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177B1 -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 - Google Patents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5177B1
KR101815177B1 KR1020170113165A KR20170113165A KR101815177B1 KR 101815177 B1 KR101815177 B1 KR 101815177B1 KR 1020170113165 A KR1020170113165 A KR 1020170113165A KR 20170113165 A KR20170113165 A KR 20170113165A KR 101815177 B1 KR101815177 B1 KR 101815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rts
vehicle
component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완기
Original Assignee
정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완기 filed Critical 정완기
Priority to KR1020170113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1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007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for engines, motor-vehicles or b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1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holders for tool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14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bench top
    • B25H1/16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bench top in h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범퍼나 라이트 등 외부요인에 의한 흠, 변색 등 손상에 취약한 부품을 작업하기 위해 거치함에 있어서,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 하면서 거치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부품에 대응하며 거치가 가능함과 아울러 부품의 크기와 작업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높이나 폭의 조절이 가능하고, 부품을 견고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작업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는, 지면에서 기립되어 부품의 무게를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과,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부에 부품이 거치되는 거치부 및 거치부의 외측을 전체적으로 감싸게 구비되어 거치부에 거치된 부품을 파지하는 실리콘 코팅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Vehicle parts cradle to prevent parts damage and mount parts}
본 발명은 부품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범퍼나 라이트 등 외부요인에 의한 흠, 변색 등 손상에 취약한 부품을 작업하기 위해 거치함에 있어서,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 하면서 거치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부품에 대응하며 거치가 가능함과 아울러 부품의 크기와 작업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높이나 폭의 조절이 가능하고, 부품을 견고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작업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부품을 정비함에 있어서, 작업자가 작업을 하고자 하는 위치에 두고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은 주로 작업장의 바닥에 부품을 놓아둔 상태로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바닥이 오염되거나 거친 바닥에 부품을 놓아둘 경우 부품에 흠이 발생하거나, 외부 요인에 의해 변색되는 등의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바닥에 종이 박스를 펼쳐서 깔고 정하거나, 그 위에 비닐을 더 깔아 둔 상태로 정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작업자가 바닥에 가깝도록 허리를 숙이거나 앉은 상태에서 작업하게 되어 작업 피로도가 증가하고, 작업장 공간을 과도하게 차지하여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작업장에서 작업자의 높이에 맞게 작업할 수 있는 거치대를 이용하여 부품을 거치대에 거치한 상태로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여주면서 부품의 정비를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거치대는 주로 금속 등의 강질로 되어 거치 과정에서 부품에 흠이 발생하거나, 거치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부품이 거치대에서 추락하여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행문헌 1(등록특허 10-1393676 차량용 부품 거치대)에서는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사이드프레임을 메인프레임에 탈부착하면서 교체 및 높이 조절이 용이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선행문헌 1은 사이드프레임을 메인프레임에 탈부착 함에 있어서, 사이드프레임에 구비된 걸림돌기를 메인프레임에 구비된 연결홈에 탈장착함에 따라 높이 조절 및 부품의 거치가 가능한 것으로, 사이드프레임이나 메인프레임에 부품이 접촉되면 부품에 흠이 생기거나 도색이 벗겨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사이드프레임을 메인프레임에 탈부착 하는 과정이 번거롭고 이에 따라 작업시간이 지연됨과 아울러, 작업자의 피로도 역시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선행문헌 1(등록특허 10-1393676 차량용 부품 거치대)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부품을 거치함에 있어서 부품이 거치되는 부분이 연질의 실리콘으로 이루어져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 하며 거치할 수 있고, 실리콘의 마찰력에 의해 부품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거치하는 부품의 형상에 따라 다단으로 절곡되어 다양한 형태의 부품에 대응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작업자의 신체 조건이나 작업 한경에 따라 부품이 거치되는 높이 및 폭을 조절할 수 있고, 하부에는 캐스터가 구비되어 작업 공정에 따라 거치대에 부품을 거치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부품을 거치한 상태에서 공기 흡착력으로 하부를 고정 지지하면서 상부나 외측, 내측을 다단으로 꺾어지는 클램핑부에 의해 고정 지지할 수 있어서, 작업자의 피로도를 최소화 하면서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는, 지면에서 기립되어 부품(P)의 무게를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100);,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부에 부품(P)이 거치되는 거치부(200); 및 상기 거치부(200)의 외측을 전체적으로 감싸게 구비되어 거치부(200)에 거치된 부품을 파지하는 실리콘 코팅막(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지면에서부터 수직으로 기립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110)과, 상기 수직 프레임(110)의 상부와 하부 양쪽 끝부분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게 평행을 이루며 구비되는 수평 프레임(120)과, 상기 수직 프레임(110)과 수평 프레임(120)이 만나는 아래쪽에서 연장되게 구비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110)과 수평 프레임(120)을 기립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30)과, 상기 수직 프레임(110)에 구비되어 수직 프레임(110)의 길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140) 및 상기 수평 프레임(120)에 구비되어 수직 프레임(110)과 지지 프레임(130) 사이의 폭을 조절하는 폭 조절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거치부(200)는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부에 양측으로 서로 나란하게 구비되고, 다단의 관절 형태로 이루어져 거치되는 부품(P)형상에 따라 부품(P)의 하부를 감싸면서 부품(P)을 지지하는 절곡 거치대(210)와, 상기 절곡 거치대(210)의 다단으로 이루어진 각 마디의 회동 축마다 구비되어 항시 상부로 올려지며 거치되는 부품(P)측으로 상기 절곡 거치대(210)가 밀착되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부(200)의 하부 중앙에는 부품(P)을 흡착하여 고정 지지하는 흡착부(30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서 상부에 구비된 수평 프레임(120)의 하부에는 다수의 관절부로 이루어져 절곡되면서 거치부(200)에 거치된 부품(P)의 상부 측을 고정 지지하는 클램핑부(40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부품에 흠이 발생하거나 변색 및 오염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하면서 정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부품이 거치된 상태에서 부품이 유동되는 것을 최소화 하면서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별도의 클램핑부가 구비되어 부품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작업자의 신체 조건이나 작업 환경에 따라 거치대의 높이 및 폭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거치부가 다수의 관절로 이루어져 부품의 형상에 따라 가변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부품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부품을 거치할 때 부품의 무게나 작업자의 힘에 의해 부품을 흡착하여 고정하고, 정비를 마친 부품을 분리하면 부품의 무게가 해제됨에 따라 자동으로 흡착력을 해제하여 용이하게 흡착 및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에 부가 수단이 구비된 상태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에 부가 수단이 구비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의 거치부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의 흡착부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의 흡착부에 부품이 올려지기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의 흡착부에 부품이 올려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의 클램핑부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의 클램핑부의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의 클램핑부가 부품을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의 흡착부 고정 프레임이 거치되는 부품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수평 프레임을 따라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은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부품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부품을 거치함에 있어서 흠이나 변색 등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정비를 수행할 수 있게 작업자의 신체 조건이나 작업장의 환경에 따라 높이 및 폭이 가변 가능하고, 부품이 거치되는 거치부는 다수의 관절 형태로 이루어져 각 마디가 절곡되면서 부품의 형태에 따라 밀착 지지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상기 거치부는 실리콘 코팅막이 구비되어 부품이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될 수 있는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에 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게 메인 프레임(100), 거치부(200), 흡착부(300) 및 클램핑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기립되고 양측으로 서로 나란하게 구비되고, 서로 끼워진 상태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수직 내측 프레임(111)과 수직 외측 프레임(112)으로 이루어진 수직 프레임(110)과, 상기 수직 프레임(110)의 상부 끝부분과 하부 끝부분에 수평 형태로 연장 구비되고, 서로 끼워진 상태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수평 내측 프레임(121)과 수평 외측 프레임(122)으로 이루어진 수평 프레임(120) 및 상기 수직 프레임(110)과 수평 프레임(120)이 만나는 하부에 전후로 연장되게 구비되어 수직 프레임(110)과 수평 프레임(120)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 프레임(110)의 수직 외측 프레임(112) 내부에는 수직 내측 프레임(111)이 항시 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113)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 프레임(110)의 중간에는 볼트 구조에 의해 수직 내측 프레임(111)과 수직 외측 프레임(112)이 서로 인출되거나 인입되지 않도록 특정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는 높이 조절부(14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높이 조절부(140)는 상기 수직 외측 프레임(112)에서 볼트 구조에 의해 수직 내측 프레임(111)을 가압 지지하는 고정 지지부(141) 및 상기 고정 지지부(141)가 구비되는 위치에 상기 수직 외측 프레임(112)에서 관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고정 지지부(141)가 볼트 구조에 의해 수직 내측 프레임(111)을 가압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잠금홀(1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 지지부(141)는 상기 잠금홀(142)과 볼트 체결되어 볼트 구조에 의해 수직 내측 프레임(111) 측으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게 동작되는 볼트부(141a)와 상기 볼트부(141a)가 상기 잠금홀(142)에 결합된 다른 쪽 끝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볼트부(141a)가 회전되도록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5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로 인해 수직 프레임(110)의 높이를 조절함에 있어서, 무게에 의해 높이 조절이 어려운 수직 프레임(110)의 높이를 스프링(113)의 탄성에 의해 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 프레임(120)의 중간에는 볼트 구조에 의해 수평 내측 프레임(121)과 수평 외측 프레임(122)이 서로 인출되거나 인입되지 않도록 특정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는 폭 조절부(150)가 더 구비된다.
상기 폭 조절부(150)는 상기 수평 외측 프레임(122)에서 볼트 구조에 의해 수평 내측 프레임(121)을 가압 지지하는 고정 지지부(151) 및 상기 고정 지지부(151)가 구비되는 위치에 상기 수평 외측 프레임(122)에서 관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고정 지지부(151)가 볼트 구조에 의해 수평 내측 프레임(121)을 가압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잠금홀(15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 지지부(151)는 상기 잠금홀(152)과 볼트 체결되어 볼트 구조에 의해 수평 내측 프레임(121) 측으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게 동작되는 볼트부(151a)와 상기 볼트부(151a)가 상기 잠금홀(152)에 구비된 다른 쪽 끝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볼트부(151a)가 회전되도록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5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지지 프레임(130)의 양쪽 끝부분에는 각각 메인 프레임(100)의 이송을 용이하게 해주는 캐스터(16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캐스터(160)는 메인 프레임(100) 이송 시에는 바퀴에 의해 용이하게 이송되지만 별도의 잠금 장치(161)가 더 구비되어 이송이 완료된 후 작업을 진행할 때 작업 위치에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 지지한 상태로 정비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평 프레임(120) 중 수직 프레임(110)의 상부 측에 구비되는 수평 프레임(120)의 중간에는 하부로 일정구간 연장되다가 끝부분에서 외측을 향해 꺾어지면서 다시 연 장되어 전체적으로 'ㅗ' 형상을 이루는 흡착부 고정 프레임(170)이 구비된다.
상기 흡착부 고정 프레임(170)은 상기 흡착부(300)가 설치되는 것으로, 수평 프레임(120)과 일체로 구비되어 흡착부(300)가 설치된 상태로 흡착부(300)를 고정 지지한다.
한편, 상기 수직 프레임(110)과 수평 프레임(120)의 중간 부분에 상기 흡착부 고정 프레임(170)의 하부에는 부품(P)을 정비하기 위한 공구를 보관 및 수납할 수 있는 공구 테이블(180)이 더 구비된다.
이로 인해 부품을 거치함에 있어서 작업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작업장의 공간이나 부품의 크기에 따라 폭을 조절하며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공구 테이블(180)에 사용하고자 하는 공구를 미리 수납하여 자리의 이동 없이 용이하게 부품의 정비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의 거치부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거치부(200)는 다단의 마디가 관절 형태로 연결되어 부품의 형상에 따라 각 마디가 절곡되면서 부품(P)을 지지하는 절곡 거치대(210)와, 상기 절곡 거치대(210)의 각 마디에 구비되어 거치부(200)의 각 마디가 항시 부품(P) 측으로 밀착되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220)과, 상기 절곡 거치대(210)의 외측을 감싸면서 구비되어 부품(P)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부품(P)에 흠이 발생하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리콘 코팅막(230)과, 상기 절곡 거치대(210)의 하부에 구비되고,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공구 테이블(180)에 수납된 공구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공구를 꺼내는 과정에서 부품에 접촉되어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 커버(240)가 더 구비되어, 공구를 사용하기 위해 공구 테이블(180)에서 꺼내거나 다시 수납하는 과정에서 부품(P)이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절곡 거치대(210)는 상기 수평 프레임(120)의 상부에 회동축 형태로 구비되어 양측으로 절곡되는 중앙 절곡부(211)와, 상기 중앙 절곡부(211)의 외측 끝부분에 관절 마디 형태로 연결되어 중앙 절곡부(211)의 끝부분에서 부품 측으로 회동 절곡되는 제1 절곡부(212)와, 상기 제1 절곡부(212)가 연결 구비되는 중앙 절곡부(211)의 다른 쪽 끝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절곡부(212)와 대칭 형태를 이루며 동일 구조로 이루어져 부품(P) 측으로 회동 절곡되는 제2 절곡부(2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로 인해 부품(P)을 거치부(200)에 거치함에 있어서 부품(P)의 형태에 따라 부품(P)과 밀착되게 지지하여 부품이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부품(P)이 거치된 상태에서 외부요인이 부품에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 하면서 정비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의 흡착부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흡착부(300)는 부품(P)의 하부에서 부품을 흡착 지지하는 흡착판(310)과, 상기 흡착판(310)의 하부에 흡착판(310)을 감싸면서 구비되어, 흡착판(310)이 인입되면서 흡착력이 발생되고, 인출됨에 따라 흡착력이 해제되도록 조절하는 흡착판 가압틀(320)과, 상기 흡착판 가압틀(320)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흡착판(310)의 중앙 부분과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흡착판 가압틀(320)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동작되며 상기 흡착판(310)이 흡착판 가압틀(320) 측으로 인입되거나 인출되게 조절하는 흡착판 지지블록(330)과, 상기 흡착부 고정 프레임(170)의 양쪽 끝부분에 대칭되게 구비되어 상기 흡착부(300)를 가압 지지하는 지지 소버(340) 및 상기 흡착판 가압틀(320)과 상기 지지 소버(340)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 소버(340)가 회동 동작됨에 따라 상기 흡착판 가압틀(320)과 흡착판 지지 블록(33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흡착판(310)에 흡착력이 가해지거나 해제되도록 동작시키는 회동바(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흡착판 가압틀(320)에는 상기 회동바(350)의 한쪽 끝부분이 연결되는 제1 회동바 연결부(321)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 소버(340)의 상부에는 상기 회동바(350)의 다른쪽 끝부분이 연결되는 제2 회동바 연결부(341)가 구비되어, 상기 회동바(350)의 양쪽 끝부분이 각각 연결됨에 따라 지지 소버(340)의 회동 각도에 따라 흡착판 가압틀(320)과 흡착판 지지블록(330)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어 흡착판에 흡착력을 발생시키거나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흡착판 지지블록(330)에는 지지 소버(340)가 상기 흡착부 고정 프레임(170)에 연결된 다른쪽 끝부분이 연결되는 소버 연결부(331)가 더 구비된다.
이로 인해 지지 소버(340)가 흡착부를 가압 지지한 상태로 회동되면서 회동바(350)에 의해 흡착판(310) 측으로 흡착력을 가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조절하여 부품(P)을 올려놓은 상태에서는 흡착판(310)에 흡착력이 발생하여 부품을 공기 흡착으로 견고하게 고정 지지할 수 있게 되고, 정비가 끝나고 부품(P)을 분리할 때에는 약간의 힘을 주어 흡착판(310)의 흡착력을 해제시킴에 따라 용이하게 거치부(200)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착부(300)의 동작 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의 흡착부에 부품이 올려지기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흡착부(300)는 부품(P)이 올려지기 전에는 지지 소버(340)에 의해 부품(P)이 거치되는 상부 방향으로 지지된 상태로 흡착판(310)은 넓게 펴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흡착판(310)은 흡착력이 약한 상태로 제품이 올려질 때 적정위치로 위치시키면서 거치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의 흡착부에 부품이 올려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흡착판(310)의 상부에 부품이 올려지면 부품(P) 무게와 작업자의 힘에 의해 지지 소버(340)가 수축되면서 흡착판 가압틀(320)과 지지 소버(340)에 양쪽 끝부분이 연결된 회동바(350)가 회동되면서 흡착판 가압틀(320)과 흡착판 지지 블록(33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동작 시키고 이에 따라 흡착판 가압틀(320)이 흡착판(310)의 외측을 감싸면서 흡착판(310)이 흡착판 가압틀(320) 내측으로 인입되어 흡착판(310)의 면적 변화에 따라 흡착판(310) 내부의 흡착력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흡착부(300)는 부품(P)을 올려놓는 동작만으로 자동적으로 흡착력이 발생되면서 부품(P)을 고정할 수 있게 되고, 부품(P)에 대한 정비 등의 작업이 끝나면 약간의 힘만 주어도 자동으로 흡착판(310)의 흡착력이 감소하면서 부품(P)을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의 클램핑부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의 클램핑부의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클램핑부(400)는 한쪽 끝부분이 메인 프레임(100) 측에 연결되고, 다단으로 이루어져 자유롭게 절곡되는 관절부(410)와, 상기 관절부(410)가 메인 프레임(100)과 연결된 다른 쪽 끝부분에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관절 형태로 이루어져 부품(P)이 거치부에 거치된 다른 쪽을 지지하는 지지부재(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관절부(410)는 메인 프레임(100)과 연결된 끝부분에는 관절부(410)가 전체적으로 회전될 수 있는 회전축(411)이 구비되고, 상기 관절부(410)의 각 마디마다 서로 연결되는 끝부분에는 서로 회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되는 끝부분은 고정 볼트(412)에 의해 연결되며, 각 고정 볼트(412)는 고정 손잡이(412a)가 각각 구비되어 작업자가 손으로 고정 볼트(412)를 조여주거나 풀어줌에 따라 거치부(200)에 올려진 부품을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관절부(410)의 메인 프레임(100)과 연결된 다른쪽 끝부분에는 부품(P)을 고정 지지하는 지지부재(420)가 볼트 구조에 의해 탈장착되는 교체 볼트(413)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420)는 전체적으로 구 형상을 이루며 마찰력이 높은 연질의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교체 볼트(413)에 탈장착 됨에 있어서 볼트 구조에 의해 편리하게 탈장착 할 수 있는 교체툴(421)이 더 구비된다.
이로 인해 거치부(200)에 부품이 거치된 상태에서 부품(P)의 상부를 추가적으로 고정 지지할 수 있어서, 유동 없이 고정 지지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의 클램핑부가 부품을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클램핑부(400)는 먼저 거치부(200)에 부품을 거치한 상태에서 회전축(411)과 관절부(410)를 조작하여 지지하고자 하는 위치로 위치시킨다.
이때, 고정 볼트(412)는 관절부(410)과 회전되되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력은 해제한 상태에서 관절부(410)의 각 마디의 연결은 유지한 상태로 자유롭게 회동된다.
이후 지지하고자 하는 위치에 지지부재(420)를 위치시키고, 지지부재(420)가 위치된 상태에서 고정 손잡이(412a)를 조작하여 고정 볼트(412)를 조여줌에 따라 부품(P)의 고정 지지가 완료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의 흡착부 고정 프레임이 거치되는 부품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수평 프레임을 따라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흡착부 고정 프레임(170)은 상기 수평 프레임(120)의 하부에서 수평 프레임(120)을 따라 이송되면서 부품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흡착 지점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수평 프레임(120)의 하부에는 상기 흡착부(300)가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안내하는 흡착부 이송레일(123)이 구비되고, 상기 흡착부 이송레일(123)에는 상기 흡착부 고정 프레임(17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착부 이송레일(123)을 따라 흡착부(300)를 이송시키는 흡착부 이송 가이드(171)가 구비된다.
이로 인해 상기 흡착부(300)가 상기 수평 프레임(120)을 따라 이송되면서 부품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흡착 지점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손상에 취약한 자동차 부품을 거치하여 정비하거나 도색 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부품에 흠이나 변색, 착색, 탈색 등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 하면서 거치할 수 있게 되고, 실리콘 재질의 실리콘 코팅부가 직접 부품에 접촉되면서 부품을 지지하여, 거치된 부품이 유동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부품의 하부에서는 부품의 무게나 작업자의 힘에 의해 부품을 자동으로 흡착하면서 고정하고, 작업이 끝난 후에는 흡착부의 흡착력이 해제되면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되며, 부품의 하부뿐이 아닌 부품의 상부, 측부 등 다양한 부위를 자유롭게 고정 지지할 수 있게 된다.
100 : 메인 프레임 110 : 수직 프레임
111 : 수직 내측 프레임 112 : 수직 외측 프레임
113 : 스프링 120 : 수평 프레임
121 : 수평 내측 프레임 122 : 수평 외측 프레임
123 : 흡착부 이송레일 130 : 지지 프레임
140 : 높이 조절부 141 : 고정 지지부
141a : 볼트부 141b : 손잡이
142 : 잠금홀 150 : 폭 조절부
151 : 고정 지지부 151a : 볼트부
151b : 손잡이 152 : 잠금홀
160 : 캐스터 161 : 잠금장치
170 : 흡착부 고정 프레임 171 : 흡착부 이송 가이드
180 : 공구 테이블 200 : 거치부
210 : 절곡 거치대 211 : 중앙 절곡부
212 : 제1 절곡부 213 : 제2 절곡부
220 : 토션 스프링 230 : 실리콘 코팅막
240 : 보호 커버 300 : 흡착부
310 : 흡착판 320 : 흡착판 가압틀
321 : 제1 회동바 연결부 330 : 흡착판 지지블록
331 : 소버 연결부 340 : 지지 소버
341 : 제2 회동바 연결부 350 : 회동바
400 : 클램핑부 410 : 관절부
411 : 회전축 412 : 고정볼트
412a : 고정 손잡이 413 : 교체 볼트
420 : 지지 부재 421 : 교체툴
P : 부품

Claims (5)

  1. 지면에서 기립되어 부품(P)의 무게를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100);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부에 부품(P)이 거치되는 거치부(200); 및 상기 거치부(200)의 외측을 전체적으로 감싸게 구비되어 거치부(200)에 거치된 부품을 파지하는 실리콘 코팅막(230);을 포함하되,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지면에서부터 수직으로 기립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110)과, 상기 수직 프레임(110)의 상부와 하부 양쪽 끝부분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게 평행을 이루며 구비되는 수평 프레임(120)과, 상기 수직 프레임(110)과 수평 프레임(120)이 만나는 아래쪽에서 연장되게 구비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110)과 수평 프레임(120)을 기립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30)과, 상기 수직 프레임(110)에 구비되어 수직 프레임(110)의 길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140) 및 상기 수평 프레임(120)에 구비되어 수직 프레임(110)과 지지 프레임(130) 사이의 폭을 조절하는 폭 조절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내부에는 수직프레임(110)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113)이 더 구비되며,
    상기 거치부(200)는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부에 양측으로 서로 나란하게 구비되고, 다단의 관절 형태로 이루어져 거치되는 부품(P)형상에 따라 부품(P)의 하부를 감싸면서 부품(P)을 지지하는 절곡 거치대(210)와,
    상기 절곡 거치대(210)의 다단으로 이루어진 각 마디의 회동 축마다 구비되어 항시 상부로 올려지며 거치되는 부품(P)측으로 상기 절곡 거치대(210)가 밀착되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200)의 하부 중앙에는 부품(P)을 흡착하여 고정 지지하는 흡착부(30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서 상부에 구비된 수평 프레임(120)의 하부에는 다수의 관절부로 이루어져 절곡되면서 거치부(200)에 거치된 부품(P)의 상부 측을 고정 지지하는 클램핑부(40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
KR1020170113165A 2017-09-05 2017-09-05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 KR101815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165A KR101815177B1 (ko) 2017-09-05 2017-09-05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165A KR101815177B1 (ko) 2017-09-05 2017-09-05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5177B1 true KR101815177B1 (ko) 2018-01-04

Family

ID=60997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165A KR101815177B1 (ko) 2017-09-05 2017-09-05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1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872A (ko) 2018-03-15 2019-09-25 오한정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
KR102604807B1 (ko) * 2022-12-30 2023-11-22 주식회사 이알지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676B1 (ko) 2012-12-06 2014-05-23 주식회사 한국메탈 차량용 부품 거치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676B1 (ko) 2012-12-06 2014-05-23 주식회사 한국메탈 차량용 부품 거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872A (ko) 2018-03-15 2019-09-25 오한정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
KR102604807B1 (ko) * 2022-12-30 2023-11-22 주식회사 이알지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3947B1 (en) Automotive bumper stand
US7243904B1 (en) Door lif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815177B1 (ko)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
US9810370B2 (en) Desk mount for computer display(s)
CN108555595A (zh) 适用汽车空调组装的小车
US7950635B2 (en) Adjustable holding apparatus
JP7183353B2 (ja) 建材用搬送台車
US6360904B1 (en) Adjustable shelving for robotic work station
CN211032640U (zh) 一种便于管道涂刷转移的装置
EP3064418B1 (fr) Chariot de manutention
KR101742068B1 (ko) 패드 자동부착장치
US5564683A (en) Rotatable repair apparatus for snowmobiles
KR20130020506A (ko) 이송셔틀이 구비된 프레스 장치
KR102369033B1 (ko) 롤러 탈부착 지그 조립체
JP3196221U (ja) リフター装置
KR102223302B1 (ko) 유리 운반구
CN106395677A (zh) 用于举升交通工具的装置及方法
JP6496544B2 (ja) ブラシテーブル清掃具の収納装置,ブラシテーブル清掃具,板材加工機,及びブラシテーブル清掃方法
JPH0570872U (ja) ホイールプーラ
CN106169704A (zh) 开关支撑工装
JP6793939B2 (ja) 回転体載置装置
US2007020444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with automotive door handling process
CN209851615U (zh) 一种用于电源适配器的超声波焊接装置
JP3777103B2 (ja) 可動物体用損傷検出器の支持治具
CN113772545B (zh) 一种车门装配吊具及车门装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