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263B1 -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5263B1
KR101815263B1 KR1020110000188A KR20110000188A KR101815263B1 KR 101815263 B1 KR101815263 B1 KR 101815263B1 KR 1020110000188 A KR1020110000188 A KR 1020110000188A KR 20110000188 A KR20110000188 A KR 20110000188A KR 101815263 B1 KR101815263 B1 KR 101815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controller
building
dat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0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8891A (ko
Inventor
안창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0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263B1/ko
Publication of KR20120078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8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 Y04S20/244Home appliances the home appliances being or involving 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HVAC]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 내에 설치된 설비기기를 통합하여 관리하고 제어하는 통합제어 시스템에서, 상이한 네트워크 간의 상이한 데이터를 처리함에 있어서 공기조화기 네트워크의 원격제어기가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각각의 네트워크에 따라 변환하여 전송함으로써 상이한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 공유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 공기조화기 및 건물 내 설비기기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th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조화기를 제어할 뿐 아니라, 건물 내 설치된 기기를 제어하는 빌딩제어 시스템과 상호 데이터를 전송하여 공기조화기의 상태정보를 정확하게 전송하고 공기조화기를 상호 제어하는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로 분리되어 제어되며, 압축기 또는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서 동작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에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가 연결될 수 있으며, 요청되는 운전 상태에 따라,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여, 냉방 또는 난방모드로 운전된다.
최근 공기조화기뿐 아니라 건물 내의 설치된 기기들을 상호 연동하여 제어하고, 빌딩 내 기기를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는 통합제어 시스템이 구비되고 있다. 공기조화기는 이러한 통합제어 시스템과 결합하여 건물에 대한 총괄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되었다. 빌딩 제어에 있어서 대표적으로 백넷(BACnet, Building Automation and Control Network)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빌딩제어 시스템은, 자체적인 빌딩제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빌딩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구동되고,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의 각 유닛이 공기조화기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동작한다.
상기와 같이 상이한 두 개의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빌딩 내의 기기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으나, 두개의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사용하더라도, 공기조화기의 원격제어기는 공기조화기 제어에 최적화되어 있고, 빌딩제어기는 빌딩 제어에 최적화되어 있어, 빌딩제어기를 통한 공기조화기의 제어 시 세부적인 기능 제어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원격제어기에서는 빌딩 내의 기기에 접속이 안 되거나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기조화기의 원격제어기와 빌딩제어기간의 상호 충돌이 발생하여 두 제어기를 동시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없어, 어느 한쪽의 시스템을 제어하는데 불편을 감수해야하므로, 실질적인 통합 제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합제어 시스템에서, 빌딩제어 네트워크와 공기조화기 네트워크가 공기조화기의 원격제어기에서 상호 연결되어, 원격제어기가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변환하여 전송하여 상호 제어 가능한 통합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제어 시스템은 공기조화기 유닛을 복수로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공기조화기 유닛을 제어하는 원격제어기; 상기 원격제어기와 범용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원격제어기로부터 상기 공기조화기 유닛의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중앙제어기; 및 건물 내 설치된 복수의 설비기기를 연결하는 빌딩제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상기 설비기기를 모니터링 하고 제어하며, 상기 원격제어기와 연결되어, 상기 원격제어기를 통해 상기 공기조화기 유닛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어명령을 인가하는 빌딩제어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공기조화기 네트워크의 공기조화기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상태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상태정보 데이터를 제 2 프로토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중앙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상태정보 데이터를 제 3 프로토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복수의 설비기기를 포함하는 빌딩제어 네트워크에 연결된, 빌딩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제어기 또는 상기 빌딩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명령을 변환하여 상기 공기조화기 유닛으로 전송하여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공기조화기 네트워크와 빌딩제어 네트워크가 상호 연결되어, 양측 제어기를 동시에 사용할 뿐 아니라, 원격제어기를 통에 송수신 되는 데이터가 각각의 네트워크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되어 전송됨에 따라 상이한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 공유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 효과적으로 공기조화기를 포함한 건물 내의 설비기기를 제어하고 관리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네트워크 및 빌딩제어기를 포함한 통합제어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네트워크 및 빌딩제어 네트워크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3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원격제어기의 제어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4 는 공기조화기 네트워크와 빌딩제어 네트워크의 각 기기 간의 데이터 흐름이 도시된 도이다.
도 5 는 공기조화기 네트워크의 원격제어기의 데이터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는 실내기, 실내기와 연결되는 실외기 등의 유닛을 복수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실외기에는 복수의 실내기가 연결되어, 실외기는 연결된 복수의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네트워크 및 빌딩제어기를 포함한 통합제어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통합제어 시스템은 빌딩 내의 각 기기를 상호 연결하여 건물 내에 소정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각 기기의 기능을 제어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제어 시스템은 공기조화기 네트워크(14), 원격제어기(100), 중앙제어기(10), 빌딩제어기(20)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 네트워크(14)는 공기조화기(15)의 복수의 유닛이 상호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공기조화기 네트워크(14) 내의 복수의 공기조화기 유닛은 동일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호 통신하며, 그 동작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원격제어기(100)로 전송하고, 원격제어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하거나 동작을 정지하고, 설정을 변경한다.
공기조화기 네트워크(14)를 구성하는 공기조화기(15)는 실외기(105, 108, 107) 및 실내기(102, 103, 106),환기유닛(101, 104), 공기청정장치(109), 히터, 보일러 등의 난방유닛(미도시), 가습유닛(미도시), 제습유닛(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벽결이형 공기조화기 및 천장형 공기조화기 중 원격제어기(100)에 연결 가능한 것이라면 어느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나,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예로 설명한다.
여기서, 실외기는 압축기 및 실외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냉매를 압축하거나, 열교환하여 공기조화기의 운전상태에 따라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한다. 실외기는 실내기의 요구에 의해 구동되고, 구동되는 실내기에 대응하여 냉/난방 용량이 가변됨에 따라 실외기의 작동 개수 및 실외기에 설치된 압축기의 작동 개수가 가변된다.
실내기는 하나의 실외기에 하나가 연결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하나의 실외기에 복수의 실내기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내기는 하나의 실내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원격제어기(100)는 실내기, 실외기, 및 그 외 유닛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공기조화기(15) 유닛의 동작을 모니터링 하고,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 또는 지정된 스케줄이나 설정에 대응하여, 제어명령을 생성하고 각 유닛으로 전송함으로서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원격제어기(100)는 복수의 유닛에 대하여, 개별 유닛 단위로 제어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유닛을 소정 그룹 또는 존으로 구분하여 그룹단위 또는 존 단위로 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원격제어기(100) 및 공기조화기(15)는 공기조화기 네트워크로 상호 연결됨에 따라 공기조화기 네트워크(14)에 따른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때 공기조화기 네트워크의 통신에 따른 프로토콜을 제 1 프로토콜로 명시한다.
또한, 원격제어기(100)는 중앙제어기(10)와 연결되어, 공기조화기(15)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중앙제어기(10)로 전송하고, 중앙제어기(10)로부터 수신된 제어명령을 공기조화기(15)로 전송한다.
이때, 원격제어기(100)와 중앙제어기(10)는 공기조화기 네트워크의 통신방식과는 별도의 제 1 통신선(11)으로 연결되어, 통신한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기(100)와 중앙제어기(10)는 이더넷(Ethernet)으로 연결된다.
이때 원격제어기(100)와 중앙제어기(10)는 제 2 프로토콜을 바탕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경우에 따라 공기조화기 네트워크의 제 1 프로토콜을 동일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원격제어기(100)는 빌딩제어기(20)와 별도의 제 2 통신선(12)으로 연결되어 상호 통신한다. 이때, 원격제어기(100)는 빌딩제어기(20)와 통신 시, 빌딩제어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인 제 3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호 통신한다.
원격제어기(100)는 공기조화기(15)의 동작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빌딩제어기(20)로 제공하며, 빌딩제어기(2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공기조화기를 제어한다.
중앙제어기(10)는 원격제어기(100)에 의해 수집된 공기조화기(15)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모니터링하고, 원격제어기(100)로 제어명령을 인가하여 공기조화기(15)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떼 중앙제어기(10)와 원격제어기(100)는 공기조화기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기로써, 동작 제어 및 모니터링이 가능하나, 중앙제어기(10)가 원격제어기(100)를 통해 공기조화기를 제어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경우에 따라 중앙제어기(10)는 공기조화기에 대한 제어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데이터의 출력을 통한 모니터링과 데이터 입력의 주요 수단으로 동작하며 실질적인 제어는 원격제어기(1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기(100)가 서버로써 동작하는 경우, 중앙제어기(10)는 서버인 원격제어기(10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공기조화기(15)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제어 단말일 수 있다.
빌딩제어기(20)는 빌딩제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건물 내 설비기기의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한다. 빌딩제어기에 대한 설명은 도 2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원격제어기(100)는 공기조화기 네트워크와, 빌딩제어 네트워크, 양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각각에 필요한 통신모듈을 구비하며, 공기조화기 네트워크 및 빌딩제어 네트워크에 대한 각 프로토콜의 정보를 저장할 뿐 아니라, 상이한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에 대한 데이터 처리를 위한 변환기를 포함하거나 게이트웨이로써 동작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네트워크 및 빌딩제어 네트워크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원격제어기(100)는 공기조화기 네트워크(14)와 연결되어 공기조화기(15)의 동작을 모니터링 하고 제어할 뿐 아니라, 그 데이터를 빌딩제어기(20)로 제공하고 빌딩제어기(20)의 제어명령에 따라 공기조화기(15)를 제어한다.
또한, 원격제어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통신선(12)으로 연결된 빌딩제어기(20)와 통신하여, 빌딩제어기(20)에 연결된 빌딩제어 네트워크(18)의 설비기기(16)에 대한 동작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원격제어기(100)는 설비기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설비기기와 공기조화기가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중앙제어기(10)로 설비기기의 동작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빌딩제어 네트워크(18)는 이동 설비(201), 보안 설비(202) 및 조명 설비(203) 등의 설비기기(16)를 포함한다. 또한, 빌딩제어 네트워크(18)는 빌딩제어기(20) 외에도 별도의 로컬제어기(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설비(201)는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와 같이 건물 내에서의 이동장치에 대한 동작을 제어한다. 보안 설비(202)는 외부 침입에 대한 침입감지 장치, 경보장치, 감시카메라 등과 같은 보안장치와, 가스누설감지기, 화재감지기 등의 방재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조명 설비(203)는 건물 내의 조명을 제어하고 관리한다.
빌딩제어기(20) 및 로컬제어기(200)는 이동 설비(201), 보안 설비(202) 및 조면 설비(203)를 포함하는 설비기기(16)에 대하여,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한다. 빌딩제어기(20) 및 로컬제어기(200)는 빌딩제어 네트워크(18)와 빌딩제어 프로토콜, 제 3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빌딩제어기(20)는 원격제어기(100)를 통해 공기조화기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뿐 아니라, 설비기기(16)의 동작정보를 원격제어기(100)로 제공하고, 원격제어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설비기기(16)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원격제어기의 제어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원격제어기(100)는 공기조화기 네트워크(14) 및 중앙제어기(10)와 연결되고, 빌딩제어기(20)와 연결되어 통신함으로써, 원격제어기(100)를 통해 공기조화기 네트워크와 빌딩제어 네트워크가 연결된다. 공기조화기 네트워크의 데이터를 원격제어기(100)를 통해 변환되어 빌딩제어기(20)로 전송되고, 빌딩제어기(20)의 설비기기 정보는 원격제어기(100)로 수신된 후, 원격제어기에서 변환되어 중앙제어기(10)로 전송된다.
이러한, 원격제어기(100)는 도 3을 참조하면, 입력부(120), 출력부(130), 데이터부(140), 게이트웨이(150), 범용 통신부(160), HVAC통신부(170), 빌딩제어 통신부(180) 그리고 원격제어기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이때, 원격제어기(100)에 포함되는 게이트웨이(150)는 상이한 프로토콜의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것으로, 원격제어기가 게이트웨이로써 동작하는데에 따른 일종의 변환부이다.
원격제어기(100)는 게이트웨이(33)를 이용하여 상이한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변환을 수행하여, 공기조화기 네트워크 및 빌딩제어 네트워크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변환하여 다른 네트워크로 전송하여 다른 네트워크의 동작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범용 통신부(160)는 중앙제어기(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인터넷 등에 연결되어 외부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HVAC통신부(170)는 실내기, 실외기 및 환기유닛 등의 공기조화기 유닛(HVAC 유닛)(15)과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제어부(110)로 인가한다. 빌딩제어 통신부(180)는 빌딩제어기(2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때, 각 통신부는 통신하는 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15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이한 프로토콜 간의 데이터 변환을 위한 것으로, 빌딩제어 통신부(180), HVAC통신부(170), 범용 통신부(16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각각 지정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상이한 네트워크 간에 통신이 가능하게 한다.
입력부(120)는 버튼, 스위치, 터치입력수단과 같은 입력수단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수단의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제어부(110)로 인가한다. 경우에 따라, 원격제어기(100)는 공기조화기 동작 설정을 위한 데이터 입력이 가능한 입력부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중앙제어기(10)를 통해 공기조화기의 설정 및 제어에 따른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출력부(130)는 디스플레이 수단, 스피커 등의 음향출력수단, 점등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어, 원격제어기(100)의 동작상태를 출력한다. 출력부(130)는 공기조화기 에러방생 시,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경고음, 경고등, 경고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형식으로 에러를 출력한다.
데이터부(140)에는 HVAC통신부(170)로부터 수신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상태 데이터, 공기조화기의 제어데이터가 저장되고, 빌딩제어 통신부(18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중앙제어기(10)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부(140)는 게이트웨이(150)의 데이터 변환 및 상이한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위한 통신데이터가 저장되고, 원격제어기(100)에서 지원하는 데이터 속성 또는 데이터 포맷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원격제어기(100)는 공기조화기와, 공기조화기 프로토콜인 제 1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므로, 제 1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포맷으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제어부(110)는 빌딩제어 통신부(180), HVAC통신부(170), 범용 통신부(160)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고, 게이트웨이(150)를 통해 변환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이한 네트워크 간에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제어부(110)는 HVAC통신부(170)를 통해 공기조화기(15)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는 데이터부(140)에 저장하고, 이를 중앙제어기(10)로 전송하며, 빌딩제어기(20)의 요청이 있는 경우 빌딩제어기(20)로 전송한다. 물론 각각 지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지정된 통신부를 통해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데이터부(140)에 저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중앙제어기(10)와 통신하는 경우에는 범용 통신부(160)를 통해 제 2 프로토콜로 통신하고, 빌딩제어기(20)와 통신시에는 빌딩제어 통신부(180)를 통해 제 3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어부(110)는 공기조화기의 데이터를 누적하여 저장하되, 중앙제어기(10) 또는 빌딩제어기(2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명령에 관련하여 최신의 정보로 갱신하여 저장한다.
즉, 제어부(110)는 중앙제어기(10)에 의해 공기조화기의 소정 유닛의 설정이 변경되면, 변경된 정보를 저장하여 현재 유닛의 설정에 대한 최신의 정보가 저장되도록 하고, 다음 제어명령 입력 시 기 저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새로운 제어명령을 인가한다.
한편, 제어부(110)는 중앙제어기(10)와 빌딩제어기(20)로부터 동시에 상이한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경고를 출력하되, 설정에 따라 지정된 제어기 또는 우선순위가 높은 제어기의 제어명령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유닛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빌딩제어기(20) 또는 중앙제어기(10)로부터 요청되는 데이터가 지원하지 않는 형식의 데이터이거나, 상이한 데이터 포맷을 갖는 경우, 데이터부(140)에 저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게이트웨이(150)를 통해 데이터가 변환되도록 한 후 전송한다.
도 4 는 공기조화기 네트워크와 빌딩제어 네트워크의 각 기기 간의 데이터 흐름이 도시된 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원격제어기(100)는 HVAC통신부(170)를 통해 제 1 프로토콜로 공기조화기 유닛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다. 원격제어기(100)는 제어명령을 공기조화기 유닛으로 전송하고, 공기조화기 유닛은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하되, 동작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원격제어기(100)로 전송한다.
이때, 공기조화기 유닛과 원격제어기(100)간의 통신은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특정 이벤트 발생 시 또는 원격제어기(100)의 요청에 따라 비 주기적인 통신이 추가적으로 수행된다.
원격제어기(100)는 상기와 같이 공기조화기 유닛과의 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범용 통신부(160)를 통해 중앙제어기(10)로 전송한다.
원격제어기(100)는 공기조화기의 동작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중앙제어기(10)로 전송하고, 중앙제어기(10)는 수신된 데이터를 출력하여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모니터링 한다. 중앙제어기(10)는 구비되는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제어명령 또는 지정된 스케줄에 따른 제어명령을 원격제어기(100)로 전송하고, 원격제어기(100)는 수신된 제어명령을 공기조화기의 소정 유닛으로 전송한다.
한편, 빌딩제어기(20) 또한, 원격제어기(100)의 빌딩제어 통신부(180)를 통해 원격제어기(100)와 빌딩제어 프로토콜, 제 3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원격제어기(100)는 빌딩제어기(20)의 요청이 있는 경우, 공기조화기의 데이터를 게이트웨이(150)에서 변환하여 빌딩제어 통신부(180)를 통해 전송하고, 빌딩제어기(20)로부터 소정의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이를 게이트웨이(150)에서 변환하여 HVAC통신부(170)를 통해 공기조화기 유닛으로 전송한다.
또한, 원격제어기(100)는 자체 설정 또는 중앙제어기(10)의 요청에 따라, 빌딩제어 통신부(180)를 통해 빌딩제어기(20)로 설비기기 정보를 요청하거나 제어명령을 전송하고, 빌딩제어기(20)로부터 설비기기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게이트웨이(150)에서 변환하여 저장하고, 중앙제어기(10)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원격제어기(100)를 통해 중앙제어기(10)와 빌딩제어기(20)가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고, 중앙제어기(10)와 빌딩제어기(20), 두 제어기에서 공기조화기를 모니터링 하고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중앙제어기(10)와 원격제어기(100)는 빌딩제어기(20)를 통해 빌딩제어 네트워크의 설비기기를 모니터링 하고 제어할 수 있다.
도 5 는 공기조화기 네트워크의 원격제어기의 데이터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원격제어기(100)는 HVAC통신부(170)를 통해 공기조화기(HVAC)로부터 상태정보 데이터를 수신한다(S310).
원격제어기의 제어부(110)는 수신된 상태정보 데이터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각 유닛이 정상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20).
제어부(110)는 공기조화기가 정상 동작하면, 범용 통신부(160)를 통해 공기조화기의 상태정보 데이터를 중앙제어기(10)로 전송한다(S330). 또한, 제어부(110)는 게이트웨이(150)를 통해 상태정보 데이터를 변환하여 상이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빌딩제어 통신부(180)를 통해 빌딩제어기로 상태정보 데이터를 전송한다(S340).
또한, 제어부(110)는 빌딩제어기(20)로 설비기기의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빌딩제어기(20)로부터 수신되는 설비기기의 정보를 게이트웨이(150)를 통해 변환하여 중앙제어기(10)로 전송한다.
한편, 공기조화기가 정상 동작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10)는 공기조화기에 대한 에러를 출력하고, 공기조화기에 대한 에러정보를 범용 통신부(160)를 통해 중앙제어기(10)로 전송할 뿐 아니라, 빌딩제어 통신부(180)를 통해 빌딩제어기(20)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중앙제어기(10)와 빌딩제어기(20)는 각각 공기조화기의 에러정보를 출력한다.
한편, 중앙제어기(10) 또는 빌딩제어기(20)로부터 원격제어기(100)로 제어명령이 수신되면(S360), 제어부(110)는 수신된 제어명령을 분석하여, 대응하는 공기조화기 유닛으로 HVAC통신부(170)를 통해 전송한다(S370). 이때, 빌딩제어기(20)로부터 빌딩제어 통신부(180)를 통해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제어부(110)는 게이트웨이를 통해 변환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변환된 제어명령이 전송한다.
그에 따라 공기조화기 유닛은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하거나, 동작을 정지하고, 또는 설정을 변경하여 운전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10: 중앙제어기 20: 빌딩제어기
100: 원격제어기
110: 제어부 150: 게이트 웨이
160: 범용 통신부 170: HVAC통신부
180: 빌딩제어 통신부

Claims (9)

  1. 복수의 공기조화기 유닛으로 구성된 공기조화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기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로써,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기 유닛을 개별 유닛 단위 또는 그룹단위로 제어하는 원격제어기;
    상기 원격제어기와 범용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원격제어기를 통해 상기 공기조화기 유닛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기 유닛의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중앙제어기; 및
    건물 내 설치된 이동설비, 보안설비 및 조명설비를 포함하는 복수의 설비기기를 연결하는 빌딩제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상기 설비기기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며, 상기 원격제어기와 연결되어, 상기 원격제어기를 통해 상기 공기조화기 유닛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어명령을 인가하는 빌딩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제어기는 상기 공기조화기 네트워크, 상기 범용 네트워크 및 상기 빌딩제어 네트워크에 대한 프로토콜 정보를 바탕으로 데이터를 변환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여, 상기 공기조화기 유닛의 동작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빌딩제어기 또는 상기 중앙제어기로 제공하고, 상기 공기조화기 유닛은 상기 원격제어기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동작하고 설정을 변경하며,
    상기 빌딩제어기로부터 상기 복수의 설비기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설비기기와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기 유닛이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중앙제어기로 설비기기의 동작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기는 상기 공기조화기 유닛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중앙제어기 또는 상기 빌딩제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기 유닛의 데이터를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변환하여 상기 중앙제어기 또는 상기 빌딩제어기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합제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기는 제 1 프로토콜로 상기 공기조화기 유닛과 통신하는 HVAC통신부;
    제 2 프로토콜로 상기 중앙제어기와 통신하는 범용 통신부; 및
    제 3 프로토콜로 상기 빌딩제어기와 통신하는 빌딩제어 통신부를 포함하는 통합제어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송할 목적지에 따라 상기 HVAC통신부, 상기 범용 통신부 및 상기 빌딩제어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하여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제어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HVAC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 1 프로토콜의 상기 공기조화기 유닛의 데이터를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제 2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상기 범용 통신부를 통해 상기 중앙제어기로 전송하고,
    상기 공기조화기 유닛의 데이터를 제 3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상기 빌딩제어 통신부를 통해 상기 빌딩제어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제어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빌딩제어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 3 프로토콜의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변환하여 분석하고,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제 1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상기 HVAC통신부를 통해 상기 공기조화기 유닛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제어 시스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앙제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빌딩제어기로 상기 설비기기의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빌딩제어 통신부를 통해 상기 빌딩제어기로부터 상기 설비기기의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제 2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상기 범용 통신부를 통해 상기 중앙제어기로 전송하는 통합제어시스템.
  8. 삭제
  9. 삭제
KR1020110000188A 2011-01-03 2011-01-03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15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188A KR101815263B1 (ko) 2011-01-03 2011-01-03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188A KR101815263B1 (ko) 2011-01-03 2011-01-03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8891A KR20120078891A (ko) 2012-07-11
KR101815263B1 true KR101815263B1 (ko) 2018-01-04

Family

ID=46712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0188A KR101815263B1 (ko) 2011-01-03 2011-01-03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2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19205B (zh) * 2012-12-13 2014-12-17 西安华腾光电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办公大楼节能监控方法
EP2951652A4 (en) * 2013-01-30 2016-10-05 Hewlett Packard Entpr Dev Lp UNIFIED CONTROL OF AN ELECTRONIC CONTROL SYSTEM AND A SYSTEM FOR CONTROLLING FACILITIES
KR101291000B1 (ko) * 2013-02-22 2013-07-30 (주)파슨텍 고해상도 카메라 기반의 지역분산형 통합관제시스템
KR102164805B1 (ko) * 2013-05-21 2020-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2400389B1 (ko) * 2017-10-12 2022-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
KR101847460B1 (ko) * 2017-10-18 2018-04-10 주식회사 한맥아이티 교회의 공기조화 및 조명 네트워크 설비의 원격 제어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0204A (ja) * 2005-06-29 2007-01-18 Mitsubishi Electric Corp 施設のエネルギー管理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0204A (ja) * 2005-06-29 2007-01-18 Mitsubishi Electric Corp 施設のエネルギー管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8891A (ko) 201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9433B2 (en) Multi-air conditioner central control system
KR101815263B1 (ko)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6299785B2 (ja) 空調システム
US10001790B2 (en) Security system with integrated HVAC control
US9465371B2 (en) Building automation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3421898B1 (en) Remote management system
WO2013008252A2 (en) An integrated, interoperable and re-configurable automation system
KR20140145325A (ko) 통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1610069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6080457B2 (ja) エネルギー消費機器制御装置、エネルギー消費機器制御方法及びエネルギー消費機器制御システム
JPWO2014115317A1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1738784B1 (ko) IoT 환경 구축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 기능이 결합된 지능형 통합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어 방법
JP5752016B2 (ja) 空気調和機
KR20150029196A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1847460B1 (ko) 교회의 공기조화 및 조명 네트워크 설비의 원격 제어시스템
KR102164805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70062424A (ko) IoT 환경 구축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 기능이 결합된 지능형 통합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어 방법
KR10186092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8034983A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KR20130035022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9167306A1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
JP2008176767A (ja) ビルディング管理システム
JP6458596B2 (ja) プロトコル変換装置
WO2018154679A1 (ja) 空調システム
JP4720447B2 (ja) 電力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