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5507A - 리프팅가능한 책상상판의 유리고정구 - Google Patents

리프팅가능한 책상상판의 유리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5507A
KR20100085507A KR1020090004818A KR20090004818A KR20100085507A KR 20100085507 A KR20100085507 A KR 20100085507A KR 1020090004818 A KR1020090004818 A KR 1020090004818A KR 20090004818 A KR20090004818 A KR 20090004818A KR 20100085507 A KR20100085507 A KR 20100085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desk top
lifting
top plat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4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용
Original Assignee
임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재용 filed Critical 임재용
Priority to KR1020090004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5507A/ko
Publication of KR20100085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55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12Transparent tops, e.g. with lighting means under the table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4Top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1/00School desks or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프팅 가능한 책상상판의 유리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책상상판(10)과, 상기 책상상판(10) 상부면에 놓이는 강화유리(20)와, 상기 강화유리를 상기 책상상판 상부면에 안착 고정시키기 위한 책상상판의 유리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책상상판(10)의 모서리 측면에 결합고정되는 고정브라켓(100)과; 상기 고정브라켓(100)에 결합되어 책상상판(10) 하측으로 위치되는 리프팅수단(200)과; 상기 리프팅수단(200)에 의해 강화유리(20)가 상기 책상상판(10) 상부면에 안착고정되고, 필요에 따라 상기 강화유리(20)가 책상상판(10) 상부면으로부터 수직상승되는 유리고정구(300);를 포함하는 리프팅 가능한 책상상판의 유리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책상상판, 강화유리, 고정구, 리프팅.

Description

리프팅가능한 책상상판의 유리고정구{Device for fixing fiber glass to desk board having a lifting}
본 발명은 리프팅가능한 책상상판의 유리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책상상판에 이를 보호하기 위해 구비되는 강화유리를 안착 고정하고, 책상상판으로부터 강화유리를 상측으로 리프팅되도록 형성하여 사용자가 책상상판과 강화유리 사이에 다양한 문서, 그림 등을 삽입시, 용이하게 삽입이 가능하여 강화유리를 들어올리기 위해 많은 힘이 요하지 않아 사용이 간편하고, 책상상판으로부터 강화유리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여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책상상판과 고정이 가능함으로써, 강화유리의 파손을 방지하는 리프팅가능한 책상상판의 유리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사무실, 학교, 가정 등에서 널리사용되는 것으로, 책상상판과, 상기 책상상판을 지지하는 지주와, 각종 소품 및 물품을 수납하는 서랍체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책상은 책상상판을 보호하기위한 목적으로 책상상판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강화유리를 절단하여 책상상판 상부면에 대응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렇듯 책상상판에는 강화유리가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들은 책상상판과 강화유리 사이에 다양한 문서 또는 자신이 좋아하는 그림 등을 끼워넣어 책상을 사용시, 항상 확인이 가능하고, 남들과는 다른 자신만의 책상을 꾸미는 등 다양하게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책상상판에 구비된 강화유리는 그 자체의 무게가 상당한 무게를 가지고 있고, 책상상판과 유리사이에는 진공상태로 밀착되어 있어 사용자가 책상상판과 강화유리 사이에 문서, 그림 등을 끼워 삽입하려는 일련의 과정에서 강화유리를 들어올려야만 가능하여 상당한 힘이 요구되고 있고, 이에 따라 문서, 그림 등을 책상상판과 강화유리 사이에 끼워넣는 작업이 상당히 번거롭고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습도가 높거나 책상상판과 강화유리 사이에 물이 침투하였을 경우에는 책상상판과 강화유리의 밀착력이 더욱 증대되어 책상상판으로부터 강화유리를 들어올리기란 상당히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책상상판과 강화유리 사이에 문서, 그림 등을 끼워 삽입하여 사용하다 보면 책상상판과 강화유리 사이에 문서, 그림 등의 두께에 대한 공극이 형성되어 책상상판으로부터 유리가 미끄러지는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파손의 우려가 있고, 강화유리의 파손으로 인해 새로이 강화유리를 구입해야 하는 비용증대의 문제점과 심하게는 사용자가 파손된 강화유리에 의해 외상 등을 입을 수 있는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유리고정구와 리프팅수단에 의해 책상상판에 강화유리가 견고히 고정이 가능하여 책상상판으로부터 강화유리가 미끄러져 가장자리 및 모서리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강화유리의 파손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파손에 따른 비용손실이 없고, 안전성이 확보된 리프팅가능한 책상상판의 유리고정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책상상판과 강화유리 사이에 다양한 문서, 그림 등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리프팅수단에 의해 강화유리를 책상상판 상측으로 리프팅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이 간편한 리프팅가능한 책상상판의 유리고정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책상상판과 강화유리 측면으로 간단하게 끼움결합하여 구성이 가능하도록 조립식으로 구성됨에 따라 책상의 형태에 관계없이 범용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생산비가 절감되고, 유지보수가 간편하여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리프팅가능한 책상상판의 유리고정구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리프팅 가능한 책상상판의 유리고정구는 책상상판(10)과, 상기 책상상판(10) 상부면에 놓이는 강화유리(20)와, 상기 강화유리를 상기 책상상판 상부면에 안착 고정시키기 위한 책상상판의 유리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책상상판(10)의 모서리 측면에 결합고정되는 고정브라켓(100)과; 상기 고정브라켓(100)에 결합되어 책상상판(10) 하측으로 위치되는 리프팅수단(200)과; 상기 리프팅수단(200)에 의해 강화유리(20)가 상기 책상상판(10) 상부면에 안착고정되고, 필요에 따라 상기 강화유리(20)가 책상상판(10) 상부면으로부터 수직상승되는 유리고정구(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브라켓(100)은 일측에 상하로 수평편(112,114)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 수평편(112,114)이 책상상판(10) 모서리 측면에 결합시 견고히 결합되도록 웨지홈(116,118)이 상기 상하 수평편(112,114) 내측에 각각 대향형성되며, 상기 상하 수평편(112,114)과 직각으로 수직편(119)이 일체로 형성되어 "ㄷ"형상으로 마련된 상판결합부(110)와; 상기 상판결합부(110)의 하측 수평편(114) 타측에 일체로 수평연장형성되고, 일면 중앙에 통공(122)이 형성된 지지편(12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리프팅수단(200)은 상기 지지편(120)의 통공(122)에 관통결합되고, 상기 유리고정구(300)가 볼트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하조정되도록 일측에 볼 트(212)가 형성된 리프팅샤프트(210)와; 상기 리프팅샤프트(210) 축선상에 결합되고, 상기 리프팅샤프트(210)가 상기 지지편(120)의 통공(122)으로부터 이탈방지되도록 구비된 와셔(220)와; 상기 리프팅샤프트(210) 타측이 축결합되는 샤프트결합공(234)이 마련된 샤프트결합부(232)가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결합부(232)에 결합된 리프팅샤프트(210)를 축선상에서 회전과 수직당김이 가능하도록 캠회동부(236)가 형성되며, 상기 캠회동부(236) 일측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가 용이하도록 파지부(238)가 형성된 레버(23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유리고정구(300)는 상측으로 "ㄷ"형상의 유리고정홈(312)이 형성된 유리결합부(310)와; 상기 유리결합부(310) 직하로 연장형성되고, 내연에 상기 리프팅수단(200)이 볼트결합되도록 암나사가 형성된 나사공(322)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편(120)의 통공(122)과 동일축선상에 위치되어 안치되는 리프팅결합부(32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리고정구와 리프팅수단에 의해 책상상판에 강화유리가 견고히 고정이 가능하여 책상상판으로부터 강화유리가 미끄러져 가장자리 및 모서리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강화유리의 파손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파손에 따른 비용손실이 없고, 안전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고, 책상상판과 강화유리 사이에 다양한 문서, 그림 등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리프팅수단에 의해 강화유리를 책상상판 상측으로 리프팅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책상상판과 강화유리 측면으로 간단하게 끼움결합하여 구성이 가능하도록 조립식으로 구성됨에 따라 책상의 형태에 관계없이 범용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생산비가 절감되고, 유지보수가 간편하여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가능한 책상상판의 유리고정구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가능한 책상상판의 유리고정구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가능한 책상상판의 유리고정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가능한 책상상판의 유리고정구의 작동상태 측면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가능한 책상상판의 유리고정구는 책상상판으로부터 강화유리가 미끄러지지 않고 견고히 고정하여 사용자가 사용시, 강화유리가 미끄러짐으로 인해 강화유리의 모서리측의 파손에 따른 외상 및 강화유리를 재구매하여 불필요한 비용의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책상 상판과 강화유리 사이에 별도의 문서 또는 자신이 좋아하는 그림 등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리프팅 가능하게 형성한 것으로, 고정브라켓(100), 리프팅수단(200), 유리고정구(30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브라켓(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책상상판(10)의 모서리 측면에 결합고정하여 후술되는 리프팅수단(200)과 유리고정구(300)가 안착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브라켓(100)은 상판결합부(110), 지지편(120)이 형성되어 일체로 압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판결합부(110)는 "ㄷ"형상으로 형성된다. "ㄷ"형상의 상하로 수평편(112,114)이 형성되고, 서로 대향되어 나란하게 평행을 이룬 상하 수평편(112,114)의 내측에는 책상상판(10) 모서리 측면에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결합시 견고히 결합되도록 웨지홈(116,118)이 대향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 수평편(112,114)과 직각으로 수직편(119)이 일체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ㄷ"형상으로 마련된다.
상기 지지편(120)은 전술한 상기 상판결합부(110)의 하측 수평편(114) 타측에 일체로 수평연장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편(120)의 일면 중앙에는 후술되는 리프팅수단(200)의 리프팅샤프트(210)가 관통결합되도록 통공(1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편(120)은 후술되는 유리고정구(300)의 리프팅 결합부(320)의 일단이 상기 통공(122)와 수직상의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안치지지된다.
상기 리프팅수단(200)은 전술한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지지편(120)의 통공(122)에 결합되어 책상상판(10) 하측으로 위치된다. 여기서, 리프팅수단(200)은 후술되는 유리고정구(300)를 책상상판(10)측으로 끌어당기거나 수직으로 상승시키도록 형성된 것으로, 리프팅샤프트(210), 와셔(220), 레버(230)로 구성된다.
상기 리프팅샤프트(210)는 전술한 상기 지지편(120)의 통공(122)에 관통결합되어 후술되는 유리고정구(300)와 볼트결합되고, 리프팅샤프트(210)의 회전에 따라 상하이격조정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일측에 볼트(212)가 형성되어 볼트(212)의 회전에 따라 볼트결합된 후술되는 유리고정구(300)가 상하이격조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볼트(212)의 상하 길이 및 볼트의 나선피치에 따라 상하이격되는 거리와 속도의 조절이 가능한 것은 자명한 것이다.
상기 와셔(22)는 전술한 상기 지지편(120)의 통공(122) 상면에 대응되어 위치되고, 전술한 상기 리프팅샤프트(210)가 통공(122)내에서 공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통공(122)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비된 것으로, 상기 리프팅샤프트(210) 축선상에 결합되어 상기 리프팅샤프트(210)의 타측이 통공(122)측으로 관통결합시 결합된다.
상기 레버(230)는 사용자에 의해 전술한 상기 리프팅샤프트(210)를 회전하고, 상하로 잡아당김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샤프트결합부(232), 캠회동부(236), 파지부(238)로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결합부(232)는 전술한 상기 리프팅샤프트(210) 타측이 축결합되는 샤프트결합공(234)이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결하부(232)는 후술되는 캠회동부(236)의 중심에서 하측으로 이동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레버(230)를 샤프트결합부(232)를 기준점으로 선회시, 후술되는 캠회동부(236)에 의해 상기 리프팅샤프트(210)의 당김과 풀림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캠회동부(236)는 고정브라켓(100)의 지지편(120) 하측에 위치되어 전술한 상기 샤프트결합부(232)에 결합된 리프팅샤프트(210)를 축선상에서 회전과 수직당김 및 풀림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캠회동부(236)는 전술한 상기 샤프트결합부(232)와의 중심거리에 따라 후술되는 유리고정구(300)의 고정 및 상하이격조정의 조절의 방향이 결정된다.
상기 파지부(238)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리프팅샤프트(210)의 회전 및 당김, 풀림을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전술한 상기 캠회동부(236) 일측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가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유리고정구는 전술한 상기 리프팅수단(200)에 의해 강화유리(20)가 상기 책상상판(10) 상부면에 안착고정되고, 필요에 따라 상기 강화유리(20)가 책상상판(10) 상부면으로부터 수직상승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리고정구(300)는 유리결합부(310), 리프팅결합부(320)로 형성된다.
상기 유리결합부(310)는 전술한 리프팅수단(200)에 의해 강화유리(20)가 책상상판에 안착고정 및 상하이격이 가능하도록 강화유리(20)가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책상상판(10) 상부면에 결합되는 강화유리(20)의 측면에 끼움결합되는 "ㄷ"형상의 유리고정홈(31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리고정홈(312)에는 강화유리(20)와 유리고정홈(312) 사이의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별도의 완충부재(도시없음)를 함께 끼움결합하여도 바람직하다.
상기 리프팅결합부(320)는 상기 지지편(120)의 통공(122)과 동일축선상에 위치되어 일단이 상기 지지편(120) 상측으로 대응되어 안치되고, 전술한 리프팅수단(200)의 리프팅샤프트(210) 볼트(212)가 볼트결합되어 볼트(212)의 형성된 길이 및 피치에 따라 상하 리프팅 거리 및 속도가 결정되는 것으로, 전술한 상기 유리결합부(310) 직하로 연장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리프팅결합부(320)의 내연에는 상기 리프팅수단(200)이 볼트결합되도록 암나사가 형성된 나사공(32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가능한 책상상판의 유리고정구의 구성을 통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유리고정구(300)의 유리고정홈(312)에 강화유리(20)가 고정되고, 책상상판(10)에 고정된 고정브라켓(100)의 지지편(120)의 통공(122)에 리프팅수단(200)과 결합된 상태로 책상상판(10)과 강화유리(20)를 고정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책상상판(10)과 강화유리(20) 사이에 별도의 문서 또는 그림 등을 삽입하기 위해 책상상판(10)으로부터 강화유리(20)를 리프팅수단(200)에 의해 수직상승시킨다. 이때, 리프팅수단(200)의 레버(230)를 사용자는 캠회동부(236)를 중심으로 파지부(238)를 파지한 후, 파지부(238)의 타측으로 레버(230)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작동한다.
이와 같이, 파지부(238)가 캠회동부(236)를 중심으로 타측으로 선회작동되면 리프팅샤프트(210)에 의해 유리고정구(300)가 책상상판(10)측으로 잡아당겨져 있던 힘이 해제되어 유리고정구(300)와 리프팅샤프트(210)의 고정력이 헐거워지게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레버(230)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시켜 리프팅샤프트(210)가 회전되도록 한다. 이후, 리프팅샤프트(210)의 볼트(212)에 볼트결합된 유리고정구(300)는 나사공(322) 내에서 볼트(212)가 회전하고, 회전에 따라 유리고정구(300)의 리프팅결합부(320)가 수직상승되면서 유리고정구(300)상 상측으로 상승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상승되는 유리고정구(300)에 의해 유리고정홈(312)에 결합되어 있는 강화유리(20)가 수직상승하게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책상상판(10)과 강화유리(20) 사이에 문서, 그림 등 다양한 물건을 끼워넣어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의 순서를 역순으로 진행하게 되면 책상상판(10)과 강화유리(20)가 리프팅수단(200)과 유리고정구(300)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어 외부충격이나 별도의 외력으로 인해 강화유리(20)가 책상상판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아 파손 등으로부터 안전성이 확보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명백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가능한 책상상판의 유리고정구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가능한 책상상판의 유리고정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가능한 책상상판의 유리고정구의 작동상태 측면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고정브라켓 110 : 상판결합부
112, 114 : 상하 수평편 116, 118 : 웨지홈
119 : 수직편 120 : 지지편
122 : 통공 200 : 리프팅수단
210 : 리프팅샤프트 212 : 볼트
220 : 와셔 230 : 레버
232 : 샤프트결합부 234 : 샤프트결합공
236 : 캠회동부 238 : 파지부
300 : 유리고정구 310 : 유리결합부
312 : 유리고정홈 320 : 리프팅결합부
322 : 나사공

Claims (4)

  1. 책상상판(10)과, 상기 책상상판(10) 상부면에 놓이는 강화유리(20)와, 상기 강화유리를 상기 책상상판 상부면에 안착 고정시키기 위한 책상상판의 유리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책상상판(10)의 모서리 측면에 결합고정되는 고정브라켓(100)과;
    상기 고정브라켓(100)에 결합되어 책상상판(10) 하측으로 위치되는 리프팅수단(200)과;
    상기 리프팅수단(200)에 의해 강화유리(20)가 상기 책상상판(10) 상부면에 안착고정되고, 필요에 따라 상기 강화유리(20)가 책상상판(10) 상부면으로부터 수직상승되는 유리고정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가능한 책상상판의 유리고정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100)은 일측에 상하로 수평편(112,114)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 수평편(112,114)이 책상상판(10) 모서리 측면에 결합시 견고히 결합되도록 웨지홈(116,118)이 상기 상하 수평편(112,114) 내측에 각각 대향형성되며, 상기 상하 수평편(112,114)과 직각으로 수직편(119)이 일체로 형성되어 "ㄷ"형상으로 마련된 상판결합부(110)와;
    상기 상판결합부(110)의 하측 수평편(114) 타측에 일체로 수평연장형성되고, 일면 중앙에 통공(122)이 형성된 지지편(12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가능한 책상상판의 유리고정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수단(200)은 상기 지지편(120)의 통공(122)에 관통결합되고, 상기 유리고정구(300)가 볼트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하조정되도록 일측에 볼트(212)가 형성된 리프팅샤프트(210)와;
    상기 리프팅샤프트(210) 축선상에 결합되고, 상기 리프팅샤프트(210)가 상기 지지편(120)의 통공(122)으로부터 이탈방지되도록 구비된 와셔(220)와;
    상기 리프팅샤프트(210) 타측이 축결합되는 샤프트결합공(234)이 마련된 샤프트결합부(232)가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결합부(232)에 결합된 리프팅샤프트(210)를 축선상에서 회전과 수직당김이 가능하도록 캠회동부(236)가 형성되며, 상기 캠회동부(236) 일측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가 용이하도록 파지부(238)가 형성된 레버(23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가능한 책상상판의 유리고정구.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고정구(300)는 상측으로 "ㄷ"형상의 유리고정홈(312)이 형성된 유리결합부(310)와;
    상기 유리결합부(310) 직하로 연장형성되고, 내연에 상기 리프팅수단(200)이 볼트결합되도록 암나사가 형성된 나사공(322)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편(120)의 통공(122)과 동일축선상에 위치되어 안치되는 리프팅결합부(32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가능한 책상상판의 유리고정구.
KR1020090004818A 2009-01-21 2009-01-21 리프팅가능한 책상상판의 유리고정구 KR201000855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818A KR20100085507A (ko) 2009-01-21 2009-01-21 리프팅가능한 책상상판의 유리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818A KR20100085507A (ko) 2009-01-21 2009-01-21 리프팅가능한 책상상판의 유리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5507A true KR20100085507A (ko) 2010-07-29

Family

ID=42644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4818A KR20100085507A (ko) 2009-01-21 2009-01-21 리프팅가능한 책상상판의 유리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550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146B1 (ko) * 2012-09-27 2014-03-13 (주)토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
KR20190092210A (ko) * 2018-01-29 2019-08-07 주식회사 지누스 조립식 테이블 및 그 조립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146B1 (ko) * 2012-09-27 2014-03-13 (주)토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가구용 다용도 체결구
KR20190092210A (ko) * 2018-01-29 2019-08-07 주식회사 지누스 조립식 테이블 및 그 조립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85507A (ko) 리프팅가능한 책상상판의 유리고정구
CN205457111U (zh) 一种多功能升降桌
CN207092498U (zh) 一种瓷砖高度调节器
CN204158101U (zh) 一种可调整花盆支架
US20130326814A1 (en) Electric Bed Bedboard with Embedded Fixed Structure
CN105901995B (zh) 自适应书架
CN205430525U (zh) 音箱吊架
CN202248620U (zh) 一种家用可移动顶杆
KR101702714B1 (ko) 책상
CN204571673U (zh) 一种用于放置花盆的窗台外接装置
CN211559163U (zh) 一种可调节高度的计算机工作台
CN204899121U (zh) 机械式台面升降装置
CN204403704U (zh) 一种固定茶杯的电脑显示屏支架
KR20230049419A (ko) 높이 조절장치를 이용한 테이블
CN204908481U (zh) 一种能够调节高度的画板桌
CN108236236B (zh) 一种自动升降挂篮升降机构
CN218683026U (zh) 一种带平衡书桌侧翻床功能的儿童床
CN207996069U (zh) 一种环保的飘窗柜
CN110279224A (zh) 一种动漫设计用打样支架
CN218960321U (zh) 一种可调节使用高度的立式酒柜
CN204950035U (zh) 一种可升降调节的型材支撑件
CN204861841U (zh) 阅读架
KR101840368B1 (ko) 사용자 맞춤 책상
CN215501771U (zh) 一种折叠升降桌
CN218605775U (zh) 隐藏手柄式升降桌摇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