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8585B1 - 엘리베이터의 로프 소켓팅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로프 소켓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8585B1
KR100858585B1 KR1020077004532A KR20077004532A KR100858585B1 KR 100858585 B1 KR100858585 B1 KR 100858585B1 KR 1020077004532 A KR1020077004532 A KR 1020077004532A KR 20077004532 A KR20077004532 A KR 20077004532A KR 100858585 B1 KR100858585 B1 KR 100858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socket
screw rod
block body
gri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4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8491A (ko
Inventor
아츠시 미츠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77004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8585B1/ko
Publication of KR20070088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8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8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8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8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connection to the cars or cages, e.g. couplings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로프 소켓팅 장치는, 로프를 파지하는 로프 파지체와, 소켓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로프 파지체를 변위시키는 파지체 변위 장치를 가지고 있다. 파지체 변위 장치는 로프 파지체에 나사 결합된 나사봉을 가지고 있다. 나사봉은 나사봉을 돌리는 것으로 로프 파지체에 대해서 변위되게 되어 있다. 로프 파지체에 대해 변위되는 나사봉을 소켓이 받는 것으로, 로프 파지체는 소켓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로프의 말단부는 소켓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로프 파지체의 변위에 의해, 소켓에 설치된 로프 통과구멍 내로 끌어 들여진다.
소켓, 로프 소켓팅 장치, 나사봉, 로프 파지체, 파지체 변위 장치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로프 소켓팅 장치{ROPE SOCKETING DEVIC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소켓과, 소켓에 통과된 로프를 서로 접속하기 위해서, 로프의 말단부를 소켓 안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로프 소켓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로프의 말단부에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이나 균형추 등으로의 접속을 위해서, 소켓을 사전에 장착해 둘 필요가 있다. 통상, 로프의 말단부에 소켓을 장착하는 것을 소켓팅(socketing)이라고 부르고 있다. 소켓팅은, 소켓에 통해진 로프를 당기고, 로프의 말단부를 소켓 안에 깊게 들어가게 하는 것으로 실시한다.
종래, 로프의 말단부를 소켓안으로 끌어들이기 위해서, 로프를 잡는 로프 잡는 치구(jig)를 견인 조작 장치로 견인하는 와이어 로프의 소켓팅용 치구 장치(wire rope socketing jig device)가 제안되고 있다. 견인 조작 장치를 탑재한 기대(機臺)상에는, 소켓을 고정하는 소켓 고정용 치구와, 견인 조작 장치내의 피니온 기어(pinion gear)와 맞물림 결합하는 래크 기어(rack gear)가 고정되어 있다. 견인 조작 장치는 피니온 기어를 회전시킴으로써 래크 기어에 따라서 기대상을 이동되게 되어 있다. 로프의 말단부는, 견인 조작 장치가 이동되어 로프 잡는 치구 를 견인하는 것으로써, 소켓 안으로 끌어 들여지게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참조 ).
특허문헌 1: 특개 2003-227084 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와이어 로프의 소켓팅용 치구 장치에서는, 기어 기구를 가지는 견인 조작 장치 등이 필요하게 되므로,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버린다. 또, 장치 자체도 대형화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된 것으로서,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으며,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로프 소켓팅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로프 소켓팅 장치는, 로프 통과 구멍이 설치된 소켓과, 로프 통과 구멍에 통해진 로프를 접속하기 위해서, 로프의 말단부를 로프 통과 구멍내로 끌어들이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로프 소켓팅 장치로서, 로프를 파지하는 로프 파지체(rope grasping member), 및 로프 파지체에 나사 결합된 나사봉(screw rod)을 가지고, 나사봉을 회전함으로써 나사봉이 로프 파지체에 대해 변위되도록 되어 있으며, 로프 파지체에 대해서 변위되는 나사봉을 소켓이 받음으로써, 소켓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로프 파지체를 변위시키는 파지체 변위 장치를 구비하고, 파지체 변위 장치는, 소켓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로프 파지체를 변위시키는 것으로, 로프의 말단부를 로프 통과 구멍내로 끌어들이게 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로프 소켓팅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로프와 로프 고정 체결구(金具)(rope fastener)와의 접속을 실시하고 있는 한중간의 엘리베이터의 로프 소켓팅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IV-IV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로프 소켓팅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로프 소켓팅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한, 도 1은 로프와 로프 고정 체결구와의 접속이 완료하고 있을 때의 엘리베이터의 로프 소켓팅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로프(5)와 로프 고정 체결구(1)와의 접속을 실시하고 있는 한중간의 엘리베이터의 로프 소켓팅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로프 고정 체결구(1)는, 소켓(3)과, 소켓(3)으로부터 연장하는 봉형상의 로드(2)를 가지고 있다. 로드(2)의 연장 단부에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이나 균형추 등에 고정되기 위한 나사부(4)가 설치되어 있다.
소켓(3)에는, 로프(5)가 통해지는 로프 통과구멍(6)이 설치되어 있다. 로프 통과구멍(6)은 소켓(3)의 선단부(소켓(3)의 로드(2)로부터 멀어진 쪽의 단부)에 설 치된 로프측(側) 개구부(6a)와, 소켓(3)의 중간부에 설치된 로드측 개구부(6b)를 가지고 있다. 로프 통과구멍(6)의 내경은 소켓(3)의 선단부에서 가장 작아지고 있고, 로드(2)에 가까워짐에 따라 연속적으로 커지고 있다. 즉, 로프측 개구부(6a)의 내경은 로드측 개구부(6b)의 내경보다 작아져 있다.
로프 통과구멍(6)내에는, 웨지(wedge)(7)가 로드측 개구부(6b)로부터 삽입되게 되어 있다. 웨지(7)의 외주부에는 홈부(8)가 설치되어 있다. 로프(5)는 홈부(8)에 따라서 웨지(7)에 감겨지는 것으로 반전(reverse)되고 있다.
로프(5)는 본체부(5a)와, 본체부(5a)에 연속하고 웨지(7)에 감겨진 말단부(5b)와, 말단부(5b)에 연속하여 웨지(7)에 의한 반전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되돌려진 복귀부(return portion)(5c)를 가지고 있다.
로프(5)는 로프측 개구부(6a)로부터 로프 통과구멍(6)내에 삽입되어, 웨지(7)에 의해 반전된 후, 로프측 개구부(6a)로부터 소켓(3) 바깥쪽으로 인출되어 있다. 즉, 본체부(5a) 및 복귀부(5c)는 공통의 로프측 개구부(6a)로부터 소켓(3) 바깥쪽으로 인출된다.
로프(5)의 말단부(5b)는, 본체부(5a) 및 복귀부(5c)를 소켓(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는 것으로, 웨지(7)에 감겨진 상태로 로프 통과구멍(6)내로 끌어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로프(5)의 말단부(5b)는 로프 통과구멍(6)내로 끌려 들어갈 때에, 로프 통과구멍(6)의 내면과 웨지(7)와의 사이에 맞물려 들어가게 되어 있다.
로프(5)에는, 말단부(5b)를 로프 통과구멍(6)내로 끌어들이기 위해서, 엘리 베이터의 로프 소켓팅 장치(이하, 단지 「소켓팅 장치」라고 한다 )(9)가 장착되어 있다. 소켓팅 장치(9)는 로프(5)를 파지하는 로프 파지체(10)와, 소켓(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로프 파지체(10)를 변위시키는 파지체 변위 장치(11)를 가지고 있다.
로프 파지체(10)는 로프측 개구부(6a)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로프(5)의 본체부(5a) 및 복귀부(5c)를 합쳐서(collectively) 파지하고 있다. 파지체 변위 장치(11)는, 로프 파지체(10)에 나사 결합된 복수(이 예에서는, 2개)의 나사봉(잭업 볼트(jack up bolt)(12)과, 로프 파지체(10)와 소켓(3)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각 나사봉(12)에 의해 맞닿는 블록체(13)를 가지고 있다.
각 나사봉(12)은 로프 파지체(10)를 관통하고 있다. 또한, 각 나사봉(12)은 나사봉(12)을 회전하는 것에 의해서, 소켓(3)에 가까워지는 방향 및 소켓(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로프 파지체(10)에 대해서 변위된다. 각 나사봉(12)은 나사봉(12)이 로프 파지체(10)에 대해서 변위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각 나사봉(12)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블록체(13)는 각 나사봉(12)과 소켓(3)과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또한, 블록체(13)는 소켓(3)의 선단부에 맞닿음 되어 있다. 블록체(13)에는 각 나사봉(12)이 맞닿음된 나사봉 맞닿음면(13a)과, 소켓(3)이 맞닿음되는 소켓 맞닿음면(13b)이 설치되어 있다. 나사봉 맞닿음면(13a)과 소켓 맞닿음면(13b)은 서로 평행하게 되어 있다. 블록체(13)에는 나사봉 맞닿음면(13a)과 소켓 맞닿음면(13b)과의 사이에서 블록체(13)를 관통하는 블록체 관통구멍(14)이 설치되어 있다. 블록체 관통구 멍(14)에는, 로프(5)의 본체부(5a) 및 복귀부(5c)가 느슨하게 통과되어 있다.
파지체 변위 장치(11)는 블록체(13)를 거쳐서 로프 파지체(10)에 대해서 변위되는 각 나사봉(12)을 소켓(3)이 받음으로써, 소켓(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로프 파지체(10)를 변위시키도록 되어있다. 즉, 파지체 변위 장치(11)는 각 나사봉(12) 및 블록체(13)의 로프 파지체(10)에 대한 소켓(3)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변위를 소켓(3)에 의해서 규제함으로써, 소켓(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로프 파지체(10)를 변위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 3은 도 1의 II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로프 파지체(10)는 로프(5)의 본체부(5a) 및 복귀부(5c)를 합쳐서 사이에 끼우는 한 쌍의 협지 부재(holding member)(15,16)와, 각각의 협지 부재(15,16)를 서로 체결하는 복수의 체결장치(17)를 가지고 있다. 로프 파지체(10)는, 각 체결장치(17)의 각 협지 부재(15,16)에 대한 체결력에 의해, 로프(5)의 본체부(5a) 및 복귀부(5c)를 파지하도록 되어 있다.
각 협지 부재(15,16)의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는, 나사 결합된 각 나사봉(12)에 평행한 로프 유지용 홈부(rope retaining groove)(18,19)가 설치되어 있다. 로프(5)의 본체부(5a) 및 복귀부(5c)는 각 로프 유지용 홈부(18,19)에 삽입된 상태로, 각 협지 부재(15,16)에 의해 끼여 있다. 또한, 본체부(5a) 및 복귀부(5c)는 각 협지 부재(15,16)에 의해 끼여 있을 때에는, 서로 접촉하게 되어 있다. 각 로프 유지용 홈부(18,19)의 각각의 홈 깊이는, 본체부(5a) 및 복귀부(5c)의 각각의 직경보다 작은 치수로 되어 있다. 본체부(5a) 및 복귀부(5c)는 각 체결장치(17)에 의한 각 협지 부재(15,16)에 대한 체결력에 의해, 각 로프 유지용 홈부(18,19)내에서 서로 가압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체부(5a) 및 복귀부(5c)의 로프 파지체(10)에 대한 미끄러짐이 방지된다.
각 체결장치(17)는 각 협지 부재(15,16)에 통해진 통과 볼트(20)와, 통과 볼트(20)에 나사 결합된 너트(21)를 가지고 있다. 각 통과 볼트(20)는 각 로프 유지용 홈부(18,19)를 피해 각 협지 부재(15,16)에 통해지고 있다. 또한, 너트(21)는 통과 볼트(20)에 대해 풀려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각 통과 볼트(20)에 대해 더블 너트(double nut)로 되어 있다. 각 체결 장치(17)는 통과 볼트(20)에 나사 결합된 너트(21)의 체결에 의해, 각 협지 부재(15,16)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시켜, 각 협지 부재(15,16)를 서로 체결하게 되어 있다.
도 4는 도 1의 IV-I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블록체(13)는 복수(이 예에서는, 2개)의 분할 부재(22,23)와, 각 분할 부재(22,23)를 서로 체결하는 복수의 체결장치(24)를 가지고 있다.
각 분할 부재(22,23)에는, 관통 구멍용 홈부(25,26)가 설치되어 있다. 블록체 관통 구멍(14)은 각 분할 부재(22,23)를 서로 조합하고, 각 관통 구멍용 홈부(25,26)를 서로 대향시키는 것으로 형성된다.
각 체결장치(24)는 각 분할 부재(22,23)에 통해진 통과 볼트(27)와, 통과 볼트(27)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28)를 가지고 있다. 각 통과 볼트(27)는 각 관통 구멍용 홈부(25,26)를 피해 각 분할 부재(22,23)에 통해지고 있다. 또한, 너트(28)는 통과 볼트(27)에 대한 풀어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각 통과 볼트(27)에 대해 더 블 너트로 되어 있다. 각 체결 장치(24)는 통과 볼트(27)에 나사 결합된 너트(28)의 조임에 의해, 각 분할 부재(22,23)를 체결하게 되어 있다.
다음, 로프 관통구멍(6)내로 로프(5)를 끌어들일 때의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로프측 개구부(6a)로부터 로프 통과구멍(6)내에 로프(5)를 삽입해, 삽입한 로프(5)를 로드측 개구부(6b)로부터 꺼낸다. 이 후, 로프(5)를 홈부(8)를 따라서 웨지(7)에 감아 걸어서 로프(5)를 반전시킨다. 이 후, 반전된 로프(5)를 로드측 개구부(6b)로부터 로프 관통구멍(6)내에 삽입하고, 삽입한 로프(5)를 로프측 개구부(6a)로부터 꺼낸다.
이 후, 로프(5)의 로프측 개구부(6a)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부분, 즉 로프(5)의 본체부(5a) 및 복귀부(5c)를 각 협지 부재(15,16)사이에 합쳐서 협지하여, 관통 볼트(20) 및 너트(21)로 각 협지 부재(15,16)를 체결한다. 즉, 상기 로프(5)의 본체부(5a) 및 복귀부(5c)를 로프 파지체(10)로 합쳐서 파지한다.
이 후, 로프(5)의 로프 파지체(10)와 소켓(3)과의 사이의 부분이 각 관통 구멍용 홈부(25,26)내에 배치되도록 각 분할 부재(22,23)를 조합해, 통과 볼트(27) 및 너트(28)로 각 분할 부재(22,23)를 체결한다. 즉, 로프(5)의 로프 파지체(10)와 소켓(3)과의 사이의 부분이 블록체 관통구멍(14)내를 통과하도록 블록체(13)를 조립한다. 이 후, 블록체(13)의 소켓 맞닿음 면(13b)을 소켓(3)의 선단부에 맞닿음 시킨다. 이 후, 각 나사봉(12)을 회전시켜, 블록체(13)의 나사봉 맞닿음 면(13a)에 각 나사봉(12)을 맞닿음 시킨다(도 2).
이 후, 각 나사봉(12)이 블록체(13)에 맞닿음 된 상태로, 예를 들면 스패너 등의 공구에 의해 각 나사봉(12)을 더욱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로프 파지체(10)가 소켓(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로프(5)의 말단부(5b)가 웨지(7)와 함께 로드측 개구부(6b)로부터 로프 통과구멍(6)내로 끌어들여져, 로프 통과구멍(6)의 내면과 웨지(7)와의 사이에 맞물려 들어간다(도 1).
이 후, 상기와 반대의 순서에 의해서, 블록체(13)와 로프 파지체(10) 및, 각 나사봉(12)을 로프(5)로부터 떼어내는 것으로, 로프(5)의 말단부(5b)를 로프 통과구멍(6)내로 끌어들이는 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소켓팅 장치(9)에서는, 로프(5)가 로프 파지체(10)에 의해 파지되고, 나사봉(12)이 로프 파지체(10)에 나사 결합되어 있으며, 로프 파지체(10)에 대해서 변위되는 나사봉(12)을 소켓(3)이 받는 것으로, 소켓(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로프 파지체(10)가 변위되게 되어 있으므로, 기어 기구 등의 복잡한 기구의 사용을 회피할 수 있어, 소켓팅 장치(9)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소켓팅 장치(9)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로프 파지체(10)에 대해서 변위되는 나사봉(12)을 소켓(3)이 블록체(13)를 개입시켜 받게 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나사봉(12)을 맞닿음 시키기 위한 충분한 스페이스가 소켓(3)의 선단부에 설치되지 않은 경우여도, 블록체(13)에 나사봉(12)을 맞닿음 시킬 수 있어, 나사봉(12)의 소켓(3)에 대한 변위를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13)는 서로 조합되는 것으로 블록체 관통구멍(14)을 형성하는 복수의 분할 부재(22,23)를 가지고 있으므로, 로프(5)가 블록체 관통구멍(14)에 통 해진 상태여도, 블록체(13)를 분할하여 블록체(13)를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실시의 형태 2.
상기의 예에서는, 로프 파지체(10)는 1개의 로프(5)만을 파지하도록 되어 있지만, 복수개의 로프(5)를 서로 개리(開離)시켜 합쳐서 파지하는 로프 크리트(rope cleat)를 로프 파지체라고 해도 좋다.
즉, 도 5는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로프 소켓팅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로프 소켓팅 장치(31)는 복수개의 로프(5)를 서로 개리시켜 합쳐서 파지하는 로프 파지체인 로프 크리트(32)와, 소켓(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로프 크리트(32)를 변위시키는 파지체 변위 장치(33)를 가지고 있다.
로프 크리트(32)는 각 로프(5)를 협지하는 한 쌍의 협지 부재(34)와, 각 협지 부재(34)를 서로 체결하는 복수의 체결장치(35)를 가지고 있다. 로프 크리트(32)는 각 체결장치(35)의 각 협지 부재(34)에 대한 체결력에 의해, 각 로프(5)를 파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체결 장치(35)는 실시의 형태 1의 체결 장치(17)와 같은 형태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각 협지 부재(34)의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는, 복수의 로프 유지용 홈부(36)가 설치되어 있다. 각 로프 유지용 홈부(36)는 실시의 형태 1의 로프 유지용 홈부(18,19)와 같은 형태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각 로프(5)의 본체부(5a) 및 복귀부(5c)는 각 로프 유지용 홈부(36)내에 삽입된 상태로, 실시의 형태 1과 같은 형태로 각 협지 부재(34)에 의해 끼여 있다. 이것에 의해, 본체부(5a) 및 복귀부(5c) 의 각 로프 유지용 홈부(36)내로부터의 빠짐이 방지된다.
파지체 변위 장치(33)는 실시의 형태 1의 파지체 변위 장치(11)와 같은 형태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파지체 변위 장치(33)는 로프 크리트(32)에 나사 결합된 복수의 나사봉(12)과, 로프 크리트(32)와 소켓(3)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각 나사봉(12)이 맞닿음 하는 블록체(13)를 가지고 있다. 파지체 변위 장치(33)는 로프 크리트(32)를 소켓(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변위시키는 것으로, 말단부(5b)를 소켓(3)내로 끌어들이게 되어 있다.
블록체(13)는 로프(5)의 말단부(5b)를 끌어 들이는 대상으로 여겨진 소켓(3)의 선단부에 맞닿음 되게 되어 있다. 각 나사봉(12)은 블록체(13)에 맞닿음 되도록 로프 크리트(32)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로프 크리트(32)는 각 나사봉(12)이 블록체(13)에 맞닿음 된 상태로 각 나사봉(12)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소켓(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같다.
다음, 각 소켓(3)내에 로프(5)를 끌어 들이기 위한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실시의 형태 1과 같게 하고, 각 로프(5)를 소켓(3)의 각각에 통하게 하고, 각 소켓(3)에 대해서 로프(5)의 본체부(5a) 및 복귀부(5c)를 로프측 개구부(6a)로부터 꺼내 둔다. 이 후, 각 로프(5)의 본체부(5a) 및 복귀부(5c)를 합쳐서 로프 크리트(32)에 의해서 파지한다. 이 때, 로프 크리트(32)에는 각 나사봉(12)를 나사 결합시켜 둔다.
이 후, 복수의 로프(5)중, 어느 하나의 로프(5)가 블록체 관통구멍(14)을 통하도록, 로프 크리트(32)와 소켓(3)의 사이에서, 블록체(13)를 조립 후, 블록 체(13)를 소켓(3)의 선단부에 맞닿음 시킨다. 이 후, 로프 크리트(32)에 나사 결합된 각 나사봉(12)을 회전하여, 각 나사봉(12)을 블록체(13)에 맞닿음 시킨다.
이 후, 실시의 형태 1와 같은 형태로, 각 나사봉(12)을 더 회전하여, 로프(5)의 말단부(5b)를 소켓(3)내로 끌어들인다. 이 후, 상기와 반대의 순서에 의해, 블록체(13)를 분할해 로프(5)로부터 떼어내고, 각 나사봉(12)을 로프 크리트(32)로 부터 떼어낸다.
이 후, 로프 크리트(32)의 각 나사봉(12)이 나사결합되는 위치를 변경하고, 말단부(5b)의 끌어들임이 완료하고 있지 않는 로프(5)에 대해서, 상기와 같은 순서에 의해 말단부(5b)를 소켓(3)내로 끌여들인다. 이와 같이 하여, 각 로프(5)의 말단부(5b)를 1개씩 소켓(3)내로 끌어들여, 모든 로프(5)에 대해 말단부(5b)의 소켓(3)내로의 끌어들임을 행한다.
이 후, 각 나사봉(12)을 로프 크리트(32)로부터 떼어내고, 블록체(13)를 로프(5)로부터 떼어내는 것으로, 로프(5)의 소켓(3)내로의 끌어들임 작업이 완료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로프 소켓팅 장치(31)에서는, 서로 개리된 복수개의 로프(5)를 합쳐서 파지하는 로프 크리트(32)가 로프 파지체로 되어 있으므로, 로프(5)를 소켓(3)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만큼 로프 파지체를 별개로 준비할 필요가 없어져, 부품수를 더욱 줄일 수 있다.
또한, 각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블록체(13)는 복수의 분할 부재(22,23)를 가지고 있지만, 블록체를 분할하지 않고 일체 성형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블 록체(13)를 구성하는 부품수를 줄일 수 있어 코스트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로프 파지체에 의해 로프(5)가 파지된 다음에는, 로프(5)를 블록체 관통구멍(14)에 통과시킬 수 없게 되어 버리므로, 로프(5)는 로프 파지체에 의해서 파지되기 전에, 블록체 관통구멍(14) 에 통과된다.
또한, 각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블록체(13)는 로프(5)의 소켓(3)내로의 끌어들임이 완료한 후에 로프(5)로부터 떼어내지게 되어 있지만, 로프(5)의 소켓(3)내로의 끌어들임이 완료한 후에 블록체(13)를 로프(5)로부터 떼어내도 괜찮고, 소켓(3)의 선단부에 맞닿음 시킨채로 남겨 두어도 좋다.
또한, 각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각 나사봉(12)이 블록체(13)에 맞닿음 되어 있고, 소켓(3)은 블록체(13)를 통하여 로프 파지체에 대해 변위되는 각 나사봉(12)를 받게 되어 있지만, 소켓(3)의 선단부에 각 나사봉(12)이 맞닿음 가능한 스페이스가 설치되어 있다면, 각 나사봉(12)을 소켓(3)의 선단부에 직접 맞닿음 시키도록 해도 괜찮다. 이와 같이 하면, 블록체(13)를 없앨 수 있어, 부품수를 더욱 줄일 수 있다. 또한, 로프(5)의 소켓(3)내로의 끌어들임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각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로프(5)에 접속되는 소켓(3)은 로프 통과구멍(6)의 내면과 웨지(7)와의 사이에 로프(5)의 말단부(5b)를 맞물려 들어가는 쐐기식의 소켓으로 되어 있지만, 각 스트랜드(strand)를 각각 되풀이해 구성된 로프의 말단부를 내부로 끌어들이는 바비트식(babbit type)의 소켓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로프는 소켓 안을 통해진 후에, 복수의 스트랜드에 풀어져 각 스트랜드를 되풀 이해 말단부가 구성된다. 또한, 말단부가 소켓 안으로 끌어들여지도록, 로프의 소켓으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부분에 로프 파지체가 장착된다.

Claims (4)

  1. 로프 통과 구멍이 설치된 소켓과, 상기 로프 통과구멍에 통과된 로프를 접속하기 위해서, 상기 로프의 말단부를 상기 로프 통과 구멍내로 끌어들이기 위한 엘러베이터의 로프 소켓팅 장치로서,
    상기 로프를 파지하는 로프 파지체, 및
    상기 로프 파지체에 나사 결합된 나사봉을 갖고, 상기 나사봉을 회전함으로써 상기 나사봉이 상기 로프 파지체에 대해서 변위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로프 파지체에 대해서 변위되는 상기 나사봉을 상기 소켓이 받음으로써, 상기 소켓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로프 파지체를 변위시키는 파지체 변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파지체 변위 장치는 상기 소켓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로프 파지체를 변위시키는 것으로, 상기 로프의 말단부를 상기 로프 통과 구멍내로 끌어들이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로프 소켓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체 변위 장치는 상기 소켓과 상기 로프 파지체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소켓에 맞닿음된 블록체를 또한 가지며,
    상기 소켓은 상기 블록체를 개입시키고, 상기 로프 파지체에 대해서 변위되는 나사봉을 받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로프 소켓팅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에는 상기 로프가 통과되는 블록체 관통구멍이 설치되고 있고,
    상기 블록체는 서로 조합됨으로써 상기 블록체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복수의 분할 부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로프 소켓팅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파지체는 서로 개리된 복수개의 상기 로프를 정리해 파지하는 로프 크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로프 소켓팅 장치.
KR1020077004532A 2007-02-26 2005-05-27 엘리베이터의 로프 소켓팅 장치 KR100858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4532A KR100858585B1 (ko) 2007-02-26 2005-05-27 엘리베이터의 로프 소켓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4532A KR100858585B1 (ko) 2007-02-26 2005-05-27 엘리베이터의 로프 소켓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491A KR20070088491A (ko) 2007-08-29
KR100858585B1 true KR100858585B1 (ko) 2008-09-17

Family

ID=38614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4532A KR100858585B1 (ko) 2007-02-26 2005-05-27 엘리베이터의 로프 소켓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85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409B1 (ko) * 2013-09-09 2014-10-22 주식회사 씨엠테크 웨지소켓의 와이어로프 체결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5546A (ja) * 1988-09-22 1990-03-27 Hitachi Ltd ロープ締結装置
JPH0664865A (ja) * 1992-08-19 1994-03-08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ロープソケット装着装置
JPH07172732A (ja) * 1993-12-21 1995-07-11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主ロープのロープソケット回り止め治具
JPH0958944A (ja) * 1995-08-22 1997-03-04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エレベータの主ロープ調整装置
US6484368B1 (en) 2000-01-11 2002-11-26 Otis Elevator Company Flexible flat tension member termination device
JP2003227084A (ja) * 2002-02-05 2003-08-15 Toshiba Elevator Co Ltd ワイヤーロープのソケッティング用治具装置およびソケッティング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5546A (ja) * 1988-09-22 1990-03-27 Hitachi Ltd ロープ締結装置
JPH0664865A (ja) * 1992-08-19 1994-03-08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ロープソケット装着装置
JPH07172732A (ja) * 1993-12-21 1995-07-11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主ロープのロープソケット回り止め治具
JPH0958944A (ja) * 1995-08-22 1997-03-04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エレベータの主ロープ調整装置
US6484368B1 (en) 2000-01-11 2002-11-26 Otis Elevator Company Flexible flat tension member termination device
JP2003227084A (ja) * 2002-02-05 2003-08-15 Toshiba Elevator Co Ltd ワイヤーロープのソケッティング用治具装置およびソケッティング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491A (ko) 200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126276A1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ソケッティング装置
US10408301B2 (en) Multifunctional tool having a device for actuating a quick release chain fastener
US2901725A (en) Line splice clamp
US6327753B1 (en) Cable clamp
US20070017689A1 (en) Cable connector
JP5625763B2 (ja) 楔式ロープ留め金具の挿入装置
JP6852908B2 (ja) 活線振り分け工具用の張線器
EP2506936B1 (de) Vorrichtung zum befestigen und klemmen von gurtbändern
KR100858585B1 (ko) 엘리베이터의 로프 소켓팅 장치
US8894118B2 (en) Gripper with cable synchronized jaw movement
CN110159634A (zh) 一种外部牵引自紧螺纹件
EP3715304A1 (en) Rope end fastening device and rope end fastening method
CA2721347A1 (en) Wedge deadend to support optical ground wire
EP0694675B1 (de) Befestigungs- und Spannvorrichtung für ein mit einem Rammbohrgerät verbundenes Nachziehseil
CN103350656A (zh) 一种钢丝绳收紧器
KR101819538B1 (ko) 일방향볼트의 전용체결공구
JP7070715B2 (ja) 楔式留め装置への索状体取付治具
CN210461540U (zh) 一种钢丝绳用夹紧器
US6282759B1 (en) Automatic cable clamping vice
RU2769847C1 (ru) Способ крепления и отделения полезной нагрузки
US848375A (en) Fence-stretcher.
JPH07300296A (ja) 小形巻上・牽引機
US5267465A (en) Dual clamp
KR200294277Y1 (ko) 가공전선 가선용 전선클립
JPH032994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