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460B1 - 교회의 공기조화 및 조명 네트워크 설비의 원격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교회의 공기조화 및 조명 네트워크 설비의 원격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460B1
KR101847460B1 KR1020170134925A KR20170134925A KR101847460B1 KR 101847460 B1 KR101847460 B1 KR 101847460B1 KR 1020170134925 A KR1020170134925 A KR 1020170134925A KR 20170134925 A KR20170134925 A KR 20170134925A KR 101847460 B1 KR101847460 B1 KR 101847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rch
network
air conditioning
facility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4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맥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맥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맥아이티
Priority to KR1020170134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4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24F11/58Remote control using Internet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uzzy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회내 공기조화 및 조명 설비에 장착된 제어장치와 사물인터넷 통신 포로토콜 기반으로 연동하는 관리서버를 통해 설비의 현재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원격 감시하고, 관리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교회의 현재 및 미래 상황에 맞게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한 교회의 공기조화 및 조명 네트워크 설비의 원격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교회내 공기조화 및 조명 설비마다 구성된 디바이스를 통해 각 설비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망 또는 IP망 등의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운영되는 인터넷상의 서버로써, 교회 네트워크에 구성되는 디바이스를 통해 교회내 공기조화 및 조명 설비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며, 설비 상태 정보 수집부, 설비 제어부,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는 관리서버; 관리서버로부터 공기조화 및 조명 설비의 현재 상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확인하고, 필요시 각 설비에 대한 동작 제어 명령을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및 교회내 공기조화 및 조명 설비마다 장착된 디바이스가 관리서버 및 사용자 단말과 무선 통신하도록 네트워크화한 로컬 네트워크인 교회 네트워크로 이루어지고, 교회내 공기조화 및 조명 설비는 외부 기온 및 날씨와 같은 외부 상황과 연계되어 제어된다.

Description

교회의 공기조화 및 조명 네트워크 설비의 원격 제어시스템{Remote control system of air conditioning and light network facilities of church}
본 발명은 교회의 공기조화 및 조명 네트워크 설비의 원격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교회내 공기조화 및 조명 설비에 장착된 제어장치와 사물인터넷 통신 포로토콜 기반으로 연동하는 관리서버를 통해 설비의 현재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원격 감시하고, 관리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교회의 현재 및 미래 상황에 맞게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한 원격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빌딩 설비, 발전 설비, 반도체 제조 설비 등 여러 가지 제어 요소들이 종합된 시설물의 경우, 이를 현장에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원격지에서도 가능하도록 하는 발명들이 일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66081호는 빌딩설비 원격제어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이 기술은, 빌딩설비를 관리하는 로컬제어부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로컬제어부를 제어하는 중앙제어부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로컬제어부는 빌딩설비의 소정의 이상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이상상태별 최종 수신정보를 포함하는 이상통지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이상상태가 감지되는 경우 해당 상기 이상통지정보를 송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상기 이상통지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최종 수신정보가 나타내는 최종수신부에게 상기 이상상태를 알리도록 하여, 신속하고 안정적인 빌딩설비의 이상통지를 할 수 있도록 한 발명이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2671호는 발전설비 원격제어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이 기술은, 다수의 리피터를 통해 발전설비의 현장기기와 그룹단위로 연결하되 이중화하여 연결함으로써 인접한 그룹에서 발생된 노이즈의 영향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이중화를 통해 통신상 오류에 대해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취득하고 제어할 수 있고, 분산제어서버와 데이터 취득부간을 트리구조로 구성함으로써 현장기기간 거리를 단축시킬 수 있으며, 트리구조로 그룹단위의 현장기기와 연결함으로써 통신상 오류가 발생할 경우 해당 그룹으로 제한되어 통신신뢰성 및 발전설비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발명이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25053호는 반도체 설비의 원격제어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이 기술은, 적어도 두 대의 반도체 제조 설비에 대한 동작 상태를 동시에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반도체 제조 설비의 원격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대의 반도체 제조 설비 각각과 대한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상기 적어도 두 대의 반도체 제조 설비가 위치하는 동일 공간 내에서 상기 적어도 두 대의 반도체 제조 설비 각각과 연결되는 적어도 두 대의 제1 디스플레이부; 상기 적어도 두 대의 제1 디스플레이부 각각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적어도 두 대의 반도체 제조 설비 각각에 대한 동작 상태를 하나의 디스플레이로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적어도 두 대의 반도체 제조 설비가 위치하는 공간과 떨어진 공간에서 상기 적어도 두 대의 제1 디스플레이부와 연결되는 제2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적어도 두 대의 제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두 대의 반도체 제조 설비는 실제의 반도체 제조 공정에 사용되거나 또는 가상의 반도체 제조 공정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한 발명이다.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그 시설물내에 구성된 제어 요소들의 특성을 기초로 이들 요소들을 구분하여 원격제어하는 기술들로서, 그 시설물내에 구성된 여러 가지 제어 요소들을 서로 연계하여 제어하는 기술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2671호 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25053호
본 발명은, 교회내 공기조화 및 조명 설비에 장착된 제어장치와 사물인터넷 통신 포로토콜 기반으로 연동하는 관리서버를 통해 설비의 현재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교회의 현재 및 미래 상황에 맞게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한, 교회의 공기조화 및 조명 네트워크 설비의 원격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회내 공기조화 및 조명 설비들의 현재 상태를 서로 연계하여 최적합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교회의 공기조화 및 조명 네트워크 설비의 원격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교회내 공기조화 및 조명 설비 제어를 현재 상태 및 외부 상황을 서로 연계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교회의 공기조화 및 조명 네트워크 설비의 원격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에 따라 유추 가능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회내 공기조화 및 조명 설비마다 구성된 디바이스를 통해 각 설비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망 또는 IP망 등의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운영되는 인터넷상의 서버로써, 교회 네트워크에 구성되는 디바이스를 통해 교회내 공기조화 및 조명 설비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며, 설비 상태 정보 수집부, 설비 제어부,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는 관리서버;
관리서버로부터 공기조화 및 조명 설비의 현재 상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확인하고, 필요시 각 설비에 대한 동작 제어 명령을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및
교회내 공기조화 및 조명 설비마다 장착된 디바이스가 관리서버 및 사용자 단말과 무선 통신하도록 네트워크화한 로컬 네트워크인 교회 네트워크로 이루어지고,
교회내 공기조화 및 조명 설비는 외부 기온 및 날씨와 같은 외부 상황과 연계되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회의 공기조화 및 조명 네트워크 설비의 원격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비 상태 정보 수집부는 교회내 공기조화 및 조명 설비에 장착된 각 디바이스가 네트워크를 통해 각 설비의 현재 상태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면 이를 처리하고, 설비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되는 각 설비의 현재 상태 정보를 기초로 교회내 각 설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스마트폰, PC, 노트북, PDA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원격지에서 교회내 공기조화 및 조명 설비에 대한 현재 상태정보를 디바이스를 통해 수신받아 그 현재 상태정보를 토대로 설비를 원하는 상태로 동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교회내 공기조화 및 조명 설비는 각자의 상황이 서로 연계되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외부 네트워크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또는 IP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교회 네트워크는 게이트웨이가 구성되어, 이 게이트웨이를 통해 관리서버 및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교회의 공기조화 및 조명 네트워크 설비의 원격 제어시스템에 따르면, 교회내 공기조화 및 조명 설비에 각각 장착된 제어장치와 사물인터넷 통신 포로토콜 기반으로 연동하는 관리서버를 통해 설비의 현재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교회의 현재 및 미래 상황에 맞게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자가 반드시 현장에 머무를 필요가 없어 인력 및 시간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교회내 공기조화 및 조명 설비들의 현재 상태를 서로 연계하여 제어함으로써 보다 최적화한 설비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교회내 공기조화 및 조명 설비 제어를 현재 상태 및 외부 상황을 서로 연계하여 제어함으로써 보다 최적화한 설비 제어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회 설비의 원격 제어를 위한 이동통신 네트워크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회 설비의 원격 제어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회 설비의 원격 제어 동작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회 설비의 원격 제어를 위한 이동통신 네트워크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공기조화 및 조명 설비 제어를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회 설비의 그룹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회 설비의 상호 연계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회 설비의 원격 제어를 위한 이동통신 네트워크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회 설비의 원격 제어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회 설비의 원격 제어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교회내 설비에 대한 현재 상태 모니터링과 동시에 필요시 인위적으로 적절한 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인위적인 적절한 조치는 교회내 현재 상태 및 미래 상태를 감안하여 필요한 설비의 동작을 원격지에서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설비는 공기조화, 화재, 보안, 영상, 음향, 조명에 관련된 설비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또한, 교회내 현재 상태는 예를 들어, 현재 교회의 상태, 즉 소정 예배실에서 예배가 진행되고 있는지, 그렇다면 그 예배실에 설치된 각종 설비들의 가동은 어떻게 가동되고 있는지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교회의 미래 상태는, 즉 어느 예배실에서 예배가 진행될 것인지, 그렇다면 그 예배실에 설치된 각종 설비들의 가동은 어떻게 가동되어야 하는지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회 네트워크 설비의 원격 제어시스템은, 관리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교회 네트워크(300)로 구성될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교회내 각 설비(320)마다 구성된 디바이스(310)를 통해 각 설비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망 또는 IP망 등의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운영되는 인터넷상의 서버이다.
관리서버(100)는 교회 네트워크(300)에 구성되는 디바이스(310)를 통해 교회내 각 설비(320)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며, 설비 상태 정보 수집부(110), 설비 제어부(120), 데이터베이스(130)로 구성될 수 있다.
설비 상태 정보 수집부(110)는 교회내 각 설비(320)에 장착된 각 디바이스(310)가 네트워크를 통해 각 설비(320)의 현재 상태 정보를 관리서버(100)로 전송하면, 이를 처리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관리자가 향후 각 설비(320)의 동작을 어떻게 제어할 것인지 결정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한다.
설비 제어부(12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 관리되는 각 설비(320)의 현재 상태 정보를 기초로 교회내 각 설비(3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신호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31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교회내 각 설비(320)마다 설치된 디바이스(310)에서는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설비의 동작을 관리자가 원하는 데로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관리서버(100)가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 관리하는 각 설비(320)의 현재 상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확인하고, 필요시 각 설비(320)에 대한 동작 제어 명령을 관리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이동통신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PC, 노트북, PDA 등의 단말로서, 이동통신 기지국이나 무선 인터넷을 지원하는 AP(Access Point)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교회내 각 설비(3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200)에서도 각 설비(320)의 현재 상태 정보를 관리서버(100)로부터 전송받아 이를 확인한 후, 동작 제어가 필요한 경우 제어신호를 관리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설비 동작 제어신호가 전송되어 오면, 관리서버(100)는 이를 수신받은 후, 그 제어신호를 해당하는 디바이스(310)로 전송하여 설비(3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교회 네트워크(300)는 각 설비(320) 마다 장착된 디바이스(310)가 관리서버(100)와 무선 통신하도록 네트워크화한 로컬 네트워크이다. 교회 네트워크(300)는 게이트웨이(도시 생략)를 통해 관리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200)과 네트워크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교회 네트워크(300)로 구성되는 설비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공기조화, 화재, 보안, 영상, 음향, 조명에 관련된 설비가 있을 수 있으며, 이들 설비들은 외부, 즉 관리서버(100) 또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설비 동작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각 설비(320)를 제어할 수 있는 디바이스(310)가 각각 장착된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 상기 디바이스(310)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각 설비(320)의 현재 상태 정보를 네트워크 통신으로 관리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교회 네트워크 설비의 원격 제어시스템은, 관리서버(100)에서 수신된 교회내 각 설비(320)의 현재 상태 정보들을 종합하여, 동작 제어 조건이 되면 디바이스(310)와 관리서버(100)와의 통신을 통해 교회내 현재 및 미래 상황에 기초하여 각 설비(320)들이 동작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도 원격지에서 교회내 각 설비(320)에 대한 현재 상태정보를 디바이스(310)를 통해 수신받아 그 현재 상태정보를 토대로 설비(320)를 원하는 상태로 동작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설비 동작 제어를 공기조화, 영상, 음향 및 조명에 관해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해보면 다음과 같다.
영상시스템은 LED 디스플레이, 캠코더, 카메라, TV, 자막기, 모니터 등이 구성될 수 있다. 음향시스템은 믹서, 스피커, 엠프, 마이크, EQ/콘트롤러, 컴프레셔/리버브, DJ 장비 등이 구성될 수 있다. 조명시스템은 분전반, 라우터, LED 모듈 전구, 무선원격제어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등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각 시스템에 구성된 요소들을 한꺼번에 동작 제어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들을 동작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 교회의 특이한 구성으로는, 예배실이 있고, 각 예배실마다 공기조화, 조명, 음향, 영상 구성이 있을 수 있으며, 여기에 더하여 예배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이 부가적으로 설비 제어에 이용될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배 시작시간이 아침 9시라면, 예를 들어 8시반부터 제어가 필요한 설비가 구성된 예배실의 공기조화, 영상, 음향 및 조명 설비 등을 제어하도록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공기조화의 동작 제어는 외부 온도 변화와 연계되어 수행될 수 있다. 즉 현재 예배실 온도가 28℃여서 이를 적정온도라고 판단된 25℃로 내리고자 할 경우, 단순히 현재 예배실 온도 정보를 기초로 예배실 온도가 25℃로 하강하도록 공기조화기를 가동할 수 있다. 반면, 예배시간이 외부 온도가 점차 상승하는 시간으로 설정된 경우, 이를 감안하여 공기조화기의 가동을, 예를 들어 좀 더 강한 풍량으로 가동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예배실 내에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대수도 참조하여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조명의 경우 예배실에 설치된 조명이 단순히 켜지도록 제어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제각기 다른 조도로 설정된 조명들의 설치 위치를 감안할 수도 있고, 외부 상황, 즉 맑은 날 또는 흐린 날을 감안하여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예배실에 설치된 창문을 참조하여, 햇빛이 많이 들어오는 창문쪽에 근접하여 설치된 조명은 소등하거나 조도를 낮게 하여 켜지도록 하고, 창문쪽에서 먼 거리에 위치한 조명에 대해서는 역으로 제어하면 될 것이다.
또한, 영상의 경우 목사 및 목사의 강연을 경청하는 교인들의 모습을 촬영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영상설비를 제어하면 될 것이고, 음향의 경우 예배실의 크기, 참석한 교인 수를 기초로 그 볼륨을 제어하면 될 것이다. 이때, 볼륨은 외부 잡음 등을 반영하여 기본적으로 잡음이 있을 경우 볼륨을 1단계 업하는 것으로 설정하고, 잡음의 크기에 따라 업하는 단계를 제어하면 될 것이다.
또한, 공기조화기 설비와 조명 설비의 동작을 서로 연계하여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예배시간이 9시에 종료하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 9시가 경과함에 따라 디바이스(310)가 공기조화기의 가동을 중지시키면, 이 신호가 관리서버(100)를 통해 조명 설비에 구성된 디바이스(310)에 수신됨으로써 조명이 꺼지도록 제어하는 등의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한 원격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관리서버(100)는 관리해야 할 대상이 되는 디바이스들을 탐색한다(S1). 탐색된 교회내 하나 이상의 설비마다 장착된 각각의 디바이스(310)는 각 설비의 현재 상태 정보를 관리서버(100)로 전송한다(S2).
그러면, 관리서버(100)의 설비 상태 정보 수집부(110)는 각각의 디바이스(310)로부터 수신되는 각 설비의 현재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하고 관리한다(S3).
이때, 각 설비의 현재 상태 정보와, 앞으로 변해야 할 향후 상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 관리될 수 있다.
원격지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비를 제어할 필요가 있을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관리서버(100)로 제어가 필요한 설비의 현재 상태 정보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4).
관리서버(100)의 설비 제어부(120)는 사용자 단말(200)의 요청에 응답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 관리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요청된 설비의 현재 상태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S5).
상기 설비의 현재 상태를 기초로 제어가 필요한 설비로는 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공조, 영상, 음향, 조명 등이 있을 수 있다. 즉 교회 설비 중 화재감지설비 및 보안설비는 예배 및 그에 따라 관리되어야 할 대상이 아니라, 상시 가동되어야 할 설비이므로 제어가 필요한 설비에 해당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스텝 S5의 동작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에는 디바이스(31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각 설비의 현재 상태 정보가 표시되며, 관리자는 해당 설비에 대한 동작 모드를 선택한다(S6)
이때,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설비 제어신호는 관리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다(S7).
따라서 관리서버(100)의 설비 제어부(12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되어 온 제어신호를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디바이스(310)로 전송한다(S8).
이에 따라, 디바이스(310)에서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그 설비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S9).
제어되는 설비, 즉 공조, 영상, 조명, 음향 설비의 현재 상태정보는 디바이스(310)를 통해 관리서버(100)로 전송되어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 관리될 수 있으며, 관리서버(100)는 이 정보를 지속적으로 관리하면서 이후의 상황, 즉 제어 변경 명령에 대비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교회내 설비 네트워크에서 공기조화 및 조명 설비를 특정화하여 그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회 설비의 원격 제어를 위한 이동통신 네트워크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공기조화 및 조명 설비 제어를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회 설비의 그룹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회 설비의 상호 연계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 설비, 즉 공기조화 및 조명 설비를 한정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듯이, 설비 상태 정보 수집부(110)와 설비 제어부(120) 및 데이터베이스(130)를 동일하게 구성하되, 설비 상태 정보 수집부(110)는 더 구체적으로 조명 설비의 설치 위치와 각 조명의 조도 정보를, 공기조화 설비의 설치 위치와 각 공기조화기의 용량 정보를 수집하여 처리한 후 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설비 제어부(12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 관리되는 조명 및 공기조화 설비(320)의 현재 상태 정보를 기초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신호를 디바이스(31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교회내 조명 및 공기조화 설비(320)마다 각각 설치된 디바이스(310)에서는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설비의 동작을 관리자가 원하는 데로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교회 네트워크 설비의 원격 제어시스템은, 관리서버(100)에서 수신된 교회내 조명 및 공기조화 설비(320)의 현재 상태 정보들을 종합하여, 동작 제어 조건이 되면 디바이스(310)와 관리서버(100)와의 통신을 통해 교회내 현재 및 미래 상태에 기초하여 각 설비(320)들이 동작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도 원격지에서 교회내 조명 및 공기조화 설비(320)에 대한 현재 상태정보를 디바이스(310)를 통해 수신받아 그 현재 상태정보를 토대로 설비(320)를 원하는 상태로 동작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들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를 토대로 한 설명과 유사하다.
그런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은 공기조화 및 조명 설비의 제어가 좀 더 상세하게 특정되는 상태에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설비 제어를 예로 들면, 그룹 단위로 묶인 조명등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그룹 단위란, 예를 들어 소정 예배실의 천장에 설치된 조명등이 각각 3개씩의 조명등을 1열로 하여 모두 3열 종대로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할 경우, 1열, 2열, 3열을 각각 별개로 제어할 수 있는 그룹 단위로 묶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그룹 단위로 묶여 있는 조명등들은 하나의 제어신호로 그룹 단위로 제어될 수 있다. 이때, 각 열에 구성된 조명등이 모두 동일한 조도를 가질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즉 3개의 조명등이 1열에 설치되어 있되, 이들 3개의 조명등이 모두 또는 적어도 두 개가 서로 다른 조도를 가지고 있을 경우, 이들 조도 정보들도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 관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1개의 조명등 단위로 제어되거나 또는 그룹 단위로 제어되거나 상관없이 조도를 기준으로 조명등이 제어될 수도 있는 범위로 그 제어범위가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공기조화 설비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그룹 단위로 공기조화기가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그룹 단위란, 예를 들어 소정 예배실에 설치된 공기조화기가 각각 3대씩의 공기조화기를 1열로 하고 모두 3열 종대로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할 경우, 1열, 2열, 3열을 각각 다른 그룹 단위로 묶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그룹 단위로 묶여 있는 공기조화기들은 그룹 단위로 제어될 수 있다. 이때, 각 열에 구성된 공기조화기들이 동일한 용량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즉 3개의 공기조화가 1열에 설치되어 있되, 이들 3개의 공기조화기가 모두 다른 용량을 가지고 있을 경우, 이들 용량 정보들도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 관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1개의 공기조화기 단위로 제어되거나 또는 그룹 단위로 제어되거나 상관없이 용량을 기준으로 공기조화기가 제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예배실마다의 특성을 감안하여 공기조화 및 조명 설비가 제어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배실마다 각각 다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예배실마다 크기가 다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예배실에 설치된 조명등의 개수 및 조도도 다를 수 있고, 공기조화기의 설치 위치 및 설치 대수도 다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예배실마다 각각 다른 조명 및 공기조화 설비 정보를 토대로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추가적으로 예배실에 참석한 교인 수와 교인들의 위치도 조명 및 공기조화 설비 정보와 연계되어 조명 및 공기조화 설비를 제어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30평 크기의 예배실에 입장할 수 있는 교인수는 100명으로 가정한다. 이 예배실에는 천장에 1열에 10개씩 모두 5열 종대로 50개의 조명등이 설치되어 있고, 공기조화기는 예를 들어, 사각형 예배실의 각 모서리에 한 대씩 모두 4대가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때 복수 조명등의 조도는 모두 동일하고, 복수 공기조화기의 용량 역시 모두 동일한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예배실에 입장 가능한 교인수는 총 100명인데, 실제 참석한 교인수는 50명일 경우, 조명 및 공기조화 설비 모두를 가동할 필요는 없음을 전제로 본 발명의 조명 및 공기조화 설비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교인들이 모두 앞자리에 착석했다고 가정할 경우, 기본적으로 제어시 고려해야 할 사항은 앞부분 천장에 설치된 2열 또는 3열까지의 조명등만 켜지도록 제어하면 될 것이고, 공기조화기의 경우 앞부분 측면 모서리에 설치된 공기조화기만 가동하면 될 것으로 인식한다. 이때에도 역시 교인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 수단을 이용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기본적인 제어 동작을 통해 조명 및 공기조화 설비를 제어하되, 다른 변수가 감안될 수 있다.
즉 조명의 경우 맑음 또는 흐림 등 외부 날씨와 예배실의 창문 등이 연계되어 제어될 수 있고, 공기조화의 경우 외부 기온 추이가 연계되어 제어될 수 있음이 그것이다.
조명의 경우, 각 조명등의 조도와 외부 날씨 그리고 예배실에 설치된 창문을 감안하되, 만일 예배실 앞부분, 즉 교인들이 착석한 앞부분쪽에 위치한 창문으로부터 많은 햇빛이 들어온다고 가정할 경우, 앞부분 3열까지 설치된 조명등은 모두 켜지 않거나 또는 1열 및 2열에 설치된 조명등만 켜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센서 수단이 이용됨은 물론이다.
공기조화기 역시, 외부 온도가 서서히 상승하는 시간에 예배가 이루어질 경우, 즉 여름철 가장 기온이 높은 시간이 오후 3시경인데, 예배가 오후 1시에 열려 3시에 종료하는 것으로 되어 있을 경우, 현재 예배실 온도가 28℃이면, 이를 쾌적한 온도인 25℃로 내리도록 하고, 기본적으로는 이 온도로 내려가도록 공기조화기를 가동하되, 외부 온도가 서서히 올라감을 감안하여 공기조화기의 풍량을 늘리는 방법 등을 사용하여 평소보다 빠르게 예배실 온도가 내려가도록 제어하면 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위에 설명한 내용은 조명등과 공기조화기가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조명 제어에 감안되는 외부 날씨 정보가 공기조화기 제어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만일, 외부 날씨가 흐리다고 가정할 경우, 통상 사람들이 느끼는 체감온도가 내려감을 기준으로 공기조화기의 가동을 제어한다. 즉 통상적인 경우에는 28℃에서 25℃로 온도를 내리려고 할 경우, 발생되던 풍량 등을 좀 더 약화시켜 발생되도록 제어하면 될 것이다.
조명등의 경우에는 외부 날씨가 흐린 점을 감안하여 입장한 교인수에 상관없이 모든 조명등을 켜도록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조명등과 공기조화기의 가동을 연동시키되, 외부 날씨 정보를 조명 및 공기조화 설비에 모두 적용하면 될 것이다. 즉 본래대로 하면 조명등이 모두 켜져야 하는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매우 맑은 날씨여서 1열 및 2열에 구성된 조명등만 켜지도록 제어할 경우, 특히 여름철에는 조명 설비의 현재 상태를 감안하여 공기조화기의 풍량을 강하게 하여 급속하게 상승할 수 있는 예배실내 온도를 억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여름철 맑은 날이라면 통상 사람들이 느끼는 체감온도가 훨씬 높을 수 있음을 감안한 것이다.
또한, 이의 역동작으로도 가능할 것이다. 즉 공기조화기가 기본 상태보다 좀 더 강하게 풍량이 발생되도록 가동되면, 이를 여름철 매우 맑은 날 더위를 심하게 느낄 수 있는 날임을 감안하여 조명등을 예를 들어, 기본에 비해 덜 켜는 식으로 제어하면 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인 교회의 공기조화 및 조명 네트워크 설비의 원격 제어시스템의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되었다. 위에 기술된 실시예는 본원발명에 기술되는 원리를 나타내는 많은 구체적 실시예 중에서 일부분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함에 따라 당업자들이 본원발명의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범위 내에서 많은 다른 배열들을 쉽게 구현해낼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관리서버 110 : 설비 상태 정보 수집부
120 : 설비 제어부 130 : 데이터베이스
200 : 사용자 단말 300 : 교회 네트워크
310 : 디바이스 320 : 설비

Claims (7)

  1. 교회내 공기조화 및 조명 설비마다 구성된 디바이스를 통해 각 설비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운영되는 인터넷상의 서버로써, 교회 네트워크에 구성되는 디바이스를 통해 교회내 공기조화 및 조명 설비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며, 설비 상태 정보 수집부, 설비 제어부,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는 관리서버;
    관리서버로부터 공기조화 및 조명 설비의 현재 상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확인하고, 필요시 공기조화 및 조명 설비에 대한 동작 제어 명령을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및
    교회내 공기조화 및 조명 설비마다 장착된 디바이스가 관리서버 및 사용자 단말과 게이트웨이를 통해 무선 통신하도록 네트워크화한 로컬 네트워크인 교회 네트워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교회내 공기조화 및 조명 설비는 교회 내부상황, 외부 기온 및 날씨와 같은 외부 상황과 연계되어 제어되되,
    예배시간이 외부 온도가 점차 상승하는 시간으로 설정된 경우, 공기조화기는 외부 온도가 점차 하강하는 시간으로 설정된 경우에 비해 더 강한 풍량으로 가동할 수 있도록 제어되고,
    제각기 다른 조도로 설정된 조명들은 맑은 날 또는 흐린 날과 같은 외부상황과, 예배실에 설치된 창문을 참조하여 제어되고, 햇빛이 많이 들어오는 창문쪽에 근접하여 설치된 조명은 소등하거나 조도를 낮게 하여 켜지도록 하고, 창문쪽에서 먼 거리에 위치한 조명에 대해서는 점등하거나 조도를 높게 하여 제어되고,
    교인들이 착석한 위치 및 창문의 위치가 서로 연계되어 조명들의 동작이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제어되며,
    상기 공기조화기 및 조명은 복수 개가 그룹화되어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회의 공기조화 및 조명 네트워크 설비의 원격 제어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비 상태 정보 수집부는 교회내 공기조화 및 조명 설비에 장착된 각 디바이스가 네트워크를 통해 각 설비의 현재 상태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면 이를 처리하고,
    상기 설비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되는 공기조화 및 조명 설비의 현재 상태 정보를 기초로 교회내 공기조화 및 조명 설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회의 공기조화 및 조명 네트워크 설비의 원격 제어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스마트폰, PC, 노트북, PDA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회의 공기조화 및 조명 네트워크 설비의 원격 제어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원격지에서 교회내 공기조화 및 조명 설비에 대한 현재 상태정보를 디바이스를 통해 수신받아 그 현재 상태정보를 토대로 설비를 원하는 상태로 동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회의 공기조화 및 조명 네트워크 설비의 원격 제어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회내 공기조화 및 조명 설비는 각자의 상황이 서로 연계되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회의 공기조화 및 조명 네트워크 설비의 원격 제어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네트워크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또는 IP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회의 공기조화 및 조명 네트워크 설비의 원격 제어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회 네트워크는 게이트웨이가 구성되어, 이 게이트웨이를 통해 관리서버 및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회의 공기조화 및 조명 네트워크 설비의 원격 제어시스템.
KR1020170134925A 2017-10-18 2017-10-18 교회의 공기조화 및 조명 네트워크 설비의 원격 제어시스템 KR101847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925A KR101847460B1 (ko) 2017-10-18 2017-10-18 교회의 공기조화 및 조명 네트워크 설비의 원격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925A KR101847460B1 (ko) 2017-10-18 2017-10-18 교회의 공기조화 및 조명 네트워크 설비의 원격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7460B1 true KR101847460B1 (ko) 2018-04-10

Family

ID=61975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925A KR101847460B1 (ko) 2017-10-18 2017-10-18 교회의 공기조화 및 조명 네트워크 설비의 원격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4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0121A (zh) * 2018-12-06 2019-05-24 珠海西山居移动游戏科技有限公司 一种资产设备管理系统及其方法
WO2020017679A1 (ko) * 2018-07-17 2020-01-23 (주)다산지앤지 에어컨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CN111698335A (zh) * 2020-06-29 2020-09-2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设备状态查询方法、装置及服务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7109A (ja) * 2003-07-17 2005-02-10 Hitachi Lighting Ltd 空調照明連動制御システム
KR20120078891A (ko) * 2011-01-03 2012-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30121532A (ko) * 2012-04-27 2013-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제어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18273A (ko) * 2014-04-11 2015-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관리서버, 이를 포함하는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7109A (ja) * 2003-07-17 2005-02-10 Hitachi Lighting Ltd 空調照明連動制御システム
KR20120078891A (ko) * 2011-01-03 2012-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30121532A (ko) * 2012-04-27 2013-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제어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18273A (ko) * 2014-04-11 2015-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관리서버, 이를 포함하는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037109호(2005.02.10.) 1부.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7679A1 (ko) * 2018-07-17 2020-01-23 (주)다산지앤지 에어컨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CN109800121A (zh) * 2018-12-06 2019-05-24 珠海西山居移动游戏科技有限公司 一种资产设备管理系统及其方法
CN111698335A (zh) * 2020-06-29 2020-09-2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设备状态查询方法、装置及服务器
CN111698335B (zh) * 2020-06-29 2022-06-2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设备状态查询方法、装置及服务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2332B2 (en) Wireless lighting controller with abnormal event detection
US966148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nd categorizing distributed devices
US8445826B2 (en) Outdoor lighting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s
CN103645696B (zh) 一种基于Z-Wave技术的智能会议室无线控制系统
US11410539B2 (en) Internet of things (IoT) based integrated device to monitor and control events in an environment
US20170171950A1 (en) Wireless lighting control systems and methods
KR101847460B1 (ko) 교회의 공기조화 및 조명 네트워크 설비의 원격 제어시스템
WO2013008252A2 (en) An integrated, interoperable and re-configurable automation system
EP3763090B1 (en) Smart light switch/thermostat for control and energy management
KR20140145325A (ko) 통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4099539A1 (en) Device management method, program, power distribution facility, and device management system
KR101738784B1 (ko) IoT 환경 구축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 기능이 결합된 지능형 통합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어 방법
KR100765170B1 (ko) 시스템 에어컨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815263B1 (ko)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62424A (ko) IoT 환경 구축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 기능이 결합된 지능형 통합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어 방법
KR101875092B1 (ko) 교회 네트워크 설비의 원격 제어시스템
CN105450438A (zh) 多区域无线管理与通讯网络系统及其管理方法
RU2628289C1 (ru)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ая гибридная модульная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зданием (умный дом) "insyte"
KR101895696B1 (ko) Li-Fi/RF(WiFi/ZigBee/Bluetooth) Hybrid 기술
KR20050074827A (ko) 에어컨의 중앙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200079142A (ko) 실시간 정보 수집을 통한 에너지 정책 수립 및 피드백 시스템
KR101231282B1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 덕트 영역 네트워크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U2021107221A4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building automations from a lighting plan
KR102393139B1 (ko) 실내 위치 기반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RU56011U1 (ru) Структур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оборудованием сервиса и мультимедиа развлечений объекта,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перемещающегося объек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