도록 나선처리가 되어 있다. 따라서, 비트홈뭉치(20)의 숫나사 부분이 커버뭉치(24)의 암나사 부분에 끼워진다. 이러한 방법으로 고정된 척고정부는 나사못(22)으로 전기드릴의 몸체부와 커버뭉치(24)를 결합함으로서 전기드릴의 몸체부와 결합된다. 척고정부의 결합상태는 제2(b)도에서 도시한다.
고정레버(26)는 미도시된 육각 드릴못이 비트홈(20a)에 삽입된 상태에서, 힌지(20a)를 중심으로 선회운동하여 드릴못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이를 상세히 하면, 고정레버(26)는 비트홈(20a)에서 일정부분이 돌출되는 걸쇠(26b)와, 고정레버(26)에 복원력을 부가하는 스프링(26c)을 구비한다. 드릴못(30)은 못적과 용도에 따라(예를 들면, 돌, 나무, 쇠 등의 대상물에 구멍, 나사홈을 뚫는 경우에 따라)다양한 형태의 날부(32)와 비트홈(20a)에 삽입되는 비트부(34)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비트부(34)는 비트홈(20a)의 직경과 형상에 따라, 그 단면이 임의의 직경으로 육각형으로 이루어진다. 비트부(34)의 단면은 다른 형태로, 비트홈뭉치의 비트홈 직경과 단면 형상에 따라 육각형 이외의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타원형, 별모양, 및 다이아몬드형도 가능하다. 드릴못(30)은 고정레버(26)의 걸쇠(26b)와 비트홈(26a)에 대향되는 부분에 홈(34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드릴못(30)이 비트홈(20a)에 삽입된 상태에서 드릴못(30)의 홈(34a)에 고정레버(26)의 걸쇠(26b)가 끼워진다.
드릴못(30)을 척고정부에 결합하는 경우, 사용자가 고정레버(26)의 일측에 힘을 가하여 힌지를 중심으로 걸쇠(26b)를 이격시킨 상태에서 드릴못(30)의 비트부(34)를 비트홈뭉치(20)의 비트홈(20a)에 삽입하고, 사용자가 손을 놓아 힘을 해제하면 스프링(26c)의 복원력으로 드릴못(30)의 홈(34a)에 고정레버(26)의 걸쇠(26b)가 끼워져 고정이 된다. 이와는 반대로, 드릴못(30)을 척고정부에서 분리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결합수순의 역순으로 수행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척고정부를 나타낸다.
제3도를 참조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척고정부는 종속결합되는 비트홈뭉치(40), 비트홈뭉치 조임쇠(48), 나사못(42), 커버뭉치(44)를 구비한다.
제3(b)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척고정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다.
비트홈뭉치(40)는 드릴못(30)의 비트부(34)가 삽입되는 비트홈(40a)이 형성되어 있고, 수직방향으로 갈라진 부분이 존재한다. 비트홈(40a)은 비트부(34)의 단면 형태에 대응하도록 내경면에 육각형(또는 육각형 이외의 다각형, 타원형, 별모양, 다이아몬드 형)의 단면을 갖는다. 비트홈뭉치(40)의 외경면에는 제1 나사부(40b)와 제1 나사부(40b)에 단차를 이루어 형성된 제2 나사부(40c)가 형성되어 있다. 원통형의 비트홈뭉치 조임쇠(4)는 내경면에 나선처리가 되어 비트홈뭉치(40)의 제1 나사부(40b)가 끼워진다. 커버뭉치(44)는 일체화된 비트홈뭉치(40), 비트홈뭉치 조임쇠(48)를 전기드릴 몸체부에 결합하는 역할로서, 내경에 암나사 역할을 하도록 나선처리가 되어 비트홈뭉치(40)의 제2 나사부(40c)가 끼워진다. 이 때, 나사못(42)은 척고정부와 전기드릴 몸체부를 결합하는 역할로, 커버뭉치(44)와 전기드릴의 몸체부 사이에 끼워진다.
드릴못(30)을 척고정부에 결합하는 경우, 비트홈뭉치 조임쇠(48)를 풀어놓은 상태에서 드릴못(30)의 비트부(34)를 비트홈뭉치(40)의 비트홈(40a)에 삽입하고, 비트홈뭉치 조임쇠(48)를 특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비트홈뭉치(40)의 갈라진 부분에 의해 수축되고 이에 따라, 비트홈(40a)에 삽입된 드릴못(30)의 비트부(34)가 조여지게 된다. 이 때, 고정력을 더욱 부과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같이 고정레버(46)를 비트홈뭉치 조임쇠(48)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비트홈뭉치(40)와 비트홈뭉치 조임쇠(48)에는 대향되도록 위치한 홈이 형성되어야 한다. 드릴못(30)을 척고정부에서 분리하는 경우는 상기한 결합수순의 역순으로 수행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전기드릴의 척고정부에도 적용할 수도 있는데, 이를 본 발명의 아답터를 도시한 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답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7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아답터는 단면이 육각형으로 이루어진 비트홈(52a)이 자신의 내경에 마련된 원통형의 비트홈뭉치(52)와, 비트홈뭉치(52)에 위치한 힌지(26a)를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위치하고 걸쇠(26b)가 형성된 고정레버(26)와, 비트홈뭉치(52)로부터 단차를 두어 신장되고 단면이 육각형으로 이루어진 제2 비트부(50)를 구비한다.
비트홈뭉치(52)의 비트홈(52a)에는 육각형의 단면을 갖는 드릴못(30)의 비트부(34)가 끼워진다. 드릴못(30)의 비트부(34)가 비트홈(52a)에 완전히 끼워지면, 고정레버(26)의 걸쇠(26b)를 이용하여 드릴못(30)의 비트부(34)를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제2 비트부(50)는 종래의 세발고정쇠(4)에 끼워져 조여지는 부분으로 육각형의 단면으로 육각형의 단면으로 작업시 아답터(50)가 헛돌지 않도록 한다. 제2 비트부(50)의 단면은 육각형 이외의 다각형(예를 들면, 삼각형 또는 사각형 등) 또는 타원형, 별모양, 다이아몬드형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종래의 전기드릴에 본 발명의 아답터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척(2), 세발고정쇠(4) 및 척키(10)를 이용하여 종래의 드릴못을 착탈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면 쉽게 전기드릴에 착탈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드릴못은 삼각형 내지 십육각형 등의 다각형, 타원형, 별모양 및 다이아몬드형의 단면을 갖는 비트부를 구비하여 전기드릴에 결합시 유동을 방지하고 결합·분리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드릴못 고정장치는 드릴못의 분리·결합시 사용자의 불필요한 동작과 시간을 절감함과 아울러, 작업시 드릴못의 비트부가 헛돌지 않기 때문에 비트부의 마모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드릴못 고정장치의 아답터는 삼각형 내지 십육각형 등의 다각형, 타원형, 별모양 및 다이아몬드형의 단면을 갖는 드릴못의 비트부를 쉽게 종래의 전기드릴에 적용하여 드릴못의 유동을 방지하고 분리·결합이 용이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드릴못 고정장치는 드릴못의 유동을 방지하고 드릴못의 결합 또는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릴못 고정장치는 종래의 전기드릴에 적용하여 드릴못의 유동을 방지하고 드릴못의 결합 또는 분리가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3)

  1. 전기드릴에 있어서, 드릴못의 비트부를 수납·고정하기에 적합한 비트홈을 가지는 비트홈뭉치와, 상기 비트홈뭉치를 상기 전기드릴의 일측에 결합시키는 커버뭉치와, 상기 비트홈뭉치의 일측에 위치한 힌지를 중심으로 선회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비트부의 일측에 끼워지는 걸쇠가 형성된 비트부고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못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부와 상기 비트홈의 단면은 다각형, 타원형, 별모양, 다이아몬드형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못 고정장치.
  3. 전기드릴에 있어서, 드릴못의 비트부를 수납·고정하기에 적합한 공간이 마련되고 선택적으로 수축되는 비트홈뭉치 조임쇠를 가지는 비트홈뭉치와, 자신의 내경에 상기 비트홈뭉치가 끼워져 상기 비트홈뭉치 조임쇠를 수축시켜 상기 드릴못의 비트부를 고정시킴과 아울러 상기 전기드릴에 상기 비트홈뭉치를 결합시키는 커버뭉치와, 상기 커버뭉치의 일측에 위치한 힌지를 중심으로 선회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비트부의 일측에 끼워지는 걸쇠가 형성된 비트부고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못 고정장치.
KR1019970047920A 1997-09-20 1997-09-20 드릴못과 드릴 고정장치 KR100255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920A KR100255484B1 (ko) 1997-09-20 1997-09-20 드릴못과 드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920A KR100255484B1 (ko) 1997-09-20 1997-09-20 드릴못과 드릴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3828A KR970073828A (ko) 1997-12-10
KR100255484B1 true KR100255484B1 (ko) 2000-05-01

Family

ID=19521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7920A KR100255484B1 (ko) 1997-09-20 1997-09-20 드릴못과 드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548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3828A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1089B2 (en) Tool for removing screws with damaged heads
KR940000752B1 (ko) 회전공구용 키이레스 척
US5819611A (en) Fastener removing tool
US5193824A (en) Chuck having a drive bit socket
US3843143A (en) Chuck adapter
US8061718B2 (en) Toolless bitholder for spiral saws
US20030107190A1 (en) Hammerlock chuck
US4350064A (en) Auxiliary tool kit for a socket wrench set
US8376371B2 (en) Locking chuck jaws
US5664467A (en) Adjustable socket
US4532834A (en) Two-piece drill chuck wrench
US5984320A (en) Tool chuck
KR100915285B1 (ko) 볼트 및 나사 제거장치
KR100255484B1 (ko) 드릴못과 드릴 고정장치
US4603605A (en) Thread vise
US4615653A (en) Chuck key holder with locking pin
EP0876236A1 (en) Tool chuck
WO1998040182A1 (fr) Mandrin de serrage manuel
JPH02172605A (ja) 締め付け具
JPS62282805A (ja) ドリル装置
KR200284923Y1 (ko) 드릴척의 척핸들
EP0045936A1 (en) Screwdriver
JPH07285005A (ja) チャック装置
JPS63174804A (ja) 締め付け具
JPH1034417A (ja) ドリルチャ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