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9249B1 - 케토프로펜 함유 수성 첩부제 - Google Patents

케토프로펜 함유 수성 첩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9249B1
KR101819249B1 KR1020127025946A KR20127025946A KR101819249B1 KR 101819249 B1 KR101819249 B1 KR 101819249B1 KR 1020127025946 A KR1020127025946 A KR 1020127025946A KR 20127025946 A KR20127025946 A KR 20127025946A KR 101819249 B1 KR101819249 B1 KR 101819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toprofen
weight
aqueous
patch
polyethylene glyc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5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9322A (ko
Inventor
가즈하 다니
Original Assignee
데이고꾸세이약꾸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고꾸세이약꾸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고꾸세이약꾸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59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9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romatic groups, e.g. sulindac, 2-aryl-propionic acids, ethacry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61K9/7061Poly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544Plasters form or structure
    • A61F2013/00646Medication patches, e.g. transcutaneo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활성 성분인 케토프로펜을 함유하는 첩부제에 있어서, 케토프로펜의 우수한 경피 흡수성과 안전성을 구비하고, 또한, 높은 보존 안정성을 갖는 수성 첩부제를 제공하는 것으로, 케토프로펜, 아민류,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첩부제로서, 고체 중, 케토프로펜의 배합량이 0.1 ∼ 5 중량%, 아민류의 배합량이 0.5 ∼ 10 중량%,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배합량이 5 ∼ 30 중량% 이고, 특히, 아민류로서 디이소프로판올아민을 사용하는 수성 첩부제이다.

Description

케토프로펜 함유 수성 첩부제{KETOPROFEN-CONTAINING AQUEOUS ADHESIVE SKIN PATCH}
본 발명은 활성 성분으로서 케토프로펜을 함유하는 수성 첩부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케토프로펜의 주약 안정성, 그리고 경피 흡수성이 우수한 수성 첩부제에 관한 것이다.
활성 성분으로서 항염증 활성을 갖는 케토프로펜을 함유하는 수성 첩부제는 잘 알려져 있다. 케토프로펜은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기 때문에, 수성 첩부제에 배합하는 경우에는, 난용해성 약물의 용해제로서 크로타미톤,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정유류, 다가 알코올, 계면활성제 등의 특정한 용해제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특허문헌 1 및 2). 그러나, 이들 첩부제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그 제조법에 어떤 고안을 할 필요가 있어, 제조상의 작업 효율이 나쁘다는 기본적인 결점을 갖고 있었다.
즉, 케토프로펜의 용해를 위해 사용하는 특정한 용해제로는, 일반적으로 친유성 용매가 많고, 수성 첩부제의 제조시에 있어서, 이들 용매를 첨가할 때, 주의하여 실시하지 않으면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의 불용화, 혹은 친유성 용매의 분리 등, 첩부제의 물성에 대해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었다.
또, 통상의 수성 첩부제에는 글리세린 등의 다가 알코올이 고농도로 배합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배합되는 약물이 케토프로펜인 경우에는, 카르복실산기를 갖는 케토프로펜과, 수산기를 갖는 다가 알코올 (예를 들어 글리세린), 저급 알코올, 혹은 멘톨 등의 용해제 사이에서, 수성 첩부제의 기제 성분인 유기산, 폴리아크릴산 등의 약산이 촉매가 되어,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도 에스테르화 반응이 진행되어, 보존 안정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분자 중에 카르복실산기를 갖는 케토프로펜을 함유하는 비스테로이드 소염 진통제를 글리세린 및 탄소수 3 ∼ 30 의 글리콜에 분산시킴으로써 안정화시키는 제안이 이루어져 있다 (특허문헌 3).
그러나, 본 특허문헌에 기재된 첩부제여도, 수성 첩부제의 기제로서 글리세린은 필수 성분이기 때문에, 장기 안정성을 고려한 경우,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한 보존 안정성의 저하가 염려된다. 또, 일반적으로 첩부제 중에 약물이 분산 상태로 존재하면 보존 안정성이 높아지는 반면, 경피 흡수성을 낮게 하는 한 요인이 되어, 보존 안정성과 경피 흡수성이 모두 양호한 수성 첩부제가 요망되고 있다.
한편, 일반적인 유성 첩부제에 배합되는 첩부제 기제 중에는, 케토프로펜의 용해성이 우수한 것이 많고, 또, 통상 케토프로펜에 대한 용해제로서 사용되는 지방산 에스테르, 정유류 혹은 크로타미톤 등은, 케토프로펜과의 상용성도 양호한 것이 많다.
그 때문에 케토프로펜을 배합한 유성 첩부제는 경피 흡수성이 높고, 또한, 이들 유성 첩부제는 다가 알코올류를 배합하지 않아도 그 물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케토프로펜의 높은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한 이유로부터, 종래부터 케토프로펜을 배합하는 유성 첩부제에 관한 발명도 다수 이루어져 있고 (특허문헌 4 및 5), 실제 의약품 시장에서도 이들 유성 첩부제에 관한 제품이 많이 유통되고 있다. 그러나, 유성 첩부제에는 피부에 대한 자극성의 문제가 있어, 보다 안전성이 높은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 과제가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8-08362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1-27521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93793호 국제 공개 WO93/0467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43512호
본 발명은 상기한 현황을 감안하여, 활성 성분인 케토프로펜을 함유하는 첩부제에 있어서, 케토프로펜의 우수한 경피 흡수성과 안전성을 구비하고, 또한, 높은 보존 안정성을 갖는 첩부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케토프로펜에 대해 우수한 용해성을 나타내는 용매인 아민류를 주약 용해제로서 선택하고, 또한 케토프로펜과의 상호 작용이 작은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배합한 수성 기제 중에 케토프로펜을 용해시킴으로써, 케토프로펜의 우수한 경피 흡수성, 안전성, 및 높은 보존 안정성을 나타내는 수성 첩부제가 얻어지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 기본적 양태로서, 케토프로펜, 아민류,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첩부제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체 (膏體) 중, 케토프로펜의 배합량이 0.1 ∼ 5 중량%, 아민류의 배합량이 0.5 ∼ 10 중량%,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배합량이 5 ∼ 30 중량% 인 수성 첩부제이다.
가장 구체적인 본 발명은 아민류로서 디이소프로판올아민을 사용하는 수성 첩부제이다.
본 발명에 의해 케토프로펜의 용해제로서 아민류를 선택하고,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배합한 수성 기제 중에 케토프로펜을 용해시킴으로써, 케토프로펜을 수성 기제 중에 안정적으로 용해시킬 수 있는 수성 첩부제가 제공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물에 대한 용해성이 낮은 케토프로펜을 활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수성 첩부제에 있어서, 아민류, 특히 디이소프로판올아민을 케토프로펜에 대한 용해제로서 사용하고, 또한, 케토프로펜과의 상호 작용이 작은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배합한 수성 첩부제 기제 중에 케토프로펜을 용해시킴으로써, 피부 투과성이 높고, 또한 피부 자극성이 낮고, 나아가 주약 안정성이 높은 케토프로펜 함유 수성 첩부제를 제공할 수 있다.
케토프로펜 함유 수성 첩부제에 있어서, 아민류와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조합은, 매우 특이적인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수성 첩부제는, 종래의 수성 첩부제에서는 이룰 수 없었던 케토프로펜의 우수한 경피 흡수성, 안전성, 및 높은 보존 안정성을 겸비하는 것으로, 그 효과는 다대한 것이다.
도 1 은 시험예 3 에 있어서의 in vitro 래트 피부 투과성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 양태는, 케토프로펜, 아민류,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첩부제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수성 첩부제에 있어서의 제제 중의 케토프로펜의 배합량은, 제제화가 가능한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고체 전체 중량에 대해 0.1 ∼ 5 중량% 배합되는 것이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2 중량% 이다.
고체 중의 케토프로펜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케토프로펜의 경피 흡수성이 불충분해지고, 또, 5 중량% 를 초과하여 배합해도, 사용 후에 경피 흡수되지 않고 제제 중에 잔존하는 주약 성분이 많아져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아민류는, 일반적으로는 수성 첩부제에 있어서의 기제 성분에 대한 pH 조정제로서 사용되는 것이 많은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난용성의 케토프로펜에 대한 용해제로서 배합된다.
사용되는 아민류로는 예를 들어,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디이소프로판올아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수성 첩부제에 있어서의 아민류의 배합량은, 제제화가 가능한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고체 전체 중량에 대해 0.5 ∼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5 중량% 의 범위에서 배합하는 것이 좋다.
고체 중의 아민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이면 제제 중의 케토프로펜의 용해가 불충분해져, 결과적으로 결정 석출 혹은 경피 흡수성의 저하 등,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이 나타날 우려가 있다.
한편, 10 중량% 를 초과하여 배합하면, 제제의 pH 가 과도하게 상승하여, 점착력의 저하 등, 제제의 물성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이 나타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성 첩부제의 기제 중에 배합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케토프로펜의 에스테르화 억제제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폴리에틸렌글리콜로는 평균 분자량이 6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200, 폴리에틸렌글리콜 300,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폴리에틸렌글리콜 600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 종 혹은 2 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이다.
평균 분자량이 600 보다 큰 폴리에틸렌글리콜에 대해서는, 그 융점이 40 ℃ 를 초과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수성 첩부제에 배합한 경우, 수용성 고분자 등의 기제 성분을 충분히 분산시킬 수 없어, 용해되지 않은 기제 성분이 나타나게 될 가능성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사용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배합량은, 제제화가 가능한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고체 전체 중량에 대해 5 ∼ 3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20 중량% 의 범위에서 배합하는 것이 좋다.
고체 중의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이면, 제제 중의 케토프로펜의 안정성이 저하되고, 또, 30 중량%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첩부시에 흐름이 발생하는 등, 제제의 물성에 영향이 나타나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수성 첩부제에 있어서는, 그 밖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통상의 외용 제제에 사용되는 각종 기제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제 성분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통상 사용되는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아크릴산,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카르멜로오스나트륨,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젤라틴 등의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류 ; 수산화알루미늄, 황산알루미늄칼륨, 알루미늄글리시네이트 등의 가교제 ; 카올린, 산화티탄 등의 무기 분말 ; 시트르산, 에데트산나트륨, 타르타르산 등의 pH 조정제 ;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모노올레에이트,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등의 계면활성제 ;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등의 방부제 ; 및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흡수 촉진제, 항산화제, 착향제, 착색제 등을 적절히 적당량 첨가할 수 있다.
이들 중,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은 1 ∼ 30 중량%, 가교제는 0.01 ∼ 5 중량%, 정제수는 10 ∼ 90 중량%, 무기 분말은 0 ∼ 20 중량% 의 범위 내에서, 각각 첩부제 고체 성분 중에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가 알코올류는, 전술한 폴리에틸렌글리콜 배합량에 따라 증감할 필요가 있는데, 폴리에틸렌글리콜과 합하여 10 ∼ 50 중량%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러 성분을 사용하여 조제되는 본 발명의 수성 첩부제 (고체층) 의 두께 (후술하는 지지체 및 표면을 피복하는 필름의 두께를 제외한다) 는, 일률적으로 한정할 수 없지만, 도포량으로서 150 ∼ 1000 g/㎡ 이면 충분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 700 g/㎡ 이다.
본 발명의 수성 첩부제의 고체는, 상기 성분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혼합, 교반, 숙성 등을 실시함으로써 제조되고, 본 발명의 수성 첩부제는 얻어진 고체를 부직포나 직포, 시트, 필름 등의 지지체에 전연 (展延), 담지한 후, 보호 필름으로 덮음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사용하는 지지체의 소재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폴리우레탄, 레이온 등을 예시할 수 있고, 특히 고체층이 얇은 경우에는, 이들을 소재로 하는 다공체 혹은 발포체와, 직포 혹은 부직포의 라미네이트품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고체의 표면을 피복하는 플라스틱 필름으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박리지를 단독 혹은 접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들에 실리콘 처리, 코로나 방전 처리, 요철 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을 실시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 실시예, 및 비교예, 나아가서는 각종 시험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글리세린 142.5 g,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을 150 g, 폴리아크릴산 7.5 g, 폴리아크릴산나트륨 40 g, 카르멜로오스나트륨 40 g,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5 g, 에데트산나트륨 0.6 g, 디하이드록시알루미늄아미노아세테이트 0.9 g, 메틸파라벤 1 g, 프로필파라벤 0.5 g, 타르타르산 15 g, 20 % 폴리아크릴산 수용액 200 g, 정제수 적당량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함수 겔을 조제하였다.
이어서, 디이소프로판올아민 10 g 과 적당량의 물에 용해시킨 케토프로펜 20 g 을 앞서 조제한 겔 중에 균일해지도록 혼합하여, 첩부제용 고체를 얻었다.
얻어진 고체를 라미네이트 부직포에 고체 중량이 500 g/㎡ 가 되도록 도포하고, 점착면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피복하여, 원하는 수성 첩부제를 얻었다.
실시예 2 ∼ 4 :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하기 표 1 에 나타낸 처방에 기초하여, 실시예 2 ∼ 4 의 수성 첩부제를 얻었다.
또한, 표 중에는 실시예 1 의 처방도 기재하고, 그 배합량은 중량% 로 표시하고 있는데, 각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조에 있어서는, 그 10 배량의 단위 (g 환산) 로 조제하고 있다.
Figure 112012080286034-pct00001
비교예 1:
비교예 1 로서, 시판되고 있는 케토프로펜 2 중량% 함유 플라스터제 (고체 두께 : 143 g/㎡) 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2:
글리세린 350 g, 폴리아크릴산 50 g, 폴리아크릴산나트륨 40 g, 카르멜로오스나트륨 40 g,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5 g, 에데트산나트륨 0.6 g, 디하이드록시알루미늄아미노아세테이트 0.9 g, 프로필렌글리콜 30 g, 메틸파라벤 1 g, 프로필파라벤 0.5 g, 타르타르산 15 g, 20 % 폴리아크릴산 수용액 200 g, 33 %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 20 g, 정제수 적당량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함수 겔을 조제하였다.
이어서, 크로타미톤 20 g 과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40 g 에 용해시킨 케토프로펜 20 g 을 앞서 조제한 겔 중에 균일해지도록 혼합하여, 첩부제용 고체를 얻었다.
얻어진 고체를 라미네이트 부직포에 고체 중량이 500 g/㎡ 가 되도록 도포하고, 점착면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피복하여, 비교예 2 의 수성 첩부제를 얻었다.
비교예 3 ∼ 4 :
상기 비교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하기 표 2 에 나타낸 처방에 기초하여, 비교예 3 ∼ 4 의 수성 첩부제를 얻었다.
또한, 표 중에는 비교예 2 의 처방도 기재하고, 그 배합량은 중량% 로 표시하고 있는데, 각 비교예의 제조에 있어서는, 그 10 배량의 단위 (g 환산) 로 조제하고 있다.
Figure 112012080286034-pct00002
시험예 :
시험예 1 : 안정성 시험 1
상기에서 얻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2 ∼ 4 의 각 첩부제를 알루미늄 봉지로 밀봉 포장한 후, 4 ℃ 의 보존 조건하에서 1 개월간 보존하고, 각 제제 중에 있어서의 케토프로펜의 결정 석출의 유무에 대하여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 에 나타내었다.
표 중의 ○ 은 결정 석출되어 있지 않은 시료를 나타내고, × 는 결정이 석출되어 있는 시료를 나타낸다.
Figure 112012080286034-pct00003
시험예 2 : 안정성 시험 2
상기에서 얻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2 ∼ 4 의 각 첩부제를 알루미늄 봉지로 밀봉 포장한 후, 40 ℃/75 %RH 의 보존 조건하에서 3 개월간 보존하고, 이들 각 제제 중의 케토프로펜 함량을 고속 액체 크로마토 그래프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 에 나타내었다.
결과는 초기 배합량을 100 % 로 하고, 보존 후의 케토프로펜의 함유량을 % 로 나타내었다.
Figure 112012080286034-pct00004
또, 실시예 1 및 비교예 3 의 첩부제에 대해서는, 동일한 보존 조건에 있어서의, 제제 중의 유연 물질 (케토프로펜의 글리세린에스테르) 생성량에 대하여, 고속 액체 크로마토 그래프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 에 나타내었다. 또한, 유연 물질의 생성량은 배합한 케토프로펜의 중량에 대한 유연 물질의 생성 중량 비율 (%) 로 나타내었다.
Figure 112012080286034-pct00005
상기한 각 안정성 시험의 결과로부터 판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첩부제는 비교예의 각 제제와 비교한 경우, 케토프로펜의 안정성에 있어서 현격히 우수한 것이 판명되었다. 특히 폴리에틸렌글리콜이 배합되어 있지 않은 비교예 3 은, 케토프로펜의 안정성이 낮고, 또한 케토프로펜의 유연 물질의 생성량도 많은 것이었다.
또, 아민류가 배합되어 있지 않은 비교예 2 및 비교예 4 의 수성 첩부제에 대해서도, 케토프로펜의 안정성이 낮고, 그 중에서도 비교예 4 에는, 4 ℃ 의 보존 조건에서 결정이 석출되는 등, 각 비교예의 제제는, 케토프로펜이 제제 중에서 매우 불안정한 상태로 존재하고 있는 것이었다.
시험예 3 : in vitro 에서의 피부 투과 시험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수성 첩부제, 및 시판품인 비교예 1 의 케토프로펜 2 중량% 함유 플라스터제에 대하여, 래트 피부를 사용한 in vitro 에서의 피부 투과 시험을 실시하였다.
제모한 수컷 래트 (비스터계, 7 주령) 의 등부 적출 피부를 37 ℃ 로 보온한 세로틀의 투과 시험용 확산 셀에 고정시키고, 적출 피부의 각질층측에는 시험 대상인 제제를 첩부하고, 내측 (진피층측) 에는 리시버액으로서 인산 완충 생리 식염수 (PBS) 를 10 ㎖ 첨가하였다. 그 후, 시간 경과적으로 리시버액을 0.2 ㎖ 채취하여, 액체 크로마토 그래프법에 의해 케토프로펜 투과량을 측정하고, 그 값으로부터 피부 투과 속도 (flux) 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도 1 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4 : 토끼 피부 1 차 자극성 시험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수성 첩부제, 및 시판품인 비교예 1 의 케토프로펜 2 중량% 함유 플라스터제에 대하여, 토끼 피부 1 차 자극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각각의 제제를 제모한 토끼 등부에 24 시간 첩부하고, 박리 후 1 시간째, 24 시간째 및 48 시간째의 피부 증상으로부터 자극 지수 (P.I.I.) 를 구하였다.
자극 지수 (P.I.I.) 의 평가 기준을 하기 표 6 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2080286034-pct00006
그 결과를 하기 표 7 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2080286034-pct00007
도 1 및 표 7 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판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성 첩부제와 비교예 1 의 플라스터제를 비교한 경우, 경피 흡수성, 피부 자극성은 양자 모두 본 발명의 수성 첩부제가 우수한 것이 판명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이 제공하는 수성 첩부제는, 우수한 케토프로펜의 경피 흡수성, 안전성, 및 높은 보존 안정성을 겸비한 제제라고 결론지을 수 있는 것이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물에 대한 용해성이 낮은 케토프로펜을 활성 성분으로서 아민류를 용해제로서 이용하고, 또한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배합한 첩부제 기제 중에 용해시킴으로써, 피부 투과성이 높고, 피부 자극성이 낮고, 또한 주약 안정성이 높은 케토프로펜 함유 수성 첩부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수성 첩부제는, 종래의 케토프로펜 함유 첩부제에 비해 높은 케토프로펜의 우수한 경피 흡수성, 안전성, 및 높은 보존 안정성을 겸비한 것으로, 그 의료상의 유용성은 다대한 것이다.

Claims (3)

  1. 케토프로펜, 아민류,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첩부제.
  2. 제 1 항에 있어서,
    고체 (膏體) 중, 케토프로펜의 배합량이 0.1 ∼ 5 중량%, 아민류의 배합량이 0.5 ∼ 10 중량%,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배합량이 5 ∼ 30 중량% 인 수성 첩부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아민류가 디이소프로판올아민인 수성 첩부제.
KR1020127025946A 2010-03-12 2011-03-11 케토프로펜 함유 수성 첩부제 KR1018192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56098A JP5622410B2 (ja) 2010-03-12 2010-03-12 ケトプロフェン含有水性貼付剤
JPJP-P-2010-056098 2010-03-12
PCT/JP2011/055728 WO2011111809A1 (ja) 2010-03-12 2011-03-11 ケトプロフェン含有水性貼付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322A KR20130059322A (ko) 2013-06-05
KR101819249B1 true KR101819249B1 (ko) 2018-01-16

Family

ID=44563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5946A KR101819249B1 (ko) 2010-03-12 2011-03-11 케토프로펜 함유 수성 첩부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9271944B2 (ko)
EP (1) EP2545912B1 (ko)
JP (1) JP5622410B2 (ko)
KR (1) KR101819249B1 (ko)
CN (2) CN106913560A (ko)
AU (1) AU2011225100B2 (ko)
CA (1) CA2791498C (ko)
ES (1) ES2523126T3 (ko)
HK (1) HK1177690A1 (ko)
TW (1) TWI498131B (ko)
WO (1) WO20111118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920284C (en) * 2013-08-09 2021-08-24 Teikoku Seiyaku Co., Ltd. Beraprost-containing patch
ES2753584T3 (es) * 2014-12-22 2020-04-13 Hisamitsu Pharmaceutical Co Cataplasma
CA3040041A1 (en) * 2016-10-12 2018-04-19 Teikoku Seiyaku Co., Ltd. Water-based adhesive patch
JP2020066592A (ja) * 2018-10-24 2020-04-30 帝國製薬株式会社 水性貼付剤
CN109432061B (zh) * 2018-11-09 2020-10-30 北京德默高科医药技术有限公司 含有布洛芬或其结构类似物的多层经皮给药系统
WO2020166665A1 (ja) 2019-02-14 2020-08-20 久光製薬株式会社 パップ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3793A (ja) * 2000-12-26 2002-07-10 Teikoku Seiyaku Co Ltd 非ステロイド系消炎鎮痛貼付剤
JP2009227640A (ja) 2008-03-25 2009-10-08 Teikoku Seiyaku Co Ltd ケトプロフェンリジン塩を含有する水性貼付剤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75837B (en) * 1980-05-14 1984-03-14 Hisamitsu Pharmaceutical Co Topical pharmaceutical gel containing anti-inflammatory analgesic agents
KR970009886B1 (ko) 1981-08-30 1997-06-19 히사미쯔세이야꾸 가부시기가이샤 소염진통 첩부제
JPH0228572B2 (ja) 1981-11-13 1990-06-25 Hisamitsu Pharmaceutical Co Shinkishitsupuzai
JPS60155111A (ja) * 1983-10-20 1985-08-15 Hisamitsu Pharmaceut Co Inc 安定なケトプロフェン含有外用経皮製剤
JPH0662401B2 (ja) 1985-04-25 1994-08-17 久光製薬株式会社 ケトプロフエン含有パツプ剤
JP2623580B2 (ja) * 1987-07-20 1997-06-25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消炎鎮痛クリーム剤
JP3670211B2 (ja) * 2000-12-25 2005-07-13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粉体を含有するローション製剤
JP2004131495A (ja) * 2002-09-17 2004-04-30 Nippon Boehringer Ingelheim Co Ltd 非ステロイド系抗炎症剤の局所送達用医薬組成物
CA2499093A1 (en) 2002-09-17 2004-04-01 Nippon Boehringer Ingelheim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opical delivery of meloxicam comprising an amine or amine as penetration enhancer.
JP4157018B2 (ja) 2003-11-10 2008-09-24 久光製薬株式会社 消炎鎮痛貼付剤
KR100682729B1 (ko) * 2004-06-15 2007-02-15 (주)아모레퍼시픽 신규 경피흡수제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04399A (ko) * 2004-07-09 2006-01-12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자기발열체를 이용한 케토프로펜의 경피투여 시스템
EP2128123A4 (en) * 2007-01-29 2011-04-20 Medrx Co Ltd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SALT AND ORGANIC AMINO COMPOUND AND USE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3793A (ja) * 2000-12-26 2002-07-10 Teikoku Seiyaku Co Ltd 非ステロイド系消炎鎮痛貼付剤
JP2009227640A (ja) 2008-03-25 2009-10-08 Teikoku Seiyaku Co Ltd ケトプロフェンリジン塩を含有する水性貼付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45912A4 (en) 2013-10-16
US20130005817A1 (en) 2013-01-03
US20160136277A1 (en) 2016-05-19
WO2011111809A1 (ja) 2011-09-15
TW201138864A (en) 2011-11-16
EP2545912B1 (en) 2014-09-03
CN106913560A (zh) 2017-07-04
CA2791498C (en) 2017-04-18
CN102858332A (zh) 2013-01-02
KR20130059322A (ko) 2013-06-05
EP2545912A1 (en) 2013-01-16
JP2011190194A (ja) 2011-09-29
AU2011225100A1 (en) 2012-10-04
ES2523126T3 (es) 2014-11-21
CA2791498A1 (en) 2011-09-15
AU2011225100B2 (en) 2013-08-15
TWI498131B (zh) 2015-09-01
US9271944B2 (en) 2016-03-01
HK1177690A1 (en) 2013-08-30
JP5622410B2 (ja) 2014-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91361C (fi) Menetelmä eperisonia sisältävän farmaseuttisen koostumuksen valmistamiseksi
KR101734602B1 (ko) 도네페질 함유 경피 흡수형 제제
KR101819249B1 (ko) 케토프로펜 함유 수성 첩부제
KR100995696B1 (ko) 펜타닐 경피 외용 접착제
EP2786752B1 (en) Ropinirole-containing adhesive patch
EP2865378A1 (en) Skin patch
JP2011020997A (ja) 外用貼付剤
AU2009205700A1 (en) Imiquimod formulation
KR101606950B1 (ko) 케토프로펜리신염을 함유하는 수성 첩부제
WO2011049058A1 (ja) ジクロフェナクナトリウム含有水性貼付剤
TWI577388B (zh) Percutaneous absorption enhancers and stickers containing them
US11660344B2 (en) Transdermal colloidal solution agent
US9254325B2 (en) Percutaneously absorbed preparation
EP1338276B1 (en) Adhesive preparation for external use
CN111803470A (zh) 含有右酮洛芬或其药用盐的凝胶贴膏基质及其制备方法
JP6512905B2 (ja) フェンタニル含有貼付剤
KR102362912B1 (ko) 첩부제
CA3017707C (en) Transdermal absorption-type patch preparation comprising zonisamide
TW202222304A (zh) 含有可多普洛菲之貼附劑
EP4311547A1 (en) Loxoprofen-containing adhesive patc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WO2005011669A1 (ja) 経皮投与用医薬組成物
JPH04334327A (ja) 吸収促進組成物
JPH1087494A (ja) ピロキシカム配合外用貼付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