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7319B1 - 향 발산 폴리에스터 단섬유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향 발산 폴리에스터 단섬유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7319B1
KR101817319B1 KR1020160046690A KR20160046690A KR101817319B1 KR 101817319 B1 KR101817319 B1 KR 101817319B1 KR 1020160046690 A KR1020160046690 A KR 1020160046690A KR 20160046690 A KR20160046690 A KR 20160046690A KR 101817319 B1 KR101817319 B1 KR 101817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incense
product
fibers
spin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9050A (ko
Inventor
박용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앤피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앤피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앤피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1020160046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319B1/ko
Publication of KR20170119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4/00Graft polymerisation of monomers contain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n to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4/02Graft polymerisation of monomers contain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n to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on to materials of natural origin
    • D06M14/04Graft polymerisation of monomers contain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n to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on to materials of natural origin of vegetal origin, e.g. 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0Physical 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i.e. d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before the filaments have been collected
    • D01D10/02Heat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02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spraying or projec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04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yarns, thread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3/00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D06M23/12Processes in which the treating agent is incorporated in microcapsu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16Synthetic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30Synthetic polymers consisting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2101/32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4Floor or wall coverings; Carp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 발산 폴리에스터 단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폴리에스터계 수지를 일정 온도에서 방사하여 미연신사를 형성하는 방사공정(S10)과; 방사된 미연신사를 일정 연신비로 연신하여 연신사를 형성하되, 물이 담수된 베스에 향발산물을 일정 배율로 첨가하여 희석하고 상기 연신사를 침지하여 향캡슐볼(110)을 딥 코팅하는 1차코팅공정(S20)과; 향캡슐볼(110)이 1차코팅 된 섬유를 압축하여 크림프를 형성하는 크림핑공정(S30)과; 크림프가 형성된 섬유에 향발산물을 직접 분사하여 향캡슐볼(110)을 재차 코팅하는 2차코팅공정(S40)과; 2차코팅 된 섬유에 80~120℃의 열풍을 분사하여 크림프 및 향발산물을 열고정하고 섬유를 건조하는 열처리공정(S50)과; 건조된 섬유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폴리에스터 단섬유(100)를 제조하는 커팅공정(S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향발산물질을 단섬유 자체에 효과적으로 고착시킴으로써 섬유제품의 소재로 사용 시 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향 발산 폴리에스터 단섬유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OF AROMA DIFFUSING POLYESTER STAPLE FIBER AND ITSELF}
본 발명은 향 발산 폴리에스터 단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에스터 수지를 이용해 단섬유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향발산물을 단섬유 자체에 효과적으로 고착시킴으로써 섬유제품의 소재로 사용 시 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할 수 있도록 하는 향 발산 폴리에스터 단섬유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섬유(Staple fiber)는 목화나 양모와 같이 길이가 짧은 섬유를 칭한다. 합성섬유의 경우 길이를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으나 대체로 25~39mm이하의 길이로 절단 형성한 것을 단섬유로 분류한다.
이와 같이 단섬유는 길이가 짧아 그 자체로는 직물 제직용 실로는 사용할 수가 없으므로 주로 솜의 형태로 만들어 사용하거나, 또는 단섬유 여러 가닥을 합치는 방사 또는 꼬임을 가하는 방적, 및 방적사를 혼합하는 혼방사의 형태의 실로 제사하여 직물원단 제직에 사용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합성섬유인 폴리에스터 섬유 역시 단섬유에 속한다.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의 축합중합체와 같은 폴리에스터를 방사하여 형성하는데 내산성, 내알칼리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용도의 제품 소재로 폭넓게 활용되고 있으며, 천연섬유인 양모와 성질이 흡사하여 양모 혼방용으로도 널리 이용된다.
특히, 상기 폴리에스터 단섬유의 경우 고내구성, 내구김성과 같은 섬유 자체 특성을 활용하여 이를 소재로 하는 섬유제품에 반영함으로써 제품의 사용목적 및 용도에 적합한 기능성을 부여하기도 한다.
아울러, 근자에 들어서는 각종 섬유 가공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섬유 자체의 특성뿐만 아니라 직물로 제직된 후에 실시하는 후가공 공정에 의해 방수, 흡습, 방염, 방오, 대전방지 등의 각종 기능성을 부여하고 있다.
더불어, 최근 환경오염의 심화와 함께 건강이나 미용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를 반영하여 특히 일상 생활에서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는 섬유제품에 인체에 유익한 것으로 알려진 각종 성분을 함유시킴으로써 자연 친화적인 섬유제품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신체적, 심리적 안정감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관련 기술의 개발 역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예컨대, 직물에 각종 기능성 물질을 코팅하여 원적외선 방사, 항균, 방취, 발향과 같은 기능성을 부여하는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기능성 섬유제품이 제조되고 있으며, 등록실용신안 제20-0293826호와 같이 통상의 직물 원단의 일면에 향이 혼합된 폴리우레탄을 코팅하여 향이 발산되는 직물원단이나, 등록실용신안 제20-0387786호와 같이 원단의 상,하면에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물질로 이루어진 방사물질 도포부가 일정 간격을 이루는 격자 형태로 각각 형성되는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기능성 섬유원단의 구성이 공지된 바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 20 - 0293826 호 등록실용신안 제 20 - 0387786 호 등록특허 제 10 - 0755019 호 등록특허 제 10 - 0526362 호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향이 발산되는 직물원단 및 원적외선 방사 원단은 직물의 표면에 기능성 물질을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향 발산 기능성 또는 원적외선 방사 기능성이 부여된 직물을 형성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상기 예로든 종래 기술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기능성 섬유제품은 직물원단에 부여된 기능성이 최종 제품의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수단이 되므로 상기와 같이 직물원단에 코팅된 기능성 유발 물질의 지속성을 장기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대한 기술적 사안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과 같이 직물이 완성된 상태에서 외부에 기능성 물질을 코팅하는 방식에 의한 기능성 부여 방식은 직물을 원단으로 하여 제조된 최종 제품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반복적인 외부 자극에 쉽게 노출된다. 이와 같은 물리적, 화학적 마모 요인은 직물 표면에 코팅된 기능성 물질이 직물에서 쉽게 손실될 가능성이 높아 해당 기능성의 상실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상기 종래 기술의 향이 발산되는 직물원단의 경우 의류 등의 제품으로 사용 시 향을 유발하는 기능성 물질이 도포된 코팅층이 마찰 등에 의해 쉽게 마모, 손실될 수 있어 향을 장기간 지속할 수 없는 등의 문제를 내포하게 된다.
이는 결국, 기능성 제품의 사용수명을 단축시키는 가장 큰 원인이 되어 품질에 대한 신뢰도를 실추시킴은 물론이고, 기능성 제품이 일반 제품에 비해 제품원가가 높은 점은 감안하면 생산자 및 소비자 모두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제직이 완료된 직물에 기능성 물질을 도포하기 위한 후가공 공정을 추가적으로 실시함에 따른 공정의 비효율화가 초래됨은 물론, 예기치 않은 불량품의 발생 시 손실률이 높아질 수 있는 등의 또 다른 위험 부담을 내포하게 되는 실정이다.
특히, 대표적인 합성섬유인 폴리에스터 단섬유의 경우 직물 제직용 실로 형성하지 않은 상태인 단섬유 자체로도 다양한 용도의 제품 소재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직물이 아닌 단섬유 상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자연 친화적인 섬유제품의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기능성 부여 기술에 관한 연구가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폴리에스터계 수지를 일정 온도에서 방사하여 미연신사를 형성하는 방사공정(S10)과;
상기 방사된 미연신사를 일정 연신비로 연신하여 연신사를 형성하되, 물이 담수된 베스에 향발산물을 일정 배율로 첨가하여 희석하고 상기 연신사를 침지하여 향캡슐볼(110)을 딥 코팅하는 1차코팅공정(S20)과;
상기 향캡슐볼(110)이 1차코팅 된 섬유를 압축하여 크림프를 형성하는 크림핑공정(S30)과;
상기 크림프가 형성된 섬유에 향발산물을 직접 분사하여 향캡슐볼(110)을 재차 코팅하는 2차코팅공정(S40)과;
상기 2차코팅 된 섬유에 80~120℃의 열풍을 분사하여 크림프 및 향발산물을 열고정하고 섬유를 건조하는 열처리공정(S50)과;
상기 건조된 섬유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폴리에스터 단섬유(100)를 제조하는 커팅공정(S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향발산물을 단섬유 자체에 효과적으로 고착시킴으로써 각종 섬유제품의 소재로 사용 시 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인체에 유익한 각종 향을 발산하는 기능성 단섬유를 제조하기 위해서 직물 이전 단계, 즉 단섬유의 제조과정에서 향발산물을 섬유의 내·외 조직상에 고착시킴으로써 향의 지속성을 더욱 확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직물 제품에 기능성을 부여하는 방식인 각종 기능성 물질을 원단이 되는 직물 표면에 코팅하여 원적외선 방사, 항균, 방취, 및 발향과 같은 기능성을 부여하는 기술과 차별하여 직물 상태에서 후가공과 같은 추가적인 공정을 실시하지 않고, 소재 단계인 폴리에스터 단섬유의 일반적인 제조 공정상에서 향발산물질의 고착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공정의 효율화를 도모하고 생산 비용의 절감 등의 효과를 유발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특히, 원료가 저렴하고 섬유특성이 범용성을 지니고 있는 폴리에스터 단섬유의 경우 이미 의류 및 비의류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소재로 사용되고 있고 무한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본 발명을 통해 예컨대, 아로마 및 피톤치드와 같은 건강에 유익한 향 발산 기능성을 부여함으로써 종래 합성섬유에서는 기대할 수 없었던 자연 친화적인 효능을 발휘하는 고품질의 섬유제품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해 다양한 향 원료 물질이 적용된 향 발산 폴리에스터 단섬유를 제조함으로써 카페트나 침구류의 충전재와 같은 일상 생활소재 및 부직포나 자동차 내장재 등 산업소재에 활용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부합하는 섬유제품을 제공하고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향 발산 폴리에스터 단섬유의 제조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향 발산 폴리에스터 단섬유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향 발산 폴리에스터 단섬유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향 발산 폴리에스터 단섬유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향 발산 폴리에스터 단섬유의 제조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향 발산 폴리에스터 단섬유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향 발산 폴리에스터 단섬유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향 발산 폴리에스터 단섬유의 제조방법은 대표적인 합성섬유인 폴리에스터 단섬유(100)를 제조하되, 폴리에스터 수지를 이용해 단섬유(100)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향발산물을 단섬유(100) 자체에 효과적으로 고착시키도록 구성함에 따라 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할 수 있는 향 발산 폴리에스터 단섬유(100)의 제공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향 발산 폴리에스터 단섬유의 제조방법은 크게 방사공정(S10)과, 1차코팅공정(S20)과, 크림핑공정(S30)과, 2차코팅공정(S40)과, 열처리공정(S50), 및 커팅공정(S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개별 공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방사공정(S10)은 폴리에스터계 수지를 일정 온도에서 방사하여 미연신사를 형성하는 공정이다.
열가소성 고분자 중합체인 폴리에스터계 수지를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방사구금을 통해 압출하고 냉각 및 고화시켜 미연신사를 형성한다.
상기 1차코팅공정(S20)은 방사된 미연신사를 일정 연신비로 연신하여 연신사를 형성하되, 물이 담수된 베스(Bath)에 향발산물을 일정 배율로 첨가하여 희석하고 상기 연신사를 침지하여 향캡슐볼(110)을 딥 코팅하는 공정이다.
상기 1차코팅공정(S20)에서는 우선, 미연신사를 약 4~4.5배의 연신비로 연신하면서 섬유구조상에 배향화와 결정화를 발현시켜 강도가 부여된 연신사를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연신사를 베스로 직송하여 물에 희석된 향발산물에 침지하게 되는데, 상기 향발산물은 향 원료 물질을 유기캡슐로 봉인하여 형성되는 향캡슐볼(110)과 물을 1:1 내지 1:100의 중량비로 희석한 제1첨가물과, 향고착제와 물을 1:1 내지 1:100의 중량비로 희석한 제2첨가물과, 촉매제와 물을 1:1 내지 1:100의 중량비로 희석한 제3첨가물을 1:1:1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향캡슐볼(110)은 특정 물질을 미시적인 크기로 포장, 봉인하는 캡슐화 기술에서 착안된 것으로 이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의약품 분야에서 주지된 관련 기술을 참고하면 될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기 향캡슐볼(110)은 천연 또는 합성고분자 물질을 이용해 캡슐형태로 형성된 벽재물질(Wall material)의 내부에 아로마나 피톤치드 등의 다양한 향 원료 물질을 봉인하는 캡슐형태의 볼로 형성한 것으로 수분, 광, 마찰 등의 각종 촉매요인에 의해 벽재물질이 서서히 분해되면서 향 원료 물질이 외부로 발산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향 원료 물질로 예시한 아로마는 식물에서 추출한 정유성분의 물질로서 약용이나 향료의 원료로 사용되며 최근에는 자연요법의 일환으로 의료 및 미용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아로마 테라피는 향기를 이용해 몸과 마음의 균형을 회복시켜 인체에 긍정적인 작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대체의학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상기 피톤치드는 자연 항균 물질로써 피톤치드의 주성분인 테르펜에는 숲 속 향과 같은 향을 발산하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스트레스 저감, 및 살균효과를 유발하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어 향 원료 물질로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예로 든 아로마나 피톤치드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익한 영향을 미치는 유효성분을 함유한 다양한 향 원료 물질을 향캡슐볼(110)에 봉인한 후 향발산물을 형성하여 폴리에스터 단섬유(100)에 고착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 단섬유(100)를 소재로 제조된 섬유제품의 사용 과정에서 향 원료 물질의 향 및 유효성분의 점진적인 발산에 따른 효능을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도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향캡슐볼(110)은 직경에 따라 마이크로 및 나노 크기의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며 크기가 작을수록 향의 지속성을 확대할 수 있으나 그에 따른 고도의 기술이 요구되므로 폴리에스터 단섬유(100)의 섬유조직 특성을 고려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첨가물은 향캡슐볼(110)을 1:1 내지 1:100의 중량비로 물에 희석하여 향의 농도를 조절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향이 변질되거나 옅어져 향으로서의 유효 기능을 상실하게 되므로 해당 범위에서 배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고착제는 아크릴산에스터공중합체와 부틸아크릴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폴리에스터 단섬유(100)와 향캡슐볼(110)의 중합사슬 사이에서 가교 역할을 함으로써 섬유조직에 향캡슐볼(110)을 안정적으로 고착 및 코팅시켜준다.
상기 제2첨가물 역시 향고착제를 1:1 내지 1:100의 중량비로 물에 희석하여 농도를 조절해주며,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인체에 자극을 주거나 코팅 기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해당 범위에서 배합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3첨가물로써 촉매제와 물을 1:1 내지 1:100의 중량비로 희석하여 추가로 첨가함으로써 코팅 과정에서 열에 의해 향캡슐볼(110) 및 향고착제가 탈락하는 현상을 방지하고 코팅 효율을 더욱 배가하도록 한다. 촉매제는 통상의 열경화제를 응용하면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1차코팅공정(S20)에서는 물에 제1첨가물과 제2첨가물, 및 제3첨가물을 1:1:1의 중량비로 배합한 향발산물을 첨가한 베스에 연신사를 침지하여 향캡슐볼(110)을 섬유조직에 딥 코팅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크림핑공정(S30)은 향캡슐볼(110)이 1차코팅 된 섬유를 압축하여 크림프(Crimp)를 형성하는 공정이다. 즉,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 단섬유(100)와 같이 섬유 상에 파상 굴곡이 없는 단섬유(100)에 인공적으로 주름을 형성하여 볼륨감을 부여하기 위해 실시하는 공정이다.
특히, 본 발명의 향 발산 폴리에스터 단섬유(100)는 카페트나 침구류의 충전재와 같은 일상 생활소재 및 자동차 내장재 등의 산업소재로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므로 크림핑공정(S30)을 통해 크림프를 형성하여 보온성 및 부드러운 촉감을 부여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2차코팅공정(S40)은 크림프가 형성된 섬유에 상기 향발산물을 직접 분사하여 향캡슐볼(110)을 재차 코팅하는 공정이다.
즉, 상기 1차코팅공정(S20)에서는 침지에 의해 폴리에스터 단섬유(100)의 섬유조직 내부에 깊숙이 향캡슐볼(110)을 침착 및 고정시키는 딥 코팅을 실시하고, 2차코팅공정(S40)에서는 폴리에스터 단섬유(100)의 표면에 크림프를 형성하는 크림핑공정(S30)을 거친 후에 섬유조직의 외부에 향발산물을 분사하여 향캡슐볼(110)을 코팅함으로써 섬유조직 내·외부에 고르게 향캡슐볼(110)을 고착시키도록 한다.
상기 열처리공정(S50)은 2차코팅 된 섬유에 80~120℃의 열풍을 분사하여 크림프 및 향발산물을 열고정하고 섬유를 건조하는 공정이다. 폴리에스터 단섬유(100)는 비교적 열에 취약한 특성이 있으므로 고열 롤러를 이용한 일반적인 열처리 방식을 적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상기 1차, 및 2차코팅공정(S20,S40)을 통해 향발산물질이 섬유조직 내·외부에 코팅된 상태이므로 상기 온도 범위에서 열풍 분사에 의한 열처리 및 건조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팅공정(S60)은 건조된 섬유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폴리에스터 단섬유(100)를 형성하는 공정이다. 용도 및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블레이드를 이용해 절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카페트나 침구류의 충전재로 사용할 경우 2~10mm 내외의 길이로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향 발산 폴리에스터 단섬유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폴리에스터 단섬유(100)는 단섬유(100)의 섬유구조상에 향캡슐볼(110)이 침착 및 고정됨에 따라 각종 섬유제품의 소재로 사용 시 마찰 및 자극에 의해 상기 향캡슐볼(110)이 서서히 분해되면서 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도록 구성한다.
궁극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향 발산 폴리에스터 단섬유의 제조방법은 향발산물을 섬유의 내·외 조직상에 고착시킴으로써 향의 지속성을 더욱 확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을 통해 폴리에스터 단섬유(100)에 아로마나 피톤치드 등 인체에 유익한 향 발산 기능성을 부여함으로써 종래 합성섬유에서는 기대할 수 없었던 자연 친화적인 효능을 발휘하는 고품질의 섬유제품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대표적인 합성섬유인 폴리에스터 단섬유를 직물이 아닌 단섬유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자연 친화적인 기능성이 부여된 섬유제품의 소재로 활용하도록 함으로써 예컨대, 카페트나 침구류의 충전재와 같은 일상 생활소재 및 부직포나 자동차 내장재 등 산업소재에 폭넓게 활용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부합하는 섬유제품을 제공하고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등의 다양한 이점이 기대된다.
100: 단섬유
110: 향캡슐볼
S10: 방사공정
S20: 1차코팅공정
S30: 크림핑공정
S40: 2차코팅공정
S50: 열처리공정
S60: 커팅공정

Claims (3)

  1. 폴리에스터계 수지를 방사하여 미연신사를 형성하는 방사공정(S10)과, 크림프를 형성하는 크림핑공정(S30)과, 섬유를 절단하여 폴리에스터 단섬유(100)를 제조하는 커팅공정(S60)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터 단섬유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크림핑공정(S30)의 전(前)단계에서는 1차코팅공정(S20)을 실시하여 향캡슐볼(110)이 1차코팅 된 상태에서 섬유를 압축하고,
    상기 1차코팅공정(S20)은,
    방사공정(S10)에서 방사된 미연신사를 연신하여 연신사를 형성하고, 물이 담수된 베스에 향발산물을 일정 배율로 첨가하여 희석하고 상기 연신사를 침지하여 섬유 조직 내부에 향캡슐볼(110)을 딥 코팅하고,
    상기 크림핑공정(S30)의 후(後)단계에서는 2차코팅공정(S40)과, 열처리공정(S50)을 순차로 실시하고,
    상기 2차코팅공정(S40)에서는, 크림프가 형성된 상태의 섬유에 향발산물을 직접 분사하여 섬유 조직 외부에 향캡슐볼(110)을 재차 코팅하고,
    상기 열처리공정(S50)에서는, 상기 2차코팅공정(S40)을 거친 섬유에 80 ~ 120℃의 열풍을 분사하여 크림프 및 향발산물을 열고정하면서 섬유를 건조하고,
    상기 향발산물은,
    향 원료 물질을 유기캡슐로 봉인하여 형성되는 향캡슐볼(110)과 물을 1:1 내지 1:100의 중량비로 희석한 제1첨가물과, 향고착제와 물을 1:1 내지 1:100의 중량비로 희석한 제2첨가물과, 촉매제와 물을 1:1 내지 1:100의 중량비로 희석한 제3첨가물을 1:1:1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향고착제는 아크릴산에스터공중합체와 부틸아크릴산을 포함하고, 상기 촉매제는 열경화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발산 폴리에스터 단섬유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60046690A 2016-04-18 2016-04-18 향 발산 폴리에스터 단섬유의 제조방법 KR101817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690A KR101817319B1 (ko) 2016-04-18 2016-04-18 향 발산 폴리에스터 단섬유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690A KR101817319B1 (ko) 2016-04-18 2016-04-18 향 발산 폴리에스터 단섬유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050A KR20170119050A (ko) 2017-10-26
KR101817319B1 true KR101817319B1 (ko) 2018-01-10

Family

ID=60301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690A KR101817319B1 (ko) 2016-04-18 2016-04-18 향 발산 폴리에스터 단섬유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731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955B1 (ko) * 2003-10-20 2005-09-29 엔바이타(주) 마이크로캡슐화된 피톤치드로 처리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100824B1 (ko) * 2010-11-25 2012-01-02 송종복 고강도 단섬유의 제조방법
KR101103002B1 (ko) * 2008-12-03 2012-01-05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피톤치드를 함유하는 기능성 폴리올레핀계 단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서멀본드 부직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955B1 (ko) * 2003-10-20 2005-09-29 엔바이타(주) 마이크로캡슐화된 피톤치드로 처리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103002B1 (ko) * 2008-12-03 2012-01-05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피톤치드를 함유하는 기능성 폴리올레핀계 단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서멀본드 부직포
KR101100824B1 (ko) * 2010-11-25 2012-01-02 송종복 고강도 단섬유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050A (ko) 2017-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4197B2 (en) Blowable insulation material with enhanced durability and water repellency
KR102249245B1 (ko) 인공 모발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18500470A (ja) シルク性能衣服及び製品、並びにこれらを製造する方法
CN104294404B (zh) 三维卷曲双组分复合中空芳香聚酯短纤维的制造方法
US9469923B2 (en) Post-extruded polymeric man-made synthetic fiber with copper
WO2007094176A1 (ja) 人工毛髪用繊維、人工毛髪用繊維束、頭飾製品、及び人工毛髪用繊維の製造方法
CN110904527A (zh) 一种抗菌的胶原蛋白锦纶6长丝及应用
KR20180012684A (ko) 다운-유사 섬유
TWM593769U (zh) 化妝料組合物浸漬用本體
CN102618030A (zh) 一种香味锦纶母粒、纤维及其制备方法
KR101964165B1 (ko) 혈액순환과 항균특성을 갖는 부직포 제조방법
JP2021503046A (ja) 中空マイクロカプセルを利用した低密度合成繊維
CN1183289C (zh) 一种具有缓释功能的纤维制品及其制备方法
KR20170135342A (ko)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섬유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섬유
KR101817319B1 (ko) 향 발산 폴리에스터 단섬유의 제조방법
CN104831416B (zh) 一种醇溶蛋白改性的聚乳酸再生纱纤维纱的制备方法
CN107385933A (zh) 一种无氟耐洗的单向导湿复合功能面料
CN101067222A (zh) 胶囊形永久性香味丝
CN106757431A (zh) 一种吸湿排汗型涤纶长丝的生产工艺
KR100922446B1 (ko) 이중표면구조의 천연광물 함유 다기능성 원단
Srivastava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aroma retention properties of wool, silk and cotton fabric using aromatherapy essential oil
KR102165676B1 (ko) 항균 및 소취기능을 구현하는 마이크로캡슐이 적용된 기능성 속옷의 제조방법
JP6287265B2 (ja) マルチフィラメント糸およびそれを用いた繊維構造物
JP2005200799A (ja) 吸水性・速乾性を有するポリエステル繊維織編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71465B1 (ko) 볼 형태의 광발열 섬유집합체를 함유하는 섬유보온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