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1492B1 - 시선유도봉 - Google Patents

시선유도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1492B1
KR101671492B1 KR1020160015075A KR20160015075A KR101671492B1 KR 101671492 B1 KR101671492 B1 KR 101671492B1 KR 1020160015075 A KR1020160015075 A KR 1020160015075A KR 20160015075 A KR20160015075 A KR 20160015075A KR 101671492 B1 KR101671492 B1 KR 101671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rod
fixing member
coupling groov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5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스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스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스시스템
Priority to KR1020160015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14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1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1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2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self-righting after deflection or displac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2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self-righting after deflection or displacement
    • E01F9/629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Abstract

체결부재를 매개로 지면에 고정 설치되도록 마련된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중앙부에 상향되도록 형성되며 그 상면에 다수 개의 결합홈이 마련된 지지체로 구성된 베이스; 상기 지지체의 상면과 상호 마주하는 하면에 다수 개의 체결홈이 상기 결합홈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외부에는 하나 이상의 발광부가 마련되는 발광봉; 상기 발광봉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은 하향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그 경사면에 설치되는 태양전지모듈과, 상기 태양전지모듈로부터 발전시킨 전기를 저장 및 상기 발광부로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축전기로 구성된 에너지공급수단; 상기 결합홈과 체결홈에 각각 삽입되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발광봉이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며, 상기 발광봉이 쓰러진 후 자력에 의해 복원 유도하도록 마련된 지지수단; 을 포함하여, 시인성을 향상시켜 주간 및 야간에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고,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도 원래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으며, 설치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시선유도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선유도봉{DELINEATOR POST}
본 발명은 도로에 설치되어 노면 표시를 보조하는 시선유도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인성을 향상시켜 주간 및 야간에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고,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도 원래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으며, 설치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시선유도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선유도봉은 도로, 터널 등 운전자의 주의력을 요하는 장소에 설치하여 운전자가 차선의 위치를 정확히 인식하고, 운행중인 차량이 차선을 침범하지 않도록 유도하여 교통질서 확립과 안전운행을 도모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러한 시선유도봉은 차선유도 및 규제, 인도 및 차선분리표시, 안전지대표시, 횡단보도표시, 분리대 충돌방지 등의 용도로 설치되며, 특히 차량의 끼어들기 방지, 교차로 진입 대기 차선과 신호가 없는 차선으로의 이동이 빈번한 곳의 불법유턴 차단, 회전반경이 큰 곳이나 사고위험이 높은 곳 등의 차선에는 반대측 차선으로의 진입 규제 등의 목적으로 설치된다.
통상의 시선유도봉은 볼트에 의해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의 상측에 결합되어 지면에 세워지는 지지봉으로 구성되며, 세부적으로는 지지봉과 베이스가 하나로 형성된 일체형, 지지봉과 베이스가 따로 형성된 분할형으로 구분할 수 있고, 이러한 일체형과 분할형은 다시 차량과 접촉되면 지면으로 전도(顚倒)되는 가변식과, 전도될 수 없는 고정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고정식 일체형 시선유도봉에 대해서는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26934호, 제20-0336602호, 제20-0336623호, 제20-0385869호, 제20-415557호, 제20-0429256호 등에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차량의 접촉 또는 충돌에 의해 쉽게 파손될 뿐만 아니라 접촉된 차량의 표면까지 손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으로 인해 최근에는 거의 채용되지 않고 있다.
한편, 가변식 분할형 시선유도봉은 차량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충격에 의해 파손된 지지봉만을 용이하게 교체하기 위해 채택되고 있으나, 파손된 지지봉의 교체 소요가 늘어나 유지 및 보수에 많은 비용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파손된 상태에서 방치된 경우에는 안전을 위한 시선유도봉이 도리어 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근래에는 차량의 손상을 방지하고,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봉이 지면에 직립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이 지지봉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도록 하는 기술이 한국등록특허 제10-1178229호 및 제10-0941502호 등을 통해 제안되었다.
먼저, 한국등록특허 제10-1178229호를 살펴보면, 도 1과 같이 고정볼트(4)에 결합된 상태로 지면에 매립되는 베이스부재(1) 및 받침대(2)와, 받침대(2)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봉체부(5)의 몸체(51)와 결합되는 소켓(3)과, 몸체(51)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스프링(8)과, 스프링(8)의 상단에 접하는 제1고정판(91)과 받침대(2)의 하부에 돌출 형성된 지지관(23) 하단에 접한 상태로 제2고정판(92) 중앙에 체결되는 강선(9)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한 구성들을 통해 봉체부의 직립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면서도,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진 경우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시선유도봉에 가해진 충격에도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도록 하는 스프링(8) 및 강선(9)이 몸체(51)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됨에 따라 제조원가가 증대되었고, 충격에 의해 변형된 이후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힘은 제1고정판(91)과 몸체(51) 하부에 지지된 스프링(8)의 작용에 의한 것도 있겠지만, 실질적으로는 제1고정판(91)과 제2고정판(92)에 체결된 강선(9)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어서 이러한 강선(9)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어 쉽게 끊어지거나 제2고정판(92)에 체결된 상태가 이탈되어 내구성이 크게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음으로, 한국등록특허 제10-0941502호에는, 도 2와 같이 지면에 매립되는 고정블록(110)과, 상부면에 걸림고리(134)가 형성되어 고정블록(110)과 나사 결합되는 연결블록(120)과, 일정 높이를 갖는 내부 중심에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어 연결블록(120)의 상면에 지지되는 차량유도봉(140)과, 차량유도봉(140)의 상부에 결합되는 유도봉 결합볼트(154)의 끝단 및 걸림고리(134)에 양 끝단이 결합되는 탄성스프링(1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한 탄성스프링(150)을 통해 차량유도봉(140)이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충격에 의한 변형에도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상기한 차량유도봉(140)은 충격에 의해 변형된 이후 탄성스프링(150)의 복원력에 의해서만 원래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것인데, 이러한 탄성스프링(150)은 차량유도봉(140) 중앙에 하나만 구비되어 있을 뿐이고, 그 길이가 차량유도봉(140)과 대응되는 길이로 길게 형성되어 있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차량유도봉(140)이 충격에 의해 일측으로 기울어지면, 탄성스프링(150)에 작용하는 복원력은 연결블록(120)과 차량유도봉(140)의 접촉이 이탈된 부분 즉, 탄성스프링(150)이 꺾인 부분과 걸림고리(134)에 결합된 사이에서 가장 크게 작용하지만, 접촉이 이탈된 부분을 기준으로 봤을 때, 탄성스프링(150)은 유도봉 결합볼트(154)에 결합되는 길이가 걸림고리(134)에 결합되는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걸림고리(134)에 결합된 짧은 길이의 복원력 만으로는 유도봉 결합볼트(154)에 결합된 긴 길이를 복원시키기는 어렵게 된다.
다시 말해, 탄성스프링(150)의 복원력은 접촉이 이탈된 부분과 유도봉 결합볼트(154) 사이에서도 일부 작용하지만, 긴 길이를 갖는 만큼 스프링의 복원력이 작용한다기 보다 더이상 구부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그칠 수밖에 없는 것이어서, 실질적인 복원력이 작용하는 걸림고리(134)에 연결된 부분만을 통해서는 구부러진 차량유도봉(140)이 다시 직립된 상태가 되도록 하기는 어려운 것이다.
물론, 강한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고장력 스프링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는 탄성스프링(150)의 두께가 두꺼워져야 함과 동시에 강성이 강한 재질을 사용해야 함에 따라 제조원가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결블록(120)과 차량유도봉(140)의 접촉면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충격에 의해 일측으로 기울어진 경우 연결블록(120)과 차량유도봉(140)의 모서리부분끼리 서로 접촉되거나, 연결블록(120)의 모서리부분이 차량유도봉(140)의 하부면에 지지되어, 이 접촉부위(모서리부분)가 파손될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고, 이러한 일부 접촉되는 모서리부위가 호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비스듬하게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는 차량유도봉(140)이 연결블록(120)의 테두리면을 따라 회동하게 되어 원래의 상태로 용이하게 복원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78229호(2012.08.29.공고, 시선 유도봉) 한국등록특허 제10-0941502호(2010.02.10.공고, 차선규제봉)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평상시에는 지면에 직립되게 설치되어 안전표시 기능을 하면서, 차량의 충돌 등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쓰러진 상태에서 다시 직립된 상태로 복원되어 원래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시선유도봉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태양광으로부터 발전된 전기를 이용해 날씨와 관계없이 주간은 물론 야간에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시선유도봉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접촉 및 지지되는 면이 외력에 의해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자연스럽게 쓰러지거나 복원되도록 할 수 있는 시선유도봉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호 탈부착이 가능한 다수개의 단위체로 분리 구성하여, 설치 길이의 조절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시선유도봉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체결부재를 매개로 지면에 고정 설치되도록 마련된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중앙부에 상향되도록 형성되며 그 상면에 다수 개의 결합홈이 마련된 지지체로 구성된 베이스, 상기 지지체의 상면과 상호 마주하는 하면에 다수 개의 체결홈이 상기 결합홈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발광부가 마련되는 발광봉, 상기 발광봉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은 하향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그 경사면에 설치되는 태양전지모듈과, 상기 태양전지모듈로부터 발전시킨 전기를 저장 및 상기 발광부로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축전기로 구성된 에너지공급수단, 상기 결합홈과 체결홈에 각각 삽입되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발광봉이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며, 상기 발광봉이 쓰러진 후 자력에 의해 복원 유도하도록 마련된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체의 상면 또는 상기 발광봉의 하면은 중심부가 관통 형성되고, 끝단부가 호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상기 발광봉은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된 다수 개의 연결단위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결합홈 및 체결홈에 각각 삽입 설치되는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에 양 끝단부가 결합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끝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는 삽입된 상기 탄성부재의 끝단부가 결합되는 연결고리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홈 및 체결홈 사이에는 연질 및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탄성부재의 외측을 감싸도록 마련된 보호관이 삽입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연결단위체에는 상기 축전기로부터 공급된 전기가 상기 발광부로 공급되도록 상호 전달하는 전기전달부재가 각각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광봉은 그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발광부를 감싸도록 하는 반사시트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선유도봉은 평상시에는 지면에 직립되게 설치되어 안전표시 기능을 하면서, 차량의 충돌 등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변형된 상태가 신속히 복원되어 원래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충격이 가해지는 부분은 물론 그 반대측에 접촉되는 부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 및 내구성이 증대됨은 물론 잦은 교체소요를 방지하여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명을 제공하여 시인성이 향상되도록 함으로써, 주간은 물론 야간에도 용이하게 식별이 가능하여 주의력 향상을 통한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이러한 조명의 전력공급원으로 태양광을 이용함에 따라 청정에너지를 이용한 환경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별도의 에너지를 공급을 위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면에 고정된 베이스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지지몸체를 다수개의 단위체로 분리 구성하고, 이러한 단위체들이 상호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설치 개소에 따른 길이 조절이 자유롭고, 지지몸체의 파손 또는 엘이디모듈의 고장 발생시에도 교체가 용이하여 유지보수를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시선유도봉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 차선규제봉을 나타낸 일부 절개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선유도봉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에 대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수단을 발췌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베이스와 발광봉의 결합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일부 절개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광봉의 결합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선유도봉이 쓰러져, 직립 상태로 복원되기 이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 3 내지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선유도봉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선유도봉은 도로, 터널 등 운전자의 주의력을 요하는 장소에 설치하여 운전자가 차선의 위치를 정확히 인식하고, 운행중인 차량이 차선을 침범하지 않도록 유도하여 교통질서 확립과 안전운행을 도모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크게 베이스(200), 발광봉(300), 에너지공급수단(400) 및 지지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베이스(200)는 그 테두리부에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211)이 다수 개 형성되어 관통공(211)에 삽입된 체결부재(212)를 매개로 지면에 고정 설치되도록 마련된 고정체(210)와, 고정체(210)의 중앙부에 상향되도록 일정 높이로 형성되며 그 상면에는 다수 개의 결합홈(221)이 형성된 지지체(220)로 구성된다.
이때, 지지체(220)는 중심부가 관통되고, 이 중심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끝단부 즉, 상면이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호형을 이루며, 이 호형의 끝단부에 다수 개의 결합홈(221)이 하방으로 일정 깊이 함몰되게 형성된다.
삭제
발광봉(300)은 지지체(220)의 상면과 상호 마주하는 하면에 다수 개의 체결홈(310)이 결합홈(221)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외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PCB기판과 엘이디로 구성된 발광부(320)가 설치된다.
이러한 발광부(320)는 기본적으로 하나가 설치되는 것이나, 필요에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발광부(320)를 다수 개 설치하는 경우에는 발광봉(300)의 외면에 상하로 상호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발광봉(300)는 지지체(220)의 상향되게 볼록한 상면과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도록, 중심부가 관통되고 이 중심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끝단부 즉, 하면이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호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이 호형의 끝단부에 다수 개의 체결홈(310)이 상방으로 일정 깊이로 함몰 형성된다.
이때, 발광봉(300)은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연결단위체(301)로 형성되며, 이러한 다수 개의 연결단위체(301)에는 축전기(420)로부터 공급된 전기가 발광부(320)로 공급되도록 상호 전달하는 전기전달부재(302)가 마련된다.
여기서, 다수 개의 연결단위체(301)는 키결합, 나사결합, 끼움결합 또는 클램프와 같은 연결수단을 통한 결합 중 하나 이상의 방식을 통해 상호 탈부착 되는 것으로, 본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단위체(301)는 키결합을 통해 상호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전기전달부재(302)는 연결단위체(3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 본 제1실시예와 같이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연결단위체(301)의 끝단부에 접속단자가 위치하는 한 쌍의 접속터미널로 이루어지거나, 이와는 달리 피복체로 감싸져 상호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된 연결케이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불어, 전기전달부재(302)가 한 쌍의 접속터미널로 이루어진 경우, 이러한 접속터미널은 연결단위체(301)의 내면 또는 내·외면 사이에 인서트 몰딩되어 결합되거나, 접착부재 등을 통해 연결단위체(301)의 내면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도 5와 같이 발광부(320)는 발광봉(300)의 내측면에 밀착 지지되도록 설치되되, 엘이디가 발광봉(300)의 외면에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하여, 외부에서 가해지는 직접적인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첨부한 도 5에서는 발광부(320)가 발광봉(300)의 내측면에 밀착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발광봉(300)의 외면에서 내측면을 향해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더불어, 발광봉(300)에는 발광부(32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그 둘레를 따라 반사시트(330)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반사시트(330)는 발광부(320)를 통해 제공되는 빛을 반사 및 확신시킴과 동시에 외부에서 조사(照射)되는 불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여기서, 발광봉(300)에는 반사시트(330)의 결합면에 반사시트(330)의 두께와 대응되는 단차부를 형성하여, 반사시트(330)가 발광봉(300)의 외면에 돌출되지 않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 및 마찰에 의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해, 반사시트(330)의 외면에는 문자 또는 도형들로 위험표시, 관할지역표시, 홍보내용 등의 문구를 나타내어, 주간은 물론 야간에도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 문양표시재(340)가 부착될 수 있다.
에너지공급수단(400)은 발광봉(300)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단은 기 설정된 각도의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으로, 경사면에 설치되어 집광된 태양에너지를 전기로 발전시키는 태양전지모듈(410)과, 태양전지모듈(410)로부터 발전시킨 전기를 저장하면서도 발광부(320)로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축전기(420)로 구성된다.
이러한 에너지공급수단(400)은 태양전지모듈(410)과 축전기(420)가 일체를 이루도록 마련되어 발광봉(300)의 상단에 일괄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태양전지모듈(410)과 축전기(420) 각각이 개별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에너지공급수단(400)은 그 경사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태양전지모듈(410)이 외부에 노출되어 고장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태양광을 용이하게 집광할 수 있도록 하는 보호캡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타이머 등과 같은 별도의 제어부를 두어 필요한 시간 대에만 전기가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지지수단(500)은 결합홈(221)과 체결홈(310)에 각각 삽입되어, 지지체(220)의 상면에 지지되는 발광봉(300)이 베이스(200)에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이러한 발광봉(300)이 쓰러진 후에는 자력(自力)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결합홈(221)에 삽입 설치되는 제1고정부재(510)와, 체결홈(310)에 삽입 설치되는 제2고정부재(520)와, 제1고정부재(510) 및 제2고정부재(520)에 양 끝단부가 결합되는 탄성부재(530)로 구성된다.
이때, 제1고정부재(510) 및 제2고정부재(520)는 탄성부재(530)의 끝단부가 삽입되도록 상면 중심부에서 축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삽입홈(511,521)과, 탄성부재(530)의 끝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삽입홈(511,521)에 형성된 연결고리(512,5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제1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재(510) 및 제2고정부재(520)는 결합되는 대상에 차이가 있을 뿐 서로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것이고, 상기한 연결고리(512,522)는 삽입홈(511,521)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와 이해를 돕고자 제1고정부재(510)에는 제1삽입홈(511), 제1연결고리(512)가 형성되고, 제2고정부재(520)에는 제2삽입홈(521), 제2연결고리(522)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한 제1삽입홈(511) 및 제2삽입홈(521)은 결합공구가 삽입되어 회전력을 가함에 따라 결합 또는 해체될 수 있도록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제1삽입홈(511) 및 제2삽입홈(521)의 내면은 도 6의 (a)와 같이 민짜로 형성되거나, 도 6의 (b)와 같이 제1삽입홈(511) 및 제2삽입홈(521)에 삽입된 결합공구의 끝단면이 제1연결고리(512) 및 제2연결고리(522)에 간섭되지 않도록, 제1연결고리(512) 및 제2연결고리(522)와 각각 대응되는 높이로 제1단턱(513) 및 제2단턱(523)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홈(221) 및 체결홈(310) 사이에는 연질의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탄성부재(530)의 외측을 감싸도록 마련된 보호관(540)이 삽입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보호관(540)은 탄성부재(530)와 함께 신축 및 변형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530)의 외면에 밀착 지지된 상태로 결합되어 제1삽입홈(511) 및 제2삽입홈(521)에 각각 삽입 설치되거나, 결합홈(221) 및 체결홈(310)과 제1고정부재(510) 및 제2고정부재(520)의 사이 영역에 삽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발명의 명칭에 대한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설치개소에 고정체(210)가 지면에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체결부재(212)를 관통공(211)에 삽입한 상태로 베이스(200)를 고정 설치하고, 하나의 발광봉(300)이 이루어지도록 발광부(320) 및 반사시트(330)가 설치된 상태의 연결단위체(301)를 상호 결합한다.
이후, 결합홈(221) 및 체결홈(310)에 제1고정부재(510) 및 제2고정부재(520)를 각각 삽입 설치하고, 제1연결고리(512) 또는 제2연결고리(522) 중 어느 하나의 연결고리에 탄성부재(530)의 일측 끝단부를 결합하여 탄성부재(530)의 외측으로 보호관(540)을 삽입한 이후, 다른 하나의 연결고리에 탄성부재(530)의 타측 끝단부를 결합한다.
이때, 발광봉(300) 상단에 결합되는 에너지공급수단(400)은 지지수단(500)의 결합이 이루어지기 이전에 결합하거나, 지지수단(500)을 결합한 이후에 결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은 각 구성들의 결합이 완료되면, 발광봉(300)의 하면은 지지체(220)의 상면과 상호 맞닿아 지지된 상태가 유지되어, 발광봉(300)이 베이스(200)의 상측에 직립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직립된 상태에서, 차량의 충돌에 의한 충격 등 발광봉(30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발광봉(300)은 외력이 가해진 방향으로 쓰러지게 되는데, 상호 맞닿은 상태로 지지되는 지지체(220)의 상면과 발광봉(300)의 하면은 모두 호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쓰러지는 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미끄러지듯이 쓰러지게 되며, 상호 맞닿아 지지되는 면이 쉽게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어, 시선유도봉의 내구성 및 안전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이후, 발광봉(300)이 쓰러진 상태가 되면, 발광봉(300)과 지지체(220)의 지지면이 이격된 거리만큼 제1고정부재(510)와 제2고정부재(520)에 결합된 탄성부재(530)가 신장된 상태가 되며, 이처럼 신장된 상태의 탄성부재(530)에는 복원력이 작용하게 되어, 쓰러진 상태에서 원래와 같이 직립 상태로 되돌아 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쓰러진 상태의 발광봉(300)이 자력(自力)으로 복원되도록 유도하기 위해, 다수개의 탄성부재(530)가 구비되어 있음은 물론, 지지체(220)의 상면 및 이에 지지되는 발광봉(300)의 하면이 일정 곡률을 갖는 호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원래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탄성부재(530)의 외측으로 삽입된 보호관(540)을 통해 발광봉(300)이 직립되거나 쓰러진 상태에 관계없이 비바람에 의한 부식, 지면의 파편에 의한 손상, 기타 이물질에 의한 신축 동작의 방해 등으로부터 효과적으로 지지수단(500)을 보호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내구성이 증대되어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불어, 발광부(320)는 발광봉(300)의 외면에 돌출되지 않도록 매립 설치된 것이므로, 차량이 충돌하여 발광봉(300)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쉽게 파손되지 않을 수 있고, 설령 발광부(320)가 파손되었다 하더라도 파손된 부위의 연결단위체(301)만을 용이하게 교체 설치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에 더해, 발광부(320)가 파손된 연결단위체(301)를 탈거한 이후에는, 연결단위체(301)가 완전히 파손되었거나, 변형된 상태에서 원래의 상태로 복원할 수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 파손된 발광부(320)를 교체하여 재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제1실시예와 같이 발광부(320) 및 반사시트(330)를 통해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고, 발광봉(300)이 완전히 쓰러진 상태에서도 원래의 상태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복원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하더라도, 운전미숙, 부주의 등의 이유로 차량의 바퀴가 쓰러진 발광봉(300)을 밟고 지나가게 되어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발광봉(300)이 차량의 하중을 온전히 버틸 수는 없는 경우에는 발광부(320) 및 에너지공급수단(400)이 파손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하지만, 차량의 바퀴가 쓰러진 발광봉(300)을 밟고 지나가더라도, 지지체(220) 및 설치된 탄성부재(530)가 완전히 파손되거나 변형되어 제 기능을 상실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호형의 지지되는 면에 의해 지지되는 발광봉(300)이 다수 개의 탄성부재(530)를 통해 원래의 직립 상태로 복원되는 것이 가능하므로, 시선유도봉으로서의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후 파손된 부위만을 용이하게 재설치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유지보수의 편의성이 증대됨은 물론,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에너지공급수단(400)에서 발전 및 공급된 전기는 전기전달부재(302)를 통해 발광부(320)에 전기가 전달되도록 하는 다수 개의 연결단위체(301)로 공급에 전달되므로, 태양광을 이용한 청정에너지의 활용으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어두운 야간은 물론 눈, 비, 안개 등으로 인해 날씨가 흐린 주간에도 지속적으로 발광부(320)에 전기를 공급해주어 통행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불어, 발광부(320)에 공급된 전기에 의해 제공되는 엘이디 조명과, 발광봉(300)의 외면에 결합된 반사시트(330)를 통해 시인성이 향상되어 주간은 물론 야간에도 용이하게 식별이 가능하고, 발광부(320)의 외면에 결합된 반사시트(330)가 부착되어 발광부(320)의 고장 및 파손에 의해 조명이 제공되지 않더라도 차량의 조명에 의해 반사되어 식별력을 제공하는 보조적인 역할을 하게 되므로, 주의력 향상을 통한 안전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200 : 베이스 210 : 고정체
211 : 관통공 212 : 체결부재
220 : 지지체 221 : 결합홈
300 : 발광봉 301 : 연결단위체
302 : 전기전달부재 310 : 체결홈
320 : 발광부 330 : 반사시트
340 : 문양표시재
400 : 에너지공급수단 410 : 태양전지모듈
420 : 축전기
500 : 지지수단 510 : 제1고정부재
511 : 제1삽입홈 512 : 제1연결고리
513 : 제1단턱 520 : 제2고정부재
521 : 제2삽입홈 522 : 제2연결고리
523 : 제2단턱 530 : 탄성부재
540 : 보호관

Claims (9)

  1. 체결부재(212)를 매개로 지면에 고정 설치되도록 마련된 고정체(210)와, 상기 고정체(210)의 중앙부에 상향되도록 형성되며 그 상면에 다수 개의 결합홈(221)이 마련된 지지체(220)로 구성된 베이스(200);
    상기 지지체(220)의 상면과 상호 마주하는 하면에 다수 개의 체결홈(310)이 상기 결합홈(221)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외부에는 하나 이상의 발광부(320)가 마련되는 발광봉(300);
    상기 발광봉(300)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은 하향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그 경사면에 설치되는 태양전지모듈(410)과, 상기 태양전지모듈(410)로부터 발전시킨 전기를 저장 및 상기 발광부(320)로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축전기(420)로 구성된 에너지공급수단(400);
    상기 결합홈(221)과 체결홈(310)에 각각 삽입되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발광봉(300)이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며, 상기 발광봉(300)이 쓰러진 후 자력(自力)에 의해 복원 유도하도록 마련된 지지수단(500);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체(220)의 상면 및 상기 발광봉(300)의 하면은 중심부가 관통 형성되고, 끝단부가 호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며,
    상기 지지수단(500)은 상기 결합홈(221) 및 체결홈(310)에 각각 삽입 설치되는 제1고정부재(510) 및 제2고정부재(520)와, 상기 제1고정부재(510) 및 제2고정부재(520)에 양 끝단부가 결합되는 탄성부재(530)와, 상기 제1고정부재(510) 및 제2고정부재(520)에 상기 탄성부재(530)의 끝단부가 삽입되도록 각각 형성되는 삽입홈(511,521)과, 상기 삽입홈(511,521)에 상기 탄성부재(530)의 끝단부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연결고리(512,522)으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홈(221) 및 체결홈(310) 사이에는 연질의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보호관(540)이 상기 탄성부재(530)의 외측을 감싸도록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유도봉.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봉(30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분해 결합이 가능하게 마련된 다수 개의 연결단위체(301)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유도봉.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연결단위체(301)에는 상기 축전기(420)로부터 공급된 전기가 상기 발광부(320)로 공급되도록 상호 전달하는 전기전달부재(302)가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유도봉.
  9. 제1항, 제4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봉(300)은 그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발광부(320)를 감싸도록 하는 반사시트(33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유도봉.
KR1020160015075A 2016-02-05 2016-02-05 시선유도봉 KR101671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075A KR101671492B1 (ko) 2016-02-05 2016-02-05 시선유도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075A KR101671492B1 (ko) 2016-02-05 2016-02-05 시선유도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1492B1 true KR101671492B1 (ko) 2016-11-01

Family

ID=57484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5075A KR101671492B1 (ko) 2016-02-05 2016-02-05 시선유도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149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58908A (zh) * 2017-02-07 2017-05-31 山东中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任意组合多种定位方式的道路诱导灯
KR200488567Y1 (ko) * 2018-08-02 2019-05-21 민병일 시선유도봉
KR102002772B1 (ko) * 2018-11-15 2019-07-25 구경모 개선된 구조의 부착식 시선 유도봉
KR20200049274A (ko) 2018-10-31 2020-05-0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시선유도봉
CN112854052A (zh) * 2020-12-31 2021-05-28 赵晓琳 一种道路施工用路桩
KR102285053B1 (ko) * 2021-04-02 2021-08-03 주식회사 정산업 스프링을 이용한 차선규제봉
KR20230116168A (ko) 2022-01-28 2023-08-04 해늘사회적협동조합 발광형 차단봉이 구비된 차선 규제 블록 조립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9890A (ko) * 2005-03-15 2006-09-20 방상태 차선 규제봉
KR20090059948A (ko) * 2007-12-07 2009-06-11 최경엽 탄성 스프링 볼라드
KR100941502B1 (ko) 2007-11-05 2010-02-10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차선규제봉
KR101178229B1 (ko) 2011-11-23 2012-08-29 (주)로드스톤 시선 유도봉
KR20130062780A (ko) * 2011-12-05 2013-06-13 조기철 차선 규제봉
KR101515578B1 (ko) * 2014-08-20 2015-04-28 주식회사 에니에스 오뚝이 볼라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9890A (ko) * 2005-03-15 2006-09-20 방상태 차선 규제봉
KR100941502B1 (ko) 2007-11-05 2010-02-10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차선규제봉
KR20090059948A (ko) * 2007-12-07 2009-06-11 최경엽 탄성 스프링 볼라드
KR101178229B1 (ko) 2011-11-23 2012-08-29 (주)로드스톤 시선 유도봉
KR20130062780A (ko) * 2011-12-05 2013-06-13 조기철 차선 규제봉
KR101515578B1 (ko) * 2014-08-20 2015-04-28 주식회사 에니에스 오뚝이 볼라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58908A (zh) * 2017-02-07 2017-05-31 山东中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任意组合多种定位方式的道路诱导灯
KR200488567Y1 (ko) * 2018-08-02 2019-05-21 민병일 시선유도봉
KR20200049274A (ko) 2018-10-31 2020-05-0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시선유도봉
KR102002772B1 (ko) * 2018-11-15 2019-07-25 구경모 개선된 구조의 부착식 시선 유도봉
CN112854052A (zh) * 2020-12-31 2021-05-28 赵晓琳 一种道路施工用路桩
KR102285053B1 (ko) * 2021-04-02 2021-08-03 주식회사 정산업 스프링을 이용한 차선규제봉
KR20230116168A (ko) 2022-01-28 2023-08-04 해늘사회적협동조합 발광형 차단봉이 구비된 차선 규제 블록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1492B1 (ko) 시선유도봉
KR102007245B1 (ko) 제거가 용이한 태양광 도로표지병
KR200394955Y1 (ko) 안전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킨 볼라드
KR20170105303A (ko) 다지점 듀얼스프링 완충구조를 갖는 표지판
CN2250975Y (zh) 自动复位防撞警示柱
US11466414B2 (en) Traffic control marker including a reinforcing member
KR100895722B1 (ko) 솔라 시선유도봉
KR101675377B1 (ko) 반사 겸용 태양열 축광식 도로표지병
JPH08239812A (ja) 道路標識柱
KR20210019927A (ko) 매립형 태양광 엘이디 도로표지병
KR200219084Y1 (ko) 차선규제봉
KR101045618B1 (ko) 도로시선 유도등
KR200221869Y1 (ko) 도로 안전 표지병의 보호장치
KR102243192B1 (ko) 무볼트 매립식 차선 규제봉
KR102168269B1 (ko) 다목적 시선 유도봉
KR20170011466A (ko) 지주용 완충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완충 장치
KR100920257B1 (ko) Led 볼라드
KR20200034193A (ko) 시선 유도봉 및 그 시공방법
JPH06280222A (ja) 道路標識柱
KR100874495B1 (ko) 차선 규제봉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323110Y1 (ko) 안전 펜스
KR200297991Y1 (ko) 중앙선 분리 반사 표시구를 일체로 한 중앙선 분리 차선규제 표시봉
JP3018497U (ja) 自発光式標識柱
KR101944749B1 (ko) 반사체의 내구성 및 교체가 용이한 도로표지병
KR20110005882U (ko) 시선유도봉이 결합되는 도로표지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