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8872A -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 - Google Patents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8872A
KR20190108872A KR1020180030483A KR20180030483A KR20190108872A KR 20190108872 A KR20190108872 A KR 20190108872A KR 1020180030483 A KR1020180030483 A KR 1020180030483A KR 20180030483 A KR20180030483 A KR 20180030483A KR 20190108872 A KR20190108872 A KR 20190108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vehicle component
workbench
support shaft
multifunctiona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1321B1 (ko
Inventor
오한정
Original Assignee
오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한정 filed Critical 오한정
Priority to KR1020180030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321B1/ko
Publication of KR20190108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007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for engines, motor-vehicles or b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1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holders for tool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14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bench top
    • B25H1/16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bench top in h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상부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축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지축의 상단에 양측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암이 연장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암의 양측 말단에 형성되며, 차량 부품이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Multifunctional Vehicle Parts Workbench}
본 발명은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부품의 크기가 차종이나 부품의 종류마다 다르기 때문에 작업대의 길이나 높이를 조절 가능하게 하고 작업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기타 기계요소나 공구 등의 수납부를 함께 구성함으로서, 작업자에게 편안한 작업 환경을 만들어 주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부품의 종류로는, 범퍼, 라디에이터 그릴, 본넷, 도어, 휀더 등 여러 종류가 있으며, 차량 부품 각각은 그 형상과 크기가 매우 상이하다.
이러한 차량 부품을 정비하는 경우, 작업자는 작업을 편안하게 하고자 원하는 위치에 두고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크기가 작은 부품들은 일반적인 테이블 위에서 작업을 할 수가 있다.
그러나, 범퍼, 도어 등과 같이 크기가 큰 부품들은 일반적인 테이블 위에서는 작업을 수행하기가 불편하기 때문에, 타이어나 박스 등을 바닥에 깔고 부품을 그 위에 적치하여 작업을 수행하곤 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쪼그려 앉거나 허리를 구부려 작업을 하는 등 상당히 불편한 자세로 작업을 하게 되어 과한 경우에는 작업자의 건강을 악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등록특허 제10-1815177호에서는 작업자의 신체 조건이나 작업 환경에 따라 높이나 폭을 조절할 수 있으며, 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부품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등록특허는 거치대 위에 거치된 부품에 한해서만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세워서 작업을 해야 하는 차량 부품에 대해서는 여전히 불편한 작업을 할 수 밖에 없는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B1) 제10-1393676호(등록일: 2014.05.02.) 한국등록특허공보(B1) 제10-1815177호(등록일: 2017.12.28.)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더욱 효율적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차량 부품이 거치되는 높이나 길이를 조절함과 아울러, 차량 부품이 파손되지 않도록 충격 흡수를 할 수 있는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부품을 세워서 작업하는 경우에도 차량 부품이 파손되지 않도록 충격 흡수를 할 수 있으며, 밀리지 않도록 하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부품이 거치된 상태에서도 이동이 가능하고, 차량 부품의 정비 작업에 필요한 기계 요소나 공구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를 형성함으로서 작업 능률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상부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축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지축의 상단에 양측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암이 연장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암의 양측 말단에 형성되며, 차량 부품이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암 및 거치부 중 적어도 하나는 충격 흡수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암은 상기 받침부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거나 상기 지지축 방향을 따라 경사가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거치부의 형상은 'U'자 형상, 'V'자 형상 및 '凹'자 형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받침부는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는 홈이 형성된 미끄럼 방지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지지암의 평행한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되어 각 미끄럼 방지부간의 상호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축에는 매트류가 걸어지는 걸이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이부는 상기 미끄럼 방지부의 상부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축의 외면에는 저장 공간이 구비된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부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구걸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지지축과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받침부 내부에는 차량 부품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중량측정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암에는 길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가진 눈금자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에 의하면,
본 발명은 차량 부품이 거치되는 높이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자가 편안한 자세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부품이 거치될 때, 흡집이 발생하거나 오염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부품을 세워 놓은 상태에서도 밀리지 않도록 하부를 고정시킬 수 있어 작업자가 보다 편안한 자세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부품이 거치된 상태에서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정비 작업에 필요한 기계 요소나 공구 등을 수납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의 사용 상태 및 미끄럼 방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에 구비되는 수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 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또한,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그리고,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은 서로 간의 관계가 수직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인 관계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구성이 기능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보다 넓은 방향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의 사용 상태 및 미끄럼 방지부(15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는 기본적으로 받침부(100), 지지부(220) 및 거치부(30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100)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기본적으로 각 모서리 부분의 하면에 바퀴(110)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지지축(210) 부분의 하면에 바퀴(110)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지지축(210)은 거치된 차량 부품의 하중이 집중되게 되는데, 이에 따라 받침부(100)와 지지축(210)이 만나는 부분이 파손될 수 있다. 지지축(210) 부분의 받침부(100) 하면에 바퀴(110)가 추가적으로 구비된다면 보다 강한 하중을 버틸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바퀴(110)에는 별도의 잠금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바퀴(110)를 고정킬 수 있다. 따라서, 받침부(10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안정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지지부(220)는 받침부(100)의 상부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축(210)이 연장 형성되며, 지지축(210)의 상단에 양측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암(220)이 연장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지지축(210)은 높이를 조절하는 구성으로서, 내부가 관통 형성된 제1 지지프레임(211)과 제1 지지프레임(211)에 삽입되는 제1 지지바(212)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지지바(212)의 일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가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지지홀(213)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홀(213)에 핀(250)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제1 지지프레임(211)에 삽입되는 제1 지지바(212)의 길이를 조절하여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신체 조건 또는 작업 환경에 따라 편안한 높이에 차량 부품을 두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지지축(210)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핀걸이(25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핀(25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핀걸이(255)에 핀(250)을 걸어 놓음으로서 핀(250)의 분실을 예방할 수 있다.
지지암(220)은 너비를 조절하는 구성으로서, 지지축(210)과 마찬가지로, 내부가 관통 형성된 제2 지지프레임(221)과 제2 지지프레임(221)에 삽입되는 제2 지지바(222)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지지바(222)의 일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가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지지홀(223)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홀(223)에 핀(250)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제2 지지프레임(221)에 삽입되는 제2 지지바(222)의 길이를 조절하여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의 너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부품의 길이에 따라 지지암(220)의 너비를 조절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차량 부품의 길이에 따라 너비를 조절하여 작업을 수행한다면 작업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지지암(220)은 받침부(100)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거나 지지축(210) 방향을 따라 경사가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지지축(210) 방향을 따라 경사가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축(210) 방향을 따라 경사가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경우, 차량 부품의 하중이 지지축(210)으로 자연스럽게 집중될 수 있어 지지암(220)이 평행하게 형성된 것 보다 강한 하중을 견딜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지지암(220)이 평행한 경우, 지지암(220)의 양측에서 삽입되는 제2 지지바(222)가 지지암(220)의 중앙에서 정지되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차단부재가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지지축(210) 방향을 따라 경사가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별도의 차단부재 없이도 지지암(220)의 양측에서 삽입되는 제2 지지바(222)를 지지암(220)의 중앙에서 정지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거치부(300)는 지지암(220)의 양측 말단에 형성되며, 차량 부품이 거치되는 구성으로서, 지지암(220)과 수직하는 방향의 길이를 가지면서, 서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거치부(300)의 형상은 'U'자 형상, 'V'자 형상 및 '凹'자 형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래로 볼록한 호 형상인 'U'자 형상일 수 있다.
한편, 지지암(220) 및 거치부(300) 중 적어도 하나는 충격 흡수재(400)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충격 흡수재(400)는 스폰지,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을 갖는 재질일 수 있으며, 지지암(220) 및 거치부(300) 중 적어도 하나의 외관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지지암(220) 및 거치부(300)는 차량 부품이 직접적으로 맞닿는 부분이므로, 충격 흡수재(400)가 설치되어 있다면 차량 부품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추가적으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지지암(220)에는 길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눈금자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눈금자가 지지암(220)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차량 부품의 길이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 부품을 세워 놓은 모습과 받침부(100)의 상면에 구비되어 있는 미끄럼 방지부(150)가 도시되어 있다.
미끄럼 방지부(150)는 차량 부품이 미끄러져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요소로서, 홈(151)이 형성된 블록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차량 부품을 세워 놓은 경우, 차량 부품의 아래 부분이 홈(151)에 삽입되거나 걸리게 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미끄럼 방지부(150) 역시 차량 부품과 직접 맞닿게 되는 구성으로서, 차량 부품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탄성을 가진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미끄럼 방지부(150)를 탄성을 가진 재료로 형성하게 되면 마찰력이 향상되게 되어 미끄러짐을 보다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지지축(210)에는 매트류가 걸어지는 걸이부(270)가 형성되어 있으며, 걸이부(270)는 미끄럼 방지부(150)의 상부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매트류는 충격흡수매트, 차량용 발 매트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걸이부(270)에 교체하여 걸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부품을 세워 놓은 경우에는 차량부품이 지지축(210)에 기대어지게 되는데, 지지축(210)에 충격 흡수재(400)가 설치되어 있는 것과 함께 걸이부(270)에 충격흡수매트가 걸려 있게 되면, 세워 놓은 차량 부품의 지지축(210)이 맞닿는 부분에 발생할 수 있는 흠집을 보다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차량 부품을 세워서 작업하지 않아 충격흡수매트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차량용 발 매트 등의 다른 매트류로 교체하여 걸어 놓을 수 있음은 당연하다.
추가적인 설명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의 거치부(300)는 세워진 차량 부품을 양측에서 지지할 수 있어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미끄럼 방지부(150)는 받침부(100)의 상면에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받침부(100)의 상면에서 지지암(220)의 평행한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되어 각 미끄럼 방지부(150)의 상호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에 구비되는 수납부(5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수납부(500)는 저장 공간이 구비되어 기계 요소, 공구 등을 수납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지지축(210)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납부(500)는 지지축(210)의 외면과 탈부착이 가능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수납부(500)의 일면에 'ㄱ'자 형상의 고리가 형성되고, 지지축(210)에는 'ㄱ'자 형상이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기계 요소는 볼트, 너트, 리벳 등의 결합용 기계 요소뿐만 아니라, 차량 부품의 조립에 사용되는 전반적인 기계적 구성 요소들을 의미한다.
이처럼 수납부(500)가 가까운 곳에 형성되어 있다면, 작업자가 작업 중에 차량 부품으로부터 분해된 기계 요소를 쉽게 보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미리 저장된 기계 요소 중 필요한 기계 요소를 꺼내어 사용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으며, 공구를 바꾸어 사용하기 위해 올려 놓는 등 작업자의 작업 동선을 줄여줌으로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수납부(500)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구걸이(510)가 형성되어 있다. 공구걸이(510)는 공구를 걸어 놓거나 올려 놓을 수 있는 구성으로서, 필요한 공구를 즉시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작업 능률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받침부(100)의 상면에는 미끄럼 방지부(150)가 형성된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빈 공간이 있을 수 있는데, 상기 빈 공간에 추가적으로 수납함(550)을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받침부(100) 내부에는 거치부(300) 또는 받침부(100)에 올려진 차량 부품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중량측정장치(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중량측정장치에서 측정된 차량 부품의 무게는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의 일부분에 설치된 중량측정표시부(610)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에 상기 중량측정장치가 설치되어 있다면, 차량 부품 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필요 이상으로 초과되는 무게를 측정하거나 부족한 무게를 측정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받침부 110: 바퀴
150: 미끄럼 방지부 151: 홈
200: 지지부 210: 지지축
211: 제1 지지프레임 212: 제1 지지바
213: 제1 지지홀 220: 지지암
221: 제2 지지프레임 222: 제2 지지바
223: 제2 지지홀 250: 핀
255: 핀걸이 270: 걸이부
300: 거치부 400: 충격 흡수재
500: 수납부 510: 공구걸이
550: 수납함 610: 중량측정표시부

Claims (13)

  1. 받침부(100);
    상기 받침부(100)의 상부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축(210)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지축(210)의 상단에 양측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암(220)이 연장 형성된 지지부(200); 및
    상기 지지암(220)의 양측 말단에 형성되며, 차량 부품이 거치되는 거치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220) 및 거치부(300) 중 적어도 하나는 충격 흡수재(40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220)은 상기 받침부(100)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거나 상기 지지축 방향을 따라 경사가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300)의 형상은 'U'자 형상, 'V'자 형상 및 '凹'자 형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00)는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00)의 상면에는 홈(151)이 형성된 미끄럼 방지부(15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150)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지지암(220)의 평행한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되어 각 미끄럼 방지부(150)간의 상호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150)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210)에는 매트류가 걸어지는 걸이부(27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이부(270)는 상기 미끄럼 방지부(150)의 상부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210)의 외면에는 저장 공간이 구비된 수납부(50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부(500)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구걸이(5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500)는 상기 지지축(210)과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00) 내부에는 차량 부품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중량측정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220)에는 길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가진 눈금자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
KR1020180030483A 2018-03-15 2018-03-15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 KR102491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483A KR102491321B1 (ko) 2018-03-15 2018-03-15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483A KR102491321B1 (ko) 2018-03-15 2018-03-15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872A true KR20190108872A (ko) 2019-09-25
KR102491321B1 KR102491321B1 (ko) 2023-01-25

Family

ID=68068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483A KR102491321B1 (ko) 2018-03-15 2018-03-15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13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462B1 (ko) 2022-08-24 2022-12-06 이홍대 작업자 수용 대차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157Y1 (ko) * 2002-08-28 2002-11-18 상 천 이 진열구용 고정판에 설치되는 수납함겸용 공구걸이대
KR101393676B1 (ko) 2012-12-06 2014-05-23 주식회사 한국메탈 차량용 부품 거치대
KR101543212B1 (ko) * 2015-05-26 2015-08-07 홍연구 차량의 외장재 도장용 멀티작업대
KR101585012B1 (ko) * 2014-02-11 2016-01-14 김우근 자동차 도어 거치대
KR101815177B1 (ko) 2017-09-05 2018-01-04 정완기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157Y1 (ko) * 2002-08-28 2002-11-18 상 천 이 진열구용 고정판에 설치되는 수납함겸용 공구걸이대
KR101393676B1 (ko) 2012-12-06 2014-05-23 주식회사 한국메탈 차량용 부품 거치대
KR101585012B1 (ko) * 2014-02-11 2016-01-14 김우근 자동차 도어 거치대
KR101543212B1 (ko) * 2015-05-26 2015-08-07 홍연구 차량의 외장재 도장용 멀티작업대
KR101815177B1 (ko) 2017-09-05 2018-01-04 정완기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462B1 (ko) 2022-08-24 2022-12-06 이홍대 작업자 수용 대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1321B1 (ko) 2023-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61614A1 (en) Wheeled mobile caddy
KR102140525B1 (ko) 대차리프트
CA2800605A1 (en) Tool/material carryall
KR20120003484U (ko) 전동드릴 걸이를 갖는 휴대용 공구걸이
US20210245226A1 (en) Tool Storage Device For A Machine Tool, And Machine Tool
KR20190108872A (ko)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
CN210941878U (zh) 一种汽车配件用运输装置
JP6721941B2 (ja) 遮断器現地保守点検作業台
KR100917294B1 (ko) 공구함을 구비한 사다리
KR101342462B1 (ko) 대형 타이어 탈부착기구
CA2391511A1 (en) Mechanic back support
KR200467401Y1 (ko) 중량물 이동용 대차
CN210232994U (zh) 一种用于汽车的多功能工位器具
JP2014172452A (ja) 自転車保管器具構造
KR101323758B1 (ko) 중량장비용 구름방지 스토퍼
US20210002115A1 (en) Telescopically adjustable task tray for mobile elevated work platforms
JP6080741B2 (ja) 重量物運搬方法、及び重量物運搬装置
US20160297064A1 (en) Workbench
US20160096265A1 (en) Creeper Tool Device
KR102614933B1 (ko) 가변이 가능한 대차
JP2006328632A (ja) 移動作業台
TWI746403B (zh) 工具椅
US2062520A (en) Portable power tool and mounting
CN218024856U (zh) 一种施工升降机吊笼底工装
CN211841930U (zh) 一种车间物料存放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