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0508B1 - 안테나 케이블 연결 모듈 및 안테나 케이블 연결 모듈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안테나 케이블 연결 모듈 및 안테나 케이블 연결 모듈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0508B1
KR101810508B1 KR1020160058175A KR20160058175A KR101810508B1 KR 101810508 B1 KR101810508 B1 KR 101810508B1 KR 1020160058175 A KR1020160058175 A KR 1020160058175A KR 20160058175 A KR20160058175 A KR 20160058175A KR 101810508 B1 KR101810508 B1 KR 101810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cable
antenna
bush
receiv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7719A (ko
Inventor
소성환
강성만
정은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to KR1020160058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508B1/ko
Priority to PCT/KR2017/004549 priority patent/WO2017196011A1/ko
Priority to EP17796311.3A priority patent/EP3457494B1/en
Priority to FIEP17796311.3T priority patent/FI3457494T3/fi
Priority to JP2018559250A priority patent/JP6743184B2/ja
Publication of KR20170127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7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508B1/ko
Priority to US16/186,667 priority patent/US1084793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0Structural association of antennas with earthing switches, lead-in devices or lightning prot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8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for linking dissimilar lines or devices
    • H01P5/085Coaxial-line/strip-line trans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5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br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in or to a pane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5Connection to a rigid planar substrate, e.g.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2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27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action of a resilient member, e.g.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케이블 연결모듈은, 안테나 필터부와 연결되는 접점을 형성하는 안테나 케이블; 상기 안테나 케이블의 외주면에 배치되며, 상기 안테나 케이블의 단부와 함께 상기 안테나 필터부에 배치된 수용구에 삽입되어 상기 안테나 필터부와 결합하는 바디부; 및 상기 안테나 케이블과 상기 바디부 사이에 배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안테나 필터부와 상기 안테나 케이블의 결합을 강화하는 부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그라운드 컨택 타입(ground contact type)의 간단한 안테나 케이블 연결 모듈을 구성하여, 불량 발생률이 감소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통 작업자들이 손쉽게 작업할 수 있도록 간단한 안테나 케이블 연결 모듈을 구성하여, 인건비가 감소되고 안테나 케이블 연결시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테나 케이블 연결 모듈 및 안테나 케이블 연결 모듈 제작방법{antenna cable connecting module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본 발명은, 솔더 없이 간단하게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안테나 케이블 연결 모듈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환국 장치, 기지국 장치 또는 중계기 등의 장비 또는 부품에는 주파수가 높은 무선 신호와 같은 특정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복합 안테나 케이블이 연결된다. 최근 통신 방식에 따라 기지국 등에 배치되는 안테나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RRH(Remote Radio Head) 또는 그에 따른 연결 장비의 수도 증가되는 추세이다.
또한, 최근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이나 중계기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안테나는 통신 환경의 고도화로 인하여 다양한 기능을 보유하고 있으며, 시장의 요구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안테나의 내부에는 많은 수의 알에프 케이블(RF cable)이 사용되며, 이러한 알에프 케이블들의 알에프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서 다양한 장치에 연결되고 있다. 이러한 케이블과 장치의 연결을 위해, 기존 대부분의 모듈들은 안테나 필터와 케이블의 연결이 솔더(solder)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솔더 방식을 통한 안테나 연결 방식은 오랜 기간동안 숙련된 작업자들이 수작업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보통의 작업자들이 공정을 수행하기 어려우며, 솔더 공정의 특성상 불량 발생률이 높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기존 방법을 통해 작업시, 숙련된 작업자에게 필요한 인건비가 증가 및 솔더 공정을 위해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플랜지 케이블 어셈블리(flange cable assembly)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안테나 필터와 케이블의 연결은 상기 플랜지(1)에 돌출 배치된 연결 커넥터(2)에 안테나 케이블(C)을 결합하여 솔더링하는 방식으로 안테나 모듈을 제작하여 왔다.
이에 따른 제작 방식으로 구현된 플랜지 케이블 어셈블리는, 안테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위(연결 커넥터(2))가 외부에 돌출 배치되기 때문에 다른 장치에 의해 스크래치 등의 손상이 발생하여 모듈 자체의 고장을 가져올 수 있었다.
또한, 상기 기존의 플랜지 케이블 어셈블리는 플랜지(1)의 연결 커텍터(2)와 연결되는 안테나 케이블(C) 단부의 대부분의 솔더링이 필요하고, 상기 솔더링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진행하여야 함에 따라 작업자의 영향이 상당부분 반영되어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제품의 불량률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솔더링을 위한 납이 안테나 장비의 특성상 각각의 연결 구조마다 다량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전체 안테나 장비의 무게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대부분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제품의 특성상 상기 안테나 장비를 고정하기 위해 드는 부품비가 추가적으로 발생하여 제조비용 및 시간이 많이 소모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그라운드 컨택 타입(ground contact type)의 간단한 안테나 케이블 연결 모듈을 구성하여, 불량 발생률이 감소된 장치를 구현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보통 작업자들이 손쉽게 작업할 수 있도록 간단한 안테나 케이블 연결 모듈을 구성하여, 인건비를 감소하고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치를 구현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최소한의 솔더만으로 안테나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도록하여 부품비를 절감하고 제품의 무게를 감소할 수 있는 장치를 구현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케이블 연결모듈은, 안테나 필터부와 연결되는 접점을 형성하는 안테나 케이블; 상기 안테나 케이블의 외주면에 배치되며, 상기 안테나 케이블의 단부와 함께 상기 안테나 필터부에 배치된 수용구에 삽입되어 상기 안테나 필터부와 결합하는 바디부; 및 상기 안테나 케이블과 상기 바디부 사이에 배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안테나 필터부와 상기 안테나 케이블의 결합을 강화하는 부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 필터부는 상기 안테나 케이블의 심선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용부의 수용 공간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구를 통과한 상기 안테나 케이블의 심선과 접점을 형성하는 접촉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부는 외부 방향으로 돌출된 수용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 결합부재 일측으로 상기 안테나 케이블이 수용되는 상기 수용구가 배치되고 상기 수용 결합부재 타측으로 상기 안테나 케이블의 상기 심선이 수용되는 심선 수용구를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디부는, 상기 수용구에 삽입되는 전단부; 및 상기 전단부와 서로 다른 크기의 외경을 가지며, 상기 수용구 외면에 배치된 수용 결합부재와 대면 배치되는 후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쉬는 상기 바디부의 일부와 함께 상기 수용구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부쉬 전단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부 일부면에 접촉하여 그라운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쉬는 상기 안테나 케이블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부쉬 전단부 또는 부쉬 후단부는 일측이 개구된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포함하는 상기 부쉬의 전단부 또는 부쉬 후단부는 상기 바디부의 압착에 의하여 상기 안테나 케이블을 상기 결합 부재 내측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쉬 전단부와 상기 부쉬 후단부는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쉬 전단부는 상기 부쉬 후단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큰 외경을 가지도록 돌출된 접촉면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면은 상기 수용 결합부재 외면과 접촉하여 그라운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면은 상기 안테나 케이블의 삽입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폐곡선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배치된 심선 수용구 주변 외면과 접촉하여 접점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부는 상측이 개구되며, 상기 수용부 내부 상기 접촉 부재 하부에는 인쇄 회로기판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디부 내경은 상기 부쉬 전단부 또는 상기 부쉬 후단부 외면과 대응되도록 경사면 또는 단턱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쉬 전단부 또는 상기 부쉬 후단부의 적어도 하나의 슬릿은 상기 바디부의 내측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슬릿의 크기가 감소하면서 상기 바디부 및 상기 안테나 케이블의 결합을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케이블 연결모듈 제작방법은, 단부가 일부 피복된 안테나 케이블을 마련하는 공정; 상기 안테나 케이블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는 경사면이 형성된 부쉬 및 상기 부쉬보다 상대적으로 큰 외경을 가지는 바디부를 삽입하는 공정; 상기 안테나 케이블 단부에 상기 부쉬를 결합하는 공정; 안테나 필터부 외측에 마련된 수용부 내부로 상기 부쉬가 결합된 안테나 케이블을 삽입하는 공정; 및 상기 바디부가 상기 부쉬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상기 수용부 내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수용부와 상기 바디부를 결합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쉬는 상기 케이블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부쉬 전단부 또는 부쉬 후단부는 일측이 개구된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 케이블 단부에 상기 부쉬를 결합하는 공정은, 상기 부쉬 전단부 또는 상기 부쉬 후단부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릿이 상기 바디부의 내측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슬릿의 크기가 감소하면서 상기 바디부 및 상기 안테나 케이블의 결합을 강화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부 내부로 상기 부쉬가 결합된 안테나 케이블을 삽입하는 공정은, 상기 부쉬 전단부의 돌출된 접촉면이 상기 수용부 일측에 배치된 수용 결합부재 외면과 접촉하여 그라운드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부와 상기 바디부를 결합하는 공정은, 상기 바디부의 전단부는 상기 수용부에 배치된 수용구에 삽입되고, 상기 전단부와 서로 다른 크기의 외경을 가지는 상기 바디부의 후단부는 상기 수용구 외면에 배치된 수용 결합부재와 대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부의 수용 공간 하측에 배치된 접촉 부재는, 상기 수용 공간으로 삽입된 상기 안테나 케이블의 심선과 접점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그라운드 컨택 타입(ground contact type)의 간단한 안테나 케이블 연결 모듈을 구성하여, 불량 발생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통 작업자들이 손쉽게 작업할 수 있도록 간단한 안테나 케이블 연결 모듈을 구성하여, 인건비가 감소되고 안테나 케이블 연결시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최소한의 솔더만으로 안테나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솔더로 소모되는 부품비를 절감하고 제품의 무게를 감소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안테나 케이블 연결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케이블 연결모듈을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케이블 연결모듈의 안테나 케이블 및 안테나 케이블과 필터부를 연결하는 연결 구성요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케이블과 안테나 필터부가 결합한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케이블과 안테나 필터부가 결합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케이블 연결모듈의 연결 과정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케이블 연결모듈의 안테나 케이블 및 안테나 케이블과 안테나 필터부를 연결하는 연결 구성요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케이블 연결모듈의 부쉬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케이블과 안테나 필터부가 결합한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케이블과 안테나 필터부가 결합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케이블 연결모듈 제조방법에 대하여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필터와 케이블을 연결하는 안테나 케이블 연결모듈 및 그의 제작방법이 설명된다. 본 발명에서, 작업자라는 용어는 안테나 케이블 연결모듈을 설치하는 사람 또는 안테나 케이블 연결모듈을 설치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케이블 연결모듈(10)의 연결 과정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안테나 케이블 연결모듈(10)은, 특정 파장대의 주파수를 선별하여 통과시키거나 전체적으로 주파수의 양을 조절하는 안테나 필터부(300)와, 상기 안테나 필터부(300)에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하는 안테나 케이블(C)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케이블(C)은, 복수 개의 전력선 유닛 및 복수 개의 광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합 안테나 케이블(C)은 교환국 장치, 기지국 장치 또는 중계기 등의 장비 부품에 제공되는 주파수가 높은 무선 신호와 같은 특정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알에프 케이블(RF cable)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에프 케이블은 용도 및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서 복수 개의 케이블로 분기가 필요하며, 연결 부품의 구조적 특징에 적합하게 제작된 커넥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장비, 예를 들면, RRH(remote radio head) 또는 RRA(Remote Radio Antenna)로 제공하는 안테나 케이블(C)은 복수 개의 분배된 케이블로 분기하기 위하여 케이블 분배장치(미도시)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안테나 필터부(300)는 특정 주파수 대역을 통과시키는 필터가 배치된 필터 본체(310)와 상기 필터 본체(310)를 향하여 안테나 케이블(C)로부터 송신/수신된 신호를 제공하도록, 안테나 케이블(C)을 수용하는 안테나 수용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안테나 수용부(330)는 상기 안테나 본체(310) 외측에 소정의 수용 공간(331)을 형성하여 외부의 안테나 케이블(C)의 적어도 일부를 을 수용하도록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안테나 수용부(330)는 필터 본체(310) 외측에 상면이 개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안테나 안테나 수용부(330)는 안테나 케이블(C)의 심선(C1)이 통과할 수 있는 수용구(333) 및 상기 안테나 안테나 수용부(330) 외측으로 돌출되어 안테나 케이블(C)을 결합할 수 있는 수용 결합 부재(33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수용부(330) 내부 수용 공간(331) 하측에 배치되어, 안테나 케이블(C)의 심선과 접지되는 접촉 부재(33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용구(333)는 상기 결합 부재(335) 내부에 수용 공간(331)과 외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개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안테나 수용부(330)는 각각의 안테나 케이블(C)의 일부가 수용되고 결합할 수 있도록 필터 본체(310)에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안테나 수용부(330)는 상부가 개구된 하우징 형태로, PAAS, PPS(Polyhenylene Sulfide), PPA(Polyphthal Amide)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사출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 안테나 수용부(330)는 아연 다이 캐스팅 또는 알루미늄 다이 캐스팅으로 제작될 수 있고, 금속물을 가공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 안테나 수용부(330)의 외주면은 고염수에 강한 재질로 도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외주면은 고염수에 대해 부식 등이 견딜 수 있는 재질로 도포 또는 도금함으로써 상기 수용부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안테나 수용부(330)의 개구된 상부에서 바라볼 때, 안테나 수용부(330) 상면에는 안테나 케이블(C)의 심선(C1)과 접지되어 접지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라인으로 배치된 접촉 부재(337)를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촉 부재(337)는 인쇄회로기판(P) 상부에 배치되어, 제 1방향(안테나 케이블의 삽입 방향)으로 인입된 안테나 케이블(C)의 심선(C1)의 방향과 평행한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안테나 수용부(330)의 상면은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접촉 부재(337)의 일면에 배치된 심선(C1)은 납땜 등을 통하여 작업자가 손쉽게 안테나 케이블(C)과 필터 영역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케이블 연결모듈(10)은 상기 안테나 케이블(C)과 상기 안테나 필터부(300)를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 케이블(C)의 외주면에 배치된 바디부(110) 및 부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바디부(110) 및 부쉬(130)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케이블 연결모듈(10)의 안테나 케이블(C) 및 안테나 케이블(C)과 필터부(300)를 연결하는 연결 구성요소(110,13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안테나 케이블(C)은 동축(coaxial) 케이블로서, 접지에 연결된 차폐(shield)를 이용하여 전자기파 간섭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 케이블(C)은 중심에 심선(C1)과 같은 내부 도체가 배치되고, 상기 심선(C1)의 외주면을 따라, 절연체 및 외부 도체(C2)가 배치되고, 상기 외부 도체(C2)의 외주면을 따라, 피복(C3)이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안테나 케이블(C)과 상기 필터부(300)를 연결하는 연결 구성요소는 바디부(110) 및 부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바디부(110)는 안테나 케이블(C)이 삽입되어 통과할 수 있는 홀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서로 다른 크기의 외경 두께를 가지는 전단부(111) 및 후단부(113)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10)의 전단부(111)는 실질적으로 수용구(333)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영역일 수 있으며, 상기 바디부(110)의 후단부(113)는 상기 수용구(333)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외주면을 구비하여, 안테나 케이블(C)과 안테나 수용부(330)가 결합시 서로 대면 배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바디부(110)의 전단부(111)는 상기 안테나 수용부(330)의 수용구(333)에 삽입되어 탈착 결합으로 연결되거나, 전단부(111) 외면에 나사선이 구비되어, 수용구(333) 내측에 배치된 나사선에 의하여 암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는 결합 방식의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바디부(110)의 전단부(111)는 상기 수용구(333)와 서로 결합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110)는 아연 다이 캐스팅 또는 알루미늄 다이 캐스팅으로 제작될 수 있고, 금속물을 가공하여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바디부(110)의 전단부(111)는 후술될 부쉬(130) 외주면에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후단부(113)의 일부는 부쉬(130) 또는 안테나 케이블(C)의 피복(C3) 외면에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부쉬(130)는 안테나 케이블(C)의 단부가 삽입하여 통과할 수 있는 홀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가지는 전단부(131) 및 후단부(133)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쉬(130)의 전단부(131) 및 후단부(133)는 실질적으로 수용구(333)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을 강화하는 영역이며, 상기 안테나 케이블(C) 및 상기 바디부(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부쉬(130)의 전단부(131)는 제 1방향(안테나 케이블의 삽입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슬릿(1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릿(135)은 안테나 케이블(C)의 외부 도체(C2) 외면을 둘러싸도록 소정의 간격에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예에 따라, 상기 바디부(110)가 수용구(333)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압착 과정에서 상기 각각의 슬릿(135)의 내부 간격이 감소하면서, 상기 간격을 원상태로 회복하고자 하는 텐션을 통해 안테나 케이블(C)과 안테나 수용부(330)의 결합을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부쉬(130)의 후단부(133)는 전단부(131)와 다르게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는 경사면(137)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137)을 포함하는 후단부(133)에 따라, 안테나 케이블(C)과 안테나 수용부(330)와 결합시 발생하는 압착 과정에서 부쉬(130)가 안테나 케이블(C)의 내측(피복이 배치된 방향)으로 밀리지 않고, 외부 도체(C2) 외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압착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쉬(130)는 아연 다이 캐스팅 또는 알루미늄 다이 캐스팅으로 제작될 수 있고, 금속물을 가공하여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바디부(110)의 전단부(111) 외측에는 홈(미도시)이 배치되고, 홈으로 실링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디부(110) 전단부(111)가 상기 안테나 수용부(330)의 수용구(333) 내부와 삽입 결합하면서 외부 유체가 안테나 케이블 내부 또는 수용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케이블(C)과 안테나 필터(300)가 결합한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용구(333) 내측으로 안테나 케이블(C)이 삽입되며, 상기 안테나 케이블(C)을 중심으로 외측 방향을 향하여 부쉬(130), 바디부(110) 및 수용 결합부재(335)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 결합부재(335)를 내부를 살펴보면, 안테나 케이블(C)의 심선(C1)만 안테나 수용부(330) 내부로 통과할 수 있도록, 내측에 수용구보다 크기가 작은 심선 수용구(339)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안테나 수용부(330) 내부에는 안테나 케이블(C)의 심선(C1)만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케이블(C)의 외부 도체(C2) 외면에는 부쉬(130)가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쉬(130)의 전단부(131)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135)이 구비되어 외부 도체(C2) 단부와 수용 결합부재(335)의 결합을 강화할 수 있으며, 상기 부쉬(130)의 후단부(133)는 경사면(137)이 배치되어, 상기 결합이 강화됨에 따라, 부쉬(130)가 외부 도체(C2) 단부로부터 피복 방향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쉬(130)의 전단부(131)는 상기 심선 수용구(339) 주변의 수용 결합부재(335)의 일부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그라운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부쉬(130)를 밀어주는 바디부(110)의 압입으로 인하여 형성된 그라운드는 납땜 방식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부쉬(130)의 전면이 안테나 수용부(330)에 밀착 배치되어 전기적 접속의 결합을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쉬(130) 또는 안테나 케이블(C)의 외부 도체(C2) 외면에는 바디부(110)가 배치될 수 있다. 바디부(110)의 전단부(111)는 수용구(333) 내측 단부까지 삽입되어 부쉬(130)를 압착하면서 안테나 케이블(C)과 안테나 수용부(330)의 결합을 강화하며, 바디부(110)의 후단부(113)는 안테나 수용부(330)의 외측에 수용구(333)와 대면 배치되며, 안테나 케이블(C)의 피복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10)는 안테나 케이블(C)의 서로 다른 외경을 갖는 외부 도체(C2)(또는 부쉬(130)의 외주면)와 피복(C3)에 각각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현되어 안테나 케이블(C) 전체를 고정하고 단단한 결속을 도울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케이블(C)과 안테나 필터부(300)가 결합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안테나 케이블(C)이 안테나 수용부(330)에 삽입되어 결합하면, 안테나 케이블(C)의 심선(C1)은 수용 공간(331) 내에 배치되며, 수용 공간(311)의 상면에 형성된 접촉 부재(337)와 접촉하여 전기적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부쉬(130)는 바디부(110)의 압착으로 인하여 안테나 수용부(330)와 강화된 접촉을 통해 우수한 그라운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케이블 연결모듈(10)은 안테나 케이블(C)과 안테나 수용부(330) 상의 하나의 연결만을 나타내고 있으나, 필터 본체(310)의 외면에 복수 개의 안테나 수용부(330)를 형성하여 그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안테나 케이블(C)의 연결을 통해 다양한 대역대의 신호를 필터로 송수신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기존 발명과 다르게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케이블 연결모듈(10)은, 안테나 케이블(C)의 간단한 연결 작업을 통해 안테나 필터와 연결될 수 있는 안테나 수용부(330)를 구비하였고, 상기 안테나 케이블(C) 외면에 안테나 수용부(330)와의 결합을 강화할 수 있는 결합 요소들을 포함하여 구현하였다. 이로 인하여, 보통의 작업자들도 손쉽게 안테나에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남땜의 사용을 현저히 감소하여 제품비를 절감하고 불량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케이블 연결모듈(10)의 연결 과정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안테나 케이블 연결모듈(10)은, 특정 파장대의 주파수를 선별하여 통과시키거나 전체적으로 주파수의 양을 조절하는 안테나 필터부(300)와, 상기 안테나 필터부(300)에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하는 안테나 케이블(C)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케이블(C)은, 복수 개의 전력선 유닛 및 복수 개의 광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필터부(300)는 특정 주파수 대역을 통과시키는 필터가 배치된 필터 본체(310)와 상기 필터 본체(310)를 향하여 안테나 케이블(C)로부터 송신/수신된 신호를 제공하도록, 안테나 케이블(C)을 수용하는 안테나 수용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안테나 수용부(330)는 상기 안테나 본체(310) 외측에 소정의 수용 공간(331)을 형성하여 외부의 안테나 케이블(C)의 적어도 일부를 을 수용하도록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안테나 수용부(330)는 필터 본체(310) 외측에 상면이 개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안테나 안테나 수용부(330)는 안테나 케이블(C)의 심선(C1)이 통과할 수 있는 수용구(333) 및 상기 안테나 안테나 수용부(330) 외측으로 돌출되어 안테나 케이블(C)을 결합할 수 있는 수용 결합 부재(33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수용부(330) 내부 수용 공간(331) 하측에 배치되어, 안테나 케이블(C)의 심선과 접지되는 접촉 부재(337)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안테나 케이블(C)의 안테나 수용부(330)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케이블 연결모듈(10)은 상기 안테나 케이블(C)과 상기 안테나 필터부(300)를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 케이블(C)의 외주면에 배치된 바디부(210) 및 부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바디부(210) 및 부쉬(230)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케이블 연결모듈(10)의 안테나 케이블(C) 및 안테나 케이블(C)과 안테나 필터부(300)를 연결하는 연결 구성요소(210,23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케이블 연결모듈(10)의 부쉬(230)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안테나 케이블(C)은 동축(coaxial) 케이블로서, 접지에 연결된 차폐(shield)를 이용하여 전자기파 간섭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 케이블(C)은 중심에 심선(C1)과 같은 내부 도체가 배치되고, 상기 심선(C1)의 외주면을 따라, 절연체 및 외부 도체(C2)가 배치되고, 상기 외부 도체(C2)의 외주면을 따라, 피복(C3)이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안테나 케이블(C)과 상기 필터부(300)를 연결하는 연결 구성요소는 바디부(210) 및 부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바디부(210)는 안테나 케이블(C)이 삽입되어 통과할 수 있는 홀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서로 다른 크기의 외경 두께를 가지는 전단부(211) 및 후단부(213)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210)의 전단부(211)는 실질적으로 수용구(333)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영역일 수 있으며, 상기 바디부(210)의 후단부(213)는 상기 수용구(333)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외주면을 구비하여, 안테나 케이블(C)과 안테나 수용부(330)가 결합시 서로 대면 배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바디부(210)의 전단부(211)는 상기 안테나 수용부(330)의 수용구(333)에 삽입되어 탈착 결합으로 연결되거나, 전단부(211) 외면에 나사선이 구비되어, 수용구(333) 내측에 배치된 나사선에 의하여 암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는 결합 방식의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바디부(210)의 전단부(211)는 상기 수용구(333)와 서로 결합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210)는 아연 다이 캐스팅 또는 알루미늄 다이 캐스팅으로 제작될 수 있고, 금속물을 가공하여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바디부(210)의 전단부(211)는 후술될 부쉬(230) 외주면에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후단부(213)의 일부는 부쉬(230) 또는 안테나 케이블(C)의 피복(C3) 외면에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부쉬(230)는 안테나 케이블(C)의 단부가 삽입하여 통과할 수 있는 홀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가지는 전단부(231) 및 후단부(233)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쉬(230)의 전단부(231) 및 후단부(233)는 실질적으로 수용구(333)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을 강화하는 영역이며, 상기 안테나 케이블(C) 및 상기 바디부(2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부쉬(230)의 전단부(231)는 후단부(233)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외경을 가지는 폐쇄된 곡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단부(231)는 링 형상의 구조를 가지며, 전면부(수용 결합부재와 맞닿는 영역)에는 상기 부쉬(130)의 전단부(231)가 안테나 수용부(330) 내측에 결합하는 경우에, 그라운드를 형성할 수 있는 접촉면(238)을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쉬(130)는 상기 실시예(도 1)의 부쉬(130)와 상이하게, 상대적으로 더 넓은 면적을 포함하는 링 형상의 접촉면(238)을 구비하여 기존보다 그라운드 접촉을 강화하여 본 발명의 전기적 연결 성능을 높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부쉬(130)의 전단부(231)의 접촉면(238) 상에는, 상기 접촉면(238)에서 제 1방향(안테나 케이블의 삽입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면(239)을 형성하여 추가로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돌기면(239)은 링 형상으로 구비되며, 안테나 수용부(330) 외면과 밀접하게 접촉하는 힘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부쉬(130)의 후단부(233)는 제 1방향(안테나 케이블의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슬릿(2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릿(235)은 안테나 케이블(C)의 외부 도체(C2) 외면을 둘러싸도록 소정의 간격에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예에 따라, 상기 바디부(210)가 수용구(333)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압착 과정에서 상기 적어도 각각의 슬릿(235)의 내부 간격이 감소하면서, 상기 간격을 원상태로 회복하고자 하는 텐션을 통해 안테나 케이블(C)과 안테나 수용부(330)의 결합을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부쉬(230)의 후단부(233)는 전단부(231)와 다르게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는 경사면(237)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237)을 포함하는 후단부(233)에 따라, 안테나 케이블(C)과 안테나 수용부(330)와 결합시 발생하는 압착 과정에서 부쉬(230)가 안테나 케이블(C)의 내측(피복이 배치된 방향)으로 밀리지 않고, 외부 도체(C2) 외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압착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쉬(230)는 아연 다이 캐스팅 또는 알루미늄 다이 캐스팅으로 제작될 수 있고, 금속물을 가공하여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바디부(210)의 전단부(211) 외측에는 홈(미도시)이 배치되고, 홈으로 실링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디부(210) 전단부(211)가 상기 안테나 수용부(330)의 수용구(333) 내부와 삽입 결합하면서 외부 유체가 안테나 케이블 내부 또는 수용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케이블(C)과 안테나 필터(300)가 결합한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용구(333) 내측으로 안테나 케이블(C)이 삽입되며, 상기 안테나 케이블(C)을 중심으로 외측 방향을 향하여 부쉬(230), 바디부(210) 및 수용 결합부재(335)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 결합부재(335)를 내부를 살펴보면, 안테나 케이블(C)의 심선(C1)만 안테나 수용부(330) 내부로 통과할 수 있도록, 내측에 수용구보다 크기가 작은 심선 수용구(339)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안테나 수용부(330) 내부에는 안테나 케이블(C)의 심선(C1)만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케이블(C)의 외부 도체(C2) 외면에는 부쉬(230)가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쉬(230)의 후단부(233)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235)이 구비되어 외부 도체(C2) 단부와 수용 결합부재(335)의 결합을 강화할 수 있으며, 상기 부쉬(230)의 후단부(233)는 경사면(237)이 배치되어, 상기 결합이 강화됨에 따라, 부쉬(230)가 외부 도체(C2) 단부로부터 밀려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쉬(230)의 전단부(231)는 상기 심선 수용구(339) 주위의 수용 결합부재(335)의 일부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그라운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용 결합부재(335) 일부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쉬(230)의 전면에는 제 1방향(안테나 케이블의 삽입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링 형상의 접촉면(238)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촉면(238)은 부쉬(230)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게 펼쳐진 상태로 구현하여, 실질적으로 수용 결합부재(335)의 일부면에 접촉하는 영역을 기존 실시예(도 1)에 비하여 확장할 수 있다. 상기 상대적으로 더 확장된 영역으로 구성된 접촉면(238)을 구비하여 기존보다 그라운드 접촉을 강화하여 본 발명의 전기적 연결 성능을 높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부쉬(230)의 전단부(231)의 접촉면(238)의 정면에는, 상기 접촉면(238)에서 제 1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면(239)을 형성하여 추가로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돌기면(239)은 링 형상으로 구비되며, 안테나 수용부(330) 외면과 접촉 밀착하는 힘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접촉면(238) 및 돌기부(239)의 추가 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부쉬(230)를 밀어주는 바디부(210)의 압입으로 인하여 형성된 그라운드는 납땜 방식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부쉬(230)의 전면이 안테나 수용부(330)에 밀착 배치되어 전기적 접속의 결합을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쉬(230) 또는 안테나 케이블(C)의 외부 도체(C2) 외면에는 바디부(110)가 배치될 수 있다. 바디부(210)의 전단부(211)는 수용구(333) 내측 단부까지 삽입되어 부쉬(230)를 압착하면서 안테나 케이블(C)과 안테나 수용부(330)의 결합을 강화하며, 바디부(210)의 후단부(213)는 안테나 수용부(330)의 외측에 수용구(333)와 대면 배치되며, 안테나 케이블(C)의 피복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210)는 안테나 케이블(C)의 서로 다른 외경을 갖는 외부 도체(C2)(또는 부쉬(130)의 외주면)와 피복(C3)에 각각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현되어 안테나 케이블(C) 전체를 고정하고 단단한 결속을 도울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케이블(C)과 안테나 필터부(330)가 결합한 사시도이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안테나 케이블(C)이 안테나 수용부(330)에 삽입되어 결합하면, 안테나 케이블(C)의 심선(C1)은 수용 공간(331) 내에 배치되며, 수용 공간(311)의 상면에 배치된 접촉 부재(337)와 접촉하여 전기적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부쉬는 바디부(110)의 압착으로 인하여 안테나 수용부(330)와 강화된 접촉을 통해 우수한 그라운드를 형성할 수 있다.
기존 발명과 다르게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케이블 연결모듈(10)은, 안테나 케이블(C)의 간단한 연결 작업을 통해 안테나 필터와 연결될 수 있는 안테나 수용부(330)를 구비하였고, 상기 안테나 케이블(C) 외면에 안테나 수용부(330)와의 결합을 강화할 수 있는 결합 요소들을 포함하여 구현하였다. 이로 인하여, 보통의 작업자들도 손쉽게 안테나에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남땜의 사용을 현저히 감소하여 제품비를 절감하고 불량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 케이블 연결모듈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케이블 연결모듈(10)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안테나 케이블 연결모듈(10)은 도 2에 따른 안테나 케이블 연결모듈을 한 예로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도 6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케이블 연결모듈도 본 제조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안테나 케이블 연결모듈(10) 제조 방법은, 공정 10에 따라, 우선적으로 안테나 필터부(300)와 결합할 안테나 케이블(C)을 외부로부터 공급하는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다만, 작업자는 미리 안테나 케이블(C)의 단부를 일부 피복하여, 안테나 필터부(300)와 연결될 안테나 케이블(C)을 준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테나 케이블(C)은 중심에 심선(C1)과 같은 내부 도체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심선(C1)의 외주면을 따라, 절연체 및 외부 도체의 일부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안테나 케이블(C)를 형성하여 미리 준비할 수 있다.
이후, 공정 30에 따라, 일부가 피복된 안테나 케이블(C) 외주면에 바디부(110)와 부쉬(130)를 끼워 배치할 수 있다.(도 2참조) 이때, 상대적으로 내경 및 외경이 큰 바디부(110)를 안테나 케이블(C)에 먼저 끼워 배치하고, 이후, 부쉬(130)를 안테나 케이블(C) 단부 영역에 끼워 배치하는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바디부(110)는 안테나 케이블(C)이 삽입되어 통과할 수 있는 홀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서로 다른 크기의 외경 두께를 가지는 전단부(111) 및 후단부(113)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10)의 전단부(111)는 실질적으로 수용구(333)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영역일 수 있으며, 상기 바디부(110)의 후단부(113)는 상기 수용구(333)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외주면을 구비하여, 안테나 케이블(C)과 안테나 수용부(330)가 결합시 서로 대면 배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부쉬(130)는 안테나 케이블(C)의 단부가 삽입하여 통과할 수 있는 홀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가지는 전단부(131) 및 후단부(133)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쉬(130)의 전단부(131) 및 후단부(133)는 실질적으로 수용구(333)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을 강화하는 영역이며, 상기 안테나 케이블(C) 및 상기 바디부(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후, 공정 50, 70에 따라, 상기 안테나 케이블(C) 단부에 상기 부쉬(130)를 결합하는 공정 및 안테나 필터부(300) 외측에 마련된 수용부(330) 내부로 상기 부쉬(130)가 결합된 안테나 케이블(C)을 삽입하는 공정을 진행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안테나 케이블(C)의 심선(C1)이 시작되는 영역에서 외부 도체(C2)가 배치된 영역에 부쉬(130)를 끼움 결합하는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외부 도체(C2)의 외주면에 끼워진 부쉬(130)는 전단부(131)가 심선(C1)이 시작되는 영역에 배치되고, 후단부(133)가 피복(C3)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부쉬(130)의 전단부(131)는 제 1방향(안테나 케이블의 삽입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슬릿(1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릿(135)은 안테나 케이블(C)의 외부 도체(C2) 외면을 둘러싸도록 소정의 간격에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쉬(131)가 끼움 결합된 안테나 케이블(C)은, 이후 상기 바디부(110)가 수용구(333)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압착 과정에서 상기 각각의 슬릿(135)의 내부 간격이 감소하면서, 상기 간격을 원상태로 회복하고자 하는 텐션을 통해 안테나 케이블(C)과 안테나 수용부(330)의 결합을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쉬(130) 후단부(133)의 경사면에 따라,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로 부쉬(130)의 내경은 작아지며, 상기 부쉬(130)가 안테나 수용부(330)와 결합할 경우, 더 이상 외측으로 밀리지 않고 강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부쉬(130)의 전단부(131)는 후단부(133)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외경을 가지는 폐쇄된 곡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단부(131)는 링 형상의 구조를 가지며, 전면부에는 상기 부쉬(130)의 전단부(133)가 안테나 수용부(330) 내측에 결합하는 경우에, 그라운드를 형성할 수 있는 접촉면(138)을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쉬(130)는 기존의 발명보다 넓은 면적을 포함하는 접촉면(138)을 구비하여 그라운드 접촉을 강화하여 본 발명의 전기적 연결 성능을 높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부쉬(130)와 안테나 케이블(C)이 결합된 후에, 공정 90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바디부(110)가 부쉬(13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상기 수용구(333) 내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수용부와 상기 바디부를 결합하는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바디부(110)의 전단부(111)는 상기 안테나 수용부(330)의 수용구(333)에 삽입되어 탈착 결합으로 연결되거나, 전단부(111) 외면에 나사선이 구비되어, 수용구(333) 내측에 배치된 나사선에 의하여 암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는 결합 방식의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바디부(110)의 전단부(111)는 상기 수용구(333)와 서로 결합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바디부(110)의 전단부(111)는 후술될 부쉬(130) 외주면에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후단부(113)의 일부는 부쉬(130) 또는 안테나 케이블(C)의 피복(C3) 외면에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공정 90에 따라, 안테나 케이블(C)이 안테나 수용부(330)에 삽입되어 결합하면, 안테나 케이블(C)의 심선(C1)은 안테나 수용부(330)의 수용 공간(331) 내에 배치되며, 수용 공간(331) 상에 배치된 접촉 부재(337)와 접촉하여 전기적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안테나 수용부(330)의 상면은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접촉 부재(337)의 일면에 배치된 심선(C1)은 납땜 등을 통하여 작업자가 손쉽게 안테나 케이블(C)과 필터 영역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케이블 연결모듈(10) 제조밥법으로, 보통 작업자들이 손쉽게 작업할 수 있도록 간단한 안테나 케이블 연결 모듈을 구성하여, 인건비를 감소하고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최소한의 솔더만으로 안테나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도록하여 부품비를 절감하고 제품의 무게를 감소할 수 있는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안테나 케이블 연결모듈은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안테나 필터부: 300
필터 본체: 310
수용부: 330
수용공간: 331
수용구: 333
수용 결합부재: 335
접촉 부재: 337
바디부: 110, 210
바디 전단부: 111, 211
바디 후단부: 113, 213
부쉬: 130, 230
부쉬 전단부: 131, 231
부쉬 후단부: 133, 233
슬릿: 135

Claims (19)

  1. 안테나 필터부와 연결되는 접점을 형성하는 안테나 케이블;
    상기 안테나 케이블의 외주면에 배치되며, 상기 안테나 케이블의 단부와 함께 상기 안테나 필터부에 배치된 수용구에 삽입되어 상기 안테나 필터부와 결합하는 바디부; 및
    상기 안테나 케이블과 상기 바디부 사이에 배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안테나 필터부와 상기 안테나 케이블의 결합을 강화하는 부쉬를 포함하고,
    상기 부쉬는 상기 안테나 케이블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폐쇄된 곡선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부쉬 전단부 또는 부쉬 후단부는 일측이 개구된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케이블 연결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필터부는 상기 안테나 케이블의 심선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용부의 수용 공간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구를 통과한 상기 안테나 케이블의 심선과 접점을 형성하는 접촉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케이블 연결 모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외부 방향으로 돌출된 수용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 결합부재 일측으로 상기 안테나 케이블이 수용되는 수용구가 배치되고 상기 수용 결합부재 타측으로 상기 안테나 케이블의 상기 심선이 수용되는 심선 수용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케이블 연결 모듈.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수용구에 삽입되는 전단부; 및
    상기 전단부와 서로 다른 크기의 외경을 가지며, 상기 수용구 외면에 배치된 수용 결합부재와 대면 배치되는 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케이블 연결 모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부쉬는 상기 바디부의 일부와 함께 상기 수용구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부쉬 전단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부 일부면에 접촉하여 그라운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케이블 연결 모듈.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포함하는 상기 부쉬의 전단부 또는 부쉬 후단부는 상기 바디부의 압착에 의하여 상기 안테나 케이블을 상기 수용 결합부재 내측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케이블 연결 모듈.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쉬 전단부와 상기 부쉬 후단부는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케이블 연결 모듈.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쉬 전단부는 상기 부쉬 후단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큰 외경을 가지도록 돌출된 접촉면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면은 상기 수용 결합부재 외면과 접촉하여 그라운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케이블 연결 모듈.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은 상기 안테나 케이블의 삽입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폐곡선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배치된 심선 수용구 주변 외면과 접촉하여 접점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케이블 연결 모듈.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측이 개구되며, 상기 수용부 내부 상기 접촉 부재 하부에는 인쇄 회로기판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케이블 연결모듈.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 내경은 상기 부쉬 전단부 또는 상기 부쉬 후단부 외면과 대응되도록 경사면 또는 단턱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케이블 연결모듈.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쉬 전단부 또는 상기 부쉬 후단부의 적어도 하나의 슬릿은 상기 바디부의 내측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슬릿의 크기가 감소하면서 상기 바디부 및 상기 안테나 케이블의 결합을 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케이블 연결모듈.
  14. 단부가 일부 피복된 안테나 케이블을 마련하는 공정;
    상기 안테나 케이블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는 경사면이 형성된 부쉬 및 상기 부쉬보다 상대적으로 큰 외경을 가지는 바디부를 삽입하는 공정;
    상기 안테나 케이블 단부에 상기 부쉬를 결합하는 공정;
    안테나 필터부 외측에 마련된 수용부 내부로 상기 부쉬가 결합된 안테나 케이블을 삽입하는 공정; 및
    상기 바디부가 상기 부쉬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상기 수용부 내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수용부와 상기 바디부를 결합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부쉬는 상기 케이블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부쉬 전단부 또는 부쉬 후단부는 일측이 개구된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케이블 연결 모듈 제작방법.
  15. 삭제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케이블 단부에 상기 부쉬를 결합하는 공정은,
    상기 부쉬 전단부 또는 상기 부쉬 후단부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릿이 상기 바디부의 내측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슬릿의 크기가 감소하면서 상기 바디부 및 상기 안테나 케이블의 결합을 강화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안테나 케이블 연결모듈 제작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내부로 상기 부쉬가 결합된 안테나 케이블을 삽입하는 공정은,
    상기 부쉬 전단부의 돌출된 접촉면이 상기 수용부 일측에 배치된 수용 결합부재 외면과 접촉하여 그라운드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안테나 케이블 연결모듈 제작방법.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와 상기 바디부를 결합하는 공정은,
    상기 바디부의 전단부는 상기 수용부에 배치된 수용구에 삽입되고, 상기 전단부와 서로 다른 크기의 외경을 가지는 상기 바디부의 후단부는 상기 수용구 외면에 배치된 수용 결합부재와 대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케이블 연결모듈 제작방법.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수용 공간 하측에 배치된 접촉 부재는, 상기 수용 공간으로 삽입된 상기 안테나 케이블의 심선과 접점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안테나 케이블 연결 모듈 제작방법.
KR1020160058175A 2016-05-12 2016-05-12 안테나 케이블 연결 모듈 및 안테나 케이블 연결 모듈 제작방법 KR101810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175A KR101810508B1 (ko) 2016-05-12 2016-05-12 안테나 케이블 연결 모듈 및 안테나 케이블 연결 모듈 제작방법
PCT/KR2017/004549 WO2017196011A1 (ko) 2016-05-12 2017-04-28 안테나 케이블 연결 모듈 및 안테나 케이블 연결 모듈 제작방법
EP17796311.3A EP3457494B1 (en) 2016-05-12 2017-04-28 Antenna cable connecting module and method for producing antenna cable connecting module
FIEP17796311.3T FI3457494T3 (fi) 2016-05-12 2017-04-28 Antennikaapeliliitäntämoduuli ja menetelmä antennikaapeliliitäntämoduulin valmistamiseksi
JP2018559250A JP6743184B2 (ja) 2016-05-12 2017-04-28 アンテナケーブル連結モジュールおよびアンテナケーブル連結モジュールの作製方法
US16/186,667 US10847938B2 (en) 2016-05-12 2018-11-12 Antenna cable connecting module and method for producing antenna cable connecting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175A KR101810508B1 (ko) 2016-05-12 2016-05-12 안테나 케이블 연결 모듈 및 안테나 케이블 연결 모듈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719A KR20170127719A (ko) 2017-11-22
KR101810508B1 true KR101810508B1 (ko) 2017-12-20

Family

ID=60267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175A KR101810508B1 (ko) 2016-05-12 2016-05-12 안테나 케이블 연결 모듈 및 안테나 케이블 연결 모듈 제작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47938B2 (ko)
EP (1) EP3457494B1 (ko)
JP (1) JP6743184B2 (ko)
KR (1) KR101810508B1 (ko)
FI (1) FI3457494T3 (ko)
WO (1) WO201719601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8086A (ja) * 1998-08-24 2000-05-16 Mitsumi Electric Co Ltd コネクタ装置の取付構造及びコネクタ装置の取付方法
JP2005117268A (ja) * 2003-10-06 2005-04-28 Sony Corp アンテナ装置及びアンテナ装置を備える携帯型情報端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1955U (ja) 1992-04-06 1993-11-05 日本電気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の接続構造
JPH07254459A (ja) * 1994-03-17 1995-10-03 Mutsuo Hanzawa アンテナ用の防水性接続ジャック
US6007378A (en) * 1997-05-02 1999-12-28 Qualcomm Incorporated Locking boot system
US6164997A (en) * 1998-10-06 2000-12-26 Nortel Networks Limited Antenna connector arrangement
JP3929197B2 (ja) * 1999-03-17 2007-06-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高周波回路素子
FR2793955B1 (fr) * 1999-05-20 2001-07-13 Radiall Sa Dispositif pour relier electriquement une ligne coaxiale a une carte de circuit imprime
GB2406924B (en) 2003-10-10 2006-05-24 Advanced Risc Mach Ltd Level shifting in a data processing apparatus
DE602005015528D1 (de) * 2004-10-22 2009-09-03 Yokowo Seisakusho Kk Antennenbefestigungsstruktur
CN102906884B (zh) * 2010-05-20 2015-09-02 行田电线株式会社 太阳能电池组件用端子箱
KR20130141152A (ko) * 2012-06-15 2013-12-26 대한특허개발 (주) 자동차 무선통신용 안테나
KR101300430B1 (ko) * 2013-02-06 2013-08-26 이상윤 통신케이블의 케이블단자 결합용 단자플러그
US9385446B2 (en) * 2013-04-30 2016-07-05 Ppc Broadband, Inc. Connector assembly, port accessory and method for slide-on attachment to interface ports
US9653823B2 (en) * 2014-05-19 2017-05-16 Ppc Broadband, Inc. Connector having installation-responsive compression
DK3180819T3 (da) * 2014-08-13 2019-08-12 Ppc Broadband Inc Gevindkompressionsforbindelse og fremgangsmåde til montering af en sådan forbindel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8086A (ja) * 1998-08-24 2000-05-16 Mitsumi Electric Co Ltd コネクタ装置の取付構造及びコネクタ装置の取付方法
JP2005117268A (ja) * 2003-10-06 2005-04-28 Sony Corp アンテナ装置及びアンテナ装置を備える携帯型情報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43184B2 (ja) 2020-08-19
WO2017196011A1 (ko) 2017-11-16
KR20170127719A (ko) 2017-11-22
EP3457494A1 (en) 2019-03-20
EP3457494B1 (en) 2023-10-18
US10847938B2 (en) 2020-11-24
US20190081443A1 (en) 2019-03-14
FI3457494T3 (fi) 2024-01-17
EP3457494A4 (en) 2020-01-01
JP2019521470A (ja) 2019-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78648B (zh) 具有整合式射頻干擾保護的同軸電纜連接器
TWI616039B (zh) 同軸纜線連續性連接器
US6805588B2 (en) Cable connector
EP3751671A1 (en) Coaxial cable male connector for transmitting super-high frequency signals
TW201505300A (zh) 具有整體射頻干擾保護的同軸電纜連接器
CN102222820B (zh) 同轴连接器以及基板用连接器
JP2012009229A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ンタクト及び端末処理方法
KR20150042131A (ko) 동축 커넥터 장치
KR20170047890A (ko)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
US20240022025A1 (en) Data cable and electronic device
CN110492268B (zh) 同轴电缆的连接座及连接结构
KR101810508B1 (ko) 안테나 케이블 연결 모듈 및 안테나 케이블 연결 모듈 제작방법
JP2006129676A (ja) シールドケーブルの端末処理方法及び端末シールド構造と、端末シールド構造を利用した光送受信システム
EP3361568A1 (en) Base station antenna
EP3387712B1 (en)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a connector mounted on a coaxial cable
CN111541110B (zh) Usb接口及电子设备
KR102140867B1 (ko) Rf케이블 일체형 전력분배기
CN215070712U (zh) 全屏蔽式高频连接器和连接器组件
US11784444B2 (en) Fully-shielded high-frequency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N212230733U (zh) 一种射频连接器及滤波器
US10804655B2 (en) Method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protection for a connector assembly using a conductive seal
TWI571021B (zh) 高速傳輸連接器
KR101759286B1 (ko) 트랜지션 도파관 및 트랜지션 부재
JPH1070391A (ja) 高周波信号処理用機器
JP2015138586A (ja) ケーブルクランプおよびケーブルクランプ接続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