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7722B1 - 경량화 소재의 표면 글레이징 장치 - Google Patents

경량화 소재의 표면 글레이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7722B1
KR101817722B1 KR1020160053970A KR20160053970A KR101817722B1 KR 101817722 B1 KR101817722 B1 KR 101817722B1 KR 1020160053970 A KR1020160053970 A KR 1020160053970A KR 20160053970 A KR20160053970 A KR 20160053970A KR 101817722 B1 KR101817722 B1 KR 101817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avity
steam
core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3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4277A (ko
Inventor
김인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프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프엠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프엠테크
Priority to KR1020160053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722B1/ko
Publication of KR20170124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4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6After-treatment of articles, e.g. for altering the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15Heating or cooling
    • B29C44/3419Quick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15Heating or cooling
    • B29C44/3426Heating by introducing steam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8Moulds
    • B29C44/588Moulds with means for venting, e.g. releasing foaming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60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경량화 소재의 표면 글레이징 장치는, 상호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제1 금형베이스 및 제2 금형베이스; 상기 제1 금형베이스에 장착되는 코어금형; 상기 코어금형이 내부로 인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금형베이스에 장착되는 캐비티금형; 상기 제1 금형베이스에 구비된 제1 공급라인을 통해 스팀과 냉각수를 코어금형 후방으로 각각 공급하는 제1 스팀공급관 및 제1 냉각수공급관; 상기 제2 금형베이스에 구비된 제2 공급라인을 통해 스팀과 냉각수를 캐비티금형의 내부유로로 각각 공급하는 제2 스팀공급관 및 제2 냉각수공급관; 상기 코어금형 후방을 지난 스팀과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코어 배출관; 상기 캐비티금형의 내부유로를 지난 스팀과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캐비티 배출관; 상기 코어 배출관을 개폐시키는 코어 배출밸브; 및 상기 캐비티 배출관을 개폐시키는 캐비티 배출밸브;를 포함하여, 상기 제2 스팀공급관을 통해 상기 캐비티금형의 내부유로로 스팀이 공급될 때, 상기 캐비티 배출관은 상기 캐비티 배출밸브에 의해 폐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경량화 소재의 표면 글레이징 장치{SURFACE GLAZING APPARATUS OF REDUCING WEIGHT MATTER}
본 발명은 코어금형과 캐비티금형을 이용하여 EPP 등과 같은 경량화 소재를 성형할 때 경량화 소재의 표면을 매끈하게 가공하는 글레이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저온 저압의 스팀으로도 경량화 소재의 표면을 글레이징시킬 수 있는 글레이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량화 소재는 자동차 부품, 전자 부품, 일반산업용품 등의 포장재, 단열재, 경량화 부품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소재이다.
이러한 소재로는 보통 EPP(Expanded Poly-Propylene), EPE(Expanded Poly-Ethylene), EPS(Expanded Polystyrene) 등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경량화, 충격흡수, 단열, 보온 등의 요구 특성에 부합되기 때문이다.
특히, EPP는 유연하고 깨짐성, 반복 완충성, 내약품성 등이 우수한 환경 친화적인 플라스틱 발포체로서, 주로 자동차산업 분야에서 에너지업소버(Energy Absorber), 쿠션(Cushion), 패킹(Packing), PAD, 경량화부품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전자산업 분야에서도 전자제품의 포장재로도 널리 쓰이고 있다.
이러한 EPP는 보통 발포성형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데, 이를테면 수분수축개선공정 → 금형내 원료충진 → 스팀공급 → 냉각수공급 → 제품취출 공정을 거쳐 제품화 된다. 이때, 수분수축개선공정은 성함탱크 설비를 이용해 정해진 배율의 비드(Beads)를 사전에 설정된 크기의 압력과 시간 동안 비드(Beads)내 수분과 수축을 개선하기 위한 공정이며, 원료충진 공정은 수분수축개선공정을 거친 비드를 성형기의 호퍼에 저장 후 금형의 캐비티(Cavity)측 원료공급구인 피더 건(Feeder Gun)으로 단시간에 급속으로 충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스팀공급 과정은 원료공급 후 스팀으로 금형을 가열함으로써 금형 내에 충진된 원료를 융착시키기 위한 과정으로서, 스팀 공급을 통한 캐비티금형 가열 → 코어금형 가열 → 양면가열의 순으로 구성된다. 또한 냉각수 공급은 융착된 제품을 냉각하기 위해 50~100초 동안 양면을 냉각하는 것을 말하는데, 보통 금형 뒷면 냉각수배관에서 분사되어 금형 뒷면과 금형내 캡(Cap)을 통해 직접 냉각수 분사되는 냉각형태를 갖는다.
상기 언급한 과정을 모두 거쳐 경량화 소재의 냉각이 완료되면, 코어금형과 캐비티 금형을 이격시킨 후 이젝터 핀 등을 이용하여 경량화 소재를 취출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된 종래 경량화 소재(EPP)는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여 상품성이 떨어지므로 주로 외관에 관심이 집중되지 않는 내부 포장재나 혹은 외관 품위를 크게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경량화 제품(소재)으로 사용되고 있어 사용처가 매우 제한적이다.
근래 들어 경량화 소재의 활용도가 증대되고 수요가 급증하면서 외관품위 즉, 제품 표면의 시각적, 촉각적인 디자인과 다양한 기능(예를 들면, 이음방지, 방수, 제품강도 개선 등)까지 요구하게 되는바, 최근에는 표면이 매끄럽게 가공된 즉, 표면이 글레이징 가공된 경량화 소재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때, 경량화 소재를 완성한 이후 상기 경량화 소재의 표면을 글레이징하게 되면, 하나의 경량화 소재를 제작하는데 많은 공정이 요구되고, 이에 따라 제품의 생산성 하락 및 제조비용 상승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코어금형 또는 캐비티금형으로 경량화소재를 성형한 이후 상기 코어금형 또는 캐비티금형을 고온으로 가열함으로써, 상기 경량화소재의 표면(더 명확하게는 코어금형 또는 캐비티금형과 접촉되는 면)을 글레이징하는 장치가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때, 상기 코어금형 또는 캐비티금형을 가열할 때에는 코어금형 또는 캐비티금형 내의 유로로 고온고압의 스팀을 제공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는데, 종래의 코어금형 또는 캐비티금형은 내부 유로가 외부로 개방되어 있는바, 글레이징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코어금형 또는 캐비티금형의 내부 유로에 지속적으로 고온 고압의 스팀을 제공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글레이징 장치로 경량화소재의 표면을 글레이징하는 경우에는, 코어금형 또는 캐비티금형으로 매우 높은 온도와 압력의 스팀이 공급되어야만 코어금형 또는 캐비티금형을 기준치 이상으로 가열할 수 있으므로 스팀을 생성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생산성이 떨어지고, 융착불량이 많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 글레이징 장치는 코어금형의 후면 중 어느 일측으로만 스팀을 분사하도록 구성되는바, 경량화 소재 중 스팀이 분사되는 주변만이 내부 비드가 원활하게 융착되고, 스팀이 분사되는 지점과 멀리 떨어진 부위에는 내부 비드가 정상적으로 융착되지 아니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149412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경량화 소재의 표면을 글레이징하기 위하여 금형으로 스팀을 공급할 때 압력과 온도가 낮은 스팀으로도 금형을 기준치 이상의 온도로 빠르게 가열할 수 있어 글레이징에 소요되는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경량화 소재의 내부 비드를 전체적으로 융착시킬 수 있는 경량화 소재의 표면 글레이징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경량화 소재의 표면 글레이징 장치는, 상호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제1 금형베이스 및 제2 금형베이스; 상기 제1 금형베이스에 장착되는 코어금형; 상기 코어금형이 내부로 인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금형베이스에 장착되는 캐비티금형; 상기 제1 금형베이스에 구비된 제1 공급라인을 통해 스팀과 냉각수를 코어금형 후방으로 각각 공급하는 제1 스팀공급관 및 제1 냉각수공급관; 상기 제2 금형베이스에 구비된 제2 공급라인을 통해 스팀과 냉각수를 캐비티금형의 내부유로로 각각 공급하는 제2 스팀공급관 및 제2 냉각수공급관; 상기 코어금형 후방을 지난 스팀과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코어 배출관; 상기 캐비티금형의 내부유로를 지난 스팀과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캐비티 배출관; 상기 코어 배출관을 개폐시키는 코어 배출밸브; 및 상기 캐비티 배출관을 개폐시키는 캐비티 배출밸브;를 포함하여, 상기 제2 스팀공급관을 통해 상기 캐비티금형의 내부유로로 스팀이 공급될 때, 상기 캐비티 배출관은 상기 캐비티 배출밸브에 의해 폐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캐비티 배출관 중 상기 캐비티 배출밸브가 설치된 지점보다 선단측으로부터 분기되는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을 일정 비율로 개방시키는 압력유지밸브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스팀공급관을 통해 상기 코어금형의 후방으로 스팀이 공급되는 동안에는 상기 캐비티 배출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티금형의 내부유로로 스팀이 공급되고,
상기 코어금형 후방으로의 스팀 공급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캐비티 배출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티금형의 내부유로로 스팀이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공급라인의 출구단에는 둘 이상의 분사관이 구비되되, 상기 둘 이상의 분사관은 분사방향이 상이하도록 배열되어, 상기 코어금형의 후면에 스팀이 고르게 분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스팀공급관을 통해 상기 코어금형의 후방으로 스팀이 공급될 때, 상기 코어 배출관은 상기 코어 배출밸브에 의해 폐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캐비티금형의 내부유로로 냉각수가 공급될 때, 상기 코어금형의 후방으로도 냉각수가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코어금형 후방으로 공급되는 스팀은 3.2 bar ~ 4 bar의 압력값을 가지며, 공급시간이 20~50초로 설정된다.
상기 캐비티금형의 내부유로로 공급되는 스팀은 7bar 이상의 압력값을 갖도록 설정되며, 상기 캐비티금형이 150℃ 이상으로 가열될 때까지 공급된다.
상기 캐비티금형은 내측판과 외측판이 적층구조로 결합되되 상기 외측판 중 상기 내측판을 향하는 면에 복수 개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내부유로는 상기 내측판과 외측판 사이에 마련된다.
본 발명에 의한 경량화 소재의 표면 글레이징 장치를 이용하면, 경량화 소재의 표면을 글레이징하기 위하여 금형으로 스팀을 공급할 때 압력과 온도가 낮은 스팀으로도 금형을 기준치 이상의 온도로 빠르게 가열할 수 있어 글레이징에 소요되는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경량화 소재의 내부 비드를 전체적으로 고르게 융착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경량화 소재의 표면 글레이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코어금형의 후방에 제1 공급라인이 장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경량화 소재의 표면 글레이징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경량화 소재의 표면 글레이징 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경량화 소재의 표면 글레이징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코어금형의 후방에 제1 공급라인이 장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경량화 소재의 표면 글레이징 장치는, 코어금형과 캐비티금형 사이로 탄성폼 등과 같은 경량화 소재 원료를 주입하여 금형에 형합하는 형상의 경량화 소재를 제작할 때, 금형의 내부유로에 스팀을 공급하여 상기 금형을 기준치 이상으로 가열함으로써 경량화 소재의 표면을 글레이징시키되, 금형의 내부유로로 공급된 스팀이 곧바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 시간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금형의 내부유로 출구측을 일정 비율 폐쇄시킨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금형의 내부유로 출구측이 폐쇄된 상태에서 스팀이 공급되도록 구성되면, 스팀의 압력과 온도가 매우 높지 아니하더라도 금형을 기준치 이상으로 가열할 수 있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경량화 소재의 표면을 매끄럽게 가공하기 위한 글레이징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제1 금형베이스(100) 및 제2 금형베이스(200)와, 상기 제1 금형베이스(100)에 장착되는 코어금형(300)과, 상기 코어금형(300)이 내부로 인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금형베이스(200)에 장착되는 캐비티금형(400)과, 상기 제1 금형베이스(100)에 구비된 제1 공급라인(110)을 통해 스팀과 냉각수를 코어금형(300) 후방으로 각각 공급하는 제1 스팀공급관(510) 및 제1 냉각수공급관(520)과, 상기 제2 금형베이스(200)에 구비된 제2 공급라인(210)을 통해 스팀과 냉각수를 캐비티금형(400)의 내부유로(410)로 각각 공급하는 제2 스팀공급관(530) 및 제2 냉각수공급관(540)과, 상기 코어금형(300) 후방을 지난 스팀과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코어 배출관(610)과, 상기 캐비티금형(400) 내부유로(410)를 지난 스팀과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캐비티 배출관(620)을 구비한다. 이때, 코어 배출관(610)은 코어 배출밸브(612)에 의해 개폐되고, 캐비티 배출관(620)은 캐비티 배출밸브(622)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경량화 소재(10)를 제조할 때에는, 코어금형(300)과 캐비티금형(400) 사이로 경량화 소재(10)의 원료를 충진 및 가압한 후, 상기 코어금형(300) 후방으로 스팀을 공급하여 상기 경량화 소재(10)의 내부 비드를 융착시킨다. 경량화 소재(10)의 내부 비드 융착이 완료되면 캐비티금형(400)의 내부유로(410)로 스팀을 공급하여 상기 경량화 소재(10)의 외측면 중 상기 캐비티금형(400)과 접촉된 면을 글레이징시키는데, 본 발명에 의한 경량화 소재(10) 의 표면 글레이징 장치를 이용하면 경량화 소재(10)의 외측면을 글레이징시키기 위하여 캐비티금형(400)의 내부유로(410)로 스팀을 공급할 때 캐비티금형(400)의 내부유로(410)와 연결된 캐비티 배출관(620)을 폐쇄시켜 캐비티금형(400)의 내부유로(410)로 공급된 스팀이 압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캐비티금형(400)의 내부유로(410)로 공급된 스팀이 외부로 배출되지 아니하고 압축되도록 구성되면, 상기 캐비티금형(400)으로 공급하는 스팀이 매우 높은 압력과 온도를 가지지 아니하더라도 스팀 공급이 일정 시간 지속되었을 때 캐비티금형(400) 내부유로(410)의 스팀압력 및 온도가 점차적으로 상승하는바, 상기 캐비티금형(400)이 충분히 높은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압력과 온도가 매우 높은 스팀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데,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경량화 소재(10) 표면 글레이징 장치를 이용하면 압력과 온도가 낮은 스팀으로도 경량화 소재(10)의 글레이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만큼 캐비티금형(400)을 가열할 수 있으므로, 스팀을 생성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스팀 생성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면 경량화 소재(10)를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제조비용도 절감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캐비티금형(400)의 후방이 개방되어 있으면 상기 캐비티금형(400)의 내부유로(410)로 고온 고압의 스팀을 공급하더라도 캐비티금형(400)이 빠르게 가열되지 못하므로, 경량화 소재(10) 생산성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경량화 소재의 표면 글레이징 장치를 이용하면, 캐비티금형(400)의 내부유로(410) 후단을 밀폐시킨 상태에서 스팀을 공급하는바, 캐비티금형(400)을 빠르게 가열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경량화 소재(10) 생산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코어금형(300)과 캐비티금형(400) 사이로 경량화 소재(10)의 원료를 충진시키는 제1 단계와, 코어금형(300)과 캐비티금형(400) 사이에 충진된 경량화 소재(10)의 원료를 가압하여 일정 수준의 강도를 형성하는 제2 단계는, 종래의 경량화 소재(10) 사출공정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캐비티금형(400) 내의 스팀이 배출되는 캐비티 배출관(620)이 완전히 밀폐되어 있으면 캐비티금형(400)의 내부유로(410)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여 상기 캐비티금형(400)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캐비티 배출관(620) 중 캐비티 배출밸브(622)가 설치된 지점보다 선단측(본 실시예에서는 상측)으로부터 분기되는 분기관(630)이 추가로 마련되고, 상기 분기관(630)에는 분기관(630) 유로를 일정 비율로 개방시키는 압력유지밸브(632)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압력유지밸브(632)는 분기관(630)을 완전히 밀폐시키는 것이 아니라 사전에 설정된 비율만큼 미세하게 개방시키도록 구성되는바, 상기 캐비티금형(400)의 내부유로(410) 압력은 설정범위 이내로 유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캐비티금형(400)이 과도한 내부압에 의해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력유지밸브(632)의 분기관(630) 개방비율이 너무 높으면 캐비티금형(400)의 내부유로(410)에 스팀이 충분히 압축되지 못하여 캐비티금형(400)이 정상적으로 가열되지 못하는바, 상기 압력유지밸브(632)의 분기관(630) 개방비율은 스팀의 압력 및 분기관(630)의 규격 등 여러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캐비티금형(400)으로 스팀이 공급되었을 때 상기 캐비티금형(400)이 보다 빠르게 가열될 수 있도록, 코어금형(300)을 가열하는 동안 캐비티금형(400)을 예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 스팀공급관(510)을 통해 상기 코어금형(300)의 후방으로 스팀이 공급되는 동안, 상기 캐비티 배출관(620)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캐비티금형(400)의 내부유로(410)로 스팀을 공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캐비티금형(400)이 예열되는 과정이 선행되면, 캐비티금형(400)을 글레이징 온도까지 가열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경량화 소재(10)의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캐비티 배출관(620)이 개방된 상태에서 캐비티금형(400) 내부유로(410)로 스팀을 공급하는 캐비티금형(400) 예열과정이 선행되면, 상기 캐비티금형(400)의 내부유로(410)로 스팀을 공급하기 시작할 때 내부유로(410) 내벽에 발생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물론, 코어금형(300) 후방으로 스팀이 공급되어 경량화 소재(10)의 내부 비드 융착이 완료된 이후 상기 경량화 소재(10)의 외측면을 글레이징하기 위한 목적으로 캐비티금형(400)에 스팀을 공급할 때에는, 상기 캐비티금형(400)을 효과적으로 가열시킬 수 있도록 상기 캐비티 배출관(620)이 폐쇄되어야 할 것이다.
캐비티금형(400)으로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여 경량화 소재(10)의 표면을 글레이징 시킨 이후에는, 제2 냉각수 공급관을 개방시겨 캐비티금형(400)의 내부유로(410)로 냉각수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캐비티금형(400)을 냉각시키고, 코어금형(300)과 캐비티금형(400) 사이에 위치하는 경량화 소재(10)를 취출하는데, 캐비티금형(400) 냉각 및 경량화 소재(10) 취출 과정에 대해서는 이하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에 포함되는 캐비티금형(400)은 내측판과 외측판이 적층구조로 결합되되 상기 외측판 중 상기 내측판을 향하는 면에 복수 개의 돌출부(432)가 형성되어, 상기 내부유로(410)가 상기 내측판과 외측판 사이에 마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캐비티금형(400)이 구성되면, 별도의 드릴공정을 수행하지 아니하더라도 내부유로(410)가 마련될 수 있으므로, 캐비티금형(400) 제작이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내부유로(410)는 돌출부(432)의 형성위치에 따라 결정되는바,
또한, 상기와 같이 내측판과 외측판이 하나의 캐비티금형(400)을 이루도록 구성되면, 내측판과 외측판 중 어느 하나가 손상되었을 때 손상된 부품만을 교체하고 나머지 부품은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유지비용이 절감된다는 장점도 얻을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경량화 소재의 표면 글레이징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경량화 소재의 표면 글레이징 장치를 이용하여 경량화 소재(10)를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금형(300)과 캐비티금형(400) 사이에 경량화 소재(10)의 원료를 충진하고 제2 금형베이스(200)를 이동시켜 코어금형(300)과 캐비티금형(400) 사이의 경량화 소재(10)를 압축시킨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팀공급관(510)을 개방시켜 제1 공급라인(110)을 통해 코어금형(300) 후방(더 명확하게는 코어금형(300)과 코어백판(310) 사이의 공간)으로 스팀을 공급함으로써, 경량화 소재(10)의 내부 비드를 융착시킨다. 이때, 코어금형(300)의 후방으로 공급되는 스팀은 글레이징을 위한 것이 아니라 경량화 소재(10)의 내부 비드를 융착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과도하게 높은 압력을 가질 필요가 없고, 공급시간도 과도하게 길게 확보될 필요가 없다. 즉, 코어금형(300)의 후방으로 공급되는 스팀은 3.2 bar ~ 4 bar의 압력값을 가지며 20~50초 동안 공급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코어금형(300)의 후방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제1 공급라인(110)의 출구단에 둘 이상의 분사관(112)이 형성되는바, 상기 제1 공급라인(110)을 통해 공급되는 스팀은 코어금형(300)의 후면 전체에 걸쳐 고르게 분사된다. 종래와 같이 코어금형(300)의 후면 중 어느 한 부위로만 스팀이 공급되면 해당 부위의 경량화 소재(10) 비드만이 원활하게 융착되고, 스팀이 공급되는 지점과 멀리 떨어진 부위에서는 경량화 소재(10)의 비드가 원활하게 융착되지 못할 우려가 있지만,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급라인(110)의 출구단에 둘 이상으로 분사관(112)이 구비되면 코어금형(300)의 후면에 스팀이 고르게 분사되어 가열되므로 경량화 소재(10)의 각 부위 내부 비드가 원활하게 융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공급라인(110)의 출구단에 한 쌍의 분사관(112)이 상하로 배열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분사관(112)의 개수 및 배열방향은 여러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코어금형(300)의 후방으로 스팀을 공급시킬 때, 코어 배출밸브(612)를 조작하여 상기 코어 배출관(610)을 폐쇄시킴으로써 상기 코어금형(300)이 보다 빠르게 고온으로 가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코어 배출관(610)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코어금형(300) 후방으로 스팀을 공급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캐비티 배출밸브(622)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캡비티금형의 내부유로(410)로 스팀을 공급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효과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경량화 소재(10)의 내부 비드 융착이 완료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 배출밸브(622)를 조작하여 캐비티 배출관(620)을 밀폐시킨 상태에서 제2 스팀공급관(530)을 개방시켜 캐비티금형(400)의 내부유로(410)로 스팀을 공급함으로써, 경량화 소재(10)의 외측면(본 실시예에서는 우측면)을 글레이징한다. 이와 같이 제2 캐비티 배출관(620)을 밀폐시킨 상태에서 캐비티금형(400)의 내부유로(410)로 스팀을 공급하는 경우, 공급되는 스팀의 온도와 압력이 매우 높지 아니하더라도 캐비티금형(400) 내부유로(410)의 스팀이 압축되어 고온 고압 상태가 되는바, 캐비티금형(400)이 충분히 높은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즉, 상기 캐비티금형(400)의 내부유로(410)로 공급되는 스팀은 7bar 이상의 압력값을 갖는다면 캐비티금형(400)을 150℃ 이상으로 충분히 가열시킬 수 있게 된다.
이후, 경량화 소재의 표면 글레이징이 완료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냉각수공급관(540)을 개방시켜 캐비티금형(400)의 내부유로(410)로 냉각수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캐비티금형(400)을 냉각시킨다. 이때, 상기 캐비티금형(400)의 내부유로(410)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동안, 상기 코어 배출밸브(612)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코어금형(300)의 후방으로 냉각수를 공급하여 코어금형(300)도 냉각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캐비티금형(400)과 코어금형(300)이 동시에 냉각되면 경량화 소재(10)의 생산성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금형의 냉각이 완료되면 제2 금형베이스(200)를 이동시켜 경량화 소재(10)를 취출하여 모든 공정을 완료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제2 금형베이스(200)가 이동측 금형베이스이고 제1 금형베이스(100)가 고정측 금형베이스인 경우만을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제2 금형베이스(200)가 고정측 금형베이스가 되고 제1 금형베이스(100)가 이동측 금형베이스가 되도록 바뀔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경량화 소재 100 : 제1 금형베이스
110 : 제1 공급라인 200 : 제2 금형베이스
210 : 제2 공급라인 300 : 코어금형
310 : 코어백판 400 : 캐비티금형
410 : 내부유로 420 : 내측판
430 : 외측판 510 : 제1 스팀공급관
520 : 제1 냉각수공급관 530 : 제2 스팀공급관
540 : 제2 냉각수공급관 610 : 코어 배출관
612 : 코어 배출밸브 620 : 캐비티 배출관
622 : 캐비티 배출밸브 630 : 분기관
632 : 압력유지밸브

Claims (9)

  1. 상호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제1 금형베이스 및 제2 금형베이스;
    상기 제1 금형베이스에 장착되는 코어금형;
    상기 코어금형이 내부로 인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금형베이스에 장착되는 캐비티금형;
    상기 제1 금형베이스에 구비된 제1 공급라인을 통해 스팀과 냉각수를 코어금형 후방으로 각각 공급하는 제1 스팀공급관 및 제1 냉각수공급관;
    상기 제2 금형베이스에 구비된 제2 공급라인을 통해 스팀과 냉각수를 캐비티금형의 내부유로로 각각 공급하는 제2 스팀공급관 및 제2 냉각수공급관;
    상기 코어금형 후방을 지난 스팀과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코어 배출관;
    상기 캐비티금형의 내부유로를 지난 스팀과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캐비티 배출관;
    상기 코어 배출관을 개폐시키는 코어 배출밸브;
    상기 캐비티 배출관을 개폐시키는 캐비티 배출밸브;
    를 포함하여,
    상기 제2 스팀공급관을 통해 상기 캐비티금형의 내부유로로 스팀이 공급될 때, 상기 캐비티 배출관은 상기 캐비티 배출밸브에 의해 폐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소재의 표면 글레이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배출관 중 상기 캐비티 배출밸브가 설치된 지점보다 선단측으로부터 분기되는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을 일정 비율로 개방시키는 압력유지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소재의 표면 글레이징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팀공급관을 통해 상기 코어금형의 후방으로 스팀이 공급되는 동안에는 상기 캐비티 배출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티금형의 내부유로로 스팀이 공급되고,
    상기 코어금형 후방으로의 스팀 공급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캐비티 배출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티금형의 내부유로로 스팀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소재의 표면 글레이징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급라인의 출구단에는 둘 이상의 분사관이 구비되되, 상기 둘 이상의 분사관은 분사방향이 상이하도록 배열되어,
    상기 코어금형의 후면에 스팀이 고르게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소재의 표면 글레이징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팀공급관을 통해 상기 코어금형의 후방으로 스팀이 공급될 때, 상기 코어 배출관은 상기 코어 배출밸브에 의해 폐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소재의 표면 글레이징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금형의 내부유로로 냉각수가 공급될 때, 상기 코어금형의 후방으로도 냉각수가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소재의 표면 글레이징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금형 후방으로 공급되는 스팀은 3.2 bar ~ 4 bar의 압력값을 가지며, 공급시간이 20~50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소재의 표면 글레이징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금형의 내부유로로 공급되는 스팀은 7bar 이상의 압력값을 갖도록 설정되며, 상기 캐비티금형이 150℃ 이상으로 가열될 때까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소재의 표면 글레이징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금형은 내측판과 외측판이 적층구조로 결합되되 상기 외측판 중 상기 내측판을 향하는 면에 복수 개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내부유로는 상기 내측판과 외측판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소재의 표면 글레이징 장치.
KR1020160053970A 2016-05-02 2016-05-02 경량화 소재의 표면 글레이징 장치 KR101817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970A KR101817722B1 (ko) 2016-05-02 2016-05-02 경량화 소재의 표면 글레이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970A KR101817722B1 (ko) 2016-05-02 2016-05-02 경량화 소재의 표면 글레이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277A KR20170124277A (ko) 2017-11-10
KR101817722B1 true KR101817722B1 (ko) 2018-01-12

Family

ID=60386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3970A KR101817722B1 (ko) 2016-05-02 2016-05-02 경량화 소재의 표면 글레이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77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92381A (zh) * 2020-06-16 2020-08-28 淄博汉青陶瓷有限公司 一种高温釉中彩的烧制工艺
CN111890620A (zh) * 2020-08-07 2020-11-06 江西科技学院 多孔轻质光催化材料的制备装置及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828B1 (ko) 2010-02-08 2011-05-13 주식회사 대부 열융착성형제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표면처리장치
KR101358336B1 (ko) 2013-12-12 2014-02-06 주식회사 제이 티 Eps/epp 포장재의 그레이징 성형 장치 및 방법
KR101400927B1 (ko) 2013-12-12 2014-05-29 주식회사 제이 티 Eps/epp 포장재 성형장치용 그레이징 배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828B1 (ko) 2010-02-08 2011-05-13 주식회사 대부 열융착성형제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표면처리장치
KR101358336B1 (ko) 2013-12-12 2014-02-06 주식회사 제이 티 Eps/epp 포장재의 그레이징 성형 장치 및 방법
KR101400927B1 (ko) 2013-12-12 2014-05-29 주식회사 제이 티 Eps/epp 포장재 성형장치용 그레이징 배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277A (ko) 201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2897B1 (ko) 사출 성형방법
JPS63222835A (ja) 把手付き延伸ブロ−プラスチツクボトルの製造方法
KR101817722B1 (ko) 경량화 소재의 표면 글레이징 장치
KR101149412B1 (ko) 경량화 소재의 표면 글레이징 성형방법
KR101134489B1 (ko) 발포성형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200067184A (ko) 발포 성형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816194B1 (ko) 경량화 소재의 표면 글레이징 공법
KR102208410B1 (ko) 블로우 몰딩 방법 및 장치
US9802729B2 (en) Blow molding method, blow mold, and blow-molded container
US9643343B2 (en) Method for molding recycled EPS using powder adhesive and steam
KR101613188B1 (ko)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품 성형방법
KR102173562B1 (ko)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포성형물 제조방법
KR200469394Y1 (ko) 사출성형용 금형
KR101328746B1 (ko) 발포 스티로폼 외장재 성형 방법
KR101278133B1 (ko) 이종배율 발포 성형장치 및 방법
CN111055473A (zh) 一种epp表皮塑化还原成型工艺
JPH11138575A (ja) 高密度のスキン層を持つ成形体の製造方法
JP7372091B2 (ja) ブロー成形方法
TWI623403B (zh) 射出成型之注料方法及其物品
KR101830259B1 (ko) 셔틀 그레이징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포성 소재의 표면 그레이징 성형방법
US10220553B2 (en) Method of making an item and item
KR20180048269A (ko) 셔틀 그레이징 성형장치
CN107257726A (zh) 用于制造多腔室容器的方法、组件、系统和中间阶段预组装的多腔室容器
KR20150030477A (ko) 냉장고의 진공성형방법
JPS62271729A (ja) 発泡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