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5998B1 - 일방향볼트 전용체결구 - Google Patents

일방향볼트 전용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5998B1
KR101895998B1 KR1020180068027A KR20180068027A KR101895998B1 KR 101895998 B1 KR101895998 B1 KR 101895998B1 KR 1020180068027 A KR1020180068027 A KR 1020180068027A KR 20180068027 A KR20180068027 A KR 20180068027A KR 101895998 B1 KR101895998 B1 KR 101895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washer
grip portion
fasten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8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규
권순철
김영수
Original Assignee
권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순철 filed Critical 권순철
Priority to KR1020180068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59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5/00Screwdrivers
    • B25B15/02Screwdrivers operated by rotating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 B25B23/08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screw or nut prior to or during its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면이 폐쇄된 공간을 가지고 있어 접근이 어려운 부재를 타측면의 일방에서의 작업만으로 볼트와 너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일방향볼트의 전용체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전용체결구는 띠형상의 판상부재로 이루어지고, 선단에는 일방향볼트를 파지하기 위한 볼트파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볼트파지부의 후방에는 접힘와셔를 파지하기 위한 와셔파지부가 구비되되, 상기 와셔파지부는 판상부재의 상측에 위치한 상부안착홈과 하측에 위치한 하부삽입홈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방향볼트 전용체결구{A FASTENING TOOL OF THE ONE-WAY BOLT UNIT}
본 발명은 볼트를 체결하는 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측면이 폐쇄된 공간을 가지고 있어 접근이 어려운 부재를 타측면의 일방에서의 작업만으로 볼트와 너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일방향볼트의 전용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두 개의 물체를 결합시킴에 있어서는 용접, 리벳팅, 볼트체결 등의 다양한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으나, 그 중 볼트체결방법은 작업이 용이하고 열을 수반하지 아니하여 부재에 대한 열변형이 발생될 우려가 없다는 점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접합방법의 하나이다.
이러한 볼트체결방식은 통상적으로 피접합부재에 관통 구비된 체결홀에 체결볼트를 삽입하고, 피접합부재의 이면에서 상기 체결볼트의 나사산에 너트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피접합부재의 양면에는 작업자의 손이나 공구의 접근이 용이해야 한다. 그러나 피접합부재의 이면이 폐쇄된 공간인 경우에는 손이나 공구의 접근이 불가능하므로 통상적인 볼트체결방법에 의한 접합 역시 불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통상적인 볼트체결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방향에서의 작업만으로 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그 예로 볼트머리를 피접합부재의 체결공보다 작게 구성한 볼트를 접혀지는 와셔와 함께 피접합부재의 체결공에 삽입시킨 후 와셔로 하여금 볼트머리에 걸쳐져 볼트에 대한 앵커링 기능을 하도록 함으로써 폐쇄공간에 대한 볼트체결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때 상기 볼트를 체결공에 삽입시키고 와셔가 펼쳐지게 하기 위한 전용공구를 필요로 하게 되며, 이를 위하여 본 출원의 발명자는 도 1에 도시된 일방향볼트의 전용체결공구를 개발하여 특허 제1819538호로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한 도 1의 일방향볼트의 전용체결공구는, 반원링 형상을 가진 한 쌍의 분할편이 접힘 상태에서 탄성수단에 의해 펼쳐지면서 원형링 형상의 와셔가 형성되는 접힘와셔를 이용하여 일방향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일방향볼트를 파지하는 머리부(10)와, 상기 접힘와셔를 파지하는 제1,2봉부(20,30)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머리부(10)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볼트파지봉(11)과 후방으로 하향 경사진 와셔안내면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봉부(20)는 머리부(10)에 연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후방에 와셔걸침대(21)가 구비되고, 상기 제2봉부(30)는 제1봉부(20)에 연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전방의 하면에 상향으로 볼록한 단부안착홈(31)이 구비되며, 상기 와셔걸침대(21)의 양 측면 및 단부안착홈(31)의 상면에는 전방자석과 후방자석이 각각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선행기술의 전용체결공구는 접힘와셔가 자석에 의해 접힙된 상태로 일방향볼트와 함께 피접합부재의 체결공에 삽입되기 때문에 작업효율을 대폭 향상시킨다.
그러나 상기의 전용체결공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선행기술의 전용체결공구는 서로 다른 직경의 봉부재 2개를 연결하여 구성하고 이들 각각에 일방향볼트와 접힘와셔를 파지시키기 위한 와셔걸침대 및 단부안착홈을 절삭 가공한 후 이들 각각에 자석을 설치하여 제작한다. 이와 같이 선행기술의 전용체결공구는 제작공정이 매우 복잡하여 제작단가가 높아질 수 밖에 없을 뿐더러, 휴대가 불편한바, 이러한 요인들은 일방향볼트 사용의 확대를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둘째, 선행기술의 전용체결공구는 일방향볼트를 파지하기 위해서는 볼트파지봉에 구비된 수나사가 일방향볼트의 단부 내면에 형성된 나선홈에 체결되어야 하나, 볼트파지봉의 나선홈에 대한 초기 진입시 수나사의 나사산과 나선홈의 나사골을 정확히 일치시키는 것이 쉽지 않아 작업의 효율성을 떨어뜨린다.
셋째, 전용체결공구로 일방향볼트를 파지하여 피접합부재에 대한 1차 볼트체결작업이 완료되면 일방향볼트로부터 전용체결공구를 분리시켜야 하는데, 선행기술의 경우에는 볼트파지봉의 선단면이 일방향볼트의 단부면에 밀착되어 있어 이들의 분리작업시 마찰력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다.
넷째, 전용체결공구로 접힘와셔를 접은 상태로 파지하게 되나, 접힘와셔의 한 쌍의 분할편은 탄성링에 의해서만 서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접힘와셔의 파지 과정 중에 탄성링이 이탈하는 사례가 발생하기도 한다.
KR 10-1819538 B1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관 및 구조가 단순하여 재료비가 절감되고 제작성이 뛰어나 제작단가를 대폭 줄일 수 있고, 보관 및 파지가 용이하며, 볼트의 체결작업이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한 일방향볼트의 전용체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피접합부재를 사이에 두고 일방향볼트와 체결너트를 체결시키는 것으로서, 띠형상의 판상부재로 이루어지고, 선단에는 일방향볼트를 파지하기 위한 볼트파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볼트파지부의 후방에는 접힘와셔를 파지하기 위한 와셔파지부가 구비되되, 상기 와셔파지부는 판상부재의 상측에 위치한 상부안착홈과 하측에 위치한 하부삽입홈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볼트 전용체결구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볼트파지부는, 일방향볼트의 머리부 반대편 단부면에 형성된 나선홈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측과 하측에 각각 체결돌기가 구비된 체결판부와, 상기 나선홈 내부로의 체결판부 삽입을 안내하도록 체결판부의 선단에 연장 형성된 안내판부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판부의 선단에는 테이퍼면을 구비시킬 수 있고, 또 상기 체결판부에 구비된 체결돌기는, 상기 체결돌기의 산과 골을 지름으로 한 가상 나사봉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전용체결구가 띠형상의 판재부재로 구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방향볼트를 나사체결방식으로 파지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와셔파지부를 구성하는 상부안착홈과 하부삽입홈은 각각 전방의 완경사면과 후방의 급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안착홈의 테두리 양면에는 테이퍼진 밀착면이 구비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하부삽입홈의 급경사면 외측단부에 전방으로 돌출된 걸림편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파지과정 중 탄성링의 이탈에 의해 접힘와셔가 분해되는 것을 방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와셔파지부의 양면에는 자석을 더 구비시킬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자석은 상부안착홈의 급경사면 하부에 위치하게 한다.
이와 더불어 볼트파지부는 와셔파지부의 단부면 중앙에 구비되게 하고, 와셔파지부의 단부면이 파지된 일방향볼트의 단부면에 접하지 않도록 와셔파지부의 노출된 선단부를 볼트파지부(40A)를 향하여 경사진 형태로 구성시켜 파지된 일방향볼트의 단부면과 밀착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일방향볼트의 파지작업이 쉽게 이루어지고, 파지된 접힘와셔의 접힘상태가 작업자의 파지 없이도 스스로 이루어지게 할 뿐만 아니라, 접힘상태에서 탄성링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접힘와셔의 일체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체결작업 완료후 일방향볼트로부터 분리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피접합부재에 대한 볼팅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판상부재만으로 이루어져 있어 제작이 매우 간편하고, 그에 따라 제작비용이 절감되어 분실 또는 망실시에도 그에 대한 구입이 용이하고, 휴대 및 보관이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선행기술에 의한 전용체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용체결구와 이에 의해 파지되는 일방향볼트 및 접힘와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전용체결구로 일방향볼트와 접힘와셔를 파지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용체결구 중 볼트파지부의 평면도와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용체결구 중 와셔파지부에 관한 것으로서 도 2의 A-A 부분과 도 3의 B-B 부분의 각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용체결구에 의해 체결되는 접힘와셔에 관한 다른 실시예의 각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전용체결구에 의해 체결되는 접힘와셔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의 각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전용체결구 중 와셔파지부의 구성에 관한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및 작동관계의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용체결구(40)와 이에 의해 파지되는 일방향볼트(10) 및 접힘와셔(30)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상기 전용체결구(40)로 일방향볼트(10)와 접힘와셔(30)를 파지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방향볼트(10)를 회전시켜 체결너트(20)에 체결되도록 하거나, 일방향볼트(10)를 고정시켜 체결너트(20)를 회전시켜 피접합부재들이 접힙되게 하는 전용체결구(40)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볼트(10)를 파지하기 위한 볼트파지부(40A)가 선단에 구비되고, 상기 볼트파지부(40A)의 후방에 접힘와셔(30)를 파지하기 위한 와셔파지부(40B)가 구비되는 바, 이점에서는 앞서 설명한 도 1의 선행기술과 다르지 않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볼트파지부(40A)와 와셔파지부(40B)를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봉부재의 구성을 통해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 평면을 가지는 하나의 판상부재에 이들을 각 구비시킨다는 점에서 크게 다르며, 이러한 차이는 제작단가를 대폭 줄여줄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휴대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일방향볼트(10)의 체결 방식의 활용을 촉진시킨다.
본 발명의 볼트파지부(40A)는 체결판부(41)와 안내판부(42)로 이루어지며, 도 4는 이러한 볼트파지부(40A)의 상기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a)는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b)는 정면도이며, (c)는 체결판부(41)에 구비되는 체결돌기(41a) 형성의 개념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체결판부(41)에 의해 파지되는 일방향볼트(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부(11)와 이면에 수나사가 구비된 수나사부(12)가 포함되어 구성된다는 점에서는 통상의 볼트와 차이가 없으나, 일방향볼트(10)의 머리부(11)는 통상의 볼트와는 달리 피접합부재에 구비되는 체결공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짐으로써 상기 체결공을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머리부(11)의 반대편 단부면에는 나선홈(13)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볼트파지부(40A)에 의한 일방향볼트(10)의 파지는, 일방향볼트(10)에 형성된 상기 나선홈(13)에 체결판부(41)가 체결 고정됨으로써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체결판부(41)에는 상기 나선홈(13)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측과 하측에 각각 체결돌기(41a)가 구비된다.
이러한 체결돌기(41a)의 각각은, 나사산 형상의 단면을 가짐으로써 산과 골을 가지게 되는 바, 도 4의 (c)에서 설명하고 있는 바와 같이 체결돌기(41a)의 산과 골을 지름으로 한 가상 나사봉(50)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체결판부(41)는 비록 판상부재로 이루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나사체결방식으로 일방향볼트(10)를 쉽게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일방향볼트(10)를 체결하는 체결판부(41)의 선단에는 안내판부(42)가 연장 형성된다. 안내판부(42)는 나선홈(13) 내부로의 체결판부(41) 삽입을 안내하여 체결판부(41)의 체결돌기(41a)와 나선홈(13)의 나사골이 쉽게 일치되게 함으로써, 선행기술에서 볼트파지봉의 나선홈에 대한 초기 진입시 수나사의 나사산과 나선홈의 나사골이 쉽게 일치되지 않아서 체결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했던 문제점을 해결한다.
이러한 안내판부(42)의 선단에는 테이퍼면(42a)을 더 구비시켜 나선홈(13)에 대한 안내판부(42) 자체의 진입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체결판부(41)와 안내판부(42)로 이루어지는 볼트파지부(40A)는 후술하는 와셔파지부(40B)와 동일한 평면상에서 구성되는 것임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5는 와셔파지부(40B)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a)는 도 2의 A-A 부분에 대한 단면도이고, (b)는 와셔파지부(40B)에 접힘와셔(30)가 파지된 상태인 도 3의 B-B 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접힘와셔(30)는 피접합부재의 체결공을 통과할 수 있어야 하고, 체결공을 통과한 후에는 다시 펼쳐져 체결공에 대한 앵커링 기능을 할 수 있어야 하는 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링 형상을 가진 한 쌍의 분할편(30A)이 일측방향으로 접어질 수 있도록 탄성링(30B)에 의해 원형링 형상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형상에 관하여는 뒤에서 설명한다.
접어진 접힘와셔(30)는 하나의 분할편(30A)과 같이 반원링의 형상을 가지면서 양측 단부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와셔파지부(40B)에 파지된다. 이러한 상태로 피접합부재의 체결공에 쉽게 통과할 수 있으면서 체결공과의 접촉 과정 중 뒤로 밀려나지 않아야 하는 바, 이를 위하여 와셔파지부(40B)에는 판상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안착홈(43)과 하측에 위치한 하부삽입홈(44)이 포함되도록 구성된다.
즉 접힘와셔(30)가 접혀진 내측은 상부안착홈(43)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접힘된 상태의 분할편(30A) 상부쪽 단부면이 전용체결구(40)의 상부로 지나치게 돌출되지 않게 하고, 접힘와셔(30)가 접혀진 분할편(30A) 하부쪽 외측은 하부삽입홈(44)에 끼워져 걸림되게 함으로써 접힘와셔(30)가 체결공과의 마찰되더라도 이에 의해 접힘와셔(30)가 뒤로 밀려나지 않게 한다.
이때 접힘와셔(30)가 접어진 상태의 두 분할편(30A)은 접힌 내면이 와셔파지부(40B)의 양면에 위치하게 되는 바, 접힘와셔(30)의 접힘각도를 크게 하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석(48)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자석(48)에 의한 부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밀착면(47)을 더 구비시킬 수 있다.
상기 밀착면(47)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며, 상부안착홈(43)과 자석(48)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상부안착홈(43)과 하부삽입홈(44)는 전후방의 경사를 달리함으로써 접힘와셔(30)를 더욱 효율적으로 파지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상부안착홈(43)과 하부삽입홈(44)을 각각 전방의 완경사면(43a,44a)과 후방의 급경사면(43b,44b)으로 구성되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방이라 함은 전용체결구(40)의 볼트파지부(40A) 방향을 말한다. 접힘되어 전용체결구(40)에 파지된 접힘와셔(30)는 각 분할편(30A)이 아래로 볼록하면서 비스듬하게 경자진 상태를 가지게 되는 바, 이때 상부안착홈(43)과 하부삽입홈(44)의 각 완경사면(43a,44a)은 접힘와셔(3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각 급경사면(43b,44b)은 접힘와셔(30)의 내면과 외면이 걸려지게 하여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해 접힘와셔(30)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접힘와셔(30)가 뒤로 밀려나지 않고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접힘와셔(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분할편(30A)이 탄성링(30B)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각 분할편(30A)의 외주연에는 원주홈(33)이 형성되도록 분할편(30A)의 양면에서 연속된 제1돌기(31)와 제2돌기(32)가 상기 외주연에 구비되고, 상기 원주홈(33)에 탄성링(30B)을 삽입함으로써 한 쌍의 분할편(30A)이 결합되어 하나의 접힘와셔(30)를 구성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탄성링(30B)에 의해 결합된 접힘와셔(30)를 전용체결구(40)에 파지시키기 위하여 반으로 접게 되면 분할편(30A)의 단부면으로부터 탄성링(30B)이 외부로 돌출하면서 원주홈(33)으로부터 이탈될 여지가 있게 되며, 이러한 탄성링(30B)의 잦은 이탈은 접힘와셔(30)의 파지과정을 번잡하게 하여 체결 작업의 공정을 지연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은, 상기 제1,2돌기(31,32) 중 접힘되는 면에 위치한 돌기의 단부면 또는 돌기 내면의 단부에 걸림홈(32a)을 구비시킴으로써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6에서와 같이 서로 접하는 각 분할편(30A) 단부면의 돌기에 길이방향의 걸림홈(32a)을 구비시키게 되면 접힘와셔(30)가 접힌 상태에서는 탄성링(30B)의 일부가 상기 걸림홈(32a)에 삽입되기 때문에 탄성링(30B)이 이탈될 수 없게 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하는 각 분할편(30A) 단부면의 돌기 내면에 수평방향의 걸림홈(32a)을 구비시키게 되면 접힘와셔(30)가 접힌 상태에서는 탄성링(30B)의 일부가 돌기 내면의 걸림홈(32a)으로 밀려들어 가기 때문에 탄성링(30B)이 이탈될 수 없게 된다.
그런데 전용체결구(40)의 와셔파지부(40B)에 구비되는 하부삽입홈(44)의 급경사면(44b) 외측단부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걸림편(45)을 구비하게 되면, 접힘와셔(30)에 탄성링(30B)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홈(32a)을 가공할 필요가 없게 하거나 그 걸림홈(32a)을 분할편(30A)의 어느 한쪽 단부에만 구비하게 할 수 있다.
도 8은 이러한 걸림편(45)의 구성에 관한 것으로서 (a)는 상기 걸림편(45)이 구비된 전용체결구(40)의 와셔파지부(40B) 형상을 정면에서 바라본 것이고, (b)는 상기 걸림편(45)에 의해 탄성링(30B)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접힘와셔(30)가 파지된 상태를 정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와셔파지부(40B)의 양면에는 자석(48)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석(48)은 접혀진 두 개의 분할편(30A)을 와셔파지부(40B)에 부착시켜 접힘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전용체결구(40)를 이용하여 접힘와셔(30)를 피접합부재의 체결공에 진입시킬 때 작업자가 일일이 손으로 접힘와셔(30)를 잡아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해 준다. 상기 자석(48)은 접힘와셔(30)의 접힌 면에 위치하도록 상부안착홈(43)의 급경사면(43b) 하부에 위치한다.
한편 일측부분이 자석(48)에 의해 와셔파지부(40B)에 부착된 접힘와셔(30)는 자중에 의해 상기 자석(48)에 의해 부착된 부분을 축으로 하여 아래로 회전하면서 정위치를 벗어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선행기술에서는 분할편(30A)을 와셔파지부(40B)에 부착시키기 위한 전방자석과는 별도로, 분할편(30A)의 하부쪽 단부를 와셔파지부(40B)에 고정시키기 위한 후방자석이 구비되었어야 하나, 하부삽입홈(44)의 급경사면(44b) 외측단부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시킨 걸림편(45)은 분할편(30A)의 회전을 방지하므로 상기한 후방자석과 같은 또 다른 자석의 설치를 필요로 하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볼트파지부(40A)는 일방향볼트(10)의 나선홈(13)에 삽입 체결될 수 있는 상하폭을 가지면 되는 것이나, 와셔파지부(40B)는 판상부재의 상측과 하측의 각각에 상부안착홈(43)과 하부삽입홈(44)이 설치될 수 있는 상하폭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볼트파지부(40A)는 상하폭이 와셔파지부(40B)의 상하폭보다 작게 구성되어 와셔파지부(40B)의 단부면 중앙에 구비될 수 있게 된다. 이경우 볼트파지부(40A)와 와셔파지부(40B)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차에 의해 노출된 와셔파지부(40B)의 선단부(46)가 파지된 일방향볼트(10)의 단부면에 접하게 되면 이들 사이에 발생한 마찰력은 일방향볼트(10)로부터 전용체결구(40)를 분리시키는 작업을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와셔파지부(40B)의 노출된 단부면이 파지된 일방향볼트(10)의 단부면에 접하지 않도록 와셔파지부(40B)의 선단부(46)는 볼트파지부(40A)를 향하여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일방향볼트 11; 머리부
12; 수나사부 13; 나선홈
20; 체결너트 30; 접힘와셔
30A; 분할편 30B; 탄성링
31; 제1돌기 32; 제2돌기
32a; 걸림홈 33; 원주홈
40; 전용체결구 40A; 볼트파지부
40B; 와셔파지부 41; 체결판부
41a; 체결돌기 42; 안내판부
42a; 테이퍼면 43; 상부안착홈
43a,44a; 완경사면 43b,44b; 급경사면
44; 하부삽입홈 45; 걸림편
46; 선단부 47; 밀착면
48; 자석 50; 가상 나사봉

Claims (8)

  1. 피접합부재를 사이에 두고 일방향볼트(10)와 체결너트(20)를 체결시키는 것으로서,
    선단에는 일방향볼트(10)를 파지하기 위한 볼트파지부(40A)가 구비되고, 상기 볼트파지부(40A)의 후방에는 접힘와셔(30)를 파지하기 위한 와셔파지부(40B)가 구비되되, 상기 볼트파지부(40A)와 와셔파지부(40B)는 동일 평면을 가지는 하나의 판상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볼트파지부(40A)는 와셔파지부(40B)의 단부면 중앙에 구비되고, 와셔파지부(40B)의 노출된 단부면은 파지된 일방향볼트(10)의 단부면에 접하지 않도록 와셔파지부(40B)의 선단부(46)가 볼트파지부(40A)를 향하여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셔파지부(40B)는 판상부재의 상측에 위치한 상부안착홈(43)과 하측에 위치한 하부삽입홈(44)이 포함되어 구성되어 있되, 상기 상부안착홈(43)과 하부삽입홈(44)은 각각 전방의 완경사면(43a,44a)과 후방의 급경사면(43b,44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삽입홈(44)의 급경사면(44b) 외측단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걸림편(4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볼트 전용체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파지부(40A)는, 일방향볼트(10)의 머리부(11) 반대편 단부면에 형성된 나선홈(13)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측과 하측에 각각 체결돌기(41a)가 구비된 체결판부(41)와, 상기 나선홈(13) 내부로의 체결판부(41) 삽입을 안내하도록 체결판부(41)의 선단에 연장 형성된 안내판부(4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볼트 전용체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판부(42)의 선단에는 테이퍼면(42a)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볼트 전용체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판부(41)에 구비된 체결돌기(41a)는, 상기 체결돌기(41a)의 산과 골을 지름으로 한 가상 나사봉(50)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볼트 전용체결구.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파지부(40B)의 양면에는 자석(48)이 더 구비되되, 상기 자석(48)은 상부안착홈(43)의 급경사면(43b)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볼트 전용체결구.
  8. 삭제
KR1020180068027A 2018-06-14 2018-06-14 일방향볼트 전용체결구 KR101895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027A KR101895998B1 (ko) 2018-06-14 2018-06-14 일방향볼트 전용체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027A KR101895998B1 (ko) 2018-06-14 2018-06-14 일방향볼트 전용체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5998B1 true KR101895998B1 (ko) 2018-09-06

Family

ID=63593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8027A KR101895998B1 (ko) 2018-06-14 2018-06-14 일방향볼트 전용체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599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19113A1 (en) * 1998-09-25 2000-04-06 Hanstock Fasteners Pty. Ltd. Blind bolting
US20080010805A1 (en) * 2006-07-17 2008-01-17 Gef Holdings Pty Ltd Relation to Blind Bolting
KR101819538B1 (ko) 2017-09-08 2018-01-17 황성규 일방향볼트의 전용체결공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19113A1 (en) * 1998-09-25 2000-04-06 Hanstock Fasteners Pty. Ltd. Blind bolting
US20080010805A1 (en) * 2006-07-17 2008-01-17 Gef Holdings Pty Ltd Relation to Blind Bolting
KR101819538B1 (ko) 2017-09-08 2018-01-17 황성규 일방향볼트의 전용체결공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76644B2 (ja) 切削工具
JP3329832B2 (ja) ねじ込み要素
CN100560258C (zh) 速换钻头夹持装置
US7373709B2 (en) Method of installing a blind threaded fastener
JP2005518948A5 (ko)
JP2008533410A (ja) 固定具のためのアンカーアセンブリ
JP2008539014A (ja) 骨固定装置
US4971502A (en) Fastening bolt set
JP7138124B2 (ja) 切削工具及び連結ねじを保持するための保持部材を有する切削工具本体
US5865075A (en) Convertible plier tool
KR101743074B1 (ko) 일방향 볼트 체결 결합체
KR101895998B1 (ko) 일방향볼트 전용체결구
US5743158A (en) Hand wrenching tool for removing torque limited fasteners
US5483732A (en) Variable C-shaped retaining ring pliers
JP2002147426A (ja) ナット保持構造及びボルト保持構造
EP1880800B1 (en) Threaded fastener and method of installation
JP2585357Y2 (ja) ホースクリップ
KR101869860B1 (ko) 접힘와셔가 포함된 일방향볼트 단위체의 체결을 위한 체결진입봉
KR20170001272U (ko) 풀림 방지 기능을 구비한 클램프 장치
JP4517243B2 (ja) 回転式着脱締結具
KR101819538B1 (ko) 일방향볼트의 전용체결공구
JP3113415U (ja) 配管用クランプ
JP6696284B2 (ja) 特殊ねじ着脱工具および特殊ねじ着脱工具ユニット
CN217898391U (zh) 一种锁固装置
KR20190021151A (ko) 일방향볼트 체결용 접힘와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