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3146B1 -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 - Google Patents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3146B1
KR101373146B1 KR1020120108077A KR20120108077A KR101373146B1 KR 101373146 B1 KR101373146 B1 KR 101373146B1 KR 1020120108077 A KR1020120108077 A KR 1020120108077A KR 20120108077 A KR20120108077 A KR 20120108077A KR 101373146 B1 KR101373146 B1 KR 101373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furniture
bolt
support frame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권
Original Assignee
(주)토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토템 filed Critical (주)토템
Priority to KR1020120108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31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12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 F16B12/14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using threaded bolts or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12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 F16B12/2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using clamps, clips, wedges, sliding bolts, or the like
    • F16B12/2009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using clamps, clips, wedges, sliding bolts, or the like actuated by rotary motion
    • F16B2012/2072Pin and drum securing devices; Drums having lever with cam surface to engage the head of the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단부에 원추부가 구비되어있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외측으로 끼워져서 상기 판넬에 형성되는 고정구멍에 삽입되는 슬리브형 고정구를 포함하는 앵커부재와,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판넬이 서로 밀착결합되도록 상기 볼트에 나사결합되는 가압체결구 및 상기 가압체결구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가압체결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는, 결합하고자 하는 가구의 판넬 및 지지프레임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구멍과 삽입홀을 형성해 놓으면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수작업만으로 가구를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구의 조립시에 판넬이나 지지프레임의 결합부위에 발생하는 결합력을 제외한 외력 즉 망치나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의 사용에 의한 충격력 및 진동 등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판넬이나 지지프레임의 내부구조 및 결합구조에 손상이 발생될 염려가 없고 이에 따라 가구를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된다.
또한, 별도의 도구 없이 수작업만으로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고, 조립 및 분해작업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더라도 결합력이 감소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가구의 분해시에 가압체결레버를 파지하여 가압체결구를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체결구가 가구로부터 분리되어 체결구를 분리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가구 및 체결구에 변형이 방지되어 분리되더라도 가구의 수명을 유지시키고 체결구를 교환하지 않고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MULTIPURPOSE COUPLING DEVICE FOR FURNITURE ASSEMBLY}
본 발명은 가구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구의 판넬과 지지프레임 등을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체결구가 전동드라이버와 같은 공구가 없이도 사용이 가능하고 캠면의 회전에 의해 결합부를 가압하여 체결구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가압체결레버를 구비하여 피스 등의 체결자재가 없이 조립이 가능하고 견고한 결합력으로 체결되는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가구들은 판넬과 판넬의 측면 또는 밑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재는 판넬의 형태로 구비되거나 프레임의 형태로 구비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가구(1)는 판넬(2)과 지지프레임(3)을 조립하기 위해, 볼트, 피스 혹은 못 등과 같은 결합수단(4)을 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결합수단(4)은 조립 시 상판 등의 판넬(2)이나 지지프레임(3)에 많은 하중을 가하게 되는데, 이러한 하중에 의해 상판(2)이나 지지프레임(3)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상판(2)의 두께가 비교적 얇은 경우 조립과정에서 상판(2)에 균열이 쉽게 생기거나 적은 하중에도 상판(2)이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볼트, 피스 또는 못 등의 결합수단(4)에 의한 체결방식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결합력이나 결합이 이루어진 외관 및 작업시간에 많은 차이가 발생하였다.
또한, 테이블 등의 가구(1)의 사용에 의하여 결합부위에 반복적인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목재의 결합부위가 헐거워지게 됨에 따라 결합력이 지속적으로 약해지게 되고 급기야 결합부위가 흔들리고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단 위와 같은 결합수단을 통해 조립을 완료한 후 다시 이들을 분해하고자 할 경우 전동공구 등을 사용하여 일일이 피스와 같은 다수의 결합수단(4)에 대한 개별적인 분리작업을 진행해야 하므로 그 작업 과정이 번잡하고 많은 작업시간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일단 분리가 되면 상판 등의 판넬(2)이나 지지프레임(3)의 결합부위가 헐거워져서 동일한 결합부위에 다시 결합할 경우 결합력이 약해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분해과정에서 볼트나 피스와 같은 결합수단(4)에 변형이 발생하여 교체되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전술한 종래 가구용 체결구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체결구에 캠면이 형성되어 있는 힌지부로 연결되는 가압체결레버를 구비함으로써, 피스 등의 체결자재나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가 없이도 체결구의 조립이 가능하고 조립 및 분해가 신속하며 견고한 결합력으로 체결되는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은, 가구의 판넬과 지지프레임을 결합하는 가구용 체결구에 있어서, 일단부에 원추부가 구비되어있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외측으로 끼워져서 상기 판넬에 형성되는 고정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원추부의 경사면에 접촉되어 외측으로 확장됨으로써 고정구멍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슬리브형 고정구를 포함하는 앵커부재;와, 상기 슬리브형 고정구의 내측에 상기 원추부를 삽입시키고 상기 볼트에 관통연결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판넬이 서로 밀착결합되도록 상기 볼트에 나사결합되는 가압체결구; 및 상기 가압체결구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가압체결구에 힌지부로 연결되는 가압체결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체결레버는 상기 가압체결구의 측면에 한 쌍의 힌지부로 연결되고, 회전시에 상기 가압체결구 및 상기 볼트와 간섭되지 않도록 회전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의 테두리면은 상기 지지부재를 가압하도록 캠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압체결구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사이에는 상기 캠면과 접촉되는 가압지지구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압체결레버는 상기 힌지부를 축으로 상기 가압체결구의 일측에서만 회전되고, 상기 캠면은 90도 이내로 형성되거나, 상기 가압체결레버는 상기 힌지부를 축으로 상기 가압체결구의 양측으로 회전되고, 상기 캠면은 180도 이내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볼트의 선단에는 상기 볼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형 고정구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구멍에 가압결합되는 고정돌기가 더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는, 결합하고자 하는 가구의 판넬 및 지지프레임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구멍과 삽입홀을 형성해 놓으면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수작업만으로 가구를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구의 조립시에 판넬이나 지지프레임의 결합부위에 발생하는 결합력을 제외한 외력 즉 망치나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의 사용에 의한 충격력 및 진동 등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판넬이나 지지프레임의 내부구조 및 결합구조에 손상이 발생될 염려가 없고 이에 따라 가구를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된다.
또한, 별도의 도구 없이 수작업만으로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고, 조립 및 분해작업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더라도 결합력이 감소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가구의 분해시에 가압체결레버를 파지하여 가압체결구를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체결구가 가구로부터 분리되어 체결구를 분리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가구 및 체결구에 변형이 방지되어 분리되더라도 가구의 수명을 유지시키고 체결구를 교환하지 않고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구용 체결구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의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의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의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의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의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의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시한 도면에서 동일 명칭의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적용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100)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100)는 망치나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가 없이도 가구(200)의 판넬(60)과 지지프레임(70) 간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가압체결구(40)에 힌지부(51)로 연결되는 가압체결레버(50)를 구비함으로써 판넬(60)과 지지프레임(70) 간의 조립 및 분해를 신속히 하며 견고한 결합력으로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힌지부(51)의 테두리면을 캠면(54)으로 형성하고 힌지부(51)를 축으로 가압체결레버(50)를 회전시킴으로써 판넬(60)과 지지프레임(70) 간의 결합구조를 가압하여 체결구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의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100)는 판넬(60)에 고정삽입되는 앵커부재(10)와, 상기 앵커부재(10)에 나사조립되어 판넬(60)과 지지프레임(70)을 결합시키는 가압체결구(40)와, 상기 가압체결구(40)가 앵커부재(10)에 수작업으로 나사결합되도록 힌지부(51)로 연결되는 가압체결레버(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앵커부재(10)는 일단부에 원추부(24)가 구비되어있는 볼트(20)와, 볼트(20)에 끼워져서 판넬(60)에 형성되는 고정구멍(61)에 삽입되는 슬리브형 고정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볼트(20)는 선단부에는 공구홈(21)이 형성되며, 상기 공구홈(21)의 상측으로는 상기 가압체결구(40)와 나사결합되는 나사산부(22)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부(22)의 상측으로 안내홈이 형성되는 조립부(23)가 형성되며, 후단부에는 역 테이퍼 형태의 원추부(24)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공구홈(21)은 힌지부(51) 또는 가압체결레버(50)가 손상되어 수작업으로 상기 가압체결구(40)를 회전시킬 수 없는 경우 등에 드라이버나 렌치 등을 사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볼트(20)의 선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조립부(23)는 원추부(24)로부터 연장되어 판넬(60)과 지지프레임(70)을 체결구(100)로 결합하기 위해 형성된 고정구멍(61) 및 관통홀(62) 내부에 삽입되는 구간이며, 체결구(100)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70)의 두께를 고려하여 소정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립부(23)는 가압체결구(40)가 삽입되어 나사체결되는 구간이 아니므로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고 관통홀(62)에 삽입이 원활하도록 원주를 따라 길이방향의 안내홈(25)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산부(22)는, 가압체결구(40)가 나사결합되는 구간이며 나사결합되는 깊이를 고려하여 공구홈(21)의 상측으로 소정간격 형성된다.
상기 원추부(24)는 역 테이퍼 형태의 원뿔형태로 볼트(20)의 후단에 형성되어 슬리브형 고정구(30)의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슬리브형 고정구(30)는 탄성변형이 가능하면서 일정한 강도를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외관은 고정구멍(61)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밀착고정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그 구성으로는, 내부에는 관통홀(31)이 형성되고, 선단부에는 볼트(20)가 내부를 통과하여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볼트홀(32)이 형성되며, 후단부에는 원추부(24)가 삽입되어 방사형태로 벌어지도록 한 쌍 이상의 절개홈(3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고정구멍(61)에 견고히 결합되도록 고정돌기(34)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관통홀(31)은 체결구(100)의 결합력에 의해 당겨지는 원추부(24)가 내측으로 억지 끼움조립되도록 볼트(20)의 외경보다 크고 원추부(24)의 최대외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볼트홀(32)은 슬리브형 고정구(30)의 내부를 통과한 볼트(20)의 선단부가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볼트(2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절개홈(33)은 관통홀(31)에 삽입되는 원추부(24)에 의해 슬리브형 고정구(30)의 외주면이 방사형으로 벌어져서 고정구멍(61)에 밀착결합되도록 슬리브형 고정구(30)의 하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형태로 서로 대칭되게 한 쌍 이상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34)는 원추부(24)에 의해 벌어지는 슬리브형 고정구(30)의 외주면이 고정구멍(61)의 내주면에 보다 견고히 결합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34)는 외주면에 걸쳐 다수개로 형성되며, 결합방향과 직각으로 형성되거나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압체결구(40)는 원통형의 몸체(41)와, 상기 몸체(41)의 중심부에 관통형성되는 나사구멍(42)과, 상기 몸체(41)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가압체결레버(50)의 힌지부(51)가 연결되는 힌지돌기(43)로 구성된다.
상기 힌지돌기(43)는 가압체결레버(50)의 힌지부(51)가 조립되어 회전되도록 몸체(41)의 양측면에 한 쌍으로 구비된다.
상기 나사구멍(42)은 판넬(60)의 고정구멍(61)에 삽입된 슬리브형 고정구(30)의 볼트홀(32)에서 돌출되는 볼트(20)와 나사결합되도록 볼트(20)의 나사산에 대응되어 몸체(41)의 중심에 관통형성된다.
상기 몸체(41)는 볼트(20)와 나사결합되면서 지지프레임(70)의 표면에 밀착되어 원활히 회전되도록 금속재질 또는 강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몸체(41)의 밑면과 지지프레임(70)의 표면 간에 마찰이 작게 발생하도록 밑면이 다듬질 처리된다.
상기 가압체결레버(50)는 가압체결구(40)의 양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부(51)와, 상기 힌지부(51)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손잡이부(52)와, 상기 손잡이부(52)가 가압체결구(40) 및 볼트(20)와 간섭되지 않도록 내측에 형성되는 회전홈부(53)로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부(51)는 테두리면이 캠면(54)으로 형성되고,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되어 가압체결구(40)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힌지돌기(43)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회전홈부(53)는 가압체결구(40)와 볼트(20)에 상기 손잡이부(52)의 회전이 간섭되지 않도록 한 쌍의 힌지부(51)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52)는 가압체결구(40)에 한 쌍의 힌지부(51)로 연결되어 작업자가 공구 없이 이를 파지하여 가압체결구(40)를 볼트(20)의 나사산부(22)를 따라 지지프레임(70)에 밀착되도록 나사결합시킬 수도 있고, 힌지부(51)를 축으로 캠면(54)을 회전시킴으로써 판넬(60)과 지지프레임(70) 간의 결합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100)를 사용하여 가구(200)의 판넬(60)과 지지프레임(70)을 결합하는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의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의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먼저, 가구(200)의 판넬(60)과 지지프레임(70)을 결합하기 위해 판넬(60)의 결합부위에는 고정구멍(61)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지지프레임(70)의 결합부위에는 관통홀(62)이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슬리브형 고정구(30)의 볼트홀(32)을 통하여 볼트(20)의 나사산부(22)측이 돌출되도록 볼트(20)와 슬리브형 고정구(30)를 조립하고, 슬리브형 고정구(30)의 볼트홀(32)이 판넬(60)의 결합면과 일치되도록 앵커부재(10)를 고정구멍(61)에 삽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지지프레임(70)의 관통홀(62)에 볼트(20)를 삽입시키면서 지지프레임(70)을 판넬(60)에 밀착시키고, 가압체결레버(50)가 조립된 가압체결구(40)를 볼트(20)에 나사결합시킨다. 이후, 가압체결구(40)가 지지프레임(70)에 접촉될 때까지 나사조립되도록 가압체결레버(50)를 손으로 파지하여 회전시킨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가압체결구(40)가 지지프레임(70)에 접촉된 상태에서 가압체결구(40)가 더 이상 회전되지 않을 때까지 가압체결레버(50)를 파지하여 더 회전시키면 체결구(100)의 결합이 완료된다. 즉, 가압체결구(40)가 지지프레임(70)에 접촉된 상태에서 더 회전시키게 되면 볼트(20)의 원추부(24)가 슬리브형 고정구(30)에 억지 끼움조립되고 이에 따라 슬리브형 고정구(30)의 외주면은 방사형으로 벌어져서 고정돌기(34)가 고정구멍(61)의 내주면에 밀착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100)를 사용하여 가구(200)의 판넬(60)과 지지프레임(70)을 결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의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의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가압체결레버(50)의 회전에 의해 가압체결구(40)가 지지프레임(70)에 밀착고정되고 슬리브형 고정구(30)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돌기(34)가 고정구멍(61)의 내주면에 밀착결합되면, 슬리브형 고정구(30)의 외주면은 일정한 결합면적(A)을 형성하여 고정구멍(61)의 내주면에 고정된다.
이때, 가압체결레버(50)를 손으로 파지하여 테두리면이 캠면(54)으로 형성된 힌지부(51)를 회전시키게 되면 캠면(54)이 지지프레임(70)을 가압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원추부(24)는 슬리브형 고정구(30)의 내부로 더 삽입된다. 이에 따라, 슬리브형 고정구(30)의 외주면은 더욱 벌어지게 되어 고정구멍(61)의 내주연부와 더욱 넓은 결합면적(A')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가구(200)의 판넬(60)과 지지프레임(70)간의 결합력은 더욱 향상되는 것이다.
한편, 가압체결구(40)와 지지프레임(70)의 사이에는 캠면(54)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결합력을 지지프레임(70)에 넓은 작용면으로 전달하도록 외측면이 캠면(54)과 직접 접촉되는 가압지지구(4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지지구(44)는 중앙에는 볼트(20)가 통과하는 홀이 관통되며, 한 쌍의 캠면(54)과 충분한 접촉면적을 형성하도록 얇고 납작한 원판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지지구(44)는 통상의 와셔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힌지부(51)의 캠면(54)은 대략 90도 각도로 형성되거나 또는 대략 180도 각도범위로 형성될 수도 있다. 캠면(54)이 대략 180도의 각도로 형성되면 결합부위를 가압하는 정도가 향상될 수 있고, 또는 캠면(54)을 완만하게 형성하여 세밀하게 가압할 수도 있다.
상기 가압체결레버(50)에는 손잡이부(52)가 가압체결구(40) 및 볼트(20)에 간섭받지 않고 회전되도록 회전홈부(53)가 형성되어 있으나, 가압체결구(40)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볼트(20)의 길이는 지지프레임(70)의 두께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즉, 지지프레임(70)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경우에는 볼트(20)는 상대적으로 길게 돌출되고, 지지프레임(70)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경우에는 볼트(20)는 상대적으로 짧게 돌출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체결구(100)가 조립되는 지지프레임(70) 등의 두께가 다양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회전홈부(53)가 볼트(20)에 간섭받을 수 있으므로 캠면(54)이 대략 90도 각도로 형성되는 체결구(10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지프레임(70)의 두께가 일정한 경우에는 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 볼트(20)와 대략 180도 각도로 형성되는 캠면(54)을 가지는 체결구(10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100)는 벽면(80)에 설치되는 선반(90)에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의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벽면(80)과 선반(90)의 밑면에 고정구멍(61)을 형성하고 브래킷(81)에는 고정구멍(61)에 대응되는 관통홀(62)을 형성하여 벽면(80)에 선반(90)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벽면(80)과 선반(90)에 브래킷(81)을 체결구(100)로 결합하는 과정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100)의 분해과정은 조립과정의 역순으로 진행된다. 즉, 힌지부(51)를 축으로 가압체결레버(50)를 회전시켜서 캠면(54)에 의한 가압을 해제시킨다. 그리고, 가압체결레버(50)를 손으로 파지하여 가압체결구(40)를 볼트(20)를 축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볼트(20)로부터 가압체결구(40)를 분리시킨다. 이후, 볼트(20)로부터 지지프레임(70)을 분리시키고 볼트(20)의 공구홈(21)을 가압하면 원추부(24)가 슬리브형 고정구(30)의 관통홀(31)로부터 빠져나오게 되어 고정구멍(61)에서 앵커부재(10)가 분리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으나, 첨부된 도면 및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져야 하고, 그 범위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100 :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 200 : 가구
1 : 테이블 10 : 앵커부재
2 : 상판 20 : 볼트
3 : 지지프레임 30 : 슬리브형 고정구
4 : 결합수단 40 : 가압체결구
21 : 공구홈 50 : 가압체결레버
22 : 나사산부 60 : 판넬
23 : 조립부 70 : 지지프레임
24 : 원추부 80 : 벽면
25 : 안내홈 81 : 브래킷
31 : 관통홀 90 : 선반
32 : 볼트홀 51 : 힌지부
33 : 절개홈 52 : 손잡이부
34 : 고정돌기 53 : 회전홈부
41 : 몸체 54 : 캠면
42 : 나사구멍 61 : 고정구멍
43 : 힌지돌기 71 : 관통홀
44 : 가압지지구

Claims (8)

  1. 가구의 판넬과 지지프레임을 결합하는 가구용 체결구에 있어서,
    일단부에 원추부가 구비되어있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외측으로 끼워져서 상기 판넬에 형성되는 고정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원추부의 경사면에 접촉되어 외측으로 확장됨으로써 고정구멍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슬리브형 고정구를 포함하는 앵커부재;
    상기 슬리브형 고정구의 내측에 상기 원추부를 삽입시키고 상기 볼트에 관통연결되는 지지프레임와 상기 판넬이 서로 밀착결합되도록 상기 볼트에 나사결합되는 가압체결구; 및
    상기 가압체결구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가압체결구에 힌지부로 연결되는 가압체결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볼트의 선단에는 상기 볼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체결레버는 상기 가압체결구의 측면에 한 쌍의 힌지부로 연결되고, 회전시에 상기 가압체결구 및 상기 볼트와 간섭되지 않도록 회전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의 테두리면은 상기 지지프레임을 가압하도록 캠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체결구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사이에는 상기 캠면과 접촉되는 가압지지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체결레버는 상기 힌지부를 축으로 상기 가압체결구의 일측에서만 회전되고, 상기 캠면은 90도 이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체결레버는 상기 힌지부를 축으로 상기 가압체결구의 양측으로 회전되고, 상기 캠면은 180도 이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형 고정구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구멍에 가압결합되는 고정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
KR1020120108077A 2012-09-27 2012-09-27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 KR101373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077A KR101373146B1 (ko) 2012-09-27 2012-09-27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077A KR101373146B1 (ko) 2012-09-27 2012-09-27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3146B1 true KR101373146B1 (ko) 2014-03-13

Family

ID=50648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077A KR101373146B1 (ko) 2012-09-27 2012-09-27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31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2210A (ko) * 2018-01-29 2019-08-07 주식회사 지누스 조립식 테이블 및 그 조립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109B1 (ko) 2004-07-02 2007-02-12 김성수 책상과 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435983Y1 (ko) 2006-09-29 2007-03-30 이성원 칸막이의 다기능 보강대
KR20100085507A (ko) * 2009-01-21 2010-07-29 임재용 리프팅가능한 책상상판의 유리고정구
KR20110083399A (ko) * 2010-01-14 2011-07-20 성 철 표 쐐기형 조립연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109B1 (ko) 2004-07-02 2007-02-12 김성수 책상과 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435983Y1 (ko) 2006-09-29 2007-03-30 이성원 칸막이의 다기능 보강대
KR20100085507A (ko) * 2009-01-21 2010-07-29 임재용 리프팅가능한 책상상판의 유리고정구
KR20110083399A (ko) * 2010-01-14 2011-07-20 성 철 표 쐐기형 조립연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2210A (ko) * 2018-01-29 2019-08-07 주식회사 지누스 조립식 테이블 및 그 조립방법
KR102085093B1 (ko) * 2018-01-29 2020-03-05 주식회사 지누스 조립식 테이블 및 그 조립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72140A1 (en) Positioning pin removing tool for vehicles
US20130223924A1 (en) Quick-release fixing structure for a fender of a bicycle
EP1793129A1 (en) Joint for removably connecting two structural furniture members abutting orthogonally against each other
KR101373146B1 (ko)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
US20120098182A1 (en) Quick release structure of woodworking clamp
KR102141902B1 (ko) 자동차용 푸시너트
KR20100122548A (ko) 록킹 너트 어셈블리
US10570945B2 (en) Pressing-type screw
CN101688548B (zh) 用于组装工件、特别是重叠板和/或部件的安装/组装元件
KR101145195B1 (ko) 다기능 망치
KR20140019988A (ko) 개량된 홀쏘오
US20120110766A1 (en) Assembly joint structure of a long handle and a scraper top for a scraping tool
JP2016203198A (ja) リベット締結装置
KR200390983Y1 (ko) 원터치 결합형 리벳
JP6480292B2 (ja) キッチン用仕切板の挟持装置
JP3163118U (ja) 交換式先端工具部材
US20090293683A1 (en) Ratchet driver
KR102104573B1 (ko) 천장용 기능성 측면 브래킷
KR20130063568A (ko) 절삭공구
CN201636175U (zh) 一种新型螺母
KR100892372B1 (ko) 다기능 조립식 공작가위
KR20090019348A (ko) 힌지 핀
KR20190042229A (ko) 소켓 일체형 커플링 하프를 장착한 임팩트 렌치
TWI627092B (zh) 適用於一兩輪載具的迫緊機構及相關兩輪載具
JP3190972U (ja) ドライバ機能を有するね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