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4955B1 -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 - Google Patents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4955B1
KR101814955B1 KR1020170049792A KR20170049792A KR101814955B1 KR 101814955 B1 KR101814955 B1 KR 101814955B1 KR 1020170049792 A KR1020170049792 A KR 1020170049792A KR 20170049792 A KR20170049792 A KR 20170049792A KR 101814955 B1 KR101814955 B1 KR 101814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mounting hole
frame
state
inser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웅태
Original Assignee
(주)동림피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림피엔디 filed Critical (주)동림피엔디
Priority to KR1020170049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49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1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for column or post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는, 도로표지판 등의 도로시설물이 장착된 지주의 하단부를 포위하여, 차량 등에 의한 충돌로 인한 상기 지주의 파손을 방지하여 상기 도로시설물의 기능이 상실되거나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에 있어서, 평면 상태인 제1 상태로 유지되는 프레임, 상기 지주의 외면과 대응되는 외면이 각각 분리되어 형성되도록 이격공간을 형성한 채, 상기 제1 상태의 프레임의 일면에 순차적으로 장착되는 제1 분리부 내지 제n(n은 1보다 큰 자연수) 분리부 및 상기 제1 분리부와 상기 제2 분리부의 상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분리부와 상기 제2 분리부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분리부 내지 상기 제n 분리부는, 상기 프레임이 굴곡 또는 절곡되어 제2 상태로 변형되는 중에, 각각의 이격공간이 점진적으로 줄어들어 각각의 대향면이 서로 접촉되고, 상기 제1 분리부 내지 상기 제n 분리부의 각각의 대향면이 서로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제1 분리부 내지 상기 제n 분리부의 외면은 상기 지주의 외면과 접촉되며, 상기 제1 분리부는, 상면에 함입되어 형성되며, 일측단에 형성되는 제1 장착홀 및 상기 제1 장착홀과 연결되는 제1 가이드홀을 구비하는 제1 체결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2 분리부는, 상면에 함입되어 형성되며, 일측단에 형성되는 제2 장착홀 및 상기 제2 장착홀과 연결되는 제2 가이드홀을 구비하는 제2 체결홀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 상기 제2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 및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에 연결된 채,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삽입부가 회전되면 상기 제1 삽입부에 권취되어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의 이격 거리가 좁아지도록 하는 인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삽입부는, 상기 인장부에 의해 상기 제2 삽입부와의 이격거리가 좁아지는 경우, 상기 제1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되는 중에 상기 제1 장착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삽입부는, 상기 인장부에 의해 상기 제1 삽입부와의 이격거리가 좁아지는 경우, 상기 제2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되는 중에 상기 제2 장착홀에 삽입될 수 있다.

Description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Protection cover of a road equipment bracing}
본 발명은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도로표지판 등의 도로시설물이 장착된 지주의 하단부를 포위하여, 차량 등에 의한 충돌로 인한 상기 지주의 파손을 방지하여 상기 도로시설물의 기능이 상실되거나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도 또는 인도에는 야간에 보행자의 안전과 차량의 안전운행을 위하여 일정 간격마다 가로등이 설치되며, 주택가 등의 이면 도로에는 주택을 포함하는 각 건물에 전기를 공급하고, 통신선을 연결하기 위한 전신주가 일정 간격으로 세워져 설치되며, 도로변에 설치된 신호등, 이정표나 간판 등을 일정 높이에 배치하기 위한 지주도 이용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지주는 전선이 내장 되도록 중공의 금속재질로 마련되고 하단이 지면에 매설된 상태로 입설 되는데, 도로를 밝히기 위한 조명은 지주의 상단 측방으로 설치되는 설치편을 통해 도로 쪽으로 연장된 상태로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지주의 경우 통상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직경을 갖는 경우가 많아 입설된 상태가 매우 불안정하게 보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단부가 그대로 노출되는 지주는 차량 등과 충돌할 경우 바로 긁히거나 손상되면서 외관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지주(한국등록특허 제10-0978910호) 를 보면 지주 하단 둘레에 보호커버를 설치하여, 지주가 보다 안정감 있게 보이도록 하면서 지주 하단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지주 둘레를 보호하는 보호커버의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 비용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도로변에 설치된 수많은 지주에 보호커버를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표지판 등의 도로시설물이 장착된 지주의 하단부를 포위하여, 차량 등에 의한 충돌로 인한 지주의 파손을 방지하여 도로시설물의 기능이 상실되거나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작이 용이하고, 설치 또는 보수가 간편한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는, 도로표지판 등의 도로시설물이 장착된 지주의 하단부를 포위하여, 차량 등에 의한 충돌로 인한 상기 지주의 파손을 방지하여 상기 도로시설물의 기능이 상실되거나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에 있어서, 평면 상태인 제1 상태로 유지되는 프레임, 상기 지주의 외면과 대응되는 외면이 각각 분리되어 형성되도록 이격공간을 형성한 채, 상기 제1 상태의 프레임의 일면에 순차적으로 장착되는 제1 분리부 내지 제n(n은 1보다 큰 자연수) 분리부 및 상기 제1 분리부와 상기 제2 분리부의 상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분리부와 상기 제2 분리부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분리부 내지 상기 제n 분리부는, 상기 프레임이 굴곡 또는 절곡되어 제2 상태로 변형되는 중에, 각각의 이격공간이 점진적으로 줄어들어 각각의 대향면이 서로 접촉되고, 상기 제1 분리부 내지 상기 제n 분리부의 각각의 대향면이 서로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제1 분리부 내지 상기 제n 분리부의 외면은 상기 지주의 외면과 접촉되며, 상기 제1 분리부는, 상면에 함입되어 형성되며, 일측단에 형성되는 제1 장착홀 및 상기 제1 장착홀과 연결되는 제1 가이드홀을 구비하는 제1 체결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2 분리부는, 상면에 함입되어 형성되며, 일측단에 형성되는 제2 장착홀 및 상기 제2 장착홀과 연결되는 제2 가이드홀을 구비하는 제2 체결홀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 상기 제2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 및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에 연결된 채,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삽입부가 회전되면 상기 제1 삽입부에 권취되어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의 이격 거리가 좁아지도록 하는 인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삽입부는, 상기 인장부에 의해 상기 제2 삽입부와의 이격거리가 좁아지는 경우, 상기 제1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되는 중에 상기 제1 장착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삽입부는, 상기 인장부에 의해 상기 제1 삽입부와의 이격거리가 좁아지는 경우, 상기 제2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되는 중에 상기 제2 장착홀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의 상기 제1 체결홀은, 상기 제1 가이드홀에 의해 상기 제1 장착홀과 연결되되, 상기 제1 장착홀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2 장착홀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체결홀은, 상기 제2 가이드홀에 의해 상기 제2 장착홀과 연결되되, 상기 제2 장착홀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2 장착홀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의 상기 제1 가이드홀은, 상기 제1 장착홀과의 경계의 폭의 길이가 상기 제1 장착홀의 폭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의 상기 제1 장착홀은, 상기 제1 삽입부의 종단면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장착홀은, 상기 제2 삽입부의 종단면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의 상기 제1 삽입부는, 상기 인장부에 의해 상기 제1 장착홀과 상기 제1 가이드홀의 경계를 억지끼움 방식으로 극복하여 상기 제1 장착홀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의 상기 제1 삽입부는,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1 헤드부 및 상기 제1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헤드부는, 상기 제1 장착홀 및 상기 제1 가이드홀의 폭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의 상기 제1 분리부 및 상기 제2 분리부의 대향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프레임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형되는 경우,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감소 폭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의 상기 제n 분리부는, 상기 프레임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형된 후, 상기 제1 분리부와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의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분리부 내지 상기 제n 분리부가 각각 장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연결홀 및 상기 연결홀에 삽입된 채, 상기 제1 분리부 내지 상기 제n 분리부에 체결되는 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등에 의한 충돌로 인한 지주의 파손을 방지하여 도로시설물의 기능이 상실되거나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주의 외면 형태에 따른 호환성이 우수하다.
또한, 지주에 설치하기 전의 형태가 보관 및 운반에 용이하여, 대량의 보호커버를 보관 또는 운반하는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지주에의 설치가 간단하여, 교체 또는 보수에 시간과 비용이 적게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가 적용된 도로시설물용 지주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의 분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의 분리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의 체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가 적용된 도로시설물용 지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1, 이하, 보호커버)는, 도로표지판, 가로등 또는 전신주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로표지판은 차량 운행에 필요한 각종 위치표시, 교통표시, 주의표시 등이 표시된 표지판을 의미하며, 가로등은 차도 또는 인도에 위치하여 야간에 보행자의 안전과 차량 운전자의 안전운행을 위하여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일종의 조명 장치이며, 전신주는 주택가 등의 이면 도로에 위치하여 주택을 포함하는 각 건물에 전기를 공급하거나 통신선을 연결하기 위한 지주이다.
본 발명의 보호커버(1)는 도로표지판, 가로등, 전신주 등의 도로시설물의 지주를 보호하여, 차도를 운행중인 차량 등으로 인한 외력에 의해 지주가 파손되거나 손상되어 지주로 인한 기능 발현이 상실되거나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보호커버(1)를 설명함에 있어서, 보호커버(1)는 단일개인 것으로 설명하나 지주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지주를 보호하기 위해 적용되는 보호커버(1)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에는 지주의 외면 형상이 원형인 것으로 도시되어 보호커버의 내면이 원형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보호커버의 분리부는 지주의 외면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의 분해도이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1)는 프레임(10), 분리부(20) 및 체결부(30)를 포함한다.
프레임(10)은 형상 구현이 용이한 강판일 수 있으며, 변형되는 정도에 따라 보호커버(1)의 외형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10)이 원형으로 굴곡되면 보호커버(1)의 외형 또한 원형을 띠게 되고, 프레임(10)이 다각형 형태로 절곡되면 보호커버(1)의 외형 또한 다각형 형태를 띨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10)은 제1 상태(도 3 참조)에서 제2 상태(도 2 참조) 또는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변형된다.
제1 상태는 굴곡되지 않은 평면 상태를 의미하며, 이하 설명할 제1 분리부(21) 내지 제n 분리부(20)가 장착되는데 필요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제2 상태는 제1 상태의 프레임(10)에 외력이 인가되어 굴곡 또는 절곡된 상태이며, 프레임(10)에 장착된 제1 분리부(21) 내지 제n 분리부(28, n이 8인 경우)가 접촉되도록 변형된 상태이다.
프레임(10)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형되면, 제1 분리부(21) 내지 제n 분리부(28)의 이격된 공간은 점진적으로 줄어들어 각각의 대향면이 서로 접촉되고, 이 때 제1 분리부(21) 내지 제n 분리부(28) 각각의 인접한 분리부(20)는 서로 접촉된다.
또한, 제1 분리부(21) 내지 제n 분리부(28)의 접촉에 따라 지주의 외면과 대응되는 외면의 전체 또는 일부분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프레임(10)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형되면, 제1 분리부(21) 내지 제n 분리부(28)가 접촉되어 지주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형성하여, 지주의 외면과 접촉되며 프레임(10)의 외면은 외부로 노출된다.
분리부(20)는 지주의 외면과 대응되는 외면이 각각 분리되어 형성되도록 이격공간을 형성한 채, 제1 상태의 프레임(10)의 일면에 순차적으로 장착된다.
분리부(20)는 프레임(10)과 지주 사이에 위치한 채, 프레임(10)에 가해진 외력이 지주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도록 완중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분리부(20)는 제1 분리부(21), 제2 분리부(22), 제3 분리부(23), 제4 분리부(24), 제5 분리부(25), 제6 분리부(26), 제7 분리부(27) 및 제n 분리부(28)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여기서 n은 2보다 큰 자연수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에는 n이 8인 경우에 해당하는 보호커버(1)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분리부(21)와 제n 분리부(28)는 제1 상태의 프레임(10)에 장착된 경우, 일측 말단과 타측 말단에 위치하는 분리부(20)로서, 프레임(10)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형되면, 서로 접촉된다.
각각의 분리부(20)는 일측에 지주의 외면과 대응되는 외면의 일부분이 형성되고, 타측에 프레임(10)과의 장착을 위한 장착홈(P)이 형성된다.
또한, 프레임(10)은 각각의 분리부(20) 즉, 제1 분리부(21) 내지 제n 분리부(28)가 각각 장착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연결홀(H)을 구비하며, 제1 분리부(21) 내지 제n 분리부(28)는 장착홈(P)과 연결홀(H)에 동시에 삽입되는 고정부(40)에 의해 프레임(10)에 장착된다.
여기서, 제2 분리부(22) 내지 제n 분리부(28)는 프레임(10)과의 연결을 위한 장착홈(P)이 수직으로 일렬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분리부(21)는 제2 분리부(22) 내지 제n 분리부(28)에 형성된 장착홈(P)과 동일한 크기 및 배치 위치에 이열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의 타측 말단에는 제1 분리부(21)의 이열 배치된 장착홈(P) 중 일열과의 고정부(40)에 의한 체결을 위한 연결홀(H)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분리부(21)의 이열 배치된 장착홈(P) 중 일열은 프레임(10)의 일측 말단에 형성된 연결홀(H)과 중첩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분리부(21)의 이열 배치된 장착홈(P) 중 타열은 프레임(10)의 타측 말단에 형성된 연결홀(H)과 중첩 배치된 채, 고정부(40)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이는, 프레임(10)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형되는 과정에서 프레임(10)의 일측 및 타측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제1 분리부(21) 및 제2 분리부(22)의 대향면 사이의 거리는, 프레임(10)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형되는 경우, 프레임(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감소 폭이 증가한다.
다시 말해, 프레임(10)이 제2 상태로 변형되는 과정에서 대향면 사이의 거리는 프레임(10)과 가까운 영역보다 먼 영역으로 갈수록 감소 폭이 증가한다.
구체적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프레임(10)의 제2 상태에서 접촉하게 되는 제1 분리부(21)와 제2 분리부(22)의 일정부분을 추적해 나가면 A가 이격된 거리는 L1에서 L2로 변한 반면, B가 이격된 거리는 L3에서 L4로 변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레임(10)으로부터 먼 위치의 A의 이격거리의 감소폭(L1 - L2)은, 프레임(10)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의 B의 이격거리의 감소폭(L3 - L4)보다 작다.
한편, 제1 분리부(21)는 상면에 함입되어 형성되며, 일측단에 형성되는 제1 장착홀(211a) 및 제1 장착홀(211a)과 연결되는 제1 가이드홀(211c)을 구비하는 제1 장착홀(211a)을 구비하며, 제2 분리부(22)는 상면에 함입되어 형성되며, 일측단에 형성되는 제2 장착홀(212a) 및 제2 장착홀(212a)과 연결되는 제2 가이드홀(212c)을 구비한다.
체결부(30)는 제1 분리부(21)와 제2 분리부(22)의 상측면에 연결되어 제1 분리부(21)와 제2 분리부(22)를 체결하여 제1 분리부(21)와 제2 분리부(22)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구성요소로,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의 분리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의 체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1)의 체결부(30)는, 제1 가이드홀(211c)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31), 제2 가이드홀(212c)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32) 및 제1 삽입부(31)와 제2 삽입부(32)에 연결된 채, 외력에 의해 제1 삽입부(31)가 회전되면 제1 삽입부(31)에 권취되어 제1 삽입부(31)와 제2 삽입부(32)의 이격 거리가 좁아지도록 하는 인장부(33)를 구비한다.
제1 삽입부(31)는, 인장부(33)에 의해 제2 삽입부(32)와의 이격거리가 좁아지는 경우, 제1 가이드홀(211c)을 따라 이동되는 중에 제1 장착홀(211a)에 삽입된다.
또한, 제2 삽입부(32)는, 인장부(33)에 의해 제1 삽입부(31)와의 이격거리가 좁아지는 경우, 제2 가이드홀(212c)을 따라 이동되는 중에 제2 장착홀(212a)에 삽입된다.
간략히, 체결부(30)는 제1 삽입부(31)가 제1 분리부(21)에 연결되고, 제2 삽입부(32)가 제2 분리부(22)에 연결된 채, 인장부(33)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하여, 제1 분리부(21)와 제2 분리부(22) 간의 결합력을 상승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제1 체결홀(211)은 제1 가이드홀(211c)에 의해 제1 장착홀(211a)과 연결되되, 제1 장착홀(211a)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2 장착홀(211b)을 구비하며, 제2 체결홀(212)은 제2 가이드홀(212c)에 의해 제2 장착홀(212a)과 연결되되, 제2 장착홀(212a)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2 장착홀(212b)을 더 구비한다.
제1 체결홀(211)과 제2 체결홀(212)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3 분리부(23) 내지 제n 분리부(20) 또한 제1 체결홀(211) 또는 제2 체결홀(212)과 동일한 형상의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제1 삽입부(31)는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1 헤드부(311) 및 제1 헤드부(311)로부터 연장되는 제1 연장부(312)를 구비하며, 제1 헤드부(311)는 제1 장착홀(211a) 및 제1 가이드홀(211c)의 폭의 길이보다 크다.
또한, 제2 삽입부(32)는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2 헤드부(321) 및 제2 헤드부(321)로부터 연장ㄷ되는 제2 연장부(322)를 구비하며, 제2 헤드부(321)는 제2 장착홀(212a) 및 제2 가이드홀(212c)의 폭의 길이보다 크다.
구체적으로, 제1 헤드부(311)는 제1 장착홀(211a) 및 제1 가이드홀(211c)보다 단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제1 장착홀(211a) 또는 제1 가이드홀(211c)을 통해 이동되지 못한다. 제1 연장부(312)는 제1 가이드홀(211c)에 삽입 가능한 단면적의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제2 헤드부(321)는 제2 장착홀(212a) 및 제2 가이드홀(212c)보다 단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제2 장착홀(212a) 또는 제2 가이드홀(212c)을 통해 이동되지 못한다. 제2 연장부(322)는 제2 가이드홀(212c)에 삽입 가능한 단면적의 크기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1 가이드홀(211c)은 제1 장착홀(211a)과의 경계의 폭의 길이가 제1 장착홀(211a)의 폭의 길이보다 작다. 구체적으로, 제1 가이드홀(211c)에 삽입된 제1 연장부(312)는 인장부(33)에 의해 제2 연장부(322)와의 이격거리가 가까워지다가 제1 가이드홀(211c)과 제1 장착홀(211a)과의 경계에서 이동되지 못하다가 인장부(33)에 의한 외력이 커지면, 제1 가이드홀(211c)과 제1 장착홀(211a)과의 경계를 억지끼움 방식으로 통과하여 제1 장착홀(211a)에 삽입된다.
또한, 제2 가이드홀(212c)에 삽입된 제2 연장부(322) 또한 제1 연장부(312)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2 장착홀(212a)에 삽입된다.
제1 장착홀(211a)은 제1 삽입부(31)의 종단면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제2 장착홀(212a)은 제2 삽입부(32)의 종단면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제1 장착홀(211a)에 삽입된 제1 삽입부(31) 및 제2 장착홀(212a)에 삽입된 제2 삽입부(32)는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제2 분리부(22)와 제3 분리부(23), 제3 분리부(23)와 제4 분리부(24), 내지 제n-1 분리부(27)와 제n 분리부(28)는 상술한 제1 체결홀(211), 제2 체결홀(212) 및 체결부(30)에 의해 체결된 방법과 동일한 방식으로 각각이 체결되어 결합력이 상승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10)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형된 후, 각 분리부(20)는 체결부(30)에 의해 인접한 분리부(20)와의 결합력이 상승되어 지주 상에 정착력이 상승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
10: 프레임
H: 연결홀
P: 장착홈
20: 분리부
21: 제1 분리부
22: 제2 분리부
23: 제3 분리부
24: 제4 분리부
25: 제5 분리부
30: 체결부
32: 제2 삽입부
33: 인장부
40: 고정부

Claims (9)

  1. 도로표지판 등의 도로시설물이 장착된 지주의 하단부를 포위하여, 차량 등에 의한 충돌로 인한 상기 지주의 파손을 방지하여 상기 도로시설물의 기능이 상실되거나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에 있어서,
    평면 상태인 제1 상태로 유지되는 프레임;
    상기 지주의 외면과 대응되는 외면이 각각 분리되어 형성되도록 이격공간을 형성한 채, 상기 제1 상태의 프레임의 일면에 순차적으로 장착되는 제1 분리부 내지 제n(n은 1보다 큰 자연수) 분리부; 및
    상기 제1 분리부와 상기 제2 분리부의 상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분리부와 상기 제2 분리부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분리부 내지 상기 제n 분리부는, 상기 프레임이 굴곡 또는 절곡되어 제2 상태로 변형되는 중에, 각각의 이격공간이 점진적으로 줄어들어 각각의 대향면이 서로 접촉되고,
    상기 제1 분리부 내지 상기 제n 분리부의 각각의 대향면이 서로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제1 분리부 내지 상기 제n 분리부의 외면은 상기 지주의 외면과 접촉되며,
    상기 제1 분리부는,
    상면에 함입되어 형성되며, 일측단에 형성되는 제1 장착홀 및 상기 제1 장착홀과 연결되는 제1 가이드홀을 구비하는 제1 체결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2 분리부는,
    상면에 함입되어 형성되며, 일측단에 형성되는 제2 장착홀 및 상기 제2 장착홀과 연결되는 제2 가이드홀을 구비하는 제2 체결홀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 상기 제2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 및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에 연결된 채,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삽입부가 회전되면 상기 제1 삽입부에 권취되어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의 이격 거리가 좁아지도록 하는 인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삽입부는,
    상기 인장부에 의해 상기 제2 삽입부와의 이격거리가 좁아지는 경우, 상기 제1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되는 중에 상기 제1 장착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삽입부는,
    상기 인장부에 의해 상기 제1 삽입부와의 이격거리가 좁아지는 경우, 상기 제2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되는 중에 상기 제2 장착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홀은,
    상기 제1 가이드홀에 의해 상기 제1 장착홀과 연결되되, 상기 제1 장착홀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2 장착홀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체결홀은,
    상기 제2 가이드홀에 의해 상기 제2 장착홀과 연결되되, 상기 제2 장착홀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2 장착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홀은,
    상기 제1 장착홀과의 경계의 폭의 길이가 상기 제1 장착홀의 폭의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홀은,
    상기 제1 삽입부의 종단면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장착홀은,
    상기 제2 삽입부의 종단면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부는,
    상기 인장부에 의해 상기 제1 장착홀과 상기 제1 가이드홀의 경계를 억지끼움 방식으로 극복하여 상기 제1 장착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부는,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1 헤드부 및 상기 제1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헤드부는, 상기 제1 장착홀 및 상기 제1 가이드홀의 폭의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부 및 상기 제2 분리부의 대향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프레임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형되는 경우,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감소 폭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n 분리부는,
    상기 프레임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형된 후, 상기 제1 분리부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분리부 내지 상기 제n 분리부가 각각 장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연결홀 및 상기 연결홀에 삽입된 채, 상기 제1 분리부 내지 상기 제n 분리부에 체결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
KR1020170049792A 2017-04-18 2017-04-18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 KR101814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792A KR101814955B1 (ko) 2017-04-18 2017-04-18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792A KR101814955B1 (ko) 2017-04-18 2017-04-18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4955B1 true KR101814955B1 (ko) 2018-01-03

Family

ID=61002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792A KR101814955B1 (ko) 2017-04-18 2017-04-18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49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5254B2 (ja) 2001-07-19 2006-05-17 日本電気株式会社 バンド
KR100672212B1 (ko) 2005-09-14 2007-01-22 이건수 충격흡수 중앙분리대
KR101037927B1 (ko) 2008-10-24 2011-05-30 우주엘엔티(주) 지주 보호관체
KR101120069B1 (ko) 2011-06-23 2012-03-22 김영봉 가로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5254B2 (ja) 2001-07-19 2006-05-17 日本電気株式会社 バンド
KR100672212B1 (ko) 2005-09-14 2007-01-22 이건수 충격흡수 중앙분리대
KR101037927B1 (ko) 2008-10-24 2011-05-30 우주엘엔티(주) 지주 보호관체
KR101120069B1 (ko) 2011-06-23 2012-03-22 김영봉 가로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8882B2 (en) Signboard device
JP5156845B2 (ja) ケーブル式道路防護柵
KR101671492B1 (ko) 시선유도봉
KR101814955B1 (ko) 도로시설물용 지주 보호커버
KR101007729B1 (ko) 다목적설치대
KR101358426B1 (ko) 교통신호등 지주구조체
KR101118682B1 (ko) 지주의 결합구조
KR100859660B1 (ko) 도로시설물의 지주 고정용 베이스
KR200465128Y1 (ko) 표시판 조립체
KR100521419B1 (ko) 도로 안내 표지판의 조립구조
JP2007270467A (ja) ガードケーブル用視線誘導型間隔保持材
KR200390571Y1 (ko) 안전 펜스
KR200411758Y1 (ko) 가로등 지주(支柱) 보호커버
KR200392058Y1 (ko) 가로등용 안전장치
KR20110017141A (ko) 등주매립형 기초구조물 및 그를 이용한 가로등 등주의 설치방법
JP6449945B2 (ja) 車線分離体、及びその車線分離体の施工方法
KR200341550Y1 (ko) 현수식 다방향 교차로 신호등장치
KR102423261B1 (ko) 신호등 지지용 가로보
JP2020063597A (ja) ケーブル式道路防護柵
KR200386326Y1 (ko) 안전 펜스
CN217300119U (zh) 一种便携式隧道检修护栏系统及检修系统
KR200430425Y1 (ko) 끼움식 설치구조를 가지는 지주 구조물
KR20120046998A (ko) 도로안내 표시장치
KR100919996B1 (ko) 와이어로프가 내장된 난간
JP5736126B2 (ja) 道路用標示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