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4901B1 - 체결구 - Google Patents
체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04901B1 KR100904901B1 KR1020080081074A KR20080081074A KR100904901B1 KR 100904901 B1 KR100904901 B1 KR 100904901B1 KR 1020080081074 A KR1020080081074 A KR 1020080081074A KR 20080081074 A KR20080081074 A KR 20080081074A KR 100904901 B1 KR100904901 B1 KR 1009049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d
- core
- hole
- width
- circumferential surfac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10000003739 neck Anatomy 0.000 description 2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4—Partition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02—Joints between panels and corner posts
Landscapes
- Dow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구에 있어서, 제1 부재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접촉부와, 접촉부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며 부재들을 관통하는 삽입부와, 삽입부의 선단에 마련되는 머리부를 구비하며, 삽입부는 머리부의 폭보다 작은 폭의 목부를 포함하는 지지부재와;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사이에 두고 접촉부와 대향되게 배치되어 제2 부재의 일측면에 접촉되며, 삽입부의 연장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홀과, 머리부가 삽입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 관통공을 가지는 본체와; 삽입홀에 회전 및 삽입부의 연장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지며, 내주면과 외주면을 가지는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하며 머리부 및 목부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머리부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는 머리부 통과공과, 머리부 통과공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따라 연장되며 머리부의 폭보다는 작고 목부의 폭보다는 큰 폭을 가지는 목부 안내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머리부 통과공으로부터 목부 안내공을 따라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가압구간 및 가압구간의 끝으로부터 연장되며 그 가압구간의 최대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안착구간을 포함하는 코어와; 머리부 통과공을 통과한 머리부가, 코어의 회전에 의해 안착구간의 내주면과 마주할 때, 머리부에 안착구간의 내주면이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방향으로, 코어를 본체에 대해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접한 부재들을 체결시키는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 부재들을 간편하게 체결하고, 체결력이 약화되어 체결된 부재가 분리되지 않도록 구조가 개선된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하는 부재를 체결할 때에 다양한 체결구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사무실 등에서 공간을 구획하는 서로 인접한 파티션을 체결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볼트와 너트가 사용된다. 그 볼트와 너트는 체결하고자 하는 인접한 부재들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그 관통공에 볼트를 삽입하고, 관통공을 통하여 돌출된 볼트의 수나사부를 너트의 암나사부에 끼워 돌려서, 상기 부재들을 체결한다. 이러한 방식은 볼트의 수나사부를 너트의 암나사부에 삽입하고, 볼트의 외주면을 공구를 이용하여 단단히 잡은 상태에서 돌려서 체결하므로, 볼트를 잡고 돌릴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고 볼트를 돌려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다수회의 체결이 필요한 경우에 계속하여 볼트를 돌려줘야 하므로, 작업효율을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원하는 부재를 체결한 경우에, 시간이 경과함 에 따라서 외부의 충격과 흔들림 등에 의해, 점차적으로 볼트가 너트로부터 풀리게 되어 체결력이 약화되며, 그 상태가 더 지속되면 볼트가 너트로부터 완전히 풀리게 되어 체결된 부재들이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원하는 부재들을 체결할 때, 간편하게 부재들을 체결하고, 체결력의 약화에 기인하는 부재들 간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체결구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체결구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구에 있어서, 제1 부재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부재들을 관통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선단에 마련되는 머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머리부의 폭보다 작은 폭의 목부를 포함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접촉부와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부재의 일측면에 접촉되며, 상기 삽입부의 연장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홀과, 상기 머리부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 관통공을 가지는 본체와; 상기 삽입홀에 회전 및 상기 삽입부의 연장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지며, 내주면과 외주면을 가지는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하며 상기 머리부 및 목부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상기 머리부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는 머리부 통과공과, 상기 머리부 통과공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따라 연장되며 상기 머리부의 폭보다는 작고 상기 목부의 폭보다는 큰 폭을 가지는 목부 안내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머리부 통과공으로부터 상기 목부 안내공을 따라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가압구 간 및 상기 가압구간의 끝으로부터 연장되며 그 가압구간의 최대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안착구간을 포함하는 코어와; 상기 머리부 통과공을 통과한 머리부가, 상기 코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안착구간의 내주면과 마주할 때, 상기 머리부에 상기 안착구간의 내주면이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방향으로, 상기 코어를 상기 본체에 대해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유형에 따른, 복수의 부재들을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구는, 상기 각 부재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접촉부들과, 상기 접촉부들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부재들을 관통하는 삽입부들과, 상기 삽입부들의 선단에 마련되는 머리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삽입부들은 상기 머리부들의 폭보다 작은 폭의 목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들과, 상기 삽입부들과, 상기 머리부들이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접촉부들 각각과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각 부재의 타측면에 접촉되며, 대향된 접촉부로부터 연장된 상기 삽입부의 연장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홀과, 상기 머리부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 관통공을 가지는 복수의 본체들과; 상기 각 본체의 삽입홀에 회전 및 상기 각 삽입부의 연장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지며, 내주면과 외주면을 가지는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하며 상기 머리부 및 목부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상기 머리부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는 머리부 통과공과, 상기 머리부 통과공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따라 연장되며 상기 머리부의 폭보다는 작고 상기 목부의 폭보다는 큰 폭을 가지는 목부 안내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머리부 통과공으로부터 상기 목부 안내공을 따라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가압구간 및 상기 가압구간의 끝으로부터 연장되며 그 가압구간의 최대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안착구간을 포함하는 복수의 코어들와; 각 코어의 머리부 통과공을 통과한 머리부가, 그 코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안착구간의 내주면에 마주할 때, 상기 머리부에 상기 안착구간의 내주면이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방향으로, 그 코어를 상기 본체에 대해 탄성 가압하는 복수의 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체결구는, 좁은 공간에서도 간단히 코어를 회전시켜 체결하고자 하는 부재들을 간편하게 체결하고, 원하지 않는 외력에 의해 체결력이 약화되어 상기 부재들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2는 도1에 도시된 코어의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Ⅲ-Ⅲ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4는 도1의 각 구성요소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Ⅳ-Ⅳ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5는 도4의 코어가 가압구간의 최대 두께지점까지 회전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는, 체결하기 원하는 제1 부재(10)와 제2 부재(20)를 체결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부재(10)와 제2 부재(20)의 측면에는 부재들 간의 체결을 위해서 체결용 구멍(11,2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체결구는, 지지부재(30)와, 본체(40)와, 코어(50)와, 스프링(6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30)는, 제1 부재(10)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접촉부(31)와, 상기 접촉부(31)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부재들을 관통하는 삽입부(35)와, 상기 삽입부(35)의 선단에 마련되는 머리부(32)를 구비한다. 상기 접촉부(31)의 폭(W5)은, 상기 제1 부재(10)와 상기 제2 부재(20)에 마련된 체결용 구멍(11,21)의 폭(W1)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1 부재(10)의 일측면에 접촉되어 걸리게 된다. 상기 삽입부(35)는, 상기 제1 부재(10)와 상기 제2 부재(20)의 체결용 구멍(11,21)을 관통하는 부분이다. 이 삽입부(35)는 연결부(33)와 목부(3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목부(34)의 폭(W3)은 상기 머리부(32)의 폭(W2)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33)는, 상기 접촉부(31)와 상기 목부(34)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 연결부(33)의 폭(W4)은 상기 체결용 구멍(11,21)의 폭(W1)보다 작게 형성되 있다.
상기 접촉부(31)와, 삽입부(35)와, 머리부(32)는, 예를 들어 금속제로 이루어져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40)는 상기 제1 부재(10)와 제2 부재(2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접촉부(31)와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부재(20)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것이다. 이 본체(40)에는 삽입홀(41)과 관통공(4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삽입홀(41)은 상기 삽입부(35)의 연장방향(E)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35)의 연장방향(E)으로 약간 긴 장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42)은 상기 머리 부(32)가 상기 삽입홀(4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머리부(32)의 폭(W2)보다 넓은 폭으로 마련된다.
상기 코어(50)는 내주면(51)과 외주면(52)을 가지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공형의 삽입홀(41)에 끼워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어(50)는, 상기 삽입부(35)의 연장방향(E)으로 이동가능하며 또한 회전가능하게 삽입홀(41)에 끼워진다. 상기 코어(50)에는 머리부 통과공(53)과 목부 안내공(54)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머리부 통과공(53)은 상기 내주면(51)과 외주면(52)을 관통하며 상기 머리부(32) 및 목부(34)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상기 머리부(32)의 폭(W2)보다 큰 폭을 갖는다. 상기 목부 안내공(54)은 상기 머리부 통과공(53)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따라 연장되며 상기 머리부(32)의 폭(W2)보다는 작고 상기 목부(34)의 폭(W3)보다는 큰 폭을 갖는다. 상기 머리부 통과공(53)으로부터 상기 목부 안내공(54)을 따라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가압구간(A)과, 상기 가압구간(A)의 끝으로부터 연장되며 그 가압구간(A)의 최대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안착구간(B)이 마련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안착구간(B)에 상기 머리부(32)가 안착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는, 상기 코어(50)에, 그 코어(50)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공구(90)가 삽입되는 비원형 단면의 공구결합공(80)이 마련된다.
상기 스프링(60)은 상기 코어(50)를 상기 본체(40)에 대해 탄성 가압하기 위해서 마련된 것으로서, 상기 머리부 통과공(53)을 통과한 머리부(32)가, 상기 코어(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안착구간(B)의 내주면(51)과 마주할 때, 상기 머리부(32)에 상기 안착구간(B)의 내주면(51)이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방향(E2)으로 상 기 코어(50)를 상기 본체(40)에 대해 탄성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프링(60)은 "ㄷ"자 형상의 판스프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30)의 목부(34)에 끼워져, 상기 코어(50)를 탄성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는, 본체(40)에 수용홈부(44)가 더 마련되며, 상기 스프링(60)이 수용홈부(44)에 수용되어 본체(40)의 외면에 대해 몰입되게 배치된다. 수용홈부(44)에 수용된 스프링(60)은 상기 지지부재(30)의 목부(34)를 사이에 두고 끼워지며, 상기 코어(50)의 외주면(52)과 접촉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는, 상기 본체(40)에 걸림턱(43)이 마련되고, 상기 코어(50)에 걸림부(57)가 마련된다. 상기 걸림턱(43)과 걸림부(57)는, 상기 코어(50)가 상기 본체(40)의 삽입홀(41)에 삽입되어 일정각도 회전되면, 걸림부(57)가 걸림턱(43)에 걸리게 되어 상기 본체(4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이하, 상기 구성에 의한 체결구를 이용하여 원하는 부재들을 체결하는 과정의 일 예를 도4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코어(50)를 상기 본체(40)의 삽입홀(41)에 삽입하고, 상기 코어(50)의 걸림부(57)를 일정각도 회전시켜 걸림부(57)가 상기 본체(40)에 마련된 걸림턱(43)에 걸리게 하여, 상기 코어(50)가 상기 본체(4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60)을 본체(40)에 마련된 수용홈부(44)에 넣는다.
그 후, 상기 지지부재(30)의 머리부(32)가 상기 본체(40)에 마련된 관통 공(42)과 상기 코어(50)에 마련된 머리부 통과공(53)을 모두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공(42)과 머리부 통과공(53)을 일치하여 배치시켜 둔다.
그리고, 체결하기 원하는 제1 부재(10)와 제2 부재(20)를 인접시킨다. 제1 부재(10)와 제2 부재(20)에는 부재들 간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체결용 구멍(11,21)이 형성되어 있다. 그 체결용 구멍(11,21)에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30)를 삽입한다.
지지부재(30)의 삽입부(35)는 제1 부재(10)의 체결용 구멍(11)과 제2 부재(20)의 체결용 구멍(21)을 관통하여 제2 부재(20)의 일측면으로 노출된다. 한편, 지지부재(30)의 접촉부(31)는 상기 체결용 구멍(11,21)을 통과할 수 없도록, 체결용 구멍(11,21)의 폭(W1)보다 넓은 폭을 가지므로, 상기 제1 부재(10)의 일측면에 접촉되어 걸리는 상태를 유지한다.
그 후, 상기 코어(50)가 끼워져 있는 본체(50)를 제2 부재(20)의 일측면으로 접근시켜, 제1 부재(10)와 제2 부재(20)를 관통하여 노출되어 있는 지지부재(30)의 머리부(32)가 상기 본체(40)의 관통공(42)과 상기 코어(50)의 머리부 통과공(53)을 통과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가 도4 및 도7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코어(50)에 마련된 공구결합공(80)에 공구(90)를 넣어, 코어(50)를 회전시켜 제1 부재(10)와 제2 부재(20)를 체결한다. 이때의 동작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코어(50)를 상기 목부 안내공(54)이 형성되어 있는 방향으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적절한 공구(90)를 이용하여 회전시키면, 상기 목부 안내공(54)의 폭은 머리부(32)의 폭(W2)보다 좁고, 목부(34)의 폭(W3)보다는 넓으므로, 머리부(32)가 상기 코어(50)의 내주면(51)에 걸린 상태로 상기 코어(5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코어(50)는, 회전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목부 안내공(54)의 두께가 점차적으로 두꺼워지는 가압구간(A)을 따라 회전하므로, 일정 지점에서 상기 머리부(32)가 상기 코어(50)의 내주면(51)과 접촉하게 되고, 상기 머리부(32)가 상기 코어(50)의 내주면(51)과 접촉한 지점을 지나 계속하여 코어(50)가 회전하면, 코어(50)의 내주면(51)이 두꺼워지는 만큼 비례하여, 상기 코어(50)는 상기 스프링(60)을 점점 누르게 되고, 제1 부재(10)와 제2 부재(20)가 점점 밀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60)은 상기 코어(50)에 의해 눌리면서 제2 부재(20)의 일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E2)으로 상기 코어(50)를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코어(50)가 가압구간(A)을 따라 계속 회전하여,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51)과 외주면(52) 사이의 두께가 최대가 되는 지점에 이르면, 스프링(60)이 가장 압축된 상태가 된다. 이 지점을 지나서 상기 코어(50)가 더 회전하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머리부(32)는 상기 가압구간(A)의 최대 두께 지점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된 안착구간(B)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머리부(32)는 안착구간(B)에 함몰되어 걸리는 상태가 되며, 이때에도 상기 스프링(60)은 가압구간(A)의 최대 두께 지점에서보다 얇아진 두께만큼 덜 압축된 상태로 상기 코어(50)를 가압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코어(50)의 내주면(51)과 외주면(52) 사이의 두께가 점점 두꺼워지는 가압구간(A)에서, 상기 코어(50)가 회전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제1 부 재(10)와 제2 부재(20)를 밀착시키게 되고, 상기 머리부(32)가 가압구간(A)을 지나서 상기 안착구간(B)에 함몰되면, 상기 머리부(32)가 안착구간에 걸리게 되고 상기 스프링(60)이 코어(50)를 제2 부재(20)의 일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E2)으로 탄성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제1 부재(10)와 제2 부재(20)를 체결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양 부재들(10,20)을 체결하면, 스프링(60)이 코어(50)를 계속하여 가압하는 상태에서 상기 머리부(32)는 안착구간(B)에 함몰되어 걸려있는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안착구간(B)은 원치않는 외력에 의해서 다시 코어(50)가 역회전하여 상기 안착구간(B)으로부터 상기 머리부(32)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여, 체결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머리부(32)의 폭(W2)이 상기 목부 안내공(54)의 폭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머리부(32)는 상기 목부 안내공(54)에 걸려있으므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외부의 충격과 흔들림이 있더라도 지지부재(30)가 코어(5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체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50)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상기 코어(50)에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구결합공(80)이 마련되어 있어서, 공구결합공(80)에 맞는 적절한 공구(90)를 그 공구결합공(80)에 삽입하여 간단하게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간편하게 제1 부재(10)와 제2 부재(20)를 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코어(50)를 약 90도 정도 회전시키면 상기 머리부(32)가 안착구간(B)에 도달하므로, 360도 이상을 회전시킬 필요가 없어서, 더욱 간편하게 제1 부재(10)와 제2 부재(20)를 체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9에 도시된 체결구에 있어서, 도1 내지 도8에 도시된 체결구와 동일한 참조번호를 가지는 부재나 부분들은 서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도9에 도시된 실시예의 체결구는, 인접한 부재(900)들을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의 지지부재(30a)에는 복수의 접촉부(31)들(본 실시예에서는 3개)이 마련되고, 각 접촉부(31)는 그로부터 연장되는 삽입부(35)와 그 삽입부(35)의 선단에 머리부(32)가 마련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부(35)에는 체결하고자 하는 부재(900)가 하나씩 끼워지게 된다. 이때, 각 부재(900)의 일측면에는 상기 접촉부(31)들이 각각 접촉하며, 각 부재(900)의 타측면에는 본체(40)(본 실시예에서는 3개)가 각각 결합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본체(40)와, 코어(50)와, 스프링(60) 각각의 구조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며, 본체(40)와, 코어(50)와, 스프링(60)의 결합구조 또한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30a)에 마련된 머리부(32)들 중 하나를, 그에 대응되는 본체(40)에 끼워 각 부재를 체결하는 방식은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부재(900)들 각각을, 그에 대응되는 접촉부(31) 및 본체(40)에 의해 체결하면, 지지부재(30a)를 중심에 두고 3개의 부재(900)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본체(40)에 삽입된 코어(50)가 상기 스프링(60)을 가압하고, 상기 스프링(60)은 각 부재(900)의 타측면에 대하여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코어(50)를 가압하고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상기 지지부재(30a)를 중심에 두고 상기 지지부재(30a)의 삽입부(35)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서로 당기는 힘이 작용하게 되어 상기 부재(900)들이 상기 체결구를 통해 서로 체결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하고자 하는 부재들의 수에 따라 지지부재에 원하는 수의 접촉부를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코어의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Ⅲ-Ⅲ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4는 도1의 각 구성요소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Ⅳ-Ⅳ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5는 도4의 코어가 가압구간의 최대 두께지점까지 회전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6은 도4의 코어가 안착구간까지 회전하여, 머리부가 안착구간에 안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7은 도4의 Ⅶ-Ⅶ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8은 도6의 Ⅷ-Ⅷ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1 부재 20... 제2 부재
30... 지지부재 31... 접촉부
32... 머리부 33... 연결부
34... 목부 35... 삽입부
40... 본체 41... 삽입홀
42... 관통공 43... 걸림턱
44... 수용홈부 50... 코어
51... 내주면 52... 외주면
53... 머리부 관통공 54... 목부 안내공
57... 걸림부 60... 스프링
80... 공구결합공 90... 공구
Claims (8)
-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구에 있어서,제1 부재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부재들을 관통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선단에 마련되는 머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머리부의 폭보다 작은 폭의 목부를 포함하는 지지부재;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접촉부와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부재의 일측면에 접촉되며, 상기 삽입부의 연장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홀과, 상기 머리부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 관통공을 가지는 본체;상기 삽입홀에 회전 및 상기 삽입부의 연장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지며, 내주면과 외주면을 가지는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하며 상기 머리부 및 목부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상기 머리부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는 머리부 통과공과, 상기 머리부 통과공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따라 연장되며 상기 머리부의 폭보다는 작고 상기 목부의 폭보다는 큰 폭을 가지는 목부 안내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머리부 통과공으로부터 상기 목부 안내공을 따라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가압구간 및 상기 가압구간의 끝으로부터 연장되며 그 가압구간의 최대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안착구간을 포함하는 코어; 및상기 머리부 통과공을 통과한 머리부가, 상기 코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안착 구간의 내주면과 마주할 때, 상기 머리부에 상기 안착구간의 내주면이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방향으로, 상기 코어를 상기 본체에 대해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본체에는 수용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상기 스프링은 상기 수용홈부에 수용되어서 본체의 외면에 대해 몰입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본체의 삽입홀에 삽입되어 일정각도 회전된 코어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에는 걸림턱이 마련되고, 상기 코어에는, 그 코어가 상기 일정각도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코어에는, 그 코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가 삽입되는 비원형 단면의 공구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
- 복수의 부재들을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구에 있어서,상기 각 부재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접촉부들과, 상기 접촉부들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부재들을 관통하는 삽입부들과, 상기 삽입부들의 선단에 마련되는 머리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삽입부들은 상기 머리부들의 폭보다 작은 폭의 목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들과, 상기 삽입부들과, 상기 머리부들이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부재;상기 접촉부들 각각과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각 부재의 타측면에 접촉되며, 대향된 접촉부로부터 연장된 상기 삽입부의 연장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홀과, 상기 머리부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 관통공을 가지는 복수의 본체들;상기 각 본체의 삽입홀에 회전 및 상기 각 삽입부의 연장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지며, 내주면과 외주면을 가지는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하며 상기 머리부 및 목부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상기 머리부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는 머리부 통과공과, 상기 머리부 통과공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따라 연장되며 상기 머리부의 폭보다는 작고 상기 목부의 폭보다는 큰 폭을 가지는 목부 안내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머리부 통과공으로부터 상기 목부 안내공을 따라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가압구간 및 상기 가압구간의 끝으로부터 연장되며 그 가압구간의 최대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안착구간을 포함하는 복수의 코어들; 및각 코어의 머리부 통과공을 통과한 머리부가, 그 코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안착구간의 내주면에 마주할 때, 상기 머리부에 상기 안착구간의 내주면이 탄력적 으로 밀착되는 방향으로, 그 코어를 상기 본체에 대해 탄성 가압하는 복수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
- 제4항에 있어서,상기 각 본체에는 수용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상기 스프링들 각각은 상기 수용홈부들마다 수용되어서 상기 본체의 외면에 대해 몰입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
- 제4항에 있어서,상기 각 본체의 삽입홀에 삽입되어 일정각도 회전된 코어가 그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마다 걸림턱이 마련되고, 상기 코어마다 그 코어가 상기 일정각도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각 코어에는, 그 코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가 삽입되는 비원형 단면의 공구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81074A KR100904901B1 (ko) | 2008-08-19 | 2008-08-19 | 체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81074A KR100904901B1 (ko) | 2008-08-19 | 2008-08-19 | 체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04901B1 true KR100904901B1 (ko) | 2009-06-29 |
Family
ID=40983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81074A KR100904901B1 (ko) | 2008-08-19 | 2008-08-19 | 체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0490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74826B1 (ko) | 2012-05-08 | 2012-08-17 | 주식회사 리바트 | 파티션 연결구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67106U (ko) * | 1988-11-10 | 1990-05-21 | ||
JPH0932817A (ja) * | 1995-07-21 | 1997-02-04 | Toppan Printing Co Ltd | アルミフレーム等の組立連結用具 |
JP2002142824A (ja) | 2000-11-07 | 2002-05-21 | Shigeo Miyatsugi | 傘 |
KR200371167Y1 (ko) | 2004-10-06 | 2004-12-24 | 송태우 | 도어용 힌지 조립체 |
-
2008
- 2008-08-19 KR KR1020080081074A patent/KR10090490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67106U (ko) * | 1988-11-10 | 1990-05-21 | ||
JPH0932817A (ja) * | 1995-07-21 | 1997-02-04 | Toppan Printing Co Ltd | アルミフレーム等の組立連結用具 |
JP2002142824A (ja) | 2000-11-07 | 2002-05-21 | Shigeo Miyatsugi | 傘 |
KR200371167Y1 (ko) | 2004-10-06 | 2004-12-24 | 송태우 | 도어용 힌지 조립체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74826B1 (ko) | 2012-05-08 | 2012-08-17 | 주식회사 리바트 | 파티션 연결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787278A (en) | Tool bit driver with spring retainer | |
US6382057B1 (en) | Right angle wrench socket wrench adaptor | |
CA2606465C (en) | Bone fixation apparatus | |
JP7138124B2 (ja) | 切削工具及び連結ねじを保持するための保持部材を有する切削工具本体 | |
JP5360848B1 (ja) | ナットの緩み止め装置 | |
US6176158B1 (en) | Pincers | |
US7229230B2 (en) | Tube connectors | |
WO2005040620A1 (ja) | パイプ継手 | |
US8038371B2 (en) | Push button holesaw mandrel assembly | |
KR100904901B1 (ko) | 체결구 | |
CN108370105B (zh) | 电连接器和连接方法 | |
JP6778953B2 (ja) | プロファイル用コネクタ | |
JP2022129431A (ja) | ラグスクリューボルトの取付け治具及び取付け方法 | |
US20100294087A1 (en) | Tool sleeve clamping structure | |
KR20100011234U (ko) | 칸막이용 프레임의 연결장치 | |
KR20170057999A (ko) | 드라이버 비트 | |
KR200242197Y1 (ko) | 파이프 연결구 | |
JP4898291B2 (ja) | クリップナット | |
US20120013081A1 (en) | Clamping and releasing assembly | |
KR101814628B1 (ko) | 풀림방지용 탄성변형너트, 그 가공방법, 그 조립방법 및 변형소켓 | |
KR101819538B1 (ko) | 일방향볼트의 전용체결공구 | |
KR100422126B1 (ko) | 렌치 | |
KR20190021151A (ko) | 일방향볼트 체결용 접힘와셔 | |
KR200203409Y1 (ko) | 렌치 | |
CN213106578U (zh) | 手工具的转接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5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