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7957B1 - 전류 센서 - Google Patents

전류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7957B1
KR101817957B1 KR1020160023927A KR20160023927A KR101817957B1 KR 101817957 B1 KR101817957 B1 KR 101817957B1 KR 1020160023927 A KR1020160023927 A KR 1020160023927A KR 20160023927 A KR20160023927 A KR 20160023927A KR 101817957 B1 KR101817957 B1 KR 101817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shield
length
current sensor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3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1427A (ko
Inventor
이치우
황홍식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23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957B1/ko
Publication of KR20170101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1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20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e.g. Hall-effect devices, i.e. measuring a magnetic field via the interaction between a current and a magnetic field, e.g. magneto resistive or Hall effect devices
    • G01R15/202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e.g. Hall-effect devices, i.e. measuring a magnetic field via the interaction between a current and a magnetic field, e.g. magneto resistive or Hall effect devices using Hall-effect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8Screening arrangem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e.g. against earth's fie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92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current only
    • G01R31/043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01R33/06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 G01R33/07Hall effect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easuring Instrument Details And Bridges, And Automatic Balancing Devices (AREA)

Abstract

전류 센서가 제공된다. 전류 센서는, 제1 버스 바, 상기 제1 버스 바와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버스 바, 상기 제1 버스 바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제1 전류 센서, 상기 제2 버스 바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제2 전류 센서, 제1 면, 상기 제1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2 면 및 상기 제2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고 상기 제1 면과 마주보는 제3 면을 포함하는 제1 실드 및 제4 면, 상기 제4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5 면 및 상기 제5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고 상기 제4 면과 마주보는 제6 면을 포함하는 제2 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드의 제2 면은, 상기 제1 버스 바의 하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실드의 제5 면은, 상기 제2 버스 바의 상면 상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전류 센서{Current Sensors}
본 발명은 전류 센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버스 바(bus-bar)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전류 센서들의 배치에 관한 것이다.
전류 측정에 있어서, 피 측정 전류가 만드는 물리량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류 측정에 사용되는 전류 센서는, 홀 효과(Hall effect)를 이용한 홀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전류 센서를 이용하여 전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전류 센서에 선형적인 전압이 측정되도록 해야한다. 또한, 전류 센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외부 자계를 차폐하고, 피 측정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내부 자계를 전류 센서에 집중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너비와 높이를 갖는 실드가 요구된다.
나아가, 최근 전자 장치가 소형화 됨에 따라, 정확성과 선형성을 향상시키면서도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전류 센서가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외부 자계 차폐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류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류 센서에 측정되는 전압의 선형성을 높일 수 있는 전류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전류 센서는, 제1 버스 바, 제1 버스 바와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버스 바, 제1 버스 바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제1 전류 센서, 제2 버스 바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제2 전류 센서, 제1 면, 제1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2 면 및 제2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고 제1 면과 마주보는 제3 면을 포함하는 제1 실드 및 제4 면, 제4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5 면 및 제5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고 제4 면과 마주보는 제6 면을 포함하는 제2 실드를 포함하고, 제1 실드의 제2 면은, 제1 버스 바의 하면 상에 배치되고, 제2 실드의 제5 면은, 제2 버스 바의 상면 상에 배치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실드의 제2 면은, 상기 제1 버스 바의 하면과 접하고, 상기 제2 실드의 제5 면은, 상기 제2 버스 바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실드의 제2 면의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제1 버스 바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길이와 같거나 작고, 상기 제2 실드의 제5 면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제2 버스 바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길이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실드의 제5 면은, 상기 제1 실드의 제3 면의 말단 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버스 바는, 상기 제1 버스 바보다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버스 바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버스 바, 상기 제3 버스 바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제3 전류 센서 및 제7 면, 상기 제7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8 면 및 상기 제8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고 상기 제7 면과 마주보는 제9 면을 포함하는 제3 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실드의 제8 면은, 상기 제3 버스 바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실드의 제8 면은, 상기 제3 버스 바의 하면과 접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실드의 제8 면의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제3 버스 바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길이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실드의 제5 면은, 상기 제3 실드의 제7 면의 말단 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버스 바는, 상기 제1 버스 바 및 상기 제3 버스 바 보다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버스 바 및 상기 제2 버스 바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버스 바, 상기 제3 버스 바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제3 전류 센서 및 제7 면, 상기 제7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8 면 및 상기 제8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고 상기 제7 면과 마주보는 제9 면을 포함하는 제3 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실드의 제8 면은, 상기 제3 버스 바의 상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버스 바 및 상기 제3 버스 바는, 상기 제1 버스 바를 중심으로 양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실드의 제8 면은, 상기 제3 버스 바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실드의 제8 면의 길이는, 상기 제3 버스 바의 길이와 같거나 작고, 상기 길이는 상기 제1 내지 제3 버스 바가 이격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길이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실드의 제2 면은, 상기 제3 실드의 제9 면의 말단 보다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버스 바는, 상기 제2 버스 바 및 상기 제3 버스 바 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전류 센서는, 제1 버스 바 및 상기 제1 버스 바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제1 전류 센서, 상기 제1 버스 바와 제1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 버스 바 및 상기 제2 버스 바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제2 전류 센서, 상기 제2 버스 바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3 버스 바 및 상기 제3 버스 바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제3 전류 센서, 상기 제1 버스 바의 하면을 감싸고 상기 제1 버스 바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제1 실드, 상기 제2 버스 바의 상면을 감싸고 상기 제2 버스 바의 하면을 노출시키는 제2 실드 및 상기 제3 버스 바의 하면을 감싸고 상기 제3 버스 바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제3 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실드는, 제1 면, 상기 제1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2 면 및 상기 제2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고 상기 제1 면과 마주보는 제3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실드는, 제4 면, 상기 제4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5 면 및 상기 제5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고 상기 제4 면과 마주보는 제6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실드는, 제7 면, 상기 제7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8 면 및 상기 제8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고 상기 제7 면과 마주보는 제9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실드의 제2 면은, 상기 제1 버스 바의 하면과 접하고, 상기 제2 실드의 제5 면은, 상기 제2 버스 바의 상면과 접하고, 상기 제3 실드의 제8 면은, 상기 제3 버스 바의 하면과 접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실드의 제5 면은, 상기 제1 실드의 제3 면의 말단 및 상기 제3 실드의 제7 면의 말단 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버스 바는, 상기 제1 버스 바 및 상기 제3 버스 바 보다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실드의 제2 면의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제1 버스 바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길이와 같거나 작고, 상기 제2 실드의 제5 면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제2 버스 바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길이와 같거나 작고, 상기 제3 실드의 제8 면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제3 버스 바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길이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전류 센서는, 제1 버스 바 및 상기 제1 버스 바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제1 전류 센서, 상기 제1 버스 바와 이격되는 제2 버스 바 및 상기 제2 버스 바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제2 전류 센서, 상기 제1 버스 바 및 상기 제2 버스 바와 이격되는 제3 버스 바 및 상기 제3 버스 바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제3 전류 센서, 상기 제1 버스 바의 하면을 감싸고 상기 제1 버스 바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제1 실드, 상기 제2 버스 바의 상면을 감싸고 상기 제2 버스 바의 하면을 노출시키는 제2 실드 및 상기 제3 버스 바의 상면을 감싸고 상기 제3 버스 바의 하면을 노출시키는 제3 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버스 바 및 상기 제3 버스 바는, 상기 제1 버스 바를 중심으로 양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실드는, 제1 면, 상기 제1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2 면 및 상기 제2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고 상기 제1 면과 마주보는 제3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실드는, 제4 면, 상기 제4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5 면 및 상기 제5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고 상기 제4 면과 마주보는 제6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실드는, 제7 면, 상기 제7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8 면 및 상기 제8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고 상기 제7 면과 마주보는 제9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실드의 제2 면은, 상기 제1 버스 바의 하면과 접하고, 상기 제2 실드의 제5 면은, 상기 제2 버스 바의 상면과 접하고, 상기 제3 실드의 제8 면은, 상기 제3 버스 바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실드의 제2 면은, 상기 제2 실드의 제4 면의 말단 및 상기 제3 실드의 제9 면의 말단 보다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버스 바는, 상기 제2 버스 바 및 상기 제3 버스 바 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실드의 제2 면의 길이는, 상기 제1 버스 바의 길이와 같거나 작고, 상기 제2 실드의 제5 면의 길이는, 상기 제2 버스 바의 길이와 같거나 작고, 상기 제3 실드의 제8 면의 길이는, 상기 제3 버스 바의 길이와 같거나 작고, 상기 길이는, 상기 제1 내지 제3 버스 바가 이격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길이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전류 센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전류 센서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전류 센서들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4 및 도 5의 상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6 및 도 7의 상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6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전류 센서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소자(elements)가 다른 소자와 "접속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소자가 다른 소자와 "직접 접속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전류 센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전류 센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전류 센서는 제1 버스 바(100)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제1 전류 센서는, 제1 회로 기판(120) 및 제1 전류 센서 칩(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버스 바(100)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버스 바(100)는 바(bar)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버스 바(100)는 상면(100U)과 하면(100L)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버스 바(100)의 상면(100U)과 하면(100L)은 서로 대향될 수 있다.
제1 버스 바(100)는 도전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버스 바(100)는, 제1 전류 센서에 의해 측정될 전류가 흐르는 도체일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120)은 제1 버스 바(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회로 기판(120)은 제1 버스 바(100)의 상면(100U)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회로 기판(120)은 제1 버스 바(100)의 상면(100U) 상에,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버스 바(100)의 상면(100U)과 접하도록(directly on) 배치될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12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몇몇 실시예에서,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120)은 후술할 제1 전류 센서 칩(130)을 구동시킬 수 있다.
제1 전류 센서 칩(130)은, 피 측정 전류가 흐르는 제1 버스 바(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전류 센서 칩(130)은, 예를 들어, 제1 회로 기판(1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류 센서 칩(130)은, 예를 들어, 홀 효과(Hall effect)를 이용한 홀 센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전류 센서 칩(130)은, IMC(Integrated Magnetic Concentrator) 칩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제1 전류 센서 칩은, 홀 센서, 자기 저항 소자, 증폭 기능등을 내장한 자기 센서를 포함하는 자기 트랜지스터 등 일 수 있다. 여기서 홀 효과란, 자기장이 전류가 흐르는 도체를 쇄교할 때, 그 도체의 양 단에 전위차가 생기는 물리 현상을 가리킨다.
제1 전류 센서 칩(130)은 콘센트레이터(concentr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콘센트레이터는, 예를 들어, 아몰퍼스 또는 강자성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콘센트레이터는, 제1 버스 바(100)에 피 측정 전류가 흐르는 경우, 예를 들어, 피 측정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자계를 제1 전류 센서 칩(120)으로 집중 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전류 센서 칩(130)은, 제1 버스 바(100)에 피 측정 전류가 흐르면, 홀 효과로 인한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피 측정 전류는, 발생된 전압을 전류로 환산하여 측정될 수 있다.
제1 실드(110)는, 예를 들어, 사각 판상 부재의 양 쪽 가장자리 부위가,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구부러져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서, 제1 실드(110)는, 사각 판상 부재의 양 쪽 가장자리 부위가,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수직으로 구부러져 연장되는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실드(110)의 양 쪽 가장자리 부위는, 사각 판상 부재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임의의 각도로 구부러져 연장될 수 있다.
제1 실드(110)는, 제1 버스 바(100), 제1 회로 기판(120) 및 제1 전류 센서 칩(130)을 감싸는 형태일 수 있다. 이 때, 제1 실드(110)의 양 단부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드(110)는 제1 면(111), 제2 면(112) 및 제3 면(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111)은, 예를 들어, 제1 버스 바(100)를 기준으로, 제3 방향의 양의 방향(D3+)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 면(111)은, 제1 버스 바(100)의 상면(100U)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면(112)은, 제1 면(111)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면(112)은, 제1 면(111)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될 수 있다.
제3 면(113)은, 제2 면(112)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3 면(113)은, 제2 면(112)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될 수 있다. 제3 면(113)은, 제1 면(111)과 마주볼 수 있다. 제3 면(113)은, 예를 들어, 제1 버스 바(100)를 기준으로, 제3 방향의 양의 방향(D3+)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3 면(113)은, 제1 버스 바(100)의 상면(100U)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버스 바(100), 제1 회로 기판(120) 및 제1 전류 센서 칩(130)은, 제1 실드(110)의 제2 면(11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면(111)과 제3 면(113)은, 제1 버스 바(100)의 측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면(111)과 제3 면(113)의 높이(h)는, 제1 버스 바(100), 제1 회로 기판(120) 및 제1 전류 센서 칩(130)을 감쌀 수 있을 정도의 높이일 수 있다. 제1 실드(110)의 너비(W)는, 제1 버스 바(100)를 적층시킬 수 있을 정도의 너비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1 실드(110)는, 제1 버스 바(100)의 하면(100L)을 감싸고, 제1 버스 바(100)의 상면(100U)을 노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버스 바(100), 제1 회로 기판(120) 및 제1 전류 센서 칩(130)은, 제1 실드(110)의 제2 면(112) 상에, 제3 방향의 양의 방향(D3+)으로 적층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실드(110)의 제2 면(112)은, 제1 버스 바(100)의 하면(100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실드(110)의 제2 면(112)은, 제1 버스 바(100)의 하면(100L)과 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실드(110)의 제2 면(112)의 제2 방향(D2)으로의 길이(LS)는, 제1 버스 바(100)의 제2 방향(D2)으로의 길이(LB1)와 같을 수 있다.
제1 실드(110)는 금속 물질 또는 강자성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드(110)는, 제1 전류 센서 칩(130)에 가해질 수 있는 외란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상 버스 바인 경우, 인접하는 상의 버스 바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외부 자계를 제1 버스 바(100)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버스 바(100)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자계가 제1 전류 센서 칩(130)에 집중 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실드(110)는, 제1 전류 센서 칩(130)에 선형적인 전압이 측정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실드(110)는, 전류 센서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버스 바의 제2 방향(D2)으로의 길이가 길어지면, 공간적인 제약이 생길 수 있고, 공간 활용도도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전류 센서는, 제1 버스 바(100)의 길이(LB1)를 제1 실드(110)의 제2 면(112)의 길이(LS)과 같게 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전류 센서에 대해 설명한다. 명확성을 위해, 앞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사항은 제외하고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전류 센서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버스 바(100')의 제2 방향(D2)으로의 길이(LB2)는, 제1 실드(110)의 제2 면(112)의 제2 방향(D2)으로의 길이(LS)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버스 바(100')의 제2 방향(D2)으로의 길이(LB2)는, 제1 실드(110)의 제2 면(112)의 제2 방향(D2)으로의 길이(LS) 보다 작을 수 있다.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전류 센서에 대해 설명한다. 명확성을 위해, 앞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사항은 제외하고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전류 센서들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전류 센서는, 제1 버스 바(100)와 제1 방향(D1)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버스 바(200) 및 제3 버스 바(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류 센서는 제2 버스 바(200)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제2 전류 센서는, 제2 회로 기판(220) 및 제2 전류 센서 칩(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전류 센서는 제3 버스 바(300)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제3 전류 센서는, 제3 회로 기판(320) 및 제3 전류 센서 칩(3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버스 바(100), 제2 버스 바(200) 및 제3 버스 바(300)에는, 예를 들어, 위상이 서로 120도씩 차이나는 전류가 각각 흐를 수 있다.
제1 버스 바(100), 제2 버스 바(200) 및 제3 버스 바(300)는, 예를 들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버스 바(100), 제2 버스 바(200) 및 제3 버스 바(300)는, 서로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버스 바(100), 제2 버스 바(200) 및 제3 버스 바(300)는,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회로 기판(220) 및 제3 회로 기판(320)은, 제1 회로 기판(1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2 전류 센서 칩(230) 및 제3 전류 센서 칩(330)은, 제1 전류 센서 칩(130)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면에서, 제1 실드(110)의 제2 면(112) 상에 배치되는 제1 버스 바를,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버스 바(100)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실드(110)의 제2 면(112) 상에 배치되는 제1 버스 바의 제2 방향(D2)으로의 길이는, 제2 면(112)의 제2 방향(D2)으로의 길이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제2 실드(210)는, 제1 실드(1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즉, 제2 실드(210)는, 제2 버스 바(200), 제2 회로 기판(220) 및 제2 전류 센서 칩(230)을 감싸는 형태일 수 있다. 이 때, 제2 실드(210)의 양 단부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실드(210)는, 예를 들어, 제4 면(211), 제5 면(212) 및 제6 면(2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면(211)은, 예를 들어, 제2 버스 바(200)를 기준으로, 제3 방향의 음의 방향(D3-)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4 면(211)은, 제1 실드(110)의 제1 면(111) 및 제3 면(113)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4 면(211)은, 제2 버스 바(200)의 하면(200L)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제5 면(212)은, 제4 면(211)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될 수 있다. 제6 면(213)은, 제5 면(212)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될 수 있다. 제6 면(213)은, 제4 면(211)과 마주볼 수 있다. 제6 면(213)은, 예를 들어, 제2 버스 바(200)를 기준으로, 제3 방향의 음의 방향(D3-)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6 면(213)은, 제1 실드(110)의 제1 면(111) 및 제3 면(113)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6 면(213)은, 제2 버스 바(200)의 하면(200L)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버스 바(200), 제2 회로 기판(220) 및 제2 전류 센서 칩(230)은, 제2 실드(210)의 제5 면(21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면(211)과 제6 면(213)은, 제2 버스 바(200)의 측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실드(210)는, 제2 버스 바(200)의 상면(200U)을 감싸고, 제2 버스 바(200)의 하면(200L)을 노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버스 바(200), 제2 회로 기판(220) 및 제2 전류 센서 칩(230)은, 제2 실드(210)의 제5 면(212) 상에, 제3 방향의 음의 방향(D3-)으로 적층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실드(210)의 제5 면(212)은, 제2 버스 바(200)의 상면(200U)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실드(210)의 제5 면(212)은, 제2 버스 바(200)의 상면(200U)과 접할 수 있다. 제2 실드(210)는, 예를 들어, 제1 실드(110)를 거꾸로 뒤집어 놓은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실드(210)의 제5 면(212)의 제2 방향(D2)으로의 길이는, 제2 버스 바(200)의 제2 방향(D2)으로의 길이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제3 실드(310)는, 제1 실드(1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즉, 제3 실드(310)는, 제3 버스 바(300), 제3 회로 기판(320) 및 제3 전류 센서 칩(330)을 감싸는 형태일 수 있다. 이 때, 제3 실드(310)의 양 단부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3 실드(310)는, 예를 들어, 제7 면(311), 제8 면(312) 및 제9 면(3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7 면(311)은, 예를 들어, 제3 버스 바(300)를 기준으로, 제3 방향의 양의 방향(D3+)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7 면(311)은, 제2 실드(210)의 제4 면(211) 및 제6 면(213)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7 면(311)은, 제1 실드(110)의 제1 면(111) 및 제3 면(113)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7 면(311)은, 제3 버스 바(300)의 상면(300U)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제8 면(312)은, 제7 면(311)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될 수 있다. 제9 면(313)은, 제8 면(312)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될 수 있다. 제9 면(313)은, 제7 면(311)과 마주볼 수 있다. 제9 면(313)은, 예를 들어, 제3 버스 바(300)를 기준으로, 제3 방향의 양의 방향(D3+)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9 면(313)은, 제2 실드(210)의 제4 면(211) 및 제6 면(2130)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9 면(313)은, 제3 버스 바(300)의 상면(300U)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제3 버스 바(300), 제3 회로 기판(320) 및 제3 전류 센서 칩(330)은, 제3 실드(310)의 제8 면(31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7 면(311)과 제9 면(313)은, 제3 버스 바(300)의 측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실드(310)는, 제3 버스 바(300)의 하면(300L)을 감싸고, 제3 버스 바(300)의 상면(300L)을 노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몇몇 실시예에서, 제3 버스 바(300), 제3 회로 기판(320) 및 제3 전류 센서 칩(330)은, 제3 실드(310)의 제8 면(312) 상에, 제3 방향의 양의 방향(D3+)으로 적층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3 실드(310)의 제8 면(312)은, 제3 버스 바(300)의 하면(300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실드(310)의 제8 면(312)은, 제3 버스 바(300)의 하면(300L)과 접할 수 있다. 제3 실드(310)는, 예를 들어, 제2 실드(210)를 거꾸로 뒤집어 놓은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3 실드(310)는, 제1 실드(110)와 동일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3 실드(310)의 제8 면(312)의 제2 방향(D2)으로의 길이는, 제3 버스 바(300)의 제2 방향(D2)으로의 길이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실드(210)의 제5 면(212)은, 제1 실드(110)의 제1 면(111)의 말단(111e) 및 제3 면(113)의 말단(113e) 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드(210)의 제5 면(212)은, 제3 실드(310)의 제7 면(311)의 말단(311e) 및 제9 면(313)의 말단(313e) 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아래'는, 예를 들어, 제3 방향의 음의 방향(D3-)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드(210)의 제4 면(211)의 말단(211e) 및 제6 면(213)의 말단(213e)은, 제1 실드(110)의 제2 면(112) 및 제3 실드(310)의 제8 면(312) 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전류 센서에 대해 설명한다. 명확성을 위해, 앞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사항은 제외하고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전류 센서들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버스 바(200)는, 제1 버스 바(100) 및 제3 버스 바(300) 보다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위'는, 제3 방향의 양의 방향(D3+) 일 수 있다.
제2 실드(210)의 제5 면(212)은, 제1 실드(110)의 제1 면(111)의 말단(111e) 및 제3 면(113)의 말단(113e)과 비슷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드(210)의 제5 면(212)은, 제3 실드(310)의 제7 면(311)의 말단(311e) 및 제9 면(313)의 말단(313e)과 비슷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드(210)의 제4 면(211)의 말단(211e) 및 제6 면(213)의 말단(213e)은, 제1 실드(110)의 제2 면(112) 및 제3 실드(310)의 제8 면(312)과 비슷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전류 센서에 대해 설명한다. 명확성을 위해, 앞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사항은 제외하고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전류 센서들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전류 센서의 제2 버스 바(200) 및 제3 버스 바(300)는, 제1 버스 바(100)를 중심으로 양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버스 바(100), 제2 버스 바(200) 및 제3 버스 바(300)는 서로 제1 방향(D1)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3 실드(310)는, 제2 실드(2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3 실드(310)의 제8 면(312)은 제3 버스 바(300)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실드(310)의 제8 면(312)은 제3 버스 바(300)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 제3 실드(310)는, 제3 버스 바(300)의 하면(300L)을 노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드(110)의 제2 면(112)은 제3 실드(310)의 제9 면(313)의 말단(313e) 보다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전류 센서에 대해 설명한다. 명확성을 위해, 앞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사항은 제외하고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전류 센서들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버스 바(100)는 제2 버스 바(200) 및 제3 버스 바(300) 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전류 센서에 대해 설명한다. 명확성을 위해, 앞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사항은 제외하고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도 4 및 도 5의 상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복수의 실드 중 어느 하나는, 나머지 실드가 배치되는 형태와 반대의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상 버스 바의 전류를 측정하는 경우, 두 개의 실드는 같은 형태로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고, 나머지 한 개의 실드는, 같은 형태로 배치되는 두 개의 실드를 뒤집어 놓은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실드(110) 및 제3 실드(310)의 배치 형태는 동일할 수 있다. 제2 실드(210)의 배치 형태는, 제1 실드(110) 및 제3 실드(310)의 배치 형태와 반대일 수 있다. 이 때, 제1 실드(110)와 제3 실드(310)가 이격되는 거리는, 제1 실드(110)와 제2 실드(210)가 이격되는 거리 보다 클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서, 제1 실드(110)의 배치 형태로 인해, 제1 버스 바(100)의 상면(100U), 제1 회로 기판(120) 및 제1 전류 센서 칩(130)이 노출될 수 있다. 제3 실드(310)의 배치 형태로 인해, 제3 버스 바(300)의 상면(300U), 제3 회로 기판(320) 및 제3 전류 센서 칩(330)이 노출될 수 있다.
반면, 제2 실드(210)는 제4 면(211), 제5 면(212) 및 제6 면(213)이 노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전류 센서에 대해 설명한다. 명확성을 위해, 앞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사항은 제외하고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실드(210) 및 제3 실드(310)의 배치 형태는 동일할 수 있다. 제1 실드(110)의 배치 형태는, 제2 실드(210) 및 제3 실드(310)의 배치 형태와 반대일 수 있다. 이 때, 제1 실드(110)와 제3 실드(310)가 이격되는 거리는, 제3 실드(310)와 제2 실드(210)가 이격되는 거리 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서, 제1 실드(110)의 배치 형태로 인해, 제1 버스 바(100)의 상면(100U), 제1 회로 기판(120) 및 제1 전류 센서 칩(130)이 노출될 수 있다.
반면, 제2 실드(210)는 제4 면(211), 제5 면(212) 및 제6 면(213)이 노출될 수 있다. 제3 실드(310)는 제7 면(311), 제8 면(312) 및 제9 면(313)이 노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전류 센서에 대해 설명한다. 명확성을 위해, 앞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사항은 제외하고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전류 센서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12는 버스 바에 흐르는 전류와 자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실드 내부의 자계와 외부의 자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실드의 외부 자계 차폐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실드 내부 자계의 자속 밀도의 크기에 따른 비선형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전류 센서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버스 바에 전류(I)가 흐르면, 버스 바 주위로 자계가 형성될 수 있다. 3상 시스템에서, 3상 버스 바의 전류를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 도 9에서와 같이, 실드 내부의 자계(internal field)뿐만 아니라, 인접하는 상의 버스 바로부터 발생하는 외부 자계(external field)의 영향도 받을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실드는, 외부 자계의 차폐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실드는, 피 측정 전류로 인해 발생하는 자계를, 실드 내부로 집중시켜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 때, 실드의 너비(도 2의 W)와 높이(도 2의 h)는, 실드의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실드 내부 자계의 자속 밀도가 약 25mT 이상이 되면 비선형성이 증가될 수 있다. 비선형성은, 전류 센서 칩에 포함되는 콘센트레이터가 포화되면 증가될 수 있다. 비선형성이 증가하게 되면, 버스 바에 흐르는 전류 크기의 측정의 정확도가 감소될 수 있다. 도 15의 그래프에서, 가로 축은 자속 밀도(field, 단위는 mT)이고, 세로 축은 비선형성(nonlinearity, 단위는 %FS) 일 수 있다.
수학식 1을 참조하면, 실드 내부 자계의 자속 밀도는, 실드의 너비(W)와 반비례함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6019485312-pat00001
다시 말해서, 실드 내부 자계의 자속 밀도를 감소 시켜 선형성을 증가시키려면, 실드의 너비(W)가 넓어져야 한다. 한편, 실드의 너비(W)가 증가하는 경우, 외부 자계에 대한 차폐 능력이 감소될 수 있어, 전류 측정의 정확성이 감소될 수 있다.
실드의 너비(W) 증가로 인한 외부 자계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실드의 높이(h)가, 외부 자계를 차폐시킬 수 있을 정도의 높이를 가져야 한다. 그러나, 실드의 높이(h)가 증가하게 되면, 공간적인 제약이 있을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 측정치(401)는, 3상 시스템에서 종래의 전류 센서 배치 하에서, 전류 측정치의 오차율을 나타낸 것이다. 제2 측정치(402)는, 도 4의 전류 센서 배치 하에서, 전류 측정치의 오차율을 나타낸 것이다. 제3 측정치(403)는, 도 5의 전류 센서 배치 하에서, 전류 측정치의 오차율을 나타낸 것이다. 그래프의 가로축은 거리(단위는 mm)이고, 세로 축은 오차율(단위는 %)일 수 있다. 그래프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전류 센서는, 오차율 1% 내외로 전류를 비교적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전류 센서에서, 인접한 상의 버스 바의 실드를 서로 반대의 형태로 배치하는 경우, 각 버스 바에서 생성되는 자계가 서로 독립된 경로로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하는 다른 상의 실드 내부로 외부 자계가 침범하는 효과가 현저히 감소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실드의 높이(h)가 비교적 낮더라도, 외부 자계 차폐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로, 실드의 너비(W)는, 전류 센서 칩의 콘센트레이터가 포화되지 않을 정도의 너비를 가질 수 있어, 전류 센서에 측정되는 전압의 선형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제1 버스 바 110: 제1 실드
120: 제1 회로 기판 130: 제1 전류 센서 칩

Claims (28)

  1. 제1 버스 바;
    상기 제1 버스 바와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버스 바;
    상기 제1 버스 바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제1 전류 센서;
    상기 제2 버스 바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제2 전류 센서;
    제1 면, 상기 제1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2 면 및 상기 제2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고 상기 제1 면과 마주보는 제3 면을 포함하는 제1 실드; 및
    제4 면, 상기 제4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5 면 및 상기 제5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고 상기 제4 면과 마주보는 제6 면을 포함하는 제2 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드의 제2 면은, 상기 제1 버스 바의 하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실드의 제5 면은, 상기 제2 버스 바의 상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실드의 제2 면의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제1 버스 바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길이와 같거나 크고,
    상기 제2 실드의 제5 면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제2 버스 바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길이와 같거나 크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및 제2 버스 바에 전류가 흐를 방향이고,
    상기 제1 전류 센서는 상기 제1 버스 바의 상면과 접하고,
    상기 제2 전류 센서는 상기 제2 버스 바의 하면과 접하는 전류 센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드의 제2 면은, 상기 제1 버스 바의 하면과 접하고,
    상기 제2 실드의 제5 면은, 상기 제2 버스 바의 상면과 접하는 전류 센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드의 제5 면은, 상기 제1 실드의 제3 면의 말단 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전류 센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스 바는, 상기 제1 버스 바보다 위에 위치하는 전류 센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스 바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버스 바;
    상기 제3 버스 바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제3 전류 센서; 및
    제7 면, 상기 제7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8 면 및 상기 제8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고 상기 제7 면과 마주보는 제9 면을 포함하는 제3 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실드의 제8 면은, 상기 제3 버스 바의 하면 상에 배치되는 전류 센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실드의 제8 면은, 상기 제3 버스 바의 하면과 접하는 전류 센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실드의 제8 면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제3 버스 바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길이와 같거나 큰 전류 센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드의 제5 면은, 상기 제3 실드의 제7 면의 말단 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전류 센서.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스 바는, 상기 제1 버스 바 및 상기 제3 버스 바 보다 위에 위치하는 전류 센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스 바 및 상기 제2 버스 바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버스 바;
    상기 제3 버스 바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제3 전류 센서; 및
    제7 면, 상기 제7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8 면 및 상기 제8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고 상기 제7 면과 마주보는 제9 면을 포함하는 제3 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실드의 제8 면은, 상기 제3 버스 바의 상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버스 바 및 상기 제3 버스 바는, 상기 제1 버스 바를 중심으로 양 측에 배치되는 전류 센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실드의 제8 면은, 상기 제3 버스 바의 상면과 접하는 전류 센서.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실드의 제8 면의 길이는, 상기 제3 버스 바의 길이와 같거나 크고,
    상기 제3 실드의 제8 면의 길이 및 상기 제3 버스 바의 길이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측정된 값인 전류 센서.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드의 제2 면은, 상기 제3 실드의 제9 면의 말단 보다 위에 위치하는 전류 센서.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스 바는, 상기 제2 버스 바 및 상기 제3 버스 바 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전류 센서.
  16. 제1 버스 바 및 상기 제1 버스 바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제1 전류 센서;
    상기 제1 버스 바와 제1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 버스 바 및 상기 제2 버스 바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제2 전류 센서;
    상기 제2 버스 바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3 버스 바 및 상기 제3 버스 바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제3 전류 센서;
    상기 제1 버스 바의 하면을 감싸고 상기 제1 버스 바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제1 실드;
    상기 제2 버스 바의 상면을 감싸고 상기 제2 버스 바의 하면을 노출시키는 제2 실드; 및
    상기 제3 버스 바의 하면을 감싸고 상기 제3 버스 바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제3 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드의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제1 버스 바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길이와 같거나 크고,
    상기 제2 실드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제2 버스 바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길이와 같거나 크고,
    상기 제3 실드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제3 버스 바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길이와 같거나 크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내지 제3 버스 바에 전류가 흐를 방향이고,
    상기 제1 전류 센서는 상기 제1 버스 바의 상면과 접하고,
    상기 제2 전류 센서는 상기 제2 버스 바의 하면과 접하고,
    상기 제3 전류 센서는 상기 제3 버스 바의 상면과 접하는 전류 센서.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드는, 제1 면, 상기 제1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2 면 및 상기 제2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고 상기 제1 면과 마주보는 제3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실드는, 제4 면, 상기 제4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5 면 및 상기 제5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고 상기 제4 면과 마주보는 제6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실드는, 제7 면, 상기 제7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8 면 및 상기 제8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고 상기 제7 면과 마주보는 제9 면을 포함하는 전류 센서.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드의 제2 면은, 상기 제1 버스 바의 하면과 접하고,
    상기 제2 실드의 제5 면은, 상기 제2 버스 바의 상면과 접하고,
    상기 제3 실드의 제8 면은, 상기 제3 버스 바의 하면과 접하는 전류 센서.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드의 제5 면은, 상기 제1 실드의 제3 면의 말단 및 상기 제3 실드의 제7 면의 말단 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전류 센서.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스 바는, 상기 제1 버스 바 및 상기 제3 버스 바 보다 위에 위치하는 전류 센서.
  21. 삭제
  22. 제1 버스 바 및 상기 제1 버스 바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제1 전류 센서;
    상기 제1 버스 바와 이격되는 제2 버스 바 및 상기 제2 버스 바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제2 전류 센서;
    상기 제1 버스 바 및 상기 제2 버스 바와 이격되는 제3 버스 바와 상기 제3 버스 바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제3 전류 센서;
    상기 제1 버스 바의 하면을 감싸고 상기 제1 버스 바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제1 실드;
    상기 제2 버스 바의 상면을 감싸고 상기 제2 버스 바의 하면을 노출시키는 제2 실드; 및
    상기 제3 버스 바의 상면을 감싸고 상기 제3 버스 바의 하면을 노출시키는 제3 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드의 길이는, 상기 제1 버스 바의 길이와 같거나 크고,
    상기 제2 실드의 길이는, 상기 제2 버스 바의 길이와 같거나 크고,
    상기 제3 실드의 길이는, 상기 제3 버스 바의 길이와 같거나 크고,
    상기 제1 실드의 길이, 상기 제1 버스 바의 길이, 상기 제2 실드의 길이, 상기 제2 버스 바의 길이, 상기 제3 실드의 길이 및 상기 제3 버스 바의 길이는, 상기 제1 내지 제3 버스 바에 전류가 흐를 방향으로 측정된 값이고,
    상기 제1 전류 센서는 상기 제1 버스 바의 상면과 접하고,
    상기 제2 전류 센서는 상기 제2 버스 바의 하면과 접하고,
    상기 제3 전류 센서는 상기 제3 버스 바의 하면과 접하는 전류 센서.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스 바 및 상기 제3 버스 바는, 상기 제1 버스 바를 중심으로 양 측에 배치되는 전류 센서.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드는, 제1 면, 상기 제1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2 면 및 상기 제2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고 상기 제1 면과 마주보는 제3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실드는, 제4 면, 상기 제4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5 면 및 상기 제5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고 상기 제4 면과 마주보는 제6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실드는, 제7 면, 상기 제7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8 면 및 상기 제8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고 상기 제7 면과 마주보는 제9 면을 포함하는 전류 센서.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드의 제2 면은, 상기 제1 버스 바의 하면과 접하고,
    상기 제2 실드의 제5 면은, 상기 제2 버스 바의 상면과 접하고,
    상기 제3 실드의 제8 면은, 상기 제3 버스 바의 상면과 접하는 전류 센서.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드의 제2 면은, 상기 제2 실드의 제4 면의 말단 및 상기 제3 실드의 제9 면의 말단 보다 위에 위치하는 전류 센서.
  27.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스 바는, 상기 제2 버스 바 및 상기 제3 버스 바 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전류 센서.
  28. 삭제
KR1020160023927A 2016-02-29 2016-02-29 전류 센서 KR101817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927A KR101817957B1 (ko) 2016-02-29 2016-02-29 전류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927A KR101817957B1 (ko) 2016-02-29 2016-02-29 전류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427A KR20170101427A (ko) 2017-09-06
KR101817957B1 true KR101817957B1 (ko) 2018-01-12

Family

ID=59925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3927A KR101817957B1 (ko) 2016-02-29 2016-02-29 전류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79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0318B1 (ko) 2023-04-25 2023-07-27 주식회사 이지코리아 노이즈 실드형 전류센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04864A1 (de) * 2017-03-08 2018-09-13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Stromsensoranordnung und Verfahren
JP7087512B2 (ja) * 2018-03-20 2022-06-21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流センサ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1252B2 (ja) * 1993-09-10 2001-07-2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直交検波回路
JP2013250160A (ja) 2012-05-31 2013-12-12 Yazaki Corp 電流センサ
JP2013257294A (ja) 2012-06-14 2013-12-26 Yazaki Corp 電流センサ
JP2014025718A (ja) 2012-07-24 2014-02-06 Yazaki Corp 電流セン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1252B2 (ja) * 1993-09-10 2001-07-2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直交検波回路
JP2013250160A (ja) 2012-05-31 2013-12-12 Yazaki Corp 電流センサ
JP2013257294A (ja) 2012-06-14 2013-12-26 Yazaki Corp 電流センサ
JP2014025718A (ja) 2012-07-24 2014-02-06 Yazaki Corp 電流セン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0318B1 (ko) 2023-04-25 2023-07-27 주식회사 이지코리아 노이즈 실드형 전류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427A (ko) 201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6170B2 (en) Current sensor
CN107533089B (zh) 电流传感器
JP4833111B2 (ja) 電流検出器
JP6467696B2 (ja) 電流測定装置
US10969410B2 (en) Current sensor device
JP6256819B2 (ja) 電流センサ及び電流測定装置
US20180180649A1 (en) Integrated current sensor device and corresponding electronic device
KR101817957B1 (ko) 전류 센서
US9846180B2 (en) Current sensing assembly employing magnetic sensors
CN103033772A (zh) 磁阻感测组件与磁阻传感器
JP6650045B2 (ja) 電流センサ
US10634703B2 (en) Current sensor
JP2005321206A (ja) 電流検出装置
JP6234263B2 (ja) 電流センサ
JP6625588B2 (ja) 透磁部材および電流検出装置
JP4766477B2 (ja) 電流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力変換装置
JP6237525B2 (ja) 電流センサ
JP6314010B2 (ja) 電流センサ
JP6954816B2 (ja) インターフェースユニット及び半導体装置
JP2017215143A (ja) 電流検出装置
JP7242887B2 (ja) 電流検出装置
KR101871214B1 (ko)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
JP2009222696A (ja) 多相電流の検出装置
JP5622027B2 (ja) 多相電流の検出装置
JP6958301B2 (ja) インターフェースユニット及び半導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