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0389B1 - 공기조화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0389B1
KR102400389B1 KR1020170132093A KR20170132093A KR102400389B1 KR 102400389 B1 KR102400389 B1 KR 102400389B1 KR 1020170132093 A KR1020170132093 A KR 1020170132093A KR 20170132093 A KR20170132093 A KR 20170132093A KR 102400389 B1 KR102400389 B1 KR 102400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communication
unit
air conditioner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2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1087A (ko
Inventor
고상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2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0389B1/ko
Publication of KR20190041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0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0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13Details regarding a bus controll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08Bus network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bus standard
    • H04L2012/40247L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3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d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실내기 및 실외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와, 공기조화기와 제1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1 제어기와, 제1 제어기와 제2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고,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을, 제2 통신 방식으로 변환하여, 제1 제어기에 전송하는 제2 제어기를 포함하고, 제1 제어기는, 변환된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을 기초로, 제2 제어기와의 통신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에 따라, 통신 패킷을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시스템{Air 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공기조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제어기와 제2 제어기간의 통신 데이터를 제1 제어기에 저장하여, 통신 패킷을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는, 공기조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 및 실내기가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실외기의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가 냉매배관을 통해 실내기의 열교환기로 공급되고,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열 교환된 냉매는 다시 냉매배관을 통해 실외기의 압축기로 유입된다. 그에 따라 실내기는 냉매를 이용한 열교환을 통해 냉온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한다.
한편, 대형 건물 등에 있어서,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실외기에 복수의 실내기가 연결되거나 복수의 실외기가 상호 연결되어 복수의 실내기에 연결되는, 이른바 멀티형 공기조화기 형태로 구성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근래에는, 멀티형 공기조화기 뿐만 아니라 건물 내의 설치된 전력, 조명, 방재, 공조 등의 다양한 서브 시스템을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는 빌딩 관리 시스템(Building Management System: BMS)이 구비되고 있다.
이러한 서브 시스템들을 전체적으로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통신망 연결로써 필드버스(field bus)가 있다, 특히, 론웍스(lonworks)는, 개방형 통신 프로토콜이 우수하고, 경제성이 뛰어나 산업 전반에 두루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빌딩 관리 시스템(BMS)의 제어기와 공기조화기의 제어기는 제조사가 서로 다른 것이 일반적이고, 상호 통신 이슈 발생시, 엔지니어는 관련 HW(예를 들어 ft/tp-10 케이블) 및 SW(예를 들어, lonscanner)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그 분석이 용이하지 않고, 관리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패킷을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는 공기조화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실내기 및 실외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와, 공기조화기와 제1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1 제어기와, 제1 제어기와 제2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고,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을, 제2 통신 방식으로 변환하여, 제1 제어기에 전송하는 제2 제어기를 포함하고, 제1 제어기는, 변환된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을 기초로, 제2 제어기와의 통신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은, 제1 제어기와 제2 제어기간의 통신 데이터를 제1 제어기에 저장하므로, 통신 패킷을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시스템 내의 제1 제어기는, 통신 데이터를 변환하지 않고, 메모리에 저장하며, 외부기기를 통해 메모리에 저장된, 통신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으므로, 통신 이슈 등에 대한 대응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시스템은, 전력, 조명, 방재 등의 서브 시스템과 상이한 통신방식의 멀티형 공기조화기 시스템을, 구조적 변경 없이 그대로 빌딩 관리 시스템(BMS)에 편입시킬 수 있어, 시스템 구성의 유연성을 제공한다.
또한, 공기조화시스템 내의 제1 제어기는, 제1 통신 방식으로, 실외기 또는 실내기에 연결되며, 각 실외기 또는 실내기는 개별 통신 모듈을 구비하지 않아도, 제1 제어기 또는 제2 제어기에 의한 개별 제어가 가능하므로, 적은 비용으로 통합 제어 시스템의 구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기조화시스템은, 제1 제어기 또는 제2 제어기의 제어 명령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종합적인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하여, 제어의 용이성 및 관리의 편의성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기조화시스템 내의 제2 통신 방식은, 론토크 프로토콜 기반의 론웍스 네트워크일 수 있고, 따라서, 공기조화시스템은, 강한 내잡음성, 멀티타켓/멀티제어 제공, 시스템 신뢰도 향상, 확장성 증대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실외기와 실내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2 제어기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4는, 도 1의 제1 제어기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5는, 도 4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신호흐름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신호흐름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10)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실내기(21) 및 실외기(31)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100), 공기조화기(100)와 제1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1 제어기(40), 제1 제어기(41)와 제2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2 제어기(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빌딩 관리 시스템(BMS)은, 제2 제어기(50)와 제2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는, 기타 서브 시스템(200)을 더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공기조화기(100) 및 제1 제어기(40) 구성을 공기조화시스템(10)과 구별하여 공조 서브 시스템 또는 공조 시스템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0)는, 대형의 공기조화기(100)로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실내기(21 내지 26, 이하 구분의 필요성이 없는 경우 21이라 한다), 실내기(21)에 연결되어 냉매를 공급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실외기(31 내지 32, 이하 구분의 필요성이 없는 경우 31 이라 한다), 실내기(21)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리모컨(11 내지 16, 이하 구분의 필요성이 없는 경우 11이라 한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100)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벽걸이형 공기조화기, 및 천장형 공기조화기 중 어느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나,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예로 설명한다.
또한, 공기조화기(100)는 환기장치, 공기청정장치, 가습장치 및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실내기(21) 및 실외기(31)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실외기(31)는 냉매를 공급받아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 (미도시)와, 공급되는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를 추출하여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와, 난방운전에 따른 냉매의 유로를 선택하는 사방밸브(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다수의 센서, 밸브 및 오일회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31)는 구비되는 압축기 및 실외 열교환기를 동작시켜 설정에 따라 냉매를 압축하거나 열교환하여 실내기(21)로 냉매를 공급한다.
실외기(31)는 리모컨(11) 또는 실내기(21)의 요구에 의해 구동되고, 구동되는 실내기(21)에 대응하여 냉/난방 용량이 가변 됨에 따라 실외기(31)의 작동 개수 및 실외기에 설치된 압축기의 작동 개수가 가변 된다.
이때, 실외기(31)는 복수의 실외기(31)가, 각각 연결된 실내기(21)로 각각 냉매를 공급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설명하나, 실외기(31) 및 실내기(21)의 연결구조에 따라 복수의 실외기(31)가 상호 연결되어 복수의 실내기(21)로 냉매를 공급할 수도 있다.
실내기(21)는 복수의 실외기(31)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냉매를 공급받아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한다. 실내기(21)는 실내 열교환기(미도시)와, 실내기팬(미도시), 공급되는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 밸브(미도시), 다수의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한편, 실외기(31)는 실내기(21) 동작 상태 정보 및 실외기(31)와 연결된 실내기 그룹의 그룹주소 데이터가 저장되는 실외기 데이터저장부(미도시)와 제1 제어기(40)에 제1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동작 상태 정보를 송수신하는 실외기 통신 모듈(미도시)과, 제1 제어기(40) 또는 제2 제어기(5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실내기(21)를 제어하는 실외기 마이컴(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실외기 마이컴(미도시)은, 제1 제어기(40) 또는 제2 제어기(50)로부터 할당된 실내기 그룹 주소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그룹주소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내기 그룹에 해당되는 실내기(21)로부터 수신된 그룹주소 데이터를 제1 제어기(40) 또는 제2 제어기(5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외기 마이컴(미도시)은, 제1 제어기(40) 또는 제2 제어기(50)로부터 실외기(31)와 연결된 실내기 그룹의 동작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실내기 그룹으로 동작 상태 정보를 요청하고, 요청에 따라 수신된 실내기 그룹의 동작 상태 정보를 제1 제어기(4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실내기(21)는 실내기(21)를 제어하는 실내기 마이컴(미도시)을 구비하고, 실내기 마이컴(미도시)은 실외기(31)를 통해 제1 제어기(40) 또는 제2 제어기(50)로부터 할당된 실내기 그룹의 그룹주소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그룹주소 데이터에 따라 실내기(21)의 그룹주소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실내기(21)는 실내기 통신 모듈(미도시)을 구비하고, 실내기(21)는 실외기(31)의 요청에 따라 실내기(21)의 동작 상태 정보를 실내기 통신 모듈(미도시)을 통해, 실외기(31)에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리모컨(11)은 실내기(21)에 각각 연결되어, 실내기(21)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입력하고, 실내기(21)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리모컨(11)은 실내기(21)와의 연결 형태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며, 경우에 따라 복수의 실내기(21)에 하나의 리모컨(11)이 연결되어 하나의 리모컨 입력을 통해 복수의 실내기(21)의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리모컨(11)은 내부에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제어기(40)는, 공기조화기(100)와 제1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그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제어기(40)는 실내기(21) 및/또는 실외기(31)에 연결되어, 복수의 실내기(21)에 대한 운전 설정, 잠금 설정, 스케쥴 제어, 그룹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기(40)는, 각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실내기(21)의 개별 운전 및 정지가 가능하고, 각 실내기(21)의 운전상태 및 이상을 파악할 수 있으며, 제1 제어기(40)가 컴퓨터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인터넷 또는 로컬 네트워크(local network) 환경에서 제어하여 원격제어 및 모니터링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제어기(40)는,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 수단을 구비할 수 있고, 제어 명령을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실내기(21) 및/또는 실외기(31)에 전송할 수 있다. 실내기(21) 및/또는 실외기(31)는, 제어 신호를 기초로, 각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기(40)는, 실내기(21) 및/또는 실외기(31)의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 받고, 동작 상태 정보를 표시 수단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제어기(40)는,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수단 및 제어 데이터 또는 동작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1 제어기(40)는, 제2 제어기(50)의 제어 명령을 제1 통신 방식에 의한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공기조화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제어기(40)는, 프로토콜을 상호 변환하는 게이트웨이로써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기(40)가 게이트웨이로써 동작하는 경우, 제1 제어기(40)는 실내기(21) 및/또는 실외기(31)와 RS 485 등의 전용선 통신 방식이나, LAN(Local Area Network) 등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기(40)는, 론웍스(Lonworks), 백넷(BACnet) 등의 통신 프로토콜을 실내기(21) 및/또는 실외기(31) 내의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거나 역으로 변환할 수 있다.
특히, 제1 제어기(40)는, 제2 제어기(50)와 제2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제2 제어기(50)와의 통신 데이터를, 제1 제어기(40) 내의 저장 수단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기(40)는, 제2 제어기(50)로부터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을 수신 받을 수 있고, 제1 제어기(40)는,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을 기초로, 제2 제어기(50)와의 통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10)은, 제1 제어기(40)와 제3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는 외부기기(6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외부기기(60)는, 통신 데이터를 다운 받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조화시스템(10)은, 현장 엔지니어가 통신 이슈 발생시, 관련 HW(예를 들어, ft/tp-10 케이블) 및 SW(예를 들어, lon scanner)를 보유하고 있지 않다고 하더라도, 외부기기(60)를 통해, 통신 패킷을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관련 SW는, 인증키를 요구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발명은 간단한 외부기기 연결만으로 통신 패킷을 분석할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제2 제어기(50)는, 제1 제어기(40)와 제2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각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실내기(21)의 개별 운전 및 정지가 가능하고, 각 실내기(21) 및 실외기(31)의 동작 상태 및 이상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어기(50)는, 공기조화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제1 제어기(40)에 전송하고, 제1 제어기(40)는, 제1 통신 방식에 의한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공기조화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2 제어기(50)는, 실내기(21)를 냉방 모드, 제습 모드, 공기청정 모드, 난방 모드 등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기(50)는, 제1 제어기(40)가 공기조화기(100)로부터 수신한 동작 상태 정로를 수신 받아 표시 수단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2 제어기(50)는, 실시간으로 실내기(21) 및/또는 실외기(31)의 실시간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제2 제어기(50)는,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기(50)는,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을, 제2 통신 방식으로 변환하여, 제1 제어기(40)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에는, 저장 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고, 제1 제어기(50)는, 저장 시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소정 시간 동안, 통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10)은, 제1 제어기(40)와 제2 제어기(50) 사이의 서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 제어기(50)는, 웹서버에 접속하여 공기조화기(100)를 제어 및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인증방법은, 제1 제어기(40)의 네트워크 접근시 입력한 고유ID 및 패스워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기저장된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와 일치하는지 여부로 판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빌딩 관리 시스템(BMS) 내의 기타 서브 시스템(200)은, 전력 시스템, 조명 시스템, 이동 시스템, 보안 시스템, 방재 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시스템은, 빌딩 내 전력 분배기, 전력 검침기 등과 같은 전력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조명 시스템은, 빌딩 내 조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이동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와 같이 건물 내에서의 이동장치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고, 보안 시스템은, 외부 침입에 대한 침입감지 장치, 경보장치, 감시카메라 등과 같은 보안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며, 방재 시스템은, 가스누설 감지기, 화재 감지기 등의 방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 밖에, 빌딩 제어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서브 시스템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제2 제어기(50)는, 복수의 서브 시스템에 대하여, 개별 서브 시스템 단위로 제어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서브 시스템을 소정 그룹으로 구분하여 그룹단위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제어기(50)는, 복수의 서브 시스템을 개별 동작함은 물론, 상호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어기(50)가 소비 전력을 제한하는 경우, 제2 제어기(50)는, 전력 시스템 및 공조 시스템에 대하여 그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실외기와 실내기의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공기조화기(100)는, 크게 실내기(21)와 실외기(31)로 구분된다.
실내기(21)는 실내에 배치되어 냉/난방 기능을 수행하는 실내측 열교환기(108)와, 실내측 열교환기(108)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실내팬(109a)과 실내팬(109a)을 회전시키는 전동기(109b)로 이루어진 실내 송풍기(109) 등을 포함한다.
실내측 열교환기(108)는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102)는 인버터 압축기, 정속 압축기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100)는 실내를 냉방 시키는 냉방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실내를 냉방 시키거나 난방시키는 히트 펌프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실외기(31)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압축기(102)와, 압축기를 구동하는 압축기용 전동기(102b)와, 압축된 냉매를 방열시키는 역할을 하는 실외측 열교환기(104)와, 실외 열교환기(104)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 시키는 실외팬(105a)과 실외팬(105a)을 회전시키는 전동기(105b)로 이루어진 실외 송풍기(105)와, 응축된 냉매를 팽창하는 팽창기구(106)와, 압축된 냉매의 유로를 바꾸는 냉/난방 절환밸브와, 기체화된 냉매를 잠시 저장하여 수분과 이물질을 제거한 뒤 일정한 압력의 냉매를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103) 등을 포함한다.
한편, 도 2에서는 실내기(21)와 실외기(31)를 각각 1개씩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동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개의 실내기와 실외기를 구비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 한 개의 실내기와 복수개의 실외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등에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3은, 도 1의 제2 제어기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10)의 제2 제어기(50)는, 입력부(310), 저장부(320), 프로세서(330), 통신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310)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버튼 또는 터치입력수단을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 버튼과 터치입력수단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310)는 구비되는 입력수단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을 프로세서(330)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입력부(310)는, 서브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고, 프로세서(330)는,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해당 서브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310)는,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고, 통신신 데이터 저장 명령에는, 저장 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입력부(310)는, 통신 데이터 저장 중지 명령을 입력 받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제어기(50)는, 출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출력부(미도시)는, 숫자, 문자, 특수문자 또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소정의 표시 수단, 소정의 효과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출력부(미도시)는,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을 표시 수단에 출력하거나,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는, 소정의 화면이 출력되도록 하고, 공기조화기(100)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320)는, 제2 제어기(5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 입력부(310)를 통해 입력되는 설정 데이터, 제1 제어기(40)와의 통신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통신 데이터는, 제1 제어기(40)와의 통신 상태에 대한 정보, 송수신제어 되는 제어 신호에 대한 정보, 공기조화기(100)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제어기(40)와 송수신하는 모든 데이터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20)는, 프로토콜 변환을 위한, 변수 테이블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320)는, 제2 통신 방식을 제1 통신 방식으로 변환하기 위한 변수 테이블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1 통신 방식은 RS-485 통신 방식이고, 제2 통신 방식은, 론 토크(Lon talk) 프로토콜 기반의 론웍스(lonworks) 통신 방식일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제2 제어기(5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입력부(310) 및 출력부(미도시)를 통한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입력부(310)를 통해 입력된 제어 명령을 기초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 신호를, 통신부(340)를 통해 해당 서브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복수의 서브 시스템 각각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 상호 연동하여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도어 잠금 신호에 연동하여, 공기조화기(100)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정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도어 잠금 신호 및 정지 신호를 통신부(340)를 통해 보안 시스템 및 공조 시스템에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조화시스템(10)은, 전력, 조명, 방재 등의 서브 시스템들과 상이한 통신방식의 공기조화기(100)를, 구조적 변경 없이 그대로 빌딩 관리 시스템(BMS)에 편입시킬 수 있어, 시스템 구성의 유연성을 제공한다.
특히, 프로세서(330)는,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을, 론웍스 통신 방식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을, 통신부(340)를 통해, 제1 제어기(40)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에는, 저장 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저장 시간에 대한 정보를 론웍스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변수로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제어기(40)는, 상기 변수에 대응하여 소정 시간 동안 통신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통신 데이터 저장 중지명령을, 론웍스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변수로 변환하고, 상기 변수를, 통신부(340)를 통해, 제1 제어기(4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제어기(40)는, 상기 변수를 기초로, 통신 데이터의 저장을 중지한다.
통신부(340)는, 전력 장치(350), 보안 장치(360), 조명 장치(370) 및 공기조화기(100)와 통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3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통신부(340)는, 론웍스 통신 모듈(341)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3의 전력 장치(350), 보안 장치(360) 및 조명 장치(370)는, 각각, 전력 시스템, 보안 시스템, 조명 시스템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빌딩 제어의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서브 시스템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제1 제어기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10)의 제1 제어기(40)는, 게이트웨이부(410), 원격제어부(420), 입력부(430), 출력부(440), 제1 통신부(450), 제2 통신부(460) 및 제3 통신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제어기(40)는, 제2 제어기(50), 공기조화기(100) 및 외부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 통신부(450, 460, 47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통신부(460)는, 공기조화기(100)와 제1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1 제어기(40)와 공기조화기(100)는 CAC(Commercial Air-conditioner Control) 네트워크망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를 위해, 제2 통신부(460)는 RS 485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통신부(450)는, 제2 제어기(50)와 제2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통신 방식은 백넷(BAC net)과 같은 개방형 필드버스 네트워크가 사용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론웍스(lonworks)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통신부(450)는, 론웍스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제3 통신부(470)는, 외부기기(60)와 제3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통신 방식은 외부기기(60)의 구조 및 특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프로토콜/인터넷 프로토콜(TCP/IP) 방식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제3 통신부(470)는, TCP/IP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부(410)는, 서로 다른 방식을 가지는 프로토콜을 상호 변환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게이트웨이부(410)는 통신 방식을 변환하는 변환부(411)와, 통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41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메모리(412)는, 제2 제어기(50)와의 통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통신 데이터는 파일 형태로 변환되지 않고, 원격제어부(420)로 전송되며, 이에 대해서는 도 5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메모리(412)는, 통신 방식을 변환하기 위한 변수 테이블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메모리(412)는, 론 네트워크 변수를 변환하기 위한 SNVTs(Standard Network Variable Types)이 저장될 수 있다.
변환부(411)는, 제2 제어기(50) 또는 공기조화기(10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변수 테이블과 매칭하고, 네트워크 변수를 출력하여, 제2 제어기(50) 또는 공기조화기(10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환부(411)는, 제2 제어기(50)로부터 수신한 제1 제어 명령을 기초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변수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수는 제어 신호로써, 공기조화기(100)에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변환부(411)는, 제2 제어기(50)로부터 수신한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을 기초로,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에 대응되는 변수를 출력하고, 상기 변수를 기초로, 소정 시간 동안, 통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변환부(411)는, 공기조화기(100)로부터 수신한 동작 상태 정보를 기초로, 동작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변수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수는 동작 상태 데이터로써, 제2 제어기(50)에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제2 통신 방식이 론웍스 통신 방식인 경우, 변환부(411)는, 통신 프로토콜을 변환하기 위한 뉴런칩(Neuron chip)을 구비할 수 있다.
원격제어부(420)는, 제어 신호를 공기조화기(100)에 전송하고, 제2 제어기(50)와의 통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부(420)는, 통신 데이터를 소정의 통신 파일 형태로 변환하는 제어부(421)와, 상기 통신 파일을 저장하는 제2 메모리(422)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421)는 제1 제어기(4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421)를 메인 제어부라고 명명할 수도 있다.
제어부(421)는, 입력부(430)가 수신한 제어 명령을 기초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부(460)를 제어하여 제어 신호를 공기조화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21)는, 게이트웨이부(410)에서 변환된 제1 제어 명령을 제어 신호로써 공기조화기(100)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421)는, 출력부(440)를 제어하여, 각 기기와의 연결 상태, 공기조화기(100)의 동작 상태 등을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421)는, 게이트웨이부(410)로부터 통신 데이터를 수신 받아, 소정의 통신 파일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파일 형태는, XML(Extensible Markup Laguage) 또는 XSL(Extensible Stylesheet Language) 파일 형태일 수 있다.
제2 메모리(422)는, 제어부(421)에서 변환된 통신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제2 메모리(422)에 저장된 통신 파일은, 제2 통신부(470)를 통해, 외부기기(60)로 출력될 수 있다.
제2 메모리(422)는, 공기조화기(100)로부터 수신한 동작 상태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21)는, 소정 주기로 공기조화기(100)의 동작 상태 정보가 수신되도록 제2 통신부(460)를 제어할 수 있고, 제2 메모리(422)는, 주기적으로 저장된 동작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게이트웨이부(410) 및 원격제어부(4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체로 형성된다는 것은, 구성요소들이 서로 분리 불가능하게 형성된다는 것 만을 의미하지 않고, 서로 구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 제어기(40)의 구성이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입력부(430)는, 버튼, 스위치 또는 터치 입력 수단을 적어도 하나 구비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입력부(43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입력부(430)는 표시 수단의 화면을 터치함으로써 데이터 입력이 가능하다.
특히, 입력부(430)는, 공기조화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출력부(440)는, 문자, 숫자, 심볼 이미지의 출력이 가능한 표시 수단을 포함하여, 공기조화기(100), 제2 제어기(50) 및 외부기기(60)와의 연결 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440)는, 공기조화기(100)로부터 수신한 동작 상태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출력부(440)는, 점등되거나 점멸되어 동작 상태, 각 기기와의 연결 상태 또는 경고를 출력하는 램프, 소정의 효과음 또는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는, 제어 신호, 동작 상태 정보 및 통신 데이터의 신호 흐름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한편, 옵션 MCU(530)는 도 4의 변환부(411)에 대응되고, 메인 MCU(550)는, 도 4의 제어부(421)에 대응되는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제어기(40)는, 제2 제어기(50)와 론웍스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제어기(40)의 제1 통신부(450)는, 론웍스 통신 모듈(510)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제어기(50)는, 공기조화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제어 명령을, 제1 제어기(40)에 전송할 수 있다.
옵션 MCU(530)는, 제1 제어 명령을 제1 메모리(412)에 저장된 변수 테이블(520)과 매칭하여, 제1 네트워크 변수를 출력할 수 있다.
옵션 MCU(530)는, 제1 네트워크 변수를 원격제어부(420)의 메인 MCU(55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옵션 MCU(530)와 메인 MCU(550)는, 캔(CAN)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옵션 MCU(530)와 메인 MCU(550)는, 캔(CAN) 통신 모듈(541, 542)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메인 MCU(550)는, 제1 네트워크 변수를 제2 메모리(422) 내의 컨트롤 DB(58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인 MCU(550)는 제1 네트워크 변수를, 제2 통신부(460)의 RS 485 통신 모듈(590)을 통해, 공기조화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네트워크 변수는 공기조화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로써 공기조화기(100)에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제1 제어기(40)는, 제1 제어기(40) 내의 입력부(430)를 통해 제2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고, 제1 제어기(40)는, 제2 제어 명령을 기초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공기조화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제어기(40)와 공기조화기(100)가 RS 485 통신 방식을 통해 통신하므로, 전송에 대한 제어속도가 향상되고, 제어의 신뢰성이 증대된다.
한편, 공기조화기(100)는, 실내기(21) 및 실외기(31)의 동작 상태 정보를 제1 제어기(40)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제어기(40)는, RS 485 통신 모듈(590)을 통해,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메인 MCU(550)는, 동작 상태 정보를 제2 메모리(422) 내의 제1 모니터 DB(57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인 MCU(550)는, 동작 상태 정보를 캔(CAN) 통신 방식을 통해 옵션 MCU(530)에 전송할 수 있다.
옵션 MCU(530)는, 동작 상태 정보를 변수 테이블(520)과 매칭하여 제2 네트워크 변수를 출력할 수 있다.
옵션 MCU(530)는, 제2 네트워크 변수를 론웍스 통신 모듈(510)을 통해, 제2 제어기(5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2 네트워크 변수는, 공기조화기(100)의 동작 상태 정보로써 제2 제어기(50)에 전송될 수 있다.
제2 제어기(50)는,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기(50)는,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을 론웍스 통신 방식으로 변환하여, 제1 제어기(4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제어기(40)와 제2 제어기(50)가 론웍스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므로, 강한 내잡음성, 확장성 증대, 시스템의 신뢰도 향상 등의 이점이 있다.
한편,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은, 통신 데이터 저장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어기(50)는, 통신 데이터의 저장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320) 내의 변수 테이블과 매칭하여, 제1 변수(nvi)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제어기(40)는 론웍스 통신 모듈(510)을 통해, 제1 변수(nvi)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제1 제어기(40), 특히, 옵션 MCU(530)는, 제1 변수에 대응하여, 제2 변수(nvo)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2 변수(nvo)는, 제1 제어기(40)의 모니터링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제1 제어기(40)는, 제2 변수(nvo)를 기초로, 소정 시간 동안, 통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기(40)는, 통신 데이터를 소정의 통신 파일 형태로 변환하여 외부기기(60)로 출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옵션 MCU(530)는, 제2 변수(nvo)를 기초로, 소정 시간 동안, 통신 데이터를 옵션 MCU(530) 내의 메모리(도 4의 제1 메모리(412))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데이터 파일을 캔(CAN) 통신 방식을 통해 메인 MCU(550)에 전송할 수 있다. 메인 MCU(550)는 통신 데이터를 소정의 통신 파일로 변환할 수 있다.
메인 MCU(550)는, 소정의 통신 파일을 제2 메모리(422) 내의 제2 모니터 DB(56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2 제어기(50)는, 통신 데이터 저장 중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기(50)는, 통신 데이터 중지 명령을 론웍스 통신 방식으로 변환하여, 제1 제어기(40)에 전송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제어기(50)는, 통신 데이터 저장 중지 명령을 저장부(320) 내의 변수 테이블과 매칭하여, 제3 변수로 변환할 수 있다. 제2 제어기(50)는, 제2 제어기(50) 내의 통신부(340)를 통해, 제3 변수를 제1 제어기(4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제어기(40)는, 론웍스 통신 모듈(510)을 통해, 제3 변수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옵션 MCU(530)는, 캔(CAN) 통신 방식을 통해, 제3 변수를 메인 MCU(550)로 전송할 수 있다.
메인 MCU(550)는, 제3 변수를 기초로, 통신 데이터의 저장을 중지할 수 있다.
한편, 외부기기(60)는, TCP/IP 통신 방식을 통해 제1 제어기(40)와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외부기기(60)는, 제2 모니터 DB(560)의 통신 파일을 수신 받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 제어기(50)는,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고,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을 제2 통신 방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S610).
한편,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은, 통신 데이터 저장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어기(50)는, 통신 데이터의 저장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320) 내의 변수 테이블과 매칭하여, 제1 변수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 방식은 백넷(BAC net)과 같은 개방형 필드버스 네트워크가 사용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론토크(lontalk) 프로토콜 기반의 론웍스(lonworks) 네트워크일 수 있다.
제2 제어기(50)는, 변환된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을 제1 제어기(40)로 전송할 수 있다(S630). 제1 제어기(40)는 변환된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을 수신 받을 수 있다.
제1 제어기(40)는, 변환된 데이터 저장 명령을 기초로, 제2 제어기(50)와의 통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제어기(40)는, 제1 변수에 대응하여, 제2 변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기(40)는, 제2 변수를 기초로, 소정 시간 동안, 통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2 제어기(50)는, 데이터 저장 중지 명령을 제2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제3 변수로 변환하여 제1 제어기(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제어기(40)는, 제3 변수를 기초로, 통신 데이터의 저장을 중지할 수 있다.
외부기기(60)는, 제1 제어기(40)와 제3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고, 통신 데이터를 수신 받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신호흐름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7은, 제2 제어기(50)의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에 따른 신호 흐름을 예시하고, 도 8은, 제2 제어기(50)의 제어 명령에 따른 신호 흐름을 예시한다.
도 7에서, 제2 제어기(50)는,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을 제2 통신 방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기(50)는, 통신 데이터의 저장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2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제1 변수로 변환할 수 있다(S701).
제2 제어기(50)는, 제1 변수를, 변환된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에 포함하여 제1 제어기(40)에 전송할 수 있다(S703).
제1 제어기(40), 특히 게이트웨이부(410)는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 및 통신 데이터 저장 명령에 포함된 제1 변수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제1 제어기(40), 특히 게이트웨이부(410)는, 제1 변수에 대응하여 제2 변수를 설정할 수 있다(S705).
예를 들어, 제2 제어기(50)가, 제1 변수(nvi)를 10으로 설정한 경우, 게이트웨이부(410)는 제1 변수(nvi)에 대응하여, 제2 변수(nvo)를 1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1 제어기(40), 특히 게이트웨이부(410)는, 제2 변수를 기초로, 소정 시간 동안, 통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S707). 소정 시간은, 바람직하게 분 단위일 수 있다.
제1 제어기(40), 특히 게이트웨이부(410)는, 제2 변수를 단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제2 변수가 0에 도달한 경우, 저장을 중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변수(nvo)가 10인 경우, 게이트웨이부(410)는, 제2 변수(nvo)를 매분마다 1씩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변수가 0에 도달한 경우, 통신 데이터 저장을 중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제어기(50)는, 통신 데이터의 저장 중지 명령을, 제2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제3 변수로 변환하여 제1 제어기(40)에 전송할 수 있다(S709).
제1 제어기(40) 특히, 게이트웨이부(410)는, 제3 변수의 수신 여부를 연산할 수 있다(S711).
제1 제어기(40)가 제3 변수를 수신 받지 못한 경우, 게이트웨이부(410)는, 통신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제1 제어기(40)가 제3 변수를 수신한 경우, 제1 제어기(40) 특히, 게이트웨이부(410)는, 제3 변수를 기초로, 통신 데이터의 저장을 강제로 중지할 수 있다.
제1 제어기(40) 특히 게이트웨이부(410)는, 통신 데이터를 캔(CAN) 통신 방식을 통해 원격제어부(420)에 전송할 수 있다(S713). 이를 위해, 게이트웨이부(410) 및 원격제어부(420)는 캔(CAN) 통신 모듈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제1 제어기(40) 특히 원격제어부(420)는, 통신 데이터를 소정의 통신 파일로 변환할 수 있다(S715). 이때, 소정의 파일 형태는, XML(Extensible Markup Laguage) 또는 XSL(Extensible Stylesheet Language) 파일 형태일 수 있다.
제1 제어기(40) 특히 원격제어부(420)는, 통신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S717).
외부기기(60)는, 제1 제어기(40)와 제3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기(40) 특히 원격제어부(420)는, 외부기기(60)의 요청에 의해, 통신 파일을 외부기기(60)에 전송할 수 있다.
외부기기(60)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통신 파일을 수신 받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S721).
도 8에서, 제2 제어기(50)는, 제1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801). 제2 제어기(50)는, 제1 제어 명령을 제1 제어기(40)에 전송할 수 있다(S803).
제1 제어기(40), 특히 게이트웨이부(410)는, 제1 제어 명령을 제1 통신 방식에 의한 제어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S805).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제어기(40), 특히 게이트웨이부(410)는, 제1 제어 명령을 제1 메모리(412)에 저장된 변수 테이블과 매칭하여, 제1 네트워크 변수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제어기(40), 특히 게이트웨이부(410)는, 제1 네트워크 변수를 캔(CAN) 통신을 통해 원격제어부(420)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제어기(40), 특히 원격제어부(420)는, 제1 네트워크 변수를 제1 제어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1 제어기(40), 특히 원격제어부(420)는, 제1 제어 신호를 공기조화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S807).
한편, 제1 제어기(40)는 입력부(430)를 구비할 수 있고, 입력부(430)는, 공기조화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기(40), 특히 원격제어부(420)는, 제2 제어 명령을 제2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공기조화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제어기(40)가 제1 제어 명령과 제2 제어 명령을 일정 시간 내에 순차 또는 동시에 입력 받는 경우, 제1 제어기(40) 특히 원격제어부(420)는, 제2 제어 명령을 무시하고, 제1 제어 명령만을 제1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공기조화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정 시간은, 공기조화기(100)의 제어에 있어 사용자가 불편을 느끼지 않을 정도로 매우 작은 시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실외기(31) 또는 실내기(21)가 개별 통신 모듈을 구비하지 않아도 제1 제어기(40) 또는 제2 제어기(50)에 의한 개별 제어가 가능하므로, 적은 비용으로 통합 제어 시스템의 구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제어기(40) 또는 제2 제어기(50)의 제어 명령에 의한, 공기조화기(100)의 종합적인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하여, 제어의 용이성 및 관리의 편의성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100)는 제1 제어 신호 또는 제2 제어 신호를 수신 받을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 신호 또는 제2 제어 신호를 기초로, 공기조화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S809).
공기조화기(100)는, 제1 제어기(40)의 요청 또는 주기적으로, 공기조화기(100)의 동작 상태 정보를 제1 제어기(40)에 전송할 수 있다(S811).
동작 상태 정보는, 실내기(21)의 운전 모드, 실내 공간의 실내 온도, 실내기(21)의 설정 온도, 실내기(21)의 송풍량, 실외기(31) 및 실내기(21)의 연결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기(40) 특히 원격제어부(420)는, 공기조화기(100)의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부(420)는 캔(CAN) 통신을 통해 동작 상태 정보를 게이트웨이부(410)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제어기(40)는, 동작 상태 정보를 제2 통신 방식에 의한 동작 상태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S813).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제어기(40) 특히 게이트웨이부(410)는, 동작 상태 정보를 제1 메모리(412)에 저장된 변수 테이블과 매칭하여, 제2 네트워크 변수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제어기(40) 특히 게이트웨이부(410)는, 변환된 동작 상태 정보를 제2제2 제어기(50)에 전송할 수 있다(S815).
제2 제어기(50)는, 변환된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기(50)는, 동작 상태 정보를 소정의 표시 수단에 표시할 수 있다(S817).
도 9는, 본 발명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9a는 외부기기(6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10)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9b는 외부기기(60)의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의 일예이며, 도 9c는, 외부기기(60)에 표시되는 통신 데이터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9a에서, 외부기기(60)는 제1 제어기(40)와 제3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고, 통신 데이터를 수신 받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외부기기(60)는, 제1 제어기(40)와 통신이 가능한 기기로서,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제1 제어기(40)에 저장된 통신 데이터를 전송 받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기라면 그 대상에 구애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외부기기(60)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일 수 있다.
제3 통신 방식은 외부기기(60)의 구조 및 특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프로토콜/인터넷 프로토콜(TCP/IP) 방식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기기(60)는, TCP/IP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기기(60)는 이더넷(Ethernet) 네트워크에 유, 무선으로 연결되며, TCP/IP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외부기기(60)는, 제1 제어기(40)로부터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b에서, 외부기기(60)는, 통신 데이터 수신을 위한 오브젝트(610)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오브젝트(610)를 선택하여 통신 데이터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외부기기(60)는, 통신 데이터를 출력 가능한 파일 형태로 저장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엑셀 또는 정의된 텍스트 등의 파일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도 9c에서, 통신 파일은, 시간 정보, 파일 타입 정보, 제어 목적 노드 정보, 데이터 패킷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통신 파일을 제1 제어기(40)를 통해 직접 다운 받을 수 있으므로, 통신 이슈 등에 대한 대응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9b 및 도 9c 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및 통신 파일 형태의 일예일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10)은,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공기조화시스템
21: 실내기
31: 실외기
40: 제1 제어기
50: 제2 제어기
100: 공기조화기
410: 게이트웨이부
420: 원격제어부
450: 제1 통신부
460: 제2 통신부
470: 제3 통신부

Claims (10)

  1.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실내기 및 실외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상기 공기조화기와 제1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1 제어기;
    상기 제1 제어기와 제2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2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기는,
    통신 데이터의 저장시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제1 변수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제어기에 전송하고,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제1 변수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제어기의 모니터링에 대한 정보인 제2 변수를 설정하고,
    상기 제2 변수에 기초하여, 소정 시간동안, 상기 제2 제어기와의 통신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기는,
    상기 통신 데이터의 저장 중지 명령을, 상기 제2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제3 변수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제어기에 전송하고,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제3 변수를 기초로, 상기 통신 데이터의 저장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와 제3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통신 데이터를 수신 받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외부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공기조화기와 통신하기 위한, 제1 통신부;
    상기 제2 제어기와 통신하기 위한, 제2 통신부; 및
    상기 외부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제3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는,
    통신 방식을 변환하는 변환부와, 상기 통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를 구비하는 게이트웨이부; 및
    상기 통신 데이터를 소정의 통신 파일로 변환하는 제어부와, 상기 통신 파일을 저장하는 제2 메모리를 구비하는 원격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기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제어 명령을, 상기 제1 제어기에 전송하고,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제1 제어 명령을, 상기 제1 통신 방식에 의한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공기조화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 및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상태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 상태 정보를, 상기 제2 통신 방식에 의한 동작 상태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2 제어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방식은, 론토크 프로토콜 기반의 론웍스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KR1020170132093A 2017-10-12 2017-10-12 공기조화시스템 KR102400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093A KR102400389B1 (ko) 2017-10-12 2017-10-12 공기조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093A KR102400389B1 (ko) 2017-10-12 2017-10-12 공기조화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087A KR20190041087A (ko) 2019-04-22
KR102400389B1 true KR102400389B1 (ko) 2022-05-19

Family

ID=66283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2093A KR102400389B1 (ko) 2017-10-12 2017-10-12 공기조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0389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263B1 (ko) * 2011-01-03 2018-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164805B1 (ko) * 2013-05-21 2020-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70027164A (ko) * 2015-09-01 201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087A (ko) 201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9433B2 (en) Multi-air conditioner central control system
EP1804007B1 (en) Air conditioner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EP1953470B1 (e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type air conditioners
US20140371878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867420B2 (en) Backup control for HVAC system with headless thermostat
US11300308B2 (en) Faceless system control
KR101815263B1 (ko)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206461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2164805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EP2053318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2400389B1 (ko) 공기조화시스템
KR100733302B1 (ko) 멀티 공기조화기의 시스템
KR102205162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US11567467B2 (en) Method and systems for configuring a modular building control system
EP3845980B1 (en) Wall mountable universal backplane
KR20130035022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3984945B2 (ja) 空気調和装置システム
US20230358424A1 (en) Operation of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during thermostat failure
KR102313303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WO2015162770A1 (ja) 空気調和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